KR20150136153A -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153A
KR20150136153A KR1020140062867A KR20140062867A KR20150136153A KR 20150136153 A KR20150136153 A KR 20150136153A KR 1020140062867 A KR1020140062867 A KR 1020140062867A KR 20140062867 A KR20140062867 A KR 20140062867A KR 20150136153 A KR20150136153 A KR 2015013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web
voice call
terminal de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153A/ko
Publication of KR2015013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그 방법은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음성통화 상태에서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을 분리하여 단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Method for Screen Display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 타블렛 PC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 사용됨에 따라 각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앱(App)들이 개발되고 있다.
앱(App)은 응용 소프트웨어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줄임말로서, 이러한 앱들은 모바일 기기 자체에 포함된 센서에서 생성된 다양한 센싱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응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널리 쓰이고 있다.
웹(Web)은 일반적으로 WWW(World Wide Web)을 나타내는 말로서, 문자, 영상, 음향 및 비디오정보를 한꺼번에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의미하기도 한다. 단말 장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의 웹서버에 접속하며, 웹서버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웹서비스를 html, 자바 스크립트 등의 형태로 브라우저가 실행한다.
또한, 스마트폰 등에서, 단말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아무 단말기에서나 같은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으로서, 웹앱(Web App)이 HTML5를 기반으로 하며 모바일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업체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하이브리드 웹(Hybrid Web)이라고도 불리우며, 인터넷 웹과 스마트폰 앱이 합쳐진 형태의 소프트웨어로, 기존의 여러 디바이스로 인해 각각의 플랫폼에 맞게 개발된 애플리케이션과 모든 디바이스,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표준화된 웹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에서 웹 또는 앱의 실행 중 음성통화가 걸려오거나 음성통화 중 웹 또는 앱을 실행시켜, 음성통화와 함께 웹 또는 앱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 순서에 따라 음성통화를 위한 화면과 웹 또는 앱의 화면 중 어느 하나만이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가 음성통화 중 특정 앱을 실행시키면 음성통화 화면에서 해당 앱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다시 음성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앱의 화면을 특정 버튼을 눌러 종료시킨 후 다시 음성통화 화면이 표시되도록 통화 앱 버튼을 눌려야 한다.
위와 같이, 음성통화와 함께 웹 또는 앱이 실행되는 경우, 화면 전환을 위해 여러 단계의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면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은,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음성통화 상태에서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을 분리하여 단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은, 상기 앱 또는 웹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은 고정시킨 채로 상기 앱 또는 웹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은, 상기 앱 또는 웹과 상기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가 종료되는 경우, 종료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통화 연결 후 앱 또는 웹 구동시, 한 화면 상에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음성 통화 화면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음성통화와 함께 앱 또는 웹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단말장치에서 앱 또는 웹 화면과 음성 통화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서버 장치 및 단말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단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함께,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과 같은 통화 화면을 표시한다. 단말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서 앱(App) 또는 웹(Web)이 실행되고 있는 중인 경우, 출력부(150)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상기 실행되는 앱 또는 웹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에는 단말 장치(100)의 출시 이전부터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출시 후 사용자에 의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는, 복수개 전화번호와 각각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앱 또는 웹 식별정보를 연결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앱 또는 웹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통화 상태에서 특정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모리 상에 기 저장되거나 통신망 상의 저장매체 상에 기 저장된 복수개 전화번호와 각각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앱 또는 웹 식별정보 연결 테이블을 통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앱 또는 웹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앱 또는 웹 식별정보는 앱 또는 웹 명칭이거나 웹 접속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에서 음성통화 연결 후 또는 그 이전에 음성통화를 위해 입력된 전화번호와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을 구동시키며,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음성 통화 화면을 하나의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음성통화와 함께 앱 또는 웹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된 음성통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 상에서 음성통화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앱 또는 웹의 실행과 함께 음성 통화가 진행되는 경우, 출력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하나의 화면 상에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S200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는 제어부(180)에 의해 검출된다(S21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S200 단계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전화번호이거나, 또는 특정 앱 또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ARS나 앱 또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의 전화번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정 앱 또는 웹과 대응될 수 있는 일반적인 전화번호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0 단계에서의 전화번호 입력과 상기 S210 단계에서의 전화번호 검출은 단말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기본 전화 앱을 실행시킨후, 상기 기본 전화 앱 상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call" 버튼을 눌러 해당 전화번호로의 음성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중계 애플리케이션인 다이얼 라우터(Dial Router) 앱이 상기 기본 전화 앱을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후킹(hooking)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기본 전화 앱 및 다이얼 라우터 앱의 동작은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하고(S220 단계), 상기 연결된 음성 통화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번호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통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이 구동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음성 통화를 이용한 앱 또는 웹 구동 서비스는 전화 발신인인 단말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전화 수신인 측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또는 서버들과, 하나 이상의 별도 서버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통화 상태에서 기설정된 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S240 단계).
상기와 같이 음성 통화 상태에서 앱 또는 웹이 실행되면,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을 단말 장치(100)의 한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한다(S250 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 장치(100)의 화면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제1, 2 영역들 각각에 상기 앱 또는 웹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이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 중 일부 영역에 상기 음성통화 화면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앱 또는 웹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음성 통화 중 특정 앱 또는 웹을 구동시키는 서비스를 온(On) 시키는 방법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통화 앱(191)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ARS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전화번호인 "114"와 "call" 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중계 앱(192)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인 "114"를 후킹하며, 단말 장치(100)는 "114"에 대응되는 ARS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ARS 서비스를 위한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의 중계 앱(192)은 외부 메시지 서버(300)와의 소켓(socket) 연결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푸시형 메시지 서버일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의 중계 앱(192)은 푸시형 메시지 서버(300)에 웹소켓/소켓(WebSocket/Soket)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ARS 시스템(200)과 접속되어 ARS 서비스를 위한 음성통화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ARS 시스템(200)은 특정 앱 또는 웹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특정 번호의 입력을 상기 음성통화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RS 음성통화 도중 복수의 ARS 메뉴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번호들이 안내될 수 있으며, 해당 ARS 서비스와 연관된 앱을 구동시키기 위한 앱 구동 메뉴는 "3번"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ARS 시스템(200)의 안내 또는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통화 앱(191)을 이용해 "3번" 버튼을 눌러, ARS 서비스와 연관된 앱의 구동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성통화 중 눌려진 "3번"에 대한 입력 정보가 ARS 시스템(200)으로 전달되며, ARS 시스템(200)은 상기 "3번"이 입력되었음을 메시지 서버(300)에 통지할 수 있다.
그 후, 메시지 서버(300)는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중계 앱(192)에 ARS 음성통화 중 기설정된 "3번"이 입력되었음을 통지하고, 중계 앱(192)은 상기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ARS 서비스와 연관된 앱(즉, 이전 입력된 전화번호 "114"에 대응되는 앱)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가 SK telecom 통신사의 스마트폰인 경우, 사용자가 "114"를 눌러 SK telecom의 ARS에 연결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설정된 "3번" 버튼을 누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의 동작들에 의해 단말 장치(100)에서 음성통화와 함께 SK telecom에서 제공하는 "T Wolrd" 앱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의 통화 앱(191)과 ARS 시스템(200) 사이의 통신은 음성 통신 모드에서 수행되며, 단말 장치(100)의 중계 앱(192) 및 메시지 서버(300) 사이의 통신은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통화 앱(191)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웹(web)과 연관된 전화번호인 "031-625-2525"와 "call" 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중계 앱(192)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인 "031-625-2525"를 후킹하며, 단말 장치(100)는 "031-625-2525" 전화번호로 외부 단말 장치(50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031-625-2525" 전화번호를 가지는 수신인은, 상기 연결된 음성 통화 도중, 특정 앱 또는 웹의 구동을 위해 미리 설정된 특정 번호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인은 외부 단말 장치(500)를 통해 자신이 제공하는 웹의 실행을 위해 "3번"을 누를 것을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성통화 수신인의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통화 앱(191)을 이용해 "3번"을 누르면, 중계 앱(192)이 상기 눌러진 번호 "3"을 후킹할 수 있다.
그 후, 중계 앱(192)은 상기 후킹된 번호 "3"에 응답하여 상기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웹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말 장치(100)에서 음성 통화와 함께 앱 또는 웹을 구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앱 또는 웹-앱(web-app)은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ios 등에서 지원하는 API를 이용하여 플랫폼(platform)과 직접 연동할 수 있으나, 순수 웹의 경우(즉,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특정 웹이 순수 웹인 경우),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웹에 대한 주소 정보를 푸시 서버(push server)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웹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 상의 특정 푸시 서버로 메시지를 보내고, 단말 장치(100) 내에는 대응되는 메시지(접속할 웹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함)를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단말 장치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할 앱 또는 웹의 구동 방법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전화번호와 함께 미리 설정된 특정 기호, 문자 및 숫자 등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며(S500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는 제어부(180)에 의해 검출된다(S51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S50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통화 앱(191)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앱 또는 웹과 연관된 전화번호인 "031-625-2525"와 함께 해당 앱 또는 웹을 구동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호인 "#"을 입력받은 후, "call" 버튼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S5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중계 앱(192)이 상기 통화 앱(191)을 이용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인 "031-625-2525#"을 후킹(hooking)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S520 단계).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중계 앱(192)은 상기 후킹된 번호 "031-625-2525"에 "#"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웹을 실행시킨다.
그 후,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통화가 요청되는 경우(S530 단계). 단말 장치(1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한다(S54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웹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성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실행된 웹을 통해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외부 단말 장치(500)로 음성 통화 요청 정보가 전달되고, 외부 단말 장치(500)로부터 단말 장치(100)로 음성 통화가 요청되어 전화가 수신될 수 있다.
그와 달리, 상기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웹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성 통화가 요청되면, 단말 장치(100)가 전화번호 "031-625-2525"에 대응되는 외부 단말 장치(500)로의 음성 통화를 요청하여 전화를 발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앱 또는 웹의 실행 상태에서 음성통화가 연결되면,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통해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을 단말 장치(100)의 한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한다(S550 단계).
이하,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동시에 진행된 앱 또는 웹의 실행과 음성 통화 각각에 대응되는 화면들을 단말 장치(100)에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의 화면 영역(155)이 두개의 영역들, 즉 제1 영역(156)과 제2 영역(157)으로 분리되어, 상기 분리된 제1 영역(156)에 상기와 같이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이 표시되고, 제2 영역(157)에 음성통화 화면(157)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화면 영역(155)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리하여 복수의 화면들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스마트폰 등의 운영시스템(OS)에서 앱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component)로 Activity, Service, BroadcastReceiver 및 ContentProvider가 있으며, 각각은 인텐트(Intent)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인텐트(Intent)는 상기 컴포넌트간의 통신 수단으로서 메시지에 대한 상세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Activity)는 OS의 컴포넌트들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에게 앱의 상태 및 컨텐츠를 보여주는 역할을 하며, 포그라운드(Foreground)에서 단 1개의액티비티만 보여주며, 다른 앱의 액티피비가 호출될 시 현재 앱의 액티비티는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액티비티는 액티비티 라이프 싸이클(Activity life cycle)이 있으며, 이는 간략하게 onCreate -> onStart -> onResume -> onPause -> onStop -> onDestory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생성이 될 때에 onCreate가 호출되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질 때에는 onResume가 호출되어 액티비피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이 꺼지던가 백그라운드로 이동시 onPause와 onStop이 호출되며, 백그라운드에서 포그라운드로 이동시 onStart -> onResume 상태가 되고, 액티비티가 종료시 순차적으로 onDestory까지 호출될 수 있다.
상기 포그라운드는 앱이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보여지는 상태로 사용자의터치 입력 등 각종 이벤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백그라운드는 앱이 화면에 보이지는 않지만 각종 이벤트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Service)는 앱이 화면상에서 보여지는 부분이 아닌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컴포넌트로서, 동시에 여러 앱들의 서비스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윈도우(Window)는 앱의 최상위에 보여지는 기본 추상 클래스로서, 인스턴스는 윈도우 매니저(WindowManager)에 추가되어 화면에 보여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매니저는 앱의 윈도우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마트폰 OS의 프레임은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과 프레임 워크(Framework)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프레임 워크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워크는 API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들은 제공되는 API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하와 같은 복수의 매니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가 복수의 앱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는 복수의 윈도우들을 도시(Drawing) 또는 제어(Control), 예를 들어 터치(touch), 이동(move) 또는 크기 재설정(resize)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뷰 시스템(view system)은 단일 윈도우의 레이아웃(Layout), 보더(border) 및 버튼(Button) 처리 및 전체 화면 재도시(Re-Drawing)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는 어플리케이션을 처리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는 지역화된 문자열, 그래픽, 레이아웃 파일같이 코드가 아닌(non-code)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노티피케이션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예를 들어 알람(alarm), 배터리(battery) 네트워크(network) 연결을 처리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가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매니저 등의 프레임 워크를 이용하여, 화면 영역(155)을 제1 영역(156)과 제2 영역(157)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제1, 2 영역들(156, 157) 각각에 앱 또는 웹의 화면과 음성통화 화면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화면 영역(155)의 분리는 멀티 윈도우 프레임 워크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멀티 윈도우 프레임 워크는 멀티 윈도우 매니저 및 멀티 윈도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액티비티 매니저, 윈도우 매니저 및 뷰 시스템은 멀티 윈도우를 위한 API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멀티 윈도우 매니저는 멀티 윈도우 서비스의 기능을 API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에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156)이 표시되고, 상기 앱 또는 웹의 화면(156) 중 일부 영역(157)에 음성통화 화면이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윈도우 매니저 등의 프레임 워크를 이용하여, 앱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된 앱 위에 음성통화 화면에 대응되는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앱이 OS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권한(Permission)이 주어져 매니페스트(Manifest)에 추가 해야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android.app.Service"가 사용되며, 최상위 윈도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ndroid.view.WindowManager" 사용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앱 위에 다른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android.permisson.SYSTEM_ALERT_WINDOW" 권한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한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앱 또는 웹 화면과 음성통화 화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또는 웹 화면(156)에 대한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라, 음성통화 화면(157)은 고정된 채로 상기 앱 또는 웹 화면(156)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시에 실행되는 앱 또는 웹과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가 종료되는 경우, 종료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화면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장치(100) 화면 상에서 음성통화 화면(157)의 "종료"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음성통화가 종료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되지 않은 앱 또는 웹의 화면(156)이 단말 장치(100)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앱 또는 웹 구동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무선통신부 130 : 사용자입력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 모듈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5)

  1.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음성통화 상태에서 앱 또는 웹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앱 또는 웹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과 상기 음성통화의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을 분리하여 단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또는 웹 화면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입력에 따라, 상기 음성통화 화면은 고정시킨 채로 상기 앱 또는 웹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 또는 웹과 상기 음성통화 중 어느 하나가 종료되는 경우, 종료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장치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40062867A 2014-05-26 2014-05-26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36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67A KR20150136153A (ko) 2014-05-26 2014-05-26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67A KR20150136153A (ko) 2014-05-26 2014-05-26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53A true KR20150136153A (ko) 2015-12-07

Family

ID=5487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67A KR20150136153A (ko) 2014-05-26 2014-05-26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61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907A (ko) 2017-11-21 2019-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성이 개선된 점증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기도흡인 방지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907A (ko) 2017-11-21 2019-05-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성이 개선된 점증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기도흡인 방지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9923B2 (en) Method for sharing func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thereof
EP29988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nning application program
EP3407189B1 (en) Applic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KR102062309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702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unning application program
CN110231901B (zh) 应用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11132123B2 (en) Key display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P2806622B1 (en) Displaying a group message
WO2019047189A1 (zh) 消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11314391B2 (en) Navigation bar controlling method and terminal
US20170019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rol program
AU201743523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CN10602763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66678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EP4220627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210449B2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491655B (zh) 一种输入事件处理方法及装置
KR20150136153A (ko)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32709A (ko) 앱/웹 구동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50132755A (ko) 앱/웹 구동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CN114035870A (zh) 一种终端设备、应用资源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150136154A (ko)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36158A (ko)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36160A (ko)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