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85A -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 Google Patents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85A
KR20150134885A KR1020140062271A KR20140062271A KR20150134885A KR 20150134885 A KR20150134885 A KR 20150134885A KR 1020140062271 A KR1020140062271 A KR 1020140062271A KR 20140062271 A KR20140062271 A KR 20140062271A KR 20150134885 A KR20150134885 A KR 2015013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wall
discharge hole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8758B1 (en
Inventor
박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4006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5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water separation device for a dust collector having a water filtering function comprising: a main body which allows air or air including dirt to put thereinto; a wall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main body and divides a space where the air or the air including dirt is filtered through water; a cover which is arranged on the top of the wall and guides a mixture of the air or the air including dirt and the water; a first air-water separating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bottom end of the cover and has a water receiving part and multiple first discharge holes to discharge the mixture received in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a second air-water separating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air-water separating plate, has an inclined surface in the center, second discharge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s,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space formed by the wall and the inclined surfa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 defect in the device by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water separating plates and allowing the water to flow, circulate, and recove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본 발명은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氣水)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세척 집진 장치에서 공기와 물을 혼합시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물에 세척하여 포집한 후 깨끗한 공기와 오염된 물을 분리하여 공기는 배출하고 물은 회수하기 위한 기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eparator for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washing and collecting contaminants in the air by mixing air and water, separating clean air and contaminated water To a water separator for discharging air and recovering water.

기존 물세척 집진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물과 혼합/세척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물과 공기를 분리한 후 깨끗한 공기만 배출해야 하는데, 공기와 물을 제대로 분리하지 못하여 오염된 물의 입자들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장치 내벽을 오염시키고 진공모터까지 유입되는 등 모터 수명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Conventional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needs to remove contaminated air by mixing contaminated air with water and remove it from air to separate clean air only after separating water and air. The particles move along with the air to contaminate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and flow into the vacuum motor, which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life of the motor.

또한, 오염물질이 다량 물에 포집되어 혼입될 때 물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공기처럼 가벼운 거품 중의 일부가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모터의 고장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bubbles are generated in water when a pollutant is collected and mixed in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is case, a part of the light foam such as air moves with the air an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Which would be the cause of the failure.

종래기술로써, 본출원인이 출원한 특허 제10-1335675호 "물세척 집진장치"가 있다. 이는, 물을 필터로 사용하여 진공청소기 내부에 집진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고, 물과 공기의 분리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소형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As a prior art, there is a " water washing and collecting device " in Japanese Patent No. 10-1335675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size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filtering air containing dust or dust contained in a vacuum cleaner by using water as a filter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of water and ai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기수분리체는 벽체 내측의 혼합물이 덮개부의 날개 끝단에서 기수분리되는 구조로, 분리된 물은 아래로 떨어져 회수되고, 공기는 모터쪽으로 위로 향하며 분리되는 과정에서 물과 공기가 서로 교차하며 진행할 때 작은 물입자들이 공기와 함께 섞여 이동하게 되어 기수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치 내부로 오염된 작은 물입자들이 공기와 함께 침투하여 내부를 오염시키고, 진공 모터까지 유입되어 모터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 여전히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water sepa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xture in the inside of the wall is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wing of the lid, the separated water is taken down and collected, and the air is directed upward to the motor, The small water particles are mixed with the air and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small water particles contaminated inside the device penetrate with the air to contaminate the inside, The problem still remains unresolv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을 덮개의 끝단에 구비하여, 공기와 물의 혼합물을 분리할 때 공기통로와 물과 오물의 통로를 격리하여 분리시켜 줌으로써, 기수분리를 보다 완벽하게 할 수 있어 장치 내부의 오염과 기계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system in which a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and a second water separation plate are provided at the end of a li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eparator for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내측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일부가 상기 물에 잠기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물을 통해 필터링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수평단면 크기보다 큰 수평단면 크기를 갖고, 상기 벽체와 떨어져 상기 벽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의 혼합물을 의도된 흐름으로 안내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에 이격되어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혼합물 중의 물과 오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에 수용된 물과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배출홀이 형성된 제1기수분리판과, 상기 제1기수분리판 하측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와 틈새를 두고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외측과 상기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기수분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washing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for a water-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ction hose filled with water and sucking air containing air or dirt; A wall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partition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air is drenched in the water and air containing air or dirt is filtered through the water; A cover having a large horizontal cross-sectional size and spaced apart from the wall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to guide a mixture of air and water containing air or dirt into an intended flow; Is form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so as to receive water and dirt in the mixture A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formed with a water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water and dirt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And a second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and a space formed by the out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and the wall, And a second water separator formed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는, 상기 제1배출홀로 물과 오물이 용이하게 빠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받이부는, 내측 테두리에 비해서 외측 테두리가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가 맞물려 잘 결합되도록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합용 락(lock)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와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water and dirt can easily escape into the first discharge hol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igher outer edge than the inner edge, Preferably, a rim is formed on the rim along the perimeter so that the lid is engaged with the rim,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for engaging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im, and are fixedly engaged with the lid.

또한, 상기 제2기수분리판은,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가 진행되다가 일정 부분에서는 경사가 다시 위쪽으로 완만하게 향하여 진행되어 외측 단부에서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gradually advancing toward the upper side at a certain portion, and is inclined upward at the outer side edge.

또한, 상기 제2기수분리판에는, 상기 제2배출홀 사이에, 경사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변경되는 부분 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일정폭으로 구멍을 가지는 제3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a third discharge hole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second discharge holes, the third discharge hole having a hole with a predetermined width, which is lo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partial surface whose inclination is chang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본 발명은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은 함께 섞여 혼합물이 되고, 이동하고 흐르면서 오염물질이 물에 포집되며, 깨끗해진 공기는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을 통해 물과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물은 다시 회수, 순환하며 흐르게 되어, 오물과 공기를 더욱 더 효과적으로 기수분리시켜 기기의 결함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air and air containing dirt and water into a mixture, moving and flowing, collecting contaminants in water, and separating the cleaned air from wat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eparation plates And the water is returned, circulated and flowed again, and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fects of the apparatus by more effectively separating the dust and air from the water.

또, 본 발명은 오물과 공기의 분리 효율이 뛰어나 이물질이 올라오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하는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iciency of separating dust and air and is effective in using cleanly since no foreign matter comes up.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덮개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제1기수분리판에 대한 상부측(a) 및 하부측(b)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제2기수분리판에 대한 상부측(a) 및 하부측(b)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덮개, 제1분리판 및 제2분리판의 결합 사시도.
도 6 및 도 7 -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eparation apparatus of a water washing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lid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an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ide (a) and the lower side (b)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plate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ide (a) and a lower side (b)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an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an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氣水)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세척 집진 장치에서 공기와 물을 혼합시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물에 세척하여 포집한 후 깨끗한 공기와 오염된 물을 분리하여 공기는 배출하고 물은 회수하기 위한 기수(氣水)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eparator for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washing and collecting contaminants in the air by mixing air and water, separating clean air and contaminated water And a water separator for discharging air and recovering water.

특히, 기존 물세척 집진기에서 기수 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오염된 물의 미세입자들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장치와 진동모터를 오염시키는 것을 해결함으로서, 기계장치의 고장없이 장기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water separation from the existing water washing dust collector is not completely carried out, the fine particles of the contaminated water move together with air to pollute the apparatus and the vibration motor,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used smoothly for a long period without any trouble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덮개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제1분리판에 대한 상부측(a) 및 하부측(b)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제2분리판에 대한 상부측(a) 및 하부측(b)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의 덮개, 제1분리판 및 제2분리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lid of a water separation apparatus of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ide (a) and a lower side (b) of the first separator of the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water wash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of the water separator of the water washer an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water separator of a water washing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는, 내측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내측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일부가 상기 물에 잠기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물을 통해 필터링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수평단면 크기보다 큰 수평단면 크기를 갖고, 상기 벽체와 떨어져 상기 벽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의 혼합물을 의도된 흐름으로 안내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상기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배출홀이 형성된 제1기수분리판과, 상기 제1기수분리판 하측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외주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며, 상기 제1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구비되고 상호 결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외측과 상기 벽체와 상기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기수분리판으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washing and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hose which is filled with water and sucks air containing air or dirt, A wall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a space formed in the main body so as to partition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submerged water is filtered through the water, the air containing air or dirt; A cover having a larger horizontal cross sectional dimen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wall and disposed above the wall to guide a mixture of air and water containing air or dirt into the intended flow; The wall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ver, A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mixture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a second water separation plat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And a second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by the out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the wall and the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formed to discharge air into the spac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는 내측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내측에 투입되도록 형성된다.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air or the air containing the dir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by a suction hose for sucking air containing air or dirt.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는 일종의 통체를 이루며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하우징의 내측에는 필터의 역할을 하게 될 물이 채워지고, 커버에 형성된 호스결합부에는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장착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comprises a housing which is a kind of a cylinder and has one side opened, and a cover which covers the opened side of the housing, and a handl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it by hand. The hose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cover is fitted with a suction hose for sucking air or air containing dirt.

그리고 커버의 일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An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ai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Thu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se or the air containing the dirt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한편, 본체 바닥, 즉 하우징의 바닥에는 후술할 벽체 내측의 물과 상기 벽체 외측의 물이 순환하며, 연속적으로 필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바닥에는 물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water on the inside of the wall and water on the outside of the wall circulate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 water passag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상기 물통로는 벽체 외부의 본체 바닥에서 상기 벽체 아래쪽에 형성된 틈새에 의해 벽체 내부의 본체 바닥으로 연결되며, 상기 벽체 내부 측벽과 이격하여 벽체의 내부 측벽을 따라 본체의 바닥에 세워진 원통돌기에 의해 물통로가 완성된다.The water passag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nside the wall by a gap form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utside the wall and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wall by a cylindrical projec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s completed.

특히, 상기 본체 바닥의 벽체 외측에서 벽체 내측으로 연결되는 물통로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3개 정도로 형성되어, 벽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한다.
Particularly, a plurality of (preferably, three) water channel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ll from the outside of the wall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re formed so as to smoothly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wal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체는 본체 내의 바닥에 삽입, 결합되어 일부가 물에 잠기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물을 통해 필터링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벽체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윈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 바닥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원통홈에 삽입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원통홈의 바닥까지 닿지 않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하여 벽체가 장착되게 된다.Th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partially submerged in water, and compartmentalizing a space where air containing air or dirt is filtered through water. The wall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 cylindrical groove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in column whose both sides are open and which is hollow and which is form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wall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touching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groove, .

이렇게 벽체가 상기 원통홈에 삽입되어 끼워지더라도 벽체 외부의 본체 바닥에 형성된 물통로는 상기 원통홈에 삽입, 결합되어 있는 벽체의 아래쪽에 형성된 적당한 크기의 틈새에 의해 벽체 내부의 물통로와 연결되어 벽체 외측의 물이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wall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the water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outside the wall is connected to the water passage inside the wall by a gap of an appropriate size formed below the wall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groove The water outside the wall can be moved inward.

상기 벽체의 내부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덮개가 장착될 수 있도록 안내관장착부가 형성된다.
An inside of the wall is formed with a guide tub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cover described below.

한편, 흡입호스를 통해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벽체의 내측으로 유입될 때 벽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물통로를 통해 벽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벽체 내부 측벽과 이격하여 벽체의 내부 측벽을 따라 본체의 바닥에서 세워진 원통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돌기는 벽체 내부에서 물통로 역할도 하고 있음은 앞에서도 기술한 바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air containing dust or dirt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wall to the outside of the wall through the water passage when air containing air or dirt is introduced into the wall through the suction hose, A cylindrical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wall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wall,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also serves as a water reservoir inside the wall.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덮개는 상기 벽체의 수평단면 크기보다 큰 수평단면 크기를 갖고, 상기 벽체와 떨어져 상기 벽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밑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뒤집어 놓은 사발 형상을 하고 있고,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불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다단 형태로 형성되며, 벽체 위 일정 부분을 감싸고 있어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의 혼합물을 의도된 방향으로 흐름을 안내하여 혼합물로부터 공기와 물 및 오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ize larg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ize of the wall,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 apart from the wall, and has a larger diameter It has a bowl shape turned upside down and formed in a multi-tiered shape so that its diameter increases discretely as it goes downwards. A mixture of air and water containing air or dirt is wrapped around a certain part of the wall to guide the flow in the intended direction Effectively separating air, water and dirt from the mixture.

또한, 상기 덮개는, 외주면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전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된 날개에 후술할 제1기수분리판 및 제2기수분리판이 결합, 장착된다.In addition, the cover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water separat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upled to a blade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n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덮개의 중심부근에 안내관이 형성되어 개방되어 있고,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벽체의 내측으로 안내되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벽체의 안내관장착부에 얹혀서 결합된다.Further, a guide pip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lid and is opened, and air containing air or dirt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wall by being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The guide pipe is mounted on the guide tube mounting portion of the wall do.

이와 같이 안내관이 안내관장착부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가 벽체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지게 배치되며, 덮개의 끝단, 즉 외주면을 따라 수평면으로 돌출 형성된 날개에 후술할 제1기수분리판이 착탈결합되게 된다.
In this way, the lid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wall in a state where the guide tube is fully engaged with the guide tube mounting portion, and the first water separating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lid, that is,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기수분리판은 상기 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상기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배출홀이 형성된다.3, the first wa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the centr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water separator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And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mixture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상기 제1기수분리판은 상기 덮개의 날개에 착탈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에서 이격되어 만들어져서 전체적으로 링 모양을 하고 있다.The first water separator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g of the lid, and the centr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to form a ring shape as a whole.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받이부는 내측 테두리에 비해서 외측 테두리가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에서 공급된 혼합물이 원활하게 물받이부로 안내되도록 하며, 상기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와 맞물리도록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의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결합용 락(lock)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와 제1기수분리판이 결합고정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higher outer edge than the inner edge, so that the mixture supplied from the wall is smoothly guid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the outer edge is formed with a stopper along the perimete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ver And locking projections for engaging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atching jaws of the outer frame so that the lid and the first water separator are engaged and fixed.

또한, 상기 물받이부는, 혼합물 중에서 공기는 배제하고 물과 오물 만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1기수분리판의 내측테두리가 상기 덮개의 하단에서 날개로 이어지는 모서리보다 중심 쪽으로 일정 거리로 들어와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홀로 물이 잘 빠지도록 처마 끝 형태의 빗물 홈통 모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물이 원활하게 빠지도록 곡선 형태의 경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water receiving part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rim of the first water separating plate comes into a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lid to the center thereof rather than the edge leading to the wing so as to effectively contain only water and dirt, The first discharge hole is sloped in a rainwater trough shape having an eave tip shape so that water is easily discharged. The water discharge hole is formed as a curved slope so that water can smoothly flow out.

여기에서, 상기 제1배출홀은 제1기수분리판의 원호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며, 각 제1배출홀을 중심으로 물받이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게 되어, 물이 신속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제1배출홀로 안내된 물은 후술할 제2기수분리판의 제2배출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즉, 상기 벽체의 외측을 향하여 배출되게 된다.Here, the first discharge holes are formed along a circular arc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and the wat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round each first discharge hole, so that water can be quickly released. The water guided to the first discharge hole is discharg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oward the outside of the wall.

상기 제1배출홀은 상기 물받이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물의 흐름이 본체로 하향 및 벽체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돌출된 홀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배출홀과 후술할 제2배출홀이 결합되게 되면 물의 흐름이 제2기수분리판의 공기가 안내되는 경사진 면(제3배출홀)과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경사진 면의 아래에서 중심방향, 즉, 벽체 외측으로 안내되어 배출되고, 물필터의 물로 회수되게 된다.
The first discharge hole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is formed as a protruding hole whose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directed downward to the body and outward of the wall. Here, when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to be described later are combined, the flow of water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third discharge hole) where the air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is guided, That is, to the outside of the wall, and is recovered by the water of the water filter.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기수분리판은, 상기 제1기수분리판 하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벽체와 미세한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외주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며, 상기 제1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구비되고 상호 결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외측과 상기 벽체와 상기 경사진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하에서는 '공기흐름부'라 한다)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4,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plate and has a center portion formed by a fine gap with the wall, And a second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and a space formed by the out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the wall, and the inclined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air flow portion ").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하측에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측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배출홀이 제2배출홀 내부로 수용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배출홀의 개방된 일측이 제2배출홀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되도록 배출통로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water separating plates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and the first discharge holes protruding downward and opened at one side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discharge holes So that the open end of the first discharge hole communicates with the open end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또한, 제2기수분리판의 중심부가 벽체와 미세한 틈새를 두고 거의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덮개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안내되어 공기흐름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2기수분리판과 벽체 틈새로 새지 않고, 공기흐름부를 타고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is formed so as to be substantially adjacent to the wall with a slight gap therebetween,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flow portion is guided downward by the lid to leak into the gap between the second water separator and the wall, So that air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flow portion.

이에 의해, 물의 방향이 제1배출홀을 통해 제2배출홀로 연속적으로 안내되게 되어, 제2배출홀로 안내된 물은 상기 벽체 외측에 부딪져 상기 본체 내측으로 배출되거나, 바로 본체 내측으로 떨어져 배출되게 되고, 상기 공기흐름부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공기와 물이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water is continuously guided to the second discharge hol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so that the water guided to the second discharge hole hits the outer side of the wall to be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is discharged by the air flow unit, so that air and water are completely separated.

한편, 상기 공기흐름부는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외측과 상기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흐름부의 상부측의 형상은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하단면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고, 하부측의 형상은 제2기수분리판의 상단면 형상에 대응되며, 일측은 벽체에 의해 막혀 있어서 외주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air flow portion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separating plates, and shows a space formed by the out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ing plate and the wall. That is, the sha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irflow portion is formed by the lower end surface shap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ion plate, the shape of the lower side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shape of the second water separation plate,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즉, 상기 벽체 내측에서 배출된 공기와 물의 혼합물에 있어서, 물 및 오물은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에 수용되어 제1배출홀 및 제2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공기는 상기 벽체를 통해 덮개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공기흐름부로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That is, in the mixture of air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wall, water and dirt are receiv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And is guided downward by the lid to be guided to the air flow portion and discharged naturally.

여기에서, 상기 제2기수분리판은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가 진행되다가 일정 부분에서는 경사가 바뀌어 다시 위쪽으로 완만하게 향하여 진행되어 끝 단부에서는 상향으로 경사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is inclined downward as it goes outward from the center part, and gradually slopes upward at a certain portion, and gradually advances upward to be inclined upward at the end.

즉, 상기 덮개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안내된 공기는 제2기수분리판의 경사면을 따라 중심부에서 외주방향으로 진행하여 외측 단부에 도달하여 최종 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air gu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cover advanc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to reach the outer end, thereby guiding the flow of the final air upward.

이렇게 유도된 공기는 본체의 커버에 형성된 공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The air thus derived is discharged through an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in the cover of the main body.

한편, 상기 제2기수분리판에는 제2기수분리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배출홀 사이에, 경사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변경되는 부분 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일정폭으로 형성된 구멍을 가지는 제3배출홀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물이나 물의 작은 입자들을 공기와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즉 제2기수분리판의 경사면을 따라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물이나 물의 작은 입자들은 모터 쪽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 위쪽으로 휘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며, 가벼운 공기는 직진하려는 관성력보다 위쪽으로 휘어지려는 힘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제3배출홀을 건너뛰어 진행하여 제2기수분리판 외측 단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면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터 쪽으로, 무거운 물과 입자는 관성력을 더 크게 받아 경사진 면을 따라 직진하여 제3배출홀을 건너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져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between the second discharge hol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a hol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rtial surface whose inclination chang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third discharge hole is provided for separating the small particles of water or water moving with the air from the air, that is, small particles of water or water moving along with the air along the slope of the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And the light air is more influenced by the force to bend upward than the inertial force to be advanced, and the air is advanc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discharge separator plate Moving upwards along a plane inclined upward from the end to the motor side, heavier water and particles have greater inertia force, So as to be recovered by falling down without crossing the third discharge hole.

결론적으로 공기와 물과 오물이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로 분리되어 안내될 뿐만 아니라, 공기는 본체 아래에 저장된 물필터용 물의 표면으로부터 완전 격리되어 흐르게 되므로 설령 필터링과정에서 물 표면에 거품이 발생할 지라도 거품이 공기에 휩쓸려서 장치 및 모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As a result, not only is air, water, and dirt separated and guid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eparation plates, but air is completely isola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for the water filter stored under the main body, Even when bubbl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uring the filtering process, the bubbles are swept into the air and can not move to the device and the motor s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6과는 다른 방향에서 물의 흐름만을 나타낸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7 shows only the flow of wate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다. 도 6에서 도시된 화살표 중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작은 물입자는 상황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A case will be exemplified in which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water separator of a water washer /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ows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the arrows shown in Fig. 6 indicate the flow of air, and the arrows indicated by solid lines indicate the flow of water. Small water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the air or in water There will be.

우선 도 6을 살펴보면, 본체 내에는 진공청소기로 청소할 때 흡입되는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물이 채워진다. 그리고 벽체는, 커버와 함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물통로, 특히 원통홈 내에 얹혀져 장착된다. 그리고, 벽체 내의 안내관장착부에는 덮개의 안내관이 장착되어 덮개가 벽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게 된다.6, the body is filled with water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when cleaning with a vacuum cleaner or air containing dirt. The wall is mounted in the water passag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cover, in particular in the cylindrical groove. A guide tube of the lid is attached to the guide tube mounting portion in the wall so that the lid is disposed away from the wall.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의 호스결합부에 흡입호스를 결합시킨 다음, 진공청소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되며, 이렇게 흡입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안내관을 통해 벽체 내측으로 유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uction hose is coupled to the hose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and t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air containing air or dir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se by the suction force of a motor The air containing the sucked air or the dirt is introduced into the wall through the guide tube.

다음, 벽체 내측으로 투입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는 본체 내에 채워져 있는 물, 특히 초기 작동 시에는 벽체 내측에 많은 물이 채워져 있고, 흡입된 공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많은 물이 밀려 나면서 혼합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본체 내측에 채워져 있는 물 수위만큼 물통로를 통해 벽체 내부로 공급된 물은 원통돌기와 벽체 내측 벽면에 의해 형성된 물통로에 채워져 있는데, 벽체 내측으로 투입된 공기는 벽체 내부의 바닥에 부딪혀 사방으로 흩어지며 상방향으로 향할 때 벽체 내측의 물통로에 있는 물을 휩쓸고 함께 이동하며 혼합되어 혼합물이 되고, 이러한 혼합물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진공흡입력에 의해 벽체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여 덮개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Next, air containing air or dir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wall is filled with water filled in the main body, particularly, in the initial operation, a lot of water is filled inside the wall, and a large amount of water is instantaneously mixed by the sucked air, During opera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ll through the water passage as much as the water leve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filled in the water passage formed by the cylindrical projection and the inside wall of the wall. The air introduced into the wall collides with the floor inside the wall in all directions When the water is dispersed and directed upward, the water in the water passage on the inside of the wall sweeps and moves together to form a mixture. The mixture mov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by the vacuum suction force of a motor .

또한, 상기 원통돌기는 벽체 내측으로 투입된 공기가 벽체 내측의 바닥면에 부딪혀 흩어진 공기가 물통로를 통해 벽체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방풍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protrusion acts as a wind shield to prevent the air tha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wall from collid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wall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wall through the water passage.

이후, 혼합물은 의도된 흐름으로 안내되어 덮개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Thereafter, the mixture is guided into the intended flow and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이렇게 물과 공기가 혼합되고, 혼합물이 되어 함께 이동하고 흐르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물에 잘 세척되고 포집되는 물필터링 과정이 진행된다.In this process, water and air are mixed, and as the mixture moves and flows together, contaminants in the air are cleaned and collected, and the water is filtered.

그리고, 덮개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져서 혼합물이 흐르는 통로 단면적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혼합물의 유속은 점차 느려져서 물과 공기는 분리가 되기 시작하며, 다단으로 형성된 덮개에 의해 물과 공기로 더 잘 분리되게 된다.T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mixture flows is gradually increased as it gets closer to the end of the lid.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the mixture gradually becomes slow, so that the water and the air are separated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water and air by the multi-stage cover.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된 물은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에 고여서 바로 제1배출홀을 통해 제2배출홀로 안내되어 중심방향, 즉, 벽체 외측으로 배출되고, 안내된 공기는 제1기수분리판과 제2기수분리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부를 통해 빠져나와 상승하게 되고,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6 and 7, the guided water is guided to the second discharge hol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immediately after being plac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plate, and discharged to the center direction, that is, The guided air escapes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water separator plat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여기에서, 청소 초기 물이 과도하게 유입되어 물받이부가 넘칠 경우와, 공기에 작은 물입자가 포함된 혼합물이 공기흐름부를 통해 흐를 때, 혼합물 중의 물은 제2기수분리판의 제3배출홀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서 회수되고, 물과 공기의 이상적인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the initial cleaning water is excessively introduced to flood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nd when a mixture containing small water particles flows into the air through the air flow portion, the water in the mixture is discharged by the third discharge hole of the second separator plate It is recovered downward, and an ideal separation of water and air becomes possible.

한편, 본체 바닥에 형성된 물통로에 의하여 벽체 내부와 외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물통로 앞에 형성된 원통돌기는 벽체 내부에서 벽체 외부로 물과 공기의 혼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ater passag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formed in front of the water passage prevents the mixture of water and air from escaping from the inside of the wall to the outside of the wall.

따라서, 벽체 내측에 유입되는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벽체 내측의 물이 함께 섞여 혼합물이 되고, 이러한 혼합물은 벽체의 내벽을 따라 덮개를 향해 밀려 올라가게 된다.Thus, the air or the air containing the dirt and the water inside the wall are mixed together to form a mixture, and the mixture is pushed up toward the cov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wall.

이에 따라 벽체 내부의 물이 소비되어 줄어들게 되므로, 벽체 내부의 물 수위는 벽체 외부의 물 수위보다 낮아지게 된다. 여기서, 물은 중력에 의해 수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므로, 벽체 외부에서 내부로 물이 계속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흘러들어가는 물에 의해 벽체 내부에서 소진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물필터 기능은 연속적으로 양호하게 작용된다.As a result, water inside the wall is consumed and reduced,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ll becomes lower than the water level outside the wall. Here, water moves from a high water level to a low water level due to gravity, so that water continuously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wall to the inside. Since the water that is exhausted from the inside of the wall can be replenished by the water continuously flowing in this way, the water filter function works continuously and satisfactorily.

이렇게 하여 설계된 의도대로,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은 함께 섞여 혼합물이 되고, 이동하고 흐르면서 오염물질이 물에 포집되며, 깨끗해진 공기는 물과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물은 다시 회수, 순환하며 흐르게 되므로 물필터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As intended, the air and the water containing the dirt are mixed together to form a mixture, and the contaminants are collected in the water as they move and flow. The cleaned air is separated from the wat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 Circulation and flow so that the desired purpose of the water filter is achieved.

100: 본체 102: 손잡이
110: 하우징 112: 물통로
116: 원통돌기 120: 커버
122: 호스결합부 200: 벽체
210: 안내관장착부 300: 덮개
310: 안내관 320: 날개
400 : 제1기수분리판 410 : 물받이부
411 : 걸림턱 412 : 결합용 락 돌기
420 : 제1배출홀 500 : 제2기수분리판
510 : 제2배출홀 520 : 공기흐름부
530 : 제3배출홀
H: 흡입호스 W: 물
100: main body 102: handle
110: housing 112:
116: Cylindrical projection 120: Cover
122: hose coupling part 200: wall
210: guide tube mounting part 300: cover
310: guide tube 320: wing
400: first water separator 410: water receptacle
411: Retaining jaw 412: Locking projection for engagement
420: first discharge hole 500: second water separator plate
510: second exhaust hole 520:
530: Third discharge hole
H: Suction hose W: Water

Claims (5)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가 장착되어 상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내측에 투입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일부가 상기 물에 잠기고,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물을 통해 필터링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벽체:
상기 벽체의 수평단면 크기보다 큰 수평단면 크기를 갖고, 상기 벽체와 떨어져 상기 벽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공기 또는 오물이 포함된 공기와 물의 혼합물을 의도된 흐름으로 안내하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단면과 이격되어 상기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에 수용된 혼합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배출홀이 형성된 제1기수분리판;
상기 제1기수분리판 하측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기 벽체와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외주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며, 상기 제1배출홀에 대응되는 제2배출홀이 구비되고 상호 결합되어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물받이부의 외측과 상기 벽체와 상기 경사진 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기수분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1. A water separation apparatus for a water washing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hose for sucking air containing air or dirt, so that air containing the air or dirt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 wall disposed in the body and partially configured to submerged in the water to define a space in which air or air containing dirt is filtered through the water;
A cover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great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wall and spaced apart from the wall and disposed above the wall to guide the mixture of air and water containing air or dirt into the intended flow;
A water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surface of the lid to receive the mixture and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portions for discharging the mixture accommodated in the water receiving portion; A first water separator plate having a first discharge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passag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hole, And a second water separator formed to discharge air into a space formed by the out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the wall, and the inclined surface. A device for separating nose from a dust coll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내측 테두리에 비해서 외측 테두리가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와 맞물리도록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용 락(lock)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와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rim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long the periphery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lock projections for locking are formed on the outer rim. Is formed and is fixedly coupled with the l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제1기수분리판의 내측 테두리는 상기 덮개의 하단에서 날개로 이어지는 모서리보다 중심 쪽으로 일정 거리로 들어와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홀로 물이 빠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rim of the first water separator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a lower end of the lid to a center of a center of a wing and is inclined so as to allow water to escape into the first discharge hol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수분리판은,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가 진행되다가 일정 부분에서는 경사가 다시 위쪽으로 완만하게 향하여 진행되어 외측 단부에서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water separator comprises:
Wherein the slop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part, and gradually advances gradually toward the upper side in a certain portion and is inclined upward in the outer side en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수분리판에는,
상기 제2배출홀 사이에, 경사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변경되는 부분 면에 원주 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일정폭으로 형성된 구멍을 가지는 제3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nd a third discharge hol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discharge holes, the third discharge hole having a hol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artial surface whose inclination is chang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KR1020140062271A 2014-05-23 2014-05-23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KR1015787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71A KR101578758B1 (en) 2014-05-23 2014-05-23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71A KR101578758B1 (en) 2014-05-23 2014-05-23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85A true KR20150134885A (en) 2015-12-02
KR101578758B1 KR101578758B1 (en) 2015-12-18

Family

ID=5488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71A KR101578758B1 (en) 2014-05-23 2014-05-23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7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65B1 (en) * 2017-03-09 2019-06-10 (주)텍콤 Cleaner with Filter Using Water
KR102212071B1 (en) * 2018-08-20 2021-02-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Bone dust collector during spine surgery
KR102335149B1 (en) * 2020-05-29 2021-12-02 김통일 Roaster system easy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286B1 (en) 2003-09-19 2006-02-01 박명덕 Water Wash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758B1 (en)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631B1 (en) Wet suction attachment
JP2007000603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wet cleaning vacuum cleaner
KR101578758B1 (en) Air-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with water filtering
KR102093890B1 (en) Wet dust collector device for core drill
KR20110021552A (en) Wet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JP2009195488A (en) Vacuum cleaner
KR101335675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water washing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KR101136577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for wet and dry cleaning
KR20230055190A (en) Foreign matter filtering device of water washing dust collector
KR101760901B1 (en) Oil mist collecting device with drain filter
KR20160034107A (en) Smart filter structure for dust collector
JP2009011498A (en) Dustpan
JP6052658B2 (en) Cleaning equipment for small electrical equipment
JP3201593U (en) Outflow prevention valve
KR102301991B1 (en) Air cleaner using water
CN215914451U (en) Cleaning device's sewage case and cleaning device
WO2013161156A1 (en) Cleaning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
KR101053325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combined with water cleaning
CN1875842A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20120097426A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of recycling charcoal dust
JP2010046574A (en) Solid-liquid separator
KR20140140449A (en) Impurities precipitation device
JP2013233469A (en) Separator
WO2013161160A1 (en) Cleaning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