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67A -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 Google Patents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67A
KR20150134867A KR1020140062240A KR20140062240A KR20150134867A KR 20150134867 A KR20150134867 A KR 20150134867A KR 1020140062240 A KR1020140062240 A KR 1020140062240A KR 20140062240 A KR20140062240 A KR 20140062240A KR 20150134867 A KR20150134867 A KR 2015013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ackpack
hook
pipe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14006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867A/ko
Publication of KR2015013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자체 거치 할 수 있고 보조 마운트와 결합하여 촬영 기기 장착이 가능한 가변형 볼마운트와 함께, 관절 부재를 활용하여 수평유지 (스테빌라이저) 촬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한 다기능 단각대(모노포드)와, 지지장치와 결착 부재를 통해 결착된 단각대에 삼각대의 기능을 부여하는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으로 도보. 대기, 취침자세에도 편리하고 바른 자세로 스마트 기기를 시청할 수 있고, 스테빌라이저 형태의 단각대와 상하완충 부재의 결합 구성을 통하여 안정감 있는 이동촬영을 지원하는 장비로 응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 탈 할 수 있는 배낭{BACKPACK HAVING A DETACHABLE MULTIPLE FUNCTION MONOPOD}
본 발명은 삽통식 연장만으로 스마트 기기를 자체 거치하고, 파이프에 구비된 관절 부재를 통해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단각대(monopod)와, 접지 면을 넓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 장치를 구비한 배낭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고안에 대한 것이다.
단각대와 배낭의 기본 기능에 충실함은 물론, 안정감 있는 이동촬영을 지원하는 수평유지 및 상하완충 장치의 장착과 탈착을 통해, 스마트기기의 촬영과 시청 등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함, 올바른 자세를 추구하고자 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착용 가능한(Wearable) 스마트 기기가 주목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기기만 다를 뿐 오래전부터 휴대 가능한(portable) 운반 장치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이에 기존의 특허 등록 물에서 진화의 흐름을 찾고자 한다.
공개실용 제1987-0015855호, 강대복의 독서대를 가진 서류가방에 제시된 '서적'에서 출발하여, 등록실용 제20-0302833호, 김정연의 배낭형 시스템에는 '포터블 모니터와 VCR플레이어'로, 공개특허 제2006-0012732호, 최남식의 다용도 가방에 제시된 '노트북 컴퓨터'로 진화하고, 등록특허 제10-1350362호, 한보림의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에서는 '스마트 기기'로 이어져 왔다.
특히 한보림의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에 대한 고안은 거치장치가 구비된 가방을 항상 무릎이나 탁자에 올려놓고 사용해야만 하는 한정적인 사용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거치대의 '휴대 가능한(portable)' 한정된 개념에서 나아가, '이동과(Movable) 착용이 가능한(Wearable)' 개념을 구현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1987-00158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273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028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350362호 미국특허 발행번호 제 US6336576 B1 호 Front pack and belt support assembly 도면 (FIG) 3 미국 특허 발행번호 제 US6695188 B1 호 Body mounted mono-pod camera support assembly 도면 (FIG) 1
어디든 함께 할 수 있고, 앉거나 선 채로 혹은 누웠을 때에도 스마트 폰을 원하는 위치에 거치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기기의 거치와 복원 및 수납이 용이하여 바쁜 일상에 지체되거나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한다.
트래킹 중에도 보행 시야를 안전하게 확보하여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스마트기기의 위치 정보 안내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기기는 물론, 카메라 기기도 부착 가능하고, 지지 장치를 통해 낙상을 방지한다.
이동 중에도 안정감 있는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수평유지 장치를 구성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촬영할 때 팔과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단각대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자체 거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추가 마운트를 쉽게 부착할 수 있는 가변형 볼 마운트를 포함하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부재를 구비하여 수평유지 장치로 변형이 가능하고, 배낭에 있어서 확장형 지지 부재를 통해 삼각대와 같은 역할을 구현하는 배낭이 결합하여 스마트 기기를 삼각대(트라이포드)에 거치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기존 배낭과 단각대의 부피와 활용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고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가능한 배낭에 마련된 단각대의 하우징 등으로 수납과 이동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이동형 삼각대의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상하완충 장치를 배낭에 결합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중에도 신체에 무리가 없고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한 본 고안품을 통하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1. 수납과 이동이 편리한 배낭과 이를 수용하는 단각대를 통해 걷거나 앉거나 누웠을 때에도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스마트 기기의 시청과 촬영을 할 수 있다.
2. 언제 어디서나 올바른 자세로 스마트 기기를 시청 할 수 있고, 특히 운전 중 내비게이션 개념과 같은 시야를 방해 받지 않는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다.
3. 최소 부피의 파이프 형태에서 삽통식 연장으로 스마트 기기를 자체 거치 할 수 있는 가변형 볼마운트를 통해, 거치와 운반에 있어서 기존의 단각대와 차이가 없도록 한다.
4. 배낭에 구비된 확장형 지지 부재를 활용, 취약부위의 바닥 접면을 넓혀 안정성이 확보된 시청 혹은 촬영이 가능하므로, 낙상과 충격 등의 스마트 기기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5. 단각대와 수평유지장치, 배낭의 결합으로 안정감 있는 촬영과 시청이 가능한 이동형 삼각대(트라이포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6. 배낭에 구비된 지퍼를 통해 사용하지 않는 단각대의 최상부를 제외한 몸통을 비닉 할 수 있어 접근과 수용이 용이하고, 기존의 배낭에 적용 될 수 있는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제 1 도는 배낭에 부착된 단각대의 예시도와 부분확대도이다.
제 2 도는 단각대의 평면분해도 및 관절 부재의 부분확대도이다.
제 3A 도는 단각대 관절 부재의 분해도이다.
제 3B , 3C 도는 관절 부재의 작동 과정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명시한 Ⅰ-Ⅰ와 Ⅱ-Ⅱ를 합성하여 순차적으로 나열한 횡단면도이다.
제 3D 도는 관절 부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3E, 3F, 3G도는 관절 부재를 위해 고안된 육각 볼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열한 도 3D의Ⅰ-Ⅰ의 종단면도이다.
제 4A 도는 단각대 거치 부재의 사시도와 부분확대로 표현한 예시도이다.
제 4B 도는 단각대 각도조절부재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제 4C 도는 단각대 거치 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제 4D 도는 단각대 거치 부재의 활용을 도시한 정면예시도이다.
제 4E 도는 단각대 거치 부재의 활용을 도시한 측면예시도이다.
제 5도는 배낭과 결착된 단각대의 관절 기능을 표현한 예시도이다.
제 6도는 배낭 허리벨트와 어깨끈 기능에 대한 부분확대도와 예시도이다.
제 7도는 배낭 지지파이프의 기능에 대한 사시도와 부분확대도이다.
제 8도는 배낭 지지판의 기능에 대한 예시도와 부분확대도와 측면도이다.
제 9도는 배낭의 결착 고정 부재와 지지 고정 부재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제 10A, 10B, 10C도는 배낭의 결착 고정 부재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도 9의 부분확대도에 명시된 Ⅲ-Ⅲ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단면도이다.
제 11A, 11B, 11C, 11D도는 본 고안품의 활용에 대해 나열한 예시도이다.
제 12A 도는 단각대의 스마트 기기 수평유지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 12B 도는 단각대의 촬영 기기 수평유지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 12C 도는 단각대의 수평유지장치 각도조절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 13A 도는 배낭에 결착이 가능한 상하완충장치에 대한 입체도이다.
제 13B 도는 상하완충 촬영보조장치에 대한 측면예시도이다.
제 13C 도는 상하완충 촬영보조장치 활용에 대한 예시도이다.
기능과 부품이 많은 결합품의 특성상, 같은 형태나 쌍을 이루는 부품, 맞닿은 부품은 같은 숫자 뒤에 a, b, c로 부여 하였다. 또 설명에 필요한 지점(point)과 힘(power)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호 P와 화살표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이해 되도록 하였다. 흑색 화살표는 중력 혹은 부품이나 장치에 의해 발휘되고 있는 파워를 의미하고, 백색 화살표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조작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배낭의 소재는 자체의 비틀림과 흔들림을 방지하고 오염물을 물로 쉽게 닦을 수 있는 하드케이스 재질로 제작하여 필요품을 안전하게 수납하는 기본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배낭이 단각대를 단단히 수용하여 지탱함은 물론, 이동까지도 가능한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각대(10)는 배낭(60)의 우측 견착면 부터 하단 어깨끈 결속 지점까지 단각대의 크기와 같은 홈(하우징)과 두개의 결착 부재(91)를 구비하고, 통기성이 높은 등판패드(71)의 지퍼(73b)와 배낭의 등판의 지퍼(73a)를 통해, 부분확대도과 같이 결착된 단각대의 상단의 볼마운트를 제외한 몸통의 비닉(庇匿)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배낭과 다름 없이 결착부재가 폐쇄, 완충되어 활동에 방해 받지 않음은 물론, 언제든 단각대의 거치부재와 다리 조정레버에 접근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도 2의 평면분해도를 참조하면, 단각대의 몸체를 이루는 각각의 삽통식 파이프(11,50a,b)의 최내측에 굽힘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부재(40a,b,c)와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각도조절 버튼(48a)을 구비하여, 필요시에만 이를 노출시켜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절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다리고정레버(51a,b,c)로 고정시켜 기존 단각대와 같은 직선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다.
단각대 외측 몸체(50c) 최하단의 나사식 볼트형(55) 스파이크(54)는 배낭과의 수직 결착, 혹은 필요에 따른 촬영보조 기구와 결합 구성하여 사용한다.
우측하단의 부분확대도에서 참조되는 관절부재의 암부에는 연결과 지지를 담당하는 수부 형태의 고정부(41c)을 두고, 이를 양쪽에서 집게형태로 밀착하는 암부(41a,b)와 내측에 밀착 고정이 가능한 톱니형태의 회전면(43a ,b)을 적용하되, 원통형 고정부재(43c)를 수부(34)의 내부와 중심축(41c)에 고정핀 형태로 삽입하여 집게 형태의 암부가 이완되었을 때에도 연결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 고정핀은 수부와 체결 후에 삽입되고 원통형 고정부재(43c)를 삽입한 다음 별도로 제작된 수부의 한쪽 회전면(35a)을 끼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도 3E 참고)
도 3A에서 참조된 바와 같이, 용수철(45a,b)의 장력을 통해 암부(41a,b)가 상단 파이프와 체결되는 수부(34)의 톱니형태의 회전면(35a,b)에 집게와 같은 형태로 맞물려 밀착 고정하되, 암부(41a,b)와 원통형 몸체(41d), 버튼몸체(47)에 각각 비틀림 없이 맞물려 왕복이 가능한 요철형태의 슬라이드 레일부(46a,b,c,d)를 적용한다. 각도조절버튼을 눌러 본체(47)가 밀려 이동되는 힘이 암부로 연결되고 서로 이완되는 작용을, 도2의 부분단면도에 표기된 Ⅰ- Ⅰ과, Ⅱ-Ⅱ의 횡단면을 합성한 도 3B와 도 3C의 단면도에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B은 용수철(45a,b) 작용의 힘 P2a에 의해 톱니 회전면을 가진 암부 (41a,b)가 밀착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3C는 각도조절 버튼을 누르는 힘 P1이 버튼의 본체(47)를 통해 암부의 본체(41a,b)로 전달되고, 대각선 접면에 구비된 요철형태의 슬라이드 레일부(46a,b,c,d)와 고정핀이 위치한 기준선(42c)에 의해 톱니 회전면(43a,b)이 최초의 지점(42d, e)에서 P2b와 같이 직각방향으로 이완되는 과정을 통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각도조절을 하고 버튼에서 손을 떼었을 때 다시 밀착 고정이 가능한 작용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은 도 3D의 사시도를 통해서 더욱 쉽게 이해 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절 부재의 각도 고정 및 하중을 이겨내기 위한 장치로는 주축(41c)과 함께, 내부의 위치하여 암부와 회전축 고정핀이 없어도 연결부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원통형 고정부재(43C),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집게형태의 암부(41a,b)가 있고, 이에 더하여 단계별로 굵기가 다르고 일정부분만 나사형태로 절삭된 육각렌치 볼트(43d)와 너트를 삽입하여 완성한다.
도 3E, 3F, 3G도는 관절 부재를 위해 고안된 육각 볼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열한 도 3D의Ⅰ-Ⅰ의 종단면도이다.
도 3E는 각도조절버튼을 누른 상태의 도면으로 톱니 회전면이 이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육각렌치용 볼트는 나사형태가 아닌 매끈한 절삭면을 가지는 P2c 지점에 의해 이완에 제어를 받지 않고 나사형태가 위치한 지점까지 연장이 가능하되, 탈거방지용 고정 부재(43f)와 볼트와 너트를 감싸는 고무패킹(43g)으로 인하여 이탈되지 않는다.
이 도면과 같은 상태에서는 반드시 상측 파이프를 손으로 지지하여야 하며 각도를 원하는 위치에 조정한 뒤, 각도조절 버트을 놓게 되는데, 이때 주축(41C)과 내부에 위치한 원통형 고정부재(43C)는 관절 부재의 유격 혹은 흔들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3F의 단면도는 각도조절 버튼을 누르지 않은, 스프링 장력에 의해 톱니 회전면이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역시 육각렌치 볼트와 너트의 내부의 매끈한 절삭면에 의해 최대한 암부의 집게형태의 장력을 발휘하도록 나사형태가 형성된 지점까지 축소된 것을 앞서 제시한 P2c와 동일한 지점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이 상태도 앞서 제시한 단면도와 같이 암부의 집게 내부의 톱니면의 밀착과 함께 원통형 고정부재(43C)가 지지를 담당하게 된다.
도 3G는 볼트를 육각렌치로 조여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P2c와 동일한 지점에서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이 맞물려 단단히 고정된 상태이다. 스마트 기기 보다 더 대형 태블릿 PC 혹은 카메라 장비를 장시간 거치해야 하거나, 하중의 부담을 이겨내기 위한 고정력이 필요할 경우에 최대한 집게 형태의 암부의 압착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용되며, 이 상태에서는 각도조절버튼이 눌러지지 않는다.
적용이 끝난 후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해제할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의 나사 산이 벗어나는 지점에서 부터 헛바퀴를 돌게 되고 이 때, 탈거방지용 고정 부재(43f)가 이탈을 방지한다.
도 4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각대의 최상단에는 기존의 나사식 마운트가 아닌, 가변형 볼 마운트를 적용하여, 배낭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도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하고, 지퍼 개방 후 단각대의 다리 고정레버를 해제한 뒤 바로 집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과 함께, 원형의 특성상 대형태블릿 PC나 디지털 일안반사식 (DSLR)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추가 마운트(100)를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볼마운트 거치 부재 하부에는 베어링과 돌기, 용수철이 내장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과 고정이 되는 원통 형태의 좌우 각도 조절부재(33)를 구비하여, 이를 도 4B의 내부구조의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스마트 기기 거치부재가 있는 상부의 파이프와 각도 조절부재(33)는 고정 연결되어 있고, 단면 구조에서 참조되는 (34b)는 하부의 관절부재와 고정 연결되어, 이 둘은 부분 확대도에서 제시하는 팔각틀의 베어링에 의해 연결 구성된다.
이 둘(33), (34b) 은 내부 단면도에서와 같이 하단의 스프링 장력으로 상단에 돌기가 서로 맞닿아 일정 단계씩 회전과 고정이 반복 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후에 설명될, 수평유지장치와 결합 구성되어 활용될 필요에 의해 우측의 단면도의 P4a와 같이 상측으로 잡아 올릴 경우에는 P4c와 P4d의 간격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돌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단의 스프링이 가지는 미세한 완충과 함께, 팔각 구조를 가진 베어링에 의해 걸림없이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고 손을 떼면 다시 하측으로 자리잡아 돌기의 영향을 받도록 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 볼마운트는 스마트 기기 상단을 감아 당기는 후크형태(24)를 구비하고 삽통식 몸체(27c,d)로 분리 구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용수철(31)에 의해 장력 P3을 가지는 상단 고정 부재(21c)와, 서로 다른 90도 방향으로 펼쳐져 오목한 홈(29a,b)과 양끝의 볼록한 돌기(26a,b)를 통해 스마트 기기 하부의 삽입이 가능한 한쌍의 하단 고정 부재(21a,27a), (21b,27b)로 구성되어, 최소의 부피로 삽통과 연장, 분리를 통해 자체 거치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단 고정 부재(21c)의 스프링 장력은 크기와 두께가 다른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상단을 밀착 고정할 수 있고, 복원 결합시 하단 고정 부재의 외측돌기(23a,b)가 상단 고정 부재의 내측(23c)에 맞물리고 밀착되어 이탈을 막도록 한다.
도 4D에서 참조되는, P5a와 P5b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동하는 하단 고정 부재(27a,b)는 스마트 기기의 좌우 이탈을 막는 좌우측 돌기(26a,b)를 구비하고, 외측에 볼륨 조절 버튼과 파워 버튼(28a,b)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는 방향이 달라도 거치된 상태에서 바로 조작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도 4E의 측면도에서 더 쉽게 이해 될 수 있는, 후크형 상단 고정 부재(21c)의 내측에 스마트 기기에 밀착되는 평면보다 더 깊은 요형 곡면(25c)을 두어, 정품 플립형 스마트 기기 케이스(300)를 젖혀(301) 거치하여도 밀착 고정 될 수 있는 P6a와 P6b의 여유공간을 둔다.
도 5에서는, 이상 열거한 기능과 함께 삽통형 파이프의 회전 P7b를 제어하는 다리고정 레버(51a,b,c) 까지의 기능을 통해 스마트 기기의 가로, 세로 사용은 물론,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예시(집게형태의 관절부재 암부의 힘 P2 미표기)를 통해 스스로 설 수 없는 기존 단각대의 단점을 극복하고, 자체 거치는 물론 이동이 가능한 삼각대(트라이포드)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이하 P8과 P9a,b를 포함한 배낭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참조되는 배낭의 어깨끈과 허리벨트의 기능에 대한 예시도와 같이, 거치된 스마트 기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각대가 결착되는 반대편의 어깨끈에 무게중심 조절을 위한 포켓(72a)을 구비하고, 2중 안전버클 (72b,c)을 마련하여 이를 모두 해제 하여야만 어깨끈이 분리 되도록 하여 쉽게 매고 벗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어깨끈을 서로 결착, 해제 할 수 있는 클립후크(clip hooks)(78b)와 고리(78a)와 함께, 기존 배낭 보다 굵고 튼튼한 소재의 허리 벨트(75)를 적용한다.
배낭에서 탈착한 단각대를 이동과 촬영 등으로 반복 사용하는 경우, 어깨끈에 구비된 천고리(78)와 하단 클립후크에 장착된 너트형 받침고리(79)를 이용하여 배낭을 메고 벗지 않아도 단각대의 볼트형(55) 스파이크(54)를 쉽게 결합하여 거치 할 수 있다. (도 11D 부분확대도 참조 가능) 받침고리(79)와 함께 육각렌치를 체결할 수 있는 클립후크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보관 가능하다.
하단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이 삼각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안 어깨끈과 허리벨트가 바닥의 흙이나 먼지에 닿지 않도록 하기위해 버클을 해제한 허리 벨트(75)로 어깨끈의 패드 연결부분(72d)을 들어올린 상태로 한번 혹은 필요한 만큼 바닥에 닿지 않도록 감아 올려 버클(76)을 채우고 허리벨트에 연결된 클립후크(77)를 이용하여 어깨끈 중앙 상단에 위치한 걸쇠구멍(74)에 걸어 고정한다.
도 7에서 참조되는, 삼각대 역할을 수행할 배낭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쌍의 디귿자형태의 파이프 중 하단 한 쌍의 지지파이프(84a,b)의 하부 굴절지점을 기준으로 P9a,b와 같이 180도로 회전(측면에서는 90도)시켜, 등판(어깨끈) 반대쪽으로 넘어짐을 방지하고, 지면과 밀착되는 부분은 고무재질(85)로 덧대어 마찰력을 높이고 충격흡수가 되도록 한다.
도 8은 지지파이프의 중간에 위치하고 2단 확대와 270도로 회전 가능한 지지판(82)의 기능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지지판(82)의 내부에는 자석에 반응하는 얇은 금속소재의 지지확장판(81)을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석판(86)에 붙여 고정하고, 회전시켜 사용할 경우 P10과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이 가능하며, 얇은 두께의 확장판 때문에 발부리에 걸려 넘어지는 상황을 방지한다.
배낭 바닥의 경첩을 중심으로 P8과 같이 270도 회전하는 지지판은 지지파이프와 함께 바닥에 닿는 면을 넓혀, 하단의 측면도와 같이 거치된 스마트 기기가 배낭의 앞과 뒤 어느 쪽으로도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감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과 대기를 반복하는 바쁜 일상에서 사용할 기회가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다소 불편해 보이는 지지판(82)과 지지확장판(81)의 구조는, 공항에서와 같이 장시간 대기 상황에 스마트 기기를 시청하거나, 야외에서 대형 태블릿PC를 거치하고 필기하거나, 카메라 기기를 거치하고 장시간 사진을 찍는 경우, 혹은 실내에서 누워 스마트 기기를 시청하는 경우에 확장된 무게중심을 통해 진정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도 9에서 참조된 바와 같이, 배낭의 등판이 하늘을 보도록 누인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낭의 하우징 홈(78) 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너트형 고정부재 (79)를 통해 단각대를 나사식으로 수직 결합하고, 지지판을 180도만 회전시켜 바닥면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배낭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판 고정부재(88)를 P11과 같이 90도로 회전, 돌출시켜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는 앞서 제시한 배낭을 세운 상태에서 지지부재를 모두 적용한 것보다 무게 중심을 더 낮춘 상태로써 기존의 삼각대가 제공하는 그것보다 더 높은 안정감을 기대할 수 있다.
배낭의 하우징 홈(78)에 구비된 두개의 원터치식 결착부재(91)와 탈착 스위치(92)는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패드와 연결된 지퍼(73)가 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한다.
제 10A, 10B, 10C도는 도 9의 부분확대도에 명시된 Ⅲ-Ⅲ 지점의 배낭의 결착 고정 부재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단면도이다.
도 10A의, 탈착스위치(92)를 고착시키는 용수철(94)의 힘 P12에 의해 원터치식 결착 덮게(91)가 단각대(10)의 파이프를 감싸듯 밀착시키고 있는 P13의 힘과 이를 밀어내려는 용수철(97) 작용 P14의 힘이 모두 단각대를 향해 집중되어 단단히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도 10B는 스위치를 젖히는 사용자의 힘 P15에 의해 단각대를 밀어내는 용수철의 P14의 힘이 작용되어 결착 덮게(91)가 열리는 작용을 도시하고, 도 10C는 후크형 결착 덮게의 내측면이 단각대 파이프를 들어 올리는 P16의 힘이 작용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A는 세로 결착된 단각대가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유지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4개의 디귿자형 지지파이프를 통해 스마트 기기를 누워 감상하는 예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지지판과 지지확장판을 모두 확장한 P17a에서 부터 P17b까지의 길이가, 수직 결합된 단각대의 외측 파이프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수평 확장된 P18a에서부터 P18b까지의 길이보다 길고, 스마트 기기까지 포함하는 무게인 중력 P19를, 배낭 자체의 무게 P20과 지지판과 지지확장판을 고정하는 P21이 지탱하여 스마트 기기가 안정감있게 거치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지지판(82)과 지지확장판(81)의 얇은 두께는 이동형 매트리스 혹은 이불 아래에서 지탱하여도 사용자의 등에 이물감이 적게 느껴질 수 있다.
도 11B는 지하철 내부, 11C는 공항 혹은 버스 대합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시를 도시하고, 11D는 지리정보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는 트래킹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하였던 바과 같이 탈착된 단각대를 어깨끈 천고리에 임시 거치할 수 있음을 하단의 부분측면도를 통하여 참조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단각대와 배낭을 등에 맨 상태로 트래킹하는 경우를 테스트한 결과, 걸음걸이에 따른 어깨의 수직운동이 배낭과 어깨끈을 통해 단각대에 전달되고 거치된 스마트기기가 약 0.5초 정도로 지연되어 흔들리는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배낭의 어깨끈 결착밸트(78a,b)와 허리밸트를 조여 맨 경우 거치된 스마트기기의 지연 흔들림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으나, 흔들림의 폭만 좁을 뿐 상하 흔들림은 빨라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처럼 도보시 시선을 완전히 고정 할만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차량운전시 DMB 시청 등의 불법사용과 같은) 경우는 고안의 목적이 아니기에 의미를 두지 않았고, 내비게이션과 같은 정보를 얻는데는 사용에 무리가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를 촬영에는 적용될 수 없음에 주목하였다.
때문에 이하 스마트 기기 감상의 용도가 아닌, 촬영을 위하여 고안한 수평유지 및 상하완충 보조 장치(camera stabilizer)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관절부재를 가진 단각대를 활용한 스마트 기기 수평유지 촬영장치의 예시로써 사방향 관절의 짐벌(Gimbal) 기능을 가진 수평유지용 손잡이(110)를 통해 균형을 이루고 손과 어깨의 힘으로 들고 찍는 장치이다. 도 12A과 같이 가벼운 스마트 기기의 단각대는 삽통식 파이프 중 하나를 연장하지 않고도 균형이 유지되지만, 도 12B와 같이 무거운 촬영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는, 상응하는 무게 균형을 위하여 단각대의 파이프를 모두 연장하고 하단에 무게추를 장착한다.
미국의 가렛 브라운(Garret Brown)에 의해 고안되었고 최근 특허권의 취하 이후 판매되고 있는 미니 스테빌라이저 장비와 도 12C를 참조 비교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장비(도면생략)에서 참조 할 수 있는 하부의 무게중심 추는 단각대 관절의 각도 P22와 무게추 (150c)를 통해서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 촬영기기 거치부의 상하 좌우 무게 중심조정용 레버의 기능은 P23과 같이 단각대 상단의 볼마운트 거치부채의 관절 각도를 조정한 후, 최종 수평보정을 P24와 같이 추가마운트에 구비된 공기방울의 도움을 받아 수평을 확인하고 완성할 수 있다.
기존의 판매품 보다 향상된 특징으로 상하 길이가 길어 중심을 더 쉽고 빠르게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에 반하여 훨씬 무겁고 오래 촬영하기 힘들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때문에 이 예시와 같은 활용은 간이 크레인 장비처럼 수직이동 효과 등의 움직임이 큰 효과의 영상을 얻고자 할 때만 제안한다. 기존의 미니 스테빌라이저 장비를 사용할 때도 도보 이동시에는 최대한 상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하여 불편한 걸음을 걸어야 하고 손목과 어깨 근육에 무리가 생겨 장시간 촬영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고자, 도 13A에 수평과 상하완충의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촬영 기기 거치장치의 입체도를 도시하였다. 단각대와 같은 형태로 배낭에 결착되는 지지 기둥(121)에 접이식 삽입이 가능한 막대 형태의 연결부재(124)를 통해, 도 13B에서 참조된 바와 같이 P25와 P26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짐벌 방식(127) (128)의 홀더(129a,b)가 수평유지장치의 형태를 갖춘 단각대 상단의 원통형 좌우 각도조절부재(33)에 파이프를 고정하고, 이를 후크 파이프(140)가 끌어당겨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로써, 중력과 상응하는 완충의 조절은 후크파이프에 구비된 나사식 장력조절부재(143)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식 레일부로 길이조정이 가능한 몸체에 내장된 스프링(141) 장력 P27을 조절하고, 접이식과 조립 분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을 가진 홀더(129a,b)가 원통형 각도조절부재(33)를 결착하면 단각대 하단의 무게 추 작용에 의해 용수철 장력 P27과 상관없이 홀더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각도조절부재(33)가 P4a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앞서 도 4B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의 돌기 걸림작용이 해제되고 베어링의 영향만으로 유연한 촬영 앵글 조작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3C의 수평유지 및 상하완충 장치를 모두 적용한 예시도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도보 중 단각대와 촬영기기의 무게 중력 P16과 이를 지탱하는 어깨와 허리의 힘 P28a의 반복에 의해 배낭이 P29a와 같이 상하운동을 하게되고 이와 연결된 기준점 P30을 축으로 상하운동을 반복하는 P29b의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상하운동의 파형에 대응하는 후크파이프의 장력 P27에 의해 파형이 완화되고 규격화된 상하운동을 사용자가 감지하여 단각대의 하부를 가볍게 파지하여 완충하는 힘 P28b를 통해 상하완충은 물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각도, 좌우회전 등의 유연한 앵글 조작이 가능하고 기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촬영에서 발생되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촬영은 기존의 견착식 방송용카메라 촬영방식과 미니 스테빌라이저 촬영장비의 장점 요소를 결합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어깨끈에 구비된 천고리(78)에 수평유지 손잡이(110)를 거치하여 필요에 따라 핸드헬드 촬영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안정된 촬영을 위하여 무게중심이 쏠리지 않도록 반대편 어깨끈 포켓(72b)을 활용하고, 배낭 안의 수납품을 가벼운 쪽에 고정한 뒤, 어깨끈 클립후크(78a)를 고리(78b)에 단단히 결속하고, 허리벨트 체결 끈을 당겨 배낭을 밀착해야 한다.
이상으로 열거한 본 고안품에 대한 모든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기에, 본 예시만으로 한정 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10 : 단각대 11 ~ 35 : 거치부재 (볼마운트)
40 ~ 49 : 관절부재 50 ~ 55 : 삽통부재
60 : 배낭 71 ~ 79 : 등판부재
81 ~ 89 : 지지부재 91 ~ 96 : 결착부재
100 : 카메라용 마운트 110 : 수평유지장치 손잡이
120 ~ : 상하완충장치 기둥 140 ~ : 용수철 후크 파이프
150 : 수평유지장치 무게추
200 : 스마트 기기 300 : 플립형 케이스
400 : 야영 장치
P1 ~ P30 : 포인트 및 파워의 작용방향
Ⅰ, Ⅱ, Ⅲ : 횡단면 혹은 종단면의 기준선

Claims (5)

1. 단각대(10)에 있어서 다단형 삽통식 파이프의 내측에 관절부재(40a, b, c)와;

삽통형 파이프 내측에서 연장하여 별도의 부착 기구에 의존하지 않고 스마트기기를 자체 거치 고정하는 다등분 분리형 볼마운트를 구비하고;

거치 기기에 따라 별도의 마운트(100)로도 결합 구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각대.
1항에 있어서;

관절부재(40a, b, c)에 체결되는 암부의 중심에 무게와 연결을 지지 하는 중심축 수부(41c)와;

양측에 톱니 회전면(43a, b)을 가지는 집게형 암부(41a, b)의 밀착과 이완을 제어하는 각도 조절 버튼(48a)을 구비하고;

집게형 암부를 통과하여 각도 조절 버튼(48a)의 이완과 밀착에 영향을 주지않고, 육각렌치로 돌려 잠궜을 때 밀착력을 강화하고, 풀어 밀착력을 해제하였을 때 일정 간격 후 헛바퀴를 돌지만 탈거되지 않는, 부분 절삭형 육각렌치용 볼트(43d)와 너트(43e)로 고정되며;

짐볼방식의 홀더(110)와 결합하여 수평유지용 (스테빌라이저) 촬영 기기 거치장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각대.
1항에 있어서;

파이프에 결합된 횡방향 원통의 180도에 해당하는 상단 거치부재와, 90도에 해당되는 한쌍의 하단거치 부재로 수직 절삭 구성된 볼마운트 거치부에 있어서;

일측면이 고정핀에 연결되어, 이를 축으로 90도 회전하여 스마트기기의 하단을 삽입 거치하는 2쌍의 ㄴ형 홈이 마련된 하단 고정부재(27a, b)와;

플립 케이스가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거치 공간(25c)이 마련된 후크형 상단 거치부재(21c)를 구비하고;

상단 거치부재 내부의 용수철 장력(31)을 이용하여, 삽통식 연장부(27c, d)와 하단 거치부재(27a, b)를 당겨 장착된 스마트 기기를 밀착 고정하고;

내장된 돌기에 닿아 일정 각도로 회전과 고정이 되지만, 사용자 혹은 기기의 힘을 통해 용수철의 장력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이동하면 돌기에 닿지 않게 되어 베어링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힘을 가하지 않았을 때 다시 돌기에 닿게 되는 원통형 좌우 각도조절 부재(33)와;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하단 거치부재의 버튼(28a, b)을 구비한 거치부를 특징으로 하는 단각대
배낭에 있어서;

탈착된 단각대를 임시 거치할 수 있는 고리천(78)과 클립후크로 고정된 단각대 너트형 받침고리(79) 및 양측 어깨끈 탈 부착 체결 부재(78a, b)가 마련된 어깨끈과;

어깨끈과 함께 감아올려 등판 상단에 고정하는 허리 밸트 버클의 후크클립(77)과 고정고리(74)를 구비하고;

지퍼(73) 개폐를 통하여 볼마운트 거치부재를 제외한 단각대를 비닉(庇匿)하는 부조형 홈(78)과;

부조형 홈에 단각대를 착 탈 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스위치(92)와 결착덮개(91) 및 수직 결착이 가능한 너트형 연결부재(79)를 구비하고;

바닥면을 축으로 270도 및 180도 회전하는 지지판(82), 연장이 가능한 지지확장판(81)과;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부착된 2쌍의 디긋자형 파이프 중 하단 1쌍의 굴절부가 180도 회전하는 지지파이프(84a, b)를 구비하여;

가로 혹은, 세로로 결착한 단각대가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변형 또는 확장되는 지지면을 구비하여 삼각대 역할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배낭과:

기존의 배낭 혹은 바퀴달린 여행용 가방 및 어께 밸트에 이와 동일한 효과와 특징을 가진 장치를 적용하거나 장착 할 수 있는 기구.
4항에 있어서;

단각대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낭 부조형 홈에 결착되어, 상부에 고정핀(126)으로 연결되는 막대형 연결부재(124)를 하단에 삽입할 수 있는 홈(123)과, 최상단의 내부에 후크 파이프(140)의 일면을 삽입 가능한 종방향 절삭 면과 한쌍의 수직 거치 홈(122)를 구비한 상하완충장치 기둥(121)과;

상하완충장치 기둥에 일측부가 고정핀(126)으로 연결되어 삽입, 분리가 가능한 접이식 형태로 존재하며, 고정된 반대측에 연결고리(125)를 가지는 막대형 연결부재(124)에;

일측부의 후크(145)를 막대형 연결 부재의 연결고리(125)에 체결하고, 나사식 길이이동을 통해 내장된 용수철의 장력을 조절하는 원통형 조절부재(143)를 구비하는 후크 파이프(140)와;

후크의 반대편에 직각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핀형 거치부재(142)를 상하완충장치 기둥(121)의 상단 수직 거치고리(122)에 삽입하여;

형성된 가변형 삼각 형태의 아랫변에 해당하는 막대형 연결부재(124)의 끝에 상, 하, 좌, 우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한 홀더(129)를 구비하고;

이 홀더에 촬영기기가 거치된 스테빌라이저 형태의 단각대를 체결하여 후크파이프의 조절된 장력(P27)과 단각대의 하단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완충(P28b)으로 이동 중에도 수평 유지와 상하 완충이 가능한 촬영 장비로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


KR1020140062240A 2014-05-23 2014-05-23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KR20150134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40A KR20150134867A (ko) 2014-05-23 2014-05-23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40A KR20150134867A (ko) 2014-05-23 2014-05-23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67A true KR20150134867A (ko) 2015-12-02

Family

ID=5488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40A KR20150134867A (ko) 2014-05-23 2014-05-23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2637A (zh) * 2019-08-07 2019-11-12 浙江工业大学 一种具备调节功能的成长型学生书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2637A (zh) * 2019-08-07 2019-11-12 浙江工业大学 一种具备调节功能的成长型学生书包
CN110432637B (zh) * 2019-08-07 2024-03-22 浙江工业大学 一种具备调节功能的成长型学生书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644B2 (ja) 改良型カメラ搬送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195392A1 (en) Wearable cell phone holder viewer and mobile computer system
CA2913369A1 (en) Mount for a camera to be carried on a body-supported computer
US20130214022A1 (en) Hands Fre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028880B2 (en) Support apparatus
US5462214A (en) Body mounted camera support assembly
US20130200118A1 (en) Multi-functional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US9956979B1 (en) Stroller attachment
US5433358A (en) Tripods
CN115053509B (zh) 自拍用手机固定架
US5598963A (en) Body mounted camera support assembly
JP2009033217A (ja) 撮像装置用保持装置
JP2000193191A (ja) 立設器材の安定具
US20080173681A1 (en) Hands Free Camera Carrier
KR20150134867A (ko) 다기능 모노포드를 착·탈 할 수 있는 배낭
KR102059389B1 (ko) 카메라 가방
KR101028070B1 (ko) 삼각대가 구비된 카메라용 배낭
KR200463499Y1 (ko) 카메라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카메라 지지기구
CN112166281A (zh) 可调节式移动设备悬挂器
US20190231056A1 (en) Hands-free active use photographic mounting apparatus
KR200467694Y1 (ko) 카메라 홀더
JP3175556U (ja) カメラ装着具
US20060268156A1 (en) Stabilizer platform for a camcorder
US6021983A (en) Binoculars mount having clamping and mounting plates
WO2008013503A1 (en) Dual-function body support for a trip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