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788A -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788A
KR20150134788A KR1020140062042A KR20140062042A KR20150134788A KR 20150134788 A KR20150134788 A KR 20150134788A KR 1020140062042 A KR1020140062042 A KR 1020140062042A KR 20140062042 A KR20140062042 A KR 20140062042A KR 20150134788 A KR20150134788 A KR 20150134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data
user
stimulu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398B1 (ko
Inventor
이수영
정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6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98B1/ko
Priority to PCT/KR2014/010686 priority patent/WO2015178549A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청각 및 심리상태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자극신호 생성부와,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자극신호에 대응하는 뇌파신호를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뇌파 데이터 획득부와,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SECURITY USING SUBLIMINAL STIMULUS}
본 발명은 자극에 대해 발생하는 뇌파(EEG) 혹은 시선 움직임의 변화 혹은 동공의 크기를 획득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역치 이하의 자극에 대한 사용자 반응으로 인증하거나 역치 이하의 자극을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제공하여 지속적인 자극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사람은 뇌의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사고나 행동을 할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각 뇌 영역마다 담당하고 있는 기능적 역할은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뇌가 아무리 간단한 일을 처리한다고 해도 뇌의 여러 영역들이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뇌가 특정 과제를 수행할 때 어떠한 뇌 영역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지를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사진 등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반응을 받았을 경우 뇌에서 시각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후두엽이 활성화되고, 사진을 보고 잘생겼다거나 예쁘다 라는 생각을 할 때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이 활성화된다.
이럴 경우 뇌에서 전기적인 신호는 시각을 담당하는 후두엽에서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으로 전파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두 영역 사이에는 연결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뇌기능 조사 및 뇌질환 진단 등의 목적으로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관찰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고 있다. 즉, 피험자에게 특정 자극을 제시하거나 행동을 수행하게 한 후 그와 관련된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관찰함으로써 뇌 영역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거나, 알츠하이머, 치매, 정신 분열증, 자폐증, 우울증과 같은 뇌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와 정상인의 특정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비교 관찰함으로써, 정상인과 환자에서 관찰되는 뇌 영역 간의 연결성 차이를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인간두뇌의 뇌파를 이용하여 산업의 다양한 분야 예컨대, 자동차 기술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ERP (event related potential)의 한 종류인 P300은 기억과 관계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사람이 자신이 아는 것에 대한 사진을 볼 때 P300이 발생하고 그것을 뇌지문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범죄수사에서 범인을 찾는 연구도 있다. (Farwell, "Brain fingerprinting: a comprehensive tutorial review of detection of concealed information with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2012 ) 이렇게 뇌지문을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데 이 점을 사용자 인증시스템에 적용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동차 기술분야 혹은 시건 장치 분야에는 전자 키 혹은 인체의 지문과 같은 키 수단을 통해 인증하는 인증시스템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29332호(2014.03.10.)로 별도의 키 인증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인간두뇌의 독특한 EEG패턴이나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인증키를 구현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과거의 반응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기억이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자극을 여러 차례 인증에 사용하게 되면 피험자가 시각 자극을 학습하게 되어 알고 있던 자극과 모르던 자극에 상관없이 모든 자극에 익숙해지게 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자극 갱신을 통해 사용자의 기억 정보를 유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역치 이하의 자극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뇌파 또는 눈동자 움직임으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다음 인증 시 사용하기 위한 학습의 신호로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a) 자극신호 생성부를 통해 시각, 청각, 심리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b) 사용자의 뇌파를 뇌파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c) 획득된 상기 뇌파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잡음 처리를 증폭 및 필터부를 통해 수행하고,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d) 전처리부를 통해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하는 과정과, (e)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전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시각, 청각 및 심리상태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자극신호 생성부와,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자극신호에 대응하는 뇌파신호를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뇌파 데이터 획득부와,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역치 이하의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다음 인증 시 사용하기 위한 학습의 신호로 활용함으로써 인증 시, 제시되는 자극을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역치 이하의 현재 자극에 따른 사용자의 뇌파 또는 눈동자 움직임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을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생체신호 기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인간두뇌에서 활동하는 독특한 뇌파신호들과 눈동자의 변화에 반응을 하는 시각 혹은 청각 자극신호들을 생성하여 본인 인증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인증에 필요한 생체신호 즉, 전극(뇌파측정 센서) 혹은 시선 추적기(110)를 통해 본인 고유의 반응 자극 신호를 제공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획득되어 데이터 처리 후 분석되어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210 과정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별 고유 생체 신호 획득을 영상 및 음성에 반응하는 혹은 사용자의 안정상태 혹은 특정상황 혹은 특정 태스크 수행 시 뇌파를 획득하기 위한 자극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극신호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역치 이하의 주파수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볼 때 수시로 역치 이하의 자극을 제시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현재의 역치 이하의 자극에 관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반응 정보를 인증 작업에 사용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한 번 이상 인증에 참여한 사용자에 대해 그 전회의 인증에서의 시각 자극이 제공되는 동안 다음번의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학습하도록 새로운 시각 자극을 역치 이하로 제공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즉, 이러한 역치 이하의 자극을 통해 학습된 자극은 이후 인증 작업에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알고 있는 자극, 사용자가 모르고 있는 자극, 역치이하로 학습되는 자극을 제공하고, 뇌파를 측정하여 예상 반응과 실제 반응과의 일치도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하였다.
역치 이하의 자극이란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의 자극으로 인간의 시각 역치는 시간상으로부터 1ms부터 63ms 정도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각의 자극 신호는 1ms 보다 짧은 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하였다.
212 과정에서는 상기 자극신호 제공 후 사용자의 뇌파를 뇌파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뇌파는, 영상 및 음성에 반응하는 뇌파 혹은 사용자의 안정상태 혹은 특정 상황 혹은 특정 태스크 수행 시 뇌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안정상태 뇌파는 피험자(사용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특정한 의사 또는 특정한 생각 없는 동안 측정한 뇌파를 말한다. 안정상태 뇌파는 피험자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할 때 뇌파가 어떻게 변화하는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또한, 피험자의 태스크 수행 시 뇌파란 특정 피험자가 특정한 생각, 연산, 신체 움직임, 감정 등을 생각하거나 느낄 때 나타나는 뇌파를 의미한다.
214 과정에서는 획득된 상기 뇌파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잡음 처리를 증폭 및 필터부를 통해 수행하고, 이를 216 과정에서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노이즈 처리방법으로 저역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해 고주파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218 과정에서는 전처리부를 통해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220 과정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한다.
여기서,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란 시각 자극 신호 생성을 통해 획득된 뇌파 데이터, 청각 자극 신호 생성을 통해 획득된 뇌파 데이터, 안정상태, 특정 상황/태스크 수행 시 뇌파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극의 유무, 유형에 따라 기설정된 주기별 존재하는 신호만 추출하여 필요한 구간에 맞춰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222 과정에서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적용되어 미리 설정된 뇌파분석은 다수 존재하며, 이는 측정 후 분석을 수행할 경우 모든 자극에 대한 신호를 조합하여 분류 혹은 분석을 수행하는 제1 뇌파분석, 측정 중 분석을 수행할 경우 구간별로 신호가 생성되는 즉시 분류 혹은 분석을 수행하는 제2 뇌파분석, 측정신호를 시간 도메인이나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석을 수행하는 제3 뇌파분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뇌파분석은, 상기 220 과정에서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상기 변환된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이다.
상기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은,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에서 제1 및 제2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각 대역별 파워(power)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대역별 파워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적용되어 미리 설정된 뇌파분석은 특정 혹은 전체 뇌파측정 센서에서의 신호를 사용하는 뇌파분석 혹은 독립성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뇌파측정 센서별 신호와는 다르게 성분별로 신호를 추출해서 사용하는 제4 뇌파분석을 포함한다. 독립성분 분석, 혹은 전극별 분석을 통해서 어떤 자극을 받았을 때 얼마만큼의 시간 차이를 두고 어느 정도 크기를 갖는 뇌파가 생성되는지 확인 가능하다. 그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별 뇌파의 특이성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224 과정에서는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226 과정에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사용자별 기억 혹은 감정에 의한 패턴을 찾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인물의 사진을 보았을 때 사용자의 기억에 의해 이 인물을 '안다', '모른다'하는 반응이 자동적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같은 자극을 같은 순서로 여러 사용자에게 제시가 되어도 사용자 간의 반응이 다르게 될 것이다. 사용자 한명이 보인 반응도 기억정보에 의한 차이를 이용해서 분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자극을 제시했을 때 전체적인 패턴을 이용해서 그 사용자의 특정 추출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번의 반응 속에서도 그 인물의 고유한 생체신호 특징을 찾을 수 있지만 여러 자극을 제시했을 때 각각의 반응의 차이를 이용해서도 특징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은, 본 발명에 적용된 하기의 세 가지 방법으로 획득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첫째, 상관관계(correlation) 방법이다.
한 사용자가 과거에 보여준 반응과 현재의 반응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이용하여 두 신호가 얼마나 같은지 알아본다. 정한 기준 이상의 유사도를 보이면 과거의 사용자와 현재의 사용자가 같은 인물이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와 획득된 뇌파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 출력을 통해 검출하는 제1 뇌파 특이성 검출이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310 과정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해당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를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여 312 과정에서 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된 뇌파 데이터를 314 과정에서 제1 뇌파 특이성 검출인 코릴레이션 기반 유사도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316 과정에서 체크하여 임계치 이상인 경우 318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허용하고, 임계치 이하인 경우 3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별 뇌파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뇌파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건강 검진 시스템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별 건강 검진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기계적 지도학습법이다.
사용자 개인이 각각의 자극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지를 예상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과거의 사용자 뇌파 반을 분류해 놓은 답을 이용하거나 사용자에 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한다. 예상이나 과거의 분류를 이용하여 지도학습을 한 후 현재의 반응결과를 분류한다. 과거 혹은 예상했던 바와 유사도가 높은 경우에 올바른 사용자라고 간주할 수 있다.
즉, 기계적 지도학습법에 따라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기반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학습을 수행한 후 획득된 뇌파 데이터 결과 분류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하는 제2 뇌파 특이성 검출이다.
이러한 제2 뇌파 특이성 검출은 SVM(support vector maching) 학습, 선형판별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및 MLP(multi-layer perceptron) 학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2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410 과정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해당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를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여 412 과정에서 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된 뇌파 데이터를 414 과정에서 제2 뇌파 특이성 검출인 기계적 지도학습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416 과정에서 체크하여 임계치 이상인 경우 418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허용하고, 임계치 이하인 경우 4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차단한다.
셋째,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이다.
사용자의 반응을 비지도학습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비슷한 반응을 보인 뇌파 신호끼리 분류를 하여 뇌파를 간단하게 2진 혹은 그 이상의 코드로 만들 수 있다. 그 코드를 과거의 반응과 비교하거나 예상하는 반응과 비교해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즉,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반응에 대응하는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뇌파 데이터를 이진 혹은 이진 이상의 코드로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되는 제3 뇌파 특이성 검출이다.
이러한 제3 뇌파 특이성 검출은, k-means clustering, nearest neighbor, extectation-maximization 기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3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510 과정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해당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를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여 512 과정에서 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된 뇌파 데이터를 514 과정에서 제3 뇌파 특이성 검출인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516 과정에서 체크하여 임계치 이상인 경우 518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허용하고, 임계치 이하인 경우 5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본인 인증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눈동자 반응(예컨대, 동공의 변화 혹은 시선 움직임)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에 관한 것으로, 자극신호 생성부를 통해 역치 이하의 시각, 청각, 심리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시선 추적기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상기 시선 움직임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잡음 처리를 증폭 및 필터부를 통해 수행하고,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해 눈 깜박임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구간을 채우고, 전처리부를 통해 시선이 변화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시선 움직임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시선 움직임 데이터로 분류하는 과정과, 분류된 시선 움직임 데이터를 기설정된 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시선 움직임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장치(600)은 자극신호 생성부(610), 뇌파 데이터 획득부(614), 증폭 및 필터부(616), 제어부(618), A/D 변환부(620), 전처리부(622), 뇌파 분석부(624) 및 인증 처리부(626)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610)은 시각, 청각 및 심리상태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자극신호 생성부(610)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포함한 자극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자극신호 생성부(6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역치 이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볼 때 수시로 역치 이하의 자극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관측하고 사용자 마다 다른 반응으로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610)는 한번 이상 인증에 참여한 사용자는 그 전 회의 인증에서 시각 자극을 접하고 사용자의 반응을 관측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각 자극이 제공되는 동안 다음 번 인증을 위해 새로운 시각 자극을 역치 이하로 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610)는 사용자가 알고 있는 자극, 사용자가 모르고 있는 자극, 역치이하로 학습되는 자극을 제시하여 각 자극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관찰하여 예상 반응과 실제 반응의 일치도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상기 뇌파 데이터 획득부(614)는 자극신호 생성(610)부로부터 출력된 자극신호에 대응하는 뇌파신호를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전처리부(622)는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한다.
상기 제어부(618)은 상기 전처리부(622)에서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8)는, 뇌파 분석부(624)를 통해 상기 사용자별 뇌파의 특이성을,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와 획득된 뇌파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 출력을 통해 검출하거나, 기계적 지도학습법에 따라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기반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학습을 수행한 후 획득된 뇌파 데이터 결과 분류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하거나,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반응에 대응하는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뇌파 데이터를 이진 혹은 이진 이상의 코드로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18)는, 뇌파분석부(624)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 적용 시, 상기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상기 변환된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특정 혹은 전체 뇌파측정 센서에서의 신호를 사용하는 뇌파분석 혹은 독립성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뇌파측정 센서별 신호와는 다르게 성분별로 신호를 추출해서 사용하는 뇌파분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610: 자극신호 생성부 614: 뇌파 데이터 획득부
616: 증폭 및 필터부 618: 제어부
620: A/D 변환부 622: 전처리부
624: 뇌파분석부 626: 인증 처리부

Claims (16)

  1. (a) 자극신호 생성부를 통해 시각, 청각, 심리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b) 사용자의 뇌파를 뇌파측정 센서를 통해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c) 획득된 상기 뇌파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잡음 처리를 증폭 및 필터부를 통해 수행하고,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d) 전처리부를 통해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하는 과정과,
    (e)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역치 이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시각 자극신호일 경우, 1ms 보다 짧은 시간동안 자극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시각 자극이 제공되는 동안 다음 인증 작업을 위한 새로운 역치 이하의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뇌파의 특이성 검출은,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와 획득된 뇌파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 출력을 통해 검출되거나,
    기계적 지도학습법에 따라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기반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학습을 수행한 후 획득된 뇌파 데이터 결과 분류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되거나,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반응에 대응하는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뇌파 데이터를 이진 혹은 이진 이상의 코드로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은,
    상기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상기 변환된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특정 혹은 전체 뇌파측정 센서에서의 신호를 사용하는 뇌파분석 혹은 독립성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뇌파측정 센서별 신호와는 다르게 성분별로 신호를 추출해서 사용하는 뇌파분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은,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에서 제1 및 제2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여 각 대역별 파워(power)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대역별 파워를 이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지도학습법은,
    SVM(support vector maching) 학습, 선형판별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및 MLP(multi-layer perceptron) 학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은,
    k-means clustering, nearest neighbor, extectation-maximization 기법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뇌파는,
    영상 및 음성에 반응하는 뇌파 혹은 사용자의 안정상태 혹은 특정 상황 혹은 특정 태스크 수행 시 뇌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0. (a) 자극신호 생성부를 통해 시각, 청각, 심리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b) 시선 추적기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상기 시선 움직임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필터링을 위한 잡음 처리를 증폭 및 필터부를 통해 수행하고,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c)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해 눈 깜박임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구간을 채우고, 전처리부를 통해 시선이 변화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시선 움직임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시선 움직임 데이터로 분류하는 과정과,
    (d) 분류된 시선 움직임 데이터를 기설정된 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시선 움직임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1. 시각, 청각 및 심리상태 관련 자극신호를 생성하는 자극신호 생성부와,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자극신호에 대응하는 뇌파신호를 센싱하여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는 뇌파 데이터 획득부와,
    뇌파가 반응하는 자극 타입별 유효 뇌파 데이터 구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뇌파 데이터로 분류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전처리부에서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에 적용하여 사용자별 뇌파 특이성 검출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는,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역치 이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 이하의 자극신호는
    시각 자극신호일 경우, 1ms 보다 짧은 시간 동안 자극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신호 생성부는,
    사용자가 알고 있는 자극, 사용자가 모르고 있는 자극, 역치이하로 학습되는 자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뇌파 분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별 뇌파의 특이성을,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와 획득된 뇌파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을 이용한 유사도 측정을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 출력을 통해 검출하거나,
    기계적 지도학습법에 따라 사용자의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기반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학습을 수행한 후 획득된 뇌파 데이터 결과 분류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하거나,
    기계적 비지도학습법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반응에 대응하는 뇌파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뇌파 데이터를 이진 혹은 이진 이상의 코드로 생성하여 사용자의 기저장된 자극 타입별 뇌파 이력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소정 상태 정보 기반 예상 뇌파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 여부를 통해 검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뇌파분석부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뇌파분석 패턴 적용 시,
    상기 분류된 뇌파 데이터를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상기 변환된 시간도메인 신호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뇌파 데이터로 변환하는 뇌파분석 혹은 특정 혹은 전체 뇌파측정 센서에서의 신호를 사용하는 뇌파분석 혹은 독립성분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뇌파측정 센서별 신호와는 다르게 성분별로 신호를 추출해서 사용하는 뇌파분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40062042A 2014-05-23 2014-05-23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3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2A KR101630398B1 (ko) 2014-05-23 2014-05-23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4/010686 WO2015178549A1 (ko) 2014-05-23 2014-11-07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2A KR101630398B1 (ko) 2014-05-23 2014-05-23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88A true KR20150134788A (ko) 2015-12-02
KR101630398B1 KR101630398B1 (ko) 2016-06-15

Family

ID=5455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042A KR101630398B1 (ko) 2014-05-23 2014-05-23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398B1 (ko)
WO (1) WO20151785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25A1 (ko) * 2018-05-14 2019-11-21 한국과학기술원 눈동자 반응을 이용한 연속 인증 시스템
CN110866237A (zh) * 2019-12-09 2020-03-06 电子科技大学 脑电的阈下姓名身份认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9560B2 (en) * 2016-02-04 2019-01-01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timuli-based authentication
KR102415213B1 (ko) * 2018-11-19 2022-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청성 뇌간 반응 신호에 기반하는 개인 인증 장치 및 개인 인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26A (ko) * 2008-08-29 2010-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기반 실시간 기능적 피질 연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29332A (ko) * 2012-08-30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418A (ko) * 2005-08-18 2008-05-06 아이비아이 스마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오메트릭 신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8816861B2 (en) * 2011-11-04 2014-08-26 Questionmark Computing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 anomaly detection process in assessments
US9082011B2 (en) * 2012-03-28 2015-07-14 Texas State University—San Marcos Person identification using ocular biometrics with liveness detection
EP2722001B1 (en) * 2012-10-22 2016-11-09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ecure data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26A (ko) * 2008-08-29 2010-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기반 실시간 기능적 피질 연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29332A (ko) * 2012-08-30 2014-03-10 한국과학기술원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325A1 (ko) * 2018-05-14 2019-11-21 한국과학기술원 눈동자 반응을 이용한 연속 인증 시스템
CN110866237A (zh) * 2019-12-09 2020-03-06 电子科技大学 脑电的阈下姓名身份认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549A1 (ko) 2015-11-26
KR101630398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69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urnip et al. Classifying mental activities from EEG-P300 signals using adaptive neural network
Zhou et al. A hybrid asynchronous brain-computer interface combining SSVEP and EOG signals
Ko et al. Emotion recognition using EEG signals with relative power values and Bayesian network
US20090062679A1 (en) Categorizing perceptual stimuli by detecting subconcious responses
JP5302193B2 (ja) ヒト状態推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Ren et al. Affective assessment by digital processing of the pupil diameter
Valeriani et al. Enhancement of group perception via a collaborative brain–computer interface
US10890972B2 (en) Prefrontal-based cognitive brain-machine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Suefusa et al. Asynchronous brain–computer interfacing based on mixed-coded visual stimuli
RU2711976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и коррекции с помощью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психоэмо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KR101630398B1 (ko) 역치 이하 자극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3786952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期待はずれ判定装置および期待はずれ判定方法
Achanccaray et al. A p300-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for smart home interaction through an anfis ensemble
Valenza et al. Autonomic nervous system dynamics for mood and emotional-state recognition: Significant advances in data acquisition, signal processing and classification
Alex et al. Discrimination of genuine and acted emotional expressions using EEG signal and machine learning
Heger et al. Online workload recognition from EEG data during cognitive tests and human-machine interaction
KR20200052205A (ko)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동작 상상에 의해 발현된 뇌파 신호를 분석하는 방법
Kalaganis et al. A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approach to detecting error-related potentials in SSVEP-BCIs
Bolam et al. Neurocomputational mechanisms underlying cross-modal associations and their influence on perceptual decisions
KR20180113451A (ko) 전전두엽 기반 인지적 뇌-기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EP4155880A1 (en) A method performed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 program product and a system for processing context related operational and human mental brain activity data
Blankertz et al. Detecting mental states b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berlin brain–computer interface
Kanaga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classifiers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BCI) based authentication
Rupanagudi et al. A simplified approach to assist motor neuron disease patients to communicate through video ocul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