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771A -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 Google Patents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771A
KR20150134771A KR1020140061992A KR20140061992A KR20150134771A KR 20150134771 A KR20150134771 A KR 20150134771A KR 1020140061992 A KR1020140061992 A KR 1020140061992A KR 20140061992 A KR20140061992 A KR 20140061992A KR 20150134771 A KR20150134771 A KR 2015013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actitioner
lie angle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6558B1 (en
Inventor
임희정
Original Assignee
임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정 filed Critical 임희정
Priority to KR102014006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5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d and a bat for practicing golf swing, which comprise a lie angle display unit. The aid and the ba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 user to sense vibration on a palm when practicing golf swing, and thus the user is not influenced by background noise. In addition, the aid and the bat do not hurt concentration when the user practices swing, thereby offering an optimal condition during the practice. Furthermore, maintenance of a stable swing posture is possible as the lie angle is displayed.

Description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 lie angle measuring par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채 또는 연습스윙용 배트 등 골프를 연습하기 위한 모든 기구의 일측 특히, 끝단부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골프 스윙시 각 시점 특히, 백스윙 탑(Back Swing Top), 임팩트(Impact), 및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또는 피니쉬(Finish) 등의 시점을 연습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는 라이각 측정부가 구비된 연습스윙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training aids or bat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golf swing golf clubs, golf clubs, golf clubs, golf clubs, golf clubs, golf clubs, And a follow-through or a fini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illary apparatus for practicing golf swing. Or a training swing bat having a lie angle measuring unit.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스코어를 낮추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등 각 클럽의 페이스(Face)에 골프공이 정확히 타격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항상 일관성있는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In order to enjoy golf more and to lower the score, the golf ball must be hit accurately on the face of each club such as driver, wood, and iron. For this, it is important to always learn a consistent swing posture.

골프 스윙은 리드미컬(rhythmical)한 동작으로 이루어질 때 자세가 안정될 뿐만 아니라 각 클럽별 임팩트시 안정적인 골프공의 탄도 및 비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탑(Back Swing Top),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 등 약 7단계로 구분된다.When the golf swing is rhythmically operated, the posture is stabilized, and stable golf ball trajectory and distance can be ensured when each club impacts. The golf swing includes an address, a back swing, a back swing top, a down swing, an impact, a follow-through, a finish, .

안정적인 스윙 연습을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를 개시하고 있다. 위 등록특허인 연습용 배트는 백스윙 탑 위치와 피니쉬 위치의 시점을 알림볼이 알람관에 충돌할 때의 소리에 의하여 연습자에게 알려준다. 실내 골프 연습장 등에서는 다른 연습자의 연습에 따른 소음 등으로 인하여 충돌음이 잘 들리지 않는다. 집중력을 요하는 골프 스윙에 있어서 위 충돌음은 자신의 스윙 연습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습용 배트의 추가 구입에 따른 골프 연습자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다른 연습용 배트로 스윙 연습을 하게 되므로 혈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0-0982482 is disclosed for a stable swing practice. The patented practice bat informs the practitioner of the position of the top position of the backswing and the timing of the finish position by the sound when the notification ball hits the alarm tube. In the indoor golf driving range, the sound of collision is not audible due to noise caused by the practice of other practitioners. In the golf swing requiring concentration, the upper impact sound may interfere with the practice of sw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golf practitioner due to the additional purchase of the practice bat is incurred, and the swing practice is performed with the golf club and other exercise bats, so that the blood feeling is deteriorated.

한편,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Posture)가 중요하다. 정상적인 어드레스를 체크하기 위하여 소위 라이각(Lie Angle)을 체크한다. 일반적으로 라이각은 어드레스 했을 때 골프채의 샤프트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각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의 길이가 짧은 웨지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크고, 이와 반대인 드라이버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작다. 한편, 특정 골프채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클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멀 때) 골프채의 힐(Heel)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가까울 때) 골프채의 토우(Toe)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힐 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 방향보다 오른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슬라이스(Slice) 또는 페이드(Fade) 구질이 된다. 토우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방향보다 왼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훅(Hook) 또는 드로우(Draw) 구질이 된다. 어드레스 시 자신의 자세에 의하여 라이각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osture is important during golf swing practice. Check the so-called Lie Angle to check the normal address. In general, the lie angle refers to the angle of the back of the ball when addressed between the line of the shaft of the golf club and the ground. Generally, the lie angle is large when the shaft is a short wedge, and the lie angle is small when the driver is the opposite. On the other hand, the heel portion of the golf club is heard on the ground when the golf club is larger than the normal lie angle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toe is longer than the normal distance). The toe portion of the golf club is heard on the ground when it is smaller than the normal lie angle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toe is nearer than the normal distance). When the heel is heard, the golf ball will fly to the right of the target. It becomes a slice or fade pitch. When the tow portion is heard, the golf ball will fly to the left of the target direction. It becomes a hook or a draw.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lie angle by the posture at the time of the address.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Korean Patent No. 10-0982482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시 그립을 잡은 손바닥에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각적인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able sensible swing training by allowing the palm of a golfer to grasp a vibration during a golf swing practice.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을 포함한 골프 스윙연습기구의 단부측에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골프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consistency of the golf swing by simply engaging with the end side of the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golf club.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swing by allowing the user to know the lie angle during the golf swing practice.

본 발명은 골프채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배터리(23); 상기 배터리(23)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θ)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41); 및 측정된 상기 라이각(θ)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club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30) coupled to one side of a golf club; A battery 23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 lie angle measuring unit 41 for measuring the lie angle? At the address of the practitioner, the power being applied by the battery 23; And a display unit (42) for allowing the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measured lie angle (?).

본 발명의 상기 라이각측정부(41)는 상기 라이각(θ)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42)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상기 라이각(θ)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e angle measuring unit 4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zero point adjusting unit 43 for adjusting the zero point of the lie angle? and an analog leveling unit 45 provided with a water droplet 44 so as to confirm the angle 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하여 고정되며 자중에 의하여 낙하는 이동체(12); 상기 이동체(12)가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11); 및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상기 감지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body (12) fixed by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falling by its own weight; A hollow main body 11 in which the moving body 12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s freely movable by its own weight; And a sensor unit (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for sensing movement of the mobile body (12), the sensing means (10) detecting movement of the mobile body (12). And vibration means 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nsing means 10 and generating vibration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means 10.

또 다른 본 발명은 샤프트(200);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1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연습자의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그립부(30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배터리(150); 상기 제1배터리(150)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171); 및 상기 라이각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할 수 있다.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ft assembly comprising: a shaft; A head part (10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haft (20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grip part (300)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200) and gripped by a practitioner's hand. The golf swing training bat comprises a first battery (150) provided inside the head part ); A lyocyte measuring unit 171 for applying power to the first battery 150 and measuring a lie angle at an address of an practitioner; And a display unit (D) for allowing the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lie angle.

본 발명의 상기 라이각측정부(171)는 상기 라이각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D)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라이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e angle measuring unit 17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zero point adjusting unit 172 for adjusting the zero point of the lie angle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confirm the lie angle at the address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D. And an analog level meter 174 provided with water droplets.

본 발명의 상기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0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상기 제2샤프트(220)의 일단과 고정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회전체(420); 및 상기 회전체(420)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af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aft 210 having a hollow pipe shape and a second shaft 210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haft 210 so as to be movable into the first shaft 210. [ The length adjusting unit 400 is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shaft 220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400 is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shaft 220, A rotating body 420 that slides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210; And a fixing body 430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420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when being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본 발명의 상기 회전체(420)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는 내경을 갖음으로써 편심된 편심바디(422); 상기 편심바디(422)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421); 및 상기 가이드돌기(42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220)와 고정되는 연결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430)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두께가 점증되는 고정몸체(431); 및 상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4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ccentric body 422 having an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pair of guide protrusions (42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body (422) and sli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And a connection part (424) protruding outward from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421) of the guide protrusion (421) and fixed to the second shaft (220), and the fixture (430) A fixed body 431 whos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 gradually increas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3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431.

본 발명의 상기 헤드부(100)는 연습자가 스윙 연습 중 임팩트시점을 알 수 있도록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수단(130); 및 상기 알림수단(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 시점을 알 수 있도록 진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중공된 형상을 갖으며 밀폐된 형상의 통체(141); 상기 통체(14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및 상기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체(141)의 양단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 상기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2이동체(142)의 이동속도를 계측하며, 계측된 이동속도를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제어보드(147);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ifying means 130 for generating a crash soun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know the impact time during the swing practice. And a tubular body 141 having a hollow shape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forming means 130 and having a hollow shape in order to generate a vibration so as to know the backswing and finish time of the practitioner. A second moving body (142) which is freely movable in the inside of the cylinder (141); And a first sensor (144) and a second sensor (14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41) for sensing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 control board 147 for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second sensor 145 and converting the measured moving speed into a virtual golf ball distance And a sensing unit that senses an output of the sensing unit.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시 손바닥 등에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윙 연습시 집중력을 해치지 않음으로써 스윙 연습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vibrations in the palm of a golf swing practitioner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surrounding noise, and also to provide an optimal condition for swing practice by not impairing the concentration force during the practice of swing.

본 발명은 휴대가 편하고, 골프채 등에 탈부착이 용이함에 따라 실제 골프 게임 중에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ortable and easy to attach and detach on a golf club,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naturally even during an actual golf game.

본 발명은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swing by allowing the lie angle to be known at the time of addressing during golf swing pract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의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의 외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가 장착한 후 연습(백스윙, 임팩트, 피니쉬)하는 연습자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보조기구가 장착한 후 연습(어드레스)하는 연습자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헤드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그립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중 길이조절부의 내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를 파지한 후 백스윙, 임팩트, 피니쉬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hird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utside of a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practicing practitioners (backswing, impact, finish) after wearing a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practitioner practicing (addressing) after wearing a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view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grip portion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ength adjusting portion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ck swing, an impact, and a finish after gripping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 및 골프 스윙연습용 배트는 공통적으로 라이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공통적인 요소와 함께 순차적으로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 및 골프 스윙연습용 배트를 상술하도록 한다.
The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equipment and the golf swing training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monly capable of measuring the lie angle. The golf swing training aids and golf swing training bats are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the common elements.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Golf swing training aids]

본 발명의 골프 스윙연습용 보조기구(1)는 감지수단(10), 진동수단(20) 및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The golf swing training auxiliary instru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eans (10), a vibration means (20) and a connecting member (30).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감지수단(10)은 내부가 빈 공간이 구비된 본체(11), 본체(11) 내부에서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2), 이동체(12)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한다.1 to 3, the sensing means 10 includes a main body 11 provided with an empty space therein, a moving body 12 which moves by its own weight in the main body 11, movement of the moving body 12 And a sensor unit (13)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는 이동체(12)의 수용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형상으로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main body 11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space is closed in order to prevent the moving body 12 from being received and released.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이동체(12)는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1) 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1 to 3, the moving body 12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 and is movable by its own weight. It is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side diameter of the main body 11 so as to freely move inside the main body 11. [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11)의 양단에는 이동체(12)가 이동하면서 본체(11)의 내벽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돌음을 줄이기 위하여 방음부재(14)가 구비될 수 있다. 방음부재(14)는 방음목적의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며, 스펀지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다.1 to 3, a soundproofing member 14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 to reduce a collision noise generated when the moving body 12 moves while colliding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 [ The soundproofing member 1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silicone material, provided that it is made of a soundproof material.

도 1을 참고하면, 센서유닛(13)은 이동체(12)의 자중에 따른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센서(13a)는 본체(11)의 내벽면 일측에 구비된다. 제2센서(13b)는 제1센서(13a)의 상부측에 구비된다. 이동체(12)가 본체(11)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센서(13a)와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이 센서들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1)측으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21)는 해당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한다. 반대로, 이동체(12)가 제2센서(13b)와 제1센서(1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때 제어부(21)측으로 수신된 감지신호에도 불구하고, 제어부(21)는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센서(13a, 13b)는 광센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ensor unit 13 senses movement of the mobile unit 12 in accordance with its own weight. The first sensor 13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he second sensor 13b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nsor 13a. When the moving body 1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sensor 13a and the second sensor 13b while mov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these sensors sense this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part 21 side do. The control unit 21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upon receipt of the detection signal. Conversely, when the moving body 1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sensor 13b and the first sensor 13a,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vibration motor 22 in spite of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on the control unit 21 side It may not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may be optical sensors.

도 2를 참고하면, 제3센서(13c)는 이동체(12)가 본체(11)의 상부측에 구비된 방음부재(14)에 자중에 의하여 충격을 가할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체(12)가 방음부재(14) 측으로 충격을 가할 경우 그 충격이 제3센서(13c)측으로 전달된다. 제3센서(13c)는 해당 감지신호를 제어부(21) 측으로 전달한다. 제어부(21)는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한다. 제3센서(13c)는 본체(11)의 상부측에만 구비될 수 있고, 하부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hird sensor 13c senses a shock when the moving body 12 impacts the soundproofing member 14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moving body 12 makes an impact to the soundproofing member 14 side,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third sensor 13c side. The third sensor 13c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 side. The control unit 21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 The third sensor 13c may be provid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or on the lower side.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진동수단(20)은 제어부(21)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보조기구(1)를 진동시킨다. 해당 진동은 그립을 잡고 있는 연습자의 손바닥에 전달된다. 진동수단(20)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2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며, 배터리(23)는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포트(24)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1 to 3, the vibration means 20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21 to vibrate the golf swing training aid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lm of the practitioner holding the grip. The vibrating means 20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23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battery 23 can be charged through a charging port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olf swing training aid 1 have.

도 1을 참고하면, 연결부재(30)는 안착부(31) 및 삽입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1)는 본체(11)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 고정된다. 삽입부(32)는 골프채의 일측 단부에 삽입 고정된다. 안착부(31)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수단(20)에서 발생된 진동이 골프채 특히, 그립 쪽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ing member 3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31 and an insertion portion 32. The seat portion 31 is fix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The insertion portion 32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golf club. The seat portion 3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means 20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golf club, particularly, the grip.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 내에는 라이각(θ)을 측정할 수 있는 라이각표시수단(40)이 구비된다. 라이각표시수단(40)은 라이각측정부(41), 표시부(42) 및 영점조절부(43)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각(Lie Angle)은 연습자가 어드레스 했을 때 골프채의 샤프트(Shaft)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3 and 4, the golf swing training aid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lie angle display means 40 for measuring the lie angle?. The lyocell display means 40 includes a lyocell measurement unit 41, a display unit 42, and a zero point adjusting unit 43. As mentioned above, the Lie Angle refers to the back angle between the line of the shaft of the golf club and the ground when the practitioner is addressed.

도 3, 도4 및 도 6을 참고하면, 연습자가 그립을 잡았을 때 잡은 부분에서 지면과의 가상의 수평선과 그립의 단부에 고정된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1)를 이은 연장선이 이루는 각은 라이각와 동위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라이각은 라이각 측정부(41)에 의하여 측정가능하다. 라이각 측정부(41) 내부에는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가속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연습자의 신체조건마다 라이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연습자마다 라이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점조절부(43)가 구비되며, 라이각을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가 구비된다. 연습자는 영점조절부(43)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안정적이라고 생각되는 각도를 영(0)점으로 셋팅할 수 있다.3, 4, and 6,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with the ground in the portion where the practitioner holds the grip, and an angle formed by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golf swing training assistant 1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grip, It becomes an equilateral angle. The lie angle measuring unit 41 measures the lie angl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til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 angle may be incorporated in the lie angle measuring unit 41. [ On the other hand, the lie angle may be different for each practitioner's physic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a practitioner is provided with a zero point adjusting part 43 for adjusting the lie angle, and a display part 42 is provide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visually confirm the lie angle. The practitioner can set the angle at which it is considered stable by adjusting the zero point adjusting section 43 to zero (0) point.

도 4를 참고하면, 라이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라이각 표시수단(40)은 표시부(42) 뿐만 아니라 수평계(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45)는 내부에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사용할 수 있다. 내장된 배터리(23)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표시부(42) 등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4, in order to visually confirm the lie angle, the lie angle display means 40 may further include a level system 45 as well as a display unit 42. [ The horizontal level meter 45 may use an analog level meter 45 having water droplets 44 therein. Even if the power of the built-in battery 23 is exhausted and the display unit 42 is not operated.

도 4를 참고하면 표시수단(40)에는 전원스위치(SW), 램프(L)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SW)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1) 내부에 구비된 진동모터(22) 및 라이각 측정부(41) 등에 인가되는 전원 등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램프(L)는 전원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SW and a lamp L. FIG. The power switch SW is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22 and the lie angle measuring unit 41 provided in the golf swing training aid 1. The lamp L is for visually confirming the on or off state of the power source.

도 3, 도4 및 도 6을 참고하면, 라이각 표시수단(40)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어드레스자세를 자연스럽게 교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연습자가 감각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3, 4 and 6, since the lie angle display means 40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address posture can be smoothly corrected, and the practitioner can sensibly correc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olf ball is blown.

{백스윙}{Backswing}

연습자의 백스윙시 이동체(12) 및 진동수단(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a)를 참고하면, 정상적인 백스윙시 그립의 단부에 고정된 골프 스윙연습보조기구(1)의 삽입부(32) 측 부분이 서서히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백스윙 탑에 도달되면, 자중에 의하여 삽입부(32) 방향을 향하고 있던 이동체(12)가 제1센서(13a) 및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어부(21)가 제1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oving body 12 and the vibration means 20 in the back swing of the practitioner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S. 1 and 5 (a), the portion of the golf swing training aid 1 which is fixed at the end of the grip in the normal backswing is gradually moved upward. When the backswing top is reached, the moving body 12, which has been directed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32 due to its own weigh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sensor 13a and the second sensor 13b. The control unit 21 senses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 The practitioner sense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2 from the palm of the practitio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swing top is reached.

도 2 및 도 5(a)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상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이를 제3센서(13c)가 감지한다. 제어부(21)가 제3센서(13c)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백스윙 탑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5A, when the third sensor 13c is used together with or in plac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when the position of the backswing top is reached, The moving body 12 is detached to the soundproof member sid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ound absorbing member 11. And the third sensor 13c detects this. The control unit 21 senses the signal of the third sensor 13c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 The practitioner sense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2 from the palm of the practitio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osition of the backswing top is reached.

{임팩트}{impact}

연습자는 백스윙 탑에 도달했음을 진동으로 인지한 후 다운스윙으로 전환한다. The practitioner recognizes that he has reached the top of the backswing and then switches to the downswing.

도 1 및 도 5(b)를 참고하면, 클럽의 헤드부분이 지면에 놓인 골프공을 향하게 되므로 이동체(12)는 다시 삽입부(32) 측으로 자중에 의하여 내려오게 된다. 이동체(12)가 제2센서(13b) 및 제1센서(13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에 제어부(21)가 제1 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진동모터(22)에 작동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 골프체의 페이스가 골프공을 타격함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일 수 있다. 연습자는 골프공이 놓인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임팩트의 여부를 확인하기 쉬우나, 골프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임팩트의 여부를 확인하기는 까다로울 수 있다. 따라서 골프공이 없는 상태에서 스윙연습시 제어부(21)는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송출할 수도 있다. 임팩트시 제어부(21)에서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송출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다.Referring to FIGS. 1 and 5 (b), since the head portion of the club faces the golf ball placed on the ground, the moving body 12 is again lowered to the insertion portion 32 side by its own weight. The moving body 1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cond sensor 13b and the first sensor 13a.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1 may not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even though the controller 21 receives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face of the golf ball to strike the golf ball to generate vibration when impacted. This may be a setting by the user. It is easy for the practitioner to check the impact of the swing practice while the golf ball is placed. However, it may be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impact is present during the swing practice without the golf ball. Therefore, the control unit 21 may send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at the time of swing practice without a golf ball. Whether or not the control unit 21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at the time of impact depends on the setting of the user.

도 2 및 도 5(b)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 임팩트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하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도 1을 참고할 때 제3센서(13c)는 본체(11)의 상부측에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21)는 제3센서(13c)에서 신호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제3센서(13c)에 의한 진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S. 2 and 5 (b), when the third sensor 13c is used together with or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when the position of impact is reached, The moving body 12 is detached from the soundproof member side. Referring to FIG. 1, the third sensor 13c is provid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Therefore, the control unit 21 does not receive the signal from the third sensor 13c. Therefore, vibration caused by the third sensor 13c is not generated.

{팔로우스루}{Follow us}

연습자는 임팩트 후 팔로우스루로 전환된다. 백스윙과 유사하다. The practitioner switches to follow-through after the impact. Similar to the backswing.

도 1 및 도 5(c)를 참고하면, 팔로우스루시 그립의 단부가 지면을 향하게 되므로 삽입부(32)도 마찬가지로 된다. 이동체(12)는 자중에 의하여 제1센서(13a) 및 제2센서(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제어부(21)가 제1및 제2센서(13a, 13b)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팔로우스루 이후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c),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grip on the follow-through is directed toward the ground, the insertion portion 32 is similarly formed. The moving body 1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sensor 13a and the second sensor 13b due to its own weight. The control unit 21 senses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 The practitioner sense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2 from the palm of the practitioner,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osition of the finish after the follow-through has been reached.

도 2 및 도 5(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센서(13a 및 13b)와 함께 또는 이들을 대신하여 제3센서(13c)를 사용하게 될 경우팔로우스루 또는 그 이후의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본체(11)의 상부측에 위치한 방음부재 측으로 이동체(12)가 떨어진다. 이를 제3센서(13c)가 감지한다. 제어부(21)가 제3센서(13c)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작동신호를 진동모터(22)에 전달한다. 연습자는 진동모터(22)의 진동을 연습자의 손바닥에서 감지하게 되므로 현재 팔로우스루 또는 피니쉬의 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2 and 5 (c), when the third sensor 13c is used together with or in plac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3a and 13b, the position of the follow- The moving body 12 falls to the side of the soundproof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 And the third sensor 13c detects this. The control unit 21 senses the signal of the third sensor 13c an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22. [ The practitioner will sense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2 from the palm of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recognize that the position of the follow-through or finish has been reached.

[스윙 연습용 배트][Swing practice bat]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는 샤프트(200)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헤드부(100), 타측에는 그립부(30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7, the golf swing training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d part 100 on one side and a grip part 300 on the other side with the shaft 200 as a center.

도 7을 참고하면, 샤프트(2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연습자가 그립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경우 타측에 구비된 헤드부(100)가 스윙궤적을 그리면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 강성을 갖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200)는 그 중앙에 길이조절부(400)를 구비하여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haft 200 has a circular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swing exercise while gripping the grip portion 300, the head portion 100 provided at the other side swings the swing trajectory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while drawing. And may be a wood or metal material having constant rigidit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of the shaft 200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shaft 200 by providing the length adjuster 400 at the center thereof.

{헤드부}{Head part}

도 8을 참고하여 헤드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head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헤드부(100)은 내부가 빈 중공체인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무게추(121), 알림수단(130), 감지수단(140), 제1배터리(15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알림수단(130)에 구비된 제1이동체(131)에 인가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자력인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ead unit 100 includes a hollow housing member 110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a weight unit 121, a notification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 first battery 150 in the housing 110 And an auxiliary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160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first moving body 131 provided in the notification means 130. [

하우징(110)은 중공체로 그 내부에 무게추수용부(120), 알림수단(130) 및 감지수단(140) 및 제1배터리(150) 등을 구비하기 위하여 제1 내지 3격벽(111, 112, 113)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a hollow body and includes first to third partition walls 111, 112, and 113 for providing a weight collecting portion 120, a notification means 130, a sensing means 140, a first battery 150, 113), and the like.

하우징(110)은 외통(T)의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하우징(110)은 외통(T)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T)의 단부에는 캡(C)이 체결된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ylinder (T).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housing 110 is firmly fixed in the outer tube T. A cap C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outer tube T to prevent the housing 110 from being separated.

헤드부(100)의 끝 부분측에는 무게추(121)가 구비된다. 무게추(12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무게추 수용부(120)가 구비된다. 무게추 수용부(120)는 무게추 수용부 격벽(122)에 의하여 구획된다. 다수개의 무게추 수용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실장되는 무게추(121)의 갯수를 달리하거나, 무게추(121)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스윙시 연습자가 느끼는 무게감을 상이하게 가져올 수 있다. A weight 121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ead 100. The weight weight receiving part 120 is provided to fix the weight 121. The weight accumulating portion 120 is partitioned by the weight accumulating portion bulkhead 122. The number of weights 120 may be varied so that the number of weights 121 mounted on the weights 121 may be different or the weights of the weights 121 may be adjusted to differentiate the feeling of weight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during a swing .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알림수단(130)이 구비된다. 알림수단(130)은 내부가 빈 중공체이다. 알림수단(130)의 내부에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1이동체(131), 제1이동체(131)의 일측에는 금속판(132), 타측에는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다. 금속판(132)는 캡(C)이 구비된 방향에 형성되며, 메인자성체(133)는 샤프트(200)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housing 110, a notification means 130 is provided. The notifying means 130 is an empty hollow body. The notification means 130 includes a first moving body 131 moved by its own weight, a metal plate 132 on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body 131 and a main magnetic body 133 on the other side. The metal plate 132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 C is provided and the main magnetic body 133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haft 200.

알림수단(130)의 제1이동체(131)는 어드레스시 금속판(132)에 면접하여 있다.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1이동체(132)는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다운스윙 이후 임팩트시 제1이동체(131)는 메인자성체(133)로부터 떨어지면서 금속판(132)에 떨어지면서 충돌음을 발생시킨다. 이후 피니쉬 동작에 이르면 제1이동체(131)는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충돌음이 생기기 위해서는 메인자성체(133)가 제1이동체(131)를 끌어당기는 인력보다 스윙에 따른 제1이동체(131)에서 발생되는 원심력이 커야한다.The first moving body 131 of the notifying means 130 is placed on the metal plate 132 at the time of addressing. The first moving body 132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when the practitioner reaches the top of the backswing during practice. The first moving body 131 falls from the main magnetic body 133 and falls on the metal plate 132 to generate a collision sound. After that, the first moving body 13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moving body 131 due to the swing must be larger than the attraction force by which the main magnetic body 133 pulls the first moving body 131 in order to cause a collision sound.

한편 다운스윙되는 배트의 스윙 속도를 더 빠르게 연습하기 위하여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 부분에 보조자력인가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자력 인가부(160)는 외통(T)의 외부에서 조절가능한 높이조절부(161), 높이조절부(161)의 조절에 따라 메인자성체(133)측과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보조자성체(162)가 구비된다. 높이조절부(161)를 일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보조자성체(162)가 메인자성체(133)와의 거리가 짧아지며, 타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그 반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조자성체(162)가 일정 거리를 두고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부(163)가 외통(T) 또는 하우징(110)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actice the swing speed of the down swing bat more quickly, the auxiliary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16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ain magnetic body 133 is provided. The auxiliary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160 includes a height adjusting unit 161 adjustable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cylinder T and an auxiliary magnetic body 163 whose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main magnetic body 133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61 162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magnetic body 162 and the main magnetic body 133 is shortened whe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61 is rotated to one side and vice versa whe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61 is rotated to the oth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portion 163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er cylinder T or the housing 110 so that the auxiliary magnetic body 162 can move with a certain distance.

제1이동체(131)는 알림수단(1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볼(구형)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갖으며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moving body 13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pher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smoothly move inside the notification means 130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알림수단(140)은 내부가 빈 통체(141), 통체(141) 내부에서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통체(141)의 일측 또는 양단에 구비된 방음부재(143)를 포함한다. 알림수단(140)은 제2이동체(14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센서(144, 145), 통체(141)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46)을 포함한다. 또한, 알림수단(140)은 제1 및 제2센서(144, 145)의 신호를 감지하여 배트의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거나, 그립부(300)의 내측에 구비된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신호를 송할 수 있는 제어보드(147)를 포함한다.8 and 9, the notifying means 14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body 141, a second moving body 142 which is freely movable within the cylindrical body 141 by its own weight, And a soundproofing member 143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member. The notifying means 140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nd a bracket 146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cylinder 141. The notifying means 140 may sense the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and display the signals on the display unit D provided outside the bat, And a control board 147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so that the controller 310 can be operated.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대 제어보드(147)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그 반대로 임팩트시에는 제2센서(145) 및 제1센서(144) 순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에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에는 제1이동체(131)가 금속판(132)을 타격함에 따라 충돌음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When the practitioner reaches the top of the backswing at the time of practice, the second moving body 142 leaves the first sensor 144, which has been close to itself due to its own weight, and reaches the second sensor 145 side.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sequenti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the control board 147 receives the corresponding signal. The control board 147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vibration means 310 can be operated. Vibration is sensed in the hands of the practitioner as the vibrating means 310 is actu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second sensor 145 and the first sensor 144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in this order. At this time, the control board 147 may not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vibration means 310. This is because impact noise is generated when the first moving body 131 hits the metal plate 132 at the time of impact.

임팩트를 지나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로 진행될 때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때 제어보드(147)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After the impact, the second moving body 142 leaves the first sensor 144, which is close to the second moving body 142 due to its own weight, and reaches the side of the second sensor 145 when proceeding to Follow-Through and Finish. When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second sensor 145 sequenti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the control board 147 receives the corresponding signal. The control board 147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vibration means 310 can be operated. Vibration is sensed in the hands of the practitioner as the vibrating means 310 is actuated.

제2이동체(142)가 통체(141)의 단부를 타격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통체(14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측에 방음부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센서(144, 145)는 광센서일 수 있다.A sound insulating member 143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end sides of the cylinder 141 to reduce noise generated when the second moving body 142 hits the end of the cylinder 141. [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may be optical sensors.

한편, 임팩트시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시간 및 제1 및 제2센서(144, 145)간의 거리가 제어보드(147) 측에서 속도로 계산된다. 임팩트시 제2이동체(142)의 낙하속도를 의미한다. 계측된 낙하속도는 제어보드(147)에서 골프공이 골프채에 타격되어 날아가는 비거리로 환산된다. 환산된 비거리가 디스플레이부(D)(도 1참고)에 표시될 수 있다.The time when the second moving body 142 leaves the second sensor 145 and moves toward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are shifted toward the control board 147 side Lt; / RTI > And means the fall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t the time of impact. The measured falling speed is converted into a flying distance at which the golf ball is hit by the golf ball and flies at the control board 147. The converted distanc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see Fig. 1).

예를 들면, 제1 및 제2센서(144, 145)간의 거리가 33mm(0.033m)이며,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시간이 0.001sec라고 가정할 때 그 낙하속도는 33m/s가 된다. 골프채 중 칠번(7) 아이언(iron)일 때를 기준으로 33m/s가 되었을 때 골프공의 예상 비거리를 120m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이동체(142)의 낙하속도가 30m/s가 될 때 약 90m, 40m/s가 될 때 160m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44 and 145 is 33 mm (0.033 m)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moving body 142 moves from the second sensor 145 to the first sensor 144 side Is 0.001 sec, the dropping speed is 33 m / s. (7)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expected distance of the golf ball as 120m when it becomes 33m / s based on the iron when it is 7 times of the golf club. It can be recognized as about 90 m when the fall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is 30 m / s, and 160 m when it is 40 m / s.

이와 같이 속도를 비거리로 환산하는 것은 제어보드(147) 내부에 구비된 회로 또는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version of the speed to the distance may be controlled through a circuit or a program provided in the control board 147,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감지수단(140) 및 디스플레이부(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1배터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에서 공급되는 감지수단(140) 및 디스플레이부(D)으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조절을 위하여 헤드부(100)의 외측에는 스위치(SW)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의 충전을 위하여 헤드부(100)의 외측에는 충전포트(P)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배터리(150)의 전원이 그립부(300)에 구비된 진동수단(310)에 인가될 경우 제2배터리(32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battery 150 may be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D. A switch SW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ead unit 100 for adjusting power supply to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display unit D supplied from the first battery 150. [ A charging port P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ead unit 100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150. When the power of the first battery 150 is applied to the vibration means 310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300, the second battery 320 may not be provided.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연습 배트 내에는 라이각(θ)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이각표시수단은 라이각측정부(171), 디스플레이부(표시부; D)(앞서 표시부로 명명하였으나, 여기서는 라이각 뿐만 아니라 비거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로 변경하도록 한다.), 및 영점조절부(172)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라이각(Lie Angle)은 연습자가 어드레스 했을 때 배트 샤프트(Shaft)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a lie angle? Can be measured in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e angle display means includes a lie angle measuring unit 171, a display unit (display unit D) (previously referred to as a display unit, ) And the like. Similar to the above, the Lie Angle refers to the back angle between the line of the bat shaft and the ground when the practitioner is addressed.

이러한 라이각은 라이각 측정부(171)에 의하여 측정가능하다. 라이각 측정부(171) 내부에는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가속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연습자의 신체조건마다 라이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연습자마다 라이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점조절부(172)가 구비되며, 라이각을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가 구비된다. 연습자는 영점조절부(172)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이 안정적이라고 생각되는 각도를 영(0)점으로 셋팅할 수 있다.The lie angle measuring unit 171 measures the lie angl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til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 angle may be built in the lie angle measuring unit 171. [ On the other hand, the lie angle may be different for each practitioner's physic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a practitioner is provided with a zero point adjusting unit 172 for adjusting the lie angle, and a display unit D is provide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visually confirm the lie angle. The practitioner can set the angle at which it is considered stable by adjusting the zero point adjuster 172 to zero (0) point.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라이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72) 뿐만 아니라 수평계(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계(173)는 내부에 물방울(17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사용할 수 있다. 내장된 제1배터리(150)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어 디스플레이부(D) 등이 작동되지 않더라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7 and 8, the display unit 172 may further include a level meter 173 for visually confirming the lie angle. The level meter 173 may use an analog level meter 174 having a water drop 174 therein. Even if the power of the built-in first battery 150 is exhausted and the display unit D and the like are not operated.

{그립부}{Grip section}

도 9을 참고하여 그립부(300)를 설명한다.The grip portion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그립부(300)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서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연습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영역을 제공한다. 일정강성을 가지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외주면을 따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폴리머 재질 특히,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 스윙연습을 하기 위함이다.The grip portion 300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haft 200, and provides a grip region in which the practitioner can stably grasp. And may be a wood or metal material having constant rigidity. And is preferably made of a polymer material, particularly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easy to grasp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is is to practice swing with stable grip.

그림부(300)는 그 내부에 진동수단(310)과 진동수단(3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320)가 내장될 수 있다. 진동수단(310)은 후술하는 감지수단(140)으로부터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될 수 있다.
The painting unit 300 may include a vibrating unit 310 and a battery 320 for applying power to the vibrating unit 310. The vibration means 310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the corresponding signal from the sensing means 140 described later.

{길이조절부}{Length adjustment section}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길이조절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length adjust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길이조절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A length adjusting unit 400 may be provided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haft 200. [

길이조절부(400)가 구비될 경우는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length adjuster 400 is provided, the shaft 200 has a hollow pipe-shaped first shaft 210 and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haft 210 so as to be movable into the first shaft 210, May include a small second shaft 220.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샤프트(210, 220)의 외주면에는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손잡이(41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410)는 제1 또는 제2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샤프트(220)의 외경보다 내경이 큰 제1샤프트(210) 내부에서 회전되며 이동가능한 회전체(420), 회전체(420)의 일측을 둘러싼 고정체(430) 등을 구비한다.The handle 41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10 and 220 to allow rotation of either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For this purpose, the handle 410 may be fixed to either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A rotating body 420 which is rotatable within the first shaft 210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220 and a fixing body 430 surrounding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420.

회전체(420)는 가이드돌기(421), 편심바디(422), 편심마디(422)에 의하여 형성된 편심홈부(423) 및 연결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420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421, an eccentric body 422, an eccentric groove portion 423 formed by the eccentric knuckle 422, and a connecting portion 424.

회전체(420)는 그 중심(O)으로부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편심바디(422)를 갖는다. 편심바디(422)를 중심으로 양단에는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서 슬라이딩되되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돌기(421)를 갖는다. 양단에 가이드돌기(421)가 구비된 편심바디(422)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와 마주보는 또 다른 가이드돌기 사이에는 편심홈부(423)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에는 제2샤프트(2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424)가 구비된다.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부(424)의 외주면에 돌출부(425)가 구비되며, 돌출부(42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샤프트(220)의 내측에는 수용홈(22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를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부와 수용홈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424)와 제2샤프트(2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어떤 체결방식이든 무방하다.The rotating body 420 has an eccentric body 422 having a different diameter from the center O thereof. Both ends of the eccentric body 422 are sli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and have guide protrusions 421 so as not to be shaken. Due to the eccentric body 422 provided with the guide protrusions 421 at both ends, an eccentric groove portion 423 is naturally formed between any one guide protrusion and another guide protrusion facing each other. A connecting portion 424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any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421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econd shaft 220. A protrusion 425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424 in order to fix the connection portion 424 and the second shaft 220. The protrusion 42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220, A groove 221 may be provided. In order to fix the connection portion 424 and the second shaft 220,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groove may be reversely formed. Or any fastening method for securely securing the connecting portion 424 and the second shaft 220.

한편, 제2샤프트(220)가 제1샤프트(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제1샤프트(210)의 단부측에는 차단벽(211)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11)은 가이드돌기(421)의 외측면에 닿음으로써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제2샤프트(2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blocking wall 211 may be form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shaft 210 so that the second shaft 220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shaft 210. The blocking wall 211 can prevent the second shaft 2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421.

편심홈부(423)에는 그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 호 형상의 고정체(430)가 구비된다. 고정체(430)에는 그 내주면이 편심바디(422)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고정몸체(431)가 구비되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432)가 구비된다.The eccentric groove portion 423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fixing body 430 whose shape gradually increases in thickness. The fixing body 430 is provided with a fixing body 431 who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o be 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ccentric body 422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32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431.

손잡이(410)를 통하여 제1샤프트(21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그 내부에 구비된 회전체(4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회전체(420)의 편심홈부(423)에 면접된 고정돌기(432)는 편심바디(422)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 맞닿으면서 편심바디(422)가 편심되어 있음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가압한다. 이로써 위치가 고정된다.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가압하던 고정돌기(432)의 힘이 떨어진다.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진다.When the first shaft 210 is rotated through the knob 410 in either one direction, the rotating body 420 provided therein is relatively rotated. The fixing protrusion 432 in contact with the eccentric groove portion 423 of the rotating body 420 abut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first shaft 210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eccentric body 42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is pressed. This fixes the position. The force of the fixing protrusion 432 which press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first shaft 210 falls. The length of the shaft 200 can be adjusted.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가상으로 골프채 예를 들면, 드라이버, 아이언, 웨지별 스윙 연습이 가능해진다.
Since the length of the shaft 200 is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practically swing a golf club, for example, a driver, an iron, and a wedge.

{샤프트 길이조절}{Adjust shaft length}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샤프트(210, 220)로 양분된 샤프트(2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대략 중앙부에 구비된 손잡이(41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손잡이(410)의 회전에 따라 제1 또는 제2샤프트(220)가 회전된다. 내부에 위치한 회전체(4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에 면접되어 고정되었던 고정돌기(432)가 풀린다. 제2샤프트(220)를 원하는 길이만큼 제1샤프트(210)의 내측으로 밀어넣거나, 뺌으로써 전체적으로 샤프트(200)의 길이가 조정된다. 이후 손잡이(4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측을 고정돌기(432)가 가압하면서 고정된다.The knob 410 provided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s rotated to one sid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haft 200 di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shafts 210 and 2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r second shaft 22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nob 410. The fixing protrusion 432, which has been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and fixed, is released as the rotating body 420 located inside is relatively rotated. The length of the shaft 200 is adjusted as a whole by pushing or pushing the second shaft 220 to the inside of the first shaft 210 by a desired length. The fixing protrusion 432 press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first shaft 210 while rotating the handle 420 in the opposite direction.

정확한 길이조절을 위하여 제2샤프트(220)의 외주면 측에 해당 골프채별로 표시를 해둘 수 있다.
For accurate adjustment of the length, each golf club may be mark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220.

{스윙 속도 훈련}{Swing speed training}

다운스윙되는 배트의 스윙 속도를 더 빠르게 연습하기 위하여 메인자성체(133)측에 자성결합된 제1이동체(131)측에 자성을 강화시킨다. 메인자성체(133)가 구비된 부분에 보조자력인가부(160)로 조절가능하다.The magnetic force is strengthened on the side of the first moving body 131 magnetic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in magnetic body 133 in order to exercise the swing speed of the bat down swing more rapidly. And the auxiliary magnetic force applying portion 160 is adjustable in a portion where the main magnetic body 133 is provided.

보조자성체(162)가 메인자성체(133) 측으로 보다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161)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제1이동체(131) 측으로 인가되는 자력이 강화된다. 그 반대의 경우 제1이동체(131) 측으로 인가되는 자력은 메인자성체(13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게 될 것이다.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61 is rotated to one side so that the auxiliary magnetic body 162 can be closer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side. As a result,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first moving body 131 is strengthened. In the opposite case,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first moving body 131 side will be affec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in magnetic body 133.

보조자성체(162)에서 제1이동체(131) 측으로 자력이 더 인가되는 경우 보다 빠른 스윙을 통하여 제1이동체(131)가 메인자성체(133)로부터 떨어지게 될 것이므로 스윙 속도를 높이는 훈련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e first moving body 131 will be detached from the main magnetic body 133 through the swing faster than when the magnetic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first moving body 131 from the auxiliary magnetic body 162, will be.

{백스윙}{Backswing}

도 12(a)를 참고하면, 연습자가 연습시 백스윙 탑 부분에 이를 때 제1이동체(131)는 금속판(132)을 떠나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또한,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된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는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Referring to FIG. 12 (a), when the practitioner reaches the top of the backswing during practice, the first moving body 131 leaves the metal plate 132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Further, the second moving body 142 is moved by its own weight.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second sensor 145 sequenti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the control board 147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vibration means 310 can be operated. Vibration is sensed in the hands of the practitioner as the vibrating means 310 is actuated.

{임팩트}{impact}

도 12(b)를 참고하면, 연습자가 다운스윙을 거쳐 임팩트시에는 제2센서(145) 및 제1센서(144)순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에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 임팩트시에는 제1이동체(131)가 금속판(132)을 타격함에 따라 충돌음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12 (b), the practitioner sens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in the order of the second sensor 145 and the first sensor 144 in the downward swing. At this time, the control board 147 may not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vibration means 310. This is because impact noise is generated when the first moving body 131 hits the metal plate 132 at the time of impact.

임팩트시 제어보드(147)는 제2이동체(142)가 제2센서(145)를 떠나 제1센서(144) 측으로 이동한 속도를 계산한다. 이동속도는 제어보드(147)에서 골프공이 골프채에 타격되어 날아가는 비거리로 환산된다. 환산된 비거리가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된다.The control board 147 calculates the speed at which the second moving body 142 moves from the second sensor 145 to the first sensor 144 side at the time of impact. The moving speed is converted into the flying distance at which the golf ball is blown on the golf club by the control board 147. The converted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팔로우스루)(Follow through)

도 12(b)를 참고하면, 임팩트를 지나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로 진행될 때 제1이동체는 금속판(132)을 떠나 메인자성체(133)에 자성결합된다. 제2이동체(142)는 자중에 의하여 근접하고 있던 제1센서(144)를 떠나 제2센서(145)측에 다다른다.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에서 순차적으로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대 제어보드(147)는 진동수단(3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진동수단(310)이 작동됨에 따라 연습자의 손에서 진동이 감지된다.
Referring to FIG. 12 (b), when proceeding to follow through and finish through the impact, the first moving body leaves the metal plate 132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in magnetic body 133. The second moving body 142 leaves the first sensor 144 which has approached due to its own weight and reaches the second sensor 145 side. When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second sensor 145 sequential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the control board 147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vibration means 310 can be operated. Vibration is sensed in the hands of the practitioner as the vibrating means 310 is actuated.

10 : 감지수단 20 : 진동수단
30 : 연결부재 40 : 라이각표시수단
100 : 헤드부 200 : 샤프트
300 : 그립부 400 : 길이조절부
10: sensing means 20: oscillating means
30: connecting member 40: lie angle display means
100: head part 200: shaft
300: grip part 400: length adjusting part

Claims (8)

골프채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배터리(23);
상기 배터리(23)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θ)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41); 및
측정된 상기 라이각(θ)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A connecting member (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golf club;
A battery 23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 lie angle measuring unit 41 for measuring the lie angle? At the address of the practitioner, the power being applied by the battery 23; And
And a display unit (42) for allowing the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measured lie angl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각측정부(41)는 상기 라이각(θ)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42)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상기 라이각(θ)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44)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yophil measuring unit 41 further includes a zero point adjusting unit 43 for adjusting the zero point of the lie angle?
Further comprising an analog leveling unit (4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42) with water droplets (44)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confirm the lie angle (?) At the time of addres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하여 고정되며 자중에 의하여 낙하는 이동체(12); 상기 이동체(12)가 내부에 수용되어 자중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본체(11); 및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센서유닛(13)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체(12)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
상기 감지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감지수단(10)으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A moving body (12) fixed by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falling by its own weight; A hollow main body 11 in which the moving body 12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s freely movable by its own weight; And a sensor unit (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for sensing movement of the mobile body (12), the sensing means (10) detecting movement of the mobile body (12).
And an oscillating means (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nsing means (10) for generating a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a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means (10).
샤프트(200);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100); 및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연습자의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그립부(300);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배터리(150);
상기 제1배터리(150)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연습자의 어드레스시 라이각을 측정하기 위한 라이각측정부(171); 및
상기 라이각을 상기 연습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A shaft 200; A head part (10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haft (20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grip part (300)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200) and gripped by the hands of a practitioner, the golf swing practice bat comprising:
A first battery 150 disposed inside the head unit 100;
A lyocyte measuring unit 171 for applying power to the first battery 150 and measuring a lie angle at an address of an practitioner; And
And a display unit (D) for allowing the practitioner to visually confirm the lie ang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각측정부(171)는 상기 라이각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영점조절부(17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D)의 일측에는 어드레스시 상기 연습자가 라이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물방울이 구비된 아날로그 수평계(1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e angle measuring unit 171 further includes a zero point adjusting unit 172 for adjusting the zero point of the lie angle,
Further comprising an analog leveling unit (17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D) with water droplets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confirm the lie angle during addres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0)는 중공된 파이프 형상의 제1샤프트(210) 및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제2샤프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20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400)는,
상기 제2샤프트(220)의 일단과 고정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회전체(420); 및
상기 회전체(420)에 구비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 면접되어 고정되는 고정체(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aft 200 includes a first shaft 210 having a hollow pipe shape and a second shaft 220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haft 210 so as to be movable into the first shaft 210. [ / RTI >
The shaft 200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ing unit 400,
The length adjuster 400 includes:
A rotating body (420)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shaft (220) and sliding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ody (430)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420)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when being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20)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는 내경을 갖음으로써 편심된 편심바디(422); 상기 편심바디(422)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샤프트(2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421); 및 상기 가이드돌기(421)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돌기(42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샤프트(220)와 고정되는 연결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430)는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두께가 점증되는 고정몸체(431); 및 상기 고정몸체(43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돌기(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otating body 420 has an eccentric body 422 having an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rotating body 420; A pair of guide protrusions (42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body (422) and sli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210); And a connection part (424) protruding outside the guide protrusion (421) of one of the guide protrusions (421) and fixed to the second shaft (220)
The fixing body 430 has a fixed body 431 whos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 gradually increase with respect to a virtual center.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43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dy (43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연습자가 스윙 연습 중 임팩트시점을 알 수 있도록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알림수단(130); 및
상기 알림수단(1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 시점을 알 수 있도록 진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중공된 형상을 갖으며 밀폐된 형상의 통체(141); 상기 통체(14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2이동체(142); 및 상기 제2이동체(142)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체(141)의 양단측에 구비되는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 상기 제1센서(144) 및 제2센서(145)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2이동체(142)의 이동속도를 계측하며, 계측된 이동속도를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제어보드(147);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d portion 100
A notification means (130) for generating a crash soun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know the impact time during the swing practice; And
A tubular body 141 having a hollow shape and provided in a side of the informing means 130 and having a hollow shape for generating vibration to allow the practitioner to know the backswing and finish time of the practitioner; A second moving body (142) which is freely movable in the inside of the cylinder (141); And a first sensor (144) and a second sensor (14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41) for sensing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 control board 147 for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moving body 142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sensor 144 and the second sensor 145 and converting the measured moving speed into a virtual golf ball distance ≪ / RTI >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means including a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golf swing.
KR1020140061992A 2014-05-23 2014-05-23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KR101646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en) 2014-05-23 2014-05-23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en) 2014-05-23 2014-05-23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71A true KR20150134771A (en) 2015-12-02
KR101646558B1 KR101646558B1 (en) 2016-08-08

Family

ID=5488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992A KR101646558B1 (en) 2014-05-23 2014-05-23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7599A (en) * 2018-08-03 2020-04-01 Eaton Intelligent Power Ltd Dynamic alignment aid for use on golf club grips
KR20210002065U (en) * 2020-03-09 2021-09-17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ining golf
KR200494400Y1 (en) * 2021-01-18 2021-10-06 김수언 Line-Laser for calibration Aiming and Feet Pos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188A (en) * 2003-07-15 2005-02-10 Tetsuya Miyamoto Golf swing practicing machine
KR20080009776A (en) * 2008-01-09 2008-01-29 태원근 Golf swing navigator
KR100982482B1 (en)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A training golf bat within a weight which is possible to control top timing, impact timing and finish timing
KR20130000237A (en) * 2011-06-22 2013-01-02 (주) 골프존 Golf club, grip provided to the same and electiric powe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to a electronic deivce equipped to golf club
KR101240495B1 (en) * 2012-04-26 2013-03-11 이원기 Lie measuring instrument for golf club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188A (en) * 2003-07-15 2005-02-10 Tetsuya Miyamoto Golf swing practicing machine
KR20080009776A (en) * 2008-01-09 2008-01-29 태원근 Golf swing navigator
KR100982482B1 (en)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A training golf bat within a weight which is possible to control top timing, impact timing and finish timing
KR20130000237A (en) * 2011-06-22 2013-01-02 (주) 골프존 Golf club, grip provided to the same and electiric powe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to a electronic deivce equipped to golf club
KR101240495B1 (en) * 2012-04-26 2013-03-11 이원기 Lie measuring instrument for golf club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7599A (en) * 2018-08-03 2020-04-01 Eaton Intelligent Power Ltd Dynamic alignment aid for use on golf club grips
KR20210002065U (en) * 2020-03-09 2021-09-17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ining golf
KR200494400Y1 (en) * 2021-01-18 2021-10-06 김수언 Line-Laser for calibration Aiming and Feet Position
WO2022154620A1 (en) * 2021-01-18 2022-07-21 김수언 Line laser for correction of aiming and feet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58B1 (en)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58B1 (en) Golf Swing Training Assist Bat
US5087047A (en) Golf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081469B1 (en) Unit for correcting golf swing movement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golf swing movement having the same
KR101513473B1 (en) Golf Swing Training Bat
US20150258402A1 (en) Baseball batting trainer
KR100936095B1 (en)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KR101646558B1 (en)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US7722485B2 (en) Tennis serve ball machine cum training device
CA3017037A1 (en) Signaling device and implement
US20170007897A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KR20110008189U (en) Portable device and set for training golf
KR101612899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1263256B1 (en) Golf training device having a swing-analysis function
WO2014178604A1 (en) Bat for practicing golf swing
KR101355882B1 (en) Apparatus for training swing
JP6297662B1 (en) Golf swing practice bat
WO2014178609A1 (en) Golf swing practice aid
KR100502544B1 (en) An Apparatus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Club
KR100977320B1 (en) Multi-Purposed Training Device For Golf
JP2011083356A (en) Swing practicing device
KR101081473B1 (en) Unit for correcting golf swing movement
KR20160142623A (en) Golf games and golf practice combined impact power measuring system
KR101076290B1 (en) Apparatus for guiding golf swing
KR200473338Y1 (en) Golf Swing Practice Unit
KR101851461B1 (en) Golf training aid with laser di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