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488A -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488A
KR20150134488A KR1020140060975A KR20140060975A KR20150134488A KR 20150134488 A KR20150134488 A KR 20150134488A KR 1020140060975 A KR1020140060975 A KR 1020140060975A KR 20140060975 A KR20140060975 A KR 20140060975A KR 20150134488 A KR20150134488 A KR 20150134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registrant
authentication
authent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488A/ko
Publication of KR2015013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에 있어서, 터치 유닛을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상기 저장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Keywo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터치 유닛을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정확한 시점에 광고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특정 광고 대상에 대하여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될 시점을 특정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에 대부분의 광고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광고 노출을 통해 광고의 효과가 발휘되기를 기대한다.
한편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시점은, 광고 대상이 광고 매체에 자신의 동원 가능한 모든 감각(예컨대, 시각, 청각, 촉각 등)을 총동원하여 광고 매체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스스로 인지하고자 신경 쓰고 있는 시점일 것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 광고가 노출되게 되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광고 노출이 아니더라도, 단 한번의 광고에도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시점을 특정하기란 사실상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유닛을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에 있어서, 터치 유닛을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상기 저장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버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지정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무선단말에 터치되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과에 대응하는 터치가 인식된 무선단말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개수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형상의 터치 면이 터치되는 형상 터치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에 터치 시점의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카메라 촬영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서버 상에서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서버와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하여 인식 또는 인증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 정보를 지정된 검색엔진에 적용하여 획득되는 검색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단말에 터치 유닛이 압인식으로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든 감각이 터치 유닛이 압인될 자신의 무선단말에 총동원되고 있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특정 키워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모든 감각이 자신이 들고 있는 무선단말에 총동원되고 있는 상태에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 또는 컨텐츠에 노출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을 이용한 키워드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유닛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 유닛에 내장되는 전자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위한 등록자의 운용장치의 구성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위한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을 위한 조건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컨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을 이용한 키워드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을 이용한 키워드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인증을 이용한 키워드 운영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키워드 운영 시스템은,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가 이용하는 운용장치(500)와 통신 가능하고,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200)과 통신하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리적 명칭이나 이를 구현하는 기관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다수의 등록자와 제휴된 사업자 측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서버 또는 통신사 서버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지정된 터치를 구현하는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가 운용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등록자의 컴퓨터, 노트북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유선단말, 등록자의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무선단말(500), 상기 등록자가 운영하는 서버장치(예컨대, 등록자가 기업/기관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은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는 지정된 터치를 구현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도장 형태로 제작되어 압인식으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는 대상 확인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상기 저장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키워드 제공부(115)와,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부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과 운영 서버(100) 중 적어도 일 측(또는 양 측 조합)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각종 구성부가 구비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 내지 도면6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회원 정보,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 구비된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키워드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요청이나 또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를 통해 언제든 변경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키워드 정보는 지정된 정책(예컨대, 등록자가 광고주인 경우에 등록자가 등록한 광고 프로모션 정책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로 운영 서버(100)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625)에 저장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운영 서버(100) 상의 구성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로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무선단말(200)에 분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300)를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사운드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위치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근거리 통신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근접 통신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가 자신이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를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해주면, 도면2 내지 도면6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된다.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로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대상으로 확인한다.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할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키워드 제공부(115)는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수신된 키워드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 중 키워드 입력 영역에 상기 키워드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키워드 입력 영역이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한 프로그램(215)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215)과 연동 가능한 앱의 키워드 입력 영역을 그 대상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지정된 검색엔진의 검색어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적용하여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한다.
도면2a 내지 도면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200)과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 내지 도면2f는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과 이를 구동하는 무선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a 내지 도면2f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3)와 화면 출력부(204)와 터치 입력부(205)와 키 입력부(206)와 사운드 출력부(207)와 사운드 입력부(208)와 카메라부(209)와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위치 측위부(211)와 USIM 리더부(2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선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 구성을 본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투명 재질의 터치패드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과 매핑된 특정 좌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터치 입력 값과 인터페이스 화면을 매칭하여 지정된 명령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Capacitive Touch)를 지원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한다.
정전식 터치는 정전기에 의한 전하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한다. 사람의 손가락으로 정전식 터치패드를 터치하는 경우에 사람의 몸에 있는 정전기에 의해 정전식 터치패드에 전하의 변화가 발생하고,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를 확인하여 터치 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터치에 의해 전화의 변화가 발생하는 좌표는 해당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점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좌표 영역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패드를 터치하는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과 터치패드 상이에는 일정한 면적의 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화의 변화는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정전식 터치는 이와 같은 좌표 영역의 스칼라를 판독하여 터치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에 의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하량이 변화한 좌표 값들의 중심 값을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통해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다중 터치(Multi-Touch)를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터치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가 둘 이상인 터치를 의미하다. 즉,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 상에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라고 이를 각각의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방식이 정전식 터치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다중 터치를 지원하는 터치 방식이라면 정전식 터치 이외에 다른 다양한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다중 터치를 지원하기 위해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터치 점들을 각기 구별하여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터치 점 간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둘 이상의 좌표 영역이 근접해 있을 경우 각 좌표 영역과 좌표 영역 사이의 경계를 확정하기기가 난해해진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각 좌표 영역과 좌표 영역 사이의 경계를 확정하기 위해 각각의 좌표 영역을 서로 다른 좌표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지정된 도량형의 길이 단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1.5cm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터치패드를 통해 1.5cm 미만의 거리에서 둘 이상의 터치 입력이 인식되더라도 이를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다중 터치를 지원하기 위해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복수의 터치 점 중에서 최대로 인식 가능한 M(M≥2)개의 최대 다중 터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터치패드의 전체 좌표 영역이 디스플레이 크기 이내로 제한되고 터치 점은 좌표 영역을 기준으로 인식되므로, 제한된 전체 좌표 영역 내에서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는 특정 개수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예를들어,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최대 다중 터치 개수가 11개 이내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최대 11개까지의 터치 점은 인식 가능하지만, 12번째 터치 점은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 가능한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터치 인식 민감도에 따라 유효 터치로 인식할 최소의 좌표 영역 면적이 필요하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작을 수록 터치 인식 민감도는 향상되지만 반대로 터치 인식에 필요한 면적이 감소하므로 오인식이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한편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클 수록 터치 인식 민감도는 감소하지만 반대로 터치 인식에 필요한 면적이 증가하므로 오인식이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면적이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 이상인 경우에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은 지정된 도량형의 면적 단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0.5㎠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터치패드를 통해 터치된 면적이 0.5㎠ 미만인 터치는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 가능한 최대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터치패드를 사람의 볼에 데거나 또는 터치패드에 손바닥을 얹거나 만지는 행위에 의해서도 전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하의 변화는 실제로 터치 입력을 위한 행위가 아니라 다른 행위를 하는 가운데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이와 같은 전하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터치 입력에서 예외 처리하기 위해 최대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터치 면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 터치(Shape Touch)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는데, 이와 같은 좌표 영역은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전화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형상 터치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206)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7)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209)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 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단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에 적용되는 통신 규격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가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나 이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반이중 방식 또는 전이중 방식의 근접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2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215)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지정된 절차(예컨대, 메시지 수신 또는 NFC 인식 등)에 따라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하는 회원 모듈(220),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프로그램 인증 모듈(225),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230), 상기 인식된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터치 인증 모듈(240),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식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동적 인증 모듈(245) 및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 또는 터치 인증과 동적 인증을 결합한 결과를 근거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또는 지정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키워드 서비스 모듈(275)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프로그램모듈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명명된 것으로, 실제로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술된 프로그램모듈로 모듈화되어 구현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단말(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215)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상술된 프로그램모듈에 대응하는 기능 구성이 구현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침해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모듈 중 일부 프로그램모듈은 당업자에 의해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음도 밝혀두는 바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생략이나 변형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운드 인증 모듈(250),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 인증 모듈(255),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카메라 인증을 수행하는 카메라 인증 모듈(260),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근접 통신(예컨대, NFC 등) 인증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모듈 또는 둘 이상의 인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와 매칭되는 특정 인증 대상을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 인증 대상에 대한 유효성을 1차 인증하는 프로그램모듈이라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에 의해 식별된 특정 인증 대상을 2차 인증하는 프로그램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인증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을 이용한 특정 인증 대상의 식별과 1차 인증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인증 대상의 식별과 1차 인증 및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을 이용한 2차 인증이 결합된 형태로 고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에 포함되는 각 인증 모듈의 2차 인증의 역할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자동으로 실행(예컨대, 무선단말(200)의 부팅과 동시에 실행, 또는 무선단말(200)의 스케줄러에 의해 실행)되어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형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대기화면(또는 배경화면)을 점유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은 TSR 형태 또는 대기화면(또는 배경화면) 상태에서 터치 입력부(205)에 의한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가 아닌 일반 터치를 해당 터치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215)은 터치 입력부(205)를 이용한 터치를 우선적으로 인식하여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내부적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일반 터치는 운영체제로 반환하여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회원 모듈(220)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무선단말(200)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가입 절차부(221)와, 상기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인증 절차부(22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225)을 이용한 프로그램 인증을 기반으로 회원 인증 없이도 키워드 운영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경우에 상기 회원 모듈(220)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1)는 상기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회원 가입 절차와 연동하는 프로그램(215) 내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IPIN정보 등)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1)는 상기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가입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회원 인증 절차부(222)는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회원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인증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회원 모듈(220)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의 단말 측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그램(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값이 설정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고유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고유 값을 기반으로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지정된 키 교환 프로토콜에 따른 키 교환 절차를 거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토큰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지정된 경로에 따라 상기 토큰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지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따라 해시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해시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유효한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교환된 키 값을 더 이용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인증서 발급 또는 로밍 절차에 따라 인증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상기 인증서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이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운영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을 수행하는 과정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 또는 SE(Secure Element,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IC(Integrated Circuit)칩, 외부 메모리(예: SD메모리 등)의 내장 칩 중 적어도 하나의 보안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를 통해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 또는 유지하는 과정에서 통신사 측 자원에 의해 할당된 고유 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도면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N(N≥2 또는 N≤M)개의 터치 점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터치 영역 표시부(231a)와,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인증이 사운드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릴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터치 점의 개수는 ??N=1??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터치 영역 표시부(231a)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부(205) 상의 지정된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영역 내 좌표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시 터치(Simultaneous Touch or Synchronous Touch)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다중 터치 점에 대하여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이 성립되는 터치이다.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은,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을 포함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터치 점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개수 ??N??개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들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동시 터치로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가 ??N=4??로 지정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경우에만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의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 면적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의 면적이 16㎠이고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4각형의 면적이 상기 16㎠보다 작은 9㎠이내라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기준 시간 내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1ms 이내에 모두 터치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4개의 터치부(335)가 구비되고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지정된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이는 4개의 터치부(335)와 함께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기계적으로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압인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 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자이로센서 등)를 통해 1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4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더라도 4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4회 터치한 것일 수 있으므로,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도장을 찍는 사람들의 행동 패턴(즉,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도장 찍는 행동 패턴) 상,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의 특성 상,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상태에서 각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하는 과정에서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N개의 터치부(33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가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과정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에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를 이격시키는 구성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과정에서 각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다중 터치 점이 상기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판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 가능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점은 지정된 터치 상태 조건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동시 다중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고정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정적 터치 상태 조건,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 조건과 반대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동적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동시 터치 점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는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동시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ms) 내에 동시에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들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N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간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즉,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직각 방향으로 도장 찍듯이 터치한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시간을 카운트할 필요도 없이 동시에 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영역에 도장 찍듯이 터치하더라도,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도장 찍는 방향이 직각 방향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 중 일부의 터치부(335)가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먼저 터치되고 나머지 터치부(335)가 이어서 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들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동시 터치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에 의해 동시 터치된 것으로 인증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터치 상태 값을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즉, 사람들이 종이에 도장을 찍을 경우 습관적으로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도장을 누르고 있는 행동 패턴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도장 찍는 행동 패턴이 유발되고 있는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시점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해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해제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적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각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시간 동안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즉, N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 내에서 터치부(335)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도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는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동안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유닛(300)를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205)와 압인력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N개의 터치부(335)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이내(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들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될 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와 같은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되더라도, 각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동적 터치 상태인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의해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 유닛(300)는 N개의 터치부(33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기계적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압인력에 의해 발생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모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과정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이 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는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이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위치 변경만 상기 동적 터치 상태에 대응하는 지정된 규칙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에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하거나 또는 반복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여 이용하는 형태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증 모듈(240)은,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해 동시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는 동시 터치 판독부(241a)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미리 지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215) 코드 형태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를 통해 추출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미지화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에 의해 판독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증부(242a)로 제공하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확인된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형상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터치 영역 표시부(231b)와,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에 터치되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형상 터치 인식부(232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영역 표시부(231b)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부(205) 상의 지정된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영역 내 좌표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상 터치(Shape Touch)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터치 면에 대하여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이 성립되는 터치이다.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의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 면적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의 면적이 16㎠이고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되는 면의 면적이 상기 16㎠보다 작은 9㎠이내라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기준 시간 내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1ms 이내에 모두 터치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진 1개의 터치부(335)가 구비되고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터치부(335)가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지정된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이는 터치부(335)와 함께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기계적으로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압인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 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자이로센서 등)를 통해 1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도장을 찍는 사람들의 행동 패턴(즉,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도장 찍는 행동 패턴) 상,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은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면이 상기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한다.
한편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 가능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면은 지정된 터치 상태 조건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고정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정적 터치 상태 조건,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 조건과 반대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동적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는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는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b)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동시에 터치된 면인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ms) 내에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인지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근거로 상기 터치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경우에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인식되는 시간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즉,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직각 방향으로 도장 찍듯이 터치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면은 시간을 카운트할 필요도 없이 동시에 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상기 형상 터치 면을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형상 터치 면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면을 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영역에 도장 찍듯이 터치하더라도,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도장 찍는 방향이 직각 방향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 중 일부의 면이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먼저 터치되고 나머지 면이 이어서 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동시에 터치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에 의해 동시에 터치된 것으로 인증된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터치 상태 값을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즉, 사람들이 종이에 도장을 찍을 경우 습관적으로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도장을 누르고 있는 행동 패턴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도장 찍는 행동 패턴이 유발되고 있는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시점부터 상기 형상 터치 면이 터치 해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해제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다면, 상기 터치 면은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적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에 대한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면이 터치된 시간 동안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즉,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의 터치부(335) 형상이 변경되지 않은 한,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도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된 동안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유닛(300)를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205)와 압인력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터치부(335)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이내(예컨대,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더라도 형상 터치 면들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될 뿐,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은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와 같은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되더라도,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동적 터치 상태인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적 터치 상태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의 형상이 변경 또는 회전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모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면이 터치되는 과정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이 때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은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형상 터치 면에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제1 내지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하거나 또는 반복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여 이용하는 형태로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증 모듈(240)은,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는 형상 터치 판독부(241b)와, 상기 패턴 인식 값을 근거로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미리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는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를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이미지화하여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215) 코드 형태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를 통해 추출된 패턴 인식 값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이미지화한 형상 터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에 의해 판독된 패턴 인식 값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증부(242b)로 제공하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로부터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확인된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인증 또는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d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사운드 인식부(251)와, 상기 인식된 사운드가 미리 지정된 사운드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사운드 인증부(252)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독립적으로 사운드를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운드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인식 및 인증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터치 유닛(300)가 위조 또는 변조 또는 복제되지 않은 진성 장치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인식 및 인증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장치(예컨대,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사운드 신호는 터치 유닛(3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사운드 신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사운드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사운드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을 인증하는 인증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사운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5 사운드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신호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사운드장치를 통해 발생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지정된 버퍼 메모리에 버퍼링(Buffering)되며,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접근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형태의 사운드 신호음(예컨대, 부저 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신호음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의 지정된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을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지정된 사운드 패턴(예컨대, 지정된 음성(예: 화자가 발성한 분절음 소리), 음원(예: 악보에 따라 악기를 통해 연주된 음악, 악보에 따라 화자가 발성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사운드 패턴을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코드는 가청주파수 또는 비가청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에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부호화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사운드 신호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가 직접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될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하여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되는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코덱으로 엔코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되며, 음성녹음을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가 지원하는 코덱 중에서 상기 사운드장치에서 상기 사운드코드를 엔코딩한 규칙과 동일한 규칙의 코덱으로 엔코딩되거나, 또는 최소한 상기 사운드코드가 훼손되지 않는 코덱으로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버퍼링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코드로부터 획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코드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를 통해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사운드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d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위치 인증 모듈(255)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측위된 위치 데이터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256)와, 상기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위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위치 인증부(257)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위치 인증 확인부(258)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위치 인증 모듈(255)은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와 만날 예정이거나 또는 만난 상태를 인증하거나, 또는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터치 유닛(300)가 위치함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GPS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실시간 측위하거나 또는 마지막으로 측위된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위치 인식부(256)는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실시간 측위되거나 또는 획득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와 비교될 기준 위치, 위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위치(예컨대, 등록자의 무선단말(500)을 통해 확인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자가 이동하여 터치 유닛(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운영 서버(100) 또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될 수 잇다.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기준 위치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는 상기 위치 인증부(257)를 통해 수행된 위치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위치 인증부(257)로 제공하며, 상기 위치 인증부(257)로부터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위치 인증 모듈(255)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식부(256)를 통해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위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e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카메라 인증 또는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e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261)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이미지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이미지 인증부(262)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이미지 인증 결과 확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독립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여 이미지 인증부(26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메라 인증 모듈(260)은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와 만난 사용자가 지정(또는 유도)된 특정 행위(예컨대,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행위 또는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주문하는 행위 등)를 했음을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인증은 이와 같은 행위와 연동되는 인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지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매체(예컨대,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POS 단말, CAT,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인쇄방식으로 표시하는 터치 유닛(300)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이용하여 지정된 이미지매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유도에 따라 지정된 조작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의 결과로서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상기 이미지매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예컨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 코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코드 방식, 데이터매트릭스 방식, 맥시코드 방식, PDF417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코드가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이미지는 로고, 문양, 기호, 사진, 도안 중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이미지 패턴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장치(예컨대,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POS 단말, CAT,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터치 유닛(300)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이미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이미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이미지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이미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기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이미지매체를 통해 전자적 또는 인쇄방식으로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지정된 버퍼 메모리에 버퍼링 되며,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접근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미지 인증부(262)로 전달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는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를 통해 수행된 이미지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코드 정보,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을 해석한 코드 정보 등)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이미지 인증부(262)로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이미지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e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근거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와,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독립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인식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터치 유닛(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터치 유닛(300)가 위치함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장치(예컨대, 등록자가 위치한 장소의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인증 데이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근거리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근거리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근거리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장치는 상기 인증 데이터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상기 근거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 전달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보안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지정된 암호화 규칙에 따라 암호화되며,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복호화되거나, 또는 운영 서버(100)(또는 지정된 서버)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수행된 인증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 제공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를 통해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접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근접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근접 통신 인식부(271)와,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근접 통신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를 구비하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독립적으로 근접 통신을 인식하여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터치 유닛(300)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터치 유닛(300)가 위조 또는 변조 또는 복제되지 않은 진성 장치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접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접장치(예컨대,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 또는 RF카드, 비접촉식 IC카드, NFC카드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1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인증 데이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접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근접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접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근접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근접장치로부터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장치는 상기 인증 데이터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상기 근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여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 전달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근접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보안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지정된 암호화 규칙에 따라 암호화되며,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복호화되거나, 또는 운영 서버(100)(또는 지정된 서버)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수행된 인증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 제공하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를 통해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키워드 서비스 모듈(275)은, 상기 무선단말(200), 프로그램(215),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인증 모듈(240)을 통해 수행된 터치 인증의 결과, 또는 상기 터치 인증 모듈(240)과 동적 인증 모듈(245)을 통해 수행된 터치 인증과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인증 결과를 근거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또는 지정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키워드 서비스 모듈(275)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워드 서비스 모듈(275)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입력된 키워드 입력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유닛(300)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3은 사람의 손으로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터치패드에 동시에 터치시키는 터치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유닛(3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구조가 변형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유닛(300)을 도장 형태의 물건으로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터치유닛(300)에 대한 구조적 특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의 터치유닛(300)은 도장 형태 유지에 필요한 일부 구성을 제외한 터치부 등을 포함하는 모듈의 형태로 제작되어 손에 쥐거나 휴대 가능한 다양한 물건(예컨대, 카드, 액세서리 등)에 탑재/내장되는 형태, 또는 도장 형태의 물건 외에 손에 쥐거나 휴대 가능한 다양한 물건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의 (a)는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의 터치 유닛(300)의 외형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3의 (b)는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한 경우의 터치 유닛(300)의 외형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3의 (c)는 상기 도면3의 (b)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압인력이 가해진 경우의 터치 유닛(300) 절단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3의 (a)와 (b)를 참조하면, 터치 유닛(300)는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쥠 모듈과,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터치될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를 보호하는 하우징부(310)와, 사람의 손으로 쥠 모듈을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에 일정한 이격 거리만큼 압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압인을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3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쥠 모듈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상화된 구성의 총칭으로서, 도장 찍듯이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쥘 수 있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관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쥠 모듈은 정전식 터치를 위해 사람의 몸에 충전된 전하를 터치부(335)까지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최소한 사람의 손과 접촉하는 부분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내부에 터치부(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하 충전부(445)(예컨대, 배터리, 슈퍼콘덴서 등)가 구비된 경우, 상기 쥠 모듈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쥠 모듈의 내부에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동적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310)는 터치패드에 터치될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가 오염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그 내부에 압인 구현부(315)와 터치부(335) 및 프레임(330) 등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인 구현부(315)의 탄성부(325)에 의해 상기 터치부(335)가 오염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상기 압인 구현부(315)는 사람의 손으로 쥠 모듈을 손에 쥐고 터치패드에 압인할 경우에 일정한 이격 거리만큼 슬라이딩되어 압인되고 있는 느낌을 사람의 손으로 전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도면3의 (c)와 같이 압인력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20)와,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325)(예컨대,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325)는 압인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또는 해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터치부(335)를 바닥에서 일정 거리만큼 공중으로 뛰어 오염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부(310)의 내부에는 쥠 모듈과 N개의 터치부(335) 또는 지정된 형상의 터치부(335)를 고정 및 연결하는 프레임(33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30)은 정전식 터치를 위해 상기 쥠 모듈과 터치부(3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최소한 적어도 일 부분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쥠 모듈과 터치부(3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내부에 터치부(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하 충전부(445)가 구비된 경우, 상기 프레임(330)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터치부(33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구성을 총칭으로서, 정전식 터치를 위해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터치패드와 터치하는 면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33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터치패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 또는 반연성의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부(335)는 프레임(330)을 통해 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 내부에 구비되는 전하 충전부(4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335)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터치부(335)를 금속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유리 재질의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시점에 터치스크린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금속성 재질의 터치부(335)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상기 터치부(335)의 정전 변화 유도를 전달하여 충격량을 완충 가능한 재질(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하)로 이루어진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막은 각 터치부(335)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지정된 개수의 터치부(335)를 터치막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각 터치부(33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터치 시점에 터치부(335)와 터치막이 접촉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경도가 터치스크린의 손상을 가할 정도의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상)라면, 상기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한 터치부(335)에는 상기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335)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N개의 동시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부(335)는 도면3의 (d)와 같이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335)로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부(335)는 도면3의 (e)와 같이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터치 유닛(300)에 내장되는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터치 유닛(300)에 내장되어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 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도면2의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유닛(300)에 둘 이상의 전자 모듈(400)(예컨대,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 및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각기 연동하는 둘 이상의 전자 모듈(400) 등)이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4는 하나의 전자 모듈(400)을 통해 본 발명의 전자 모듈(400)이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제어부(404)와 메모리부(420)를 구비하고,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여 지정된 사운드 인증을 처리는 사운드 출력부(408)와,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여 지정된 이미지 인증을 처리하는 화면 출력부(424)와,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여 지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와,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여 지정된 근접 통신 인증을 처리하는 근접 무선 통신부(416) 중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부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4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인증을 위해 사운드 인식을 처리하는 사운드 입력부(412)와, 무선망 접속을 위한 무선망 통신부(436)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부(428)와, 쥠 모듈을 통해 압인력이 가해지는지 판별하기 위한 센싱을 처리하는 센서부(4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논리 회로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404)가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송출하는 형태로 상기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편의상 도면2의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450)을 본 제어부(404)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 모듈(400)의 실시 방법이 본 도면4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도면4에서 프로그램(450)의 구성으로 예시한 구성은 논리 회로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42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404)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프로그램(45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전자 모듈(400)의 각종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420)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대입할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터치 유닛(30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일련코드, 상기 터치 유닛(300)가 이용되는 공간(예컨대, 상점, 건물, 매장 등)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코드, 상기 터치 유닛(300)가 이용되는 용도를 식별하는 용도식별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종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 또는 터치 유닛(300)에 고유하게 할당된 ID코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자 모듈(400)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예컨대, 지정된 음성(예: 화자가 발성한 분절음 소리), 음원(예: 악보에 따라 악기를 통해 연주된 음악, 악보에 따라 화자가 발성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모듈(400)이 도면2의 카메랄 인증 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이미지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스피커 또는 부저와 같은 사운드 출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 후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사운드 입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4)로 전달한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양방향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는 NFC 규격에 포함되지 않는 RFID 규격(예컨대, ISO 18000 시리즈 규격에 포함된 근접 무선 통신 또는 10m 이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424)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전자종이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428)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04)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는 근거리(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접속장치(예컨대, 무선 AP(Access Point) 등)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상기 전자 모듈(400)을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04)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전자 모듈(400)은 무선 통신망 접속을 위해 USIM 리더부(212)(도시생략)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망 접속을 위한 USIM을 이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44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터치부(335)가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판단하기 위한 센싱을 처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터치부(335)가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시점의 전하 이동 센싱, 전하량 변화 센싱, 전류 변화 센싱, 전압 변화 센싱, 저항 변화 센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와 같이 터치 시점의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될 수도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고유코드를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부호화 규칙은 DTMF 부호화 규칙,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전화 버튼에 사용되는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한다. 만약 상기 고유코드가 DTMF 신호로 부호화된다면, 상기 고유코드는 ??1??~??9??, ??0??, ??#??, ??*?? 등으로 표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패턴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사운드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사운드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사운드 패턴을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부호화 규칙은 DTMF 부호화 규칙,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전화 버튼에 사용되는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한다.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DTMF 신호로 부호화된다면, 상기 생성부(460)가 생성하는 일회용코드는 ??1??~??9??, ??0??, ??#??, ??*?? 등으로 표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고유코드를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 규칙은 1차원 바코드 부호화 규칙, QR코드 부호화 규칙, 데이터매트릭스 부호화 규칙, 맥시코드 부호화 규칙, PDF417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이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패턴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이미지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이미지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패턴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부호화된 패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패턴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부호화하여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 규칙은 1차원 바코드 부호화 규칙, QR코드 부호화 규칙, 데이터매트릭스 부호화 규칙, 맥시코드 부호화 규칙, PDF417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485) 중 하나 이상의 확인부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고유코드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활성 확인부(4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485) 중 하나 이상의 확인부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센서부(440)를 통해 쥠 모듈을 통해 압인력이 가해지는지 확인한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일회용코드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활성 확인부(4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위한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의 구성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5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등록자가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를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505)에 터치하여 상기 무선단말(200)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운용장치(500)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5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본 도면5의 운용장치(500)는 등록자가 운용하는 무선단말(500)을 해당 등록자가 이용하는 운용장치(500)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도면5를 통해 등록자가 이용하는 운용장치(500)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제어부(501)와 메모리부(513)와 화면 출력부(504)와 터치 입력부(505)와 키 입력부(506)와 사운드 출력부(507)와 사운드 입력부(508)와 카메라부(509)와 무선망 통신부(5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와 근접 무선 통신부(510)와 위치 측위부(511)와 USIM 리더부(5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5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정전식 터치를 지원하는 터치 입력부(5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각종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증 조건의 등록을 위해 터치 입력부(50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GUI를 통해 터치 유닛(300)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면, 상기 터치 입력부(505)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운용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통신하여 동작하며,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이거나 또는 다른 운영 서버(100)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용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등록자에 대한 회원 가입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하는 회원 모듈(520),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상기 회원 모듈(520)은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등록자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절차와,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등록자 회원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의 단말 측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상기 단말 측 절차는 도면2의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용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터치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조건을 등록하는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과, 상기 운용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상기 인증 조건의 등록을 위한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을 구비한다.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N(N≥2)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근거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도면2에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과 같은 방식으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운용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설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값을 근거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형상터치 면을 근거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도면2에서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과 같은 방식으로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한다.
한편 상기 운용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값을 설정하거나, 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을 설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값을 근거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등록자가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동시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한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판독된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에 대한 등록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상기 등록자의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등록자가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한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이미지화하여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판독된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에 대한 등록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상기 등록자의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용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사운드 처리 모듈(540)과, 상기 등록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위치 처리 모듈(545)과, 상기 등록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550)과, 상기 등록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과, 상기 등록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운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사운드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사용자의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사운드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결정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운용장치(500)에서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운용장치(500)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한다.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위치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5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등록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등록자의 주소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결정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터치 유닛(300)의 변경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예컨대, 배달주소 등)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결정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미지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이미지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결정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운용장치(500)에서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가 상기 운용장치(5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근거리 통신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결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운용장치(500)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가 상기 운용장치(500)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515)의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등록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근접 통신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근접 통신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상기 결정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운용장치(500)에서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처리부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가 상기 운용장치(500)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근접 통신 처리부는 생략 가능하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운용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할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할 컨텐츠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를 운영 서버(100)로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 모듈(56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상기 키워드 등록 모듈(560)은 키워드 광고 등록 절차에 따라 상기 키워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위한 운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Simultaneous Touch) 또는 형상 터치(Shape Touch)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과 통신하고,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통신한다. 다만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에 구현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능적 명칭일 뿐, 물리적 명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 서버(100)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업자가 세분화 됨에 따라 각 사업자가 운영하는 각각의 서버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도면6의 운영 서버(100)에 도시된 구성부 중 일부는 터치 인증과 연계되는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에 구비되거나, 또는 일회용코드의 인증과 관련된 구성부는 일회용코드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거나,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는 회원 가입/인증부(605)를 구비하고,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거나,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프로그램 인증부(61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625)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요청이나 또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를 통해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지정된 정책(예컨대, 등록자가 광고주인 경우에 등록자가 등록한 광고 프로모션 정책 등)에 따라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동시 터치 인증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를 구비하거나,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동시 터치 인증을 수행하는 동시 터치 인증부(242a)를 구비하거나, 동시 터치 인식부(232a)와,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6의 저장매체(625)는 상기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가 해당 등록자가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의 동시 터치를 인식 및 판독하고, 이에 대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해당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서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터치 유닛(300)의 일부 터치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이미지화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한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구성 요소 값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수행한 동시 터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해당 등록자에 대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형상 터치 인증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를 구비하거나,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형상 터치 인증을 수행하는 형상 터치 인증부(242b)를 구비하거나, 형상 터치 인식부와,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된 형상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6의 저장매체(625)는 상기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가 해당 등록자가 운용하는 터치 유닛(300)의 형상 터치를 인식 및 판독하고, 이에 대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수신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해당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서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터치 유닛(300)의 일부 터치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는 형상 터치 인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형상 터치 면을 이미지화한 형상 터치 이미지 또는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 터치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패턴 인식 값 또는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패턴 인식 값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수행한 형상 터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사운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운드 인증부(252)와, 상기 사운드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사운드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사운드 인증부(25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특정 주파수 변경, 사운드 패턴 변경,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데이터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사운드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사운드 인증부(25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사운드 패턴 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패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패턴 정보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코드로부터 획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또는 사운드코드)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또는 사운드코드)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수행한 사운드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사운드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 인증부(257)와, 상기 위치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위치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예컨대, 직원이 터치 유닛(300)를 지닌 채로 고객의 위치로 방문하는 경우 등),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부터 상기 터치 유닛(300)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무선단말(200)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위치 인증부(25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위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위치 인증부(25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기준 위치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수행한 위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위치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위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이미지 인증을 수행하는 이미지 인증부(262)와, 상기 이미지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될 고유코드. 또는 상기 등록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이미지 인증부(26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이미지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이미지 인증부(26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이미지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이미지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코드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코드 이미지, 또는 상기 코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코드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이미지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패턴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패턴 이미지, 또는 상기 패턴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이미지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패턴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미지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패턴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패턴 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이미지 패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패턴 정보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수행한 이미지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이미지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이미지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수행한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근접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등록자의 운용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수행한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는 대상 확인부(110)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상기 저장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키워드 제공부(115)와,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식부(232a)와 연계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사운드 인증부(252)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사운드 인증부(252)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위치 인증부(257)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위치 인증부(257)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이미지 인증부(262)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이미지 인증부(262)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운용하는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20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을 선택적으로 둘 이상 조합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은 어느 하나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둘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로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2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확인된 무선단말(200)을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한다.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제1 내지 제2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제공될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키워드 제공부(115)는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수신된 키워드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 중 키워드 입력 영역에 상기 키워드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키워드 입력 영역이 상기 키워드 정보를 수신한 프로그램(215)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215)과 연동 가능한 앱의 키워드 입력 영역을 그 대상으로 한다.
한편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제1 내지 제21 키워드/컨텐츠 제공 대상 확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지정된 검색엔진의 검색어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적용하여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컨텐츠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서 운영 서버(100)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조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등록자의 회원 가입 또는 인증을 요청하고(7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를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한다(705). 만약 상기 등록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거나 또는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 등록자의 회원 가입 오류 또는 회원 인증 오류를 출력시킨다(710).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 인증을 요청하고(7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720). 만약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이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로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725).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7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735).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터치 인증을 위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740).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형상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를 통해 결정되거나(740), 또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운영 서버(100)가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통해 합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740).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의 등록을 요청하고(74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750),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755).
한편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동적 인증 조건(예컨대,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등록해야 하는 경우,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동적 인증(예컨대,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예컨대,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76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를 통해 결정되거나(760), 또는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와 운영 서버(100)가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통해 합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760). 상기 동적 인증 조건 중 어떠한 인증 조건을 등록할 지는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전자 모듈(400)의 구성 또는 터치 유닛(300)가 터치되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등록자의 운용장치(500)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동적 인증 조건의 등록을 요청하고(76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770),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77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을 위한 조건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조건을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조건 적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또는 인증을 요청하고(8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한다(805). 만약 상기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거나 또는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오류 또는 회원 인증 오류를 출력시킨다(810).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프로그램(215)의 유효성 인증을 요청하고(8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20).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이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825).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이 인증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과 동적 인증 조건 중 신규 등록되거나 또는 갱신된 인증 조건을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고(830),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증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835). 한편 상기 인증 조건을 이용한 인증 절차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인증 조건은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면적의 터치 영역을 표시하고(900),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한다(905).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식된 다중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동시 터치 점인지 판단한다(910).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다중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동시 터치 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무선단말(200)로 인식된 동시 터치 점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915). 만약 상기 동시 터치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동시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920). 한편 상기 동시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915).
한편 동시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가 터치되는지 확인하고(925),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식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출력 동작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며(930), 상기 무선단말(200)은 내부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93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은 상기 터치 유닛(300)와 무관하게 수행(예컨대, 위치 인증을 수행하거나,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의 출력/전송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식 동작을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증 절차, 위치 인증 절차, 이미지 인증 절차, 근거리 통신 인증 절차, 근접 통신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940). 만약 상기 동적 인증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동시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920). 한편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940).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면적의 터치 영역을 표시하고(1000),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면을 인식한다(1005).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식된 터치 면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인지 판단한다(1010).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무선단말(200)로 인식된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015). 만약 상기 형상 터치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형상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1020). 한편 상기 형상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1015).
한편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가 터치되는지 확인하고(1025),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식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출력 동작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며(1030), 상기 무선단말(200)은 내부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103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은 상기 터치 유닛(300)와 무관하게 수행(예컨대, 위치 인증을 수행하거나, 등록자의 운용장치(500)의 출력/전송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식 동작을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증 절차, 위치 인증 절차, 이미지 인증 절차, 근거리 통신 인증 절차, 근접 통신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040). 만약 상기 동적 인증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형상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1020). 한편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1040).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키워드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도면9 또는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및 인증 수행되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지정된 터치가 인식 및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제공될 키워드 제공 대상으로 확인한다(11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상기 키워드 제공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로 제공하고(1105),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 중의 하나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1110),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인증을 통해 확인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지정된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 입력한다(1115). 이후,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컨텐츠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도면9 또는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및 인증 수행되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지정된 터치가 인식 및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가 제공될 컨텐츠 제공 대상으로 확인한다(12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1205). 만약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로 제공하고(1210),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 중의 하나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215).
100 : 운영 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대상 확인부 115 : 키워드 제공부
120 : 컨텐츠 제공부 200 : 무선단말
300 : 터치 유닛 500 : 운용장치

Claims (31)

  1.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에 있어서,
    터치 유닛을 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등록한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상기 저장된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5.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버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무선단말에 터치되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과에 대응하는 터치가 인식된 무선단말로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7.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개수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형상의 터치 면이 터치되는 형상 터치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8.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에 터치 시점의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카메라 촬영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9.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서버 상에서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서버와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하여 인식 또는 인증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2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등록자를 식별하는 등록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등록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등록자의 키워드 정보 또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키워드 입력 영역에 자동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상기 키워드 정보를 지정된 검색엔진에 적용하여 획득되는 검색결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KR1020140060975A 2014-05-21 2014-05-21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KR20150134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75A KR20150134488A (ko) 2014-05-21 2014-05-21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75A KR20150134488A (ko) 2014-05-21 2014-05-21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488A true KR20150134488A (ko) 2015-12-02

Family

ID=5488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975A KR20150134488A (ko) 2014-05-21 2014-05-21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503B1 (ko) 정전식 다중 터치 식별 방법
KR101990661B1 (ko) 압인식 정전 다중 터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44765A (ko) 도장
KR101538697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20140144772A (ko) 형상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421577B1 (ko) 투명 터치 영역을 이용한 선택적 터치 인식 방법
KR101545320B1 (ko) 정전식 다중 터치를 이용한 정보 선택 방법
KR102086856B1 (ko)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KR101982875B1 (ko) 터치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4069A (ko) 동시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50134488A (ko) 터치 인증 기반 키워드 운영 방법
KR101538694B1 (ko) 터치장치를 이용한 가치 제공 방법
KR20150026383A (ko)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026384A (ko)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장치
KR20150134085A (ko)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KR20150134109A (ko) 터치 인식을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20140144766A (ko) 동시 터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17357B1 (ko) 터치유닛
KR102217358B1 (ko) 터치유닛
KR20150134102A (ko) 투명 터치 영역을 이용한 선택적 터치 인식 방법
KR20140144764A (ko) 도장
KR102221354B1 (ko) 전자식 터치 유닛
KR102217359B1 (ko) 근접 무선 통신 터치 유닛
KR101545322B1 (ko) 잠금화면을 이용한 터치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4482A (ko) 터치 인증 기반 가치 적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