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447A -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 Google Patents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447A
KR20150134447A KR1020140060701A KR20140060701A KR20150134447A KR 20150134447 A KR20150134447 A KR 20150134447A KR 1020140060701 A KR1020140060701 A KR 1020140060701A KR 20140060701 A KR20140060701 A KR 20140060701A KR 20150134447 A KR20150134447 A KR 2015013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ser terminal
user
predetermin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9428B1 (en
Inventor
이재명
오진근
정덕성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티엔엔솔루션
주식회사 캡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티엔엔솔루션, 주식회사 캡쎈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42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ligh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a user terminal, which uses a light transmitting case capable of effectively discharging LED illumination, constitutes a speaker case with wood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of a speaker, includes an intermediate structure allowing the light transmitting case and the speaker case to be conveniently assembled, and can simply control an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function such as NFC, Bluetooth, etc. The complex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transmitting case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 speaker case which has a predetermined speaker embedded therein, and is made of wood; an LED light-emitting unit for emitting predetermined light to the light transmitting case; an audio unit for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a communications unit for transceiving a signal with a user terminal; and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s unit for performing a near-field communications (NFC)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e complex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nect a communications link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s unit when tag information of the near-field communications unit is recognized in the user terminal, and allows a user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and the audio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s link by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in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복합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 조명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를 사용하고, 이와 함께 스피커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목재로 스피커 케이스를 구성하며, 상기 투광 케이스와 스피커 케이스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중간 구조물을 포함하고, NFC/Bluetooth 등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간편하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ligh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lighting system using a light-transmissive case capable of effectively emitting LED light, and a speaker case made of wood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lighting system interlocked with a user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operations in a mobile terminal or the like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NFC / Bluetooth, including an intermediate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case can be conveniently assembled.

종래부터 실내 특히 침실 등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취침을 위하여 적절한 밝기와 색상 등의 특성을 가지는 조명 기기와 적절한 음악을 상당한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오디오 기기 등이 사용되어 왔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used an illumination device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appropriate brightness and color for sleeping for use in a room, especially a bedroom, and an audio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ppropriate music to a user for a considerable time.

그런데, 종래 통상의 침실용 조명 기기는 1단계 내지 5단계 정도의 밝기 조절만이 가능하거나 여기에 소정의 타이머 기능이 부가된 정도에 불과하였고, 취침 용도로 사용되는 오디오 기기도 소정의 타이머 기능 정도만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그쳐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보다 다양하게 설정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은 분리된 조명 기가와 오디오 기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사용하여야 했는데, 예를 들어 취침을 위하여 조명 기기를 터치하여 1단계 밝기로 설정하고, 타이머를 돌려 1시간 후 조명 기기가 소등되도록 한 후, 다시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될 곡명과 음량 등을 설정하고, 상기 오디오 기기의 타이머를 조정하여 1시간 후 오디오 기기가 꺼질 수 있도록 설정하여야 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ghting equipment for a bedroom, only the brightness adjustment of about one to five steps is possible, or a predetermined timer function is added thereto. Also, the audio equipment used for the sleeping use is not limited to the predetermined timer func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t up various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users have to set and use separate lighting devices and audio equipment independently. For example, by touching an illuminating device for sleeping, it is set to one stage brightness, and after one hour by turning the timer, Then, the music title and the volume to be reproduced in the audio device are set, and the timer of the audio device is adjusted so that the audio device can be turned off after one hour.

이러한 사용자 환경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설정 옵션을 제공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Such a user environment is very troublesome,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variety of setting options to the user, and it is also difficult to provide a more useful operation method to the user through interlocking of the lighting device and the audio device.

또한, 종래 많은 오디오 기기에서는 음향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목재 재질로 케이스를 구성하는 스피커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목재 재질은 상기 조명 기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과 그 특성이 달라, 이들을 함께 조립하여 하나의 기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양 재질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스크류 등을 사용하는 것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제작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목재 재질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오디오 기기와 상기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명 기기 등을 일체화하여 하나의 복합 제품으로 구성하는데 다소간의 어려움이 있었다.Further, in many conventional audio apparatuses, loudspeakers constituting a case are made of a wood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sound quality. Such wood materials are different from materials of plastics and metals used in the lighting apparatuses. In order to assemble a single device, a method of fixing both materials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is used. However, it is not preferable to use a screw or the lik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defect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dropped. Accordingly, there has been some difficulty in constructing a single composite product by integrating audio equipment using a case made of the wood material and lighting equipment us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명 기기와 목재 재질을 사용하는 오디오 기기를 하나의 복합 제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설정 작업을 방지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 방법 및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설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복합 조명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plastic or metal material and the audio apparatus using the wood material are constituted by a single composite product, and the lighting apparatus and the audio apparatus are interlocked to prevent the user from repeatedly setting work, There is a need for a combined lighting system that provides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and operation modes to a user and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perform a setting oper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However, a proper solution has not yet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상기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조명 기기와 목재 재질을 사용하는 오디오 기기를 하나의 복합 제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설정 작업을 방지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 방법 및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설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복합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us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and an audio device using wood material, And to provide a composite lighting system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 setting oper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 variety of operation methods and operation modes to a user,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 소정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목재 재질의 스피커 케이스; 상기 투광 케이스로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LED 발광부; 상기 스피커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오디오부;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자동으로 통신 링크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오디오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 light-projecting case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 loudspeaker case made of a wood material and containing a predetermined speaker; An LE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light projecting case; An audio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link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udio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downloaded if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에게 시계 및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시계-알람부의 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간 정보로 동기화될 수 있다.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alarm unit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link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have.

또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전달받는 터치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key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from a user.

또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꺼질 수 있다.Further, when there is no user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touch key may be turned off.

또한, 동작 상태에 따라 유효한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만 켜질 수 있다.In addition, only an indicator for indicating a valid touch key may be turned on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e.

또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output unit including a display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부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user output unit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투광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단을 더 포함하고,The projector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fixing stag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transmissive case and the speaker case to fix the light-transmissive case and the speaker case to each other,

상기 투광 케이스는 소정의 삽입 체결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간 고정단은 상부에 소정의 삽입 피체결수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투광 케이스를 상기 중간 고정단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중간 고정단에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단은 하부에 소정의 회전 체결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소정의 원형 개구부와 상기 원형 개구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회전 피체결수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중간 고정단을 상기 스피커 케이스 상면에 밀착시킨 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스피커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The light-transmissive case has a predetermined insertion fastening means. The intermediate fixing end has a predetermined insertion-fastening mean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end only by inserting the light- And the intermediate fixed end has a predetermined rotation fastening means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speaker case has a predetermined circular opening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notched means located in a part of the circular opening, It can be fixed to the speaker case only by bring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then rotating it.

또한, 상기 투광 케이스는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transmissive case may have a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목재로 스피커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와 함께 LED 조명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를 사용하며, 상기 투광 케이스와 스피커 케이스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중간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설정 작업을 방지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 방법 및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NFC/Bluetooth 등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간편하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을 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aker case is formed of wood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speaker, and a light-transmitting case capable of effectively emitting LED light is used. In addition, the light-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repeatedly setting work by interlocking the lighting device and the audio device, to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operation methods and operation modes, and to u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NFC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closing a combined illumination system that is interlocked with a user terminal that can easily control operation.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조명 설정 예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의 근거리무선통신기능을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구동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입력부 및 출력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의 조립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의 투광 케이스 및 중간 고정단의 장착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의 중간 고정단 및 스피커 케이스의 장착 구조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ighting setting example screen using a mobile terminal in a hybri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of driving a mobile terminal by utiliz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a hybri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user input and output unit in a composite ligh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y example of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mounting structure of a light-transmitting case and an intermediate fixed end in a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mounting structure of an intermediate fixed end and a speaker case in a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s used.

종래 기술에 따르는 통상의 실내 조명 기기, 특히 침실용 조명 기기가 1단계 내지 5단계 정도의 밝기 조절 기능만을 가지거나, 여기에 소정의 타이머 기능이 부가되는 정도에 불과하고, 취침 용도로 사용되는 오디오 기기도 소정의 타이머 기능 정도만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그쳐,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보다 다양하게 설정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통상의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는 독립된 기기로서 별도로 설정하고 사용하여야 했는데, 이러한 사용자 환경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설정 옵션을 제공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졌다.The conventional room l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especially the lighting equipment for the bedroom, has only a brightness control function of about one to five steps, or only a predetermined timer function is added thereto, The apparatus has only a predetermined timer function,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set the timer more variously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lighting equipment and audio equipment have to be separately set and used as separate devices. However, such a user environment is not only troublesome, but it is also difficult to provide a variety of setting options to the us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user with a more useful operation method.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목재로 스피커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와 함께 사출 성형된 투광 케이스를 사용하며, 상기 투광 케이스와 스피커 케이스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중간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를 연동하여 사용자의 반복적인 설정 작업을 방지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 NFC/Bluetooth 등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간편하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udspeaker case made of wood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loudspeaker, Structure, preventing the user from repetitive setting work by interlocking the lighting device and the audio device, providing more various operation methods to the user, and easily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NFC / Bluetooth Disclosed is a composite lighting system that is interlocked with a controllable user termi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컨텐츠 원격 처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ntent remote process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소정의 조명 기기와 오디오 기기 등을 포함하는 여러 기능이 복합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 주게 된다.First, FIG.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various functions including a predetermined lighting device and an audio device are combined,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more convenient user environment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 소정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목재 재질의 스피커 케이스, 상기 투광 케이스로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LED 발광부, 상기 스피커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오디오부,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자동으로 통신 링크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오디오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lighting system including a light-projecting case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 speaker case made of a wood material containing a predetermined speaker, an LED light-emitting unit tha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light- An audio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user terminal,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link may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may use the predetermined application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udio uni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200)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ED 모듈(210), 오디오 모듈(220), 블루투스 모듈(230), 터치패드 모듈(240), 제어 모듈(250),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듈(260), 시계-알람 모듈(270), USB 리시버 모듈(280) 및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모듈(2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의 LED 발광부를 구성하는 LED 모듈(210), 오디오부를 구성하는 오디오 모듈(220), 통신부를 구성하는 블루투스 모듈(230)과 USB 리시버 모듈(280), 근거리무선통신부를 구성하는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듈(260) 외에, 사용자 입력부를 구성하는 터치패드 모듈(240), 사용자 출력부를 구성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모듈(290), 시계-알람부를 구성하는 시계-알람 모듈(270) 및 상기 일련의 모듈들과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제어하는 제어 모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2, the hybrid light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module 210, an audio module 220, a Bluetooth module 230, a touch pad module 240, a control module 25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module 260, a clock-alarm module 270, a USB receiver module 280, and an FND (Flexible Numeric Display) module 290 It is possible. Furthermore, the LED module 210, the audio module 220, the Bluetooth module 230, and the USB receiver module 280, which constitute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constitute the short- A touchpad module 240 constituting a user input section, an FND (Flexible Numeric Display) module 290 constituting a user output section, a clock-alarm module (not shown) constituting a clock-alarm section, 270 and a control module 250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series of modules.

아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LED 발광부는 소정의 빛을 발산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를 통하여 빛을 외부로 방출하여 조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LED 발광부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밝기 및 색상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3색 LED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LED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원하는 설정으로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ED 발광부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3색 LED 모듈(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색 LED를 각각 256 단계의 밝기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면, 사용자는 256x256x256 가지의 색상 및 밝기로 조명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e LED light emitting uni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and emits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case to perform an illumination function. The LED light emitting unit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but it is possible to use a three-color LED module of red, green, and blue in order to realize various brightness and color lighting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setting .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ight emitting unit to a desired setting. For example, the LED light emission part may include three color LED modules 210 of red, green, and blue, and the three color LEDs may be set to brightness of 256 levels , The user will be able to set the illumination with 256x256x256 colors and brightness.

또한, 오디오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디오부에서는 상기 스피커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 모듈(220)은 다양한 음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USB 리시버 모듈(280)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MP3 파일을 읽어와서 이를 재생한다던가, 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30)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재생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로 동작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udio unit including the audio module 220 transmits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The audio module 220 may use various sound sources. For example, the audio module 220 may read an MP3 file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receiver module 280 and reproduce the MP3 file. Alternatively, It can be oper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operating a Bluetooth speaker for receiving and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from the device.

또한, 상기 스피커는 목재 재질의 스피커 케이스에 장착되어 보다 높은 품질의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이와 함께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보다 뛰어난 미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이 가능해 진다.In addition, the speaker is mounted on a speaker case made of a wood material to provide a higher quality sound to the user, and in additio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an be provided so as to provide the user with a more aesthetic feeling in terms of design.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유선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해 볼 때, 근접 거리에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that can smoothly perform predetermine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may be used, or a wired LAN may be used if necessary. However, considering the case of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Bluetooth which can easily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a close distance.

이때,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과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의 다양한 설정 옵션을 보다 편리하게 조정하거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하여 연결된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에서 작동하는 소정의 앱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을 설정하거나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3, the user can more easily adjust the various setting options of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t this time, the user can easily set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heck the status thereof by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operating 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connected smart phon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or the like.

나아가, 블루투스 모듈(230)을 사용하여 통신부를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외부 기기와 블루투스로 연동되어 음향 신호를 전달받아 고음질의 스피커로 재생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using the Bluetooth module 230,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Bluetooth speaker that is interfaced with an external device via Bluetooth and receives an acoustic signal and reproduces the sound signal with a high- You ma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USB 리시버 모듈(280)을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USB 리시버 모듈(28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MP3 파일 등의 데이터를 읽어와서 이를 재생하는 등의 방법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ybri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USB receiver module 280 to configure the communication unit. At this time, data may be read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receiver module 280, such as an MP3 file, and may be reproduced.

근거리무선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NFC)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미리 정하여진 여러가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23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자동으로 통신 링크를 연결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LED 모듈(210)과 상기 오디오 모듈(22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module 260 that perform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various predetermined operations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link may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30. Further, The operation of the LED module 210 and the audio module 22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by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to be driven.

또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할 수도 있다.Also,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downloaded if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반드시 모바일 단말기일 필요는 없으나, 사용자가 손쉽게 소지하여 이동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고, 근거리무선통신(NFC) 및 블루투스 등을 사용한 사용 환경 등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mobile terminal. However, the user terminal can be interlocked with a complex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easily carried by a user, and can be used with a near-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order to use the environment more conveniently.

나아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그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plex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xecute an application that can check the operation statu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시계 및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시계-알람부의 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간 정보로 동기화되도록 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경우, 블루투스 SPP(Serial Port Profile) 통신 등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기의 시간 정보 등을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알람부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ock-alarm unit for providing a clock and an alarm function to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link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synchronized wit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time information can be more accurately maintained. For example,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link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using Bluetooth SPP (Serial Port Profile)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alarm unit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received clock-alarm unit.

덧붙여, 상기 시계-알람부의 알람 설정 시간에 맞추어 조명의 밝기를 점진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알람 시간에 된 경우 조명을 서서히 밝게 하여 사용자의 기상을 돕는다거나, 또는 반대로 조명을 서서히 어둡게 하면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취침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can be gradual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larm setting time of the clock-alarm unit. For example, if it is at a predetermined alarm time, the lighting may be gradually brightened to help the user awake, or vice versa, allowing the user to comfortably sleep while slowly dimming the light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전달받는 터치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터치키와 FN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출력부를 구현한 경우의 예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 제품의 표면을 이용하여 터치키를 구현하는 경우, 물리적인 스위치와 달리 그 위치를 나타내어주는 표시가 필요한데, 소정의 터치키의 위치와 기능을 인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나, 터치키의 위치와 기능의 표시를 LED 등의 표시등을 사용하여 점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디자인 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key that receives a predetermined input from a user. 5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user input unit and a user output unit are implemented using a touch key and an FN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when a touch key is implemented by using the surface of a product, unlike a physical switch,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touch key. Although a method of printing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a predetermined touch key is used, The display of the function can be blinked by using an LED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the user's convenience and design.

또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꺼지게 할 수도 있고, 나아가 동작 모드에 따라 유효한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만 켜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잡한 설정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input by a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touch key may be turned off, and further, only an indicator for displaying a valid touch key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o that i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FND(Flexible Numeric Display)를 사용하거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사용하여 사용자 출력부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er output unit including a display for conve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a user. For example, a user output unit can be configured using a flexible numeric display (FND) or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이때,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동안 아무런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출력부에 현재 시간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표시된 정보의 밝기를 어둡게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any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on the user output unit or to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dark.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부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부의 FND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change the setting of the user output unit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Bluetooth or the like, There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FND display of the user outpu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은 상기한 일련의 모듈들을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610), 소정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목재 재질의 스피커 케이스(630) 및 상기 투광 케이스(610) 및 상기 스피커 케이스(630)를 상호 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단(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posite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cluding the series of modules described above. 6, the case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case 610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 speaker case 630 made of a woo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peaker built therein, and a light-emitting case 610, And an intermediate fixed end 620 for fixing the case 630 to each other.

스피커의 음질 및 디자인적 미감 등을 고려하여 스피커의 외장 케이스는 목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는데, 상기 목재 재질은 빛이 투과하지 못하므로 LED 조명 기기와 복합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을 추가로 사용하여, 상기 목재 재질의 케이스와 조립하는 방식이 사용되어야 한다.Considering sound quality and aesthetic impression of the speak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case of the speaker is made of wood. In case that the wood material does not transmit light, A method of assembling with a case made of the wood material should be used by using a material which can transmit light.

그런데, 목재 재질의 특성상 세밀한 형상을 견고하게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이종의 재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한 제작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a finely detailed sha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material. Accordingly, in order to use a differ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fixing using a screw or the like should be used. However, such a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is highly likely to cause defec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명 시스템에서는 투광 케이스(610) 및 스피커 케이스(630) 사이에 중간 고정단(620)을 추가하고, 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투광 케이스(610)가 홈 등 소정의 삽입 체결수단(도 6 및 도 7의 (A))을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중간 고정단은 그 상부에 돌출부 등 소정의 삽입 피체결수단(도 6 및 도 7의 (B))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610)를 상기 중간 고정단(620)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상기 중간 고정단(6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In contrast, in the composit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mediate fixed end 620 is added between the light projecting case 610 and the speaker case 630, and as can be seen, the light projecting case 610, (FIG. 6 and FIG. 7 (A)) such as a groove, and the intermediate fixing e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sertion-engaging means So that the light transmitting case 61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fixing end 620 simply by inserting the light transmitting case 610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end 620.

또한,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고정단(620)은 하부에 나선형 돌출부 등 소정의 회전 체결수단(도 6 및 도 8의 (C))을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630)는 소정의 원형 개구부와 상기 원형 개구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상기 나선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 등 소정의 회전 피체결수단(도 6 및 도 8의 (D))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 고정단(620)을 상기 스피커 케이스(630) 상면에 밀착시킨 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스피커 케이스(6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8, the intermediate fixed end 62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fastening means such as a spiral protrus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FIGS. 6 and 8C) (FIG. 6 and FIG. 8 (D)) such 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jection located in a part of the circular opening, The speaker case 630 can be fixed to the speaker case 630 only by closely contacting the speaker case 630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630 and rotating the speaker case 630.

나아가, 상기 투광 케이스(610)를 사출 공정을 통하여 제작하는 경우, 완전한 정육면체 형상의 투광 케이스(610)를 사출 금형에서 취출할 때에는 금형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610)의 표면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610)는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light-transmissive case 610 is manufactur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when the light-transmissive case 610 having a perfect cubic shape is taken out of the injection mold, the surface of the light-transmissive case 610 is deform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ight transmitting case 610 has a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 복합 조명 시스템
210 : LED 모듈
220 : 오디오 모듈
230 : 블루투스 모듈
240 : 터치패드 모듈
250 : 제어 모듈
260 : NFC 모듈
270 : 시계-알람 모듈
280 : USB 리시버 모듈
290 : FND 모듈
610 : 투광 케이스
620 : 중간 고정단
630 : 스피커 케이스
200: Composite lighting system
210: LED module
220: Audio module
230: Bluetooth module
240: Touchpad module
250: Control module
260: NFC module
270: Clock - Alarm Module
280: USB Receiver Module
290: FND module
610: Floodlight case
620: intermediate fixed end
630: Speaker case

Claims (10)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광 케이스;
소정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목재 재질의 스피커 케이스;
상기 투광 케이스로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LED 발광부;
상기 스피커로 소정의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오디오부;
사용자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무선통신(NFC)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자동으로 통신 링크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LED 발광부와 상기 오디오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A light transmitting case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 loudspeaker case made of a wood material and containing a predetermined speaker;
An LED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light projecting case;
An audio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to the speaker;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user terminal; An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f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link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user is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audio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k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부의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information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If the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download the application automatically.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시계 및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시계-알람부의 시간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간 정보로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ck-alarm section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clock and an alarm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link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lock-alarm unit is synchronized wit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입력을 전달받는 터치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 touch key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from a user.
제4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f there is no user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indicator lamp for displaying the touch key is turned off.
제4항에 있어서,
동작 상태에 따라 유효한 터치키를 표시하는 표시등만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only an indicator for indicating a valid touch key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output section including a display for conve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a user.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출력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 sets the user output unit us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케이스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투광 케이스와 상기 스피커 케이스를 상호 고정시키는 중간 고정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광 케이스는 소정의 삽입 체결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간 고정단은 상부에 소정의 삽입 피체결수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투광 케이스를 상기 중간 고정단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중간 고정단에 장착되며,
상기 중간 고정단은 하부에 소정의 회전 체결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스피커 케이스는 소정의 원형 개구부와 상기 원형 개구부의 일부에 위치하는 소정의 회전 피체결수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중간 고정단을 상기 스피커 케이스 상면에 밀착시킨 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스피커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fixing stag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transmissive case and the speaker case to fix the light-transmissive case and the speaker case to each other,
Wherein the light-transmissive case has a predetermined insertion fastening means, and the intermediate fixing end has a predetermined insertion-fastening mean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light-transmissive case is mounted to the intermediate fixing stage only by inserting the light-transmissive case into the intermediate fixing stage,
Wherein the intermediate fixed end has a predetermined rotation fastening means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speaker case has a predetermined circular opening portion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notched means located at a part of the circular opening portion,
Wherein the intermediate fixed end is fixed to the speaker case only by tightl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peaker case and then rotating the middle fixing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케이스는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transmissive case has a shape gradually narrow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KR1020140060701A 2014-05-21 2014-05-21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KR101659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01A KR101659428B1 (en) 2014-05-21 2014-05-21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01A KR101659428B1 (en) 2014-05-21 2014-05-21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447A true KR20150134447A (en) 2015-12-02
KR101659428B1 KR101659428B1 (en) 2016-09-27

Family

ID=5488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701A KR101659428B1 (en) 2014-05-21 2014-05-21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42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00A1 (en)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알앤에스 Speaker combined with lighting apparatus
US11432389B2 (en) 2018-06-25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 based on location of user by using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59A (en)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필룩스 Device for illuminating of lighting fixtures
KR20110002467A (en) * 2008-04-21 2011-01-07 스냅 네트웍스, 인코퍼레이티드. An electrical system for a speaker and its control
KR20110054961A (en)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금강테크 Method of control led illumination lamp
KR20120126821A (en)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링크맨 Control device of lighting unit by smart-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59A (en)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필룩스 Device for illuminating of lighting fixtures
KR20110002467A (en) * 2008-04-21 2011-01-07 스냅 네트웍스, 인코퍼레이티드. An electrical system for a speaker and its control
KR20110054961A (en)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금강테크 Method of control led illumination lamp
KR20120126821A (en)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링크맨 Control device of lighting unit by smart-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2389B2 (en) 2018-06-25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 based on location of user by using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20111300A1 (en)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알앤에스 Speaker combined with ligh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428B1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541B2 (en) LED lighting device
US9295144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JP6225267B2 (en) Light adjustment system and light
CN204042639U (en) LED Bluetooth music lamp affixed to the ceiling
US20160374180A1 (en) Led lamp stri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41510B1 (en) Free transformable bluetooth LED speaker
CN103870403A (en) LED (Light Emitting Diode) lamp for carrying out software updating and/or self definition on control scheme by using mobile phone or computer and method thereof
US11665796B2 (en) Multi-purpose voice activated lighting apparatus
CN104165312A (en) LED Bluetooth music ceiling lamp
KR101196249B1 (en) Lighting apparatus of having multi function controll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US20230019044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1659428B1 (en) Complex lighting system linked with user terminal controller
KR20160037665A (en) Luminous display device
KR101829259B1 (en) Light and Speaker
CN204707231U (en) Novel bluetooth lighting sound
KR102066553B1 (en) Built-in audio apparatus
JP5259750B2 (en) Remote controller and light emitting unit lighting control method thereof
TWI823094B (en) Earphone charging box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2422712A (en) Audio feedback and dependency on light functionality and setting
KR101398820B1 (en) Decoration three-dimensional artwork for controlling with wireless and control system of three-dimensional artwork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99456B1 (en) Multi-functional array lamp system
CN202675202U (en) Remotely controlled rotary lamp socket
KR20160121260A (en) A multi mode lamp with bluetooth and wireless call function
KR101893921B1 (en) Ware-type lighting equipment
JP2017091840A (en) Lamp fitting system and lamp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