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085A -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085A
KR20150134085A KR1020140060964A KR20140060964A KR20150134085A KR 20150134085 A KR20150134085 A KR 20150134085A KR 1020140060964 A KR1020140060964 A KR 1020140060964A KR 20140060964 A KR20140060964 A KR 20140060964A KR 20150134085 A KR20150134085 A KR 2015013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holder
authentication
authent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085A/en
Publication of KR2015013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0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ased on touch authentication. The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by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holder who holds a touch unit and nam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who holds the touch unit; a second step of checking a wireless terminal touched by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or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program which has performed procedures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the stored nam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o the checked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livering a business card based on a touch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ouch information of a holder of a holder or a holder of a touch unit of a touch unit,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checked and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stored owner is provided.

자신을 알리는 행위의 하나로서 명함이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명함은 종이 형태로 제작되며, 이를 위해 수없이 많은 자연이 훼손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 전자적으로 명함을 교환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A business card is used as one of the acts of informing oneself. Typically, business cards are made in paper form, and many of them are damaged.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thods of exchanging business cards electronically have recently been proposed.

종래의 전자적 명함 교환은 단순히 연락처 정보를 교환하는 것에 불과하며, 명함을 교환하는 당사자가 서로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교환이 가능하다. 물론 편리성을 위해 이와 같은 형태의 명함 교환을 타당한 면이 존재할 수 있다.
Conventional electronic business card exchanges are merely exchanging contact information, and can be exchanged even when the parties exchanging business cards do not face each other. Of course, for convenience, this type of business card exchange can be valid.

그러나 자신을 알리는 행위의 하나로서 이용되는 명함이 그 본연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명함을 교환하는 당사자가 서로 대면한 상태에서 명함을 교환하는 행위를 통해 교환되어야만 한다. 즉, 단순히 자신의 연락처를 상대방에게 전달하였다고 하여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명함 본연의 효과가 발휘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in order for a business card to be used as one of the acts of informing oneself, it is necessary for the parties exchanging business cards to be exchanged by exchanging business cards while facing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the business card which is intended to inform the user is expressed by merely communicating his / her contact to the other part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stores a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lding a touch unit and a holder's card information of a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delivery method for providing a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stored owner by checking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deliver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delivery method executed by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storing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a holder,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terminal of the owner's touch unit or a program having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the stored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the cond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touch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unit is touched, And a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eived touch is a designated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t a touch point using a touch unit,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at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s for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t the time poin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버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ccessible by the server, in a form of a program code embodied in the server, in a memory of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embodied in the program,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지정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무선단말에 터치되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과에 대응하는 터치가 인식된 무선단말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delivery method further includes confirming a result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uches th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pecified condition information, And can provid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to the wireless terminal whose touch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result is recogn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개수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형상의 터치 면이 터치되는 형상 터치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may be a simultaneous touch in which a specified number of touch points provided in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re simultaneously touched, a shape in which a touch surface of a specified shape provided in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touched At least one touch may be included during a touch.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에 터치 시점의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카메라 촬영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 touch that combines at least one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the touch authentication at the touch point,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camera shot image authenticatio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서버 상에서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서버와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하여 인식 또는 인증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on the server,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rough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program of the server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name card,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component values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receiving the component values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wireless terminal touch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And confirming to the targe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receiv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touched su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 step of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step of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 targe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And a step of confirm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for recognizing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touch st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mparing the touch state value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and reading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rough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component value The method may include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which is touched by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touch state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is to receive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touched surface on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and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An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with which the touch unit of the owner is touched as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name card,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 touch recognition result in which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nd reading out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and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a simultaneous touch has been recognized; and, when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performing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confirming the object to whic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the steps of: confirming a touch recognition result of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reading out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and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touch of a shape has been recognized;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confirming the object to whic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a component value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at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 step of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ogram that has performed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It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a subject to be provided by the card information of the prophe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hap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includes receiv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touched su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 step of authenticat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step of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that has performed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wireless terminal It may include identify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plurality of touch points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Checking whether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 by rea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 program that performs a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a touch unit Bidoen the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a step of identifying the target be provided with a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step is a step of authenticating the touching face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step of confirm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a step of rea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if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used touch And confirming to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d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sound of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t least one touch point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by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verify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at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hap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with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dentified authentication results are read and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holder has been authenticated; and, when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identifying the object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location of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t least one touch point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by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touch has been authenticated; an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identifying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shap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with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dentified authentication results are read and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 user's touch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touch unit by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identifying the object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d the camera shot image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t least one touch point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terminal by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at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May be identified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hap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camera shooting image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 Reads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uses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touch of the shape has been authenticated; and transmitting,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confirming the object to whic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d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local communication of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t least one touch point touched at a touch input unit of the terminal by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step of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at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e terminal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shap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local communication at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includ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verify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read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at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t least one touch point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terminal by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step of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o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은,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a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hap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ing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that the touch of the holder has been authenticated; confirming that the touch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confirming the object to whic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명함을 교환하는 행위의 하나로서 터치 유닛을 쥐고 명함을 전달할 상대방의 무선단말에 터치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기존의 종이 명함에 비해 편리하게 전자적으로 명함을 교환하면서도, 자신의 존재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 of exchanging a business card, by touching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other party holding the touch unit and transmitting the business card, it is possible to exchange the business card electronically conveniently compared to the existing paper business card, There i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informing the other par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을 이용한 명함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유닛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 유닛에 내장되는 전자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명함 교환 서비스를 위한 소지자의 단말장치의 구성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 서비스를 위한 운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을 위한 조건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명함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using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F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a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module incorporated in the tou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of a holder for a business card exchan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for the configur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for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card exchan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exchanging business cards based on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a condition for exchanging name cards based on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card exchan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a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server side is implemented on the terminal side, or conversely, a configur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is implemented on the server side.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을 이용한 명함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using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인증을 이용한 명함 교환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ore specifically, FIG. 1 stores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n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ouches the touch terminal 300 (200) provided with a program (215) for performing a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for providing the card information of the stored hold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for the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using the touch authentication) by referring to 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Indicated only exemplary method is not limited that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의 명함 교환 시스템은,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가 이용하는 단말장치(500)와 통신 가능하고,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200)과 통신하며,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리적 명칭이나 이를 구현하는 기관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다수의 소지자와 제휴된 사업자 측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서버 또는 통신사 서버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business card exchan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device 500 used by a holder possessing the touch unit 300 and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touch input unit 205, Unit 300 and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ardholder and then the touch unit 300 of the cardholder touches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cardholder And an operation server 100 for check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program 215 that performs a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user and providing the card information of the stored owner.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t least one serv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nd is not limited to physical names or organizations implementing the same. For example,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side server affiliated with a plurality of holders, o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erver or a carrier server of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지정된 터치를 구현하는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가 이용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소지자의 컴퓨터, 노트북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유선단말, 소지자의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무선단말(500), 상기 소지자가 운영하는 서버장치(예컨대, 소지자가 개인이 아니라 기업/기관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is a general term of a device used by a holder possessing the touch unit 300 that implements a designated touch, and is preferably a wired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computer of a holder, a notebook computer, , A mobile terminal 50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and a server device operated by the holder (e.g., when the holder is not an individual but a company / organization).

상기 무선단말(200)은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가능한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터치 입력부(205)를 구비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 collective te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touch input unit 205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and is preferably a smart phone having a touch input unit 205, And the like.

상기 터치 유닛(300)는 지정된 터치를 구현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도장 형태로 제작되어 압인식으로 정전식 터치를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The touch unit 300 is a general term of a device that implements a designated touch, and preferably includes a device that is manufactured in a coating form to implement a capacitive touch by pressure recognition.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는 대상 확인부(110)와,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명함 제공부(115)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과 운영 서버(100) 중 적어도 일 측(또는 양 측 조합)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각종 구성부가 구비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 내지 도면6을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name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unit 30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storing cond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position; a wireless terminal 200 to which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s touched; An object identifying unit 110 for identifying a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a program 215 that performs a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And a business card providing unit 115 for providing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stored owner. At least one side (or a combination of both side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in which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includes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을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명함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소지자 식별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회원 정보,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 구비된 고유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register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ard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holder or the designated operating terminal, . The ow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mber information of the owner and a unique code provided to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owner.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로 운영 서버(100)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625)에 저장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운영 서버(100) 상의 구성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로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의 조건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무선단말(200)에 분리 저장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cond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625 accessibl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in the form of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0.0 > 100). ≪ / RTI >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form of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r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a conditional statement on the program code to be implemented. Meanwhile,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300)를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 information includes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 touch condi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And a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 designated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can include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사운드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sound authentication is provided for the dynamic authentic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위치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is provided for the dynamic authentic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e condi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image authenti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rovided for the dynamic authentic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e cond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mera at the touch time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hotographed image.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근거리 통신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is provided in the dynamic authentication for the touch unit 300, the condi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

상기 터치 유닛(300)에 대한 동적 인증에 근접 통신 인증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is provided to the dynamic authentication for the touch unit 300, the condi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는 자신이 소지한 터치 유닛(300)를 명함을 제공할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해주면, 도면2 내지 도면6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된다.
The own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touches the touch unit 300 possessed by the touch unit 300 with the touch input unit 205 provided i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to provide the business card, It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by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로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t any time point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may check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specifie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할 대상으로 확인한다.
If it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s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s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a program 215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confirmed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명함 제공부(115)는 상기 소지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명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If it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is to be provided is confirmed, The controller 115 confirms the card information mapped with the card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ard hold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수신된 명함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주소록의 저장 구조로 변환(단, 명함 정보가 주소록 저장 구조가 동일할 경우 생략 가능)하고,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esignated business card storage area.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vert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to a storage structure of the address book built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address book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로 제공하는 명함 교환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business card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touch unit 300 And a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500 owned by the owner.

상기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명함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 회원 정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명함 교환부(120)는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구성한다.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ing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confirms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form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member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or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

상기 명함 교환부(120)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로 제공하며, 상기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은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은 상기 수신된 명함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500)에 내장된 주소록의 저장 구조로 변환(단, 명함 정보가 주소록 저장 구조가 동일할 경우 생략 가능)하고,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500)의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The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confirms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ransmit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receiv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store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card storage area.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owner may convert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to a storage structure of the address book built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500 And store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address book of the wireless terminal 500. [0157] FIG.

도면2a 내지 도면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200)과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A to 2F are diagrams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program 215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 내지 도면2f는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과 이를 구동하는 무선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a 내지 도면2f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2A to 2F show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215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and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200 that drives the program 215. In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ceive of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Figures 2a through 2f,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S. 2A to 2F.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3)와 화면 출력부(204)와 터치 입력부(205)와 키 입력부(206)와 사운드 출력부(207)와 사운드 입력부(208)와 카메라부(209)와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위치 측위부(211)와 USIM 리더부(2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선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memory unit 213, a screen output unit 204, a touch input unit 205, a key input unit 206, a sound output unit 206,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3,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positioning unit 211, and a USIM reader 21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3, the sound input unit 208, the camera unit 209, And a USIM, and has a battery 214 for power supply.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lective te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touch input, and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nd a tablet PC.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 구성을 본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201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201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1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at least one constituent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for convenienc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201. FIG.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The memory unit 213 is a generic name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1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One data set is stored and maintained. The memory unit 213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gram code and the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204 is composed of a display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corresponding to an out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display And outpu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utput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201 to the display.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투명 재질의 터치패드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과 매핑된 특정 좌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터치 입력 값과 인터페이스 화면을 매칭하여 지정된 명령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Capacitive Touch)를 지원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한다.
The touch input unit 205 is composed of a touch pa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rresponding to an in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touch pad. The touch input unit 20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a bus, The control unit 201 receives the touch in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ordinate area mapped with the interface screen output through the input unit 204 and transmits the touch input value to the control unit 201. The control unit 201 matches the touch input value with the interface screen, And obtain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1. [ Preferably, the touch input unit 205 includes a capacitive touch pad supporting a capacitive touch. The touch input unit 205 is combined with the screen output unit 204 to implement a touch screen.

정전식 터치는 정전기에 의한 전하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식한다. 사람의 손가락으로 정전식 터치패드를 터치하는 경우에 사람의 몸에 있는 정전기에 의해 정전식 터치패드에 전하의 변화가 발생하고,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를 확인하여 터치 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터치에 의해 전화의 변화가 발생하는 좌표는 해당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점으로 인식되기 보다는 좌표 영역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패드를 터치하는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과 터치패드 상이에는 일정한 면적의 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화의 변화는 정전식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정전식 터치는 이와 같은 좌표 영역의 스칼라를 판독하여 터치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에 의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전하량이 변화한 좌표 값들의 중심 값을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touch recognizes the touch by detecting the change of the charge due to the static electricity. When touching the electrostatic touch pad with a finger of a person, a charge change occurs in the electrostatic touch pad due to the static electricity in the human body, and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change in charge is generated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set in the electrostatic touch pad The touch point can b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telephone change occurs due to such a touch are in the form of coordinate areas rather than as coordinate points on the coordinate system set in the corresponding electrostatic touch pad. That is, when the electrostatic touch pad is touched using a human finger, since a certain area is formed between the human finger and the touch pad, the change of the telephon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ordinate area on the coordinate system set on the electrostatic touch pad . Preferably, the electrostatic touch can recognize the touch point by reading the scalar in the coordinate area. For example, the touch input unit 205 can recognize a center value of coordinate values whose amount of charge equal to or larger than a reference value designated by the electrostatic touch is changed as a touch poi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통해 복수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다중 터치(Multi-Touch)를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터치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가 둘 이상인 터치를 의미하다. 즉,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 상에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라고 이를 각각의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방식이 정전식 터치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다중 터치를 지원하는 터치 방식이라면 정전식 터치 이외에 다른 다양한 터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supports multi-touch which recognizes a plurality of touch points through the electrostatic touch pad. Here, the multi-touch means a touch having two or more touch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That is, the touch input unit 205 recognizes two or more coordinate areas where a charge change occurs on the electrostatic touch pad, and recognizes them as respective touch points. On the other hand, it is apparent that the touch method of the touch input unit 205 is not limited to the electrostatic touch, and that various touch methods other than the electrostatic touch can be applied to a touch method supporting multi-touch.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다중 터치를 지원하기 위해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터치 점들을 각기 구별하여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 터치 점 간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둘 이상의 좌표 영역이 근접해 있을 경우 각 좌표 영역과 좌표 영역 사이의 경계를 확정하기기가 난해해진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각 좌표 영역과 좌표 영역 사이의 경계를 확정하기 위해 각각의 좌표 영역을 서로 다른 좌표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지정된 도량형의 길이 단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1.5cm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터치패드를 통해 1.5cm 미만의 거리에서 둘 이상의 터치 입력이 인식되더라도 이를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지 않고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divide at least two different touch points, which are touched on the touch pad, in order to support multi-touch, The distinction recognition distance can be set. That is, since the electrostatic touch recognizes the coordinate area in which the charge chang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boundary between the coordinate area and the coordinate area when two or more coordinate areas are close to each oth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set a minimum distinction recognition distance for distinguishing each coordinate area into different coordinate areas in order to determine a boundary between each coordinate area and a coordinate area It may be omitted if the input unit 205 supports the shape touch). The minimum distinction recognition distance may be set as a unit of length of a specified metric type, or may be set as a coordinate distance on a coordinate system set on the touch pad. For example, if the minimum distinction recognition distance is set to 1.5 cm or more,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recognize two or more touch inputs at distances of less than 1.5 cm through the touch pad, It can be recognized as one touch poi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다중 터치를 지원하기 위해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복수의 터치 점 중에서 최대로 인식 가능한 M(M≥2)개의 최대 다중 터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터치패드의 전체 좌표 영역이 디스플레이 크기 이내로 제한되고 터치 점은 좌표 영역을 기준으로 인식되므로, 제한된 전체 좌표 영역 내에서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는 특정 개수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예를들어,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최대 다중 터치 개수가 11개 이내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최대 11개까지의 터치 점은 인식 가능하지만, 12번째 터치 점은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sets M (M > = 2) maximum number of multi-touches that can be recognized at a maximum among a plurality of touch points touched on the touch pad to support multi-touch . That is, since the entire coordinate area of the touch pad is limited within the display size and the touch point is recognized based on the coordinate area, the number of touch points that can be recognized within the limited overall coordinate area can be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This can be omitted when the touch panel 205 supports the shape touch).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number of multi-touches of the touch input unit 205 is set to 11 or less, the touch input unit 205 can recognize up to eleven touch points through the touch pad, May not recogniz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 가능한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터치 인식 민감도에 따라 유효 터치로 인식할 최소의 좌표 영역 면적이 필요하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작을 수록 터치 인식 민감도는 향상되지만 반대로 터치 인식에 필요한 면적이 감소하므로 오인식이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한편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클 수록 터치 인식 민감도는 감소하지만 반대로 터치 인식에 필요한 면적이 증가하므로 오인식이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터치패드 상에 터치되는 면적이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 이상인 경우에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은 지정된 도량형의 면적 단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패드에 설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이 0.5㎠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터치패드를 통해 터치된 면적이 0.5㎠ 미만인 터치는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can set a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recognizable as a valid touch input for one touch. That is, since the electrostatic touch recognizes a coordinate area where a change in charge occurs, a minimum coordinate area area to be recognized as a valid touch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touch recognition sensitivity (note that when the touch input unit 205 supports the shape touch Can be omitted). The smaller the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is, the more the touch recognition sensitivity is improved. However, the area required for the touch recognition is decreased,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recognition is also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s the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recognition decreases. However, the area required for the touch recognition increases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recognition increases. Preferably, the touch input unit 205 recognizes the touch input as an effective touch input when the area touched on the touch p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Otherwise,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not recognize the touch input as a valid touch input. The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may be set in an area unit of a specified metric type, or may be set as a coordinate area on a coordinate system set in the touch pad. For example, if the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is set to 0.5 cm 2 or more,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not recognize a touch having an area touched through the touch pad of less than 0.5 cm 2.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하나의 터치에 대하여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 가능한 최대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므로, 터치패드를 사람의 볼에 데거나 또는 터치패드에 손바닥을 얹거나 만지는 행위에 의해서도 전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하의 변화는 실제로 터치 입력을 위한 행위가 아니라 다른 행위를 하는 가운데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이와 같은 전하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터치 입력에서 예외 처리하기 위해 최대 터치 인식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단, 터치 입력부(205)가 형상 터치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can set a maximum touch recognition area recognizable as a valid touch input for one touch. That is, since the electrostatic touch recognizes a coordinate area where a change in charge occurs, a charge change may be caused by an action of putting the touch pad on a ball of a person or touching or touching a palm on the touch pad. However, such a change in charge is not likely to be actually performed for touch input, but is likely to occur during other actions. Therefore, even if a change in the charge occurs, the touch input unit 205 can set a maximum touch recognition area in order to handle an exception in the touch input (if the touch input unit 205 supports the shape touch,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터치 면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 터치(Shape Touch)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정전식 터치는 전하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을 인식하는데, 이와 같은 좌표 영역은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전화의 변화가 발생한 좌표 영역의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형상 터치를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support a shape touch that recognizes a touch surface shape of a specified geometry through the electrostatic touch pad. That is, the electrostatic touch recognizes a coordinate area where a change in charge occurs, and such a coordinate area can be interpreted by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touch input unit 205 may support the shape touch when interpret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coordinate area in which the phone change occurs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상기 키 입력부(206)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The key input unit 206 includes at least one of a key button, a key pad, and a keyboard corresponding to input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constituent unit. The control unit 201 and the bus And inputs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201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1. [

상기 사운드 출력부(207)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The sound output unit 207 includes a speaker corresponding to an out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peaker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a bus, The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The driving module decodes sound data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sound data into a sound signal.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The sound input unit 208 is composed of a microphone corresponding to an input resourc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 unit 201 do. The driving module encodes and encodes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카메라부(209)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09 includes an optical unit,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CCD unit, and obtains bitmap data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still image data and moving image data.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 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에 접속한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are communication resource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base station, 202 are connected to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or a wireless AP (Access Point) located at a short distance.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includes at least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1 via a bus and transmi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1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s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201, and maintains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단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에 적용되는 통신 규격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가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나 이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connection, a location registration, a call processing, a call connection, a data communication, and a handoff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However, the communication standard applied to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less network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ess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modifications. For example,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may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As a result,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wireless network to whic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accesse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implements the sam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may be integrated wit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P).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반이중 방식 또는 전이중 방식의 근접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통합될 수 있다.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roces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tandard.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preferably uses a frequency band of 13.56 Mz,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ntegrated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itioning unit 211 includes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a moving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ositioning unit 211 receives satellite signals transmitted from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orbiting the earth orbit, 200 are calculated.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locating unit 21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base station (or the access point) in cooperation with a positioning apparatus on a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with at least two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s) And a terrestrial positioning module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 terrestrial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inter-frequency arrival time (or arrival angle).

상기 USIM 리더부(2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The USIM reader 212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that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mobile station 2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USIM is a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212, (Or processing)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connection wit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215)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지정된 절차(예컨대, 메시지 수신 또는 NFC 인식 등)에 따라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The program 2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wnloaded from a server 215 (for example, an Apple App Store or the like) provided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can be connected and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The downloaded program 215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is operated manually by the user or after being confi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e.g., message reception or NFC recognition) Or activated).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하는 회원 모듈(220),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프로그램 인증 모듈(225),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230), 상기 인식된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터치 인증 모듈(240),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식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동적 인증 모듈(245) 및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 또는 터치 인증과 동적 인증을 결합한 결과를 근거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주소록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가 상기 소지자의 무선단말(500)로 제공되게 처리하는 명함 교환 모듈(275)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프로그램모듈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명명된 것으로, 실제로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술된 프로그램모듈로 모듈화되어 구현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단말(2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215)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상술된 프로그램모듈에 대응하는 기능 구성이 구현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침해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모듈 중 일부 프로그램모듈은 당업자에 의해 생략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음도 밝혀두는 바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생략이나 변형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member module 220 for processing member subscription or member authentication for a user, a program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A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for recognizing a simultaneous touch point or a shape touch surface of a geometry specifi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a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for authenticating the recognized touch, A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that performs at least one or two or more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sound authentication, location authentication, image recognition authentic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ouch authentication using resources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And receiving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or the result of combining the touch authentication and the dynamic authentication and storing the ca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card storage area, And a business card exchange module 275 for storing and processing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b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owner. Here, each of the program modules is named to describe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215, and actually does not limi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215 to the above-described program module. That is, even if the program 215 loa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implemented in any form, it is determined that the functional scope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module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thereby infring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ome program modules of the program modules may be omitted or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method of ope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omissions and modifications as wel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운드 인증 모듈(250),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 인증 모듈(255),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카메라 인증을 수행하는 카메라 인증 모듈(260),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된 근접 통신(예컨대, NFC 등) 인증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모듈 또는 둘 이상의 인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includes a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for performing sound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a position authentication module 255 for performing position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A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for performing camera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for perform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 NFC, etc.) authentication o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270. The at least one authent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authentication module.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와 매칭되는 특정 인증 대상을 식별함과 동시에 특정 인증 대상에 대한 유효성을 1차 인증하는 프로그램모듈이라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에 의해 식별된 특정 인증 대상을 2차 인증하는 프로그램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인증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과 터치 인증 모듈(240)을 이용한 특정 인증 대상의 식별과 1차 인증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인증 대상의 식별과 1차 인증 및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을 이용한 2차 인증이 결합된 형태로 고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인증 모듈(245)에 포함되는 각 인증 모듈의 2차 인증의 역할은 각기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If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are program modules for identifying a specific authentication object matched with the designated touch unit 300 and for firstly validating the validity of a specific authentication object, The module 245 may be defined as a program module for performing a secondary authentication on the specific authentication object identified by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only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authentication object using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and only the primary authentication, And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using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may be highly combi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s of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of the respective authentication modules included in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are different. Thus, using two or more different authentication modules

본 발명을 실시하는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자동으로 실행(예컨대, 무선단말(200)의 부팅과 동시에 실행, 또는 무선단말(200)의 스케줄러에 의해 실행)되어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형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대기화면(또는 배경화면)을 점유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인식 모듈(230)은 TSR 형태 또는 대기화면(또는 배경화면) 상태에서 터치 입력부(205)에 의한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를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가 아닌 일반 터치를 해당 터치에 의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215)은 터치 입력부(205)를 이용한 터치를 우선적으로 인식하여 동시 터치 또는 형상 터치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내부적으로 처리하고, 그렇지 않은 일반 터치는 운영체제로 반환하여 지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e.g., executed simultaneously with the boo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executed by the schedul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tay Resident) or occupies the idle screen (or background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can selectively recognize the simultaneous touch or shape touch by the touch input unit 205 in the form of a TSR or an idle screen (or a background screen) It is possible to bypass the touch so that the operation by the corresponding touch is performed. Preferably, the program 215 preferentially recognizes the touch using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processes it internally only when it is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or a contour touch, and returns a general touch that is not recognized as a concurrent touch or a contour touch to the operating system, .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회원 모듈(220)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무선단말(200)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가입 절차부(221)와, 상기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인증 절차부(22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225)을 이용한 프로그램 인증을 기반으로 회원 인증 없이도 명함 교환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경우에 상기 회원 모듈(220)은 생략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A, the membership module 220 of the program 215 accesses a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connectable, and register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s a member And a member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2 for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who has joined the membership. Meanwhile, the member module 220 may be omitted if the card exchang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the memb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program authentication using the program authentication module 225.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1)는 상기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회원 가입 절차와 연동하는 프로그램(215) 내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IPIN정보 등)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받는다.
The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dure unit 221 is a collective term of a program 215 coupled with a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dure performed in the operating server 100 in cooperation with the program 215. The subscription procedure unit 221 receives (E.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IPIN information) for entering a user as a member and / or an interface for inputting a member account, and receives user information and / or a member accoun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1)는 상기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가입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includes communication connection macro information for accessing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connectable, And transmits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 or the member account through the data network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acro information, so that the membership process of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is performed. Preferably, the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상기 회원 인증 절차부(222)는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회원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인증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The member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2 outputs an interface for inputting the user's membership account if the user's membership is required according to a specified policy and sends the interface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via the data network And transmits the input member account so that the member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is performed. Preferably, the member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회원 모듈(220)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의 단말 측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그램(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membership module 220 of the program 215 includes a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0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connectable, (226), and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6) includes a program authentication unit (226) for performing program authentication performed by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through at least one of a data network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by performing the terminal side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is performed by performing an encryption / decryption communication process previously agreed upon between the program 215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값이 설정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고유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고유 값을 기반으로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지정된 키 교환 프로토콜에 따른 키 교환 절차를 거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can be downloaded through the program providing server 215 with a unique value for identifying that the program is operated by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have. In this case,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6 transmits the eigenvalue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or performs a key exchange procedure according to the designated key exchange protocol with the specified operation server 100 based on the unique value So that the program 215 can authenticate that the program is op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토큰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지정된 경로에 따라 상기 토큰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is downloaded through the providing server of the program 215, and the token value uniquely identifying the program 215 on the data network , A device token assigned by Apple's APNS, etc.). In this case,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26 transmits the token value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designated path, thereby authenticating that the program 215 is a program op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have.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지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따라 해시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해시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유효한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교환된 키 값을 더 이용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configures hash information by hashing at least one file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215 according to a specified hash algorithm, The program 215 can authenticate that the program 215 is a valid program operated by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 Meanwhile,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6 may construct hash information by using the key value internally determined or exchanged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hash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인증서 발급 또는 로밍 절차에 따라 인증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상기 인증서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이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215 is downloaded through a program providing server 215 in a state in which a certificate for performing a specified authentication procedure is loaded, or downloaded The certificate can be mount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certificate issue or roaming procedure. In this case,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226 may selectively use the at least one key value set in the certificate, the key exchange protocol and the encryption / decryption rul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defined in the certificate,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at the program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The certificate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certificate of the designated operational server 100 or a certificate of the user using the program 215.

본 발명의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운영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thentication number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is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exchange protocol of the telephone network,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number,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at the program 215 is a program op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by transmitting the program 215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data network.

본 발명의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sixth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6 receives the program from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n authentication method selectivel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ifth program authentica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key 215,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을 수행하는 과정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26)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 또는 SE(Secure Element,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IC(Integrated Circuit)칩, 외부 메모리(예: SD메모리 등)의 내장 칩 중 적어도 하나의 보안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를 통해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 또는 유지하는 과정에서 통신사 측 자원에 의해 할당된 고유 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The program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26 may control the memory unit 213 or SE (Secure Elemen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t any specified time before, during, or after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first to sixth program authentication schemes, Stored in a secure storage area of at least one of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USIM), an Integrated Circuit (IC) chip, and an embedded chip of an external memory (eg, SD memory)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 Or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allocated by the communication-end-side resource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or hold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pecifi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203) 215 can be a program op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can simultaneously authenticate that the program 215 is running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B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rogram 215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N(N≥2 또는 N≤M)개의 터치 점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터치 영역 표시부(231a)와,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인증이 사운드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릴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터치 점의 개수는 ??N=1??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Referring to FIG. 2B,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of the program 215 receives touch points N (N? 2 or N? M) that form a geometric structur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A touch area display part 231a for displaying a touch area and a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part 232a for recognizing N touch points simultaneously touched in the touch area.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may recognize the simultaneous touch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 state where it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Device or server, etc.). Meanwhile, when the touch authent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t least one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sound authentication, image authentication, ground ree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the number of touch points may be ?? N = 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터치 영역 표시부(231a)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부(205) 상의 지정된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영역 내 좌표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area display unit 231a displays a touch area for receiving N touch points in a designated area on the touch input unit 205 in cooperation with the screen output unit 204. [ The touch region is represented by an area larger than an area formed by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N touch points, and an in-region coordinate system for analyzing the geometric structure for the N touch points is set.

본 발명의 동시 터치(Simultaneous Touch or Synchronous Touch)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다중 터치 점에 대하여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이 성립되는 터치이다.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The simultaneous touch or synchronous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two of the touch number condition, the touch area condition, the touch time conditio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and the pressure recognition touch condition, This is a touch in which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combining the above is established.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13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in the form of a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215, Can be set on the code.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은, 상기 최소 터치 인식 면적을 포함하여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터치 점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개수 ??N??개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들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Wherein the touch number condition includes a minimum touch recognition area and recognizes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when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a predetermined number N .

예를들어, 동시 터치로 인식 가능한 터치 점의 개수가 ??N=4??로 지정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경우에만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ouch points recognizable by the simultaneous touch is designated as ?? N = 4 ??,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determines that the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only in the touch region The point can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otherwise it can not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상기 터치 영역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의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 면적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touch area condition is a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when an area of a geometric structure formed by N touch points touching the touch area i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area .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의 면적이 16㎠이고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4각형의 면적이 상기 16㎠보다 작은 9㎠이내라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rea of the touch region is 16 cm 2 and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to the touch region, if the area of the tetragonal shape connecting the four touch points is less than 9 cm 2 smaller than 16 cm 2, The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the four touch points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기준 시간 내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touch time condition is a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when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1ms 이내에 모두 터치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in the touch area, if the four touch points are all touched within 1 ms,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recognizes four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

상기 기계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is a condition in which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simultaneously touch points when N touch units 335 provided in a separately manufactured touch unit 300 are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It is a recognition characteristic.

예를들어,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4개의 터치부(335)가 구비되고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지정된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이는 4개의 터치부(335)와 함께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기계적으로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our touch units 335 are provided in the separately manufactured touch unit 300 and the sound output function or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provided, at the time when the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in the touch area, If the sound data designat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is input or the designated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t is possible to use the sound output function or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gether with the four touch units 335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recognizes the four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because it is mechanical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

상기 압인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 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pressure-sensing touch condition is a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when a touch unit 300, which is manufactured separately, is touched by touching with a human hand.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자이로센서 등)를 통해 1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4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4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터치 영역에 4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더라도 4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4회 터치한 것일 수 있으므로,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in the touch area, a single impulse amount is detected through a sensor (e.g., a gyro sensor) built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t the time when the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Since the touch unit 300 having the four touch units 335 is touched by touching the touch unit 300 with human hands,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recognizes four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It can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On the other hand, if the four touch points are touched in the touch area, if the four touch points are detected, it may not be recogniz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 since the touch amount may be detected four times by using the human finger or the touch pen.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도장을 찍는 사람들의 행동 패턴(즉,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도장 찍는 행동 패턴) 상,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Or a behavior pattern of a person who takes a picture by touching the touch unit 300 by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as if the person is painting,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remain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if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kept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ouched by pressing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touch unit 300, The recognizing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의 특성 상,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상태에서 각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by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as if a human being is stamped, the N touch poi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 touch units 335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should remain unchanged in a touched state in the touch region. Accordingly, if N touch points are touched in the touch area and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each touch point remains unchanged,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ransmitt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because the touch is pressed.

한편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하는 과정에서 압인력에 의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N개의 터치부(33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가 이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과정에서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에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를 이격시키는 구성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과정에서 각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ocess of touching the touch unit 300 to the touch input unit 205 as if a human is stamped, the N touch units 335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If at least one of the N touch units 335 is desig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 touch points are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in a process of touching the touch area . If there is a constituent unit for separating the touch unit 335 from the touch unit 300 by a pushing force,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 for each touch point in the process of touching the N touch points in the touch area is set to a specified rule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ouched by pressing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touch unit 300. Accordingly,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recognizes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It can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압인력’ 또는 ‘압인’을 포함하는 용어는 상기 터치유닛(300)이 도장 형태의 물건이거나 또는 도장 형태의 물건에 탑재되는 모듈로 실시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용어로서, 상기 터치유닛(300)이 도장 형태의 물건이 아니거나 또는 도장 형태의 물건에 탑재되지 않는 경우 적용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cluding the 'pushing force' or 'push-in' is a term applied when the touch unit 300 is a coating type object or a module that is mounted on a coating type object , The touch unit 300 may not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touch unit 300 is not a coated type object or is not mounted on a coated type object.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다중 터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다중 터치 점이 상기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hecks whether one or more touch points are multi-touched in the touch area, and if the confirmed multi-touch point is the touch number condition, the touch area condition, the touch time conditio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mbinations of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판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 touch points that are multi-touched in the touch region satisfy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The point can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Preferably,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identifies each touch point to be touched in the touch area among the touch number condition, the touch area condition, the touch time conditio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and the pressure recognition touch condition, N touch points satisfying at least one condition are recognized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한편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 가능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점은 지정된 터치 상태 조건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동시 다중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고정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정적 터치 상태 조건,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 조건과 반대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동적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xtensibl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urrent touch point can be recognized more precisely using a specified touch condition. Wherein the touch condition condition is a simultaneous multi-touch condi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touch state in which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A static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a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maintains a static touch state that does not change for a specified time, And a dynamic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at least one touch point among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changes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as opposed to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touch state condi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13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in the form of a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215, or a program that implements the program 215 Can be set on the code.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동시 터치 점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는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B,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of the program 215 determin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touching the touch area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maintain a fixed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out moving, A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maintains a static touch state in which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 touch points remains unchanged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mong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at authenticates whether the touch point changes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Th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n operating server 100 interlocked with the program 215 or a device or a server communicabl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동시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recognizes that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satisfy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So that the N touch points can be recogniz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ms) 내에 동시에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들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may authenticate that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ouch points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1 ms). Preferably, the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acquires a touch state value by counting a time at which each touch point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recognized, The N touch points can be authenticat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When the N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만약 N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간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즉,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직각 방향으로 도장 찍듯이 터치한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시간을 카운트할 필요도 없이 동시에 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If N touch points are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having N touch units 335, the N touch points are not counted. That is, if the user holds the touch unit 300 and touches the touch input unit 20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205, the N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out counting time. In this case, the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can authenticate the N touch points touch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ouch unit 300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satisfying the touch time condition. When N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simultaneous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

한편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영역에 도장 찍듯이 터치하더라도,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도장 찍는 방향이 직각 방향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 중 일부의 터치부(335)가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먼저 터치되고 나머지 터치부(335)가 이어서 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335)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각 터치 점들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동시 터치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에 의해 동시 터치된 것으로 인증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If the direction of taking a picture with the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205 is not a right angle direction, even if the touch unit 300 is grasped by the hand of a person and the touch area is painted, Some touch units 335 of the N touch units 335 may be first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then the remaining touched units 335 may be touched. When the N touch units 335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are sequentially touched, the simultaneous multipl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counts the time at which each touch point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recognized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authenticated as being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simultaneous multipl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determin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held in the touch area satisfy the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So that the N touch points can be recogniz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Here, the fixed touch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N touch points do not move in the touch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터치 상태 값을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즉, 사람들이 종이에 도장을 찍을 경우 습관적으로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도장을 누르고 있는 행동 패턴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도장 찍는 행동 패턴이 유발되고 있는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시점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해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해제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동시 터치 점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authenticat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held in the touch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touch area is touched and the fixed touch state value is maintained. That is, when people take a picture on a paper, a behavior pattern that habitually presses the stamp so that the stamp of the stamp can be sufficiently printed on the paper is generated.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determin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The user is authenticated whether the above-mentioned pattern of taking a picture is being generated in a state where the user touches the touch area. Preferably,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counts the time from when the N touch points are touched to the touch area to when the N touch points are touched to acquire the touch state values, Authenticated whether the time elapsed exceeds a specified reference time. If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designated reference time even before the touch release is confirmed, the N touch points can be authenticat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Accordingly, when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re touched to the touch area and remain in the fixed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part 232a maintains the fixed touch state N touch points can be recognized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적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각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fourth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determin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held in the touch area satisfy the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So that the N touch points can be recogniz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Here, the static touch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touch point is not changed in a state where N touch points are touched to the touch region.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시간 동안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즉, N개의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 내에서 터치부(335)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위치도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는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동안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identifies a touch state value including a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and outputs the touch state value to the N touch points Authenticate whether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hanged. That is, as long as the position of the touch unit 335 is not changed in the touch unit 300 when N touch points are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having N touch units 335, The static touch state is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N touch points.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uthenticat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remain in the static touch state during the touch of the N touch points. If the N touch points maintain the static touch state in the touch region,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holding the static touch state as simultaneous touch points.

한편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유닛(300)를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205)와 압인력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N개의 터치부(335)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이내(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들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될 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와 같은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되더라도, 각 터치 점의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N touch units 335 are mov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according to the angles form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the pushing force when touching the touch unit 300 with the touch input unit 205, (For example, a range in which the N touch points do not deviate from the touch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point is touched. However, even if such a slip occurs, the N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N touch points remains unchanged and the static touch state is maintained. If the N touch points are simultaneously spaced in the same direction due to the slip,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may determine that the N touch points It can be recogniz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이 동적 터치 상태인지 인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의해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 유닛(300)는 N개의 터치부(33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기계적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압인력에 의해 발생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모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touch points satisfying at least one condition among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nd authenticating that the N touch points are in the dynamic touch state, Can be recognized. Here, the dynamic touch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is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while N touch points are touched to the touch region. The touch unit 300 may include a mechanical component for sliding one or more touch units 335 of the N touch units 335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ouch input unit 205 have. The dynamic touch state may be generated by a pressing force or by a motor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

상기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과정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호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이 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 위치 관계는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이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위치 변경만 상기 동적 터치 상태에 대응하는 지정된 규칙에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에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한다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identifies a touch state value including a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N touch points are touched or touched, To certify that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is changed. At this time,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N touch point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For example, only a position change in which at least one touch point of the N touch points is slid to a specific position may be included in a designated rule corresponding to the dynamic touch state. If the dynamic touch state occurs at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can recognize N touch points where the dynamic touch state is generat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하거나 또는 반복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여 이용하는 형태로 N개의 터치 점을 동시 터치 점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sixth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may combine or repeat two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fifth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methods, The N touch points can be recognized as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methods is modified and us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증 모듈(240)은,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해 동시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는 동시 터치 판독부(241a)와, 상기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미리 지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b,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of the program 215 includes a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for reading component values for N touch points simultaneously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area,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for authenticating whether a component of the N touch points matches a preset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based on the component value,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ing unit 243a for confirming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ncludes a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ing unit 243a for confirming the result An operating server 100, or a device or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reads and extracts the component values for the geometric structure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to authenticate the N touch points recognized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The component values for the N touch points may be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e.g.,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may calculate a component value including a distance value where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2b1, y1), B (2b2, y2), C (2b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distance between C and C, and the distance between B and C,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extracts a component value including a line segment value connecting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2b1, y1), B (2b2, y2), C (2b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like, the component values include segment AB, segment AC, segment BC And the like. Each line segment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equation.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2b1, y1), B(2b2, y2), C(2b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reads out a component including a line segment angle value formed by two line segments that meet at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The value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2b1, y1), B (2b2, y2), C (2b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C angle ∠BAC for AC, ∠ABC for line segment BC at point B, ∠ACC for line AC at point C, and ∠ACB for line CB.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configures the N touch points with a point (or any one of the N touch points)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as a reference point (Or (N-1) points excluding the reference point out of the N touch points).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includes the area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on the designated coordinate system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는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may combine two or more touch recognizers among the first through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or may repeat one or more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And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may extract component values for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according to the applie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215) 코드 형태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has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component value for the N touch points.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to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n the form of a program 215 code of the program 215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May be provided i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touch point number condition for a number N ?? of touch points to be simultaneously touched in the touch area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A center determin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 distance calculation condition (for example,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s of the respective points) for calculating distances between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E.g. distance distances and tolerances of respective points) for authenticating a distance, a line segment setting condition for connecting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for example, connecting a center point of each point (For example, an equation of a straight line, a slope of a straight line, a tolerance, etc.) for authenticating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points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n interior angle or an outside angle formed by a line segment) for determining an angle of a line segment formed by two line segments and an angle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int,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 size and a direction of a vector) for determining a vector component for the N touch points, and a vector determination condition (For example, vector size and direction, tolerance and the like) for calculating the area for each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for example, dividing the multi-touch area into a plurality of cells, At least one or two of an area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and an area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area of each touch point The combination comprises.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를 통해 추출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compares the component value of the N touch points extracted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and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or performs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N touch Authenticates whether the component of the point matches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미지화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동시 터치 판독부(241a)에 의해 판독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증부(242a)로 제공하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확인된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confirms the result of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authenticating the component values of the N touch points using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f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may gener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The component value read by the simultaneous touch reading unit 241a is provided to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component value read from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by the N A result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touch point component matches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may provide the operation server 100 with a touch recognition result or authentication result using the touch unit 300 identified through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do.

도면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형상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C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rogram 215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hape t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하는 터치 영역 표시부(231b)와,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에 터치되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형상 터치 인식부(232b)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C,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of the program 215 includes a touch are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 touch area for receiving a shape touch screen having a geometry of a specified geometry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a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for recognizing a shape touch surface that is simultaneously touched in the touch area.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may recognize that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operating server 100 interlocked with the program 215 or the mobile terminal 200) Device or server, etc.).

상기 터치 영역 표시부(231b)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연동하여 터치 입력부(205) 상의 지정된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기하학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영역 내 좌표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uch area display unit 231b displays a touch area for receiving a shape touch screen in a designated area on the touch input unit 205 in cooperation with the screen output unit 204. [ The touch area is displayed in an area larger than an area formed by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and an in-area coordinate system for analyz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is set.

본 발명의 형상 터치(Shape Touch)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터치 면에 대하여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이 성립되는 터치이다.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The shap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a touch area condition, a touch time condition, a mechanical touch condition, and a pressure recognition touch condition is combined with a touch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t is a touch that is established.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13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in the form of a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215, Can be set on the code.

상기 터치 영역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의 면적이 미리 지정된 기준 면적 이내인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touch area condition is a feature that recognizes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specified shape when an area of a geometric structure formed by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area.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의 면적이 16㎠이고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되는 면의 면적이 상기 16㎠보다 작은 9㎠이내라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rea of the touch area is 16 cm 2 and the surface is touched to the touch area, if the area of the touch area is less than 9 cm 2 less than 16 cm 2,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as the shape touch surface made of the specified shape.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기준 시간 내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touch time condition is a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specified shape when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1ms 이내에 모두 터치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ntire area of the surface to b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touched within 1 ms,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can recognize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as the shape touch surface having the specified shape .

상기 기계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를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I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when touching the touch unit 335 included in the separately manufactured touch unit 300 with the touch input unit 205, the touch surface is recognized a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designated shape .

예를들어,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에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진 1개의 터치부(335)가 구비되고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터치부(335)가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지정된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이는 터치부(335)와 함께 사운드 출력 기능 또는 근접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기계적으로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ovided with a single touch unit 335 having a geometric structure and a sound output function or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provided, the touch unit 335 When the sound data specified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is inputted or the data designat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received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35 is touched,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ed area as a shape touched surface having a designated shape since it is mechanical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압인식 터치 조건은, 별도 제작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 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하는 특성이다.
The pressure recognizing touch condition is a characteristic of recognizing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specified shape when a touch unit 300 is separately pressed by human hands.

예를들어,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자이로센서 등)를 통해 1회의 충격량이 검출된다면, 이는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impact is detected once through a sensor (e.g., a gyro sensor) built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at the time the surface i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Since the unit 300 is touched by pressing with human hands,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can recognize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ed area as a touched surface.

또는 사람이 도장 찍듯이 터치 유닛(300)를 터치 입력부(205)에 눌러 터치한 경우, 도장을 찍는 사람들의 행동 패턴(즉,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도장 찍는 행동 패턴) 상,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은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일정 시간 동안 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은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눌러 터치한 것이므로,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지정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Or a behavior pattern of a person who takes a picture by touching the touch unit 300 by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as if the person is painting, The touched surface of the touch area remain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fore, if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remain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touched by touching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touch unit 300, Can recognize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a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specified shape.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면이 터치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면이 상기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터치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determines whether the surface of the touch area is touch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surface is at least one or more than the touch area condition, the touch time conditio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Confirm that the combined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본 발명의 제1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영역 조건, 터치 시간 조건, 기계식 터치 조건, 압인식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the touch surface as a shape touch surface . Preferably,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a touch surface tha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touch area condition, the touch time condition, the mechanical touch condition, and the pressure recognition condition.

한편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 가능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면은 지정된 터치 상태 조건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인식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고정 터치 상태 조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정적 터치 상태 조건,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 조건과 반대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동적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셋트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213)(또는 지정된 저장매체(6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코드 상에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xtensibl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surface can be more accurately recognized using a specified touch state condition. Wherein the touch condition condition is a simultaneous touch condi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touch condition that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 condition in which the touched surface touches the fixed touch condition A static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a shape of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maintains a static touch state that i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 dynamic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changes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The touch state condi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13 (or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in the form of a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215, or a program that implements the program 215 Can be set on the code.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하기 위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상태를 인증하는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이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는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화하는지 인증하는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b)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C,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230 of the program 215 recognizes a touch state in which a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recognize the shape touch surface more precisely A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b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area maintains the fixed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out touching the touch area, A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ng unit 235b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shape of the touch area is maintained in a static touch state that i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ng unit 236b The authent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n operating server 100 interlocked with the program 215 or a device or a server communicable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제2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동시에 터치된 면인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nd authenticates that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a touched surface, The surface can be recognized as a touch surface.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ms) 내에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인지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근거로 상기 터치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경우에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터치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b can authenticate that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a shape touch surface touched simultaneous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1 ms). Preferably,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b counts a time at which the entire area of the surface to b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recognized to obtain a touch state value, and based on the counted time,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touch surface as a shape touch surface. When the shape touching surface is simultaneously touch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hape touch recognizing unit 232b can recognize the touched surface as a shape touching surface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만약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도장 찍듯이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인식되는 시간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즉,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직각 방향으로 도장 찍듯이 터치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면은 시간을 카운트할 필요도 없이 동시에 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상기 형상 터치 면을 상기 터치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형상 터치 면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통해 동시에 터치된 면을 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If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having the touch portion 335, the time at which the shape touch surface is recognized is not counted. That is, if the user holds the touch unit 300 and touches the touch input unit 20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205, the shape touch screen is touched simultaneously without counting time. In this case,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b can authenticate the shape touch surface touch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ouch unit 300 as a shape touch surface satisfying the touch time condition. When the shape touch surface is simultaneous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can recognize the touch surface simultaneously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as an upper touch surface.

한편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쥐고 상기 터치 영역에 도장 찍듯이 터치하더라도, 상기 터치 입력부(205)의 터치 영역과 도장 찍는 방향이 직각 방향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 중 일부의 면이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먼저 터치되고 나머지 면이 이어서 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터치부(335)가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면의 전체 영역이 인식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동시에 터치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33b)에 의해 동시에 터치된 것으로 인증된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If the direction of taking a picture with the touch area of the touch input unit 205 is not a right angle direction, even if the touch unit 300 is grasped by the hand of a person and the touch area is painted,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335 is first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the remaining surface is touched. When the touch unit 335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is sequentially touched,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b counts the time at which the entire area of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recognized, And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the touch surface authenticated as being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33b as a shape touch surface.

본 발명의 제3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third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authenticates whether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nd maintains the fixed touch state, The touch surface can be recognized as a shape touch surface. Here, the fixed touch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hape touch surface does not move in the touch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터치 상태 값을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즉, 사람들이 종이에 도장을 찍을 경우 습관적으로 도장의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수 있도록 도장을 누르고 있는 행동 패턴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도장 찍는 행동 패턴이 유발되고 있는지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b)는 상기 형상 터치 면이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시점부터 상기 형상 터치 면이 터치 해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터치 상태 값을 획득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지 인증한다. 상기 터치 해제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지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다면, 상기 터치 면은 형상 터치 면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고정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fixed-touch-state authentication unit 234b authenticates whether the touched surface of the touch area is touched and maintains the fixed touched state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out moving. That is, when a person stamps a paper, a behavior pattern that habitually presses the stamp so that the stamp of the stamp can be sufficiently printed on the paper is generated. The fixed-touch-state authentication unit 234b determines whether the shape- The user is authenticated whether or not the above-described pattern for taking a picture is being generated. Preferably,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b counts a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to the touch area to the time when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to acquire the touch state value, Authenticated whether the time elapsed exceeds a specified reference time. If the counted time exceeds the specified reference time even before the touch release is confirmed, the touch surface may be authenticated as the shape touch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touching area of the touch area is touched and the fixed touch area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hape touch recognizing part 232b recognizes the surface holding the fixed touch area as a touch surface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제4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적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fourth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authenticates whether the touched surface of the touch area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nd maintains a static touched state, The touch surface can be recognized as a shape touch surface. Here, the static touch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hape of the touch surface is not changed when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to the touch region.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에 대한 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면이 터치된 시간 동안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즉, 터치부(335)를 구비한 터치 유닛(300)를 통해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할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의 터치부(335) 형상이 변경되지 않은 한,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형상도 변경되지 않고 정적인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된 동안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지 인증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형상 터치 면이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b confirms the shape of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and confirms the touched state value of the shape touch surface during the touched time, Is changed. That is, when the shape touching surface is touched through the touch unit 300 having the touching unit 335, the shape of the shape touching surface is changed as long as the shape of the touching unit 335 of the touching unit 300 is not changed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b authenticates whether the static touch state is maintained while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If the shape touch surface maintains the static touch state in the touch area,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can recognize the surface maintaining the static touch state as the shape touch surface.

한편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 유닛(300)를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205)와 압인력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터치부(335)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일정 범위 이내(예컨대,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끄러짐이 발생하더라도 형상 터치 면들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될 뿐,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은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와 같은 미끄러짐에 의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격되더라도, 터치 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고 정적 터치 상태를 유지한다면,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by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the touch unit 335 touches the touch input unit 205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and the pressing force. (E.g., a range in which the shape touch surface does not deviate from the touch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surface is in a state of being slid. However, even if such a slip occurs, the shape touch surfaces are simultaneously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shape touch surface is not changed but the static touch state is maintained. The shape recognition unit 232b recognizes the surface as a shape touching surface if the shape touching surface is simultaneously spaced in the same direction due to the slip, and the shape of the touching surface remains unchanged and remains in the static touching state .

본 발명의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동적 터치 상태인지 인증하여 상기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 터치 상태는 형상 터치 면이 터치 영역에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적 터치 상태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의 형상이 변경 또는 회전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모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 surface as a shape touch surface by certifying that the touch surface in the touch area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s and is in the dynamic touch state . Here, the dynamic touch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hape is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while the shape touch surface is touched in the touch area. Such a dynamic touch state may be generated by a pushing force of the touch unit 300 or by a motor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for example.

상기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의 형상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면이 터치되는 과정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지정된 규칙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는지 인증한다. 이 때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은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되는 형상 터치 면에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한다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동적 터치 상태가 발생된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b verifies the touch state value of the shape of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region and authenticates whether the shape of the touched surfac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a specified rule in the process of being touched or touched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hape touch surface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If the dynamic touch state occurs on the shape touch surface touched to the touch region,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can recognize the surface on which the dynamic touch state is generated as the shape touch surface.

본 발명의 제6 형상 터치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는 상기 제1 내지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하거나 또는 반복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형상 터치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여 이용하는 형태로 터치 면을 형상 터치 면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sixth shape touch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may combine or repeat two or more of the first to fifth shape recogni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ouch surface as a shape touch surface in a form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ouch recognition methods is modified and us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터치 인증 모듈(240)은, 상기 터치 영역을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는 형상 터치 판독부(241b)와, 상기 패턴 인식 값을 근거로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미리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예컨대,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통신 가능한 장치 또는 서버 등)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C,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of the program 215 includes a shape touch reading unit 241b that reads a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a geometric structure of a shape touch surfac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area,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matches a predetermin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based on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e shape authentication unit 242b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shape authentication unit 242b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Server 100, or a device or server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는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232b)를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이미지화하여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The shape touch reading unit 241b forms a shape touch image by imag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creen to authenticate the recognized shape touch screen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232b. The shape touch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itmap image or a vector map image imag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set in the touch region. The shape touch reading unit 241b extracts a pattern recognition value by applying the shape touch image to a designat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the shape touch image is a generic name of values interpreted through a specifi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of at least one of points, lines, and faces constituting the shape touch imag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any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image processing if it is an algorithm for extrac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that matches a specifi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various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215) 코드 형태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has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by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to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in the form of a program 215 code of the program 215 or may be provided to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Th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may be provided with the shape authentication unit 242b.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obtained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a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or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with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A generic term of a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validity, and may preferably include a predicted value and a tolerance of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를 통해 추출된 패턴 인식 값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compare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through the shape touch reading unit 241b with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or performs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is the shape Authentication to match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을 이미지화한 형상 터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형상 터치 판독부(241b)에 의해 판독된 패턴 인식 값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증부(242b)로 제공하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로부터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확인된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ing unit 243b confirms the result of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authenticat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using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f the shape authentication unit 242b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b may extract the shape touch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read by the shape touch reading unit 241b is provided to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provides the shape recognition value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matched with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b may provide the operation server 100 with a touch recognition result or authentication result using the touch unit 300 identified through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an do.

도면2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인증 또는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d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215 for performing sound authentication or location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d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사운드 인식부(251)와, 상기 인식된 사운드가 미리 지정된 사운드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사운드 인증부(252)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를 구비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독립적으로 사운드를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사운드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인식 및 인증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터치 유닛(300)가 위조 또는 변조 또는 복제되지 않은 진성 장치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인식 및 인증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모듈(250)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d,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the program 215 may include a sound input unit 208 at any point in time before, during, or aft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1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cognized sound matches a predetermin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3 for confirming a result of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can be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can recognize the sound independently and authenticate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n this case, the result of the sound authentication is equivalent to the touch recognition Lt; / RTI > Preferably,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recognizes and authenticates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touch unit 300,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touch unit 300 to communicate with the intrinsic device 300 that is not falsified, Can be authenticated. Or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recognizes and authenticates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having the touch unit 300,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can recognize that the touch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touch unit 300 300) in the vicinity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장치(예컨대,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사운드 신호는 터치 유닛(3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device (for example, a point-of-sale (POS) device) for outputting a designated sound signal is provided near a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a program 215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Point of Sales terminal, a CAT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a charge terminal, a computer, or a touch unit 300 that i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The sound device outputs a specified sound signal at a specified time point before, during, or after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In particular, the sound signal may be output by the touch unit 300.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an identify a unique code of a designated code system, and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sound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ound device.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사운드 신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사운드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an identify the disposabl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output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disposable code. The sound device stores or maintains a code generation rule (e.g., a code generation algorithm and / or one or more seed values) for generating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code system, and stores the disposable code of the specified code system It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a sound signal. Or the disposable code may be dynamically generated via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ound device and provided to the sound device.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sound data,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ing the disposable code (e.g., a code generation algorithm in which a one- And / or a rule that matches the seed value).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사운드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사운드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an identify the unique code of the specified code system and the dynamically generated one-time code, and output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unique code and the disposabl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sound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ound device, and the disposable code may also be generated dynamically via the sound device,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a designated server and provided to the sound device. Wherei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unique code and a one-time use code, the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object code matched with the one- . ≪ / RTI >

본 발명의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을 인증하는 인증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a signal sound of a specified frequency band, and can output the designated sound signal. At this time,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device may play the role of the unique code or the disposable code. And the sound data is a signal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uthentication frequency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a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sound.

본 발명의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사운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ound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pparatus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specified specific sound pattern, and can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sound pattern. At this time, the sound pattern of the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sound device may play the role of the unique code or the disposable code. If the sound data includes a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sound pattern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5 사운드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신호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ound device may output a sound signal in a manner of comb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ifth sound output methods,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nditions matching the sound signal . Preferably,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15 in the form of program code of the program 215 or in the form of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사운드장치를 통해 발생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는 지정된 버퍼 메모리에 버퍼링(Buffering)되며,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접근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한다.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recognizes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which is generated through a sound devic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eferably,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is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memory, and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accesses the buffer memory to confirm the sound data.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형태의 사운드 신호음(예컨대, 부저 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onvert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into a sound signal of a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type (e.g., Buzzer sound). Alternatively, the sound device may output a signal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fourth sound output method. Alternatively, the sound device may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a specific sound pattern according to the fifth sound output method.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recognizes one or more frequency bands of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one or more frequency bands to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dentifies one or more frequency bands included in the recognized sound data, and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sound data by reading the identifi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DTMF unique code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unique code and the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the sound authenticator 252 compares the unique code of the sound data with the comparison object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des.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DTMF disposable code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included in a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can be verified by using the code.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신호음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의 지정된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signal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authentication frequency informa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determines that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of the sound data is a frequency band of the authentication frequenc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ound data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band by confirming that the sound data is included in the specified error range.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recognizes the sound pattern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ound pattern included in the sound data by comparing with the authentication value or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을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ound data perform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 If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can recognize the input sound data or the unique code recognized from the input sound data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 a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sound data from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지정된 사운드 패턴(예컨대, 지정된 음성(예: 화자가 발성한 분절음 소리), 음원(예: 악보에 따라 악기를 통해 연주된 음악, 악보에 따라 화자가 발성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an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a sound pattern in which one or more codes among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are patterned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sound output methods have. Alternatively, the sound device may include a sound pattern (for example, a designated sound (e.g., a spoken sound of a speaker), a sound source (e.g., music played through a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 musical score, (E.g., at least one sound pattern among the sound patterns).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recognizes the sound pattern included in the sound data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8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sound pattern to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dentifies the recognized sound pattern, and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sound data by reading the identified frequency ban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sound pattern obtained by patterning a unique code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the sound authenticator 252 acquires a unique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de with the comparison target code.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sound pattern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patterned in the sound data and is contained in a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generates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orresponding to the sound pattern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compared comparison target code.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generates the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of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Or may perform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sound pattern.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사운드 패턴을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ound data perform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 If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can recognize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input sound data or the input sound data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may receive a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sound pattern of the sound data.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코드는 가청주파수 또는 비가청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에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부호화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사운드 신호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가 직접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can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a sound code obtained by coding one or more specified codes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according to the first through third sound output methods have. The sound code is a generic term for encoding a bit string composed of ?? 0 ?? and ?? 1 ?? in a sound signal in an audible frequency or a non-audible frequency region. The sound c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Can be directly co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장치는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될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하여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되는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vice identifies a sound signal to be encoded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es a sound spreading code by encoding the designated code according to a coding rule matching an encoding rule of the sound signal, The generated sound spreading code is encoded into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ed encoding rule to generate the sound code in which the designated code is encoded. Preferably, the sound spreading code encoded in the sound signal is encoded in a pseudo noise region so that the sound perception capability that a typical human perceives is such that the specified code can recognize the sound spreading code encoded I will not.

상기 사운드장치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코덱으로 엔코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되며, 음성녹음을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가 지원하는 코덱 중에서 상기 사운드장치에서 상기 사운드코드를 엔코딩한 규칙과 동일한 규칙의 코덱으로 엔코딩되거나, 또는 최소한 상기 사운드코드가 훼손되지 않는 코덱으로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und device outputs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sound code, and the sound input unit 208 receives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sound code. The sound input unit 208 may encode the input sound signal into at least one codec. For example, when the sound signal is input for voice communication, the input sound signal is encoded through a codec suitable for the voice call, and when the sound signal is input for voice recording, May be encoded through a codec suitable for the voice call. Preferably, the input sound signal is encoded by a codec of the same rule as the rule that the sound code is encoded in the sound device among the codecs supported by the sound input unit 208, or at least the codec Lt; / RTI >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는 상기 버퍼링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 전달한다.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decodes the buffered sou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coding rule to obtain a sound spreading code in which the to-be-encoded data is encoded, obtains an encoded code in the obtained sound spreading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authentication unit 252.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cludes a sound code obtained by encoding a unique code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the sound authenticator 252 generates a unique code And the validation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can be authenticated.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may include a sound code obtained by cod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sound data and included in a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encoded in the sound code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comparison object code.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를 통해 수행된 사운드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코드로부터 획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부(252)로 제공하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로부터 상기 사운드코드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ound data perform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 If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ound data or the sound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ound data, And provides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obtained from the sound code to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authenticates the sound code Can be provided.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사운드 인증 확인부(253)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식부(251)를 통해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사운드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is provided as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checks the sound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3, It is confirmed whether the sound data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recognition unit 251 is authenticated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ound authentication method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sound authentication methods. If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surfaces is authenticated and the recognized sound data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dynamic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faces, The control unit 243a may determine that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nfirmed sound authentication result.

도면2d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위치 인증 모듈(255)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측위된 위치 데이터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256)와, 상기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위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위치 인증부(257)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위치 인증 확인부(258)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위치 인증 모듈(255)은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와 만날 예정이거나 또는 만난 상태를 인증하거나, 또는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터치 유닛(300)가 위치함을 인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d, the lo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55 of the program 215 determines wheth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during, A position recognition unit 256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data positioned through the position authentication unit 257, a position authentication unit 257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cognized position data mat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8 for confirming the result of authentication of the data.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can be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Preferably, the lo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55 authenticates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unit 300 is located, or authenticates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unit 300 is located,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GPS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실시간 측위하거나 또는 마지막으로 측위된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위치 인식부(256)는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실시간 측위되거나 또는 획득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확인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ny specified time before, during, or aft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ing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e position locating unit 211 transmits, via GPS, Position the position in real time or obtain the position finally positioned.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56 confirms the position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positioned or obtained in real time via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11. [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와 비교될 기준 위치, 위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has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ference location and a location area to be compared with the identified location data. Preferably,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15 in the form of program code of the program 215, or in the form of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위치(예컨대,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을 통해 확인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지자가 이동하여 터치 유닛(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운영 서버(100) 또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될 수 잇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a generic nam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should exist at the time of touching the touch unit 300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 Preferably a reference position or posi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e.g., the position identified by the holder's wireless terminal 500). When the holder moves and the position of the touch unit 300 is changed,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or a designated server.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기준 위치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는 상기 위치 인증부(257)를 통해 수행된 위치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위치 인증부(257)로 제공하며, 상기 위치 인증부(257)로부터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position authenticating unit 257 checks whether the confirmed position data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r whether the confirmed position data exists in the position area of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position data.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8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location data performed through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If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8 transmits the confirmed location data to a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not shown) And provides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of the position data by the position authentication unit 257. [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위치 인증 모듈(255)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위치 인증 확인부(258)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식부(256)를 통해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위치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위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55 is provided as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checks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58, And confirms that the recognized position data through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256 is authenticated. If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surfaces is authenticated and the recognized position data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dynamic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faces, The control unit 243a may determine that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nfirmed location certification result.

도면2e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카메라 인증 또는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E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215 that performs camera authentication or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e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261)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이미지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이미지 인증부(262)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이미지 인증 결과 확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독립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인식하여 이미지 인증부(26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이미지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메라 인증 모듈(260)은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와 만난 사용자가 지정(또는 유도)된 특정 행위(예컨대,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행위 또는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주문하는 행위 등)를 했음을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인증은 이와 같은 행위와 연동되는 인증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E,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of the program 21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mera unit 209,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before, after, or aft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An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verified image data matches a predetermined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n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for,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may be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may be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ognition unit 261 can independently recognize image data and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n this case, Can be used equally. Preferably,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performs a predetermined action (for example, an action of photographing a code image or an action of photographing and ordering a code image, etc.) designated by a user who has met a holder possessing the touch unit 300 ) That you have done. The touch authentication may be an authentication associated with such an ac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지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매체(예컨대,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POS 단말, CAT,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인쇄방식으로 표시하는 터치 유닛(300) 등)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equipped with the program 215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an image medium (for example, A POS terminal, a CAT, a charge terminal, a computer, etc., or a print medium on which a designated image is printed, or a touch unit 300 for displaying a designated image in an electronic / printing manner) equipped with an electronically outputting display .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이용하여 지정된 이미지매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유도에 따라 지정된 조작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의 결과로서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상기 이미지매체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획득된다.
The image recognition unit 261 outputs an interface for guiding image data from the designated image medium using the screen output unit 204. The user performs a designated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interface, Image data is obtained from the image medium through the camera unit 209 as a result of the user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예컨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 코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코드 방식, 데이터매트릭스 방식, 맥시코드 방식, PDF417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코드가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이미지는 로고, 문양, 기호, 사진, 도안 중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may include a code image (for example, a one-dimensional bar code, a two-dimensional bar code, a three-dimensional bar code, a color code, etc.) Preferably, the code image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bar code in a code designated in at least one of a QR code format, a data matrix format, a maxi code format, and a PDF 417 format. Or the image data may comprise a pattern image comprising a specified image pattern. Preferably, the pattern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pattern recognizable through a specifi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of a logo, a pattern, a symbol, a photograph, or a pattern.

본 발명의 제1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이미지 패턴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장치(예컨대,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POS 단말, CAT,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지정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터치 유닛(300) 등)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image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edium includes an image device including a display for electronically outputting a code image or an image pattern (for example, a POS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for electronically outputting a designated image, a CAT, A charge terminal, a computer or the like, or a touch unit 300 for electronically outputting a designated image).

본 발명의 제1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lectronic image outpu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evice can confirm the inherent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electronically output the encoded code image with the confirmed inherent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imaging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When a unique code is encoded in an electronically outputted code imag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mparison targe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unique code.

본 발명의 제2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이미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이미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lectronic image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evice can identify the disposabl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electronically output the code image in which the identified unique code is encoded. The image device stores or maintains code generation rules (e.g., code generation algorithms and / or one or more seed values, etc.) for generating one-off codes of a specified code scheme, and stores the one- It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an image. Or the disposable code may be dynamically generated via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and provided to the imaging device. When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in the electronically outputted code imag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ing the disposable code (e.g., a code generated by dynamically generating a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image Generation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본 발명의 제3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이미지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이미지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이미지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lectronic image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evice confirms the inherent code of the specified code system and the one-time use code dynamically generated, and electronically outputs the confirmed unique code and the one- .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imaging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imaging device, and the disposable code is also dynamically generated via the imaging device,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a designated server and provided to the image device. Wherein when the unique code and the one-off code are encoded in the electronically output code imag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mparison targe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and the comparison target code to be compared with the one- Code generation rules can be included.

본 발명의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장치는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electronic image out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evice can electronically output a pattern image including a specified specific image pattern. At this time, the pattern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device may play the role of the unique code or the disposable code. When the pattern image is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image pattern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상기 이미지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Wherein the image device is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in a manner of combin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electronic image output methods,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nditions matched to the image can do. Preferably,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15 in the form of program code of the program 215, or in the form of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제2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image display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medium may include a print medium on which a code image or a pattern image is printed.

본 발명의 제1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rint image display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de image in which a unique code of a specified code scheme is encoded can b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When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ing medium includes a unique cod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본 발명의 제2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기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print image display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 medium can be printed as a pattern image including a specified specific image patter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image pattern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when the pattern image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is included.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이미지매체를 통해 전자적 또는 인쇄방식으로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지정된 버퍼 메모리에 버퍼링 되며,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는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접근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미지 인증부(262)로 전달한다.
The image recognition unit 261 acquires image data displayed in an electronic or printing manner through an image medium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eferably, the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209 is buffered in a designated buffer memory, and the image recognition unit 261 accesses the buffer memory to acquir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do.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If the image data includes a unique code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compares the unique code of the image data with the comparison object code Thereby validating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image data.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data includes the one-time use code and is included in the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one-time use code i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uses the comparison target cod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de generation rule And validate the validity of the one-time code included in the image data.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recognizes the image pattern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when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are included i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recognizes the image pattern,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authentication value with the authentication value or perform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image pattern included in the image data.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는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를 통해 수행된 이미지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코드 정보,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을 해석한 코드 정보 등)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이미지 인증부(262)로 제공하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3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image data performed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f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3 may identify the acquired image data or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input image data (e.g., Code information encoded in a code image,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interpreting a pattern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and the like) to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image data.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이미지 인증 확인부(263)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부(261)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이미지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is provided as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ing surface,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checks the image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63, And confirms whether the image data recognize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unit 261 is authenticated. If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surfaces is authenticated and the recognized image data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dynamic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faces, The control unit 243a may determine that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ing surfaces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nfirmed image authentication result.

도면2e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근거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와,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독립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인식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터치 유닛(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터치 유닛(300)가 위치함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E,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of the program 21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oint A local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66 for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device via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2,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matches the predetermined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8 for confirming the result of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an be implemented outside the radio terminal 200 Do.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66 can recognize local area communication independently and can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67. In this case, It can be used equivalently to touch recognition. Wh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performs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ouch unit 300,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30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mobile terminal 200 You can authenticate. Or wh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having the touch unit 300,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performs the touch authentication to the touch unit 300 It can be verified that it is carried out near the owner of the possess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장치(예컨대, 소지자가 위치한 장소의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program 215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E.g., a point-of-sale terminal at a location where the holder is located, a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CAT), a charge terminal, a computer, or a touch unit 300 that i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have. The local device transmits designated authentication data at a specified time point before, during, or aft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device can confirm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identified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the memory of the local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인증 데이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device can confirm the one-tim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identified unique code. The local device stores or maintains a code generation rule (e.g., a code generation algorithm and / or one or more seed values) for generating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code system, and stores the disposabl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Dynam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through authentication data. Or the disposable code may be dynamically generated via a designated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device and provided to the local device.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that matches the one-time use code (for exampl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본 발명의 제3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근거리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device can confirm the unique code of the specified code system and the dynamically generated one-time code,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identified unique code and the one-tim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local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device, and the disposable code may also be generated dynamically via the local device, And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server and provided to the near device. Wherein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and a code gene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object code matching the disposable code You can include rules.

상기 근거리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근거리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local device may transmit authentication data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tching with the authentication data. Preferab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provided in the program 215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of the program 215, or in a form of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Lt; / RTI >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근거리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장치는 상기 인증 데이터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는 상기 근거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여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 전달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보안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지정된 암호화 규칙에 따라 암호화되며,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복호화되거나, 또는 운영 서버(100)(또는 지정된 서버)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The local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66 confirms the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devic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esignated code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area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part 267).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and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a local device and at least one key value for security processing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is encrypted according to a specified encryption rule, and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Or may be decrypt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or a designated server).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dentifies one or more codes among the unique code and the one-time code included in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and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data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f the authentication data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is encrypt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an decrypt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the comparison targe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is included in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ompares the unique code of the authentication data with the comparison target code So as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If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included in the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one-time code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transmits the comparison target code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can be authenticated.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를 통해 수행된 인증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 제공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8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data performed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f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68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8 has received the input authentication data, And / or a disposable code is provided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an receive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확인부(268)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부(266)를 통해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is provided as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ing surface,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transmits the short- And confirms whether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66 is authenticated. If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surfaces is authenticated and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the dynamic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faces, The control unit 243a may determine that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nfirmed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도면2f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접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f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215 for performing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근접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근접 통신 인식부(271)와,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근접 통신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를 구비하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독립적으로 근접 통신을 인식하여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인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의 결과는 터치 인식과 동등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터치 유닛(300)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터치 유닛(300)가 위조 또는 변조 또는 복제되지 않은 진성 장치임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인증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은 터치 인증이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근처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인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of the program 215 determines whether the N proximity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detected at any time point before, during, A proximity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71 for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roximity devic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matches a predetermine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3 for confirming the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an be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Do.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71 can independently recognize proximity communication and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n this case, It can be used equivalently to touch recogni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touch unit 300 to falsify or modify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ouch unit 300, It can authenticate that it is an authentic device that is not replicated. Or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Can be authenticated as being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근처에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근접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접장치(예컨대, POS(Point Of Sales) 단말, CAT(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요금단말, 컴퓨터 등, 또는 상기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터치 유닛(300), 또는 RF카드, 비접촉식 IC카드, NFC카드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이 인식 내지 인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지정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program 215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 surface,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A touch unit 300 that i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r an RF card, a contactless IC card, an NFC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rd, etc.) may be provided. The proximity device transmits the specified authentication data at a designated time point before, during, or afte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 surfaces are recognized or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제1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device can confirm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confirmed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the memory of the proximity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with the unique code.

본 발명의 제2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인증 데이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접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device can confirm the one-tim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confirmed unique code. The proximity device stores or maintains a code generation rule (e.g., a code generation algorithm and / or one or more seed values, etc.) for generating a one-off code of a specified code system, and stores the one- Dynamically generated and transmitted through authentication data. Or the disposable code may be dynamically generated via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device and provided to the proximity device.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ed with the one-time use code (e.g., code generation by dynamically generating a on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본 발명의 제3 근접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접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접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근접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근접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접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device can confirm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and the dynamically generated one-time code,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confirmed unique code and the one-tim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or maintained in a memory of the proximity device, or may be provided from a designated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device, and the disposable code may also be generated dynamically via the proximity device, Can be dynamically generated through the designated server and provided to the proximity device. Where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inherent code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You can include rules.

상기 근접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근접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215)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의 형태로 메모리부(21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device may transmit authentication data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proximity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tching with the authentication data.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of the program 215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3 in the form of data (or file) Lt; / RTI >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처에 구비된 근접장치로부터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장치는 상기 인증 데이터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는 상기 근접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에서 지정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여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 전달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근접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보안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지정된 암호화 규칙에 따라 암호화되며,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복호화되거나, 또는 운영 서버(100)(또는 지정된 서버)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71 confirms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roximity device provided near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Preferably, the proximity device can transmit various data in addition to the authentication data. The proximity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71 recognizes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a designated code among data received from the proximity device, 272).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and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proximity device and at least one key value for security processing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is encrypted according to a specified encryption rule, and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Or may be decrypt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or a designated server).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dentifie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a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and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data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f the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is encrypte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an decrypt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증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is included 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ompares the unique code of the authentication data, So as to authenticate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If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included in the code generation rule for authenticating the one-time cod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ompares the comparison target cod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de generation rule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can be authenticated.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를 통해 수행된 인증 데이터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외부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 제공하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증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3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data perform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s implement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3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3 has received the input authentication data or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provided outside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 the authentication result from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되는 동적 인증 모듈(245)로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이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확인부(273)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식부(271)를 통해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유효성이 인증되고,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인증과 결합된 동적 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인식된 인증 데이터가 인증되면, 상기 터치 인증 결과 확인부(243a)는 상기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is provided as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he shape touching surface, th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confirmation unit 243a determines whether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unit 273 to confirm whether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recognition unit 271 is authenticated. If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surfaces is authenticated and the recognized authentication data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the dynamic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authentication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feature touch faces, The control unit 243a may determine that the validity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shape touching surfaces is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nfirme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도면2a 내지 도면2f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명함 교환 모듈(275)은, 상기 무선단말(200), 프로그램(215),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인증 모듈(240)을 통해 수행된 터치 인증의 결과, 또는 상기 터치 인증 모듈(240)과 동적 인증 모듈(245)을 통해 수행된 터치 인증과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인증 결과를 근거로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명함 교환 모듈(275)은 상기 무선단말(200) 또는 프로그램(215)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명함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2A to 2F, the business card exchange module 275 of the program 215 may includ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gram 215, and the us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performed through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or the touch authentication performed through the touch authentication module 240 and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to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combining the dynamic authentication, and stores the ca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card storage area. Alternatively, the business card exchange module 275 may provide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based on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program 215.

상기 명함 교환 모듈(275)은 상기 프로그램(215) 상에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근거로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상기 사용자의 친구(또는 지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The business card exchange module 275 can register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s a friend (or acquaintance) of the user based on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on the program 215. [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유닛(300)를 예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도면3은 사람의 손으로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N개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터치패드에 동시에 터치시키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터치 유닛(300)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구조가 변형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유닛(300)을 도장 형태의 물건으로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터치유닛(300)에 대한 구조적 특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의 터치유닛(300)은 도장 형태 유지에 필요한 일부 구성을 제외한 터치부 등을 포함하는 모듈의 형태로 제작되어 손에 쥐거나 휴대 가능한 다양한 물건(예컨대, 카드, 액세서리 등)에 탑재/내장되는 형태, 또는 도장 형태의 물건 외에 손에 쥐거나 휴대 가능한 다양한 물건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More specifically, FIG.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holding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touching a touch surface on a touch pad by touching the touch pad with a human hand, and in the related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 3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structure of the touch unit 300 (e.g., a method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or the structure is modif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ouch unit 300 will be described as an object in the form of a coat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ouch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The touch unit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dule including a touch unit except for some components necessary for maintaining the coating form, and is mounted / embedded in various objects (e.g., cards, accessories, etc.) , Or in the form of a variety of objects that can be held or carried in a hand, in addition to the form of a stamp.

도면3의 (a)는 압인력이 가해지기 전의 터치 유닛(300)의 외형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3의 (b)는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한 경우의 터치 유닛(300)의 외형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3의 (c)는 상기 도면3의 (b)와 같이 터치 유닛(300)에 압인력이 가해진 경우의 터치 유닛(300) 절단면을 예시한 것이다.
3 (a) show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touch unit 300 before a pressing force is applied. FIG. 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touch unit 300 is held by a person's hand, 3 (c) is a sectional view of the touch unit 300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touch unit 300 as shown in FIG. 3 (b) .

도면3의 (a)와 (b)를 참조하면, 터치 유닛(300)는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는 쥠 모듈(305)과,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구비된 터치패드에 터치될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를 보호하는 하우징부(310)와, 사람의 손으로 쥠 모듈(305)을 쥐고 터치패드에 도장 찍듯이 압인하여 터치하는 경우에 일정한 이격 거리만큼 압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압인을 구현하는 압인 구현부(3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touch unit 300 includes a touch module 300, which can be gripped by a human hand, a touch pad 300 provided on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housing 310 for protecting at least one touch part 335 to be touched by the touch pad 310 and a pressing part 330 for touching the touch pad by touching the touch pad with a human hand holding the touch module 305, And an embossed embedding unit 315 which embeds embossing in a direction to be applied.

상기 쥠 모듈(305)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사람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형상화된 구성의 총칭으로서, 도장 찍듯이 사람의 손으로 터치 유닛(300)를 쥘 수 있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관하다.
The tongue module 305 is a general term of a configuration that is configured to grip the touch unit 300 with a human hand. The tongue module 305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the touch unit 300 can be gripped by a person's hand, It is irrelevan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쥠 모듈(305)은 정전식 터치를 위해 사람의 몸에 충전된 전하를 터치부(335)까지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최소한 사람의 손과 접촉하는 부분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내부에 터치부(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하 충전부(445)(예컨대, 배터리, 슈퍼콘덴서 등)가 구비된 경우, 상기 쥠 모듈(305)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nel module 30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transmit the electric charge filled in the human body to the touch portion 335 for the electrostatic touch, The conductive part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hen the charge unit 445 (for example, a battery, a super capacitor, et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335 is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the charge module 305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ls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쥠 모듈(305)의 내부에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동적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processing for performing dynamic authent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performed inside the authentication module 305 An electronic module 400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부(310)는 터치패드에 터치될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가 오염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그 내부에 압인 구현부(315)와 터치부(335) 및 프레임(330) 등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인 구현부(315)의 탄성부(325)에 의해 상기 터치부(335)가 오염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The housing part 310 protects one or more touch parts 335 to be touched by the touch pad from being dirty or damaged and includes a touched part 315, a touch part 335, a frame 330, It is built in. Preferably, the touch portion 335 is protected from being contaminated or damaged by the elastic portion 325 of the crimp implement 315.

상기 압인 구현부(315)는 사람의 손으로 쥠 모듈(305)을 손에 쥐고 터치패드에 압인할 경우에 일정한 이격 거리만큼 슬라이딩되어 압인되고 있는 느낌을 사람의 손으로 전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도면3의 (c)와 같이 압인력에 의해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20)와, 상기 압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325)(예컨대,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pressing implement 315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pressed slider is sli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epressing module 305 is held on the hand and depressed on the touch pad by a human hand, A sliding part 320 which is sli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pressing force as shown in FIG. 3 (c), and an elastic part 325 (for example, a spring) which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325)는 압인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또는 해제된 상태에서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터치부(335)를 바닥에서 일정 거리만큼 공중으로 뛰어 오염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ortion 325 is moved in the air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loor to touch the touch portion 335 which is touched by the touch pad in the state where the pressing force is not applied or released, .

상기 하우징부(310)의 내부에는 쥠 모듈(305)과 N개의 터치부(335) 또는 지정된 형상의 터치부(335)를 고정 및 연결하는 프레임(33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30)은 정전식 터치를 위해 상기 쥠 모듈(305)과 터치부(3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최소한 적어도 일 부분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쥠 모듈(305)과 터치부(3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내부에 터치부(3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하 충전부(445)가 구비된 경우, 상기 프레임(330)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A frame 330 for fixing and connecting the touch module 335 with the touch module 335 or the N touch module 335 is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310. The frame 33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module 335 to the touch module 335 for an electrostatic touch or may be formed of at least a part of conductive material, And the touch portion 335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harge unit 44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335 is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the frame 33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상기 터치부(33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구성을 총칭으로서, 정전식 터치를 위해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터치패드와 터치하는 면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33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터치패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성 또는 반연성의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부(335)는 프레임(330)을 통해 쥠 모듈(3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 내부에 구비되는 전하 충전부(4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touch unit 335 is a touch unit that touches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touch unit 335 is made of a static electricity change inducing material for an electrostatic touch, The surface is made of electrostatic change inducing material. Preferably, the touch unit 335 is formed of a ductile or non-ductile static change inducing material to prevent the touch pad from being damaged at the time when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ouched. The touch unit 3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module 305 through the frame 330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 charging unit 445 provided in the touch unit 300. [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touch portio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ortion 335 may be manufactur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rubber elasticity of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a conductive plastic material, and a conductive silicon material, (For example, a measured resistance value between a touching portion and a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uman body is 300? Or less) and a pre-designed hardness (for example, 80 or less based on a Shore A hardness meter). For example, when the touch portion of the first touch portion embodiment is made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the conductive rubber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conductive rubber (including conductive carbon or metal powder) and rubber in a calculated ratio , The hardness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rubber and the conductive carbon.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터치부(335)를 금속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유리 재질의 터치스크린에 터치하는 시점에 터치스크린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금속성 재질의 터치부(335)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상기 터치부(335)의 정전 변화 유도를 전달하여 충격량을 완충 가능한 재질(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하)로 이루어진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막은 각 터치부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지정된 개수의 터치부(335)를 터치막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각 터치부(33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터치 시점에 터치부(335)와 터치막이 접촉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second touch part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335 can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the metallic material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And the measured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portion and th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uman body is less than 1 ohm). Meanwhile, when the touch portion 335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the touch screen may be damaged at the time of touching the glass touch screen. A touch film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uffering an impact amount (for example, 90 or less on a Shore A hardness scale) may be formed by transmitting the induction change of the touch portion 335 between the touch portion 335 of metallic material and the touch screen have. The touch film may be formed to be attached to each touch part individually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ttaching a specified number of touch parts 335 to a touch film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touch part 33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ouch part 335 and the touch film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eferably, the touch film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경도가 터치스크린의 손상을 가할 정도의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상)라면, 상기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한 터치부(335)에는 상기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touch part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335 can be manufactured by pla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with a metallic material. If the non-conductive material is hard enough to damage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90 or more based on the Shore A hardness scale), the touch film 335 having the non-conductive material plated with a metallic material may be formed with the touch film .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335)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touch part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335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metallic film of a metallic material on the outside of the cushioning material of elastic material. The cushioning material may be formed of a foamable material such as sponge or polyurethane. The metal film may be formed by plating a metallic material on the buffer material and / or by yarn or cotton on a 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the touch portion 335 formed by forming the metal film of the cushioning material may have a structure of a gasket for EMI shielding.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may be made of a carbon fiber material including a carbon nanotube material or a single wall carbon nanotube material, and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hardness (e.g., Shore A Less than 80 on a hardness scale).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335)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sixth touch part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335 can be manufactured using a dielectric material including a solid dielectric material or a liquid dielectric material and a container for housing the dielectric material. A dielectric material is a general term for a material that is polarized by a voltage or an electric field to generate a bound charge on the surface. The dielectric material is a polarization that is generated by a voltage or an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surface of a touch screen, And a ferroelectr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to be produced (for example, barium titanate or rhodium salt).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However, the touch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through sixth touch portions, and may be any materi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uman body to induce electrostatic change of the electrostatic touch scree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efined.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N개의 동시 터치 점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부(335)는 도면3의 (d)와 같이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부(335)로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대응하는 터치패드에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 터치 면이 터치되는 경우, 상기 터치부(335)는 도면3의 (e)와 같이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터치부(3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N simultaneous touch points are touched to a touch pad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touch unit 335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N simultaneous touch points as shown in (d) And N touch units 335. [ If the touch surface of the geometry structure specified in the touch pad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touched, the touch unit 335 may be configured to have a geometry structure designated as (e) And at least one touch portion 335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도면4는 본 발명의 터치 유닛(300)에 내장되는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module 400 incorporated in the touch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터치 유닛(300)에 내장되어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 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도면2의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유닛(300)에 둘 이상의 전자 모듈(400)(예컨대,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 및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각기 연동하는 둘 이상의 전자 모듈(400) 등)이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다만 편의상 본 도면4는 하나의 전자 모듈(400)을 통해 본 발명의 전자 모듈(400)이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300,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reference will be made to and / or modified with reference to FIG. 4 to illustrat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functionality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touch unit 300 may include two or more electronic modules 400 (for example, two or more electronic modules 400 interlocked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of FIG. 2) ),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ch an implementation method. For convenience,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nic modu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rough one electronic module 400. FIG.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제어부(404)와 메모리부(420)를 구비하고,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여 지정된 사운드 인증을 처리는 사운드 출력부(408)와,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여 지정된 이미지 인증을 처리하는 화면 출력부(424)와,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여 지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와,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여 지정된 근접 통신 인증을 처리하는 근접 무선 통신부(416) 중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부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4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인증을 위해 사운드 인식을 처리하는 사운드 입력부(412)와, 무선망 접속을 위한 무선망 통신부(436)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부(428)와, 쥠 모듈(305)을 통해 압인력이 가해지는지 판별하기 위한 센싱을 처리하는 센서부(44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s a control unit 404 and a memory unit 42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0, in conjunction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FIG. 2, A screen output unit 424 for processing the designated image authent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in FIG. 2, and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in FIG. One or more configuration units for specified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nd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for processing the specifie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of FIG. A sound input unit 412 for processing sound recognition for sound authent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operation,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a user operation unit 428 for user operation, )Wow, The pressure force through the module 305 includes a sensor unit 440 for processing the sensed to determine echoed applied.

상기 제어부(404)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논리 회로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404)가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송출하는 형태로 상기 전자 모듈(4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편의상 도면2의 동적 인증 모듈(245)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450)을 본 제어부(404)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 모듈(400)의 실시 방법이 본 도면4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도면4에서 프로그램(450)의 구성으로 예시한 구성은 논리 회로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The controller 404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logic circuit o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trol unit 404 includes a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to load and operate at least one program code in the execution memory,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or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program 450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code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dynamic authentication module 245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404 for convenienc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FIG. 4, and that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450 in FIG. 4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ogic circuit Come on.

상기 메모리부(42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404)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프로그램(45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전자 모듈(400)의 각종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를 포함한다.
The memory unit 420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inclu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4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And stores it. The program code includes program code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450 implemented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program code and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420)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대입할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터치 유닛(30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일련코드, 상기 터치 유닛(300)가 이용되는 공간(예컨대, 상점, 건물, 매장 등)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코드, 상기 터치 유닛(300)가 이용되는 용도를 식별하는 용도식별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종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420 may store one or more static seed values to be substituted into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time code. The static seed value may include a unique serial code uniquely assigned to the touch unit 300, a space identification code identifying a space in which the touch unit 300 is used (e.g., a store, a building, a store, etc.) And an applicatio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touch unit 300 is us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 또는 터치 유닛(300)에 고유하게 할당된 ID코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420 may store a designated unique code. Preferably, the unique code includes an ID code that is uniquely assigned to the electronic module 400 or the touch unit 300.

한편 상기 전자 모듈(400)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예컨대, 지정된 음성(예: 화자가 발성한 분절음 소리), 음원(예: 악보에 따라 악기를 통해 연주된 음악, 악보에 따라 화자가 발성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terlocked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FIG. 2, the memory unit 420 recognizes a recognizable sound pattern (for example, a designated voice A sound pattern of at least one of a sound source (e.g., a sound of one segment), a sound source (e.g., music played through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musical score, and a sound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musical score).

한편 상기 전자 모듈(400)이 도면2의 카메랄 인증 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420)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이미지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terlocked wit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of FIG. 2, the memory unit 420 may store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pattern recognizable through a designat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스피커 또는 부저와 같은 사운드 출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 후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해 출력한다.
The sound output unit 408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such as a speaker or a buzz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sound output unit 408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4 via a bus,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converts the sound data into a sound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사운드 입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4)로 전달한다.
The sound input unit 412 includes a sound input unit such as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sound input unit. The sound input unit 412 encodes sound data, which is encoded by the sound input unit, To the control unit (404).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양방향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는 NFC 규격에 포함되지 않는 RFID 규격(예컨대, ISO 18000 시리즈 규격에 포함된 근접 무선 통신 또는 10m 이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is a collective term for processing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t a proximity distance of about 10 cm or so using an antenna. Preferably,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tandard using a frequency band of 13.56 Mz Way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 / RTI >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may process half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of an RFID standard (for exampl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d in the ISO 18000 series standard 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10 m) not included in the NFC standard have.

상기 화면 출력부(424)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전자종이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The screen output unit 424 is constituted by a screen output device (for examp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nic paper or the like)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device And outputs the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among the operation results.

상기 사용자 조작부(428)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04)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The user operation unit 428 includes a us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a drive module for driving the user input unit. The user operation unit 428 receives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404, And receives th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는 근거리(예컨대, 10m 이내)에 위치한 접속장치(예컨대, 무선 AP(Access Point) 등)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hav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can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onnection device (for example, a wireless AP (Access Point) located nearby) (for example, within 10 m).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상기 전자 모듈(400)을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4)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4)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04)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is a general term for a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400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includes at least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4 through a bus and transmi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404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s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404, and maintains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전자 모듈(400)은 무선 통신망 접속을 위해 USIM 리더부(212)(도시생략)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망 접속을 위한 USIM을 이탈착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connection, a location registration, a call processing, a call connection, a data communication, and a handoff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s a USIM reader 212 (not shown) for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disconnect a USI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상기 센서부(44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터치부(335)가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판단하기 위한 센싱을 처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터치부(335)가 터치패드에 터치되는 시점의 전하 이동 센싱, 전하량 변화 센싱, 전류 변화 센싱, 전압 변화 센싱, 저항 변화 센싱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와 같이 터치 시점의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될 수도 있다.
The sensor unit 440 is a collective term for processing sensing to determine that the touch unit 335 of the touch unit 300 touches the touch pad 300. When the touch unit 335 touches the touch pad 335 Any sensor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sense at least one of charge movement sensing, charge change sensing, current change sensing, voltage change sensing, and resistance change sen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440 may be a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capable of sensing an impact amount at a touch poin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고유코드를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that stores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emory unit 420, An encoding unit 465 encoding the unique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ound encoding rule to generate sound data; and an output unit 470 outputting the sound data encoded with the unique co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And a press confirmation unit 475 for confirming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operation.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for s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and stor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in the memory unit 420. The unique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memory unit 42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stores the receiv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부호화 규칙은 DTMF 부호화 규칙,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465 generates sound data obtained by encoding the unique cod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ound encoding rule. The sound encoding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TMF encoding rule and a sound code encoding rule.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전화 버튼에 사용되는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한다. 만약 상기 고유코드가 DTMF 신호로 부호화된다면, 상기 고유코드는 ??1??~??9??, ??0??, ??#??, ??*?? 등으로 표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 DTMF encoding rule is used for the telephone button, such as ?? 1 ?? ~ ?? 9 ??, ?? 0 ??, ?? ?? ?? ??, ?? ?? ?? (For example, 697 Hz, 770 Hz, 852 Hz, 941 Hz) and a sound in a high frequency range (for example, 1209 Hz, 1336 Hz, 1477 Hz, 1633 Hz) The combination of frequencies 1 to 9, 9, 9, And so on. If the inherent code is encoded as a DTMF signal, the unique code may be ?? 1 ?? ~ ?? 9 ??, ?? 0 ??, ?? ?? ??, ?? ?? ?? And the like.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The sound code encoding rule is a generic name of a rule for encoding to insert a bit string of data specified in a designated bit stream of sound data encoded according to a specified sound encoding rule and is prefer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encoding rule matched with the sound encoding rule Generates a sound spreading code applicable to the sound encoding rule by encoding the data, and encodes the generated sound spreading code into sound data according to the sound encoding rule to generate the sound code in which the specified data is encoded. Preferably, the sound spreading code is encoded in a pseudo noise region, whereby the sound spreading code recognized by a normal human can not recognize the sound spreading code.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When the sound data in which the unique code is encoded is generated through the encoding unit 46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generat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sound data may be periodically output, or may be output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in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number of times Can be repeatedly output. The repetition of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sound data recognizes the unique code encoded in the sound data.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s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encoded with the unique cod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outputs the sound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ound data is output at the time of depressing.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sound data encoded with the unique cod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unique code encoded in the sound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inclu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that stores sound patterns assigned to the memory unit 420, And an output unit 470 for outputting the sound data in which the sound pattern is encod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a management unit 49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패턴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designated sound pattern in the memory unit 420. Preferably, the sound pattern is generat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ound pattern The sound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사운드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pattern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 sound pattern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may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sound pattern in the memory unit 420. [0033] FIG.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사운드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사운드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ound pattern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ound pattern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sound pattern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may be received or input and the received sound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사운드 패턴을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including the sound patter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sound data may be periodically output, or may be output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in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number of times Can be repeatedly output. The repetition of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sound data recognizes the sound pattern encoded in the sound data.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패턴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encoded with the sound pattern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outputs the sound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ound data is output at the time of depressing.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sound data including the sound pattern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sound pattern included in the sound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사운드 인증 모듈(25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of FIG. 2 includes a generation unit 460 that dynamically generates a disposable code having a structu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An encoding unit 465 for encoding the generated disposable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ound encoding rule to generate sound data,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data encoded by the sound output unit 408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 And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The touch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d at least one of a sound input unit 412,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nd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s of the touch unit 300 can include a management unit 490 for storing in a specifi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to be used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is used, have.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ed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455 may transmit a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eceived or input, and stores the received or inputted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0050]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may be received or input from the memory unit 420 and the received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460 includes a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time use code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The generating unit 460 generates the one or more stored static seed values and the dynamic seed values dynamically determined One or more seed values are dynamically generated by assigning the seed value to a specified code generation algorithm (e.g., MD4, MD4, SHA, etc.) to generate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structure (e.g., code length, number of digits, code structure, etc.). Preferably, the code generation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synchroniz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challenge-response code generation rule.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checks a time value through a timer (not shown) built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outputs the time value Value form) can be determined as the dynamic seed value.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POS terminal, computer, wireless terminal 200, etc.)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412 (For exampl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in the DTMF format, and th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and can analyze the sound data to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soun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 dynamic generated value (e.g., a value dynam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or algorithm) of a specified device) .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a POS terminal, a computer, a wireless terminal 200)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Etc.), and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by receiving the seed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receives the se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device or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s a dynamic generated value, 460) generates the one-time use code by using the received dynamic generation value as a seed or uses the received generated generation value as it is as a one-time use code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one-time use code, Can be processed into a specified structure and used as a disposable code.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부호화 규칙은 DTMF 부호화 규칙,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465 generates the sound data obtained by encoding the generated one-time code according to the specified sound encoding rule. The sound encoding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TMF encoding rule and a sound code encoding rule.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전화 버튼에 사용되는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한다.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DTMF 신호로 부호화된다면, 상기 생성부(460)가 생성하는 일회용코드는 ??1??~??9??, ??0??, ??#??, ??*?? 등으로 표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 DTMF encoding rule is used for the telephone button, such as ?? 1 ?? ~ ?? 9 ??, ?? 0 ??, ?? ?? ?? ??, ?? ?? ?? (For example, 697 Hz, 770 Hz, 852 Hz, 941 Hz) and a sound in a high frequency range (for example, 1209 Hz, 1336 Hz, 1477 Hz, 1633 Hz) The combination of frequencies 1 to 9, 9, 9, And so on. If the disposable code is coded as a DTMF signal, the disposable code generated by the generator 460 may be encoded as ?? 1 ?? ~ ?? 9 ??, ?? 0 ??, ?? ?? ??, ?? ?? ?? And so on. ≪ / RTI >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The sound code encoding rule is a generic name of a rule for encoding to insert a bit string of data specified in a designated bit stream of sound data encoded according to a specified sound encoding rule and is prefer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data encoding rule matched with the sound encoding rule Generates a sound spreading code applicable to the sound encoding rule by encoding the data, and encodes the generated sound spreading code into sound data according to the sound encoding rule to generate the sound code in which the specified data is encoded. Preferably, the sound spreading code is encoded in a pseudo noise region, whereby the sound spreading code recognized by a normal human can not recognize the sound spreading code.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상기 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출력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When the sound data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is generated through the encoding unit 46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generated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sound data may be periodically output, or may be output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in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number of times Can be repeatedly output. The repetition of the output of the sound data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sound data recognizes the disposable code encoded in the sound data.

상기 출력부(47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sound data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s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discrete code-encoded sound data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outputs the sound dat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ound data is output at the time of depressing.

상기 사운드 출력부(408)를 통해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사운드 인증 모듈(25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sound data obtained by encoding the disposable code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408,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one-time code encoded in the sound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module 25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고유코드를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부호화하여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that stores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emory unit 420, An encoding unit 465 for encoding the unique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ncoding rule to generate a code image and an output unit 470 for outputting a code image in which the unique code is encod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And a coin confirmation unit 475 for confirming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a management unit 490 for receiving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nd stor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in the memory unit 420. The unique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memory unit 42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stores the receiv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 규칙은 1차원 바코드 부호화 규칙, QR코드 부호화 규칙, 데이터매트릭스 부호화 규칙, 맥시코드 부호화 규칙, PDF417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465 generates a code image obtained by encoding the unique code according to a specified encoding rule. The encoding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 code encoding rule, a QR code encoding rule, a data matrix encoding rule, a maximum code encoding rule, and a PDF417 encoding rule.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code image in which the unique code is encoded is generated through the encoding unit 46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generated code image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Meanwhile, in order to output a code imag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s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a code image in which the unique code is encoded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code image in which the unique code is encoded through the face output unit 470 is output,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unique code encoded in the code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이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an image pattern designat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an output unit 470 for outputting a code image in which the image pattern is encod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a management unit 490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패턴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designated image pattern in the memory unit 420. Preferably, the image pattern is generat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image patter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the image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이미지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attern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n image pattern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outside via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image pattern in the memory unit 420. [0034] FIG.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이미지 패턴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이미지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image pattern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The memory unit 420 receives or receives an image pattern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stores the received or inputted image pattern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패턴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470 outputs a pattern image including the image pattern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Meanwhile, in order to output a pattern image at the time of depressing the touch unit 300,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이미지 패턴이 부호화된 패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a pattern image in which the image pattern is encoded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패턴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pattern image including the image pattern is output through the face output unit 470,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image pattern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is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카메라 인증 모듈(26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부호화하여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부호화부(465)와,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출력부(47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of FIG. 2 includes a generator 460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disposable code having a structu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An encoding unit 465 encoding the generated disposable code in a designated encoding rule to generate a code image, and an output unit 470 for outputting a code image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And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uch input unit 412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30 0, and stores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0040]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to be used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is used, have.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ed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455 may transmit a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eceived or input, and stores the received or inputted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0050]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may be received or input from the memory unit 420 and the received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460 includes a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time use code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The generating unit 460 generates the one or more stored static seed values and the dynamic seed values dynamically determined One or more seed values are dynamically generated by assigning the seed value to a specified code generation algorithm (e.g., MD4, MD4, SHA, etc.) to generate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structure (e.g., code length, number of digits, code structure, etc.). Preferably, the code generation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synchroniz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challenge-response code generation rule.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checks a time value through a timer (not shown) built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outputs the time value Value form) can be determined as the dynamic seed value.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POS terminal, computer, wireless terminal 200, etc.)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412 (For exampl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in the DTMF format, and th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and can analyze the sound data to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soun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 dynamic generated value (e.g., a value dynam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or algorithm) of a specified device) .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a POS terminal, a computer, a wireless terminal 200)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Etc.), and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by receiving the seed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receives the se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device or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s a dynamic generated value, 460) generates the one-time use code by using the received dynamic generation value as a seed or uses the received generated generation value as it is as a one-time use code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one-time use code, Can be processed into a specified structure and used as a disposable code.

상기 부호화부(465)는 지정된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 규칙은 1차원 바코드 부호화 규칙, QR코드 부호화 규칙, 데이터매트릭스 부호화 규칙, 맥시코드 부호화 규칙, PDF417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465 generates a code image obtained by encoding the generated one-time code in accordance with a specified encoding rule. The encoding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one-dimensional bar code encoding rule, a QR code encoding rule, a data matrix encoding rule, a maximum code encoding rule, and a PDF417 encoding rule.

상기 부호화부(465)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화면 출력부(424)를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시킨다.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code image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is generated through the encoding unit 46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the generated code image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424. Meanwhile, in order to output a code imag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출력부(47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output unit 470 outputs a code image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

상기 회면 출력부(470)를 통해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카메라 인증 모듈(26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code image in which the disposable code is encoded through the face output unit 470 is output,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one-time code encoded in the code image has been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authentication module 26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emory unit 420, And a transmitting unit 480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operatio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And the touch input unit 412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nd a management unit 490 for receiving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300 and stor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in the memory unit 420. The unique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memory unit 42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stores the receiv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transmitting unit 48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may be transmitted at a time point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t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Repe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s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ransmitting unit 480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transmitter 48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at the time of the stamping.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unique code enco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inclu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rogram 450 of an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of FIG. 2 includes a generation unit 460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disposable code having a structu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transmitting unit 480 for transmitting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disposabl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480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 And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one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and includes a stamp confirmation unit 475 for checking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stamp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operation, Receiv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420) And a management unit 490 for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area.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to be used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is used, have.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ed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455 may transmit a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eceived or input, and stores the received or inputted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0050]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may be received or input from the memory unit 420 and the received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460 includes a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time use code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The generating unit 460 generates the one or more stored static seed values and the dynamic seed values dynamically determined One or more seed values are dynamically generated by assigning the seed value to a specified code generation algorithm (e.g., MD4, MD4, SHA, etc.) to generate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structure (e.g., code length, number of digits, code structure, etc.). Preferably, the code generation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synchroniz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challenge-response code generation rule.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checks a time value through a timer (not shown) built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outputs the time value Value form) can be determined as the dynamic seed value.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POS terminal, computer, wireless terminal 200, etc.)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412 (For exampl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in the DTMF format, and th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and can analyze the sound data to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soun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 dynamic generated value (e.g., a value dynam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or algorithm) of a specified device) .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a POS terminal, a computer, a wireless terminal 200)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Etc.), and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by receiving the seed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receives the se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device or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s a dynamic generated value, 460) generates the one-time use code by using the received dynamic generation value as a seed or uses the received generated generation value as it is as a one-time use code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one-time use code, Can be processed into a specified structure and used as a disposable code.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transmitting unit 48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may be transmitted at a time point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t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Repe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s the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ransmitting unit 480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transmitter 48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at the time of the stamping.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인증 모듈(265)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disposable code enco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65 inclu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4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상기 메모리부(420)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45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485) 중 하나 이상의 확인부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of FIG. 2 includes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a unique code assigned to the memory unit 420, And a transmitting unit 480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And an activity confirmation unit 485 for confirming whether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A management unit 490 for receiving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through at least one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nd stor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저장부(455)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the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in the memory unit 420. The unique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of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used, .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ode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cod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And store the received or inputt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ode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unique cod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unique code from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memory unit 420 receives or receives a unique cod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nd stores the received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transmitting unit 48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may be transmitted at a time point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t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Repe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s the uniqu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ransmitting unit 480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transmitter 48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at the time of the stamping.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고유코드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activation confirmation unit 485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with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in order to transmit the unique code at the time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betwee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is confirmed whether a radio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nic module 400 by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generated. The activation confirmation unit 485 can recognize whether a radio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nic module 400 by recognizing the size or the change of a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활성 확인부(4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activity confirmation unit 485 is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the transmission unit 480 transmits the activation confirmation unit 485 to the mobile terminal 200 at a time point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betwee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nd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repeatedly at a designated time interval af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at the time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고유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unique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unique code enco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4를 참조하면, 도면2의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과 연동하는 전자 모듈(400)의 프로그램(450)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460)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48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는 저장부(4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되는지 확인하는 압인 확인부(47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485) 중 하나 이상의 확인부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유닛(300)의 운영과 관련된 관리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관리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rogram 450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terlocked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of FIG. 2 includes a generation unit 460 that dynamically generates a disposable code having a structu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transmitting unit 480 for transmitting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generated disposabl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480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 And a storage unit 455 for storing one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The check unit 475 confirm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depres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method,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It receiv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unit 300 can include a management unit 490 for storing in a specifi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터치 유닛(300)에 전자 모듈(400)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55 stores in the memory unit 420 at least one static seed value to be used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disposable code.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at least one point in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and is used, have.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전자 모듈(400)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anufactu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400)이 상기 터치 유닛(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ed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c seed valu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at the time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touch unit 300, 455 may transmit a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short- Received or input, and stores the received or inputted static seed value in the memory unit 420. [0050]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유닛(300)에 상기 전자 모듈(400)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400)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420)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5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사용자 조작부(428), 무선망 통신부(436)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ed stora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initially installed in the touch unit 300 or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being used, The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455 may store the static seed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user operation unit 428,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The static seed value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may be received or input from the memory unit 420 and the received static seed valu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420. [

상기 생성부(460)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unit 460 includes a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dynamically generating the one-time use code in accordance with a designated code generation rule. The generating unit 460 generates the one or more stored static seed values and the dynamic seed values dynamically determined One or more seed values are dynamically generated by assigning the seed value to a specified code generation algorithm (e.g., MD4, MD4, SHA, etc.) to generate a disposable code of a specified structure (e.g., code length, number of digits, code structure, etc.). Preferably, the code generation r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synchronized code generation rule and a challenge-response code generation rule.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전자 모듈(4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checks a time value through a timer (not shown) built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outputs the time value Value form) can be determined as the dynamic seed value.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예컨대, 씨드 값이 DTMF 형태로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 씨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석함으로써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예컨대, 지정된 장치의 지정된 절차(또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POS terminal, computer, wireless terminal 200, etc.)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412 (For exampl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in the DTMF format, and the sound data in which the seed value is encoded), and can analyze the sound data to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sound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 dynamic generated value (e.g., a value dynam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a specified procedure (or algorithm) of a specified device) .

본 발명의 제3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터치 유닛(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generates a designation of a designated device (e.g., a POS terminal, a computer, a wireless terminal 200) around the touch unit 3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Etc.), and determine the dynamic seed value by receiving the seed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제4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를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dynamic see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unit 460 receives the se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device or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 Preferably, the seed value determined using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o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value, a challenge value, and a dynamic generation value.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460)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nd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is a dynamic generated value, 460) generates the one-time use code by using the received dynamic generation value as a seed or uses the received generated generation value as it is as a one-time use code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one-time use code, Can be processed into a specified structure and used as a disposable code.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 시점에 전송되거나, 및/또는 상기 압인 시점에 전송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transmitting unit 48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or may be transmitted at a time point when the touch unit 300 is pushed to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 or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t can be repeatedly transmitted. Repeating the transmission of the authentication data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a specified time interval is intend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data recognizes the disposabl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전송부(480)가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 시점에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터치 유닛(300)가 상기 터치패드에 압인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전자 모듈(400)은 센서부(440)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센서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인 확인부(475)는 상기 센서부(440)를 통해 쥠 모듈(305)을 통해 압인력이 가해지는지 확인한다.
In order to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transmitting unit 480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heck. The electronic module 400 may include a sensor unit 440 or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44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to check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pressed on the touch pad. The check unit 475 checks whether a pushing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sensor module 440 through the sensor module.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압인 확인부(47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터치 유닛(300)의 압인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압인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module 400 is provided with the check unit 475, the transmitter 48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at the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checked And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repeatedly transmi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s transmitted at the time of the stamping.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일회용코드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48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400)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e activity confirmation unit 485 may match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o transmit the disposable code at the time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betwee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It is confirmed whether a radio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nic module 400 by a radio frequency signal of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generated. The activation confirmation unit 485 can recognize whether a radio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nic module 400 by recognizing the size or the change of a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of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상기 전자 모듈(400)에 상기 활성 확인부(4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480)는 상기 전자 모듈(400)과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activity confirmation unit 485 is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400, the transmission unit 480 transmits the disposabl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at a time point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between the electronic module 4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nd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data repeatedly at a designated time interval afte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at the time when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s activated.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416)를 통해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412), 근접 무선 통신부(416), 무선망 통신부(4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구비된 근접 통신 인증 모듈(270)을 통해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동작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관리정보를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After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ing the disposable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management unit 490 controls the sound input unit 412,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6,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436, As a result of whether the one-time code enco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odule 270 provided in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s 432, A result of at least one of a result of whether the program 215 of the storage unit 200 has performed the specified operation and the received manage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

상기 관리부(490)는 상기 메모리부(42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관리정보를 저장, 갱신, 삭제(예컨대, 일정 기간이 경과한 관리정보를 삭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36)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32)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490 stores, updates and delet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420 (for example, deletes manageme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4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2 to a designated device or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명함 교환 서비스를 위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의 구성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5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500 of a holder for a business card exchan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program 515 for the configura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소지자가 자신이 소지한 터치 유닛(300)를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505)에 터치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말장치(500)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5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본 도면5의 단말장치(500)는 소지자가 소지한 무선단말(500)을 해당 소지자가 이용하는 단말장치(500)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도면5를 통해 소지자가 이용하는 단말장치(500)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5, the owner touches the touch unit 300 held by the holder to the touch input unit 5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hown in FIG. 2 to inform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owner's name And a program 515 for the terminal device 500. The terminal device 500 of FIG. 5 for convenience stores the wireless terminal 500 possessed by the owner by the owner The terminal device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hown in FIG. 2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of the terminal device 500 used by the owner through FIG.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제어부(501)와 메모리부(513)와 화면 출력부(504)와 터치 입력부(505)와 키 입력부(506)와 사운드 출력부(507)와 사운드 입력부(508)와 카메라부(509)와 무선망 통신부(5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502)와 근접 무선 통신부(510)와 위치 측위부(511)와 USIM 리더부(5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514)를 구비한다.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has a control unit 501, a memory unit 513, a screen output unit 504, a touch input unit 505, a key input unit 506, a sound output unit 507, 508, a camera unit 509,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503,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2, a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a positioning unit 511, a USIM reader unit 512 and a USIM, And a battery 514 for supply.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정전식 터치를 지원하는 터치 입력부(5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각종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증 조건의 등록을 위해 터치 입력부(50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GUI를 통해 터치 유닛(300)의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설정할 수 있다면, 상기 터치 입력부(505)는 생략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505 for supporting the capacitive touch.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505, Authentication conditions can be registered. However, if the touch input unit 505 is not necessarily required for register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if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imultaneous touch point or the shape touch surface of the touch unit 300 can be set through the GUI, the touch input unit 505 It is optio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통신하여 동작하며,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이거나 또는 다른 운영 서버(100)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515 of the terminal apparatus 500 operates in communication with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the operating server 100 execut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hown in FIG. 2 Or may be another operating server 100,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소지자에 대한 회원 가입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하는 회원 모듈(520),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5, the program 515 of the terminal apparatus 500 includes a membership module 520 for processing member subscription or member authentication for a holder, a program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515 525, which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상기 회원 모듈(520)은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소지자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절차와, 터치 인증을 기반으로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지자 회원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The member module 520 includes a process of join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s a holder member of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a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holder member to provide a business card exchange service based on the touch authentication Perform the procedure.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 인증 모듈(52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의 단말 측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상기 단말 측 절차는 도면2의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program authentication module 525 performs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515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connectable. Preferably, the program authentication module 525 performs a terminal-side procedure of program authentication performed by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through at least one of a data network and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connectable, Thereby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515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The terminal-side procedure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sixth program authentication schemes shown in FIG.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터치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조건을 등록하는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과, 상기 단말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상기 인증 조건의 등록을 위한 동시 터치 점 또는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을 구비한다.
5, the program 515 of the terminal device 500 includes a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for registering at least one specifie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ouch authentication with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And a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for recognizing a simultaneous touch point or a shape touch surface for register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505 when the device 500 includes the touch input unit 505. [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를 형성하는 N(N≥2)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근거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도면2에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과 같은 방식으로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인식한다.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recognizes N (N? 2) simultaneous touch points forming a geometric structur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505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recognizes N 530 to obtain a component value for N simultaneous touch points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ased on N recognized simultaneous touch poin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register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 Preferably,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recognizes N simultaneous touch points in the same manner as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which recognizes N simultaneous touch points in FIG.

한편 상기 단말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값을 설정하거나,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설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값을 근거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If the touch input unit 505 is not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500,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set a value f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 A condition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one or more specified values of the component values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s Acquire the component values for N simultaneous touch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component values, and determine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component values and register them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

또는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고,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형상터치 면을 근거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은 도면2에서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모듈(530)과 같은 방식으로 형상 터치 면을 인식한다.
Alternatively,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recognizes a shape touch surface having a shape of a geometric structure designa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505,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recognizes Acquir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shape touch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ased on the shape touch surface of the user, determining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pattern recognition value, 100). Preferably,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recognizes the shape touch surf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that recognizes the shape touch surface in FIG.

한편 상기 단말장치(500)에 터치 입력부(50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한 값을 설정하거나, 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을 설정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값을 근거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If the touch input unit 505 is not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500,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set a value fo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or touch the touch unit 300 ) Of the owner touch screen (300) based on a value set through the condition setting interface, the touch screen display unit displays a condition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t least one specified value of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s of the shape touch surface , And determin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pattern recognition value and registers the acquired shape recogn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

상기 프로그램(515)의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소지자가 소지한 터치 유닛(300)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동시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한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of the program 515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ouch unit 300 possessed by the holder touches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of the specified geometry, And registers the determined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e N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registered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N touch points recogniz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Read component values for.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동시 터치 인식부(232a)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reads and extracts the component values for the geometry structure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to authenticate the N touch points recognized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The component values for the N touch points may be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e.g.,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registers the component values including the distance value in which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51, y1), B (52, y2), C (5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distance between C and C, and the distance between B and C,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extracts a component value including a line segment value connecting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can do.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51, y1), B (52, y2), C (53, y3) and the like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the component values include segment AB, segment AC, segment BC And the like. Each line segment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equation.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51, y1), B(52, y2), C(5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includes a line segment angle value formed by two line segments that meet at respective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Element values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51, y1), B (52, y2), C (5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C angle ∠BAC for AC, ∠ABC for line segment BC at point B, ∠ACC for line AC at point C, and ∠ACB for line CB.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sets the N touch points as a reference point at a point on the designated coordinate system (or any one of the N touch points) Component values including a vector value for each constituent point (or (N-1) points excluding the reference point out of the N touch points)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ea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sets the area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on the designated coordinate system as You can extract the component values that contain it.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two or more touch recognition among the first through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or to repeat one or more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And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can extract component values of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area according to each of the applie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판독된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determines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values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read out. Alternatively,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determine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value set through the condition setting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입력부(5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touch point number condition for the number of touch points to be simultaneously touched in the touch area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505, A center determin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 distance calculation condition (for example,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s of the respective points) for calculating distances between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E.g. distance distances and tolerances of respective points) for authenticating a distance, a line segment setting condition for connecting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for example, connecting a center point of each point (For example, an equation of a straight line, a slope of a straight line, a tolerance, etc.) for authenticating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points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n interior angle or an outside angle formed by a line segment) for determining an angle of a line segment formed by two line segments and an angle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int,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 size and a direction of a vector) for determining a vector component for the N touch points, and a vector determination condition (For example, vector size and direction, tolerance and the like) for calculating the area for each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for example, dividing the multi-touch area into a plurality of cells, At least one or two of an area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and an area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area of each touch point The combination comprises.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에 대한 소지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정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상기 소지자의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transmits the determined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Preferably,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provid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registers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holder with the determined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 Meanwhile,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transmit the component values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to the operation server 100, (100).

상기 프로그램(515)의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소지자가 소지한 터치 유닛(300)가 지정된 기하학 구조의 형상 터치 면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식 모듈(530)을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한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possessed by the holder touches the shape touch surface of the specified geometry,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determin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ers the determin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cognizes the pattern recognition of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recognition module 530 Value is read.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형상 터치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형상 터치 면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형상 터치 면의 기하학 구조를 이미지화하여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forms a shape touch image by imaging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in order to authenticate the shape touch screen recognized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The shape touch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itmap image or a vector map image imag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set in the touch reg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extracts a pattern recognition value by applying the shape touch image to a designat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the shape touch image is a generic name of values interpreted through a specifi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of at least one of points, lines, and faces constituting the shape touch imag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any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image processing if it is an algorithm for extrac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that matches a specifi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various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판독된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또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패턴 인식 값에 대응하는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determines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the read shape touch surface. Alternatively,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determine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set through the condition setting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obtained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a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or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with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A generic term of a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validity, and may preferably include a predicted value and a tolerance of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에 대한 소지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결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상기 소지자의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인증 조건 등록 모듈(535)은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인식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transmits the determin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Preferably,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may provide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registe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holder with the determin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 In this case,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ration module 535 transmit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the shape touch surfac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step < RTI ID = 0.0 > ).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사운드 처리 모듈(540)과, 상기 소지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위치 처리 모듈(545)과, 상기 소지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이미지 처리 모듈(550)과, 상기 소지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과, 상기 소지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등록하는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5, the program 515 of the terminal device 500 includes a sound processing module 540 for determining and registering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of a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550 for determining and register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s of the owner, a lo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for determining and registering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s of the owner,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60 for determining and register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s of the owner.

상기 프로그램(515)의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운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ound processing module 540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registers the determined sound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소지자의 사운드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사운드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The sound processing module 540 outputs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for setting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ow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and outputs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to the owner Determines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unit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sound signal or a sound pattern to b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사용자의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사운드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unique code of a code scheme specifie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unique code. Alternatively,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ed with the one-time use code if the one-time code is dynamically generated in the code system designated i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For example, code generation algorithms that dynamically generate disposable codes included in sound data, and / or rules that match seed values).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결정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The sound processing module 540 transmits the determin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Meanwhile,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nd receiv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상기 단말장치(500)에서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500)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처리 모듈(540)은 생략 가능하다.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ound processing module 540 stores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generates authenticatable sound data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do. Preferably, the sound data may be output before or afte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ouches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at a designated time poi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und data is not outputt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the sound processing module 540 may be omitted.

상기 프로그램(515)의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한다.
The location processing module 545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a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and registers the determined location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소지자의 위치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위치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5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구비한 소지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소지자의 주소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The location processing module 545 outputs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for setting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ow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should be present is determined at a time when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5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 Preferably,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reference location or a location area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the own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For example,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owner.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결정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터치 유닛(300)의 변경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예컨대, 배달주소 등)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위치 처리 모듈(545)은 상기 결정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The location processing module 545 transmits the determined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specifi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changed, the position processing module 545 receives information (e.g., a delivery address) about the changed position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location processing module 545 can transmit the determined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specifi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프로그램(515)의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미지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registers the determined imag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a step of electronically output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소지자의 이미지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이미지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outputs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for setting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ow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and electronically sets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based on information input /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t least one of an inherent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 a code image to be outputted, or an image pattern to be included in a pattern image to be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is a unique code printed on the print media of the holder. Or an image pattern printed on the print media of the holder.

사용자의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of the code system specified in the code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f the user is include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unique cod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image pattern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when the image pattern that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the image pattern specified in the pattern image. Or a one-off code dynamically generated in a code system specified in a code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code generation rule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ing the one- For example, code generation algorithms that dynamically generate disposable codes included in the code image, and / or rules that match seed values).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결정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transmits the determined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Meanwhil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nd receiv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method.

상기 단말장치(500)에서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가 상기 단말장치(5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처리 모듈(550)은 생략 가능하다.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outputs a code image or a patter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stores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Or pattern image and output it electronically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 Preferably, the code image or the pattern image may be output at a designated time point before, after, or after the touching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 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module 550 may be omitted when the code image or the pattern image is not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상기 프로그램(515)의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근거리 통신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근거리 통신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lo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a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registers the determined local communication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local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electronically output according to the method.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소지자의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outpu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for set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ow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and outputs information inputted / selected through the short- Determines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hort distance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that matches the one-time use code (for exampl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결정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The lo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transmits the determined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Meanwhil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nd receiv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상기 단말장치(500)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500)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근거리 통신 처리 모듈(555)은 생략 가능하다.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stor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Data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output before or afte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by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at a designated time poi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the lo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55 may be omitted.

상기 프로그램(515)의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소지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근접 통신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등록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근접 통신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60 of the program 515 determine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holder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registers the determined proximity communication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 procedure for electronically output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erformed.

상기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화면 출력부(504)를 통해 상기 소지자의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설정하는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선택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60 outputs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terface for set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owner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504 and outputs the information inputted /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proximity posi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determined.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with the unique code.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ed with the one-time use code (e.g., code generation by dynamically generating a on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상기 근접 통신 처리 모듈(560)은 상기 결정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결정되어 수신될 수 있다.
The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module 560 transmits the determine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registers the same. Meanwhil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nd receiv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method.

상기 단말장치(500)에서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에 대응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처리부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저장하고,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인증 가능한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500)를 통해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근접 통신 처리부는 생략 가능하다.
When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store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generates authentication data that can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data may be output before or afte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by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at a designated time poi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apparatus 5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can be omitted.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장치(500)의 프로그램(515)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명함 교환 모듈(565)을 구비한다.
5, the program 515 of the terminal device 500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for the user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uched by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and stores the received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business card storage area And a business card exchange module 56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 서비스를 위한 운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100 for a touch authentication-based business card exchan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Simultaneous Touch) 또는 형상 터치(Shape Touch)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ore specifically, FIG. 6 shows a case where the touch unit 300 is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200 that is touched by a simultaneous touch or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erver 100 provid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and / or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ways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subdivided, or comb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by the implementation method alon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과 통신하고,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통신한다. 다만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에 구현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능적 명칭일 뿐, 물리적 명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 서버(100)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업자가 세분화 됨에 따라 각 사업자가 운영하는 각각의 서버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도면6의 운영 서버(100)에 도시된 구성부 중 일부는 터치 인증과 연계되는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에 구비되거나, 또는 일회용코드의 인증과 관련된 구성부는 일회용코드 인증을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shown in FIG. 2 and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shown in FIG. 3 do. However, the operating server 100 is a functional name for implementing a system implemented on a network in order to provide the touch authentication based card exchange service, but is not limited to a physical name. Preferably,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be divided into servers operated by each service provider as the service providers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segmented. For example,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operating server 100 of FIG. 6 may be provided in a server of a provider providing a separate service associated with touch authentication, or a component associated with authentication of a one- And may be provided in a server of an organization providing authentication.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거나,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는 회원 가입/인증부(605)를 구비하고,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거나, 도면3에 도시된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프로그램 인증부(61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를 참조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includes a user who subscribes / authenticates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shown in FIG. 2 as a member, a member who holds the touch unit 300 shown in FIG. 3 as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605 for joining / authenticating the touch unit 300 shown in FIG. 3, and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hown in FIG. 2, And a program authentication unit 610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500 of a hold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625)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ng server 100 confirms the nam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map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holder to the holder's card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storing the information.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receiv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configur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of the owner.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지정된 운영단말로부터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receiv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from the terminal apparatus 500 or the designated operating terminal of the holder, map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holder's card information, 625).

도면6을 참조하면,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동시 터치 인증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를 구비하거나,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동시 터치 인증을 수행하는 동시 터치 인증부(242a)를 구비하거나, 동시 터치 인식부(232a)와,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6의 저장매체(625)는 상기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ng server 100 for authenticating the simultaneous touch stores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ed in associ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of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as to apply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to the program Or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for performing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 A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a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a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a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the operation server 100 215,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for confirm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simultaneous touch or the authentication result. The storage medium 625 shown in FIG. 6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or may be provided outsid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가 해당 소지자가 소지한 터치 유닛(300)의 동시 터치를 인식 및 판독하고, 이에 대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해당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서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recognizes and reads the simultaneous touch of the touch unit 300 held by the holder and determines and transmits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touch unit 300,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terminal 500 are mapped with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holder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value of the simultaneous touch point is acquired an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determines the component value for the simultaneous touch point And determine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by receiving and read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can further determine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condition for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store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condi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상기 터치 영역에 동시 터치될 터치 점의 개수 ??N??에 대한 터치 점 개수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중심을 결정하는 중심 결정 조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 간 거리)과 상기 계산된 거리를 인증하기 위한 거리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이격 거리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 설정 조건(예컨대, 각 점들의 중심 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각 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인증하기 위한 선분 인증 조건(예컨대,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기울기,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의 각을 결정하는 각도 결정 조건(예컨대, 선분이 이루는 내각 또는 외각을 결정하는 조건)과 상기 각 점에서 만나는 각도를 인증하기 위한 각도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서 만나는 선분의 각도 값과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벡터 성분을 결정하는 벡터 결정 조건(예컨대, 기준 점을 결정하는 조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조건)과 각 벡터 성분을 인증하기 위한 벡터 인증 조건(예컨대, 벡터 크기와 방향, 허용 오차 등), 상기 N개의 각 동시 터치 점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는 조건(예컨대, 다중 터치 면적을 복수의 셀로 분할하고 각 터치 점에 포함된 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조건)과 각 터치 점의 면적을 인증하기 위한 면적 인증 조건(예컨대, 각 점에 대한 면적, 허용 오차 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determined by a touch point number condition for a number N ?? of touch points to be simultaneously touched in the touch region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enter determin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center of each of the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 distance calculating condition for calculating distances between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for example, Distance distances and distances between the respective points), a line segment setting condition (for example, each point) for connecting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E.g., a line equation, a straight line slope, a tolerance, and the like) for authenticating a line segment connecting the respective points, and a line segment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example, a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inner or outer angle formed by a line segment) that determines the angle of a line segment formed by two line segments that meet at each point and an angle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 condition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int, a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 size and direction of a vector) for determining a vector component for the N touch points, and a vector determination condition (E.g., vector size and direction, tolerance and the like) for authenticating the components, conditions for calculating the area for each of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e.g., dividing the multiple touch area into a plurality of cells, (E.g., a condition for counting the number of cells included in each touch point) and an area authentication condition (e.g., an area for each point, tolerance, etc.) for authenticating the area of each touch point Or comprising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for example, a program 215 to provide the program 215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o transmit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be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process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for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Meanwhile, whe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Or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Or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mong the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e touch state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터치 유닛(300)의 일부 터치부(335)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at any time (for exampl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rtion 335 of the touch unit 300 or adjusting the height or rotating the touch portion 335) And the changed / renewed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provid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s soon as possible. If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N개의 동시 터치 점을 이미지화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한다.
Whe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acquires N (N)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the number of simultaneous touch points or component values for the N simultaneous touch points.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N개의 동시 터치 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 구조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추출해낸다.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하는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f image data for N simultaneous touch points are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ng section 242a extracts from the image data the geometric structure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The component values are read out and extracted. The component values for the N touch points may be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e.g.,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

본 발명의 제1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이격 거리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와 B의 이격 거리, A와 C의 이격 거리, B와 C의 이격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may calculate a component value including a distance value where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61, y1), B (62, y2), C (6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distance between C and C, and the distance between B and C,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2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을 연결한 선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선분AB, 선분AC, 선분B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선분은 직선의 방정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extracts a component value including a line segment value that connects each point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61, y1), B (62, y2), C (6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the like. Each line segment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equation.

본 발명의 제3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에서 만나는 두 선분이 이루는 선분 각도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직교 좌표계 상의 A(61, y1), B(62, y2), C(63, y3) 등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점 A에서 만나는 선분BA와 선분AC에 대한 각 ∠BAC, 점 B에서 만나는 선분AB와 선분BC에 대한 각 ∠ABC, 점 C에서 만나는 선분AC와 선분CB에 대한 각 ∠A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ng unit 242a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based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a component including a line segment angle value formed by two line segments that meet at respective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The value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if the N touch points are composed of A (61, y1), B (62, y2), C (63, y3) on the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C angle ∠BAC for AC, ∠ABC for line segment BC at point B, ∠ACC for line AC at point C, and ∠ACB for line CB.

본 발명의 제4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 상의 어느 한 점(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기준 점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또는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제외한 (N-1)개의 점)에 대한 벡터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constructs the N touch points by using a point on the designated coordinate system (or any one of the N touch points) as a reference point (Or (N-1) points excluding the reference point out of the N touch points).

본 발명의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구성하는 각 점들의 면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지정된 좌표계 상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면적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ints constituting the N touch poin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includes the area formed by the N touch points on a specified coordinate system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제6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제1 내지 제5 동시 터치 판독 방식 중에서 둘 이상의 터치 인식을 조합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시 터치 판독 방식을 반복하는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각 응용되는 동시 터치 판독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ng section 242a may combine two or more touch recognizations among the first through fifth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or may repeat one or more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And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may extract component values for N touch points touched in the touch region according to each of the applied simultaneous touch reading methods.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구성 요소 값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가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compares the component value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component value extracted from the image data wit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components of the N touch points matc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동시 터치 인증부(242a)가 수행한 동시 터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6을 참조하면,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해당 소지자에 대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의 형상 터치 인증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를 구비하거나,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형상 터치 인증을 수행하는 형상 터치 인증부(242b)를 구비하거나, 형상 터치 인식부와,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된 형상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수행된 동시 터치의 인식 또는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도면6의 저장매체(625)는 상기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for authenticating the shape touch stor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 corresponding holder identified in association with the owner's terminal device 500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be applied to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of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herein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Or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for performing shape touch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mong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provide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shape touch perform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215,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for confirm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simultaneous touch or the authentication result. The storage medium 625 shown in FIG. 6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or may be provided outsid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가 해당 소지자가 소지한 터치 유닛(300)의 형상 터치를 인식 및 판독하고, 이에 대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여 전송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수신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해당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서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획득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recognizes and reads the shape touch of the touch unit 300 held by the owner and determines and transmit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touch unit 30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owner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00 of the terminal 500 is mapped with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holder and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Whe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acquires and transmit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shape touch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section 615 determine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shape touch surface And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determined by receiving and read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can further determine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condition for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store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condi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을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패턴 인식 값과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인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조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패턴 인식 값의 예측 값과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obtained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a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or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with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A generic term of a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validity, and may preferably include a predicted value and a tolerance of a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shape touch image through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에 대한 터치 인식 조건과 터치 상태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터치 인식부(232a)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for example, a program 215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o transmit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be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process at least one of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 touch condition for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n the other hand, if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Or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Or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mong the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233a,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e touch state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터치 유닛(300)의 일부 터치부(335)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키거나 높이를 조절하는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는 형상 터치 인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인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하나 이상의 인증부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changed at any time (for exampl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rtion 335 of the touch unit 300 or adjusting the height or height thereof) And the changed / updat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provid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s soon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 Or the shape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Or one or more authentication units among the simultaneous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The touch state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형상 터치 면을 이미지화한 형상 터치 이미지 또는 상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한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는 상기 터치 영역에 설정된 좌표계(예컨대, 직교 좌표계, 원형 좌표계 등)를 기반으로 이미지화된 비트맵 이미지 또는 벡터맵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receives the shape of the shape 215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shape touch image obtained by imaging the touch surface or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shape touch surface. The shape touch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itmap image or a vector map image imag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 circular coordinate system, etc.) set in the touch region.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형상 터치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에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적용하여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해낸다.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의 패턴 인식 값은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해석된 값의 총칭으로서,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점, 선, 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은 지정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 패턴 인식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영상처리에 이용 가능한 알고리즘 중 어떠한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종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If the shape touch image for the shape touch surfac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applies the shape touch image to the designat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to obtain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 Wherein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of the shape touch image is a generic name of values interpreted through a specifi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value, a scalar value, and a vector value of at least one of points, lines, and faces constituting the shape touch imag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any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image processing if it is an algorithm for extract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that matches a specified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various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s,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패턴 인식 값 또는 상기 형상 터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패턴 인식 값과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형상 터치 면의 패턴 구조가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매칭되는지 인증한다.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compare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extracted from the shape touch image with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o verify that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shape touch surface match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형상 터치 인증부(242b)가 수행한 형상 터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사운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운드 인증부(252)와, 상기 사운드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6, 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the confirm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owner's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ing unit (615) hav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program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etermining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that performs sound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10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sound authentica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be provided.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사운드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to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or a sound pattern to b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And stores the recogniz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by mapping the identifi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owner and the confirm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될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determines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f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or the touch unit 300, You can determine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one.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사운드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unique code of the designated code system,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targe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Alternatively,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ed with the one-time use code if the one-time code is dynamically generated in the code system designated i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For example, code generation algorithms that dynamically generate disposable codes included in sound data, and / or rules that match seed values).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사운드 인증부(25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processes (e.g., program 215)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by providing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program 215 is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Meanwhile,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예컨대, 특정 주파수 변경, 사운드 패턴 변경,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데이터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사운드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사운드 인증부(25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updated at any time (for example, a specific frequency change, a sound pattern change, a change in encoded data in a sound code) / Updat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provid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s soon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Whe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may perform sound authentication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s necessary data.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signal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200,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recognized from the sound data.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reads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sound and outputs a unique signal included in the sound data, Code and / or one-off code.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a uniqu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ound data or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ng unit 252 compares the unique code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inherent code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des.

또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Or when a disposabl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ound data or a disposabl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ng section 252 may generate the sound authentication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ode generation rule of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generated comparison target code.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사운드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sound pattern,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authenticates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data input from the program 215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sound data.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인식하여 사운드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sound data including a sound pattern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recognizes the sound data through a specifi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extracts sound pattern information .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로부터 사운드 패턴 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패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패턴 정보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ound data or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ng unit 252 transmits the sound pattern information and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Or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sound pattern included in the sound data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가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코드, 또는 상기 사운드코드로부터 획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ou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und data inpu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a sound code,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authenticates the sound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data input from the program 215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ound code corresponding to the sound data,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obtained from the sound code.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sound data including a sound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reads the sound data to extract a sound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encoded in the sound code. Or the sound code included in the sound data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or 252 may extract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encoded in the sound code have.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또는 사운드코드)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a uniqu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ound data (or sound code) or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ng unit 252 acquires the unique code and the sound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mparison target code of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또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또는 사운드코드)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는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Or when a disposabl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ound data (or sound code) or a disposabl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comparison target cod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de generation rule.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사운드 인증부(252)가 수행한 사운드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사운드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sound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If the sound authentication is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provide a sound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위치 인증부(257)와, 상기 위치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6, 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the identified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s in associ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d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that manages the program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A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for performing location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for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상기 터치 유닛(300)를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이 있어야 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위치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 또는 위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confirms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should be located at the time of touching the touch unit 300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Map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holder and the confirmed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stores the mapping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reference location or a loc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한편 상기 터치 유닛(300)가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예컨대, 직원이 터치 유닛(300)를 소지하고 고객의 위치로 방문하는 경우 등),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부터 상기 터치 유닛(300)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무선단말(200)의 위치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employee holds the touch unit 300 and visits the customer's location)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touch unit 300 from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owner and determines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specific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information .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위치 인증부(25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processes (e.g., program 215)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appli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Or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viding server or by providing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program 215 is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Meanwhile,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위치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위치 인증부(25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at any time and updated through re-registration process, and the changed / updated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updated as soon a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Meanwhile,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Whe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notifies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257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s position data of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 인증부(257)는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기준 위치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위치 데이터가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의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인증한다.
When the position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osition authentication unit 257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data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 Or authenticates the position data by checking whether the confirmed position data exists in the position area of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위치 인증부(257)가 수행한 위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위치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위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location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f the location authentication is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provide the location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이미지 인증을 수행하는 이미지 인증부(262)와, 상기 이미지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stores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ed in association with a terminal device 500 or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hav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program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etermin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for performing image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200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image authentication provided by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be provided.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고유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된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 a code image to be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Or an image pattern to be included in a pattern image to be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ouch unit 300, map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holder to the identified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stores it in the medium 625. Or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is a unique cod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of the holder. Or an image pattern printed on the print medium of the owner,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by mapping the identified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with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전자적으로 출력될 패턴 이미지에 포함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될 고유코드. 또는 상기 소지자의 인쇄매체에 인쇄될 이미지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determines whethe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or the terminal device 500 ) Or an image pattern to be included in a pattern image to be electronically output through the touch unit 300. [0050] FIG. Alternatively,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nique code to b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of the holder. Or an image pattern to be printed on the print medium of the holder.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지정된 코드체계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of the code system specified in the code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include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with the unique cod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a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the image pattern and a pattern authentication value when the image pattern that is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includes the image pattern specified in the pattern image. Or a one-off code dynamically generated in a code system specified in a code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code generation rule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ing the one- For example, code generation algorithms that dynamically generate disposable codes included in the code image, and / or rules that match seed values).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이미지 인증부(26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processes (e.g., program 215) the application 215 to be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so that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appli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The program 215 suppli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program 215 is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이미지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이미지 인증부(26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at any time and updated through a re-registration process, and the changed / updated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updated as soon a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to the program 2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이미지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Whe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performs image authentication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eives necessary data.

본 발명의 제1 이미지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코드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코드 이미지, 또는 상기 코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imag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de image is inpu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receives the code image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code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a unique code and / or a disposable code recognized from the code image.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코드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the code imag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reads the code image and extracts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included in the code image have.

상기 수신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code image or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compares the unique code wit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inherent code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des.

또는 상기 수신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Or if the one-off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code image or a disposabl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may generate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based on the code generation rule of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an be authenticated using the generated comparison target code.

본 발명의 제2 이미지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패턴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입력된 패턴 이미지, 또는 상기 패턴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이미지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imag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ttern image is inpu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acquires the pattern image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pattern image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image pattern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pattern image.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패턴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패턴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미지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the pattern imag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can recognize the pattern image through the designate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and extract the image pattern information.

상기 수신된 패턴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패턴 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이미지 패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는 상기 이미지 패턴 정보와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image pattern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pattern image or the image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image authenticating unit 262 transmits the imag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Or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image pattern included in the pattern image by performing a specified verification operation.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이미지 인증부(262)가 수행한 이미지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이미지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이미지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image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f the image authentication is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provide an imag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근거리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6, the operating server 100 stores the confirmed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in cooperation with the owner's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An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hav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etermining the short - 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for performing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is transmitt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unit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dentifies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stores the identified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by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and the confirmed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거리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unit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unique code and a comparison object code to be compared and authenticated.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that matches the one-time use code (for exampl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for example, a program 215) provid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processing the program 215 suppli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be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Meanwhile,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be changed at any time and updated through re-registration process, and the changed / updated short- Lt; / RTI > Meanwhile, when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acquires, from the program 215 of the radio terminal 2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an read the authentication data and extract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If the authentication data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is encrypt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an decrypt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or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transmits the unique code and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mparison target codes.

또는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Or when the disposabl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or when the disposabl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transmits the code generation rule of the short-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an be verified using the generated comparison target code.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가 수행한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근거리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to the program 215 of the radio terminal 200. [ If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is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can provide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와 연동하여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하거나,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 적용되도록 관리하는 정보 저장부(1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하는 인증 조건 결정부(615)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요청되는 근접 통신 인증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의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6, the operating server 100 store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ed in association with the owner's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An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having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for manag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to be applied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determin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for performing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quest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ased 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확인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transmits the program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unit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and map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and the confirmed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한편 상기 인증 조건 결정부(615)는 소지자의 단말장치(500) 또는 터치 유닛(300)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접 위치에서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전송될 인증 데이터에 포함될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에 대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61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terminal unit 500 or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o be transmitted.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ncludes a unique cod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include the comparison code to be compared with the unique code. When the one-time code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 code generation rule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comparison target code matched with the one-time use code (e.g., code generation by dynamically generating a one- Algorithm and / or rule matched with the seed value).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확인/결정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에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이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적용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프로그램(215)을 제작/갱신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이용하는 데이터(또는 파일)에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고도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 determine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transmits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o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for example, a program 215) provid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program 215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or processing the program 215 suppli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be applied to the data (or file) used by the program 215. On the other hand,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provided to the program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되어 재등록 과정을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갱신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가능한 신속하게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된다. 한편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은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at any time and updated through a re-registration process, and the changed / updated proximity communication condi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as soon as possible Lt; / RTI > On the other hand,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in the program 2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상기 운영 서버(100) 측에 구비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인증 데이터,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receives,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may receive the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the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one-time code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data.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여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데이터(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When the authentic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an read the authentication data and extract the unique code and / or the disposable code. If the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is encrypte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can decrypt the encrypted authentication data (or unique code and / or disposable code).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고유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고유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의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When the uniqu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or a uniqu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determines whether the unique code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validity of the unique code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the comparison target codes.

또는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추출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일회용코드가 수신된 경우,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의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Or when the one-time use cod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authentication data or the one-time use code is received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de generation rule The validity of the disposable code can be verified using the generated comparison target code.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근접 통신 인증부(272)가 수행한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한다. 만약 상기 근접 통신 인증이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터치 인증의 결과와 함께 근접 통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vid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wit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 If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is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may provid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result with the result of the touch authentication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는 대상 확인부(110)와,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명함 제공부(11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performs a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holder or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holder An object identifying unit 110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executed program 215 and a business card providing unit 115 for providing the stored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20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1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possess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of the operation server 100 processes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component value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may be received and the component value may be read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to recognize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notifies the wireless terminal 200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It can be confirmed as an object.

본 발명의 제2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inclu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processes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touched su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ognize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If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holder touches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which the holder's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provided It can be confirmed as an object.

본 발명의 제3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다중 터치 인증부(233a),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식부(23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touch state using the touch unit 300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position, and a simultaneous multi-touch authentic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t least one of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i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ing a touch state value for at least one touch point,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recognizing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included in the server 100 receives the component values of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component value can be rea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component value,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in touch with the wireless terminal 200 ) Can be confirmed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4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형상 터치 인증부(242b), 고정 터치 상태 인증부(234a), 정적 터치 상태 인증부(235a), 동적 터치 상태 인증부(236a)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식부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confir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touch state using the touch unit 300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and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t least one authentication unit among the plurality of touch terminals 242a to 242b, the fixed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4a, the stat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5a and the dynamic touch state authentication unit 236a is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cognize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and outputs the touch state valu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Like touch-sensitive unit may read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received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touch surface on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via the touch-sensitive shape condition.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in touch with the touch terminal 300 ) Can be confirmed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5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식부(232a)와 연계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unit 23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confirmed, and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is read to confirm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have.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6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shape of the touch unit 300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r the shape touch recognition unit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obtained by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can be confirmed and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can be read to confirm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If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7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동시 터치 인증부(242a)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and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receives the component value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ads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panel 300 can be authenticate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8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에 구비된 형상 터치 인증부(242b)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store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and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242b receive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the touched surfac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read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ransmits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o the touch unit 300 ) Can be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9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ssociation with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program 215 of the operating server 100 or the concurrent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0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user touches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am 21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authentication result authenticated by the touch is confirmed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read to confirm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1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사운드 인증부(252)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re designated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to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y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n association with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on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s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 Is confirmed to be authenticated simultaneously.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2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사운드 인증부(252)와 연계하여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welfth business card providing object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hap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re designated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o store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storage loca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touched surface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by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s checked and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ound authentication unit 252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s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control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s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3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위치 인증부(257)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teenth card providing object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re designated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conjunction wit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touch point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by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check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s confirmed in cooperation with the location authentication unit 257 on the server 100, Is confirmed to be authenticated simultaneously.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4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위치 인증부(257)와 연계하여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specified as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o store the wireless terminal 200 in the storage location, The user can confirm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touched surface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th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authentication unit 257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unit 257, reads out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display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Confirm that it is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5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이미지 인증부(262)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may store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camera taken image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r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check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by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displayed in cooperation with the image 215 or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on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confirmed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FIG.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6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이미지 인증부(262)와 연계하여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hap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camera shot image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holder's touch unit 300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authenticated by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using the program 215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authentication unit verifie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in cooperation with the image authentication unit 262 on the server 100, Is confirmed to be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7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r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check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ng unit 267 check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AN 215 or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o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reby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8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거리 통신 인증부(267)와 연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program 215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operation (100),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67) check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s the authentication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panel 300 is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19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동시 터치 인증부(242a)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of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r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a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check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5) or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unit 272 on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s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20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6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형상 터치 인증부(242b)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또는 운영 서버(100) 상의 근접 통신 인증부(272)와 연계하여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of the touch unit 300 and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using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recognized touch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620 processes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or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unit 242b on the operation server 100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200 2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and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program 215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reads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touch unit 300 ) Is confirmed to be authenticated. If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program 215 has performed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own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ovided wireless terminal 200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21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20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을 선택적으로 둘 이상 조합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은 어느 하나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둘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the 21st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ver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by selectively combining two or more of the first to twenty business card provision target verification methods is performed The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program 215 can be confirmed as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re not used alone, but two or mo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I will clarify the inclusion.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터치 입력부(205)로 터치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대상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ing the touch input unit 20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t any time point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may check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specifie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면, 상기 대상 확인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21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확인된 무선단말(200)을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한다.
If it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has been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the object identifying unit 11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wenty- And verifies the wireless terminal 200 identified as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터치되었음이 인식 또는 인증되고, 상기 제1 내지 제21 명함 제공 대상 확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이 확인되면, 상기 명함 제공부(115)는 상기 소지자의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2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It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at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touch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and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wenty- Whe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200 is confirmed, the business card providing unit 115 performs a procedure of mapp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and providing the stored business card information to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200.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수신된 명함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200)에 내장된 주소록의 저장 구조로 변환(단, 명함 정보가 주소록 저장 구조가 동일할 경우 생략 가능)하고,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esignated business card storage area.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convert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to a storage structure of the address book built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address book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명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로 제공하는 명함 교환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business card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touch unit 300 And a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500 owned by the owner.

상기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명함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 회원 정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명함 교환부(120)는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받은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구성한다.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ing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confirms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form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member information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provided with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or receiv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

상기 명함 교환부(120)는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터치 유닛(300)를 소지한 소지자의 무선단말(500)로 제공하며, 상기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은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지자의 무선단말(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은 상기 수신된 명함 정보를 해당 무선단말(500)에 내장된 주소록의 저장 구조로 변환(단, 명함 정보가 주소록 저장 구조가 동일할 경우 생략 가능)하고, 상기 명함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500)의 주소록에 저장할 수 있다.
The business card exchange unit 120 confirms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ransmit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300, And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holder receiv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stores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 the designated card storage area.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500 of the owner may convert the received card information into a storage structure of the address book built in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500 And store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address book of the wireless terminal 500. [0157] FIG.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을 위한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for exchanging business cards based on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서 운영 서버(100)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조건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More specifically, FIG. 7 shows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i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 It will be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7 to deriv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information registration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7을 참조하면,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소지자의 회원 가입 또는 인증을 요청하고(7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를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한다(705). 만약 상기 소지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거나 또는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 소지자의 회원 가입 오류 또는 회원 인증 오류를 출력시킨다(710).
Referring to FIG. 7, a terminal apparatus 500 of a holder requests a registration or authentication of a holder to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700). The operation server 100 registers the holder as a member, Authentication is handled (705). If the owner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r is not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outputs 710 the owner's membership error or the member authentication error to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 인증을 요청하고(7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720). 만약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에 구비된 프로그램(515)이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725).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requests the specified operating server 100 to validate the program 515 at step 715 and the operating server 100 requests the program of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515 in step 720. In step 720, If the program 515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is not valid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outputs a program authentication error to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step 725).

상기 프로그램(515)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7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 식별 정보와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한다(735).
Whe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515 is authenticated,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performs a procedure of registering the ow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am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73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registers the ow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is confirmed and stored (735).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터치 인증을 위한 터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740).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형상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를 통해 결정되거나(740), 또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운영 서버(100)가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통해 합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740).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determines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touch authentication (740).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information exchange procedure between the owner terminal 5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740).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의 등록을 요청하고(74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750),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755).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requests the operation server 100 to register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operation 745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n operation 750, (Step 755).

한편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동적 인증 조건(예컨대,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등록해야 하는 경우,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동적 인증(예컨대,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인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예컨대,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결정한다(76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 조건은 상기 운영 서버(100)를 통해 결정되거나(760), 또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와 운영 서버(100)가 지정된 정보 교환 절차를 통해 합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760). 상기 동적 인증 조건 중 어떠한 인증 조건을 등록할 지는 상기 터치 유닛(300)에 구비된 전자 모듈(400)의 구성 또는 터치 유닛(300)가 터치되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register a dynamic authentication condition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e.g., at least one of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dition,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condition) The device 500 may include one or more authentication conditions (e.g.,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a voice authentication condition, a voice authentication condition, a voice authentication condition, a voice authentication condition, A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760). The dynamic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determined through an information exchange procedure of the owner terminal 5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760).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400 included in the touch unit 300 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which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동적 인증 조건의 등록을 요청하고(76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터치 인증과 결합될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조건을 확인하고(770), 지정된 저장매체(625)에 저장한다(775).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requests the operation server 100 to register the dynamic authentication condition in operation 765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checks one or more dynamic authentication conditions to be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770), and stores it in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625 (77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 인증 기반 명함 교환을 위한 조건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conditions for business card exchange based on touch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조건을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조건 적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FIG. 8 shows a process of applying at least one authentication condition among the registered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7 to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and FIG.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FIG. 8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conditional application process (e.g., omitting some of th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또는 인증을 요청하고(80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회원 인증을 처리한다(805). 만약 상기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거나 또는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오류 또는 회원 인증 오류를 출력시킨다(810).
Referring to FIG. 8, a user's wireless terminal 200 requests (800) a user's membership or authentication to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registers the user as a member, Authentication is handled (805). If the user is not registered as a member or is not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auses the wireless terminal 200 to output a membership error or a member authentication error of the user (810).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프로그램(215)의 유효성 인증을 요청하고(8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20).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이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825).
The wireless terminal 200 requests 815 the validation of the program 215 from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requests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200 (820). ≪ / RTI > If the program 215 of the wireless terminal 200 is not valid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outputs a program authentication error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825).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이 인증됨에 따라, 상기 운영 서버(100)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터치 인증 조건과 동적 인증 조건 중 신규 등록되거나 또는 갱신된 인증 조건을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제공하고(830),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증 조건을 수신하여 저장한다(835). 한편 상기 인증 조건을 이용한 인증 절차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인증 조건은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As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15 is authenticated, the operating server 100 transmits the newly registered or updated authentication condition of th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dynamic authentication condition register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7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83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receives and stores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835).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us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not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9 illustrate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when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register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7 ,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ure 9 to illustrat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 (e.g., some of th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sequence may have chang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면적의 터치 영역을 표시하고(900),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한다(905).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 점이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식된 다중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동시 터치 점인지 판단한다(910).
Referring to FIG. 9, the user's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a touch area having a designated area (900) and recognizes a touch point that is multi-touched in the touch area (905). If the multi-touch point is recognized in the touch area, the wireless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multi-touch point is a simultaneous touch point simultaneously touched by the pressure recognition through the designated touch unit 300 (910).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다중 터치 점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동시 터치 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무선단말(200)로 인식된 동시 터치 점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915). 만약 상기 동시 터치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동시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920). 한편 상기 동시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915).
If the multi-touch point touched in the touch region is identified as a simultaneous touch point touch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e recognition through the designated touch unit 300, the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the simultaneous touch And performs a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simultaneous touch points recogniz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using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915). If the validity of the simultaneous touch is not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200 outputs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error (920). Meanwhile, the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simultaneous touch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915).

한편 동시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가 터치되는지 확인하고(925),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식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출력 동작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며(930), 상기 무선단말(200)은 내부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93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은 상기 터치 유닛(300)와 무관하게 수행(예컨대, 위치 인증을 수행하거나,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의 출력/전송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t least one designated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for the simultaneous touch point, It is confirmed 925 that the unit 335 is touched and if at least one of the specified dynamic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sound authentication, location authentication, image authentication, local area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erform an output operation or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the designated dynamic (at least one of) sound authentication, location authentication, image authent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recognition operation for authentication (9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operation for the dynamic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touch unit 300 (e.g., when performing location authentication or recognizing the output /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hold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식 동작을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증 절차, 위치 인증 절차, 이미지 인증 절차, 근거리 통신 인증 절차, 근접 통신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940). 만약 상기 동적 인증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동시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920). 한편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940).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the recognition oper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gister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940) at least one of a recognized sound authentication procedure, a lo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an image authentication procedure,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If the validity of the dynamic authentication is not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200 outputs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error (920).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940).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가 등록된 경우에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고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10 illustrate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300 of a holder when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is registered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7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ways of practicing the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may be implemented by referring to and / or modifying the FIG. 1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면적의 터치 영역을 표시하고(1000), 상기 터치 영역에 다중 터치된 면을 인식한다(1005).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인식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인식된 터치 면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인지 판단한다(1010).
Referring to FIG. 10, a user's wireless terminal 200 displays a touch area having a designated area (1000) and recognizes a multi-touched surface in the touch area (1005). If the touched surface is recognized in the touch area, the wireless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touched surface is a shape touch surface touch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e recognition through the designated touch unit 300 (1010).

만약 상기 터치 영역에 터치된 면이 지정된 터치 유닛(300)를 통해 압인식으로 동시에 터치된 형상 터치 면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무선단말(200)로 인식된 형상 터치 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015). 만약 상기 형상 터치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형상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1020). 한편 상기 형상 터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1015).
If the surface touched in the touch area is identified as a touch surface touch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e recognition through the designated touch unit 300,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1015) a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shape touch surface recognized by the wireless terminal 200 using the condition. If the validity of the shape touch is not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200 outputs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error (1020). Meanwhile, the procedure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shape touch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1015).

한편 형상 터치 면에 대한 터치 인증과 결합된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유닛(300)는 압인력에 의해 터치부(335)가 터치되는지 확인하고(1025), 만약 상기 터치 유닛(300)가 압인식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출력 동작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며(1030), 상기 무선단말(200)은 내부에 구비된 자원을 이용하여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103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인증을 위한 인식 동작은 상기 터치 유닛(300)와 무관하게 수행(예컨대, 위치 인증을 수행하거나, 소지자의 단말장치(500)의 출력/전송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t least one designated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mbined with the touch authentication with respect to the shape touching surface, It is confirmed whether the unit 335 is touched (1025) and if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by pressure recognition, at least one of a sound authentication, a location authentication, an image authentication, The mobile terminal 200 performs an output operation or a transmission oper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using the resources provided therein And performs a recognition operation for authentication (10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operation for the dynamic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touch unit 300 (e.g., when performing location authentication or recognizing the output /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terminal apparatus 500 of the hold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단말(200)은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 인증 조건, 위치 인증 조건, 이미지 인증 조건,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인식 동작을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증 절차, 위치 인증 절차, 이미지 인증 절차, 근거리 통신 인증 절차, 근접 통신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1040). 만약 상기 동적 인증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형상 터치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1020). 한편 상기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하나 이상의 동적 인증 절차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1040).
The wireless terminal 200 performs the recognition oper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the registered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1040) at least one of a recognized sound authentication procedure, a lo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an image authentication procedure,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procedure. If the validity of the dynamic authentication is not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200 outputs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error (1020). 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ound authentication, the location authentication, the image authentication,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1040).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명함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usiness card exchan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확인하여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명함 교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 11 shows a program 215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holder or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hol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exchange process may be inferred (e.g., some steps omitted or alternate implement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of the above-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도면11을 참조하면, 도면9 또는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포함하는 터치 인식 및 인증 수행되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지정된 터치가 인식 및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가 터치된 무선단말(200),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명함 제공 대상으로 확인한다(1100).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touch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including the process shown in FIG. 9 or 10 is performed and a designated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nd authenticated, The wireless terminal 200 having the touch terminal 300 of the touch terminal 300 or the program 215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300 of the holder, (1100) that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 식별 정보와 매핑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상기 명함 제공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200)로 제공하고(1105),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300)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 중의 하나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한다(1110).
The operation server 100 provides the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mapped owner with the ow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business card providing object 1105, And receiv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as one of the results of recognition or authentication of the touch using the touch panel 300 (1110).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 또는 주소록에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하고(11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상기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한 무선단말(200)로 제공되었음에 대응하는 명함 제공 결과를 제공하고(1120),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상기 명함 제공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1125).
The mobile terminal 200 stor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ardholder in the specified card storage area or address book 1115 and the operating server 100 transmit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cardholder to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cardholder, (1120), and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receives and outputs the result of providing the business card (1125).

한편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가 상기 소지자에게 제공되도록 요청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소지자에게 제공하도록 요청하고(11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로 제공한다(1135). 상기 소지자의 단말장치(500)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고(1140), 지정된 명함 저장영역 또는 주소록에 상기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한다(1145).
Meanwhile,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to be provided to the cardholder,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s the cardholder to provide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1130) (100) confirm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s the car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owner (1135). The terminal device 500 of the holder receives the user's business card information (1140) and stores the user's business card information in the specified business card storage area or address book (1145).

100 : 운영 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대상 확인부 115 : 명함 제공부
120 : 명함 교환부 200 : 무선단말
300 : 터치 유닛 500 : 단말장치
100: Operation server 105: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object verification unit 115: business card service provider
120: business card exchange unit 200: wireless terminal
300: touch unit 500: terminal device

Claims (29)

터치 입력부를 구비한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터치 유닛을 소지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 또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로 상기 저장된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A touch authentication based business card delivery method executed by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 first step of storing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rrying a touch unit and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a holder holding the touch unit;
A second step of checking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or a program having performed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nd providing the stored business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o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condi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 조건,
터치 유닛을 이용하여 터치한 상태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지정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unit is touched,
And a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designated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에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 position of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t a touch time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t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at a touch point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버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에 구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Stored in a storage medium accessible by the server,
Or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embodied in the server,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of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And a program stored in a form of program code embodied in a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무선단말에 터치되었음을 인식 또는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과에 대응하는 터치가 인식된 무선단말로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nfirming a result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touched to th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pecified cond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third step provides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o the wireless terminal whose touch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result is recognized.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개수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 동시 터치,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에 구비된 지정된 형상의 터치 면이 터치되는 형상 터치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6, wherein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mprises:
A simultaneous touch in which a specified number of touch points included in a touch unit of the holder are simultaneously touched,
Wherein the at least one touch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uch of a designated shape provided on a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 touch of a designated shape.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에 터치 시점의 사운드 인증, 위치 인증, 카메라 촬영 이미지 인증, 근거리 통신 인증, 근접 통신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동적 인증을 결합한 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6, wherein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mprises:
And a touch that combines at least one dynamic authentication among a sound authentication at a touch point, a location authentication, a camera shot image authentication, a short-rang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and a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to a touch using a touch unit. .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는,
상기 서버 상에서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 또는 인증되거나,
상기 서버와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하여 인식 또는 인증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or 6, wherein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comprises:
The server being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e program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through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program of the server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or authenticat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component values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ading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And if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with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is to be provided. Delivery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touched surface through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nd a step of confirming,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the wireless terminal with which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uches,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Delivery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상태 값과 구성 요소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touch state using the touch unit and a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a touch state value and a component value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and reading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to recognize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is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component value, the touch terminal of the owner touches the wireless terminal to which the owner's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touch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 및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상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상태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에 대한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상태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상태 값을 판독하고 상기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상태 값과 패턴 인식 값을 통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이 터치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ouch state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touch state using the touch unit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at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a touch state value and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ading the touch state value through the touch state condition and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by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And
And confirming, when the touch of the user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is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state value and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e touch terminal of the holder touching the wireless terminal as the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touch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imultaneous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 touch recognition result in which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Reading out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and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nd
When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performing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confirmed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식한 터치 인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인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hape touch recognition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 touch recognition result of recognizing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Reading the touch recognition result and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nd
When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recognized,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program that performs a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a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confirmed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component values for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Reading the component value through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authenticating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터치된 면에 대한 패턴 인식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패턴 인식 값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posi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Receiving a pattern recognition value for a touched surface through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Authenticating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by reading the pattern recognition value through the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hol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nd the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Rea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posi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Read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unit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사운드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a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sound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sound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unit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위치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a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posi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osi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unit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camera taken image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이미지를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a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camera taken image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image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image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unit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거리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a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at the touch point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동시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uch unit for identifying a holder having the touch unit, a simultaneous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one or more touch points touched by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simultaneous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simultaneous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be provided wit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hold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을 구비한 소지자를 식별하는 소지자 식별 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터치가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임을 인증하기 위한 형상 터치 인증 조건과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하기 위한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지정된 저장위치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터치 입력부에 터치된 면을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로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근접 통신 인증 조건을 통해 상기 터치 시점의 근접 통신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인증 결과들을 판독하여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형상 터치가 인증되면, 상기 소지자의 터치 유닛을 이용한 터치를 인식 또는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무선단말을 상기 소지자의 명함 정보가 제공될 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ape touch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at the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is a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owner and a touch unit of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the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used touch point to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a touched surface of a touch input unit of the wireless terminal with a shape touch using a touch unit of the holder;
Confirming an authentication result of authenticating proximity communication of the touch point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condition;
Confirming that the shap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by reading the confirmed authentication results; And
When the touch of the shape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is authenticated, confirming th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ogram performing the procedure of recognizing or authenticating the touch using the touch unit of the holder as an object to which the card information of the owner is to be provide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KR1020140060964A 2014-05-21 2014-05-21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KR201501340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64A KR20150134085A (en) 2014-05-21 2014-05-21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64A KR20150134085A (en) 2014-05-21 2014-05-21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085A true KR20150134085A (en) 2015-12-01

Family

ID=5488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964A KR20150134085A (en) 2014-05-21 2014-05-21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08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503B1 (en) Method for Identifying Capacitive Multi-Touch
KR101990661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ealing Style Capacitive Multi Touch
KR20140144765A (en) a Stamp
KR101538697B1 (en) Method for Providing Value by using Touch Device
KR101545320B1 (en) Method for Selecting Information by using Capacitive Multi-Touch
KR20140144772A (en)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y using Shape Touch
KR102086856B1 (en) Method for Operating Keywo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KR101421577B1 (en) Method for Recognizing Selective Touch by using Transparent Touch Area
KR101982875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Touch Recognition
KR2015013406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by using Simultaneous Touch
KR101538694B1 (en) Method for Providing Value by using Touch Device
KR20150134085A (en)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KR102221354B1 (en) Electronic Touch Unit
KR102217358B1 (en) a Touch Unit
KR102217357B1 (en) a Touch Unit
KR102217359B1 (en) Touch Unit by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50026383A (en) Touch Device by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50026384A (en) Touch Device by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62404B1 (en) Method for Delivering a Name Ca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KR20140144766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imultaneous Touch
KR20150134109A (en) Method for Using a Value Data in Reverse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206880B1 (en) Electronic Touch Device
KR20150134488A (en) Method for Operating Keyword by using Touch Authentication
KR101545322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Touch Recognition by using Lock Screen
KR20150134072A (en) Method for Selecting Information by using Simultaneous T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