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304A -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 Google Patents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304A
KR20150132304A KR1020157028579A KR20157028579A KR20150132304A KR 20150132304 A KR20150132304 A KR 20150132304A KR 1020157028579 A KR1020157028579 A KR 1020157028579A KR 20157028579 A KR20157028579 A KR 20157028579A KR 20150132304 A KR20150132304 A KR 2015013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une
transmitter
during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090B1 (ko
Inventor
치-핑 수
파루크 우스마니
링 항
라자고팔 지나갈라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3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를 재튜닝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신기를 튠 어웨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가 처리량의 손실, 추적 또는 동기화의 손실, 확인응답들에서의 지연들, 레이트 제어 또는 채널 품질 제어 피드백에서의 지연들 등과 같은 튠-어웨이 방법들과 종종 연관된 문제들을 피하면서 단일 무선 (RF) 체인으로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송신기는 수신기가 별도로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에 튜닝될 수도 있는 동안에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별도로 튜닝된 수신기는 송신기가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남아 있고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페이징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수신기-단독 튠-어웨이{RECEIVER-ONLY TUNE-AWAY}
셀룰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지난 몇 년에 걸쳐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보다 좋은 통신 하드웨어, 보다 큰 네트워크들, 및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이 이러한 성장을 부채질했다. 오늘날의 스마트폰들은 카메라들, GPS 수신기들, Bluetooth® 송수신기들, 및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인터넷과 데이터 통신 링크들을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셀룰러 통신 능력들 (예를 들어, LTE, 3G 및/또는 4G 네트워크 액세스) 을 포함한다. 스마트폰들은 이제 사회에서 매우 널리 전개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폰들에서의 컴포넌트들 및 능력들은 이제 저렴하여, 능력들이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들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많은 네트워크들은 이러한 무선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도록 배치되었고, 무선 디바이스들은 이제 다수의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을 이용하기 위해 하나를 초과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무선 디바이스들은 종종 제한된 전력 공급 (즉, 배터리) 을 지니고, 하나를 초과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전력에 대한 큰 부담일 수 있다.
일부 현대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2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단일 수신기/송신기 체인 (즉, 안테나와 모뎀 사이의 무선부와 연관된 회로부) 을 공유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은 2 개 이상의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들이 단일 송수신기 (예를 들어, 듀얼 SIM 듀얼 대기 "DSDS") 를 공유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폰은 사용자들이 오직 단일 무선부만을 이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그러한 디바이스들에서의 수신기/송신기 체인은 오직 한 번에 단일 네트워크로만 튜닝하고, 따라서 2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동시에 동작할 수 없다.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의 네트워크에 튜닝하고 그 다음에 다른 네트워크에 튜닝함으로써 대기 모드에서 다수의 인터페이스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부는 제 1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대기 상에 있는 다른 네트워크들에 주기적으로 튠-어웨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튠-어웨이 절차에서, 무선부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에 대기 네트워크로 빠르게 튜닝하고 그 다음에 제 1 네트워크로 다시 튜닝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호를 계속한다. 이러한 "튠-어웨이" 절차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대기 네트워크(들) 에 대해 수신된 페이지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들을 유지하고 착신 호들을 나타내는 것과 연관된 페이지들) 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한다. 페이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면 네트워크들을 스위칭할 수도 있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착신 전화 호에 응답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들을 스위칭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 절차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나 비용이 든다. 다른 네트워크로 튠 어웨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제 1 네트워크로의 송신들을 중단시키는데,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 양자 모두가 새로운 네트워크로 튜닝되기 때문이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로 그리고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가 대기 네트워크로 튠 어웨이된 지속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들을 중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적 또는 제 1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동기화를 중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중단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확인응답들을 전송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가 타임 아웃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실제로는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과 연관된 에너지를 낭비한다. 또한, 중단들은 레이트 제어, 흐름 제어, 또는 채널 품질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사안들의 비용은 다중-기술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주 튠-어웨이할 수도 있음에 따라 더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를 튜닝하지 (tune)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신기를 튠 어웨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가 처리량의 손실, 추적 또는 동기화의 손실, 확인응답들에서의 지연들, 레이트 제어 또는 채널 품질 제어 피드백에서의 지연들 등과 같은 튠-어웨이 (tune-away) 방법들과 종종 연관된 문제들을 완화시키는 한편 단일 무선 체인으로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송신기는 수신기가 별도로 제 2 네트워크에 튜닝될 수도 있는 동안에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별도로 튜닝된 수신기는 송신기가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남아 있고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안에 제 2 네트워크 상에서의 대한 페이징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본원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시하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에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특색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블록도이다.
도 2a 는 튠-어웨이 방법으로 접속들을 갖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 는 다양한 실시형태 방법들에 따른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동작으로 접속들을 갖는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한다.
도 3 은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동작에 대한 일 실시형태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상황들 중의 모바일 디바이스 송신들을 도시하는 호 흐름도들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신되는 패킷들의 시간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이용에 적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블록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이용에 적합한 서버 디바이스의 컴포넌트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가능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들에 걸쳐 이용될 것이다. 특정 예들 및 실시형태들에 대해 이루어진 참조들은 예시용이고, 본 발명 또는 본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는 않는다.
단어 "예시적인" 은 본원에서 "예, 사례, 또는 실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원에서 "예시적인" 으로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예는 반드시 다른 구현예들에 비해 더 선호되거나 더 유익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용어들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및 "컴퓨팅 디바이스" 는 셀룰러 전화기들, 스마트폰들, 개인용 혹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재생기들,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 (personal data assistant; PDA) 들, 랩탑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울트라북들, 팜-탑 컴퓨터들, 무선 전자 메일 수신기들, 멀티미디어 인터넷 가능 셀룰러 전화기들, 무선 게이밍 제어기들, 및 무선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메모리, 및 회로부를 포함하는 유사한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두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이용된다.
다수의 상이한 셀룰러 및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 및 표준들이 추후에 이용가능하거나 고려되며, 이들의 모두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고 다양한 실시형태들로부터 혜택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한 서비스들 및 표준들은, 예를 들어,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롱 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들, 3 세대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 (3G), 4 세대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 (4G),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GSM,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들 (예를 들어, cdmaOne, CDMA2000TM), EDGE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고급 모바일 폰 시스템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AMPS), 디지털 AMPS (IS-136/TDMA),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디지털 강화된 코드리스 통신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DECT),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광역 네트워크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PA, WPA2 (Wi-Fi Protected Access I & II), 및 통합된 디지털 강화된 네트워크 (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iDEN) 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들의 각각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시그널링, 및/또는 컨텐츠 메시지들의 송신 및 수신을 수반한다. 개개의 통신 표준 또는 기술과 관련된 전문용어 및/또는 기술적 세부사항들에 대한 임의의 참조들은 단지 예시용이고, 청구항 언어로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 한 특정 통신 시스템 또는 기술에 대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무선부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동시적인 네트워크 접속들을 허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제조 비용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종종 제한된 전력 공급에 기초한 전력 소모 양자 모두의 면에서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튠 어웨이는 단일 무선 주파수 (radio frequency; RF) 체인 (즉, 안테나,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및 관련된 회로들의 조합) 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제 1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이다. 모니터링된 추가적인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는 추가적인 네트워크와 접속을 형성할지 여부,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접속을 이룬 후에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들을 계속 모니터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튠 어웨이는 단일 RF 체인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다수의 무선 기술들 또는 네트워크들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를 초과하는 무선 기술 또는 네트워크에 대해 동작하는 이점들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더 좋은 서비스를 받는 것 또는 2 개의 이상의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상이한 디바이스들로서 동작하는 것 (즉,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2 개 이상의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하나를 초과하는 SIM 카드와 같은 다수의 신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기술들은 CDMA lxDO 및 LTE 와 같은 음성이 아니라 오직 데이터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양자 모두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인,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LTE 및 음성 서비스를 위한 CDMA 2000 상에서 동작하도록 단일 RF 체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2 개 이상의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2 개 이상의 네트워크들 상에서 동작하도록 단일 RF 체인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2 개 이상의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은 동일한 기술을 갖거나 상이한 기술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이한 서비스 제공자들에 접속하기 위해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서 2 개의 SIM 카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가입 식별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 2 네트워크로 튠 어웨이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제 1 네트워크로의 송신들을 중단시키는데,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튠-어웨이 프로세스 중에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 양자 모두가 새로운 네트워크로 튜닝되기 때문이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종래에는 송신기가 일반적으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네트워크를 간섭하는 것을 피하도록 동작되어야 하는 방법을 제어하는 파일럿 신호 또는 전력 제어 신호들과 같은 소정의 제어 신호들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조정되게 튜닝된다.
그러나, 튠-어웨이 프로세스 중에 송신기를 재튜닝하는 것에서의 중단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송신기가 (본원에서 "제 2 네트워크" 로도 지칭되는) 대기 네트워크로 튠 어웨이되는 지속기간 동안 데이터 송신들을 중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적 또는 제 1 네트워크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동기화를 중단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중단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네트워크로의 확인응답들을 전송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가 타임 아웃되고 메시지를 재송신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실제 성공적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과 연관된 에너지를 낭비한다. 또한, 중단들은 레이트 제어, 흐름 제어, 또는 채널 품질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사안들의 비용은 다중-SIM 단일 RF 체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주 튠-어웨할 수도 있음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 역시 튜닝하지 않으면서 모바일 디바이스 수신기를 튠 어웨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가 처리량의 손실, 추적 또는 동기화의 손실, 확인응답들에서의 지연들, 레이트 제어 또는 채널 품질 제어 피드백에서의 지연들 등과 같은 튠-어웨이 방법들과 종종 연관된 문제들을 피하면서 단일 무선 체인으로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송신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수신기가 제 2 네트워크에 별도로 튜닝된 동안에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별도로 튜닝된 수신기 회로는 송신기가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남아 있고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안에 제 2 네트워크에 대한 페이징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다수의 무선 기술들로 동작할 수도 있는 다중-가입 모바일 디바이스에 특히 유용하다.
오직 수신기만을 튠 어웨이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튠-어웨이의 지속기간 동안 제 1 네트워크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전에 수신된 데이터의 필요한 확인응답들을 송신하는 것과 같은 송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신기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송신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RF 체인이 재밍되는 (jamming) 경우를 알아차릴 수 없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튠-어웨이가 RF 체인의 간섭 또는 재밍을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수신기의 임의의 튠-어웨이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RF 체인을 무심코 재밍하지 않도록 지속기간들을 충분히 짧게 하도록 지연되거나 제한될 수도 있다.
도 1 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적합한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컴포넌트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모뎀 (110) 에 접속된 기저대역 프로세서 (108) 를 갖는 단일 무선 주파수 (RF) 체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뎀 (110) 은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는 각각 안테나 (116)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가 도 1 에서는 별도의 컴포넌트들로서 도시되나,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 양자 모두를 할 수 있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또는 다르게는, 송수신기의 송신기 및 수신기 부분들) 는 별도로 튜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112) 는 제 1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으로 송신하도록 튜닝될 수도 있고, 한편 수신기 (114) 는 제 2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도록 튜닝된다. 다른 예에서,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는 동일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될 수도 있고, 그 다음에 송신기 (112) 가 제 1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에 튜닝된 채로 있는 동안에 수신기 (114) 가 제 2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는, 송신기에 대한 상이한 스펙트럼 마스크들, 변조된 파형들, 주파수 정확도, 및 수신기에 대한 민감도, 인접한 채널 민감도, 및/또는 거짓 응답으로 동작하는 것과 같은 상이한 네트워크 기술들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모뎀 (110)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 (108) 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와 같은 제어기 (106)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어기 (106) 는 또한 제 1 SIM (102) 및 제 2 SIM (104)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오직 2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만이 도 1 에 도시되나, 다른 실시형태들은 임의의 개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 (106) 는 또한 메모리 (120) 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및 타이머 (122) 와 같은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버튼들, 터치스크린들, 디스플레이들, 스피커들, 및/또는 마이크로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24)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102, 104) 은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승인하거나 인증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유형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별도의 네트워크들 또는 네트워킹 기술들에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서의 상이한 계정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는 동안에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음성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가입자 식별 모듈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하드웨어, 메모리, 또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IMSI) 과 같은 SIM, 뿐만 아니라 인증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키들 또는 코드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된 값들을 저장하는 카드일 수도 있다. SIM 은 또한 홈 네트워크, 네트워크와의 계정,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된 현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하나 이상의 인코딩된 값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102, 104) 중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제 1 네트워크와 접속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가 파워 온 된 경우, 모뎀 (110) 이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스캐닝하여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제 1 또는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102, 104) 에 저장된 인코딩된 값들을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값들과 비교하고 매치가 있는 경우 접속을 확립할 수도 있다. 접속이 확립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음성 또는 데이터 호들을 교환하는 것과 같이, 제 1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튠-어웨이라고 불리는 프로세스에서,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4) 에 대응하는 제 2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네트워크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가 단일 RF 체인을 갖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한번에 하나의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와 통신하고, 제 2 네트워크로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를 튠-어웨이하거나 재튜닝하고, 그 다음에 다시 제 1 네트워크로 튜닝할 수도 있다. 도 2a 는 그러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2a 에서 제 1 기지국 (202) 에 의해 표현되는 제 1 네트워크와 제 1 접속 (222) 을 확립할 수도 있다. 접속 (222) 은 양방향들 (즉, 전 이중) 로 동작하여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양자 모두가 제 1 네트워크로 튜닝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100) 가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접속 (224) 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기지국 (212) 에 의해 표현되는 제 2 네트워크로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통상적인 튠-어웨이의 짧은 지속기간 때문에, 제 2 접속 (224) 은 정식 접속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와 동기화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것과 같은 셋업 기간을 수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를 단순히 재튜닝할 수도 있다. 제 2 기지국 (212) 과의 제 2 접속 (224) 은 점선으로 도시되는데, 접속이 제 1 접속 (222) 과 동시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송신기가 원래의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는 동안에 수신기 (114) 는 튠 어웨이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제 1 상태에서 제 1 접속 (222) 을 통해 제 1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2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로부터 기지국 (202) 으로 가는 단일 방향으로의 통신 링크 (232)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송신기 (112) 가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는 동안에, (기지국 (212) 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 (100) 로 가는 단일 방향으로의 통신 링크 (234)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신기 (114) 는 제 2 네트워크로 튜닝된다. 이러한 제 2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여전히 제 1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동안에 제 2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예컨대, 페이징 신호가 없거나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신호에 응답하여, 튠-어웨이 기간이 종료된 후에 제 1 상태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즉, 수신기 (114) 가 다시 제 1 네트워크로 튜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2 개 (또는 초과) 통신 링크들이 단일 기지국과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 실시형태들은 2 개의 링크들이 상이한 기술들, 상이한 사용자 계정들, 상이한 사용자 설정들, 또는 이러한 상이점들의 조합들을 수반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2 개의 통신 링크들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제 1 무선 네트워크로의 2 방향 접속 (222) 을 갖는 제 1 상태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 (222) 은 제 1 계정에 대응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제 1 통신 링크 (242) 및 제 2 통신 링크 (244) 에 의해 네트워크의 기지국 (202) 과 접속된다. 제 1 통신 링크 (242)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로부터 기지국 (202) 으로 가는 단일 방향이고 송신기 (112) 가 제 1 통신 링크의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의 범위로 튜닝된 채로 있음을 표현할 수도 있다. 제 2 통신 링크 (244)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가 수신할 수도 있는 기지국 (202) 으로부터의 송신들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튠-어웨이 기간이 종료된 후에 수신기 (114) 를 다시 제 1 계정으로 튜닝함으로써 제 1 상태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의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방법 (300) 을 도시한다. 블록 (302)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프로세서는 제 1 네트워크로 송신기 (112) 및 수신기 (114) 를 튜닝할 수도 있다. 블록 (304)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제 1 네트워크와 전-이중 통신들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사이에 접속을 확립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한다.
결정 블록 (307)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모뎀 프로세서,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 는 수신기 튠-어웨이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다양한 요인들, 예컨대, 제 2 네트워크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튠-어웨이가 사용자에 의해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 되는지 여부, 제 1 네트워크와의 보다 높은 우선순위 통신들이 수신기를 할애할 수 없는지 여부 등에 기초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07) = 아니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튠-어웨이를 수행하지 않고 블록 (304) 에서 제 1 네트워크와 계속 통신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가 허용된다고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07) = 예),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블록 (309) 에서 수신기 튠-어웨이 중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서로 간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추후 계획된 송신 주파수들을 튠-어웨이 주파수들과 비교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파수 홉핑 (hopping) 방법으로 제 1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송신을 위해 추후의 주파수 홉들에 대해 제 1 테이블 룩업을 수행하고 튠-어웨이에서 수신기에 의해 이용될 시간들 및 주파수들에 대한 제 2 테이블 룩업에 결과들을 비교할 수 있다. 테이블 룩업 결과들 사이의 중첩은 잠재적인 간섭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간섭이 있을 것이라고 모바일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09) = 예),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 (312) 에서 송신하는 것을 멈추고 그 다음에 블록 (316) 에서 수신기-단독 튠 어웨이를 시작할 수도 있다.
수신기 튠-어웨이 중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09) = 아니오), 모바일 디바이스는 타이머, 예컨대,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 (122) 중 하나의 타이머를 블록 (314) 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타이머는 튠 어웨이 중에 송신기가 수신기를 간섭하지 않고 계속 송신할 수 있는 기간과 같은 다양한 시간들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타이머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1 네트워크와의 동기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신기가 튠 어웨이될 수도 있는 지속기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 (316) 에서 제 2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의 범위로 수신기를 튠 어웨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로부터의 예상되는 신호들에 매칭하도록 튠-어웨이 시간을 맞출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페이징 신호 기간이 스케줄링된 경우 제 2 네트워크로 수신기를 튠-어웨이할 수도 있다.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중에, 송신기는 계속 송신하도록 제 1 네트워크에 튜닝된 채로 있을 수도 있거나 송신하는 것을 멈출 수도 있다.
블록 (320)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착신 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는 페이징 신호들을 청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결정 블록 (323) 에서 관련 신호 (즉, 잡음이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신호가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향한 신호) 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이러한 결정은 수신되는 각각의 페이지 신호를 검사하는 것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이러한 결정은 스킵되거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튠-어웨이 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 또는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계속 검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단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관련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23) = 예),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 (330) 에서 신호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션들은 수신된 신호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송신기를 제 2 네트워크로 튜닝하고 전화를 걸기 위한 페이징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진행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페이징 신호에 응답하거나 접속을 요청할지 여부에 관한 결정을 위해 사용자를 프롬프팅할 수도 있다 (prompt).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2 네트워크로부터 관련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23) = 아니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결정 블록 (325) 에서 튠-어웨이 기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다양한 요인들, 예컨대, 제 2 타이머의 만료, 또는 제 2 네트워크에 대해 스케줄링된 페이징 신호 기간이 끝났다는 결정에 기초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가 완료되었다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25) = 예),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 (302) 으로 돌아가 제 1 네트워크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기는, 예컨대, 튠-어웨이 중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네트워크로 이미 튜닝될 수도 있어, 재튜닝되는 것은 단지 수신기 뿐일 수도 있다.
튠-어웨이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25) = 아니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블록 (314) 에서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결정 블록 (327) 에서 결정할 수도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고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결정하는 경우 (즉, 결정 블록 (327) = 아니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블록 (320) 으로 돌아가 제 2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들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타이머 만료 (즉, 결정 블록 (327) = 예) 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블록 (332) 에서 (송신기가 여전히 송신하고 있는 경우) 송신을 멈추고, 블록 (320) 으로 돌아가 제 2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들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 4a 는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튠-어웨이 중의 호 흐름들 (4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제 1 네트워크와 전 이중 접속 (402) 을 확립했을 수도 있다.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이 시작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1 네트워크와의 접속 (404) 은 제 2 네트워크를 청취하는 동안에는 일 방향일 수도 있다 (즉, 오직 제 1 네트워크로만 송신할 수도 있다). 제 2 네트워크로부터 관련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매칭하는 페이지 신호가 없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의 종료 후에 전 이중 접속 (402) 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도 4b 는 제 2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 튠-어웨이 중의 호 흐름들 (42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4a 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제 1 네트워크와 전 이중 접속 (402) 을 확립했을 수도 있다.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이 시작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1 네트워크와의 접속 (404) 은 제 2 네트워크를 청취하는 동안에는 일 방향일 수도 있다 (즉, 오직 제 1 네트워크로만 송신할 수도 있다). 페이지 (422) 가 제 2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와의 임의의 접속을 끊고 제 2 네트워크와 전 이중 접속 (424) 을 셋업하기 위해 송신기를 재튜닝할 수도 있다.
다양한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실시형태들에서, 송신기는 제 1 네트워크에 계속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신할 수 없으면서 송신을 하는 것은 문제들을 만들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수도 있고 동기를 벗어나거나 전력 제어 신호들을 분실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송신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임의의 확인응답들을 분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송신기는 송신되는 것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시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보다는, 튠-어웨이가 완료된 후에 임의의 확인응답들이 수신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는 튠 어웨이 기간의 거의 끝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튠-어웨이 기간이 시작되는 경우에 여전히 보류 중인 임의의 확인응답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기는 재접속해야할 필요를 피하기 위해 송신기가 여전히 존재하고 접속되어 있다고 제 1 네트워크에 알리도록 파일럿 신호를 여전히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c 는 다양한 유형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이용한 호 흐름들 (45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4a 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을 통해) 제 1 네트워크와 전 이중 접속 (402) 을 확립했을 수도 있다.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이 시작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임의의 보류 중인 확인응답들 (452) 을 송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네트워크에 파일럿 신호 (454) 를 송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의 종료 전에 다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456). 제 2 네트워크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기 튠-어웨이 기간의 종료 후에 전 이중 접속 (402) 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1 네트워크와의 접속 (404) 은 보류 중인 확인응답들 (452), 파일럿 신호 (454), 및 데이터 (456) 의 임의의 조합에 이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1 네트워크와의 접속 (404) 은 전 이중 접속 (402) 의 전 송신 부분일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로의 단방향).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사이의 신호들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기가 제 2 네트워크로 튜닝될 것이므로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기간 (510) 중에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데이터 패킷의 수신과 확인응답의 송신 사이에 어느 정도의 지연을 수반한다. 튠-어웨이 기간 (210) 전에 데이터 패킷들 (502) 이 수신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튠-어웨이 (510) 중에, 예컨대, 확인응답 기간 (512) 에 이러한 패킷들에 대한 확인응답들 (504) 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에서 논의된 사안들을 피하기 위해 튠-어웨이 기간 (510) 중에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튠-어웨이 기간 (510) 의 거의 끝에, 예컨대, 데이터 기간 (514) 중에 데이터 (506) 를 송신할 수도 있다. 튠-어웨이 기간 (510) 의 거의 끝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수신기가 튠-어웨이 기간의 종결에서 제 1 네트워크로 다시 튜닝할 때에 확인응답 메시지들이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네트워크에 데이터 (506) 를 송신하고 제 1 네트워크로부터 확인응답들 (508) 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지연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연은 사용 중인 통신 프로토콜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네트워크 사이의 전파 시간에 기초하여 알려지거나 추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들은 접속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파일럿 신호를 검사하고 유지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접속의 손실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접속을 재확립해야 하는 경우 전체 처리량을 줄이고 데이터 레이트에서의 감소를 야기할 수도 있다. 도 5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일럿 신호들이 수신기 회로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확인응답 신호의 수신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은 방지하기 위해 튠-어웨이 기간 (510) 중에 임의의 시간에 또는 모든 시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스마트폰 유형 모바일 디바이스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스마트폰 (600) 은 내부 메모리 (602), 디스플레이 (603), 및 스피커 (654)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60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 (600) 은 프로세서 (601) 에 커플링된 무선 데이터 링크 및/또는 셀 전화기 송수신기 (605) 에 접속될 수도 있고 광역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전자기 방사선을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6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들은 무선 송신기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거나 페어링할 수 있는 별도의 단거리 무선 송수신기 (62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들 (600) 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메뉴 선택 버튼들 또는 록커 (rocker) 스위치들 (608) 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예컨대,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서버 (700)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서버 (700) 는 통상적으로 휘발성 메모리 (702) 및 디스크 드라이브 (703) 와 같은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701) 를 포함한다. 서버 (700) 는 또한 프로세서 (701) 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혹은 DVD 디스크 드라이브 (7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700) 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커플링된 근거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707) 와 데이터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세서 (701) 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7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601, 701) 은 임의의 프로그램가능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하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기능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애플리케이션들) 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는 다수의 프로세서 칩 또는 칩들일 수도 있다. 일부 모바일 수신기 디바이스들에서, 다수의 프로세서들 (601) 은 전용된 하나의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기능들을 제공하게 그리고 전용된 하나의 프로세서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시키게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은 액세스되어 프로세서 (601, 701) 로 로딩되기 전에 내부 메모리 (602, 702, 703) 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601, 701) 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저장하기에 충분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방법 설명들 및 프로세스 흐름도들은 단지 예시적인 예들로서 제공되고,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단계들이 제시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함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려고 의도되지는 않는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실시형태들에서의 단계들의 순서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 후에", "그 다음에", "다음에" 등과 같은 단어들은 단계들의 순서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어들은 단순히 방법들의 설명에 걸쳐 독자를 가이드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관사 "하나 (a)", "한 (an)", 또는 "그 (the)" 를 이용하여 단수형으로 요소들을 청구하는 임의의 언급은 단수형으로 요소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라면,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서 개시된 양상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하드웨어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에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일부 단계들 또는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정한 회로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유형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있을 수도 있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 예컨대,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러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된 디스크 (disk) 와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통상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될 수도 있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있을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예들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칙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보여진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항들과 원리들 및 본원의 개시된 원칙들과 신규의 특징들과 일치하는 광의의 범위에 부합되고자 한다.

Claims (38)

  1.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단일 무선부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
    튠-어웨이 기간 동안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단계;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계속 송신할 수 있는 지속기간에 대해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를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확인응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단계는 제 1 기술에 대해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단계는 제 2 기술에 대해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 및 제 2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법.
  10.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는 별도로 튜닝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부;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부와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
    튠-어웨이 기간 동안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것;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상기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 1 가입자 식별 모듈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 2 SIM 카드인,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가 계속 송신할 수 있는 지속기간에 대해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확인응답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더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더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이 제 1 계정에 대해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것이 제 2 계정에 대해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0.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는 별도로 튜닝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부;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수단;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
    튠-어웨이 기간 동안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수단;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 1 가입자 식별 모듈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 2 SIM 카드인, 모바일 디바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계속 송신할 수 있는 지속기간에 대해 타이머를 설정하는 수단;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어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를 튜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확인응답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수단은 제 1 계정으로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것은 제 2 계정으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0. 프로세서-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1 네트워크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
    튠-어웨이 기간 동안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는 것;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간섭을 야기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송신기가 계속 송신할 수 있는 지속기간에 대해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 및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들을 중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페이지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확인응답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상기 송신기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이 상기 튠-어웨이 기간 중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0 항에 있어서,
    저장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는 동일한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이 제 1 계정으로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기를 튠 어웨이하는 것이 제 2 계정으로 상기 수신기를 튜닝하는 것을 포함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57028579A 2013-03-15 2014-03-14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KR10164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1,691 US9204353B2 (en) 2013-03-15 2013-03-15 Receiver-only tune-away
US13/831,691 2013-03-15
PCT/US2014/028492 WO2014144192A1 (en) 2013-03-15 2014-03-14 Receiver-only tune-a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304A true KR20150132304A (ko) 2015-11-25
KR101649090B1 KR101649090B1 (ko) 2016-08-17

Family

ID=5067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579A KR101649090B1 (ko) 2013-03-15 2014-03-14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04353B2 (ko)
EP (1) EP2974516B1 (ko)
JP (1) JP5977471B2 (ko)
KR (1) KR101649090B1 (ko)
CN (1) CN105009681A (ko)
WO (1) WO2014144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4353B2 (en) 2013-03-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only tune-away
US9485718B2 (en) * 2013-09-1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Out-of-service recovery for a multi-SIM wireless device
US9743452B2 (en) * 2013-09-30 2017-08-22 Apple Inc. Adaptive reception of LTE in a single radio wireless device
US20150295691A1 (en) * 2014-04-11 2015-10-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nding an uplink re-transmission after a tune away period
US9402280B2 (en) * 2014-07-21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er only tune away in multi-SIM devices
WO2016078555A1 (en) * 2014-11-19 2016-05-26 Mediatek Inc. Method for handling suspension of a physical channel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US20160198352A1 (en) * 2015-01-05 2016-07-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ing Data Performance Via Deliberat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cknowledgment (ACK) and Fast Radio Link Control (RLC) Non-acknowledgment (NACK) i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999024B2 (en) * 2015-01-08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eMBMS) streaming loss control in a radio sharing concurrent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apable mobile device
JP6278031B2 (ja) * 2015-02-04 2018-02-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9591527B2 (en) 2015-03-10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echanism to achieve better throughput in X+GSM MSMS devices
US9565687B2 (en) * 2015-03-19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quality metr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313109B1 (en) 2015-04-17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ighbor cell monitoring activity based on conditions of serving cell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60330653A1 (en) * 2015-05-06 2016-11-10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all interruption during tune away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multi-standby device
US9549387B2 (en) * 2015-05-29 2017-01-17 Apple Inc. Technique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s using conducted RF links
WO2017023609A1 (en) * 2015-07-31 2017-0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implementing a deliberate non-acknowledgment (nack) process i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041976A1 (en) * 2015-08-07 2017-0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Data Communications on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70086100A1 (en) * 2015-09-23 2017-03-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une-Away Performance During An Ongoing Voice Communication Session
WO2017052906A1 (en) * 2015-09-25 2017-03-30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9848369B2 (en) 2015-10-29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une-aways in a multi-subscription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CN106912107B (zh) * 2015-12-23 2020-07-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利用多载波实现多卡功能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7156729A1 (en) * 2016-03-16 2017-09-2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lte carrier aggregation throughput by sending fake acknowledgments for secondary cell data during tuneaways
US10397897B2 (en) * 2017-03-31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improving paging type2 performance in dual SIM dual standby (DSDS) devices and apparatus therefor
US10498498B2 (en) 2017-10-31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utonomous user equipment tune-away operations
US11689634B2 (en) 2018-07-09 2023-06-27 Saferide Technologies Ltd. Optimizing size of protocol communication in a vehicle internal networks
US11910482B2 (en) * 2019-04-16 2024-02-2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E reporting for multi-USI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4300A1 (en) * 2005-02-03 2011-02-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Tune-Away Capability
US20120020310A1 (en) * 2010-01-18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ata loss during autonomous system information read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805A (en) 1994-02-24 1998-06-30 Gte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rporation Multi-mode communication network with handset-selected channel assignments
EP1085773A1 (en) * 1999-09-20 2001-03-21 Nortel Matr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with distributed base stations
US8364159B2 (en) * 2002-02-1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hannel during an active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40430B1 (en) * 2004-03-30 2008-10-21 Cisco Technology,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handoffs
US7260399B1 (en) 2004-08-30 2007-08-2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 handoff of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s
US8767713B2 (en) 2005-02-22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page monitoring of a communication system during traffic/broadcast channel operation without reducing traffic performance
PL1867060T3 (pl) * 2005-04-07 2012-02-29 Nokia Technologies Oy Terminal posiadający zmienną dupleksową zdolność
AU2006332488A1 (en) * 2005-12-30 2007-07-1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JP5069546B2 (ja) * 2007-03-20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US8724649B2 (en) * 2008-12-01 2014-05-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stributed coexistence system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single chip radio or multi-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10217969A1 (en) 2010-03-05 2011-09-0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that utilize a single baseband-radio frequency resource chain
JP5931917B2 (ja) * 2011-01-06 2016-06-08 アルタイ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リミテッド Lte/wi−fi共存
US20120178402A1 (en) * 2011-01-10 2012-07-12 Sathish Krishnamoorthy Optimized Limited Service Acquisition in a Multiple Subscription Device
GB2489702A (en) * 2011-04-04 2012-10-10 Nec Corp Determining inter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radio technologi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094928B2 (en) 2011-04-06 2015-07-28 Apple Inc. Multiple network mobile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US8738021B2 (en) * 2011-06-20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tune away periods
US20130150111A1 (en) 2011-12-12 2013-06-13 Broadcom Corporation Concurrent use of single tx/rx synthesizer pair in multiple sim devices
US8548510B2 (en) * 2011-12-29 2013-10-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essages under first and second network coverage
KR101785618B1 (ko) * 2012-02-02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심 모바일 단말의 위치 파악 방법 및 장치
US20130210484A1 (en) * 2012-02-14 2013-08-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une-away in dual-sim dual-standby mobile devices
US9319952B2 (en) * 2012-03-30 2016-04-19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recovery in a hybrid network
US8761788B2 (en) * 2012-05-11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hroughput optimization in DSDS scenarios
US9277582B2 (en) * 2012-05-17 2016-03-01 Apple Inc. Fast communication recovery in dual network radio resource management
US20130337850A1 (en) * 2012-06-18 2013-12-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Power consumption in a cellular device with enhanced idle mode signal reduction using dual standby
US20140007019A1 (en) * 2012-06-29 2014-01-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ed user inputs
US9025576B2 (en) * 2012-11-01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mploying a tune-away operation to communicate simultaneously with a plurality of channels
US9072070B2 (en) * 2012-11-29 2015-06-3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obile wireless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9204353B2 (en) 2013-03-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only tune-aw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4300A1 (en) * 2005-02-03 2011-02-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Tune-Away Capability
US20120020310A1 (en) * 2010-01-18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ata loss during autonomous system information re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50985A1 (en) 2015-12-03
US9204353B2 (en) 2015-12-01
JP2016517676A (ja) 2016-06-16
EP2974516A1 (en) 2016-01-20
EP2974516B1 (en) 2017-10-18
US9549354B2 (en) 2017-01-17
JP5977471B2 (ja) 2016-08-24
KR101649090B1 (ko) 2016-08-17
CN105009681A (zh) 2015-10-28
US20140274051A1 (en) 2014-09-18
WO2014144192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090B1 (ko) 수신기-단독 튠-어웨이
US9503950B2 (en) Managing reselection in a multi-SIM device by blocking reselection to a frequency of a subscription that is prone to interference from transmissions of another subscription
US9167588B1 (en) Enhanced mobile standby performance during simultaneous dual-technology communication by avoiding interference scenarios
US9913316B2 (en)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CDRX) management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0736058B2 (en) Adjustment of timing advance values in mobile devices
US20190082446A1 (en) Uplink Transmission Handling in the Presence of Tune-Aways
US10098165B2 (en) Call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90124575A1 (en) Method to improve one subscription data throughput after turn way on dsds phone
US9913245B2 (e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ll setup
US93131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ighbor cell monitoring activity based on conditions of serving cell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317284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er only tune away in multi-sim devices
US10218402B2 (e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ll setup
WO2017136228A1 (en) Managing data reception following a tune-away
EP3449665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o bluetooth handover
US20170070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arrier Transmission After a Tune-Away
CN108370520B (zh) 为了避免新的混合自动重传请求(harq)的故意重传
US20170134551A1 (en) Retriev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Mobile Devices
US9859935B1 (en) HS-SCCH order recovery in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8000320A1 (en) Handling retransmission grant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