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808A -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808A
KR20150131808A KR1020140059087A KR20140059087A KR20150131808A KR 20150131808 A KR20150131808 A KR 20150131808A KR 1020140059087 A KR1020140059087 A KR 1020140059087A KR 20140059087 A KR20140059087 A KR 20140059087A KR 20150131808 A KR20150131808 A KR 2015013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erver
desk
unit
work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호준
장은상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Priority to KR102014005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808A/ko
Publication of KR2015013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은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는 유저 감지부 및 유저 감지부가 책상에의 근무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해 가상 서버로 책상 ID 및 근무자의 가상 서버 ID를 제공하고, 책상에서 근무자가 이탈하는 것에 대응하여 가상 서버로 책상 ID를 포함하는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저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근무자의 책상 진입여부에 따라 책상ID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 세션을 자동으로 연결 또는 종료시킴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A DESK FOR SMART OFF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의 발달로 스마트워크 및 스마트오피스 환경이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워크란 불필요한 낭비요인을 제거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창의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율 출근제도, 집중 근무제도, 결재 프로세스 단순화, 회의시간 단축 등 일반적인 경영 혁신 활동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오피스란 사무실에 출퇴근하지 않고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IT기반 사무실을 의미한다. 즉, 사무실에 출퇴근하지 않고 집에서 업무를 보는 재택근무와는 달리 스마트 오피스는 도심의 사무실이 아닌 자신의 근처에 마련된 IT기반 사무실에 출근하여 업무를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장소와 시간에 구애없이 일할 수 있는 오피스용 책상도 필요하다.
오피스용 책상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0450898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688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단순히 오피스 작업을 할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책상에 내장한 것에 불과하다.
한편, 스마트오피스 환경에서 컴퓨터가 내장된 책상은 누구나 접근 가능이 하여 PC에 대한 보안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보안기능을 향상시키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책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0450898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688호
본 발명은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 적합한 보안 기능이 향상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은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는 유저 감지부, 및 상기 유저 감지부가 책상에의 근무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해 가상 서버로 책상 ID 및 근무자의 가상 서버 ID를 제공하고, 책상에서 근무자가 이탈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서버로 책상 ID를 포함하는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저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입력받는 유저 정보인식부 및 상기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서버 ID를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로 제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 및 인증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제1전원단자에서 상기 보조 전원부와 병렬로 분기되는 전원선 상에 설치된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을 통해 전원의 공급이 단속되는 메인 전원부 및 KWM 및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전원부가 공급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응하는 가상서버 ID 및 책상 ID를 상기 가상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기기와 가상서버간의 세션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가상서버로 전송한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세션 종료시, 작업정보는 상기 가상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KVM(keyboard,video,mouse)은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망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망 선택신호 수신부, 상기 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전자기기를 외부망 또는 내부망 중 어느 한 망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망분리하는 망 선택부,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망 선택부가 선택한 망을 통해 전달하는 전달부-상기 제어 신호는 신호변환기를 통해, TCP/IP Signal에서 광신호로 변경됨-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망 또는 외부망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출력부-상기 제어 신호는 WDM에서 선택된 파장을 통해 전달됨-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입출력장치 또는 입출력장치 및 로컬단말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운용 방법은 보조 전원부의 전원이 입력되면,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진입 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서버ID를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ID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메인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상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에 로그인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응하는 가상서버 ID 및 책상 ID를 가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에 의해 세션이 생성되면, 근무자의 제어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책상으로부터 상기 근무자의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가상서버로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서버에서 상기 작업저장 후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근무자의 책상 진입여부에 따라 책상ID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 세션을 자동으로 생성 또는 종료시킴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서버 환경의 내부망 및 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한 KVM을 이용함으로써, 보안레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시, 작업환경이 자동 저장되어 작업을 보호할 수 있고, 메인전원부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KVM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망분리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스마트 오피스란 사무실에 출퇴근하지 않고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IT기반 사무실을 의미한다. 즉, 사무실에 출퇴근하지 않고 집에서 업무를 보는 재택근무와는 달리 스마트 오피스는 도심의 사무실이 아닌 자신의 근처에 마련된 IT기반 사무실에 출근하여 업무를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은 이러한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보안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스마트 오피스를 위한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물리적 근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100)은 제1전원단자(110), 보조전원부(120), 스위칭부(130), 메인전원부(140), 유저 감지부(150), 유저 모니터링부(160), 유저 정보인식부(170), 인증부(180), 제2전원단자(190) 및 KVM(keyboard,video,mouse: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KVM(200)은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100)의 외부기기로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전원단자(110)은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100)에 구비된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원부(120)는 제1전원단자(110)에 연결되어, 유저 모니터링부(160) 및 인증부(18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부(130)는 제1전원단자(110)에서 보조 전원부(120)와 병렬로 분기되는 전원선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전원부(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부(130)는 유저 감지부(150)의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감지여부에 따라 유저 모니터링부(160)의 제어하에 스위칭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130)는 근무자의 책상(100)에의 진입감지시 메인전원부(140)로 전원을 공급하고, 근무자의 이탈감지시 메인전원부(140)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유저 감지부(150)는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유저 감지부(150)는 적외선 감지센서 형태로 책상(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유저 감지부(150)는 근무자가 책상으로 진입시, 근무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분포에 따른 감지신호를 유저 모니터링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감지센서는 유저 감지부(150)의 일예로, 유저감지부(150)는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및 이탈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대체할 수 있다.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유저 감지부(15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및 이탈을 판단하고, 진입감지시 인증부(180)로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근무자의 이탈감지 시에 대한 동작은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인증부(180)는 책상(100)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근무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유저고유정보는 유저 정보 인식부(1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정보 인식부(170)는 NFC리더기, 지문 인식기 및 패스워드 입력기 등이 될 수 있다.
인증부(180)는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서버 ID를 인증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유저 모니터링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80)는 인증이 완료되면, 관리서버(40)로 가상서버ID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40)는 전송된 가상서버ID를 사용하여 근무자의 출퇴근 근무상황을 기록할 수 있다.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인증부(180)로부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메인전원부(140)로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메인전원부(1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제2전원단자(190)에 연결된 KVM(200) 및 외부 전자기기(300)에 공급될 수 있다.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가상서버로 가상서버ID 및 책상(100)에 부여된 책상ID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서버로부터 가상서버ID 및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 받을 수 있다. 이때, 가상서버ID 및 패스워드 입력에 대한 요청은 KVM(200)에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자기기(300)는 물리적으로 내부망 및 외부망을 분리하는 KVM(200)에 연결되어 가상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자기기(300)는 로컬단말 또는 근무자의 노트북 또는 키보드와 모니터 같은 입출력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KVM(200)에 키보드와 모니터만 연결되는 경우, 근무자는 가상서버(20)에 구축된 가상PC(미도시)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책상(100)을 이용하는 근무자가 외부 전자기기(300)를 통해 가상서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KVM(200)을 통해 가상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즉, 가상서버(10)는 가상서버ID, 책상ID에 매칭시켜 가상서버세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근무자는 생성된 가상서버세션을 통해 가상서버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KVM(200)은 물리적으로 가상서버(20)의 내부망 및 외부망을 분리시켜 외부 전자기기(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KVM(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KVM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KVM(200)은 수신부(210), 망 선택부(220), 전달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230)는 내부망 전달부(231) 및 외부망 전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기기(300)는 노트북인 경우를 예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노트북 이외에, 로컬단말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서버(20)에 입출력장치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서버(20)에 가상PC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신부(210)는 외부 전자기기(300)로부터 망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망 선택신호는 내부망 및 외부망 중 하나의 망과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입력신호가 될 수 있다. 망 선택신호는 외부 전자기기(3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망 선택부(220)는 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전자기기(300)를 내부망 또는 외부망 중 어느 한 망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망분리시킬 수 있다. 즉, 망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망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며, 선택되지 않은 망은 물리적으로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기기(300)의 입력장치(미도시)에 구비된 특정 단축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내부망 또는 외부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망 선택부(220)는 현재 연결된 망이 내부망인 경우, 단축키가 1번 입력되면 외부 전자기기(300)의 연결을 내부망에서 외부망으로 절체시킬 수 있다. 또한, 망 선택부(220)는 입력장치(미도시)로부터 단축키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외부 전자기기(300)의 연결을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 절체시킬 수 있다. 한편, 망 선택신호의 입력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신부(210)는 망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내부망 또는 외부망에 대한 제어신호를 외부 전자기기(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선택된 망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송신되는 신호로, 근무자가 작업 수행 시 송수신되는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
망 선택부(220)는 선택된 내부망 또는 외부망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달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달부(230)는 망 선택신호에 의해 내부망 및 외부망 중 어느 한 망이 선택되면, 외부 전자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선택된 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망 선택신호가 내부망이면 내부망 전달부(231)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망 선택신호가 외부망이면 외부망 전달부(232)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내부망 전달부(231) 및 외부망 전달부(232)는 UTP케이블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변환기(21,2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신호변환기(21,22)를 통해, TCP/IP Signal에서 광신호로 변경되어, 파장분할다중기(WDM:30)로 전송될 수 있다.
WDM(30)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다중분할된 파장 중 내부망 또는 외부망에 따라 선택된 파장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WDM(30)은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내부망 또는 외부망으로부터 수신하여 신호변환기(21,22)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WDM의 파장분할다중화 및 역다중화에 따른 광신호 송수신 기술은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출력부(240)는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망 또는 외부망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300)로 제공하여, 외부 전자기기(300)에 연결된 표시장치(미도시)를 통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및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각각의 전달부(231, 232)를 통해 송수신됨으로써 각 네트워크망의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 전자기기(300)에 연결된 입력장치(미도시)의 망 선택신호 입력에 따라 내부망 또는 외부망을 이용할 수 있어 1대의 로컬단말로 사용이 용이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내부망 및 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이용함으로써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유저 감지부(150)의 감지신호의 변화가 감지되면, 가상서버(20)를 이용하여 작업수행 중인 근무자가 책상(100)으로부터 이탈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근무자가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KVM(200)을 통해 가상서버(20)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는 근무자가 이탈한 책상ID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근무자가 책상(10)에서 이탈하기 전 수행되었던 작업정보는 가상서버(20)에 의해 책상ID와 매칭되어 가상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저 모니터링부(160)는 가상서버(20)에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상서버세션을 종료시키면, 스위칭(130)을 제어하여 메인전원부(1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근무자의 책상 진입여부에 따라 책상ID를 이용하여 가상 서버 세션을 자동으로 연결 또는 종료시킴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설명의 이해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100)의 운용방법에 따르면, 보조 전원부(130)의 전원이 입력되면(S310), 유저 감지부(150)에서, 근무자의 책상(100)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S315).
다음으로, 유저 모니터링부(160)에서, 근무자가 책상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유저 정보인식부(170)를 통해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입력받고(S320), 입력된 유저고유정보를 이용해 인증부(180)에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25). 여기서, 유저고유정보는 NFC태그, 지문 및 패스워드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부(180)에서,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서버ID를 인증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스위칭부(130)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100)의 메인 전원부(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상서버(2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KVM(200)을 통해 가상서버(20)와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300)를 통해 근무자로부터 가상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서버에 로그인되면, 유저 모니터링부(160)에서, 책상(100)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응하는 가상서버 ID 및 책상 ID를 가상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40).
다음으로, 전송된 가상서버ID 및 책상ID를 이용하여 가상서버에서, 가상서버세션이 생성되면(S345), 근무자의 제어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350).
이때 작업수행은 KVM(20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300)를 이용하여 가상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서버 환경의 내부망 및 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한 KVM을 이용함으로써, 보안레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유저 감지부(150)에서, 책상(100)으로부터 근무자의 이탈이 감지되면(S355), 유저 모니터링부(160)에서, 가상서버(20)로 책상ID를 포함하는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60).
다음으로, 가상서버에서 책상ID에 매칭시켜 작업정보가 저장된 후 세션이 종료되면, 메인 전원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S365). 이에 따라, 가상 서버 세션 종료시, 작업환경이 저장되어 작업을 보호할 수 있고, 메인전원부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110 : 제1전원단자
120 : 보조전원부 130 : 스위칭부
140 : 메인전원부 150 : 유저 감지부
160 : 유저 모니터링부 170 : 유저 정보 인식부
180 : 인증부 190 : 제2전원단자
200 : KVM 300 : 외부 전자기기
10 : 인증서버 20 : 가상서버
40 : 관리서버

Claims (8)

  1.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는 유저 감지부; 및
    상기 유저 감지부가 책상에의 근무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해 가상 서버로 책상 ID 및 근무자의 가상 서버 ID를 제공하고, 책상에서 근무자가 이탈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서버로 책상 ID를 포함하는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유저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입력받는 유저 정보인식부; 및
    상기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서버 ID를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로 제공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3. 제 2항에 있어서,
    제1전원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 및 인증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제1전원단자에서 상기 보조 전원부와 병렬로 분기되는 전원선 상에 설치된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을 통해 전원의 공급이 단속되는 메인 전원부; 및
    KVM(keyboard, video, mouse) 및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전원부가 공급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모니터링부는,
    상기 메인 전원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응하는 가상서버 ID 및 책상 ID를 상기 가상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기기와 가상서버간의 세션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가상서버로 전송한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세션 종료시, 작업정보는 상기 가상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KVM은,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망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망 선택신호 수신부;
    상기 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외부 전자기기를 외부망 또는 내부망 중 어느 한 망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망분리하는 망 선택부;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상기 망 선택부가 선택한 망을 통해 전달하는 전달부-상기 제어 신호는 신호변환기를 통해, TCP/IP Signal에서 광신호로 변경됨- ;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망 또는 외부망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출력부-상기 제어 신호는 WDM에서 선택된 파장을 통해 전달됨-;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입출력장치 또는 입출력장치 및 로컬단말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8.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보조 전원부의 전원이 입력되면, 근무자의 책상에의 진입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진입 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의 유저고유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유저고유정보와 매칭되는 가상서버ID를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ID가 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메인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가상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에 로그인되면, 상기 책상에 진입한 근무자에 대응하는 가상서버 ID 및 책상 ID를 가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상서버에 의해 세션이 생성되면, 근무자의 제어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책상으로부터 상기 근무자의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가상서버로 상기 근무자에 대한 가상 서버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서버에서 상기 작업저장 후 세션이 종료되면, 상기 메인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의 운용방법.
KR1020140059087A 2014-05-16 2014-05-16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31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87A KR20150131808A (ko) 2014-05-16 2014-05-16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87A KR20150131808A (ko) 2014-05-16 2014-05-16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08A true KR20150131808A (ko) 2015-11-25

Family

ID=5484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87A KR20150131808A (ko) 2014-05-16 2014-05-16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8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45B1 (ko) * 2023-02-24 2023-11-24 주식회사 하넬 스마트책상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45B1 (ko) * 2023-02-24 2023-11-24 주식회사 하넬 스마트책상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717B2 (en) Monitoring device for a computing device of a computer system, the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mputing device of the computer system
CN103106736B (zh) 一种身份认证方法、终端及服务器
US20100174926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90906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nging to which remote device a local device is in communication via a communication medium through use of interruption of the communication medium
CN101256440B (zh) 计算机、遥控系统、计算机控制方法以及遥控方法
CN109791528A (zh) 配置坞
JP4611147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US20110191616A1 (en) Usb power man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5516889A (zh) 一种蓝牙连接方法及终端
US20080266256A1 (en) Keyboard, mouse and video switch system
KR20150131808A (ko) 스마트 오피스 용 책상 및 그 운용방법
CN104009800A (zh) 光收发模块、光传输装置以及光传输方法
KR2022011422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오피스용 책상을 이용한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CN101540668B (zh) 一种数据处理设备
KR101697274B1 (ko) 하드웨어 보안 모듈, 하드웨어 보안 시스템, 및 하드웨어 보안 모듈의 동작 방법
KR20140002254A (ko) 피엘씨 통신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00115051A (ko) 망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유저시스템
KR101022514B1 (ko) 컴퓨터 원격 부팅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84116A1 (en) Computer lock system
CN101847133A (zh) 转接装置及多电脑切换器
JP2012032870A (ja) 係員操作制御装置、および、係員操作制御方法
KR102599960B1 (ko) 포트 전원 제어 기능을 구비한 usb 허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1295A (ko)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동기화 및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US7337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lectronic products
KR102207047B1 (ko) 복수의 운영체제를 이용한 망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