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777A - 전력량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량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777A
KR20150131777A KR1020140059010A KR20140059010A KR20150131777A KR 20150131777 A KR20150131777 A KR 20150131777A KR 1020140059010 A KR1020140059010 A KR 1020140059010A KR 20140059010 A KR20140059010 A KR 20140059010A KR 20150131777 A KR20150131777 A KR 2015013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meter
information
unit
rea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540B1 (ko
Inventor
윤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라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라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라시아
Priority to KR102014005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 검침기 및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을 포함하는 전력량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은 전력량을 검침하고,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량 검침기 및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을 포함하고, 전력량 검침기는 전력량을 검침하여 검침 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부 및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검침부가 생성한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저장한 검침 정보를 전송하는 보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량 검침 시스템{SYSTEM FOR READING ELECTRIC POWER AMOUNT}
본 발명은 전력량 검침기 및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을 포함하는 전력량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Electric Power)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계산한 값이며, 그 단위로는 전력의 단위인 와트(W) 또는 킬로와트(kW)에 사용한 시간(h)를 곱하여 와트시(Wh) 또는 킬로와트시(kWh)가 사용된다.
사용한 전력량은 책정된 전기요금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전기요금은 전력량을 기준으로 하되, 사용한 전력량이 많을수록 단위전력량 당 요금이 증가하는 체증요금제가 적용되므로, 전력량에 정비례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종래의 검침 시스템은 검침원이 직접 사용자를 방문하여, 기 설치된 검침기로부터 전력 사용량을 확인한 후, 직접 검침원의 PDA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검침 시스템은 검침원의 활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혹서기 또는 혹한기의 경우에는 매월 검침원의 방문이 어려우므로, 매월 정기적으로 검침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정 기간을 정해 평균적으로 전력량 사용 요금을 과금한 후, 추후 검침을 하여 정산을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검침의 효율성 및 검침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침 단말이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검침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검침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 검침기와 검침 단말 간에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송수신하되, 상호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검침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검침 정보 저장 및 통신에 있어서 편의성과 보안성을 함께 확보하는 전력량 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은 전력량을 검침하고,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량 검침기 및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는 전력량을 검침하여 검침 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부 및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검침부가 생성한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저장한 검침 정보를 전송하는 보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검침 단말은 전력량 검침기가 생성한 검침 정보를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전송 받고, 전송 받은 검침 정보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의 검침원 또는 전력을 사용한 사용자의 검침 단말은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식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검침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에 검침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검침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전력량 검침 정보의 생성 및 저장 단계에 있어서, 전력량 검침기 내의 검침부와 보안부 간의 인증 과정 수행 완료 후 검침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외부의 전력량 위변조로부터 안전하게 전력 사용량에 관한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인증이 완료된 검침 단말에 대하여만 검침 정보 조회를 허가하여 보안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전력량 검침 단말은 단말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인증된 단말 사용자만이 해당 검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침 정보 관리의 보안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검침원의 방문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전력 사용자는 사용자의 검침 단말(사용자 단말, 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수행)을 이용하여 전력량 검침을 실시한 후 검침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므로 검침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이러한 경우 중앙 관리 서버는 검침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침 정보를 검증하여 검침 정보 등록 이전에 검증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검침 정보 등록에 있어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전력량 검침기 내의 검침부와 보안부 간의 인증 과정 또는 전력량 검침기와 검침 단말 간의 인증 과정에서 정상적인 검침 정보 저장 매체(예: 마이크로SD, 스마트카드 등)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인가된 저장 매체를 통한 검침 정보 획득 시도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오류 보고 신호를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의 검침부와 보안부 간의 스마트카드 발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의 검침부와 보안부 간의 전력량 검침 정보 저장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의 보안부와 검침 단말 간의 인증, 전력량 검침 정보 요청 및 전달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력 사용량, 사용 시간 등을 검침하는 기기를 전력량 검침기(전력량 검침기의 검침부)로 정의하고,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검침 정보를 획득하는 기기를 검침 단말로 정의한다.
또한, 검침 단말로부터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관리자 사이트 및 관리자 사이트로부터 전달 받은 검침 정보를 검증 후 등록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은 전력량을 검침하는 전력량 검침기(100) 및 전력량 검침기(100)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200)을 포함한다.
전력량 검침기(100)는 사용된 전력 및 사용 시간을 검침하여, 전력량 검침 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부(110) 및 검침부(110)로부터 전송되는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보안부(120)는 전력량 검침기(100)에 장착된 마이크로 SD 또는 스마트카드에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안부(120)가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전력량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검침 정보를 검침원 단말(200)로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러한 보안부(120)의 구성이 스마트카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100)의 검침부(110)와 보안부(120) 간의 스마트카드 발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기(100)의 검침부(110)는 전력량 검침 정보를 전달하기 앞서, 보안부(120)로 전력량 검침용 스마트카드 발급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10). 보안부(120)는 검침부(110)의 스마트카드 발급 요청 신호를 전송 받아 스마트카드를 발급하고, 스마트 카드 발급 데이터를 확인(S120) 한 후, 검침부(110)로 스마트카드 등록 요청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S130), 전력 사용자에게 스마트 카드를 배포한다(S140).
이 때, 검침부(110)로 전송하는 스마트카드 등록 요청 명령 신호란, 검침부(110)로 하여금 중앙 관리 서버(300)에 보안부(120)가 발급한 스마트카드를 등록 요청하라는 명령 신호로서, 명령 신호를 전송 받은 검침부(110)는 발급된 스마트카드의 고유 번호 및 전력 사용자 정보(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식별이 가능한 정보임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를 중앙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S150).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 검침 시스템은 검침원이 일일이 PDA로 검침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편의성을 증대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적 과제로 하는 바, 비접촉 통신 방식(예: NFC, 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전력량 검침기(100)에 저장된 검침 정보를 검침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검침 정보 전송에 앞서, 실제로 전력량 검침기(110)에 저장된 검침 정보가 외부의 조작으로부터 위조 또는 변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검침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110)와 보안부(120)는 전력량 검침 정보의 저장 단계에서 기 발급된 스마트카드가 정상 카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 한 후, 검침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도 3은 이러한 전력량 검침기(100)의 검침부(110)와 보안부(120) 간의 전력량 검침 정보 저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부(110)는 공유 키(key)를 이용하여 보안부(120)로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Cryptogram)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디(ID)와 비밀번호 방식이 아닌 크립토그램을 이용하여 스마트카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가되지 않은 제3자, 즉 타인에 의한 ID와 비밀번호에 대한 해킹 위험을 예방한다.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 요청 신호를 전송 받은 보안부(120)는 검침부(110)로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을 전달하고(S220), 검침부(110)는 공유 키(key)를 이용하여 호스트 크립토그램(Host Cryptogram) 확인 요청 신호를 보안부(120)로 전송한다(S230). 보안부(120)는 호스트 크립토그램(Host Cryptogram)을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를 검침부(110)로 전달한다(S240). 검침부(110)는 크립토그램에 의하여 기 설정된 약속에 따라 보안부(120)와 상호 인증 절차가 완료된 경우, 스마트카드가 정상적인 카드인 것으로 인증하고(S250), 전력 사용량, 전력 사용 시간 등 생성한 검침 정보를 보안부(120)로 전송한다(S260).
검침부(110)와 보안부(120) 간의 크립토그램을 이용한 상호 인증 절차 중 스마트카드가 비정상 카드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검침부(110)는 오류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전력량 검침기(100)에 포함되는 경보부는 이러한 오류 경보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경보음 또는 알림 메시지 등의 수단으로 비정상적인 검침 정보 저장 요청이 시도된 것에 대한 경보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검침부(110)는 오류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검침 단말(200, 검침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고, 이러한 오류 경보 신호를 전송 받은 검침 단말(200)은 경보음을 생성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력량 검침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에 대하여 경보를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검침부(110)는 생성한 오류 경보 신호를 중앙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중앙 관리 서버(300)는 오류 경보 신호를 전송 받은 시간대에 획득된 검침 정보를 전력량 산정 과정에서 배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카드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검침부(110)는 생성한 검침 정보(사용한 전력, 사용한 시간 등)를 보안부(120)로 전송하고(S260), 보안부(120)는 전송 받은 검침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저장하고, 저장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저장 결과 데이터를 검침부(110)로 전송한다(S270).
이상과 같이, 전력량 검침기(100)의 검침부(110) 및 보안부(120) 간의 스마트카드 발급 과정 및 전력량 검침 정보 저장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발급 과정 및 전력량 검침 정보 저장 과정 수행에 따라, 전력량 검침기(100) 내의 검침부(110)와 보안부(120) 간의 인증 과정이 완료된 경우 검침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어, 인가되지 않은 저장 매체에 전력 검침기(100)가 검침한 전력량 검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시도 또는 외부의 해킹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력량 검침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 단말(200)과 전력량 검침기(100) 간에는, 전력량 검침기(100)가 저장하는 검침 정보의 송수신에 앞서, 상호 인증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량 검침기(100)가 저장하는 검침 정보는 비접촉 통신 방식(예: NFC)에 따라 검침 단말(200)로 전송되고, 검침 정보를 전송 받은 검침 단말(200)은 중앙 관리 서버(300)로 검침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검침원이 직접 PDA에 검침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볼 때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안과 관련한 추가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침 단말(200)은 단말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인증된 단말 사용자만이 해당 검침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량 검침기(100)와 검침 단말(200)은 상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만 검침 정보를 송수신하므로, 검침 정보 관리에 있어 보안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검침 단말(200)은 전문 검침원이 사용하는 검침원 단말(210) 또는 전력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20) 중 어느 하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원 단말(200)과 전력량 검침기(100) 간의 비접촉 통신에 따라 ‘검침원을 통한 정기 검침’ 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20)과 전력량 검침기(100) 간의 비접촉 통신에 따라 ‘검침원 검침 불가 시 사용자 검침’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20)을 이용한 검침의 경우, 사용자 단말(220, 예: 스마트 폰)에 기 설치된 “전력량 검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후술하는 검침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들 수 있다.
즉, 혹서기 또는 혹한기와 같이 검침원의 활동에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220)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력량을 검침하고 검침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검침은 사용자 단말(220)과 전력량 검침기(100), 사용자 단말(220)과 중앙 관리 서버(300) 간의 인증 또는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검침의 편의성과 함께 보안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검침 단말(200)은 전력량 검침기(100)와의 상호 인증 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어, 전력량 검침기(100)로부터 검침 정보 조회 허가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에만 전력량 검침기(100)에 저장된 검침 정보를 조회하고, 전력량 검침기(100)로부터 검침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을 통하여 ‘검침원 검침 불가 시 사용자 검침’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전에 중앙 관리 서버(300)에 등록되고, 추후 설명하는 중앙 관리 서버(300)는 기 등록한 사용자 단말(220)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검침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도 4는 전력량 검침기(100)의 보안부(120)와 검침 단말(200) 간의 인증, 전력량 검침 정보 요청 및 전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침 단말(200)은 검침원 또는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NFC Reader 모드로 전환되고, 공유 키(key)를 이용하여 전력량 검침기(100)의 보안부(120)로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Cryptogram)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10).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 요청 신호를 전송 받은 전력량 검침기(100)의 보안부(120)는 검침 단말(200)로 스마트카드 크립토그램을 전달하고(S320), 검침 단말(200)은 공유 키(key)를 이용하여 호스트 크립토그램(Host Cryptogram) 확인 요청 신호를 보안부(120)로 전송한다(S330).
보안부(120)는 호스트 크립토그램(Host Cryptogram)을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를 검침 단말(200)로 전달한다(S340).
검침 단말(200)은 크립토그램에 의하여 보안부(120)와 기 설정된 약속에 따라 상호 인증 절차가 완료된 경우, 스마트카드가 정상적인 카드인 것으로 인증하고(S350), 전력 사용량, 전력 사용 시간 등 검침 정보에 대한 전달 요청 신호를 보안부(120)로 전송한다(S360). 반면, 크립토그램을 이용한 상호 인증 절차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검침 단말(200)은 비정상 카드인 것으로 판단하여 오류 보고를 수행하며, 이러한 오류 보고는 검침 단말(200)의 경보부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경보음 생성 또는 경보 알림 메시지 표출을 그 수단으로 한다.
보안부(120)는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검침 정보를 검침 단말(200)로 전송하며(S370),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NFC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NFC 통신 방식으로 검침 정보를 전달 받은 검침 단말(200)은 이러한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S380), 저장한 검침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등록 요청을 한다.
중앙 관리 서버(300)는 검침 단말(200)이 전송하는 검침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하되, 이러한 검침 정보를 등록 하기에 앞서 검침 정보에 대한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중앙 관리 서버(300)는 검침 단말(200)로부터 단말 고유 정보(이 때, 단말 고유 정보는 전술한 검침원 단말 고유 정보, 사용자 단말 고유 정보, 검침원 고유 정보 및 사용자 고유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와 중앙 관리 서버(300)에 기 저장된 고유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검침 정보가 포함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침 정보가 신뢰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암호화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중앙 관리 서버(300)는 검침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검침 정보가 정상적인 검침 정보인 것으로 확인하고 검침 데이터 관리 서버(320)에 등록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력량 검침기 110: 검침부
120: 보안부 200: 검침 단말
210: 검침원 단말 220: 사용자 단말
300: 중앙 관리 서버 310: 관리자 사이트
320: 검침 데이터 관리 서버

Claims (12)

  1. 전력량을 검침하고,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전력량 검침기; 및
    상기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상기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검침 단말
    를 포함하는 전력량 검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검침기는
    상기 검침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침 단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검침 단말로 상기 저장한 검침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검침기는
    상기 전력량을 검침하여 검침 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부; 및
    상기 검침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부는 상기 검침부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부는
    상기 보안부로 크립토그램(Cryptogram)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안부로부터 크립토그램 확인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오류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단말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상기 전력량 검침기와 통신하여 상기 검침 정보를 전송 받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검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검침 단말이 전송하는 단말 고유 정보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기저장된 단말 고유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검침 정보가 포함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침 정보를 검증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7. 전력량을 검침하여 검침 정보를 생성하는 검침부; 및
    상기 검침부로부터 수신한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검침부가 생성한 검침 정보를 저장하고,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저장한 검침 정보를 전송하는 보안부
    를 포함하는 전력량 검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마이크로 SD 또는 스마트카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부는
    상기 보안부로 크립토그램(Cryptogram)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안부로부터 크립토그램 확인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보안부로 상기 검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크립토그램 확인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오류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검침 단말로 상기 저장한 검침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전력량 검침 시스템.
  11. 전력량 검침기가 생성한 검침 정보를 비접촉 통신 방식으로 전송 받고, 상기 전송 받은 검침 정보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인 검침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공유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량 검침기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력량 검침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력량 검침기로부터 인증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오류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인 검침 단말.
KR1020140059010A 2014-05-16 2014-05-16 전력량 검침 시스템 KR10169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10A KR101691540B1 (ko) 2014-05-16 2014-05-16 전력량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10A KR101691540B1 (ko) 2014-05-16 2014-05-16 전력량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777A true KR20150131777A (ko) 2015-11-25
KR101691540B1 KR101691540B1 (ko) 2016-12-30

Family

ID=5484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10A KR101691540B1 (ko) 2014-05-16 2014-05-16 전력량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794A (ko) * 2016-04-14 2017-10-2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2145A (ko) * 2018-06-29 2020-01-08 김도완 원격 검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008B1 (ko) * 2020-02-28 2021-03-04 에스지에이비엘씨 주식회사 데이터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접근제어 기술 기반 측정장비 원격 감시 시스템(t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382A (ko) * 2005-03-26 2006-09-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2854A (ko) * 2006-10-11 2008-04-16 이상화 Rfid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974470B1 (ko) * 2009-11-30 2010-08-10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아케이드게임 관리시스템 및 아케이드게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382A (ko) * 2005-03-26 2006-09-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32854A (ko) * 2006-10-11 2008-04-16 이상화 Rfid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974470B1 (ko) * 2009-11-30 2010-08-10 주식회사 솔라시아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아케이드게임 관리시스템 및 아케이드게임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794A (ko) * 2016-04-14 2017-10-24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2145A (ko) * 2018-06-29 2020-01-08 김도완 원격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540B1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1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ity focused authentication service
JP2020057397A (ja) マシンツーマシン装置のためのプロビジョニ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
JP6803935B2 (ja) 不正および改ざんに対するデバイスの論理的妥当性確認
CN105339963B (zh) 用来连接设备至用户账户的系统和方法
EP3466017B1 (en) Subtoke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US20110296169A1 (en) Facilitat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utility devices
TWI534731B (zh) 用於資產之安全元件交易及管理之裝置及方法
US886330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identity attribute validation in accordance with an attribute disclosure profile
CA2969153C (en) Securing contactless payment performed by a mobile device
EP2543974B1 (en) Metering system having improved security
CN110933125A (zh) 区块链实体、链下实体、认证设备及用于执行协作的方法
KR20160137948A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증
TW201248409A (en) Security architecture for using host memory in the design of a secure element
WO2012004597A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N105488367A (zh) 一种sam装置的保护方法、后台及系统
CN105900398A (zh) 用于燃料分配器安全的系统和方法
KR101691540B1 (ko) 전력량 검침 시스템
KR101326732B1 (ko) 첨단계량 인프라를 위한 암호화 키를 이용한 원격검침방법
JP533183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読取端末および処理端末
JP2015130549A (ja) 消費エネルギーを計測するメータと、消費エネルギー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と、を含むシステム。
JP6113168B2 (ja) エンティティと場所との関連性をデジタル的に証明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899621A (zh) 身份证信息获取方法、装置及系统
JP2012044430A (ja) 携帯型情報装置及び暗号化通信プログラム
JP4781135B2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JP2009295121A (ja) 決済システム、決済処理装置、正当性検証装置、正当性検証要求処理プログラム、正当性検証処理プログラム、及び正当性検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