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99A -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 Google Patents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1699A KR20150131699A KR1020140058781A KR20140058781A KR20150131699A KR 20150131699 A KR20150131699 A KR 20150131699A KR 1020140058781 A KR1020140058781 A KR 1020140058781A KR 20140058781 A KR20140058781 A KR 20140058781A KR 20150131699 A KR20150131699 A KR 201501316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rtex
- moving body
- generating unit
- flow path
- energ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체에 와류 발생부와 압전 외팔보를 배치하고, 와류 발생부에 형성되는 와류진동에 의해 압전 외팔보를 변위시켜, 전기에너지를 수확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for arranging a vortex generating part and a piezoelectric cantilever on a moving body and displacing a piezoelectric cantilever by a vortex vibration generated in a vortex generating part to harvest electrical energy .
전기에너지는 수력이나 화력, 원자력에 의해 얻어지고 있으며, 최근 청정하고 무한정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수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Electrical energy is being obtained by hydropower, thermal power, and nuclear power, and interest in energy harvesting, which can be used cleanly and indefinitely recently, is increasing.
기계적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환효율이 크고, 경량화가 가능한 압전(piezoelectric)효과를 이용한 에너지 변환 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In order to convert mechanical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n energy conversion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effect capable of a large conversion efficiency and light weight is widely used.
압전(piezoelectric)효과란 고체에 힘을 가하였을 때 결정 겉면에 전기적 분극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피에조 저항 효과 라고도 한다. 즉, 물질에 힘을 가하면 변형이 일어나고, 그 변형이 인가되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A piezoelectric effect is a phenomenon in which electric polariza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a crystal when a force is applied to a solid,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 piezoresistive effect. In other words, when a force is applied to a material, deformation occurs, and when the deformation is applied, an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일반적으로 최대변위는 진동원의 주파수와 부재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하는 공진주파수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길이 조절로서 공진주파수를 낮추기 쉬운 외팔보(cantilever beam)가 사용되어져 왔다. Generally, the maximum displacement occurs at a resonant frequency where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ng source coincides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memb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wer the resonance frequency. For this reason, a cantilever beam which is easy to lower the resonance frequency has been used as the length adjustment.
기존에는 외팔보를 진동하는 기구에 부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회전하는 타이어로부터 에너지를 만드는 나노발전기와 자가발전 압력/속도 센서로 응용하는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어 왔다. A number of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which a cantilever beam is attached to a vibrating mechanism to produce electricity, a nano generator to generate energy from a rotating tire, and a self-generating pressure / velocity sensor.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고유 주파수를 맞추기가 쉽지 않았고, 맞춘다고 해도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기구에 적용되어 전기의 생산량이 미소하였고,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However, these techniques were not easy to match the natural frequencies, and even if they were fitted, they were applied to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temporarily and the electricity production was small, and it was not easy to produce electricity on a relatively large area.
일본특허(일본특허등록 제3951438호)에서도, 바람에 의한 와류진동을 하는 진동판과 압전재료를 연결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은 바람에 의한 진동판의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데 특성이 있으나, 수시로 변하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 때문에 압전재료의 고유 주파수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고효율의 전기생산이 불가능하였다.In Japanese Patent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3951438), there was a technique of producing electricity by connecting a diaphragm for vortex vibration caused by wind with a piezoelectric material. However,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due to wind, but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produce high efficiency electricity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due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를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부착하여, 이동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와류 발생부를 통과할 때 상이하게 발생하는 주기적인 와류진동(Karman vortex street)의 주파수와 이격된 거리의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의 고유 주파수를 일치시켜 최대의 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is attached to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and a periodic vortex vibration (Karman vortex street), which occurs when passing through a vortex generating part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piezoelectric cantilevered generators at distant distances are matched to continuously produce the maximum po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체의 외부의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압전재료가 구비되는 외팔보형 에너지 생성부; 및 상기 에너지 생성부와 이격되는 상기 이동체 외부의 제2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 시 주기적인 와류진동을 생성하는 와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위치의 후방에 설정되고,상기 에너지 생성부는 상기 와류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와류진동을 전달받아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압전재료의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ntilever-type energy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antilevered energy generating unit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utside a moving body and having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a vortex generating unit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outside the moving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a periodical vortex vibration upon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energy generating unit receives the vortex vibration generated by the vortex generating unit to produce electric energy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at a resonance frequency.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이동체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가상의 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와류 발생부는 횡단면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The vortex generator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and the vortex generators may have a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or an equilateral triangle,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오목하거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vortex generator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concave or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convex.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가상의 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며, 상호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The vortex generators include first and second plates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and are hinged to each other,
상기 힌지는 상기 와류 발생부에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The hinge may be located at an edge of the vortex generating part where the fluid first contacts.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선회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The vortex gener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unit for turn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bout the hinge at the same angle,
상기 각도 조절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힌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Wherein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ncludes an actuator and a pusher connected to the actuator, wherein the pusher is moved in the hing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line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or by moving in the actuato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ivot about the hinge,
상기 각도 조절부는 회전캠과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The angle adjusting unit includes a rotation cam and a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cam can rotat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bout the hinge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on axis.
상기 와류 발생부는 하류로 갈수록 유로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하는 제1 유로형성부재 및 제2 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제1 면 사이, 상기 제2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제2 면 사이로 각각 유로가 나누어질 수 있다.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sec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becomes gradually narrow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and the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the first surface, The flow path may be divided between the 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surface.
상기 와류 발생부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유로가 끝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류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section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at form a flow path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each configured to generate a vortex vibr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flow path ends A guide member may be formed,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부재가 나머지 부재보다 앞서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embers may be arranged so that any one member is ahead of the remain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압전 외팔보 발전 장치는 상기 에너지 생성부 및 상기 와류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cantilever-type power gener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energy generation portion and the vortex generation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moving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와류 발생부와 상기 에너지 생성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에너지 생성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lot into which the energy generating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vortex generating portion and the energy gener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고정되어 있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와류 발생부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어 에너지 생성부에 주기적인 진동을 가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횡단면이 정삼각형 형상의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횡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와류 발생부의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와류 발생부의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바람의 속도에 따라 제1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도가 변하는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바람의 속도에 따라 제2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도가 변하는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9b는 풍속이 작을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유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와 에너지 생성부가 지지부에 의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와 에너지 생성부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거리조절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fixed to a moving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vortex generating unit to apply periodic vibration to the energy generating unit.
3 is a view showing a vortex generating part having an equilateral triangular cross sec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vortex generating portion having an isosceles triangular cross sec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both surfaces of a vortex generating portion are convex.
6 is a view showing a concave shape of both sides of the vortex generating part.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vortex generating unit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changed by the first angle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wi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vortex generating unit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changed by the second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wind spe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B are views showing vortex generators which can be applied in an open chan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nd speed is small.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vortex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vortex generating unit and the energy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by the support unit.
12 is a view showing that a distance adjust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vortex generating unit and the energy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atively m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s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가 이동체(10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moving
이동체(100)는 자동차, 오토바이, 선박, 비행기, 군용 이동체, 퀵보드, 인라인 스케이트 또는 자전거가 될 수 있다The moving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는 와류 발생부(200)와 외팔보형 에너지 생성부(300)를 포함한다.The piezoelectric cantilever generator includes a
와류 발생부(200)는 이동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유체흐름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한 와류 진동을 후방으로 전달시킨다.The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B)이 이동체의 방향(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와류 발생부(200)는 가상의 선(B)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는 제1면 및 제2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류 발생부(200)는 횡단면이 정삼각형, 이등변 삼각형, 제1면 및 제2면이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고, 횡단면은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면은 생략될 수 있다.An imaginary line B connecting the
와류 발생부(200)는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고, 개방형 유로의 끝단에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는 구성도 가능하다.The
에너지 생성부(300)는 직육면체의 캔틸레버형 형상으로 변형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압전재료가 구비되어 있고, 끝단질량과 기저재료로 구성되어 있다.The energy generating
기저재료는 외팔보형으로서 직육면체의 형상이 구비될 수 있고, 횡단면은 와류진동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와류진동의 진행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저재료는 직육면체의 횡단면에서 와류진동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횡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와류진동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The base material may have a cantilever shape and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ortex vib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sh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ortex vibration. In this case, the base material can be bent by vortex oscill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ortex vibration at the cross sec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압전재료는 고체에 힘을 가하였을 때 결정 겉면에 전기적 분극이 일어나는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변형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준다. 주기적인 와류진동에 의해 많은 전기를 얻기 위해서는 공진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최대변위가 발생하여 기저재료나 압전재료가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진동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전기를 얻기 위해 압전재료는 큰 변형에 강하고 전기-기계결합계수가 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Piezoelectric materials convert strai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iezoelectric effect that causes electrical polarization in the crystal surfac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olid. In order to obtain much electricity by periodic vortex vibration, it is necessary to induce resonance. In this case, the maximum displacement may occur, and the base material or the piezoelectric material may be destroyed.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obtain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in a given vibration, the piezoelectric material can be made of a material which is resistant to large deformation and has a high electro-mechanical coupling coefficient.
압전재료는 외팔보형 에너지 생성부(300)에서 가상선(B)과 평행한 양면에 코팅되거나 기저재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material may be coated on both sides parallel to the imaginary line B in the cantilevered
에너지 생성부(300)는 압전재료 외부의 기계적 에너지를 압전재료로 전달하여, 그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를 축전하거나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단계로 진행 가능하다. The energy generating
캔틸레버형 기저재료의 강성과 끝단질량의 강성의 조합과 기저재료의 질량과 끝단질량의 조합으로 고유 주파수가 형성되는데, 주로 끝단질량으로 에너지 생성부(300)의 고유 주파수를 조절한다. 또한, 공진 주파수를 용이하게 맞추거나 낮추기 위해 보(beam)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캔틸레버형의 에너지 생성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A natural frequency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rigidity of the cantilever base material and the rigidity of the end mass, and the combination of the mass and the end mass of the base material.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energy generating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가 최대의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와류 발생부(200)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주파수와 에너지 생성부(300)의 고유 주파수를 일치시켜서 공진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공진 주파수에서 부재의 최대의 변위가 일어나고 공진 주파수에서 벗어나면 변위가 줄어들어 전기에너지의 양이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공진 주파수의 범위내에 와류 발생부(200)의 위치와 형상 및 이동체(10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It is necessary to generate the resonance by matching the frequency of the vortex generated in the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생성부(300)의 고유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이동체(100)의 속도, 각도 조절부(280, 290)에 의한 와류 발생부(200)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도, 거리 조절부(500)에 의한 에너지 생성부(300)와 와류 발생부(200) 사이의 거리와 같은 변수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공진주파수의 대역폭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tch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한편, 실험에 의해, 좌우로 진동하는 와류진동의 진행방향의 중앙에 에너지 생성부(300)가 위치할 경우, 최고의 전력이 발생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B)이 이동체의 방향(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best power is generated when the
도 2는 와류파동의 형상과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vortex waves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전방에서 오는 유체가 와류 발생부(200)의 양 면(201, 203)을 통과할 때, 소용돌이 형태의 와류가 발생한다. 도 2와 같이 와류진동(Karmen vortex street)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와류는 상기 가상의 선(B)에 대하여 횡으로 좌우진동하면서 진행하게 된다. When the fluid coming from the front passes through both
비압축성, 비점성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이상적인 유동의 경우 와류 발생(200)부와 같은 실린더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유체는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동과 와류 발생부(200)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에너지가 상실되는데, 이로 인해 유체가 와류 발생부(200)를 지나갈 때 속도의 변화와 같은 급격한 유체흐름의 변동을 수반하고 이로 인해 와류가 발생한다.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에서 와류 발생부(200) 뒤에서 좌우로 주기적으로 진동하는 와류진동(karman vortex)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deal flow that exhibits such properties as incompressibility and non-viscosity, vortex is not generated by a cylinder such as a vortex generation (200) portion. However, since the fluid has viscosity, energy is lost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luid and the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횡단면이 정삼각형인 와류 발생부(20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체는 이동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체가 처음 접하는 와류 발생부(200)의 모서리에서 가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는 제1면(201)과 제2면(203)으로 나뉘어져 흐르다가 제1면(201)과 제2면(203)의 끝단을 지나면서 소용돌이 형태의 와류를 발생시킨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실험에 의하면, 측면에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는 삼각형 형상에서 와류가 가장 잘 형성되고 그 세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크다. Experiments show that the vortex is best formed and its strength is relatively great in triangular shapes with sharp edges on the sides.
도 4는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에서 제1면(211)과 제2면(213)사이의 각도가 60도가 아닌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인 와류 발생부(210)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내 주행이나 고속도로 주행과 같은 속도에 따른 주행 모드가 다를 때, 이동체의 속도에 맞는 와류 발생부(200)의 각도를 선택하여 미리 이동체에 장착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유체는 이동체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서리에서 가상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는 제1면(211)과 제2면(213)을 통과하다가 와류 발생부(210)의 끝단을 지나면서 와류진동을 발생하게 된다.4 is a view showing a
도 5는 와류 발생부(220)의 제1면(221)과 제2면(223)이 가상선(B)을 중심으로 제1면(221)과 제2면(223)을 향하여 볼록한, 즉 각 면의 곡률중심은 각 면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형상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면은 생략될 수 있고, 제1면(221)과 제2면(223)의 곡률은 일정하거나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6은 와류 발생부(230)의 제1면(231)과 제2면(233)이 가상선(B)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며, 곡률 중심이 와류 발생부(230)의 제1면(231)과 제2면(233)의 바깥부분에 위치하여 그 형상이 오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에도 도 5와 마찬가지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와 대향하는 면은 생략될 수 있고, 제1면(231)과 제2면(233)의 곡률은 일정하거나 다양한 곡률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7a-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240)가 가상선(B)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며, 상호 힌지(245)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241)와 제2플레이트(243)를 포함하며, 힌지(245)는 와류 발생부(240)에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와류 발생부(240)는 제1플레이트(241)와 제2플레이트(243)가 힌지(245)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선회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절부(280)를 더 포함하고 있다.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각도 조절부(280)는 액츄에이터(281)와 액츄에이터(281)에 연결되어 푸셔(285)를 밀어 주거나 당겨주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부재(283)로 구성된다.The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동력이 액츄에이터(281)로 전달되어, 액츄에이터(281)가 푸셔(285)를 밀면 힌지(245)를 중심으로 제1플레이트(241)와 제2플레이트(243)의 사이가 벌어져서 가상선(B)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제1면(241)과 제2면(243) 사이의 각도가 커지고, 푸셔(285)를 당기면 제1플레이트(241)와 제2플레이트(243)가 힌지(24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상선(B)를 축으로 대향하는 제1 면(241)과 제2면(243)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When the
이 경우, 양 플레이트(241,243)는 힌지(245)에서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고, 토션스프링(미도시)은 제1플레이트(241) 및 제2플레이트(243)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푸셔(285)가 제1플레이트(241) 및 제2플레이트(243)를 밀면 각 플레이트(241,243)는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푸셔(285)가 액츄에이터(281)에 의해 당겨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245)를 중심으로 가상선(B)를 축으로 대향하는 제1면(241)과 제2면(243) 사이의 각도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 와류 발생부(240)의 제1플레이트(241) 및 제2플레이트(243) 위에서 와류 발생부(240)를 감싸는 상면은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고무재질의 형상일 수 있고,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case, both
도 7b의 상태는 가상선(B)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제1면(241)과 제2면(243) 사이의 각도가 커진 상태이고, 도7a는 반대로 가상선(B)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제1면(241)과 제2면(243)사이의 각도가 작아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7B is a state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도 8a-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250)가 가상선(B)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며, 상호 힌지(255)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251) 및 제2플레이트(253)를 포함하며, 힌지(255)는 와류 발생부(250)에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와류 발생부(250)는 각 플레이트(251,253)가 힌지(255)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선회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부(290)를 더 포함하고 있다.FIGS.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캠(291)이 회전축(29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 플레이트(251,253)의 각도를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8a는 캠(291)이 가상선(B)을 축으로 모서리에서 대향하는 제1면(251)과 제2면(253) 사이의 각도가 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캠(291)이 회전축(29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상선(B)을 축으로 모서리에서 대향하는 제1면(251)과 제2면(253) 사이의 각도가 큰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이 경우, 각 플레이트(251,253)는 힌지(255)에서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력적으로 연결되고, 토션스프링(미도시)은 제1플레이트(251) 및 제2플레이트(253)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캠(291)가 제1플레이트(251) 및 제2플레이트(253)를 밀면 각 플레이트(251,253)는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캠(291)이 회전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255)를 중심으로 가상선(B)를 축으로 대향하는 제1면(251)과 제2면(253) 사이의 각도가 점차 작아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와류 발생부(250)의 제1플레이트(251) 및 제2플레이트(253) 위에서 와류 발생부(250)를 감싸는 상면은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고무재질의 형상일 수 있고, 생략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9a-9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의 폭이 좁아지면 유체의 속도가 커지는 원리를 이용하는 와류 발생부(260)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체는 제1유로형성부재(261)의 제1유로면(265)과 제2유로형성부재(263)의 제2유로면(267) 사이의 유로(264)를 통과하면서 점점 속도가 빨라지며, 유로는 각 유로면(265,267)과 와류 발생부(200)의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각 유로(266,268)로 나뉘어져 형성되고, 유체는 각 유로(266,268)를 통과한 후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FIGS. 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교통이 혼잡한 시내주행에서 이동체(100)의 속도가 매우 작은 경우, 와류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충분한 유체의 속도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이동체의 속도가 작은 경우 유로형성부재(261,263)를 더 배치하여 유체의 속도를 확보함으로써 원하는 와류진동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speed of the moving
도 10a-10b는 제4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27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체는 제1부재(271)의 제3유로면(275)과 제2부재(273)의 제4유로면(277)사이의 유로(279)를 통과하면서 점점 속도가 빨라지며, 제1부재(271) 및 제2부재(273)는 각각 유로가 끝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류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76,278)가 더 형성되어 있다.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제1부재(271) 및 제2부재(273)는 이동체(100)의 이동방향(A)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부재가 나머지 부재보다 앞서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11은 제5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가 지지부(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지지부(400)가 있을 경우 하나 이상의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체(100)의 적용 가능한 면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자동차와 같이 전기가 많이 필요한 이동체(100)는 지지부(400)에 장착된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를 자동차의 상부나 옆면에 다량 설치함으로써 많은 전기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11 shows that the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가 지지부(400)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유체의 속도에 따라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거리조절부(500)가 더 포함된다.12 is a view showing that the
와류 발생부(200)의 경우, 각도 조절장치(280,290)가 내장될 수 있으므로, 원활한 동작을 위해 거리 조절부(500)는 에너지 생성부(3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거리조절부(500)를 작동하게 하는 구동수단은 레크(미도시)와 치합하는 피니언(미도시), 피니언을 구동하는 서보모터(미도시)와,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실험에 의하면, 유체의 속도가 크다고 해서 최대의 전력을 생산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에너지를 다량 생산하기 위해서, 와류 발생부(200)의 형상(각도, 높이)와 유체의 속도에 따른 와류진동의 주파수와, 와류 발생부(200)와 에너지 생성부(300) 사이의 이격거리 , 그리고 에너지 생성부(300)의 고유 주파수의 조합이 필요하다.Experiments show that a large fluid velocity does not produce the maximum power. The frequency of vortex oscillation depending on the shape (angle, height) of the
제어부(미도시)는 이러한 변수들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값에 따라 와류 발생부(200)의 형상과, 이격거리들을 제어하게 된다. 실험 데이터와 실제 전기에너지 사이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자동으로 최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각도와 이격거리들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not shown) stores experimental data on these variables and controls the shape and spacing of the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an illustrative manner.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Therefore,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reely carried ou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이동체
200: 와류 발생부
270: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와류 발생부
280: 제1 각도 조절부
290: 제2 각도 조절부
300: 에너지 생성부
400: 지지부
500: 거리 조절부100: moving body 200: vortex generating part
270: a
290: second angle regulating unit 300: energy generating unit
400: Support part 500: Distance adjustment part
Claims (14)
상기 에너지 생성부와 이격되는 상기 이동체 외부의 제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 시 주기적인 와류진동을 생성하는 와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위치의 후방에 설정되고,
상기 에너지 생성부는 상기 와류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와류진동을 전달받아 공진 주파수에서 상기 압전재료의 변형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A cantilever type energy generating unit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outside the moving body and having a piezoelectric material; And
And a vortex generator disposed at a second position outside the moving body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d generates periodical vortex vibration when the moving body moves,
The first position is set to the rear of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Where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receives the vortex vibration generated by the vortex generating unit to produce electric energy by de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at a resonance frequency.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이동체의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s parallel to a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가상의 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ortex generators are constituted by first and second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상기 와류 발생부는 횡단면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section has a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or an isosceles triangle in cross section.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오목하거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ortex generators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concave or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convex.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가상의 선에 대하여 서로 동일한 각도로 대향하며, 상호 힌지 연결되는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와류 발생부에서 유체가 처음 접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vortex generators include first and second plates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and are hinged to each other,
Wherein the hinge is located at an edge of the vortex generating section where the fluid initially contacts.
상기 와류 발생부는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선회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angle adjusting unit for turning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bout the hinge at the same angle with each other.
상기 각도 조절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힌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와류 발생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ncludes an actuator and a pusher connected to the actuator,
Wherein the pusher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or in the direction of the vortex generating unit so as to pivot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ound the hinge. Cantilever power generation equipment.
상기 각도 조절부는 회전캠과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캠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on cam and a rotation axis,
Wherein the rotation cam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bout the hinge.
상기 와류 발생부는 하류로 갈수록 유로가 점점 좁아지게 형성하는 제1유로형성부재 및 제2유로형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제1유로형성부재와 상기 제1 면 사이, 상기 제2유로형성부재와 상기 제2면 사이로 각각 유로가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a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becomes gradually narrow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Wherein the flow path is divid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the first surface, and between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surface.
상기 와류 발생부는 하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각각 상기 유로가 끝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와류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ortex generating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that form a flow path that becomes gradually narrower toward the downstream,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each formed with a guide member for generating vortex vibra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portion of the flow path.
상기 제1 및 제2부재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부재가 나머지 부재보다 앞서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arranged so that any one member is ahead of the remain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상기 에너지 생성부 및 상기 와류 발생부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energy generating portion and the vortex gener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moving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체의 속도에 따라 상기 와류 발생부와 상기 에너지 생성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에너지 생성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외팔보 발전장치.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slot into which the energy generating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vortex generating portion and the energy gener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moving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81A KR101638482B1 (en) | 2014-05-16 | 2014-05-16 |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81A KR101638482B1 (en) | 2014-05-16 | 2014-05-16 |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699A true KR20150131699A (en) | 2015-11-25 |
KR101638482B1 KR101638482B1 (en) | 2016-07-11 |
Family
ID=5484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781A KR101638482B1 (en) | 2014-05-16 | 2014-05-16 |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84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769A (en) | 2019-01-09 | 2020-07-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driving wind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KR102187575B1 (en) | 2019-01-09 | 2020-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driving wind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7278A (en) * | 2010-02-25 | 2011-08-3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 function sensor using piezoelectric material and monite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ame |
KR20120103845A (en) * | 2011-03-11 | 2012-09-20 | 이진용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8781A patent/KR1016384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7278A (en) * | 2010-02-25 | 2011-08-3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 function sensor using piezoelectric material and moniter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ame |
KR20120103845A (en) * | 2011-03-11 | 2012-09-20 | 이진용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piezoelectric elemen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철 외, "압전재료 전기에너지 회수 외팔보의 와류 유동 속 전기발생 해석 및 실험", 대한기계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92~193. (2013년5월)*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8482B1 (en) | 2016-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o et al. | An impact-based broadband aeroelastic energy harvester for concurrent wind and base vibration energy harvesting | |
US7224077B2 (en) | Bluff body energy converter | |
KR100908187B1 (en) | Micro rocking element | |
US9444372B2 (en) | Vortex resonance wind turbine | |
US9347332B2 (en) | Dynamo with columnar oscillator | |
US8426999B2 (en) | Energy generator with moving diaphragm placed inside duct | |
US20070176430A1 (en) | Fluid Powered Oscillator | |
KR101638482B1 (en) | Cantilever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using vortex shedding | |
KR101053257B1 (en) | Energy harvester | |
CN107005177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iezoelectric motor | |
JP2012058527A (en) | Light deflector, optical scanner,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projection device | |
CN106461934A (en) | Micro-optical 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
Dai et al. | Towards control of cross-flow-induced vibrations based on energy harvesting | |
Sandner et al. | Microscanner with vertical out of plane combdrive | |
KR20180019415A (en) | Acoustic energy harvester using meta-materials | |
US20110292480A1 (en) | Biaxial scanning mirror having resonant frequency adjustment | |
US11031885B1 (en) | Electric power generator for a projectile moving through the air | |
WO2018134192A1 (en) | Miniature kinetic energy harveste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mechanical vibrations | |
JP5413442B2 (en) | Micro oscillating device | |
WO2014123615A2 (en) | Piezoelectric driven oscillating surface | |
US20110031754A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from a fluid stream | |
CN101460392A (en) | Oscillating, deflectable micromechanical element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Chen et al. | Systematic study of dual resonant rectilinear-to-rotary motion converter for low frequency vibrational energy harvesting | |
KR101150023B1 (en) | Piezoelectric cantilever fluid energy harvester | |
RU2377622C1 (en) | Optical defl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