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26A -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626A
KR20150131626A KR1020140058559A KR20140058559A KR20150131626A KR 20150131626 A KR20150131626 A KR 20150131626A KR 1020140058559 A KR1020140058559 A KR 1020140058559A KR 20140058559 A KR20140058559 A KR 20140058559A KR 20150131626 A KR20150131626 A KR 2015013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l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215B1 (ko
Inventor
최주호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05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21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이 전원 OFF 상태이거나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와 같이 통신 불능 상태에서도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는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의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MME는 LTE 위치 측위 시스템(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Position measur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LT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LTE망에서 가입자 위치 측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LTE망을 이용하는 가입자의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가입자의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의 3G 서비스 사용자보다 속도가 향상된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 사용자가 급증하는 추세로, 무선 데이터 증폭 현상에 대응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위한 LTE 망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 LTE 망 구조에서 보다 안정적인 LTE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을 증설하는 것은 비용 및 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Cloud Computing 개념을 이용한 증설 및 운영에서 효율적인 LTE망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지국의 DU(Digital Unit)/RU(Radio Unit) 분리 및 DU 집중화를 하며, DU 시스템 자원의 동적 할당 및 무선 네트워크 확장의 유연성 확보를 위한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LTE 무선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통해 시스템의 물리적 집중화 및 논리적 유연성을 실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LTE 무선 네트워크 규격(3GPP)상으로는, 단말의 전원이 OFF되거나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위치(예, 음영지역)에 위치할 경우 LTE 망 사업자는 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3GPP 규격 내용을 참조하면,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에서 MME(Mobile Management Entity)로 위치 측위를 요청하면, MME는 단말 페이징(paging) 후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로 위치 측위를 요청하게 되는데, 단말상태가 전원 OFF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영역(예,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MME는 eSMLC로 위치 측위를 요청하지 않고 위치 측위 요청 실패(에러상태)에 대한 리포팅을 GMLC로 전송하게 된다.(3GPP TS 23.271)
따라서, 현재 3GPP 규격에 기초하여 LTE 망에서는 단말이 전원 OFF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영역(예,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범죄행위(예, 고의로 타인에 의하여 단말 전원이 OFF 되는 경우)나 가입자가 의식/무의식적으로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도 최종 위치가 등록되어 있는 단말의 위치 정보도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LTE 표준규격(3GPP) 내 명시되지 않은 단말의 전원 OFF 또는 음영지역 위치 등의 상태에서의 위치 측위 서비스 흐름을 변경하여 가입자 단말이 어떠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LTE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는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의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MME는 LTE 위치 측위 시스템(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LTE 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인지 또는 통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를 기 설정된 값으로 나타내는 위치 타입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타입 필드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정상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1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전원 OFF 상태이거나 또는 음영지역 내 위치하는 경우와 같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불능 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2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은,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기 구축한 지역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셀(cel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Radio Unit)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한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이 외부의 RU(Radio Unit)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실시간 연동하여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이 외부의 RU(Radio Unit)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결과에 따른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에서 상기 위치 측위 정보 및 E-CGI(Enhanced Cell Global Identity)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문 이동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LTE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의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 및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는, 상기 이동단말이 LTE 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인지 또는 통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은,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와 통신하기 위한 MME 정합 모듈;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 측위 모듈; 및 셀(cell)별 RU(Radio Unit) 정보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은, 외부의 RU정보 및 DU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실시간 연동하여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RU/DU 정합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측위 모듈은,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셀(cel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LTE 표준규격(3GPP) 내 명시되지 않은 단말의 전원 OFF 또는 음영지역 위치 등 가입자 단말이 어떠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에서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위치 측위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에서의 위치 측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LTE망을 이용하는 가입자의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현재 LTE 표준규격(3GPP) 내 명시되지 않은 상태라도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에서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에서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10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Locatin Services Client: LCS Client)(101), 3G/LTE 위치 측위를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인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102), LTE 가입자 종합 DB를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103),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104), LTE 위치 측위 시스템(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105), 가입자 단말(106) 및 가입자 단말이 이용하는 기지국(107)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106)은 LTE 단말이고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07)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지국(107)은 MME(104)와 연동한다. MME(104)는 GMLC(102)를 통해 가입자별 망 정책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HSS(103)와 연동한다.
개략적으로,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LCS Client(101)는 GMLC(102)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면, GMLC(102)는 HSS(103)로부터 가입자에 대응하는 MME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MME(104)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MME(104)는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측위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MME(104)는 현재 단말이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 단말 전원 OFF 상태 및 음영지역 내 위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단말 상태 정보를 eSMLC(105)로 전달할 수 있다.
현 3GPP 규격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MME(104)는 LTE 단말이 정상상태인 경우에만 eSMLC(105)로 단말 측위를 요청하고, 단말 전원 OFF 또는 음영지역 내 위치하는 것과 같이 측위가 어려운 경우에는 바로 GMLC(102)로 단말 위치 측위 실패 메시지(또는, 에러신호)를 전송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위치 측위 가 어려운 경우에도 eSMLC(105)에서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MME(104)와 eSMLC(105)간의 통신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eSMLC(105)은 MME(104)의 단말 측위 요청에 따라 단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단말 위치 측위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LTE 망 이용 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eSMLC(105)와 연동하는 RU/DU 정보 DB에 기초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 또는 최종 등록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eSMLC(105)이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또는 최종 등록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가입자 위치 정보를 MME(104)로 전송하면, MME(104)는 eSMLC(105)로부터 제공받은 가입자 위치 정보를 GMLC(102)로 전달하고, GMLC(102)는 이를 LCS Client(101)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위치 측위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위치 측위 시스템(eSMLC; 200)은 MME(210)와 통신하기 위한 MME 정합 모듈(201), 위치 측위 모듈(202), RU/DU 정합 모듈(203) 및 지역 데이터베이스(2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역 데이터베이스(204)는 다수의 RU 정보 및 DU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이다.
MME 정합 모듈(201)은 MME(210)를 통해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는 이동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예, 셀 정보), 단말 상태 정보 및 측위 방법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때, 단말 상태 정보로는 현재 단말이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 단말 전원 OFF 상태 및 음영지역 내 위치 상태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MME 정합 모듈(201)은 이후 위치 측위 모듈(202)에서 측위 수행 결과 도출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MME(210)로 전송한다.
위치 측위 모듈(202)은 현재 공개된 다양한 위치 측위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지역 데이터베이스(204)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이 위치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검색 및 도출하고, 도출한 RU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동단말이 위치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및 경도 정보로부터 등록한 이동단말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식도 현재 공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RU/DU 정합 모듈(203)은 LTE 위치 측위 시스템(eSMLC; 200)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지역 데이터베이스(204)와 외부의 RU/DU 관리 데이터베이스(220)를 연동하기 위한 것이다. RU/DU 정합 모듈(203)은 RU/DU 관리 데이터베이스(220)와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RU/DU 관리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정보와 지역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된 정보를 동기화한다. 이때, 통신하는 메시지 정보는 RU 및 DU의 상세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TE 망에서의 위치 측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MLC(310)는 가입자 위치 측정을 위해 HSS(320)로 가입자의 이동단말이 등록된 MME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S301), HSS(320)로부터 가입자의 이동단말이 등록한 MME 정보를 수신한다(S302).
GMLC(310)는 이동단말이 등록한 MME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MME(330)로 가입자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한다(S303).
MME(330)는 현재 이동단말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동단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구성하여 eSMLC(340)로 전송한다(S304, S305).
예컨대, MME(330)는 이동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시도하며 이동단말이 현재 정상상태, 전원 OFF 상태 또는 전원 ON상태이나 음영 지역 내 위치하는 경우와 같이 "page no response"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단말의 상태는 큰 범주로 분류하면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위치 측위가 가능한 정상상태와 소정의 이유로 무선 통신상태가 좋지 않아 위치 측위가 어려운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표 1은 MME에서 eSMLC로 전송하는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단말의 위치 타입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순서 Location-Type value comment
1 geographic location 이동단말이 정상상태에 위치했을 때의 위치 측위 요청
2 eSMLC-calculate-location 이동단말 상태가 전원 OFF이거나 또는 음영 지역 내 위치했을 때의 위치 측위 요청
상기 표 1에서, 순서 1은 이동단말이 정상적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상태에 위치한 경우 "geographic location" 을 나타내는 정상상태의 단말 위치 타입을 나타내고, 순서 2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 지역 내 위치하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영역 내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비정상상태의 단말 위치 타입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위치 타입 필드(Location-Type Value)내 기재되는 정보의 명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상태에 기초한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반드시 표 1이 기재된 메시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종래 3GPP 규격에서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 지역 내 위치하는 것과 같이 정상적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MME(330)에서 eSMLC(340)로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단계 없이 바로 GMLC(310)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던 것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정상상태에 위치한 이동단말에 대해서도 최종 위치 정보를 파악하도록 eSMLC(340)로 단말 상태 정보와 함께 셀(cell) 정보를 포함하여 위치 측위 요청을 수행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MME(330)는 eSMLC(340)로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단계(S305)에서 메시지 내 위치 타입(Location-Type) 필드에 이동단말의 위치 타입에 따라 "geographic location" 또는 "eSMLC-calculate- location "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eSMLC(340)는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eSMLC의 위치 측위 모듈(202)에서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셀 정보 및 이동단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의 위치를 측위한다(S306).
이때, 이동단말이 전원 OFF 또는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 측위 모듈(202)은 셀 정보를 토대로 지역 데이터베이스(203)에 기초하여 이동단말이 최종 등록한 지역의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한 RU 정보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의 가능한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동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한 eSMLC(340)는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위치 측위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MME(330)로 전송한다(S307).
MME(330)는 eSMLC(34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좌표정보와 E-CGI(Enhanced Cell Global Identity)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GMLC(310)로 전송한다(S308).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상태가 전원 OFF되거나 음영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단말이 최종 등록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LTE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는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의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의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MME는 LTE 위치 측위 시스템(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LTE 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인지 또는 통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를 기 설정된 값으로 나타내는 위치 타입 필드를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타입 필드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정상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1 값을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타입 필드는,
    상기 이동단말이 전원 OFF 상태이거나 또는 음영지역 내 위치하는 경우와 같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불능 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기 구축한 지역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셀(cel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Radio Unit)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한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이 외부의 RU(Radio Unit)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실시간 연동하여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위 단계는,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이 외부의 RU(Radio Unit)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결과에 따른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에서 상기 위치 측위 정보 및 E-CGI(Enhanced Cell Global Identity)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관문 이동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방법.
  10. LTE망을 통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문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의 가입자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동단말 관리 개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 및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는,
    상기 이동단말이 LTE 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정상상태인지 또는 통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를 기 설정된 값으로 나타내는 위치 타입 필드를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타입 필드는,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상태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정상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1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전원 OFF 상태이거나 또는 음영지역 내 위치하는 경우와 같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통신 불능 상태에서의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제2 값을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은,
    상기 이동단말 관리 개체와 통신하기 위한 MME 정합 모듈;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 측위 모듈; 및
    셀(cell)별 RU(Radio Unit) 정보 및 DU(Digital Unit) 정보를 저장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TE 위치 측위 시스템은,
    외부의 RU정보 및 DU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실시간 연동하여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RU/DU 정합 모듈을 더 포함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위 모듈은,
    상기 위치 측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셀(cel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이 등록한 하나 이상의 RU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하나 이상의 RU의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에 대한 위치 측위 시스템.
KR1020140058559A 2014-05-15 2014-05-15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784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59A KR101784215B1 (ko) 2014-05-15 2014-05-15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59A KR101784215B1 (ko) 2014-05-15 2014-05-15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26A true KR20150131626A (ko) 2015-11-25
KR101784215B1 KR101784215B1 (ko) 2017-10-12

Family

ID=5484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59A KR101784215B1 (ko) 2014-05-15 2014-05-15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019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전원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단말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17B1 (ko) * 2012-09-28 2013-01-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자를 이용한 적응적 위치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019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전원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단말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215B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972B2 (en) Selectively using beacon radio node location to determine user equipment location based on sensed movement of the beacon radio node
US993652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authenticate a request to modify or access information related to an asset in association with a transfer of management
US10045323B2 (en) Positioning method, network side device, positioning node, and positioning system
US20220053294A1 (en) Terminal device location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US9374799B2 (en) Mobile device locating using long term evolution signals
US20180246218A1 (en)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network,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US8774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US9730079B2 (en) Joint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AU2016345346A1 (en) Positioning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of mobile network
WO2020151757A1 (zh) 定位方法及系统
US20120088521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witching center, serv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US20210266735A1 (en) Method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tecting mac addresses
US20190335414A1 (en) User location monitoring in mobile edge environment
CN102065537A (zh) 一种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US20210329452A1 (en) Core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784215B1 (ko) Lte 망을 이용하는 이동단말이 전원 off이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055910B1 (ko) 실시간 그룹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020748A1 (zh) 信令跟踪任务的处理方法及装置
CN101730223B (zh) 一种辅助定位空闲状态下的终端的方法与装置
WO2012097710A1 (zh) 一种请求获取HeNB的定位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EP2999248B1 (e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device
US10051501B2 (en) User equipment, mobile hotspot equipment, backhaul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th loss model database
EP32206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wireless positioning, and device for calculating positioning location
CN109936590B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通信系统
KR20100113586A (ko) Phs 네트워크에서 로케이트 및 보조 로케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