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196A -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196A
KR20150130196A KR1020140057461A KR20140057461A KR20150130196A KR 20150130196 A KR20150130196 A KR 20150130196A KR 1020140057461 A KR1020140057461 A KR 1020140057461A KR 20140057461 A KR20140057461 A KR 20140057461A KR 20150130196 A KR20150130196 A KR 2015013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tti
snr
terminal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5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196A/ko
Publication of KR2015013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9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data ra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은 단말의 SNR을 추정하고, 추정된 SNR과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Transmit Time Interval)를 기본 TTI 크기보다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NG}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SNR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 추가적인 SNR 이득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위성통신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전력이 제한적이어서, 상향링크의 마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LTE 표준(180 kHz)과 같이 기존 위성통신(GMR-1 3G 31.25 kHz)대비 사용되는 최소 채널 크기가 큰 전송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전력이 충분하지 못해서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통신링크 연결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통신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성능 이득을 얻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통신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SNR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 추가적인 SINR 이득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의 SNR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추정된 SNR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가 SNR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Transmit Time Interval) 크기를 기본 TTI 크기보다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추가 SNR 이득을 만족하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의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로 나누어 상기 추가 SNR을 위해 요구되는 TTI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최대 TTI 크기의 비교를 통해서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최대 TTI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최소 단위의 주파수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SNR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최소 SNR보다 상기 추정된 SNR이 작은 경우에 상기 추가 SNR 이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TTI의 크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TTI의 크기를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와 전송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에 부호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부호화 여부에 따라서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SNR이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TTI 크기가 변경되며, 상기 변경된 TTI 크기는 기본 TTI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변경된 TTI 크기는 상기 기본 TTI 크기의 정수 배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TTI를 기준으로 할당된 기본 주파수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TTI 동안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였을 때 부호화된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SNR 추정부, TTI 크기 결정부, 그리고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SNR 추정부는 단말의 SNR을 추정한다. 상기 TTI 크기 결정부는 상기 단말의 추정된 SNR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변경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변경된 TTI 크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주파수블록 크기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블록 크기 결정부는 상기 추가 SNR을 만족하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결정하고,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TTI 크기 결정부는 상기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로 나누어 상기 추가 SNR을 위해 요구되는 TTI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와 상기 서비스에 설정된 최대 TTI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TTI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TTI 크기 결정부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최대 TTI 크기로 결정하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블록 크기 결정부는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최소 단위의 주파수블록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NR 추정부는 상기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SNR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통신이 어려운 환경에 있는 단말기에 추가적인 성능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TTI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부호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기지국에서 단말의 TTI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TTI 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추가적인 부호화를 이용한 송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기지국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위성 통신 시스템은 위성 기지국(100) 및 위성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기지국(100)은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210, 220)과의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단말(210, 220)에게 통신을 수행한다.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는 위성이 위성 기지국(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위성 기지국(100)이 위성과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단말(210, 220)은 위성 기지국(100)으로부터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고,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위성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도 1과 같이 위성 기지국(100)과 단말(210) 사이에 건물 등 장애물이 있는 경우, 위성 기지국(100)과 단말(21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는 매우 약하다. 반면 위성 기지국(100)과 단말(220)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위성 기지국(100)과 단말(22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양호하다.
위성 기지국(100)은 단말(210, 220)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단말(210, 220)은 최대 전송전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위성 기지국(100)과 단말(210, 220)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상향링크 연결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10, 220)를 이용하여 위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애물 등으로 인해 수신 신호의 강도가 저하되는 상황에서도 통신 링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SNR을 개선하기 위해 위성 기지국(100)은 전송 시간 간격(Transmit Time Interval, TTI)을 이용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이 이루어지는 최소단위를 TTI로 정의하고 있으며, TTI를 송수신에 필요한 동작을 처리하는 기본 단위 시간으로 활용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1ms의 서브프레임을 TTI로 규정하고 있다.
도 2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TTI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지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원은 시간과 주파수로 할당될 수 있다. 시간 자원 단위는 기본 TTI이다.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는 최소 주파수 자원 단위를 기본 주파수블록이라 한다.
단말(U1, U2, U3)은 기지국으로부터 기본 TTI 단위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주파수블록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할당 받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기본 TTI 단위로 도 2와 같이 각 단말(U1, U2, U3)에게 기본 주파수블록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U1, U2, U3)은 기본 TTI 단위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기본 주파수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기본 주파수블록은 LTE 시스템에서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에 해당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1ms의 TTI 단위로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변화시키면서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채널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서 오류정정부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무선통신시스템의 부호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들을 인코더(Encoder)를 통과시켜 부호화한 후 전송한다. 이러한 부호화 과정을 통하면 데이터 전송률은 감소하지만 채널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터보 코드의 경우에는 부호화를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LTE 시스템을 예로 들면, 한번에 전송하는 RB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성능이 개선된다.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0번 모드의 10-2 BLER(Block Error Rate)을 만족하는 SNR이 RB 1개일 때는 약 -1.8 dB이고, RB 5개일 때는 약 -4.3 dB, RB 10개일 때는 약 -4.7 dB, RB 15개일 때는 약 -4.9 dB, RB 20개일 때는 약 -5.1 dB, RB 50개일 때는 약 -5.4 dB로 나타났다. 따라서 RB를 한번에 50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경우 1개만 선택하여 전송할 때보다 약 3.6dB의 성능 이득이 있다.
위성통신에서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성능 개선을 할 수 있으나, 단말(110, 120)의 전송전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넓은 대역폭을 통해서 전송이 이루어지면 기본 주파수블록당 전송전력의 크기가 대역폭에 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실제로 부호화에 따른 이득이 없거나, 성능이 더 나빠질 수 있다.
기본 주파수블록당 전송전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부호화 이득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기지국(100)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설정된 기본 TTI를 단말(210, 220)의 상황에 맞게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기지국에서 단말의 TTI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TTI 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위성 기지국(100)은 단말(예를 들면, 210)이 초기 임의접속(Random Access) 과정을 통해서 통신을 시도할 때 단말(210)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단말의 SNR을 추정한다(S402).
위성 기지국(100)은 추정한 SNR을 토대로 단말(210)이 요청한 서비스에 대하여 추가 SNR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404). 위성 기지국(100)은 단말(210)이 요청한 서비스의 최소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210)이 요청한 서비스의 최소 요구사항은 최소 SNR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기지국(100)은 추가 SNR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 SNR을 얻을 수 있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N)를 결정한다(S406).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N)는 LTE의 경우 한번에 전송하는 자원블록(RB)의 개수이다.
위성 기지국(100)은 기본 TTI 동안 단말(210)에게 할당할 수 있는 최소 주파수블록 단위에 해당하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를 결정한다(S408). 위성 기지국(100)은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를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최소 단위의 주파수블록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의 경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는 1개의 RB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를 최소 단위의 주파수블록 크기로 설정하면, 단말(210)의 전송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SNR을 개선할 수 있다.
위성 기지국(100)은 전송 주파수블록의 크기(N)를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로 나누어 추가 SNR을 위해 필요한 요구 TTI 크기(=N/M)를 계산한다(S410).
위성 기지국(100)은 요구 TTI 크기(=N/M)를 단말(210)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AMT(Available Maximum TTI)와 비교한다(S412).
위성 기지국(100)은 요구 TTI 크기(=N/M)가 AMT 이하이면, 단말(210)과 통신 시 사용할 TTI 크기를 요구 TTI 크기(=N/M)로 결정하고(S414), 요구 TTI 크기(=N/M)가 AMT보다 크면 단말(210)과 통신 시 사용할 TTI 크기를 AMT 크기로 결정한다(S416). 이때 단말(210)과 통신 시 사용할 TTI 크기는 기본 TTI의 정수 배에 비례할 수 있다.
위성 기지국(100)은 결정된 단말(210)의 TTI 크기를 단말(210)로 전송한다(S418). 또한 위성 기지국(100)은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U1)이 통신링크 연결에 추가적인 SNR 이득이 필요한 경우, 위성 기지국(100)은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서 단말(U1)의 TTI 크기를 3개의 기본 TTI를 합친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본 주파수블록을 사용할 때와 같은 단위 대역폭당 전송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추가적인 부호화를 이용한 송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예를 들면, 210)은 위성 기지국(100)으로부터 TTI 크기를 수신한다(S602).
단말(210)은 위성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TTI 크기를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확인한다(S604).
단말(210)은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와 현재 전송해야 하는 전송 데이터 크기를 비교한다(S606).
단말(210)은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크면 부호화할 것인지 결정한다(S608). 단말(210_은 전송 데이터에 다양한 부호화 방법(예를 들면, 다양한 부호화율)을 적용하였을 때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넘지 않는지 판단함으로써, 부호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였을 때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넘지 않는다면,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210)은 부호화를 결정한 경우에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고(S610), 부호화 정보를 RLC 헤더에 기록한다(S612).
단말(210)은 설정된 TTI 동안에 전송데이터를 전송한다(S614). 단말(210)은 상기 기본 TTI를 기준으로 할당된 기본 주파수블록을 이용하여 설정된 TTI 동안 전송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단말(210)은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 경우 전송데이터를 부호화 없이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S614).
이와 같이 TTI 크기를 확장하는 방법은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저해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통신에 필요한 SNR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지연시간이 실시간 서비스에 비해 길기 때문에 TTI 크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VoIP와 같은 음성서비스의 경우에는 지연시간에 대한 엄격한 요구사항이 있으므로 지연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TTI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VoIP 서비스의 경우 음성 패킷을 20 ms 단위로 생성한다. 따라서 TTI 크기는 최대 20 ms까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20ms의 TTI로 전송하게 되면 회선 기반 형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SNR이 부족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0번 사용에도 마진이 부족하여 TTI 크기를 20ms로 설정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MCS 0번 모드를 사용하여 RB 20개를 한번에 전송하는 경우 536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데 헤더 압축 방법을 사용하는 VoIP 패킷의 경우 약 336 비트가 되므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에 200 비트의 여유가 생긴다. 이러한 200 비트의 여유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부호화를 수행하면 RB 개수에 따른 부호화 이득 외에 추가적인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런 추가적인 부호화는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크기가 다수의 RB를 사용하여 한번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고려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호화를 적용한 경우에는 RLC 헤더의 예비 (Reserved) 비트에 부호화 여부 및 어떤 부호화를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전달하여 수신기가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 기지국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장치(700)는 수신부(710), 송신부(720), SNR 추정부(730), 주파수블록 크기 계산부(740) 및 TTI 크기 결정부(750)를 포함한다.
수신부(710)는 단말의 임의접속(Random Access) 과정에서 단말로부터 임의접속을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710)는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720)는 TTI 크기 결정부(750)에 의해 결정된 TTI 크기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SNR 추정부(73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SNR을 추정한다.
주파수블록 크기 계산부(740)는 추정한 SNR을 토대로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대하여 추가적인 SNR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추가적인 SNR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적인 SNR을 얻을 수 있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N)를 결정한다. 주파수블록 크기 계산부(740)는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를 결정한다.
TTI 크기 결정부(750)는 전송 주파수블록의 크기(N)를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M)로 나누어 추가 SNR을 위해 요구되는 TTI 크기(=N/M)를 계산하고, 요구되는 TTI 크기(=N/M)와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AMT와 비교하여 단말의 TTI 크기를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장치(800)는 수신부(810), 송신부(820), 부호화 결정부(830) 및 부호화부(840)를 포함한다.
수신부(810)는 위성 기지국으로부터 TTI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
송신부(82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는 부호화 결정부(830)의 결정에 따라서 부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부호화 결정부(830)는 위성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TI 크기를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확인하고,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와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여 부호화 여부를 결정한다.
부호화부(840)는 부호화 결정부(830)에 의해 부호화가 결정되면,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송신부(820)를 통해 전송한다. 부호화부(840)는 부호화 결정부(830)에 의해 부호화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부호화 없이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를 송신부(820)를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이 부호화가 결정되면, 단말(210)은 부호화에 따른 추가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장치(700)의 SNR 추정부(730), 주파수블록 크기 계산부(740) 및 TTI 크기 결정부(750)의 기능을 수행하고, 송수신기(transceiver)가 수신부(710) 및 송신부(7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장치(800)의 부호화 결정부(830) 및 부호화부(8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송수신기(transceiver)가 수신부(810) 및 송신부(8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기지국이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의 SNR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추정된 SNR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추가 SNR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Transmit Time Interval) 크기를 기본 TTI 크기보다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추가 SNR 이득을 만족하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의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로 나누어 상기 추가 SNR을 위해 요구되는 TTI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와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최대 TTI 크기의 비교를 통해서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최대 TTI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최소 단위의 주파수 크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SNR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최소 SNR보다 상기 추정된 SNR이 작은 경우에 상기 추가 SNR 이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단말이 기지국과 무선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변경된 TTI의 크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TTI의 크기를 통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와 전송 데이터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가 전송 데이터 크기보다 큰 경우에 부호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부호화 여부에 따라서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단말의 SNR이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에 설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TTI 크기가 변경되며,
    상기 변경된 TTI 크기는 기본 TTI의 크기보다 큰 무선 통신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변경된 TTI 크기는 상기 기본 TTI 크기의 정수 배에 비례하는 큰 무선 통신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본 TTI를 기준으로 할당된 기본 주파수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TTI 동안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부호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였을 때 부호화된 데이터 크기가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부호화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큰 무선 통신 방법.
  14. 기지국의 무선 통신 장치로서,
    단말의 SNR을 추정하는 SNR 추정부,
    상기 단말의 추정된 SNR과 상기 단말이 요청한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토대로 추가 SNR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Transmit Time Interval) 크기를 변경하는 TTI 크기 결정부, 그리고
    변경된 TTI 크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추가 SNR을 만족하는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결정하고, 기본 TTI 동안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주파수블록 크기 결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TTI 크기 결정부는 상기 전송 주파수블록 크기를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로 나누어 상기 추가 SNR을 위해 요구되는 TTI 크기를 계산하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와 상기 서비스에 설정된 최대 TTI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TTI 크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TTI 크기 결정부는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최대 TTI 크기로 결정하고,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가 상기 최대 TTI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단말의 TTI 크기를 상기 요구되는 TTI 크기로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주파수블록 크기 결정부는 상기 기본 주파수블록의 크기를 최소 단위의 주파수블록 크기로 결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4항에서,
    상기 SNR 추정부는 상기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전력으로 가능한 SNR을 추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40057461A 2014-05-13 2014-05-13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30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61A KR20150130196A (ko) 2014-05-13 2014-05-13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61A KR20150130196A (ko) 2014-05-13 2014-05-13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96A true KR20150130196A (ko) 2015-11-23

Family

ID=5484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461A KR20150130196A (ko) 2014-05-13 2014-05-13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5222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2449707B1 (en) Enhanc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coverage
JP7457045B2 (ja) Ran支援レートの適応
US983273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27553B (zh) 功率控制消息接发方案
EP283034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20090305715A1 (e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4606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30042157A1 (en) Throughput improvement in wireless systems
WO2019047828A1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JP2009522957A (ja) 電力制御コマンドおよび消去指示を用いた電力制御およびハンドオフ
KR101635190B1 (ko) 레이트 스플리팅 기법을 사용하는 멀티셀 통신 시스템 및 상기 멀티셀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전송 프레임
US95721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daptive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US8942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20511032A (ja) コーデックレートアダプテーションのためのビットレート要求の無線状態トリガ
US20110274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ling scheduling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7613557B (zh) 一种发射功率确定方法、终端、网络设备和系统
KR20190027041A (ko) 피드백이 없는 harq 환경에서의 인덱스 코딩을 이용한 패킷 재전송 방법
US84377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power control after interruption
US10687344B2 (en)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of
US20100214935A1 (en) Performance measurement
JP4535847B2 (ja) 基地局装置及び上りパケットレート制御方法
KR20150130196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856233B2 (en) Coverage extension for wireless devices
JP201214728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