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083A - 요소수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요소수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083A
KR20150130083A KR1020140057197A KR20140057197A KR20150130083A KR 20150130083 A KR20150130083 A KR 20150130083A KR 1020140057197 A KR1020140057197 A KR 1020140057197A KR 20140057197 A KR20140057197 A KR 20140057197A KR 20150130083 A KR20150130083 A KR 20150130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air vent
injection
tank body
ven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빈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14005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083A/ko
Publication of KR2015013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36Arrangements for supply of additional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기재된 내용은 요소수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요소수가 저장되는 탱크본체와, 탱크본체의 상부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탱크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은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탱크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상단의 주입구에는 캡이 설치되는 주입관과, 탱크본체의 내외부 통기를 위해 탱크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은 주입구에 인접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에어벤트호스와,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을 개폐시켜주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주입구의 개방 및 폐쇄와 동기하여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이 폐쇄 및 개방되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기재된 내용은 탱크본체의 주입관을 통해 요소수 주입시 에어벤트호스의 홀을 폐쇄시킴에 따라 주입되는 요소수에 의해 주입관의 하단이 잠기게 되면 요소수 탱크 내부에 일정한 여유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주입관을 통해 요소수가 차오르게 되어 요소수의 주입이 중단할 수 있으므로 요소수의 과주입에 따른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소수 저장장치{Urea Storage Device}
기재된 내용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분해를 위해 사용되는 요소수의 과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요소수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 등에 사용되는 디젤엔진은 작동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며, 특히 디젤엔진이 불완전 연소될 때 일산화탄소나 탄화수소는 적게 방출되는 반면에 질소산화물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배출된다.
질소산화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LNT(Lean NOx Trap), LNC(Lean NOx catalyst) 등의 매연 저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매연 저감장치 중 SCR 및 SNCR은 요소수와 같은 반응제를 배기시스템에 분사시킴으로써 열분해 반응과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암모니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암모니아는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변화된다.
한편, 요소수 탱크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10-2012-0059000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요소수 탱크에는 적정량의 요소수가 저장되어야 하고,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보충하게 된다.
그러나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보충시 불투명한 요소수 탱크를 통해 요소수의 보충되는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며, 요소수가 과주입이 되는 경우 에어벤트호스를 통해 요소수가 역류하게 되면서 요소수 탱크 외부로 배출되어 요소수의 불필요한 낭비는 물론 요소수 탱크의 주변 부품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겨울철 외기온도가 영하 11도가 되면 요소수가 결빙되면서 그 부피가 대략 14% 팽창하게 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주입할 때 요소수 결빙에 따른 부피 변화를 감안하여 여유공간을 두고 주입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가 과주입이 되면 요소수의 결빙으로 인한 요소수의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요소수로 채워지게 됨에 따라 요소수의 결빙에 따른 요소수의 부피 팽창시 요소수 탱크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재된 내용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주입할 때 요소수 결빙에 따라 팽창된 부피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한 상태에서 요소수의 주입이 중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요소수의 과주입에 따른 폐단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요소수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기재된 내용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탱크본체에는 요소수가 주입되어 저장된다.
탱크본체의 상부에는 주입관이 관통되어 설치되며, 주입관의 하단은 탱크본체 내부에 위치하면서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형성되고, 주입관의 상단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그러한 주입구에는 캡이 설치된다.
에어벤트호스는 탱크본체의 내외부 통기를 위해 탱크본체 상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은 주입관의 주입구와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구성된다.
에어벤트호스의 상단 홀에는 홀의 개폐를 위한 플러그가 설치되면서 주입구의 개방시에는 에어벤트호스의 상단 홀이 플러그의 설치에 의해 폐쇄되고, 주입구의 폐쇄시에는 에어벤트호스의 상단 홀을 폐쇄하고 있던 플러그의 분리를 통해 에어벤트홀스의 상단 홀이 개방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주입관의 상부가 건설장비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브라켓에 의해 감싸져 설치되며, 에어벤트호스의 상단은 설치브라켓의 내부를 통해 주입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설치브라켓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끼움홈 내부로 에어벤트호스의 상단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면서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이 계폐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의 어느 한 부분이 에어벤트호스의 상단 홀 내부로 끼워지거나 분리되면서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에 분실방지용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설치브라켓 또는 건설장비의 어느 한 부위에 분실방지용 연결부재를 통해 플러그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주입관의 하단은 외기온도에 따라 탱크본체에 수용된 요소수 결빙시 부피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설정수위에 놓여지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기재된 내용에 따른 요소수 과주입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요소수 탱크에 설치된 에어벤트호스의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홀이 폐쇄된 상태에서 주입관의 하단이 주입된 요소수에 의해 잠기게 되면 요소수 탱크 내부에 일정한 여유 공간을 두고 요소수의 주입이 중단될 수 있어 요소수의 과주입에 따른 낭비와 주변 부품의 오염과 요소수 탱크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소수 저장장치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소수 저장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a, 3b, 3c, 3d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요소수의 과주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기재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소수 저장장치의 구성은 요소수가 저장되는 탱크본체와, 탱크본체에 요소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과, 탱크본체의 통기를 위한 에어벤트호스와, 에어벤트호스의 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 1 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탱크본체(100)는, 내부에 정해진 양의 요소수가 주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주입관(200)은, 탱크본체(100) 내부로 요소수를 주입하기 위해 탱크본체(100)의 상면 어느 한쪽에 구비되며, 주입관(200)의 상단은 탱크본체(100) 외부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주입관(200)의 하단은 탱크본체(100)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주입관(200) 하단의 위치를 정하는 이유는 탱크본체(100)에 주입되는 요소수가 과주입이 아닌 적정한 수위가 되었을 때 요소수의 주입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입관(200) 하단의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탱크본체(100)의 내부에 채워진 요소수가 외기온도에 의해 결빙되면서 팽창될 때 그 부피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설정수위와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요소수가 외기온도에 의해 결빙되면서 팽창될 때 그 부피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설정수위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요소수는 혼합되는 물의 비율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영하 11도 에서 결빙되며, 결빙시 요소수의 부피는 대략 14% 정도로 팽창되므로 전술한 설정수위는 결빙에 따른 14% 부피변화가 발생되더라도 탱크본체(100)가 변화된 요소수의 부피를 모두 수용하면서 탱크본체(100)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수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관(200) 하단의 위치는 여러가지 오차를 감안하여 요소수가 채워질 수 있는 최대 수위 중 85%~87% 해당하는 설정수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주입관(200) 하단의 위치는 탱크본체(100) 내에 요소수가 채워질 수 있는 최대 수위의 87.7%에 해당하는 설정수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주입관(200) 하단이 요소수에 의해 잠기는 경우 높아지는 압력에 의해 주입관(200)으로 주입되는 요소수가 탱크본체(100)의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주입관(200)을 타고 올라가면서 주입관(200)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주입관(200) 내부에 채워진 요소수는 높아진 압력의 해제에 따라 다시 탱크본체(100)로 유입되어 수위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전술한 최대 수위의 87.7%에 해당하는 설정수위는 이러한 요소수의 수위를 변화시키는 요인을 제외하고 설정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요소수의 수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요소수의 수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인 주입관(200) 내부에 채워지는 요소수의 부피를 계산한 후 그 부피를 전술한 최대 수위인 87.7%에 해당하는 부피에서 제외한 최종 부피를 계산하여 최대 수위를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주입관(200) 하단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 결정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에어벤트호스(300)의 홀(310)이 폐쇄되고, 주입되는 요소수에 의해 주입관(200) 하단이 잠기게 되면 주입관(20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주입관(200) 하단이 잠기게 되는 요소수 수위 위쪽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주입관(200)을 통해 주입되는 요소수는 탱크본체(100)로 이동되지 못하고 주입관(200)d을 타고 차오르게 되어 주입관(200)을 통한 요소수의 주입이 중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주입관(200)의 상단에는 주입구(210)가 형성되며, 이러한 주입구(210)에는 주입관(200)의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캡(211)이 설치되고, 캡(211)은 작업자에 의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건설기계와 같은 장비 내부에 위치되지 않고 장비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입관(200)은 장비 외부를 향하여 길게 연장되며, 연장된 주입관(200)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의 어느 한 부위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입구(210)를 포함하는 주입관(200) 상부 일부분을 감싸주면서 주입관(200)과 주입구(210)를 보호하고, 외관은 보기좋게 하면서 장비의 어느 한 부위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브라켓이 포함될 수 있다.
에어벤트호스(300)는, 탱크본체(100)의 상면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탱크본체(100) 내부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에어벤트호스(300)의 하단은 탱크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대향된 상단은 탱크본체(100)의 외부에 위치된다.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은 주입관(200)의 주입구(210)에 인접할 수 있도록 연장되며, 이는 작업자가 주입구(210)로부터 캡(211)을 개폐시킬 때 후술되는 플러그(400)가 함께 동기하여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을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주입관(200)의 상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500)에 의해 감싸지는 경우에는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은 설치브라켓(500) 내부를 통해 주입구(210)와 최대한 인접하는 위치에서 설치브라켓(500)의 외부로 인출시켜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이 설치브라켓(500)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입관(200)과 함께 에어벤트호스(300)를 보호하면서 미관상 보기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플러그(400)는, 전술한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플러그(400)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에 탈착되면서 홀(310)을 개폐시키며, 플러그(400)에 의한 홀(310)의 폐쇄시에는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플러그(400)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해질 필요는 없이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에 탈착되면서 홀(310)을 개폐해주는 마개의 형태나,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홀(310)을 개폐해주는 회전판의 형태나,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에 따른 전기적 작동 또는 수동에 의한 작동으로 홀(310)을 개폐해주는 밸브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플러그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플러그(400)는 어느 한쪽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끼움홈(410)이 형성된다.
플러그(400)의 끼움홈(410)에는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이 일정한 깊이로 끼워지게 되며, 끼움홈(410)의 형상은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형상과 상응하게 구성되어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이 플러그(400)의 끼움홈(410)에 끼워지게 되면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은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폐쇄된다.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과 플러그(400)의 기밀유지는 일 예로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이 플러그(400)의 끼움홈(410)에 끼워질 때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외측둘레가 플러그(400)의 끼움홈(410) 내면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과 플러그(400)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밀유지의 다른 예로는 플러그(400)의 끼움홈(410) 내경을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차 작아지게 구성하여 플러그(400)의 끼움홈(410)에 끼워지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이 작아진 내경에 억지끼움이 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과 플러그(400)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는 플러그(400)의 끼움홈(410) 내부에 연질의 기밀유지부재를 설치하여 플러그(400)의 끼움홈(410)에 끼워지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이 기밀유지부재와 접면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플러그(4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플러그(400)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 내부로 끼워지거나 분리되면서 홀(310)을 개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러그(400)는 홀(310)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면서 홀(310)에 억지끼움이 될 수 있는 일정한 길이의 원기둥 형태 또는 원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400)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에 탈착되는 과정에서 분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플러그(400)의 일단에 분실방지용 연결부재(600)의 일단을 연결하고, 분실방지용 연결부재(600)의 타단은 장비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분실방지용 연결부재(600)는 경질로 구성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지만 신축가능한 연질로 구성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400)는 주입관(200)으로부터 캡(211)이 분리되면서 주입관(2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에 결합되어 홀(310)을 폐쇄시켜야 하며, 주입관(200)에 캡(211)이 결합되어 주입관(20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홀(310)을 폐쇄하는 플러그(400)가 제거되어 홀(310)이 개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소수 저장장치에 의해 요소수의 과주입이 방지되는 과정을 예시된 도 3a, 3b, 3c, 3d 를 통해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탱크본체(100)에 요소수가 부족하게 되어 보충이 필요하게 되면 작업자는 주입관(200)을 통해 요소수를 보충하게 된다.
요소수의 보충을 위해서는 먼저 주입관(200)의 주입구(210)에 체결되어 있는 캡(211)을 주입구(210)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며, 이때 작업자는 플러그(400)를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에 끼워 홀(310)을 폐쇄함으로써, 탱크본체(100)의 통기는 주입관(200)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도 3a 와 같이 주입관(200)을 통해 요소수가 주입되면 탱크본체(100)의 내부에 채워지는 요소수의 수위는 점차 오르게 된다.
도 3b 에서와 같이 높아진 요소수의 수위에 의해 주입관(200)의 하단이 잠기게 되면 주입관(200)을 통한 공기의 출입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주입관(200)의 하단이 요소수에 잠기는 지점 위쪽의 여유 공간은 압력이 높아지면서 주입관(200)을 통해 주입되는 요소수는 탱크본체(100) 내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주입관(200)을 타고 차오르게 된다.
도 3c 와 같이 주입관(200)을 통해 주입구(210)까지 차오른 요소수를 확인한 작업자는 요소수의 주입을 중단할 수 있게 되며, 이때 탱크본체(100) 내부의 요소수 수위는 결빙시 팽창될 수 있는 부피 변화를 고려한 계산된 설정수위가 된다.
요소수의 주입이 중단된 후에는 개방되어 있는 주입구(210)에 캡(211)을 체결하여 주입구(210)를 폐쇄하고, 이와 함께 탱크본체(100)의 통기를 위하여 에어벤트호스(300)의 상단에 체결되어 있던 플러그(400)를 분리시킴으로서, 에어벤트호스(300)의 홀(310)은 개방될 수 있다.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이 개방되면 도 3d 에서와 같이 탱크본체(100) 내부의 높은 압력이 해제되면서 주입관(200)에 차올랐던 일부 요소수는 자연적으로 탱크본체(100) 내부에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탱크본체(100)에 요소수를 주입시 캡(211)에 의한 주입관(200)의 개폐와 연동하여 에어벤트호스(300) 상단의 홀(310)을 개폐함으로써, 탱크본체(100)에 요소수가 과주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탱크본체 200 : 주입관
210 : 주입구 211 : 캡
300 : 에어벤호스 310 : 홀
400 : 플러그 410 : 끼움홈
500 : 설치브라켓 600 : 분실방지용 연결부재

Claims (6)

  1. 요소수가 저장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탱크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은 하방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탱크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상단의 주입구에는 캡이 설치되는 주입관;
    상기 탱크본체의 내외부 통기를 위해 탱크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에어벤트호스; 및
    상기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을 개폐시켜주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구의 개방과 동기하여 상기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을 폐쇄하고, 상기 주입구의 폐쇄와 동기하여 상기 에어벤트호스 상단의 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상부는 설치브라켓에 감싸져 설치되며, 상기 에어벤트호스의 상단은 상기 설치브라켓의 내부를 통해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설치브라켓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어느 한쪽에 형성된 끼움홈 내부로 에어벤트호스의 상단이 끼워지거나 분리되면서 홀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어느 한 부분이 에어벤트호스의 상단 홀 내부로 끼워지거나 분리되면서 홀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는 분실방지용 연결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 하단은 외기온도에 따라 탱크본체에 수용된 요소수의 결빙시 부피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된 설정수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소수 저장장치.



KR1020140057197A 2014-05-13 2014-05-13 요소수 저장장치 KR20150130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97A KR20150130083A (ko) 2014-05-13 2014-05-13 요소수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97A KR20150130083A (ko) 2014-05-13 2014-05-13 요소수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083A true KR20150130083A (ko) 2015-11-23

Family

ID=5484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97A KR20150130083A (ko) 2014-05-13 2014-05-13 요소수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0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47B1 (ko) 2017-01-13 2018-07-20 (주)동희산업 차량용 탱크
KR20180083974A (ko) 2017-01-13 2018-07-2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탱크
KR20200006740A (ko) * 2018-07-11 2020-01-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요소수 저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147B1 (ko) 2017-01-13 2018-07-20 (주)동희산업 차량용 탱크
KR20180083974A (ko) 2017-01-13 2018-07-24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탱크
KR20200006740A (ko) * 2018-07-11 2020-01-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요소수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229B1 (ko) 요소수 오버플로우 방지타입 요소수 필러 넥 및 요소수 탱크, 실외형 필러넥을 갖춘 요소수 후처리 시스템
KR20150130083A (ko) 요소수 저장장치
US10190458B2 (en) Storage tank for aqueous urea solution in a motor vehicle
JP2007513289A (ja) 加熱装置
KR101752183B1 (ko) 이동식 연료주입용 탱크
KR20140080858A (ko) 건설기계용 요소수 탱크의 설치구조
US20180111820A1 (en) Valve apparatus of urea tank for vehicle
JP2011132889A (ja) 還元剤タンク大気開放構造
JP2010248944A (ja) 尿素タンク構造
KR101608589B1 (ko) 요소수 주입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
CA3010984A1 (en) Pouch assembly for holding an aqueous urea solution for use in an scr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and system for treat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ing the aqueous urea solution
KR20150130084A (ko) 요소수 저장장치
AU2006258729B8 (en) Liquid reducing agent injection hose
EP1985336A1 (en) Toy ball
KR20150087442A (ko) 건설기계용 환원제 탱크
US9770978B2 (en) Tank and filler tube device with protective arrangement
CN112983605B (zh) 用于内燃发动机的后处理系统的配给模块
KR101965853B1 (ko) 배기정화용 우레아 수용액 공급 장치
CN220338249U (zh) 自清洁供氨系统
WO2015174559A1 (ko) 요소수 저장장치
KR102488590B1 (ko) 요소수 저장장치
KR20150122990A (ko) 요소수 주입장치
RU2003107801A (ru) Топливный ба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16447B1 (ko) 요소수 공급 장치
DE502009000160D1 (de) Kraftfahrzeug-SCR-Feststoff-Speicheranordn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