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014A - 컴프레션 몰딩 장치 - Google Patents

컴프레션 몰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014A
KR20150130014A KR1020140057019A KR20140057019A KR20150130014A KR 20150130014 A KR20150130014 A KR 20150130014A KR 1020140057019 A KR1020140057019 A KR 1020140057019A KR 20140057019 A KR20140057019 A KR 20140057019A KR 20150130014 A KR20150130014 A KR 2015013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resin
lower die
die
sliding cor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엽
소철원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014A/ko
Publication of KR2015013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33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컴프레션 몰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컴프레션 몰딩 장치는 ⅰ)성형 제품의 하단면 형상을 지닌 복합수지 성형구간으로 복합수지가 충진되는 하형 다이와, ⅱ)성형 제품의 상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복합수지 성형구간을 지니며 하형 다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형 다이와, ⅲ)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그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코어와, ⅳ)슬라이딩 코어와 연결되게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을 지지하고,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분리 시 슬라이딩 코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프레션 몰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수지 성형품 {COMPRESSION MOLDING DEVICE AND SYNTHETIC RESIN ARTICLE BY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백빔과 같은 복합수지 성형 부품을 컴프레션 몰딩 방식으로 성형하기 위한 컴프레션 몰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배기가스 규제 및 연비 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경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강화되면서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자동차의 경량화 구현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의 환경규제에 따른 배출가스 감소 및 연비향상을 위한 차체의 경량화 요구에 따라 차체 부품의 소재분야에서 친환경성, 고기능성, 성형성 경량성 및 고감성 등을 고려한 복합수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차체의 주요 구성 부품을 복합수지로 성형하여 경량화를 이룸과 동시에 충돌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수지 성형 부품의 생산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복합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사출 성형 방식과 컴프레션 몰딩 방식 등이 있다. 대표적인 복합수지는 유리섬유매트 강화 플라스틱(GMT)과 열가소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WLFT, LFT) 등이 있으며, 상기한 성형방법을 통해서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출 성형 방식은 원하는 제품의 모양이나 형태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반해 강도나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부품으로서의 사용은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컴프레션 몰딩 방식의 경우는 강도 및 기계적 물성에서 사출 성형 보다 뛰어난 점을 보이는 바 차체의 구조적 부품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구성 부품 중 범퍼 어셈블리는 범퍼 스테이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범퍼 백빔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범퍼 백빔은 충돌 성능 및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 복합수지를 컴프레션 몰딩 방식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
한편, 컴프레션 몰딩 방식은 별도 가열된 복합수지를 금형 내에 충진한 후, 그 금형의 압력을 이용하여 복합수지를 플로우(flow)시키며 복합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컴프레션 몰딩 방식은 복합수지에 보강재가 포함될 경우, 금형 내의 동일한 위치에 복합수지를 투입하기가 어렵고, 보강재가 충진되지 않은 경우에는 성형 제품에 강성이나 충돌 성능이 취약한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컴프레션 몰딩 방식은 복합수지의 컴프레션 성형 시, 플로우에 의존한 금형 내의 복합수지 충진으로 인해 보강소재(예를 들면, fabric 또는 prepreg)의 파단 및 연신 등의 플로우에 의한 손상이 과다 발생하며, 이로 인한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컴프레션 몰딩 방식에 의해 성형된 범퍼 백빔 등의 복합수지 성형 부품은 서로 상이한 재질의 다른 부품(예를 들면, 금속 소재의 범퍼 스테이)과 결합하기 때문에, 충돌 시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으로 인해 그 결합 부위에서 크랙 등의 파손 전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 부위(예를 들면, 스테이 매칭부)의 충돌 성능이 취약해질 수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서는 복합수지 성형 부품의 컴프레션 몰딩 시 별도의 보강소재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샤링이나 드릴링 등을 이용한 외곽 형상의 보정 공정을 통해 복합수지 성형 부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을 보강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소재의 추가 투입 또는 외곽 형상의 보정 공정은 복합수지 성형 부품의 제조 공정 수를 증대시키고, 제조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합수지의 플로우 없이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를 충진할 수 있고,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으로 복합수지를 과 충진하며 복합수지 성형품을 컴프레션 몰딩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래 형상 보다 과 충진된 복합수지로서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의 강성과 충돌 성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복합수지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는, ⅰ)성형 제품의 하단면 형상을 지닌 복합수지 성형구간으로 복합수지가 충진되는 하형 다이와, ⅱ)상기 성형 제품의 상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복합수지 성형구간을 지니며 상기 하형 다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형 다이와, ⅲ)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그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코어와, ⅳ)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연결되게 상기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을 지지하고,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분리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는,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 사이의 영역에 상기 복합수지가 과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는,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매칭 성형구간 보다 복합수지가 과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 사이의 영역에 과 충진된 복합수지를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으로 인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면이 수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수직면의 반대쪽 면이 상하 측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 다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캠 경사면과 캠 접촉하는 캠 접촉면을 지니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암수 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코어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캠 접촉면의 하단이 상기 캠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캠 접촉하며 상기 코어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캠 경사면과 캠 접촉면이 캠 접촉하며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양 단부에는 그 슬라이딩 코어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양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형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하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엇니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 바아와, 상기 하형 다이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래크 바아에 다른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에는 상기 복합수지를 석션하는 석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은 석션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홀은 블로워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는,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수지의 성형 압력으로 인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유닛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 중 어느 하나의 성형면 외곽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 돌기와, 상기 록킹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 중 다른 하나의 성형면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돌기와 암수 식으로 결합되는 록킹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통해 복합수지를 컴프레션 몰딩 성형한 복합수지 성형품은, ⅰ)일정 길이를 지니며 수직 방향의 단면을 기준할 때 일측으로 개방단을 형성하고 있는 박스 형태의 본체부와, ⅱ)상기 본체부의 개방단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수지가 수평 방향으로 밀린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수지가 수직 방향으로 밀린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복합수지가 과 충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는 프리프레그 테이프 및 페브릭 구조의 직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는 열가소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WLFT, LFT) 혹은 유리섬유 매트 강화 플라스틱(GM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은, 자동차에 채용되는 충돌 성능용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성능용 부재는 자동차 범퍼 어셈블리의 범퍼 백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합수지의 플로우(flow) 없이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를 충진할 수 있으므로, 성형 제품의 전 구간에 보강재층을 균일하게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층의 미충진 또는 플로우 접촉부 등의 취약 부위를 제거할 수 있고, 성형 제품의 전 구간에 연속된 보강재층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대한 물성에 부합된 성형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합수지의 충진 편차를 고려하여 금형의 매칭 성형구간 보다 복합수지를 과 충진하고 그 복합수지를 성형 구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의 강성과 충돌 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성형 제품에 대한 국부적인 물성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으로 별도의 보강소재를 투입하거나 샤링이나 드릴링 등의 외곽 형상 보정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복합수지 성형품의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코어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적용되는 코어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적용되는 전면 충진수단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적용되는 전면 충진수단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의해 성형된 복합수지 성형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는 별도로 가열된 복합수지(1)를 금형 내에 충진하여 복합수지 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복합수지 성형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복합수지(1)는 프리프레그(Prepreg, pre-impregnated material) 형태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 섬유 소재에 수지가 함침된 상태로 냉각에 의하여 고화될 수 있다. 복합수지(1)는 섬유들의 특정 배열 방향에 대한 높은 기계적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복합수지(1)는 섬유를 강화재로 하는 고강도 및 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로 주목을 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로서,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복합수지(1)는 스틸 소재 대비 강도 및 탄성율이 우수하며, 반복 피로에 뛰어나고,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며, 전기 전도성, 내식성, 진동 감쇠성이 우수한 특성도 있다.
예를 들면, 복합수지(1)는 보강재층(3)이 포함된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프리프레그 테이프 및 페브릭 구조의 직조체를 단독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수지(1)는 열가소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WLFT, LFT) 혹은 유리섬유 매트 강화 플라스틱(GM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수지(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소재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복합소재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는 강도나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부품으로서, 자동차의 구조적 부품을 복합수지(1)로서 컴프레션 몰딩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복합수지 성형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범퍼 어셈블리의 범버 백빔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범퍼 백빔은 소정의 곡률로서 커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범퍼 스테이를 통해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자동차 외에 강도나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복합수지재 성형품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는 복합수지(1)의 플로우(flow) 없이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1)를 충진할 수 있고,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으로 복합수지(1)를 과 충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래 형상 보다 과 충진된 복합수지(1)로서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의 강성과 충돌 성능을 보강할 수 있는 복합수지 성형품을 컴프레션 몰딩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하형 다이(10), 상형 다이(20), 슬라이딩 코어(30), 코어 구동부(40) 그리고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을 포함하고 있다.
하형 다이(10)는 금형의 성형면(도면에서의 상면)에 복합수지(1)로서 성형될 제품의 하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당 업계에서는 "하금형 습합" 이라고도 한다)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은 당 업계에서 하형 스틸이라고도 하며, 하형 다이(10)의 성형면에 성형 제품의 설계 두께 및 면적에 상응하는 성형 돌기와 성형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형 다이(20)는 슬라이딩 구동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형 다이(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형 다이(20)는 금형의 성형면(도면에서의 하면)에 복합수지(1)로서 성형될 제품의 상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21)(당 업계에서는 "상금형 습합" 이라고도 한다)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21)은 당 업계에서 상형 스틸이라고도 하며, 상형 다이(20)의 성형면에 성형 제품의 설계 두께 및 면적에 상응하는 성형 돌기와 성형홈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에는 복합수지(1)를 기 설정된 형상으로 컴프레션 몰딩 성형하고, 이하에서 더욱 설명될 구성 요소들을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바아, 로드, 플레이트, 레일, 하우징, 격벽, 케이스, 블록,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속 요소들은 복합수지(1)를 기 설정된 형상으로 컴프레션 몰딩 성형하고, 본 실시예에 의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로 통칭한다.
여기서,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두께 및 크기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의 설치 구간 범위, 단면 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및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21)은 복합수지(1)의 안착 편차로 발생되는 소재 미충진 구간이나 제품의 성능편차 구간이 없는 복합수지(1)의 전면 충진이 가능한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코어(30)는 컴프레션 몰딩 성형될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을 보강하기 위해 복합수지(1)를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과 충진케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복합수지(1)를 연장하여 과 충진할 수 있게 그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외측에 복합수지(1)의 과 충진 영역(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과 충진된 복합수지(1)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며 그 복합수지(1)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에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외곽 전체 구간에 복수 개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일부 구간 즉, 컴프레션 몰딩 성형될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에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코어(30)는 한 쌍으로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양측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하형 다이(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복합수지(1)를 과 충진케 할 수 있는 과 충진 영역(31)을 그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와 슬라이딩 코어(30) 사이의 영역에 복합수지(1)가 과 충진될 수 있는 과 충진 영역(3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코어(30)를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양측 가장자리 외측에 과 충진 영역(31)을 형성함에 따라,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매칭 성형구간 보다 복합수지(1)의 과 충진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당 업계에서는 "폐형" 이라고도 한다) 시, 상기한 과 충진 영역(31)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부터 과 충진 영역(31)으로 과 충진된 복합수지(1)를 그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코어(30)는 일정 길이를 지닌 블록 형태로서 구비된다. 슬라이딩 코어(30)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을 기준할 때,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면이 수직면(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코어(30)는 그 수직면(33)의 반대쪽 면이 상하 측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코어(30)의 하부면은 상기 캠 경사면(35)에 의해 상부면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상형 다이(20)와의 캠 작동으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과 충진 영역(31)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형 다이(20)의 하부면에서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21) 외곽에는 슬라이딩 코어(30)에 대응하는 코어 결합홈(25)을 형성하고 있다.
코어 결합홈(25)은 슬라이딩 코어(30)의 폭 방향 단면에 상응하는 홈으로서 형성되며,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슬라이딩 코어(30)와 암수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코어 결합홈(25)은 슬라이딩 코어(30)의 캠 경사면(35)과 캠 접촉하는 캠 접촉면(27)을 형성하고 있다. 캠 접촉면(27)은 캠 경사면(35)과 같이 상하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코어 결합홈(25)의 캠 접촉면(27) 하단이 캠 경사면(35)의 상단으로부터 캠 접촉하며 코어 결합홈(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이의 캠 경사면(35)과 코어 결합홈(25)의 캠 접촉면(27)이 캠 접촉(캠 슬립)하며 과 충진 영역(31)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코어(30)는 도 2에서와 같이,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 외측에서 가이드 수단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 수단은 슬라이딩 코어(3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9a)와, 그 가이드 돌기(39a)에 대응하여 하형 다이(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9b)을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39a)는 가이드 레일(39b)에 슬라이딩 코어(30)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 컴프레션 성형 몰드의 경우 복합수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금형의 습합 구간을 15mm~25mm 수준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과 충진 영역(31)에 과 충진된 복합수지(1)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30)를 구비하므로, 상하 금형인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습합 구간을 최소로 설계하여 약 1mm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전면 충진된 복합수지(1)의 과 충진 부분을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키는 바, 이 때 복합수지(1)는 작업자 또는 자동 설비의 구성에 의하여 작게는 20~30mm, 크게는 50mm 이상의 금형 안착 구간별 위치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코어(30)는 복합수지(1)의 충진 작업 조건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거리가 결정되며, 그 이동거리를 반영하여 금형 전체의 크기도 조정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복합수지(1)의 예상되는 위치편차 보다 슬라이딩 코어(30)의 이동거리를 협소하게 제작할 경우에는, 성형 시 복합수지(1)가 슬라이딩 코어(30)의 윗 부분을 통해 외부로 유출 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코어(30)는 예상되는 복합수지(1)의 안착 위치 편차 대비 10mm~20mm 가량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30)는 복합수지(1)의 특성이나 금형 전체의 구조를 고려하여 그 크기 및 세부 유동 각도가 조정 될 수 있으나, 복합수지(1)의 성형 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30)와 하형 다이(10) 사이로 복합수지(1)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 해당 부위의 설계 공차는 0.1mm~0.3mm 수준으로 설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 구동부(40)는 슬라이딩 코어(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분리 시 그 슬라이딩 코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적용되는 코어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구동부(40)는 슬라이딩 코어(30)와 연결되게 하형 다이(10)에 설치되는 바, 피니언 기어(41), 래크 바아(43) 및 리턴 스프링(45)을 포함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41)는 슬라이딩 코어(30)의 양 단부에 대응하여 하형 다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41)는 슬라이딩 코어(30)의 하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엇니들(47)과 치합된다.
래크 바아(43)는 하형 다이(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코어(3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크 바아(43)는 피니언 기어(41)와 치합되며 슬라이딩 코어(30)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래크 바아(43)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슬라이딩 코어(30)가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하는 때 피니언 기어(41)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45)은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분리 시 그 슬라이딩 코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기 위한 것이다. 리턴 스프링(45)은 하형 다이(1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래크 바아(43)에 다른 일측 단부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리턴 스프링(45)은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슬라이딩 코어(30)가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하는 때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 바아(43)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리턴 스프링(45)은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분리 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래크 바아(43)를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피니언 기어(41)를 통해 슬라이딩 코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로는 코어 구동부(40)로서 피니언 기어(41), 래크 바아(43) 및 리턴 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으로서 금형의 이젝트 플레이트와 연계 구동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코어(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분리 시 그 슬라이딩 코어(30)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킬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복합수지(1)의 성형 압력으로 인해 슬라이딩 코어(30)가 원래의 위치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복합수지(1)의 성형 압력으로 인해 그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위치가 틀어짐으로 슬라이딩 코어(3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슬라이딩 코어(30)의 원래 위치에서 그 슬라이딩 코어(30)의 캠 경사면(35) 하단 측에 대응하는 하형 다이(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록킹 홈(71)과, 그 록킹 홈(71)에 대응하여 상형 다이(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 돌기(73)를 포함한다.
록킹 홈(71) 및 록킹 돌기(73)는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성형면 외곽에 각각 형성되는 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암수 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슬라이딩 코어(30)의 캠 경사면(35) 하단 측에 대응하는 록킹 홈(71) 및 록킹 돌기(73)와 함께 하형 다이(10)의 상면 및 상형 다이(20)의 하면 가장자리 측에 또 다른 록킹 홈(71)과 록킹 돌기(7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성형될 제품의 전체 곡률 및 커브 형상을 고려하여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전면에 설계하거나 슬라이딩 코어(30)의 일부 과도한 밀림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에 부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성형면 여유구간에 구성되므로, 반드시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전체 크기와 유관하여 설계해야 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은 돌기와 홈 구조로 구성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하형 다이(10) 및 상형 다이(20)의 성형면 전체를 상호 결합하는 키 형태 또는 블록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는 복합수지(1)의 플로우 없이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1)를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전면 충진하기 위한 전면 충진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전면 충진수단은 성형될 제품의 전 구간에 걸쳐 복합수지(1)의 보강재층(3)을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균일하게 충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충진수단은 도 4에서와 같이,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형성되며, 복합수지(1)를 석션하는 석션홀(81)을 포함한다. 석션홀(81)은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충진된 복합수지(1)를 석션하며 그 성형구간(11)에 완전 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석션홀(81)은 별도의 석션라인을 통해 석션부재(8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석션부재(83)는 석션홀(81)로 진공압을 제공하며 그 석션홀(81)에 진공 분위기를 조성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면 충진수단은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코어(30)에 형성되며,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홀(9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에어 분사홀(91)은 별도의 에어 공급라인을 통해 블로워(93)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블로워(93)를 통해 공급되는 소정 압력의 에어는 슬라이딩 코어(30)의 에어 분사홀(91)을 통해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측으로 분사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의 작동 및 복합수지의 컴프레션 몰딩 성형 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형 다이(20)를 하형 다이(10)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30)는 원래의 위치에서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그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과 충진 영역(31)을 형성하고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층(3)을 포함하며 별도 가열된 복합수지(1)를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충진하는데, 그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서 상기한 과 충진 영역(31)으로 복합수지(1)를 과 충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석션부재(83)를 통해 석션홀(81)에 진공 분위기를 조성하며 그 석션홀(81)을 통하여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충진된 복합수지(1)를 석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성형될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1)를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전면 충진할 수 있다. 즉, 성형될 제품의 전 구간에 걸쳐 복합수지(1)의 보강재층(3)을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균일하게 충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형 다이(20)를 하형 다이(10) 측으로 하강시킨다.
상기한 과정에, 슬라이딩 코어(30)는 코어 결합홈(25)의 캠 접촉면(27) 하단이 캠 경사면(35)의 상단으로부터 캠 접촉(캠 슬립)하며 코어 결합홈(2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코어(30)는 상기한 과 충진 영역(31)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코어(30)는 하형 다이(10)의 가이드 레일(39b)에 결합된 가이드 돌기(39a)를 통해 그 가이드 레일(39b)을 따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경우, 코어 구동부(40)의 래크 바아(43)는 슬라이딩 코어(30)의 기엇니(47)와 함께 치합된 피니언 기어(41)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리턴 스프링(45)을 압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슬라이딩 코어(30)가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부터 과 충진 영역(31)으로 과 충진된 복합수지(1)를 슬라이딩 코어(30)를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코어(30)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의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 석션홀(81)을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충진된 복합수지(1)를 석션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코어(30)의 에어 분사홀(91)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며 복합수지(1)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전면 충진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30)의 합형 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서 과 충진 영역(31)으로 과 충진된 복합수지(1)를 슬라이딩 코어(30)를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키며, 하형 다이(10)의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과 상형 다이(20)의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21)의 매칭 성형구간에서 복합수지(1)를 일정한 형상으로 컴프레션 몰딩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어 밀림 방지유닛(70)의 록킹 돌기(73)와 록킹 홈(71)를 암수 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복합수지(1)의 성형 압력으로 인해 슬라이딩 코어(30)가 원래의 위치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시, 복합수지(1)의 성형 압력으로 인해 그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 위치가 틀어짐으로 슬라이딩 코어(3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20)의 합형으로 복합수지(1)를 일정한 형상으로 컴프레션 몰딩 성형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형 다이(2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일정한 형상으로 컴프레션 몰딩 성형된 복합수지(1)를 이젝팅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부품으로서 범퍼 어셈블리의 범버 백빔과 같은 복합수지 성형품(200: 도 7a 및 도 7b 참조)을 컴프레션 몰딩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를 통해 컴프레션 몰딩 성형된 복합수지 성형품(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에 의해 성형된 복합수지 성형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 성형품(200)은 일정 길이를 지니며 소정의 곡률로서 커버 형상을 띠는 본체부(101)와, 그 본체부(10)의 양 사이드 측에 형성되는 에지부(103)를 포함한다.
본체부(101)는 수직 방향의 단면을 기준할 때 일측으로 개방단을 형성하고 있는 박스 형태, 예를 들면 도면을 기준으로 하단면이 개방된 "ㄷ"자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에지부(103)는 본체부(101)의 개방단 양측에서 수평 방향(도면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에지부(103)는 범퍼 백빔의 플랜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수지 성형품(200)은 보강재층(3)이 포함된 복합소재로서, 프리프레그 테이프 및 페브릭 구조의 직조체를 단독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WLFT, LFT) 혹은 유리섬유 매트 강화 플라스틱(GM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부(101) 및 에지부(103)는, 상술한 바 있듯이 석션홀(81)을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충진된 복합수지(1)를 석션하거나 슬라이딩 코어(30)의 에어 분사홀(91)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며 복합수지(1)를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 전면 충진하기 때문에, 전 구간에 걸쳐 복합수지(1)의 보강재층(3)이 균일하게 충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지부(103)는, 상술한 바 있듯이 하형 다이(10)와 상형 다이(30)의 합형 시,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에서 과 충진 영역(31)으로 과 충진된 복합수지(1)를 슬라이딩 코어(30)를 통해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11)으로 인입시키기 때문에, 본체부(101)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에지부(103)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복합수지(1)의 과 충전으로 인해 도 7a에서와 같이 복합수지(1)의 보강재층(3)이 수평 방향으로 밀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지부(103)는 복합수지(1)의 과 충전으로 인해 도 7b에서와 같이 복합수지(1)의 끝단에서 보강재층(3)이 수직 방향으로 밀려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복합수지 성형품(200)에 의하면, 복합수지(1)의 플로우(flow) 없이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전면 구간으로 복합수지(1)를 충진할 수 있으므로, 성형 제품의 전 구간에 보강재층(3)을 균일하게 충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층(3)의 미충진 또는 플로우 접촉부 등의 취약 부위를 제거할 수 있고, 성형 제품의 전 구간에 연속된 보강재층(3)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대한 물성에 부합된 성형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합수지(1)의 충진 편차를 고려하여 금형의 매칭 성형구간 보다 복합수지(1)를 과 충진하고 그 복합수지(1)를 성형 구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제품의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의 강성과 충돌 성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성형 제품에 대한 국부적인 물성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국부적인 물성 취약 구간으로 별도의 보강소재를 투입하거나 샤링이나 드릴링 등의 외곽 형상 보정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복합수지 성형품의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복합수지 3... 보강재층
10... 하형 다이 11... 하부 복합수지 성형구간
20... 상형 다이 21... 상부 복합수지 성형구간
25... 코어 결합홈 27... 캠 접촉면
30... 슬라이딩 코어 31... 과 충진 영역
33... 수직면 35... 캠 경사면
39a... 가이드 돌기 39b... 가이드 레일
40... 코어 구동부 41... 피니언 기어
43... 래크 바아 45... 리턴 스프링
47... 기엇니 70... 코어 밀림 방지유닛
71... 록킹 홈 73... 록킹 돌기
81... 석션홀 83... 석션부재
91... 에어 분사홀 93... 블로워
101... 본체부 103... 에지부
200... 복합수지 성형품

Claims (21)

  1. 성형 제품의 하단면 형상을 지닌 복합수지 성형구간으로 복합수지가 충진되는 하형 다이;
    상기 성형 제품의 상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복합수지 성형구간을 지니며 상기 하형 다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형 다이;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그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코어; 및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연결되게 상기 하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을 지지하고,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분리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코어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 사이의 영역에 상기 복합수지가 과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매칭 성형구간 보다 복합수지가 과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 사이의 영역에 과 충진된 복합수지를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으로 인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면이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수직면의 반대쪽 면이 상하 측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 다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캠 경사면과 캠 접촉하는 캠 접촉면을 지니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암수 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코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와 상형 다이의 합형 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캠 접촉면의 하단이 상기 캠 경사면의 상단으로부터 캠 접촉하며 상기 코어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캠 경사면과 캠 접촉면이 캠 접촉하며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가장자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양 단부에는 그 슬라이딩 코어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형 다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양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형 다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하부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엇니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 바아와,
    상기 하형 다이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래크 바아에 다른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리턴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에는 상기 복합수지를 석션하는 석션홀이 형성되며,
    상기 석션홀은 석션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에는 상기 하형 다이의 복합수지 성형구간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분사홀은 블로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에 설치되며, 상기 복합수지의 성형 압력으로 인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유닛은,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 중 어느 하나의 성형면 외곽에 돌출 형성되는 록킹 돌기와,
    상기 록킹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형 다이 및 상형 다이 중 다른 하나의 성형면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 돌기와 암수 식으로 결합되는 록킹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션 몰딩 장치.
  15. 청구항 1의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통해 복합수지를 컴프레션 몰딩 성형한 복합수지 성형품으로서,
    일정 길이를 지니며 수직 방향의 단면을 기준할 때 일측으로 개방단을 형성하고 있는 박스 형태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단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수지가 수평 방향으로 밀린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16. 청구항 1의 컴프레션 몰딩 장치를 통해 복합수지를 컴프레션 몰딩 성형한 복합수지 성형품으로서,
    일정 길이를 지니며 수직 방향의 단면을 기준할 때 일측으로 개방단을 형성하고 있는 박스 형태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방단 양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수지가 수직 방향으로 밀린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17.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복합수지가 과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18.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는 프리프레그 테이프 및 페브릭 구조의 직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19.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는 열가소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WLFT, LFT) 혹은 유리섬유 매트 강화 플라스틱(GM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20.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 성형품은 자동차에 채용되는 충돌 성능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성능용 부재는 자동차 범퍼 어셈블리의 범퍼 백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수지 성형품.
KR1020140057019A 2014-05-13 2014-05-13 컴프레션 몰딩 장치 KR2015013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019A KR20150130014A (ko) 2014-05-13 2014-05-13 컴프레션 몰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019A KR20150130014A (ko) 2014-05-13 2014-05-13 컴프레션 몰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014A true KR20150130014A (ko) 2015-11-23

Family

ID=5484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019A KR20150130014A (ko) 2014-05-13 2014-05-13 컴프레션 몰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022B2 (en) Injection moulding process for producing components
KR101315741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US990209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seat core member and vehicle seat core member
CN114945505A (zh) 用于机动车辆的由热塑性塑料材料制成的结构构件、具有结构构件的机动车辆以及用于制造结构构件的方法
KR101616634B1 (ko) 시트백 프레임,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시트백
EP2796325B1 (en) A bumper back beam being equipped with a fiber composite reinforming matarial with hollow section inside and a bumper having the same
CN103496400B (zh) 碳纤维复合材料汽车水箱上横梁总成及其制作方法
EP2272704A1 (en) Process for reinforcing a plastic fuel tank
CN103079863A (zh) 热塑性材料制成的燃料箱
JP2015067083A (ja) 車両用バンパー構造、及び、バンパーアブソーバー
CN105564280A (zh) 车门饰板扶手衬底结构
CN105584447A (zh) 用于车辆的护膝垫装置
CN107627988A (zh) 用于车辆的整体式垫式膝部防护装置
KR20150130014A (ko) 컴프레션 몰딩 장치
KR100977830B1 (ko) 차량용 외장 몰딩
KR102349669B1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성형방법
WO2016199949A1 (ko) 컴프레션 몰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수지 성형품
CN111376805A (zh) 用于电动车辆的塑料座椅框架
KR20110096859A (ko) 범퍼빔 제조용 금형, 범퍼빔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범퍼빔
KR102327379B1 (ko) Lwrt 소재 언더커버 성형장치
KR102361297B1 (ko) 복합소재 성형체 및 이의 성형방법
KR101981939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102291228B1 (ko) 경량화된 일체형 윈도채널조립체
JP2012096582A (ja) 車両用樹脂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0416B1 (ko) 하이브리드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