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791A -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 Google Patents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791A
KR20150129791A KR1020157027985A KR20157027985A KR20150129791A KR 20150129791 A KR20150129791 A KR 20150129791A KR 1020157027985 A KR1020157027985 A KR 1020157027985A KR 20157027985 A KR20157027985 A KR 20157027985A KR 20150129791 A KR20150129791 A KR 2015012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rocess according
polymerization
water
carrie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드 코리
질케 비다젝
토우파일리 파이살 알리 엘
아힘 슈타머
라인하르트 랑
디르크 멕켈른부르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5012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7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4Preparatory processes
    • C08G69/06Solid state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수분해 중합 및 바로 연속되지 않는 2 이상의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des comprising hydrolysis polymerization and two or more extraction steps which are not directly contiguous.

Description

가수분해 중합 및 다중 추출에 의한 폴리아미드의 제조{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sis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0002]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0003]

본 발명은 가수분해 중합 및 바로 연속되지 않는 2 이상의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des comprising hydrolysis polymerization and two or more extraction steps which are not directly contiguous.

폴리아미드는 전세계적으로 대규모로 제조되는 중합체 중 하나이며, 섬유, 재료 및 필름에서의 주요 사용 분야 외에, 다수의 추가의 최종 용도로 사용된다. 폴리아미드 중에서, 약 58%의 비율을 차지하는 폴리아미드-6이 가장 보편적으로 제조되는 중합체이다. 종래의 폴리아미드-6(폴리카프로락탐)의 제조 방법은 여전히 공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ε-카프로락탐의 가수분해 중합이다. 종래의 가수분해 제조 공정은 예컨대 문헌(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Online Edition 03.15.2003, vol. 28, p. 552-553 및 Kunststoff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e: Polyamide [Plastics Handbook, 3/4 Industrial Thermoplastics: Polyamides],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 42-47 및 65-70)에 개시되어 있다.Polyamides are one of the polymers that are produced on a large scale worldwide and are used in a number of additional end uses besides their primary use in fibers, materials and films. Of the polyamides, polyamide-6, which accounts for about 58%, is the most commonly produced polymer. The conventional process for producing polyamide-6 (polycaprolactam) is still hydrolysis polymerization of ε-caprolactam which is industrially very important. Conventional hydrolysis production process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Online Edition 03.15.2003, vol. 28, pp. 552-553 and Kunststoff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e: Polyamide [Plastics Handbook, 3/4 Industrial Thermoplastics : Polyamides],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 42-47 and 65-70.

가수분해 중합의 제1 단계에서, 사용되는 락탐의 일부는 물의 작용으로 개환 반응하여 상응하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을 생성한다. 후자는 이어서 추가의 락탐과 중첨가 및 중축합 반응하여 상응하는 폴리아미드를 생성한다.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ε-카프로락탐은 물의 작용으로 개환 반응하여 아미노카프로산을 생성하고 이어서 추가로 폴리아미드-6을 생성한다. 가수분해 중합은 하나 이상의 단(stage)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축합 및 중첨가는 수직 관형 반응기(VK관)에서 실시된다. 이 독어 약자 "VK"는 "vereinfacht kontinuierlich"["simplified continuous"]를 의미한다. 임의로, 승온에서 예비중합 단계로 플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반응기의 사용은 ε-카프로락탐의 개환 반응에 필요한 체류 시간을 감소시킨다. 수직 관형 반응기(VK 관)의 단부에서, 화학 평형에 가깝고 폴리아미드, 락탐 단량체, 올리고머 및 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용융물이 얻어진다. 올리고머 및 단량체의 함량은 예컨대 8∼15 중량%일 수 있고 몰질량 및 가공 특성과 직접 관련이 있는 미정제 폴리아미드의 점도는 일반적으로 110∼160 ml/g이다.In the first step of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a part of the lactam used is subjected to ring-opening reaction by the action of water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Amino-carboxylic acid. The latter is then subjected to further addition and polycondensation with additional lactam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polyamides. In a preferred variant, epsilon -caprolactam undergoes a ring opening reaction under the action of water to produce aminocaproic acid and then additionally polyamide-6.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in one or more stages. Generally, polycondensation and heavy addition are carried out in a vertical tubular reactor (VK tube). The German abbreviation "VK" stands for "vereinfacht kontinuierlich" ["simplified continuous"]. Optionally, the plant can be used in the prepolymerization step at elevated temperatures. The use of this primary reactor reduces the residence time required for the ring opening reaction of epsilon -caprolactam. At the end of the vertical tubular reactor (VK tube), a polyamide melt having a composition close to chemical equilibrium and consisting of polyamide, lactam monomer, oligomer and water is obtained. The oligomer and monomer content can be, for example, 8-15 wt%, and the viscosity of the crude polyamide,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molar mass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is generally 110-160 ml / g.

예컨대 포장 재료용 필름의 제조를 위한 많은 최종 용도는 폴리아미드 중의 잔존 단량체 함량이 낮을 것을 요구하므로, 미정제 폴리아미드는 더 가공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단량체 및 올리고머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 처리를 거친다.For example, many of the end uses for the production of films for packaging materials require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in the polyamides, so that the crude polyamides typically undergo at least partial removal of the monomers and oligomers prior to further processing.

저분자량 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중합의 생성물로부터 미정제 폴리아미드 입자의 펠릿을 먼저 얻고 이어서 이것을 추출제로 추출하여 잔존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제거한다. 이것은 빈번히 예컨대 EP 0 117 495 A2호, DE 25 01 348 A호 및 DE 27 32 328 A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물로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추출하여 행해진다. 미정제 폴리아미드-6의 정제를 위해, 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물에 의한 추출(WO 99/26996 A2호) 또는 과열된 수증기 스트림 중에서의 처리(EP 0 284 986 A1호)도 공지되어 있다. 환경 보호 및 경제적 실현가능성의 이유에서, 추출된 성분, 더 구체적으로 폴리아미드-6의 경우 카프로락탐 및 환형 올리고머는 공정으로 재순환된다. 추출에는 일반적으로 추출된 폴리아미드의 건조가 후속된다.To reduce the content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generally pellets of crude polyamide particles are first obtained from the product of hydrolysis polymerization and then extracted with an extractant to remove residual monomers and oligomers. This is frequently done, for example, by continuous or batch extraction with hot water as disclosed in EP 0 117 495 A2, DE 25 01 348 A and DE 27 32 328 A, for example. For purification of crude polyamide-6, extraction with water containing caprolactam (WO 99/26996 A2) or treatment in a superheated steam stream (EP 0 284 986 A1) is also known. For reason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al feasibility, the extracted components, more specifically caprolactam and cyclic oligomers for polyamide-6, are recycled to the process. Extraction is generally followed by drying of the extracted polyamide.

많은 적용예가 가수분해 중합만으로는 달성되지 않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아미드를 필요로 한다. 폴리아미드의 분자량 또는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출 후 후축합이 실시되는데, 폴리아미드는 고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펠릿은 폴리아미드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될 수 있고, 그 동안 특히 중축합이 연속된다. 이것은 폴리아미드의 분자량을 증가시키므로 폴리아미드의 점도수를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추출 및 후중합 후 폴리아미드-6의 점도수는 180∼260 ml/g이다.Many applications require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polyamides that are not achieved with only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olecular weight or viscosity of the polyamide, post-condensation is carried out after extraction, and the polyamide is preferably in a solid phase. For this purpose, the pellets may be heat treat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amide, during which the polycondensation is in particular continued. This increase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mide and thus increases the viscosity of the polyamide. In general, the viscosity of polyamide-6 after extraction and post-polymerization is 180 to 260 ml / g.

후축합 및 건조는 빈번히 하나의 단계에서 실시된다(WO 2009/153340 A1호, DE 199 57 664 A1호). Post-condensation and drying are frequently carried out in one step (WO 2009/153340 Al, DE 199 57 664 A1).

DD 2090899호는 업스트림 폴리아미드 추출이 폴리아미드 용융물과 카프로락탐액의 접촉을 수반하는 진공 용융 탈단량체화(demonomerization) 공정을 개시한다.DD 2090899 discloses a vacuum melt demonomerization process in which upstream polyamide extraction involves contact of a polyamide melt with a caprolactam liquid.

DD 227140호는 중합도 DP가 200을 초과하는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 공정은 5개 이상의 연속적인 단을 특징으로 한다. 각 건조 단의 개시시에, 용융된 폴리아미드의 표면은 > 4 cm2/g의 폴리아미드로 조절되고 용융물 중의 물의 최대 확산 거리는 < 3 mm로 조절된다.DD 227140 discloses a process for preparing a polyamide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more than 200. This process is characterized by five or more consecutive stages. At the start of each drying stage, the surface of the molten polyamide is adjusted to a polyamide of > 4 cm 2 / g and the maximum diffusion distance of water in the melt is adjusted to <3 mm.

WO 03/040212호는 물의 작용하에 ε-카프로락탐의 가수분해 중합에 의하여 폴리아미드-6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용융물의 표면적의 증가에 의하여 탈수가 달성된다.WO 03/040212 discloses a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6 by hydrolysis polymerization of? -Caprolactam under the action of water. Dewatering is achieved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the melt.

WO 2009/153340 A1호는 고상 폴리아미드 펠릿의 다단계 건조 및 후축합을 위한 연속적인 공정을 개시하며, 여기서WO 2009/153340 A1 discloses a continuous process for the multistage drying and post condensation of solid phase polyamide pellets, wherein

1) 70∼200℃ 범위의 펠릿 온도를 이용하여 불활성 가스 또는 증기 또는 불활성 가스와 증기의 혼합물로 작동되는 연속 건조 장치에서 예비건조 공정이 행해지고,1) A preliminary drying process is carried out in a continuous drying apparatus operated with an inert gas or a vapor or a mixture of an inert gas and a vapor using a pellet temperature in the range of 70 to 200 ° C,

2) 후속되는 연속 후축합이 120∼210℃ 범위의 펠릿 온도에서 이동상에 의해 별도의 수직 도관에서 수행되며, 상기 도관은 불활성 가스 또는 증기 또는 불활성 가스와 증기의 혼합물로 작동되고, 불활성 가스는 도관을 따라 2 이상의 개소에서 도입된다.2) Subsequent post-condensation is carried out in a separate vertical conduit by means of a mobile phase at a pellet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20 to 210 DEG C, the conduit is operated with a mixture of inert gas or vapor or inert gas and vapor, 2 or more.

WO 2009/153340호의 교시에 따르면, 분자량 증가 및 (부분) 추출을 위한 공정 조작이 통합되고 특히 후축합에서 고체/기체 추출로서 실시된다. 제2 추출이 120℃ 초과의 온도에서 후축합과 동시에 실시되므로, 폴리아미드의 재분해(redissociation)의 결과로서 단량체의 개질(재단량체화)이 반드시 있을 것이다. 따라서, 증기 및/또는 불활성 가스로 동시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잔존 단량체 함량이 만족스럽게 감소될 수 없다. 잔존 단량체 함량의 최저값은 WO 2009/153340호의 실시예 2 및 3에 따라 달성되며 1200 ppm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다중 추출을 통해 훨씬 더 낮은 값을 달성할 수 있고, 이 값은 후속되는 건조의 경우에도 근소하게만 증가한다.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WO 2009/153340, process manipulations for molecular weight increase and (partial) extraction are integrated and are carried out as solid / gas extraction, especially in post-condensation. Since the second extraction is carried out concurrently with the post condensation at temperatures above 120 ° C, there is always a need to modify (re-monomerize) the monomers as a result of redisociation of the polyamides. Thus, despite simultaneous treatment with steam and / or an inert gas,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can not be satisfactorily reduced. The lowest value of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is achieved according to Examples 2 and 3 of WO 2009/153340 and is 1200 pp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ch lower value can be achieved through multiple extraction, and this value increases only slightly in the case of subsequent drying.

공업적 규모로는 별로 이용되지 않는, 폴리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다른 경로는 아미노 니트릴의 중축합, 예컨대 6-아미노카프로니트릴(ACN)로부터 폴리아미드-6의 제조이다. 통상적인 절차에 따르면, 이 공정은 니트릴 가수분해 및 일반적으로 TiO2와 같은 이종 촉매의 존재하에 별도의 반응 단계에서 수행되는 후속되는 아민 아미드화를 포함한다. 두 반응 단계는 함수량 및 반응 완료 면에서 요건이 상이하므로 다단계 운전 방식이 실용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 합성 경로의 경우에도, 많은 경우, 얻어진 중합체가 단량체/올리고머의 제거를 위한 정제를 거치는 것이 유리하다. Another route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s, which is not widely used on an industrial scale, is the preparation of polyamide-6 from polycondensation of aminonitriles, such as 6-aminocapronitrile (ACN). According to conventional procedures, the process comprises the subsequent amine amidation is carried out in a separate reaction step in the presence of a heterogeneous catalyst, such as a nitrile hydrolysis and generally TiO 2. Since the two reaction steps differed in terms of water content and reaction completion, a multi-stage operation method was found to be practical. Even in the case of this synthetic route, in many cases it is advantageous for the resulting polymer to undergo purification for the removal of monomers / oligomers.

WO 00/47651 A1호는 1 이상의 아미노카르보니트릴과 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연속 공정을 개시한다.WO 00/47651 A1 discloses a 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s by reacting at least one aminocarbonitrile with water.

공지된 가수분해 중합에 의한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은 여전히 개선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잔존 단량체 함량, 특히 ε-카프로락탐의 함량은 폴리아미드의 융점 미만에서 후중합이 개시될 때는 평형 값 미만이다. 따라서, 최종 중합 동안, 가역적 중부가(재단량체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 폴리아미드의 잔존 단량체 함량이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다시 증가한다.The process for preparing polyamides by known hydrolysis polymerization still requires improvement. For example,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particularly the content of? -Caprolactam, is less than the equilibrium value when post polymerization is initiated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amide. Thus, during the final polymerisation, a reversible central (re-monomerisation) reaction can take place and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of the polyamide increases again at the end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문제가 없는 폴리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가수분해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공정에 의하여 잔존 단량체 함량이 매우 낮은 생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hydrolysi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s withou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is process must be able to provide a product with a very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이제 놀랍게도 이 과제는, 가수분해 중합으로 얻어지고, 폴리아미드, 물, 미전환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펠릿화하고, 이어서, 펠릿을 제1 추출하여 미전환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이어서 제1 추출 후 수득된 폴리아미드를 고체상으로 후중합한 다음 후중합 생성물을 추가로 추출함으로써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후, 예컨대 건조 조작과 같은 추가의 워크업 단계가 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잔존 단량체 함량이 더 낮은 폴리아미드를 달성할 수 있다. 더 특별하게는, 동시에 단량체 락탐 및 환형 이량체의 잔존 함량도 낮은 폴리아미드를 제공할 수 있다.It has now surprisingly been found that this task is achieved by pelletizing a reaction mixture obtained by hydrolysis polymerization and comprising a polyamide, water, unconverted monomer and oligomer, and then first extracting the pellets to yield an unconverted monomer and an oligomer at least partially , Followed by post-polymerization in the solid phase of the polyamide obtained after the first extraction and then further extraction of the post-polymerization product. Thereafter, an additional work-up step may be followed, for example a drying operatio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achieve a polyamide with a lower residual monomer content than conventional processes.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amide having a low residual content of a monomer lactam and a cyclic dimer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Therefore,

a) 1 이상의 락탐 또는 1 이상의 아미노카르보니트릴 및/또는 이들 단량체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a) providing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lactam or at least one aminocarbonitrile and / or an oligomer of these monomers,

b) 단계 a)에서 제공된 단량체 조성물을 물의 존재하에 승온에서 가수분해 중합으로 전환시켜, 폴리아미드, 물, 미전환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얻는 단계,b) converting the monomer composition provided in step a) to a hydrolysis polymerization at elevated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water to obtain a reaction product comprising polyamide, water, unconverted monomer and oligomer,

c) 단계 b)에서 얻은 반응 생성물을 성형하여 폴리아미드 입자를 얻는 단계, c) molding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step b) to obtain polyamide particles,

d) 단계 c)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입자를 1 이상의 제1 추출제로 처리하는 단계,d) treating the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c) with at least one first extracting agent,

e) 단계 d)에서 얻은 추출된 폴리아미드 입자를 후중합을 위한 반응 구역으로 공급하는 단계,e) feeding the extracted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d) to a reaction zone for post polymerization,

f) 단계 e)에서 얻은 폴리아미드를 1 이상의 제2 추출제로 처리하는 단계f) treating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e) with at least one second extracting agent

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amide.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laden) 추출제를 추후 단계 d)에서의 추출에 사용한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loaded (laden)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is used for subsequent extraction in step d).

더 특별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f)에서 수득된 추출된 폴리아미드를 추가로 건조시킨다(단계 g)).More particularly, the extracted polyamide obtained in step f)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further dried (step g)).

본 발명은 또한 전술 및 후술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폴리아미드를 제공한다. 이들 폴리아미드는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는 달성할 수 없는 매우 낮은 잔존 단량체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polyamides obtainable by the methods described above and below. These polyamides are characterized by a very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which can not be achieved by methods known from the prior art.

본 발명은 또한, 특히 펠릿, 필름, 섬유 또는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전술 및 후술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폴리아미드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polyamides obtainable by the methods described below and below,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pellets, films, fibers or shaped art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를 위한 한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를 위한 다른 실시양태의 개략도로서, 여기서 추출(5)에서 유래하는 로딩된 추출제는 추출을 위해 (3)으로 공급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practic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nother embodi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rein the loaded extractant derived from extraction (5) is fed to (3) for extraction.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단량체"는 단일 반복 단위의 도입을 위해 가수분해 중합에 의한 폴리아미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은 사용되는 락탐 및 아미노카르보니트릴을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ω-아미노카르복실산, ω-아미노카르복사미드, ω-아미노카르복실산염, ω-아미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디아민 염, 디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폴리아미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공단량체를 포함한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omers" means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s used in the preparation of polyamides by hydrolysis polymeriz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single repeat units. These include the lactam and aminocarbonitrile used. These may also be used as ω-aminocarboxylic acid, ω-aminocarboxamide, ω-aminocarboxylic acid salt, ω-aminocarboxylic acid ester, diamine and dicarboxylic acid, dicarboxylic acid / &Lt; / RTI &gt;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맥락에서, 올리고머는 개개의 반복 단위를 형성하는 2 이상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폴리아미드의 제조에서 형성되는 바와 같은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 올리고머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폴리아미드보다 낮은 분자량을 가진다. 올리고머는 환형 및 선형 올리고머, 특히 환형 2량체, 선형 2량체, 3량체, 4량체, 5량체, 6량체 및 7량체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의 올리고머 성분의 표준 측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7량체까지의 성분을 커버한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ligomer means a compound as formed in the preparation of polyamides by reaction of two or more compounds forming individual repeating units. These oligomers have lower molecular weights than the polyamides prepa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Oligomers include cyclic and linear oligomers, particularly cyclic dimers, linear dimers, trimer, tetramer, pentamers, hexamers, and heptamers. Standar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oligomer components of polyamides generally cover the components up to heptamers.

점도수(Staudinger function, VN 또는 J로서 언급됨)는 VN = 1 / c x (η-ηs)/ηs로서 정의된다. 점도수는 폴리아미드의 평균 몰질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중합체의 가공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점도수는 Ubbelohde 점도계를 이용하여 EN ISO 307호에 따라 구할 수 있다.(Referred to as the Staudinger function, VN or J) viscosity number is defined as VN = 1 / cx (η- η s) / η s. The viscosity numb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average molar mass of the polyamid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ocessability of the polymer. The viscosity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N ISO 307 using the Ubbelohde viscometer.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단계 f)에서의 최종 추출이 마지막 공정 단계이거나 또는 상기 추출 단계 후에 예컨대 후중합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중합체에 대한 임의의 유의적인 열응력과 관련있는 임의의 추가의 공정 단계가 후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평형 반응으로서 비교적 고온에서 일어나는 바와 같은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의 개질이 회피된다. 따라서, 매우 낮은 잔존 단량체 함량이 가능하다.- There is no subsequent follow-up of any further processing steps associated with any significant thermal stresses on the polymer, such that the final extraction in step f) is the last processing step or that occurs, for example, in post polymerization, after said extraction step. Thus, modification of monomers and / or oligomers as occurs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as an equilibrium reaction is avoided. Thus, a very low residual monomer content is possible.

- 단계 d)에서의 제1 추출 동안, 가수분해 중합의 생성물의 후결정화를 이미 실시할 수 있다. 결정성 생성물의 비율이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의 속도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추출 전에 실시되는 것보다 더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후중합에서의 짧은 체류 시간을 특징으로 한다.- During the first extraction in step d), post-crystallization of the product of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may already be carried out. The rate of the crystalline product affects the rate of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This can be done more quickly than prior to extraction. Thus,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by a short residence time in post polymerization.

단계 a)Step a)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a)에서는, 1 이상의 락탐 또는 1 이상의 아미노카르보니트릴 및/또는 이들 단량체의 올리고머 및 가능한 경우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폴리아미드 형성 반응 조건에서 전환시켜 폴리아미드를 형성한다.In step a)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at least one lactam or at least one aminocarbonitrile and / or an oligomer of these monomers and possibly further components is converted at the polyamide forming reaction conditions to form a polyamide .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는 1 이상의 락탐 또는 니트릴 및 1 이상의 추가의 단량체를 포함하고 폴리아미드 중의 단량체 기본 단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 중량% 이상의 폴리아미드 기본 단위 함량을 갖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중합체를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amide comprises a homo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lactam or nitrile and at least one additional monomer and having a polyamide basic unit content of at least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meric base units in the polyamide, Co-polymers and polymers.

단독중합체는 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락탐에서 유래하며 단일 반복 단위로 기재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6 기본 단위는 예컨대 카프로락탐, 아미노카프로니트릴, 아미노카프로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단독중합체의 예는 나일론-6 (PA 6, 폴리카프로락탐), 나일론-7 (PA 7, 폴리에난토락탐 또는 폴리헵탄아미드), 나일론-10 (PA 10, 폴리데칸아미드), 나일론-11 (PA 11, 폴리운데카노락탐) 및 나일론-12 (PA 12, 폴리도데카노락탐)이다.The homopolymer is derived from an aminocarboxylic acid or a lactam and may be described as a single repeating unit. The polyamide-6 basic units may be formed from, for example, caprolactam, aminocapronitrile, aminocaproic acid or mixtures thereof. Examples of the homopolymer include nylon-6 (PA 6, polycaprolactam), nylon-7 (PA 7, polyenantolactam or polyheptanamide), nylon-10 PA 11, polyundecanolactam) and nylon-12 (PA 12, polydodecanolactam).

공중합체는 몇가지 상이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며, 단량체는 각각 아미드 결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가능한 공중합체 단위는 예컨대 락탐, 아미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에서 유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코폴리아미드는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디프산(PA 6/66)에서 형성되는 폴리아미드이다. 코폴리아미드는 여러가지 비율로 폴리아미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polymer is derived from several different monomers, and the monomers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mide bonds. Possible copolymer units may be derived, for example, from lactams, aminocarboxylic acids, dicarboxylic acids and diamines. Preferred copolyamides are polyamides formed in caprolactam, hexamethylenediamine and adipic acid (PA 6/66). The copolyamide may contain polyamide units in various ratios.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기본 단위 뿐만 아니라 아미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는 추가의 기본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중의 공단량체의 비율은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기본 단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 특히 10 중량% 이하이다.The polyamide copolymers include polyamide basic units as well as additional basic units that are not linked together by amide bonds. The proportion of the comonomer in the polyamide copolymer is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or less, particularly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asic units of the polyamide copolymer.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아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2, 및 이의 코폴리아미드 및 중합체 배합물에서 선택된다.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12가 특히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6이 특별히 바람직하다.The polyamides produc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polyamide-6, polyamide-11, polyamide-12, and copolyamides and polymer blends thereof. Polyamide-6 and polyamide-12 are particularly preferable, and polyamide-6 is particularly preferable.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단량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C5- 내지 C12-락탐 및/또는 이의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락탐은 특히 ε-카프로락탐, 2-피페리돈(δ-발레로락탐), 2-피롤리돈(γ-부티로락탐), 카프릴락탐, 에난토락탐, 라우릴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올리고머에서 선택된다. 단계 a)에서, ε-카프로락탐, 6-아미노카프로니트릴 및/또는 이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 특별하게는, 단계 a)에서, 배타적으로 ε-카프로락탐 또는 배타적으로 6-아미노카프로니트릴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제공된다.The monomer mixture provided in step a)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C 5 - to C 12 -lactam and / or oligomers thereof. The lactam is in particula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prolactam, 2-piperidone (? -Valerolactam), 2-pyrrolidone (? -Butyrolactam), caprylactam, enantholactam, lauryllactam, Oligomers. In step a)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o provide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Caprolactam, 6-aminocapronitrile and / or oligomers thereof. More particularly, in step a),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exclusively? -Caprolactam or exclusively 6-aminocapronitrile is provided as a monomer component.

또한, 단계 a)에서, 1 이상의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보니트릴 및/또는 이의 올리고머 외에,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1 이상의 단량체(M)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 step a),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at least one monomer (M) copolymerizable therewith, in addition to at least one lactam or aminocarbonitrile and / or oligomers thereof.

적당한 단량체(M)는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박산 및 도데칸디오산과 같은 지방족 C4-10-α,ω-디카르복실산이다.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C8-20-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Suitable monomers (M) include aliphatic C 4-10 -a, omega-olefins such as dicarboxyl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er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and dodecanedioic acid - dicarboxylic aci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romatic C 8-20 -dicarboxylic acids such as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단량체(M)로서 적당한 디아민으로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및 데카메틸렌디아민과 같은 4∼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ω-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헥사메틸렌디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suitable diamines as the monomer (M) include α, ω-naphthylenes having 4 to 10 carbon atoms such as tetramethylenediamine, pentamethylenediamine, hexamethylenediamine, heptamethylenediamine, octamethylenediamine, nonamethylenediamine and decamethylenediamine, Diamines may be used. Hexamethylenediamine is particularly preferred.

단량체(M)로서 적당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의 염 중에서, AH 염이라 불리는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Particularly preferred among these salts of dicarboxylic acid and diamine as monomer (M) are salts of adipic acid and hexamethylenediamine called AH salts.

적당한 단량체(M)는 또한 락톤이다. 예컨대, ε-카프로락톤 및/또는 γ-부티로락톤이 바람직한 락톤이다. Suitable monomers (M) are also lactones. For example,? -Caprolactone and / or? -Butyrolactone are preferred lactones.

폴리아미드의 제조에서, 예컨대 트리아세톤디아민과 같은 지방족 아민 또는 디아민 또는 프로피온산 및 아세트산과 같은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벤조산 또는 테레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카르복실산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of polyamides, one or more chain transfer agents such as aliphatic amines such as triacetone diamines or diamine or mono- or dicarboxylic acids such as propionic acid and acetic acid or aromatic carboxylic acids such as benzoic acid or terephthalic acid may be used.

단계 b)Step b)

단계 a)에서 제공된 단량체 혼합물의 전환은 단계 b)에서 가수분해 중합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공정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예컨대 문헌(Kunststoff 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e: Polyamide,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 42-47 및 65-70)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는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The conversion of the monomer mixture provided in step a) can be carried out by standard processes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in step b). Such process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Kunststoff 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e: Polyamide,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p. 42-47 and 65-70. This disclosure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가수분해 중합은 락탐을 물의 작용하에 개환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것은 예컨대 락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열하여, 추후 후속 단계에서 중첨가 및 중축합에 의하여 더 중합되는 해당 아미노카르복실산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a)에서, 카프로락탐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카프로락탐은 물의 작용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환하여 상응하는 아미노카프로산을 생성하고 이어서 중축합 및 중첨가 반응하여 폴리아미드-6을 생성한다. 별법에서는, 단계 b)에서, 아미노카르보니트릴, 특히 6-아미노카프로니트릴이 물의 작용하에 그리고 임의로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된다.Preferably, in step b), the hydrolytic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ring opening the lactam under the action of water. This may, for example, at least partially cleave the lactam, producing the corresponding aminocarboxylic acid which is further polymerized by subsequent addition and polycondensation at a later st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when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caprolactam is provided, the caprolactam is at least partially opened under the action of water to produce the corresponding aminocaproic acid, which is then subjected to a polycondensation and a heavy addition reaction Polyamide-6. Alternatively, in step b), aminocarbonitrile, in particular 6-aminocapronitrile, is polymerized under the action of water and optionally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단계 b)에서의 전환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이다.The conversion in step b) is preferably continuous.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가수분해 중합은 사용되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실시된다. 축합 반응에서 형성되는 추가의 물은 이 언급된 양에 포함되지 않는다.Preferably,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by adding 0.1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to 20% by weight, of water,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and oligomers used. The additional water formed in the condensation reaction is not included in this stated amount.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하나 이상의 단(예컨대 2개의 단)에서 실시될 수 있다.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을 하나의 단에서 실시하는 경우, 물의 출발 농도는 사용되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4 중량%이다.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을 2개의 단에서 실시하는 경우, VK 관을 예비 압력단, 예컨대 예비 압력 반응기의 하류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압력단에서, 물의 출발 농도는 사용되는 단량체 및 올리고머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이다.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may be carried out in one or more stages (e.g., two stages). If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one stage, the starting concentration of water is preferably 0.1 to 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and oligomers used. If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it is preferred to connect the VK tube to a preliminary pressure stage, e.g. downstream of the preliminary pressure reactor. In the preliminary pressure stage, the starting concentration of water is preferably from 2 to 25%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3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and oligomers used.

특별한 버전에서,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단량체 혼합물은 1 이상의 락탐으로 이루어지고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사용되는 락탐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4 중량%의 물의 존재하에 실시된다. 락탐은 특히 ε-카프로락탐이다.In a particular version, the monomer mixture provided in step a) consists of at least one lactam and the hydrolytic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from 0.1 to 4% by weight of water,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lactam used. The lactam is especially? -Caprolactam.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프로피온산과 같은 1 이상의 조절제의 존재하에 실시될 수 있다. 조절제가 단계 b)에서 사용되고 가수분해 중합이 예비 압력 단을 이용하여 2개의 단에서 실시되는 경우, 조절제는 예비 압력단 및/또는 제2 중합단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별한 버전에서,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조절제의 존재하에 실시되지 않는다.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one or more modifiers such as propionic acid. If the modifier is used in step b) and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using a preliminary pressure stage, the modifier may be used in the preliminary pressure stage and / or the second stage of polymerization. In a particular version,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not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modifier.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아미드는 추가로 소광제(예컨대, 이산화티탄), 핵형성제(예컨대, 규산마그네슘), 안정화제(예컨대, 할로겐화구리(I) 및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산화방지제, 보강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통상적인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가수분해 중합(단계 b) 전, 그 동안 또는 그 후에 첨가된다.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 전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amides prepar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quenchers (e.g. titanium dioxide), nucleating agents (e.g. magnesium silicate), stabilizers (such as copper halide (I) and alkali metal halides) , Reinforcing agents, and the like, in conventional amounts. The additives are generally added before, during or after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step b). It is preferred to add the additive before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단계 b)에서의 전환은 하나 이상의 단(예컨대 2개의 단)에서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양태에서, 단계 b)에서의 전환은 하나의 단에서 실시된다. 이 경우, 락탐 또는 아미노카르보니트릴 및 이의 임의의 올리고머는 반응기 중에서 물 및 임의로 첨가제와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rsion in step b) may be carried out in one or more stages (e.g., two stage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vers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one stage. In this case, it is preferred that the lactam or aminocarbonitrile and any oligomers thereof react with water and optionally additives in the reactor.

적당한 반응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폴리아미드의 제조에 통상적인 반응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중합관 또는 중합관 다발에서 실시된다. 특히,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을 위하여, 1 이상의 VK 관이 사용된다. 이 독일어 약자 "VK"는 "vereinfacht kontinuierlich" ["simplified continuous"]를 의미한다. 단계 b)에서의 전환의 다단계 버전에서,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단계가 VK 관에서 실시된다. 단계 b)에서의 전환의 2단계 버전에서, 제2 단계가 VK 관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b)에서의 전환의 2단계 버전에서, 제1 단계는 예비 압력 반응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아미노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는 경우, 단계 b)에서의 전환은 일반적으로 2 이상의 단계로 실시되며, 제1 단계가 예비 압력 반응기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itable reactors ar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conventional in the production of polyamides. Preferably,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a polymerisation tube or a polymerisation tube bundle. In particular, for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one or more VK tubes are used. The German abbreviation "VK" stands for "vereinfacht kontinuierlich" ["simplified continuous"]. In the multistage version of the conversion in step b), preferably one or more steps are carried out in the VK tube. In the two-step version of the conversion in step b), the second step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VK tube. In a two-step version of the conversion in step b), the first step may be carried out in a preliminary pressure reactor. If aminocarbonitrile is used, the conversion in step b) is generally carried out in two or more stages, preferably the first stage being carried out in a preliminary pressure reactor.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6은 다단계 공정, 특히 2단계 공정으로 제조된다. 카프로락탐, 물 및 임의로 1 이상의 첨가제, 예컨대 연쇄 이동제는 제1 단계에 공급되고 중합체 조성물로 전환된다. 이 중합체 조성물은 압력하에 또는 용융물 배출 펌프에 의하여 제2 단계로 이송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용융물 분배기에 의하여 실시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amide-6 is prepared by a multistage process, in particular a two-stage process. Caprolactam, water and optionally at least one additive such as a chain transfer agent are fed to the first stage and are converted to a polymer composition. The polymer composi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stage under pressure or by a melt discharge pump. This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 melt dispenser.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240∼280℃ 범위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의 다단계 버전에서, 개개의 단계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온도 및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관형 반응기, 특히 VK 관에서 중합 단계를 실시하는 경우, 반응기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관형 반응기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서의 온도 구배이다. 다른 가능성은 상이한 온도 및/또는 상이한 압력에서 조작되는 2 이상의 반응 구역을 갖는 관형 반응기에서 가수분해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예컨대 평형 조건을 고려하여 필요한 최적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from 240 to 280 占 폚. In the multistage version of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the individual steps may be carried out at the same or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essures. If a polymerization step is carried out in a tubular reactor, in particular a VK tube, the reactor can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emperature over its entire length. Another possibility is the temperature gradient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tubular reactor. Another possibility is to carry out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a tubular reactor having two or more reaction zones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 or different pressur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lect the necessary optimum conditions,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equilibrium conditions.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을 하나의 단에서 실시하는 경우, 중합 반응기내 절대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 bar, 더 바람직하게는 1.01 bar부터 2 bar까지의 범위내이다. 상압에서 1단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When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one stage, the absolute pressure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 to 10 bar, more preferably 1.01 bar to 2 bar.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carry out the one-step polymerization at normal pressure.

바람직한 버전에서,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은 2개의 단에서 실시된다. 압력단의 상류 연결로, 제2 반응 단계에서와 비슷한 조건에서 승압하에 락탐, 특히 카프로락탐의 속도 결정 개열의 실시에 의한 공정 가속을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단계는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VK 관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계에서의 절대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70 bar의 범위내, 더 바람직하게는 2∼30 bar의 범위내이다. 제2 단계에서의 절대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0 bar의 범위내, 더 바람직하게는 0.5 bar부터 5 bar까지의 범위내이다. 더 특별하게, 제2 단계에서의 압력은 상온이다. In a preferred version,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With the upstream connection of the pressure end, process acceleration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rate determining cleavage of lactam, in particular caprolactam, under elevated pressure can be achieved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ose in the second reaction step. The second step is then preferably carried out in a VK tube as described above. The absolute pressure in the first step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5 to 70 bar,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30 bar. The absolute pressure in the second stag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0.1 to 10 bar,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5 bar. 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in the second step is room temperature.

이어서, VK 관의 출구에서, 폴리아미드 용융물을 성형하여 폴리아미드 입자를 얻는다.Subsequently, at the outlet of the VK tube, the polyamide melt is molded to obtain polyamide particles.

단계 c)Step c)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c)에서, 단계 b)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를 성형하여 폴리아미드 입자를 얻는다.In step c)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b) is molded to obtain polyamide particles.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는 먼저 하나 이상의 가닥으로 성형된다. 이를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장치는 예컨대 천공판, 노즐 또는 다이 플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b)에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자유 유동 상태의 가닥으로 성형하고 자유 유동 반응 생성물의 가닥의 형태에서 분쇄하여 폴리아미드 입자를 얻는다. 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mm 내지 20 mm, 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mm 범위내이다.Preferably,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b) is first formed into one or more strands. For this purpose, devic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Suitable devices are, for example, apertured plates, nozzles or die plates. Preferably,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step b) is formed into a strand of free-flowing state and is pulverized in the form of a strand of a free-flowing reaction product to obtain polyamide particles. The hole diamet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mm to 20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mm to 5 mm,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 mm.

바람직하게는, 단계 c)에서의 성형은 펠릿화를 포함한다. 펠릿화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가닥으로 성형된 단계 b)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를 고화한 후 펠릿화할 수 있다. 예컨대, 문헌(Kunststoff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e: Polyamide,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 68-69)은 적당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인 성형 공정은 역시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수중 펠릿화이다.Preferably, the molding in step c) comprises pelleting. For pelletization,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b) which has been molded into one or more strands can be solidified and then pelletized. For example, Kunststoffhandbuch, 3/4 Technische Thermoplast: Polyamide, Carl Hanser Verlag, 1998, Munich, p. 68-69, discloses suitable methods. The specific molding process is also basically pelletized in water, which is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단계 d)Step d)

단계 d)에서는, 단계 c)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입자를 제1 추출한다.In step d), the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c) are first extracted.

폴리아미드 입자의 추출을 위한 적합한 공정 및 장치는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Suitable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polyamide particles are basic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추출이란 폴리아미드 중의 단량체 및 임의의 이량체 및 추가의 올리고머의 함량을 추출제로 처리하여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공업적으로, 예컨대, 열수를 이용하여 연속식 또는 회분식 추출로(DE 2501348 A호, DE 2732328 A호) 또는 과열된 수증기 스트림 중에서(EP 0284968 W1호) 수행될 수 있다.Extraction means treating the content of monomers and optional dimers and further oligomers in polyamides by treatment with an extracting agent. This can be done industrially, for example, in continuous or batch extraction (DE 2501348 A, DE 2732328 A) or in a superheated steam stream (EP 0284968 W1) using hot water.

물을 포함하거나 물로 이루어지는 제1 추출제를 이용하여 단계 d)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버전에서, 제1 추출제는 물만으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한 버전에서, 제1 추출제는 물 및 폴리아미드의 제조에 사용되는 락탐 및/또는 이의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따라서, 폴리아미드-6의 경우, WO 99/26996 A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 추출제를 이용하여 단계 d)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처리를 필요로 하는 폐수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It is preferred to extract in step d) using a first extracting agent comprising water or consisting of water. In a preferred version, the first extracting agent consists only of water. In a more preferred version, the first extractant comprises a lactam and / or oligomers thereof used in the preparation of water and polyamides. Thus, in the case of polyamide-6,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using water containing caprolactam as disclosed in WO 99/26996 A2. It is preferred to extract in step d) using the loade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Thus, the amount of wastewater that requires treatment can be minimized.

추출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5∼130℃, 더 바람직하게는 85∼120℃ 범위내이다.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a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5 to 130 DEG C,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85 to 120 DEG C.

추출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연속 추출이 바람직하다.Extraction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or batchwise. Continuous extraction is preferred.

추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 및 제1 추출제는 병류(cocurrent) 또는 향류(countercurrent)로 실시될 수 있다. 향류 추출이 바람직하다.In extraction, the polyamide particles and the first extracting agent may be cocurrent or countercurrent. Countercurrent extraction is preferred.

제1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는 100℃ 이하의 온도 및 상압에서 물과 향류로 연속적으로 추출된다. 이 경우, 온도는 85∼99.9℃ 범위내가 바람직하다.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amide particles are continuously extracted with water and counter current at a temperature of 100 DEG C or lower and at normal pressur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5 to 99.9 ° C.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는 100℃ 이하의 온도 및 1∼2 bar(절대)의 압력에서 물과 향류로 연속적으로 추출된다. 이 경우, 온도는 101∼120℃ 범위내가 바람직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amide particles are continuously extracted with water and countercurrent at a temperature of 100 DEG C or less and a pressure of 1-2 bar (absolut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1 to 120 占 폚.

추출을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한 버전에서, 추출은 1 이상의 맥동 추출탑(pulsed extraction column)을 이용하여 수행된다.For extraction, conventional devic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In a particular version, extraction is performed using one or more pulsed extraction columns.

단량체 및 임의의 이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에서 선택되는, 단계 d)에서 수득된 로딩된 제1 추출제 중에 존재하는 성분은, 이러한 목적에서 분리되어 단계 a) 또는 b)로 재순환될 수 있다.The components present in the loaded first extractant obtained in step d), selected from monomers and optional dimers and / or oligomers, may be recycled to step a) or b) separately for this purpose.

단계 d)에서 수득되는 추출된 폴리아미드를 건조시킬 수 있다. 폴리아미드의 건조는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추출된 펠릿은 건조 공기 또는 건조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건조에 예컨대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된 펠릿은 또한 과열된 수증기 또는 이것과 다른 기체,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가스의 혼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를 위해, 예컨대 향류 건조기, 교류 건조기, 팬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패들 건조기, 횡류 건조기, 콘 건조기, 탑 건조기, 유동상 등과 같은 통상의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감압하에서 회전식 건조기 또는 콘 건조기에서 회분식으로 건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건조 조건에서 불활성인 기체가 흐르는 관형 건조기에서 연속 건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특별한 버전에서는, 1 이상의 탑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중합 조건에서 불활성인 고온의 불활성 가스가 탑 건조기를 통해 흐른다. 바람직한 불활성 가스는 질소이다.The extracted polyamide obtained in step d) can be dried. The drying of the polyamides is basic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extracted pellets may be dried by contact with dry air or dry inert gas or mixtures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for drying. The extracted pellets may also be dried by contacting them with superheated water vapor or a mixture thereof with another gas, preferably an inert gas. For drying, a conventional dryer such as a countercurrent dryer, an AC dryer, a fan dryer, a rotary dryer, a paddle dryer, a cross drier, a cone dryer, a tower drier, a fluidized bed and the like can be used. It is suitable to dry batchwise in a rotary dryer or cone dryer under reduced pressure.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continuous drying in a tubular drier through which gas inert in the drying condition flows. In a particular version, drying is carried out using at least one top drier. Preferably,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which is inert under post polymerization conditions flows through the top drier. The preferred inert gas is nitrogen.

단계 e)Step e)

단계 e)에서는, 단계 d)에서 수득된 추출된 폴리아미드가 후중합 반응 구역으로 공급된다.In step e), the extracted polyamide obtained in step d) is fed to the post-polymerization reaction zone.

바람직하게는, 단계 d)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입자는,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을 위해, 고체상 중합을 거친다. 이것은 고체상으로 폴리아미드를 중합하는 것을 수반한다.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거친다.Preferably, the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d) undergo a solid phase polymerization, for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This entails polymerizing the polyamide in a solid phase. The polyamide is heat treated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amide.

후중합이 일어나는 적합한 반응 구역은 기본적으로 건조에도 이용할 수 있는 장치, 예컨대 향류 건조기, 교류 건조기, 팬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패들 건조기, 횡류 건조기, 콘 건조기, 탑 건조기, 유동상 등이다. 후중합이 일어나는 반응 구역으로서 1 이상의 반응기, 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버전에서, 후중합은 1 이상의 탑 건조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후중합 조건에서 불활성인 고온의 불활성 가스가 탑 건조기를 통해 흐른다. 바람직한 불활성 가스는 질소이다.A suitable reaction zone where post polymerization occurs is basically a device that can be used for drying, such as a countercurrent dryer, an alternator drier, a fan drier, a rotary drier, a paddle drier, a cross drier, a cone drier, a tower drier,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reactor,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tubular reactor, as a reaction zone where post polymerization occurs. In a particular version, post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using one or more top driers. Preferably,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which is inert under post polymerization conditions flows through the top drier. The preferred inert gas is nitrogen.

가수분해로 제조된 폴리아미드의 후중합을 위한 적합한 공정은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후중합은 예컨대 WO 2009153340호, EP 1235671호 또는 EP 073235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Suitable processes for the post polymerization of hydrolytically prepared polyamides are basic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ost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as disclosed in WO 2009153340, EP 1235671 or EP 0732351.

단계 d)에서의 후중합은 (단일 반응 구역에서) 하나의 단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은 연속적으로 및/또는 병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반응 구역에서 1개 초과의 단, 예컨대 2개의 단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하나의 단에서 후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ost polymerization in step d) can be carried out in one stage (in a single reaction zone). This may be carried out in more than one but, for example, two stages in a plurality of reaction zones which may be arrang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ost polymerization in one stage.

후중합에서, 반응 구역에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20∼185℃, 더 바람직하게는 150∼180℃ 범위내이다.In post polymerization, the temperature in the reaction zon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0 to 185 占 폚,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 to 180 占 폚.

후중합에서, 반응 구역에서의 압력은 일반적으로 1 mbar 내지 1.5 bar, 더 바람직하게는 500 mbar 내지 1.3 bar 범위내이다.In the post polymerization,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zone is generally in the range from 1 mbar to 1.5 bar, more preferably from 500 mbar to 1.3 bar.

다단계 후중합에서, 중합 장치는 유형 및 크기 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동일한 중합 장치 또는 상이한 크기의 2개의 중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 상이한 체류 시간 특성치를 갖는 연속적인 2개의 중합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중합 장치가 상이한 압력 수준을 갖는 연속적인 2개의 중합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중합 장치를 통해 상이한 불활성 가스 유량이 흐르는 연속적인 2개의 중합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중합 장치가 상이한 압력 수준을 갖고 상이한 불활성 가스 유량이 각각의 중합 장치를 통해 흐르는 연속적인 2개의 중합 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In post-cascade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apparatu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ype and size. For example, two identical polymerization apparatuses or two polymerization apparatuses of different sizes may be used. For example, two successive polymerization devices each having different residence time characteristics can be operated. For example, each polymerization device may operate two successive polymerization devices having different pressure levels. For example, two successive polymerization apparatuses in which different inert gas flow rates flow through each polymerization apparatus may be operated. For example, two successive polymerization apparatuses may be operated in which each polymerization apparatus has different pressure levels and different inert gas flow rates flow through each polymerization apparatus.

후중합에서 폴리아미드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외부 재킷, 내부 열교환기와 같은 열교환기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은 1 이상의 불활성 가스의 존재하에 실시된다. 이 경우, 후중합에서의 폴리아미드의 온도는 고온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된다. In post polymerization, the temperature of the polyamide is generally controlled by an external jacket, a heat exchanger such as an internal heat exchanger, or other suitable devic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inert gas.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polyamide in post polymerization is at least partially controlled by using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제1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후중합 동안, 고온의 불활성 가스가 반응 구역을 통해 흐른다. 적당한 불활성 가스는, 예컨대, 질소, CO2, 헬륨, 네온 및 아르곤,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during post polymerization,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flows through the reaction zone. Suitable inert gases are, for example, nitrogen, CO 2 , helium, neon and argon, and mixtures thereof. It is preferred to use nitrogen.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은 환경과의 물질 이동 없이 실시된다. "환경과의 물질 이동 없는 후중합"은 단계 d)에서 수득된 추출된 폴리아미드 입자가 후중합 구역으로 공급된 후 후중합 구역과 환경 사이에 물질 이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가스 스트림이 후중합 동안 후중합 구역을 통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 동안, 내부 용기로부터 환경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도 성분, 예컨대 물의 도입도 배출도 없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is carried out without mass transfer with the environment. "Post polymerization without mass transfer to environment" means that no mass transfer occurs between the polymerization zone and the environment after the extracted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d) have been fed to the post-polymerization zone. More specifically, the gas stream does not pass through the post-polymerization zone during post polymerization. Thus, during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there is neither the introduction nor the discharge of components, such as water, from the inner vessel to the environment and vice versa.

단계 e)의 반응 구역에서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 시간 내지 100 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25 시간 내지 55 시간이다.The residence time in the reaction zone of step e) is preferably from 15 hours to 100 hours, more preferably from 25 hours to 55 hours.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e)에서 중합체의 체류 시간은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가 단계 d) 전의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를 기준으로 하여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증가하도록 선택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idence time of the polymer in step e) is such that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 is at least 10%, preferably at least 15%, more preferably at least 20%, based on 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 before step d) Or more.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일반적으로 분자량의 측정으로서 사용된다. 상대 점도는 본 발명에 따르면 100 ml의 황산 중 1.0 g의 폴리아미드의 농도를 갖는 96 중량% H2SO4 중 용액으로서 25℃에서 측정한다. 상대 점도의 측정은 DIN EN ISO 307을 따른다.The relative viscosity of the polyamides is generally used as a measure of molecular weight. The relative viscosity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solution in 96 wt% H 2 SO 4 with a concentration of 1.0 g polyamide in 100 ml sulfuric acid at 25 ° C. The measurement of the relative viscosity is in accordance with DIN EN ISO 307.

단계 f)Step f)

단계 f)에서, 단계 e)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입자가 더 추출된다. In step f), the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e) are further extracted.

폴리아미드 입자의 추출은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단계 d)에서 상세히 개시된다. Extraction of the polyamide particles is basic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described in detail in step d).

물을 포함하거나 물로 이루어지는 제2 추출제를 이용하여 단계 f)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버전에서, 제2 추출제는 물로만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경우, 이것은 여전히 소량의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는 회수된 추출제이다.It is preferred to extract in step f) using a second extracting agent comprising water or consisting of water. In a preferred version, the second extractant is made solely of water. In certain embodiments, in this case, it is still a recovered extractant which may contain small amounts of monomers and / or oligomers.

단계 f)에서의 추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5∼120℃ 범위내이다.The extraction temperature in step 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5 to 120 占 폚.

단계 f)에서의 처리 동안 추출 온도는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미만, 특히 75∼118℃, 특별히 80∼115℃, 더 특히는 85∼110℃ 범위내이다. The extraction temperature during the treatment in step f)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from 50 ° C to less than 120 ° C, in particular from 75 to 118 ° C, in particular from 80 to 115 ° C, more particularly from 85 to 110 ° C.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는 단계 f)에서의 처리 동안 (용융 상태가 아니고) 고체 상태이다.Preferably, the polyamide is in a solid state (not in a molten state) during the treatment in step f).

단계 f)에서의 추출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연속 추출이 바람직하다.The extraction in step f)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or batchwise. Continuous extraction is preferred.

단계 f)에서의 추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 및 제1 추출제는 병류 또는 향류로 안내될 수 있다. 향류 추출이 바람직하다.In the extraction in step f), the polyamide particles and the first extracting agent can be guided in cocurrent or countercurrent. Countercurrent extraction is preferred.

제1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는 100℃ 이하의 온도 및 상압에서 물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향류로 추출된다. 이 경우, 온도는 85∼99.9℃ 범위내가 바람직하다.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amide particles are continuously countercurrently extracted using water at a temperature of 100 DEG C or less and at normal pressur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5 to 99.9 ° C.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입자는 100℃ 이상의 온도 및 1∼2 bar(절대) 범위의 압력에서 향류로 연속 추출된다. 이 경우, 온도는 101℃부터 120℃ 미만까지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olyamide particles are continuously extracted in countercurrent at temperatures above 100 DEG C and pressures in the range of 1-2 bar (absolut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from 101 ° C to less than 120 ° C.

단량체 및 임의의 이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에서 선택되는, 단계 f)에서 수득되는 로딩된 제2 추출제 중에 존재하는 성분은 이 목적으로 분리되어 단계 a) 또는 b)로 재순환될 수 있다.The components present in the loaded secon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selected from monomers and optional dimers and / or oligomers, may be recycled to step a) or b) separately for this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버전에서,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 제2 추출제는 추후 단계 d)에서 제1 추출제로서 사용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동일 추출제가 추출을 위해 먼저 후중합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로딩이 비교적 낮은 로딩된 폴리아미드 입자와 먼저 접촉하고 이어서 가수분해 중합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로딩이 비교적 높은 로딩된 폴리아미드 입자와 접촉한다. 따라서, 워크업 처리할 추출제의 양을 명백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a preferred version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aded secon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is used as the first extractant in a later step d). In this variant, the same extracting agent is first contacted first for extraction with a relatively low loaded polyamide particle which is derived from the post polymerization and / or oligomer loading, and then the monomer and / or oligomer loading resulting from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s relatively And contacts the highly loaded polyamide particles. Therefore, the amount of the extracting agent to be subjected to the work-up treatment can be obvious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버전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A particular vers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 단계 e)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를 단계 f)에서 1 이상의 제2 추출제로 처리하여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로딩된 제2 추출제를 얻는 단계,- Treating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e) with at least one second extracting agent in step f) to obtain a monomer and / or oligomer-loaded second extracting agent,

-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 추출제를 단계 d)에서의 추출에 사용하는 단계,- Using the loade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for extraction in step d)

- 단계 d)에서 수득된 로딩된 추출제를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풍부한 분획 및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제거된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 Separating the loade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d) into a monomer and / or oligomer-enriched fraction and a monomer and / or oligomer-free fraction,

-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풍분한 분획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단량체 조성물 또는 단계 b)에서의 가수분해 중합에 이용되는 반응 구역으로 공급하는 단계,- Fee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onomer and / or oligomer sparged fraction into the monomer composition provided in step a) or the reaction zone used in the hydrolysis polymerization in step b)

-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가 제거된 분획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 f)에서 제2 추출제로서 사용하는 단계.- Using at least part of the monomer and / or oligomer-removed fraction as the second extractant in step f).

단계 g)Step g)

바람직하게는, 단계 f)에서 수득된 추출된 폴리아미드를 건조시킨다. 건조에 적합한 장치 및 공정은 상기 단계 d)에서 개시하였고, 여기에 참조된다. 건조를 위해, 예컨대 향류 건조기, 교류 건조기, 팬 건조기, 회전식 건조기, 패들 건조기, 횡류 건조기, 콘 건조기, 탑 건조기, 유동상 등과 같은 통상의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추출된 펠릿은 건조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에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하에서 회전식 건조기 또는 콘 건조기에서 회분식으로 건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건조 조건에서 불활성인 기체가 흐르는 관형 건조기에서 연속 건조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특별한 버전에서는, 1 이상의 탑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중합 조건에서 불활성인 고온의 불활성 가스가 탑 건조기를 통해 흐른다. 바람직한 불활성 가스는 질소이다.Preferably, the extracted polyamide obtained in step f) is dried. Apparatus and processes suitable for drying are disclosed in step d) above and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For drying, a conventional dryer such as a countercurrent dryer, an AC dryer, a fan dryer, a rotary dryer, a paddle dryer, a cross drier, a cone dryer, a tower drier, a fluidized bed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example, the extracted pellets may be dried by contact with dry air or an inert gas or a mixture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ert gas for drying. It is suitable to dry batchwise in a rotary dryer or cone dryer under reduced pressure. It is more suitable to continuously dry in a tubular drier through which inert gas flows under drying conditions. In a particular version, drying is carried out using at least one top drier. Preferably, a high temperature inert gas which is inert under post polymerization conditions flows through the top drier. The preferred inert gas is nitroge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연속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or batchwise and is preferably carried out continuously.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유리한 특성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유도한다.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특성의 적합한 측정은 점도수이다. 점도수(Staudinger function, VN 또는 J로서 언급됨)는 VN = 1 / c x (η-ηs)/ηs로서 정의된다. 점도수는 폴리아미드의 평균 몰질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중합체의 가공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점도수는 Ubbelohde 점도계를 이용하여 EN ISO 307호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미드의 점도수는 바람직하게는 185∼260 ml/g이다.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leads to polyamides having particularly advantageous properties. A suitable measure of the polyamide properties obtained is the viscosity number. (Referred to as the Staudinger function, VN or J) viscosity number is defined as VN = 1 / cx (η- η s) / η s. The viscosity numb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average molar mass of the polyamid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ocessability of the polymer. The viscosity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N ISO 307 using the Ubbelohde viscometer. The viscosity of the polyamides obtain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185 to 260 ml / g.

바람직하게는, 수득되는 폴리아미드는 잔존 단량체 함량이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55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미만이다. 환형 이량체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미만, 특히 0.02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이다. Preferably, the resulting polyamide has a residual monomer content of less than 0.1%, preferably less than 0.055% by weight, more preferably less than 0.03% by weight. The cyclic dimer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0.1% by weight, more preferably less than 0.05% by weight, especially less than 0.025% by weight, most preferably less than 0.01% by weight.

바람직하게는, 수득되는 폴리아미드는 잔존 락탐 함량이 0.055 중량% 이하이고 잔존 환형 이량체 함량이 0.025 중량% 이하이다.Preferably, the resulting polyamide has a residual lactam content of 0.055 wt% or less and a residual cyclic dimer content of 0.025 wt% or less.

본 방법은 도 1 및 실시예에 의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나타낸다.The method is detailed below in accordance with Figure 1 and the embodiment.

실시예Example

도 1: 폴리아미드-6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Figure 1: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6

실시예 1:Example 1:

사용되는 공급원료는 점도수가 218 ml/g이고 단량체 함량이 0.23%인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6 펠릿이었다. 폴리아미드-6 펠릿은 압력 반응기에서의 예비 반응, VK 관에서의 용융 중합, 열수 추출 및 열처리의 공정 단계를 통해 제조되었다. 300 g의 펠릿을 2 l 반응기로 도입하고 24 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95℃에서 1000 g의 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펠릿을 16 시간에 걸쳐 질소 블랭킷 하에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건조하였다. 이후 단량체 함량은 0.04%였다.The feedstock used was a polyamide-6 pellet prepared on an industrial scale with a viscosity of 218 ml / g and a monomer content of 0.23%. The polyamide-6 pellets we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step of preliminary reaction in a pressure reactor, melt polymerization in a VK tube, hot water extraction and heat treatment. 300 g of pellets were introduced into a 2 l reactor and extracted with 1000 g of water at 95 DEG C with stirring over 24 hours. The extracted pellets were dried in a vacuum drying cabinet under a nitrogen blanket for 16 hours. The monomer content thereafter was 0.04%.

실시예 2:Example 2:

사용되는 공급원료는 점도수가 251 m//g이고 단량체 함량이 0.24%인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6 펠릿이었다. 폴리아미드-6 펠릿은 압력 반응기에서의 예비 반응, VK 관에서의 용융 중합, 열수 추출 및 열처리의 공정 단계를 통해 제조되었다. 450 g의 펠릿을 2 l 반응기로 도입하고 24 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105℃에서 1500 g의 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펠릿을 16 시간에 걸쳐 질소 블랭킷 하에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건조하였다. 이후 단량체 함량은 0.03%였다.The feedstock used was a polyamide-6 pellet prepared on an industrial scale with a viscosity of 251 m // g and a monomer content of 0.24%. The polyamide-6 pellets we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step of preliminary reaction in a pressure reactor, melt polymerization in a VK tube, hot water extraction and heat treatment. 450 g of pellets were introduced into a 2 l reactor and extracted with 1500 g of water at 105 DEG C with stirring over 24 hours. The extracted pellets were dried in a vacuum drying cabinet under a nitrogen blanket for 16 hours. The monomer content thereafter was 0.03%.

실시예 3-5:Example 3-5:

사용되는 공급원료는 점도수가 218 ml/g이고 단량체 함량이 0.23%인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6 펠릿이었다. 폴리아미드-6 펠릿은 압력 반응기에서의 예비 반응, VK 관에서의 용융 중합, 열수 추출 및 열처리의 공정 단계를 통해 제조되었다. 625 g의 펠릿을 2 l 반응기로 도입하고 30 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95℃에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물을 2 l/h의 유량에서 연속적으로 교환하였다. 3개의 80 g 분획을 추출된 펠릿으로부터 취하고 이들을 건조 장치에서 연속하여 건조하였다. 건조 장치는 외부 재킷에 의하여 가열된 프릿 베이스를 갖는 유리관으로 이루어졌다. 80 g의 펠릿을 예열된 유리관으로 도입하고 고온의 질소를 특정한 체류 시간에 걸쳐 이것에 통과시켰다. 체류 시간 후 펠릿을 제거하였다. The feedstock used was a polyamide-6 pellet prepared on an industrial scale with a viscosity of 218 ml / g and a monomer content of 0.23%. The polyamide-6 pellets we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step of preliminary reaction in a pressure reactor, melt polymerization in a VK tube, hot water extraction and heat treatment. 625 g of pellets were introduced into a 2 l reactor and extracted at 95 캜 with stirring over 30 hours. In this process, water was continuously exchanged at a flow rate of 2 l / h. Three 80 g fractions were taken from the extracted pellets and they were successively dried in a drying apparatus. The drying apparatus consisted of a glass tube having a frit base heated by an outer jacket. 80 g of pellets were introduced into the preheated glass tube and hot nitrogen was passed through it over a certain residence time. After the residence time, the pellets were remov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실시예 6-8:Examples 6-8:

사용되는 공급원료는 점도수가 250 ml/g이고 단량체 함량이 0.23%이며 이량체 함량이 220 ppm인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6 펠릿이었다. 폴리아미드-6 펠릿은 압력 반응기에서의 예비 반응, VK 관에서의 용융 중합, 열수 추출 및 열처리의 공정 단계를 통해 제조되었다. 이들 펠릿을 더 열수 추출한 후 건조시켰다. 열수 추출은 연속 맥동 향류 추출기에서 실시하였다. 이 추출기는 약 8 t의 폴리아미드 펠릿을 위한 용량을 가졌다. 사용되는 추출제는 새로운 탈이온수였다. 맥동(pulsation)은 추출수가 반응기로 일정한 유량에서 연속적으로 운반되지 않고, 대신에, 물을 맥동 방식으로 높은 유량으로 공급함을 의미한다. 추출기는 3개의 구역(상부, 중간부 및 바닥부)으로의 3개의 내부 열교환기로 나뉘었고, 이들 각각에서 상이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었다.The feedstock used was a polyamide-6 pellet prepared on an industrial scale having a viscosity of 250 ml / g, a monomer content of 0.23% and a dimer content of 220 ppm. The polyamide-6 pellets we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step of preliminary reaction in a pressure reactor, melt polymerization in a VK tube, hot water extraction and heat treatment. These pellets were further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n dried. The hot water extraction was carried out in a continuous pulsating flow extractor. The extractor had a capacity for about 8 t of polyamide pellets. The extraction agent used was fresh deionized water. The pulsation means that the extraction water is not continuously conveyed to the reactor at a constant flow rate, but instead, the water is supplied in a pulsating manner at a high flow rate. The extractor was divided into three internal heat exchangers into three zones (top, middle and bottom), each of which could set a different temperature.

추출기에서 배출되는 펠릿은 원심분리기를 통해 탑 건조기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였다. 탑 건조기는 약 16 t의 폴리아미드 펠릿을 위한 용량을 가졌다. 바닥으로부터 탑 건조기로 공급되는 고온의 질소에 의하여 건조를 실시하였다.The pellets discharged from the extractor were continuously transferred to a tower dryer through a centrifuge. The top drier had a capacity for about 16 t of polyamide pellets. And drying was performed by nitrogen at a high temperature su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wer drier.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실시예 9:Example 9:

사용되는 공급원료는 점도수가 216 ml/g이고 단량체 함량이 0.28%이며 이량체 함량이 210 ppm인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폴리아미드-6 펠릿이었다. 폴리아미드-6 펠릿은 VK 관에서의 용융 중합, 열수 추출 및 열처리의 공정 단계를 통해 제조되었다. 이들 펠릿을 더 열수 추출한 후 건조시켰다. 열수 추출은 연속 향류 추출기에서 실시하였다. 이 추출기는 약 44 t의 폴리아미드 펠릿을 위한 용량을 가졌다. 사용되는 추출제는 유기 탄소 함량("TOC", "총 유기 탄소")이 500 ppm인 물이었다. 추출기는 상부 서드에 추출제 재순환 라인을 가졌는데, 이것은 추출기의 상부에서 배출된 추출제의 일부가 추출기의 상부 서드로 다시 재순환됨을 의미한다.The feedstock used was a polyamide-6 pellet prepared on an industrial scale having a viscosity of 216 ml / g, a monomer content of 0.28% and a dimer content of 210 ppm. The polyamide-6 pellets we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step of melt polymerization, hot water extraction and heat treatment in a VK tube. These pellets were further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n dried.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in a continuous countercurrent extractor. The extractor had a capacity for about 44 t of polyamide pellets. The extraction agent used was water with an organic carbon content ("TOC", "total organic carbon") of 500 ppm. The extractor has an extractant recycle line at the upper thde, which means that a portion of the extractant that is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extractor is recycled back to the upper thde of the extractor.

추출기에서 배출되는 펠릿은 원심분리기를 통해 탑 건조기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였다. 탑 건조기는 약 40 t의 폴리아미드 펠릿을 위한 용량을 가졌다. 탑 건조기의 상부 서드 아래로 공급되는 고온의 질소에 의하여 건조를 실시하였다.The pellets discharged from the extractor were continuously transferred to a tower dryer through a centrifuge. The top drier had a capacity for about 40 t of polyamide pellets. Drying was performed by high-temperature nitrogen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top dryer.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도 1 및 2에서, 이하의 부호가 사용된다:
1 예비 압력 반응기
2 VK 관
3 추출
4 고상 중합
5 추출
6 건조
A1, A2 제1 추출을 위한 입구, 출구
B1, B2 제2 추출을 위한 입구, 출구
B2A1 (5)에서 (3)으로 로딩된 추출제의 공급을 위한 도관
In Figures 1 and 2, the following symbols are used:
1 preliminary pressure reactor
2 VK tube
3 extraction
4 Solid phase polymerization
5 extraction
6 Drying
A1, A2 inlet and outlet for first extraction
B1, B2 Entrance and exit for second extraction
A conduit for the supply of the extractant loaded from B2A1 (5) to (3)

Claims (20)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a) 1 이상의 락탐 또는 1 이상의 아미노카르보니트릴 및/또는 이들 단량체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제공된 단량체 조성물을 물의 존재하에 승온에서 가수분해 중합으로 전환시켜, 폴리아미드, 물, 미전환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얻는 단계,
c) 단계 b)에서 얻은 반응 생성물을 성형하여 폴리아미드 입자를 얻는 단계,
d) 단계 c)에서 얻은 폴리아미드 입자를 1 이상의 제1 추출제로 처리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얻은 추출된 폴리아미드 입자를 후중합을 위한 반응 구역으로 공급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얻은 폴리아미드를 1 이상의 제2 추출제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amide,
a) providing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lactam or at least one aminocarbonitrile and / or an oligomer of these monomers,
b) converting the monomer composition provided in step a) to a hydrolysis polymerization at elevated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water to obtain a reaction product comprising polyamide, water, unconverted monomer and oligomer,
c) molding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in step b) to obtain polyamide particles,
d) treating the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c) with at least one first extracting agent,
e) feeding the extracted polyamide particles obtained in step d) to a reaction zone for post polymerization,
f) treating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e) with at least one second extracting agent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사용되는 제2 추출제는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extractant used in step f) comprises water or consists of wa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의 처리 동안 추출제의 온도는 50℃ 내지 120℃ 미만, 바람직하게는 75∼118℃, 더 바람직하게는 80∼115℃ 범위 내인 것인 방법.Process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ng agent during the treatment in step f) is in the range from 50 ° C to less than 120 ° C, preferably from 75 to 118 ° C, more preferably from 80 to 115 ° C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는 단계 f)에서의 처리 동안 고체 상태인 것인 방법.4.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olyamide is in a solid state during the treatment in step f).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얻은 추출된 폴리아미드는 추가로 건조 조작(단계 g)을 거치는 것인 방법.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extracted polyamide obtained in step f) is further subjected to a drying operation (step g).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단량체 조성물은 ε-카프로락탐 또는 6-아미노카프로니트릴 및/또는 이들 단량체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6.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onomer composition provided in step a) comprises? -Caprolactam or 6-aminocapronitrile and / or an oligomer of these monomer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전환은 하나 이상의 단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onversion in step b) is performed in one or more stage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전환은 2개의 단에서 수행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관형 반응기가 적어도 제2 단에 사용되는 것인 방법.8. A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onvers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and a substantially vertical tubular reactor is used in at least the second stag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의 성형은 펠릿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9.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forming in step c) comprises pelleting.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사용되는 제1 추출제는 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10. A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irst extractant used in step d) comprises water or comprises water.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수득되는 폴리아미드는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을 위한 고상 중합을 거치는 것인 방법.11.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polyamide obtained in step d) is subjected to solid phase polymerization for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에 사용되는 반응 구역은 관형 반응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관형 반응기로 이루어지고, 특히 건조탑을 포함하거나 또는 건조탑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eaction zone used in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comprises or consists of a tubular reactor, and in particular comprises a drying tower or consists of a drying tower.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 동안 온도는 120∼185℃ 범위 내인 것인 방법.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temperature during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is in the range of 120 to 185 占 폚.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의 후중합은 환경으로의 물질 이동 없이 수행되는 것인 방법.14. The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post polymerization in step e) is carried out without mass transfer to the environment.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량체 및 임의의 이량체 및 올리고머에서 선택되는, 단계 d)에서 수득된 로딩된(laden) 제1 추출제에 존재하는 성분 및/또는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 제2 추출제에 존재하는 성분은, 분리되어 단계 a) 및/또는 b)로 재순환되는 것인 방법.15.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nents present in the loaded laden first extractant obtained in step d) and / or in step f), selected from monomers and optional dimers and oligomers, ) Is separated and recycled to steps a) and / or b).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수득된 로딩된 제2 추출제가 단계 d)에서 제1 추출제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15. The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the loaded second extractant obtained in step f) is used as the first extractant in step d).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것인 방법.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ich is carried out continuously.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폴리아미드.A polyamide obtainable by a process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7. 제18항에 있어서, 잔존 락탐 함량이 0.055 중량% 이하이고 잔존 환형 이량체 함량이 0.05 중량% 이하인 폴리아미드.The polyamid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residual lactam content is 0.055 wt% or less and the remaining cyclic dimer content is 0.05 wt% or less. 펠릿, 필름, 섬유 또는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제18항 또는 제19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또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폴리아미드의 용도.The use of a polyamide obtainable by a process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7 or a polyamide according to claims 18 or 19 for the production of pellets, films, fibers or shaped articles.
KR1020157027985A 2013-03-07 2014-03-06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KR2015012979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8182 2013-03-07
EP13158182.9 2013-03-07
PCT/EP2014/054325 WO2014135626A1 (en) 2013-03-07 2014-03-06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791A true KR20150129791A (en) 2015-11-20

Family

ID=4782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985A KR20150129791A (en) 2013-03-07 2014-03-06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64691A1 (en)
JP (1) JP2016509118A (en)
KR (1) KR20150129791A (en)
CN (1) CN105189608A (en)
BR (1) BR112015021841A2 (en)
WO (1) WO2014135626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361A (en) 2020-08-04 2022-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ositive photosensitive dry film,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photosensitive dry film,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r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220017362A (en) 2020-08-04 2022-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Nega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220132430A (en) 2021-03-23 2022-09-30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Nega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r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6906A1 (en) * 1983-02-26 1984-08-30 Basf Ag, 6700 Ludwigshafen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LACTAMES
DE19801267B4 (en) * 1998-01-15 2005-03-24 Inventa-Fischer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A-6 granules and their use
JP5661616B2 (en) * 2008-06-20 2015-01-2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Process for continuously performing multistage drying and post-condensation of polyamide pellets
CN102532526B (en) * 2011-11-29 2013-11-06 湖南岳化化工股份有限公司 Continuous polymerization production process of high-viscosity polyamide 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361A (en) 2020-08-04 2022-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osi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ositive photosensitive dry film,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photosensitive dry film,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r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220017362A (en) 2020-08-04 2022-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Nega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KR20220132430A (en) 2021-03-23 2022-09-30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Negativ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ing process, method for forming cured film, interlayer insulation film, surface protective film, and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89608A (en) 2015-12-23
BR112015021841A2 (en) 2017-07-18
JP2016509118A (en) 2016-03-24
WO2014135626A1 (en) 2014-09-12
EP2964691A1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9869A1 (en) Prepara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postpolymerization and subsequent extraction
JP5661616B2 (en) Process for continuously performing multistage drying and post-condensation of polyamide pellets
US20170081472A1 (en)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subsequent treatment in a kneader
KR101444965B1 (en) Application of coil tube evaporator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s
US9738756B2 (en) Method for producing highly viscous polyamides
US4539391A (en) Continuous hydrolytic preparation of polylactams
KR20110110164A (en) Process for continuously preparing copolyamides from lactams and salts of diamines and dicarboxylic acids
JP4326692B2 (en) Preparation method of polyamide
US20140256905A1 (en) Prepara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subsequent devolatilization
US8629237B2 (en) Simplified production of nylon-6
US20140256887A1 (en) Prepara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i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KR20150129791A (en) Production of polyamides by hydrolytic polymerization and multiple extraction
JP2001524561A (en) Manufacture of polyamide
KR100605419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amides from Lactams and Polyamide Extracts
EP1981931B1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a polyamide
KR20010041375A (en) Method for Extracting Polyamide Particles
US3741939A (en) Polymerizing caprolactam
KR2002006324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amide
US20140350213A1 (en) Purification of polyamide particles
MXPA02004098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copolyamides based on a lactame (i), a diamine (ii) and a dicarboxylic acid (i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