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20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202A
KR20150129202A KR1020140055287A KR20140055287A KR20150129202A KR 20150129202 A KR20150129202 A KR 20150129202A KR 1020140055287 A KR1020140055287 A KR 1020140055287A KR 20140055287 A KR20140055287 A KR 20140055287A KR 20150129202 A KR20150129202 A KR 20150129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content
content
display device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오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202A/ko
Publication of KR2015012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모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증가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부팅은 정상적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부팅 및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시스템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전원을 끈 후에 다시 전원을 켜는 부팅이다.
반면, 최근 전자 장치는 시스템이 온(on)된 이후 수초 내에 시스템을 기능이 즉시 수행될 수 있는 초기화 상태로 천이(transition)할 수 있는 서스펜드 투 램 모드(suspend to RAM mode), 인스턴트 온 모드(instant on mode)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팅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빠른 부팅을 위한 인스턴트 온 기능은 전자 장치 시스템의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용이하나 시스템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 오프(off) 명령이 입력된 당시의 컨텐츠가 바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전원 오프(off)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와 전원 오프 후 전원을 다시 온 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가 상이한 경우 또는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일반적인 부팅 모드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가 인스턴트 온 모드로 부팅하는지 일반 부팅을 수행하는지 알 수 없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스턴트 온 모드로 부팅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상기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상기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저장하며,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상기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상기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부(110)가 존재하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각종 방송 신호를 RF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고, 각종 서버로부터 IP 망을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2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 하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스턴트 온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인스턴트 부팅(Instant booting)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인스턴트 부팅은 장치의 시스템이 턴 온 된 후, 수초 내에 시스템의 기능이 즉시 수행될 수 있는 초기화 상태로 천이(transition)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스턴트 온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off) 당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는 당시의 하드웨어 드라이브의 상태를 DRAM과 같은 저장부(120)에 저장함으로써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서스펜드 투 디스크(suspend to disk)와 같은 대기모드 또는 인스턴트 온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스펜드 상태에서 저장부(120)의 DDR 메모리의 셀프 리프래시(Self-Refresh) 동작을 이용하여 DRAM과 같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을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 오프(off)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전원 오프(off)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하기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전원 오프 명령 입력 당시의 저장된 정보로부터 검출된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하 좌우의 4방향 키 및 확인 키를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30)가 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버튼 외에도 인스턴트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리모컨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130)는 인스턴트 부팅이 아닌 콜드 부팅(Cold booting)을 요청하는 버튼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온 모드로 동작하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부터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40)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40)는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등을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검출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저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이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부팅 명령 입력시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검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부팅 명령 입력시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팅 명령 입력시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리모컨을 통해 전원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설정된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든 구성에 대한 전원을 오프(off)한 뒤에 부팅을 수행하는 콜드 부팅(cold booting)이 수행되는 경우 초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블러(blur)처리 또는 모자이크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명령은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는 리모컨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제어부(140), 영상 수신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및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후술하는 영상 수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운영체제 구동 화면 및 응용 프로그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의 기 저장된 초기 화면, 응용 프로그램 선택시 이에 대응되는 실행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0)는 RAM(1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 하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RAM(121)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는 당시의 하드웨어 드라이브의 상태를 DRAM과 같은 저장부(120)에 저장함으로써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서스펜드 투 디스크(suspend to disk)와 같은 대기모드 또는 인스턴트 온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스펜드 상태에서 저장부(120)의 DDR 메모리의 셀프 리프래시(Self-Refresh) 동작을 이용하여 DRAM과 같은 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을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 오프(off)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은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된 전원 오프(off) 명령 입력 당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상태(예를 들면, 전원 오프 명령 당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연결 URL, 채널 정보 또는 선택된 외부 기기 선택 등)를 이용하여 초기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은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명령 입력 당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전원 오프(off) 이전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보존하기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저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저장부(120)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RAM(121)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하 좌우의 4방향 키 및 확인 키를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휴대폰과 같은 외부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인스턴트 온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오프(off)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인스턴트 온 모드로 부팅이 수행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먼저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메인 제어부(141) 및 서브 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4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메인 제어부(14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온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스턴트 온 모드에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제어부(142),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일부 통신 모듈 및 RAM(121)에 전원을 인가하고, 그 외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42)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인스턴트 부팅(Instant Booting)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제어부(142)는 리모컨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IR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서브 제어부(142)는 인스턴트 온 모드 여부에 무관하게 전원이 인가되므로, 리모컨의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라도 인스턴트 온 모드에서는 서브 제어부(142)에는 전원이 인가되므로, 서브 제어부(142)는 정보 디스플레이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리모컨과 같은 제어장치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스턴트 부팅(Instant Booting)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하게 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스턴트 온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술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제어부(142)는 RAM(121)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서브 제어부(142)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의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등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에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관람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부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및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검출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및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을 분석하여, 인터넷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가 'http://hot19sexy.com'인 경우, 제어부(140)는 인터넷 컨텐츠가 20세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19', 'sexy'와 같은 단어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단어로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에 기저장된 단어와 매칭되는 단어가 포함되므로, 제어부(140)는 인터넷 컨텐츠가 20세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컨텐츠가 20세 이용 가능한 컨텐츠임을 알리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인스턴트 온 모드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온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 오프 명령 입력 시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온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명령은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화면으로 기저장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인스턴트 온 모드로 전원이 오프되어도,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인스턴트 온 모드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5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15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내부의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영상 수신부(15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6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4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8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오디오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때, 오디오 출력부(18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의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191), 와이파이 모듈(192)과 같은 각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9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면, 휴대폰 또는 PC) 간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블루투스 모듈(19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와이파이 모듈(19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화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BC'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Morning News'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인스턴트 온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치의 구동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채널 번호, 제공자 또는 방송 컨텐츠의 특징과 같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고,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은 리모컨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인스턴트 온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술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RAM(121)과 같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사 명(10), 채널 번호(20) 및 채널의 특징(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사(10)는 'ABC' 방송사이고, 채널 번호(20)는 '27번'이며, 채널의 특징(30)은 '뉴스 전문 채널'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치의 구동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제작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징과 같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고,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은 리모컨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인스턴트 온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술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RAM(121)과 같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라는 정보(40), 어플리케이션의 명칭(50)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6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pplication 실행중'이라는 문구(40)를 디스플레이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전원이 오프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칭 RunRun'이라는 문구(50) 및 '제작자 DEF company'라는 문구(60)를 디스플레이하여,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DEF company'에서 제공하는 'RunRun'이라는 명칭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였음을 알릴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 중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장치의 구동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하는 인터넷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구동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넷 컨텐츠의 URL 주소, 인터넷 컨텐츠의 명칭과 같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고,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은 리모컨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인스턴트 온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술한 별도의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RAM(121)과 같은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상태에서 인스턴트 부팅 수행시 디스플레이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이라는 정보(70), 인터넷 컨텐츠의 연결 URL 주소(80) 및 연결된 인터넷 컨텐츠의 명칭(9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웹 브라우저 실행중'이라는 문구(70)를 디스플레이하여, 인터넷 컨텐츠 접속 중에 전원이 오프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ttp://shoppingshopping.net'이라는 문구(80) 및 '명칭: 쇼핑천국'이라는 문구(90)를 디스플레이하여,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http://shoppingshopping.net'이라는 주소로 연결된 '쇼핑천국' 웹 사이트에 접속중이었음을 알릴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디스플레이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관람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부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및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출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및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을 분석하여, 인터넷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가 'http://hot19sexy.com'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컨텐츠가 20세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9', 'sexy'와 같은 단어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단어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에 기저장된 단어와 매칭되는 단어가 포함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컨텐츠가 20세 이상만 이용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컨텐츠가 20세 이용 가능한 컨텐츠임을 알리는 문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스턴트 온 모드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온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 오프 명령 입력 시 디스플레이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온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명령은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초기 화면으로 기저장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인스턴트 온 모드로 전원이 오프되어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인스턴트 온 모드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S90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910).
그리고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9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930).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인스턴트 부팅을 수행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팅 후 디스플레이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저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제어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상기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상기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저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저장하며, 인스턴트 온(Instant On) 모드로 부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채널번호 및 방송사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영상 컨텐츠가 인터넷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인터넷 컨텐츠의 주소, 상기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명칭 및 상기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영상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 컨텐츠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가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 설정된 단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연령 이상 이용 가능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전원 온(on)을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기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제어 장치의 전원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누르는 사용자 명령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원 버튼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는 사용자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55287A 2014-05-09 2014-05-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29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87A KR20150129202A (ko) 2014-05-09 2014-05-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87A KR20150129202A (ko) 2014-05-09 2014-05-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02A true KR20150129202A (ko) 2015-11-19

Family

ID=5484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287A KR20150129202A (ko) 2014-05-09 2014-05-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2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2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US954463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02908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thereof
KR101977317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sns 제공 서버 및 그들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960005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2439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700764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
KR20130113983A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CN107636541B (zh) 计算设备上的方法、用于闹铃的系统和机器可读介质
US20140359664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35755B1 (ko) 디바이스 접속 프롬프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05044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6845A (ko) Osd 아이템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1997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20150135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959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6787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571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menu thereof
EP291631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22500975A (ja) 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900500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KR201501292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924807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176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