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114A -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114A
KR20150129114A KR1020140054650A KR20140054650A KR20150129114A KR 20150129114 A KR20150129114 A KR 20150129114A KR 1020140054650 A KR1020140054650 A KR 1020140054650A KR 20140054650 A KR20140054650 A KR 20140054650A KR 20150129114 A KR20150129114 A KR 20150129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de
mode
driver
switching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5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114A/en
Publication of KR2015012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sion of a driving mode of a part-time transfer automatically converts a driving mode to the two-wheeled driving mode based on separation of a driver or turning-off during traveling in four-wheeled driving mode to prevent damage with respect to components of a drive system. The four-wheeled driving conversion control as described above counts expiration of time when the driver is separated during traveling of the four-wheeled driving mode, and the counted time is compared with a set value, and the driving mode is converted into the two-wheeled driving mode when the count time is not less than the set value.

Description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for a part-time transfer,

본 발명은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 사륜 구동모드에서 운전자의 이탈이나 시동의 오프와 같은 운행 상황의 변화가 수반될 때 자동적으로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여 다음 번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구동 계통의 부품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a part-time transf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driving mode when a driving situation is changed such as a driver departure or a turning- To a drive mode switching device of part time transfer capable of preventing component damage of a drive system that may occur during a next drive by switching to a two-wheel drive mod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사륜 구동장치(4WD)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전륜과 후륜의 차축으로 적절하게 배분하여 가속 및 등판 성능을 향상시키고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륜 구동장치는 크게 파트 타임방식(PART TIME 4WD)과 풀 타임방식(FULL TIME 4WD)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four-wheel drive unit (4WD) distribute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engine to the axles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ppropriately, thereby improving the acceleration and back-up performance and securing excellent stability even on a slippery road surface. These four-wheel drive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a part time type (PART TIME 4WD) and a full time type (full time 4WD).

이 경우, 파트 타임방식은 이륜구동과 사륜구동의 모드 선택을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조작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임에 반해, 풀 타임방식은 이륜구동과 사륜구동의 선택이 주행 정보를 비롯하여 기 설정된 로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part-time method can implement the mode selection of two-wheel drive and four-wheel drive through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intention, whereas the full-time mode allows selection of two-wheel drive and four- As shown in FIG.

이러한 종래 파트 타임 사륜 구동장치의 일례는 공개특허 10-2003-00489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에서 변속된 엔진의 동력을 분배하여 제1 앞 추진축과 뒤 추진축을 각각 구동시키는 센터 디퍼렌셜과, 4륜구동으로 전환시 센터 디퍼렌셜과 제1 앞 추진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과, 제1 앞추진축이 센터 디퍼렌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프론트 디퍼렌셜과 직결된 제2 앞 추진축과 제1 앞 추진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e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part-time four-wheel drive apparatus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3-0048916. The center differential includes a center differential for distributing the power of the engine shifted in the transmission and driving the first front propeller shaft and the rear propeller shaft, The first front propeller shaft and the first front propeller shaf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en the first front propeller shaf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center differential, the second front propeller shaft and the first front propeller shaf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lutch mean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파트 타임 사륜 구동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사륜구동의 주행은 선회시 좌/우측 차륜의 휠 속도 차이를 비롯하여 전/후륜 사이의 속도 차이에 의해 트랜스퍼와 같은 구동 계통의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선회전 반드시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However, the four-wheel drive of the conventional part-time four-wheel drive as described above causes a serious damage to the parts of the drive system such as the transfer due to the difference in wheel spe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during turning, . Accordingly, the driver must switch the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선회가 이루어지면, 구동 계통의 부품에서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입게 되고, 이러한 손상의 누적은 구동 계통의 부품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Nevertheless, when turning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er does not switch from the four-wheel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due to a mistake of the driver, the components of the drive system are damaged by the impact, The durability of parts is greatly lowered, and countermeasures are therefore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48916호의 차량용 파트타임 4륜 구동장치A part-time four-wheel drive system for a vehicle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489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이나 시동의 오프와 같은 운행 상황의 변화에 기초하여 이륜 구동모드로의 자동적인 모드 전환을 구현함으로써 구동 계통의 부품에 대한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mode changeover to a two-wheel drive mode based on a change in a driving situation such as a driver departure or a st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e mode switch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part of a drive system from being damag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시동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검출부, 이륜 또는 사륜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 검출부, 트랜스퍼의 구동모드를 이륜 또는 사륜으로 절환하는 모드 전환 구동부, 및 상기 시동 검출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착좌 검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의 절환을 수행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e mode switching apparatus for a part-time transfer, including: a star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n / off state of a start, a mode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 drive mode of two or four wheels, A mode switching driver for switching the drive mode of the transfer to two or four wheels, and a mode switching driver for driving the mode switching driver based on signals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the start detecting portion, the mode selecting portion, and the seating detecting portion,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wo-wheel drive mode to switch from the four-wheel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본 발명은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지는 구동모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d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driver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 또는 시동 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면, 구동모드를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a part time transfer for switching a driving mode from a four-wheel drive mode to a two-wheel drive mode when at least one of a driver's departure or a start-off is detected during driving in a four-wheel drive mode.

본 발명은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카운트되는 시간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서 비교되는 카운트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면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unting an elapse of time when a driver departs from the driver in a four-wheel drive mode, and a step of comparing a time counted in the step with a set value, And the drive mode is switched to the two-wheel drive mode if the set value is not less than the set value.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하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 하중 변화율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서 비교되는 하중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cting a load of the driver, and a step of comparing a rate of change in load with a reference value when a driver departs during driving in a four-wheel drive mode, and if the rate of change in loa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two-wheel drive mod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준값은 최초 검출된 운전자의 하중 정보에 허용오차의 범위를 승산한 값을 최초 검출값으로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load information of an initially detected driver with a tolerance range by an initial detection value.

본 발명은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한 다음, 운전자의 하중 정보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setting the load information of the driver after switching to the two-wheel drive mode.

본 발명은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한 다음,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n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파트 타임 트랜스퍼를 구비한 차량에서 사륜 구동모드로의 운행중 운전자가 이탈하거나 엔진 시동이 오프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러한 운행 상황에 대한 변화를 검출하고 이륜 구동모드로의 주행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다음 번 주행상황에서 선회 등에 따른 좌/우측 차륜의 휠 속도 차이와 전/후륜 사이의 속도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구동 계통의 부품에 대한 손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the driving situation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driving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when a driver departs from the vehicle having the part-time transfer mode to the four-wheel drive mode or the engine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more positively prevent the damage to the components of the drive system caused by the wheel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and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the next driving situation .

특히,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이탈 유무에 대한 판단을 이탈 시점으로부터 카운트되는 시간을 설정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이탈에 따라 수반되는 하중 정보의 변화를 허용오차를 고려한 비교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원치 않는 후속 제어를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are the time counted from the departure time with the set value or make the change of the load information accompanied by departure more accurately by comparing with consideration of the tolerance, It is possible to more positively exclude the subsequent control that is not performed.

이 결과, 본 발명은 파트 타임 트랜스퍼를 장착한 차량에서 이륜 구동모드로의 안정적인 전환을 통해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트랜스퍼의 내구성 확보를 위해 소요되는 부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arts through stable switching from the vehicle equipped with part-time transfer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required to secure the durability of the transfer And provide ancillary effe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e mode switching device of part 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switching of a drive mode of a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e mode switching device of part 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는 시동 검출부(10), 모드 선택부(12), 착좌 검출부(14), 전환 제어부(16), 모드 전환 구동부(18), 및 모드 표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he apparatus for switching the drive mode of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detecting unit 10, a mode selecting unit 12, a seating detection unit 14, a switching control unit 16, a mode switching driving unit 18 ), And a mode display unit 20.

상기 시동 검출부(10)는 엔진 시동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출력하는 입력요소에 해당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12)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에 있어,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 또는 사륜 구동모드로 선택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입력요소로서 선택된 모드를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출력한다. 상기 착좌 검출부(14)는 운전석 시트에 운전자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출력하는 입력요소에 해당한다. 특히, 상기 착좌 검출부(14)는 승객감지 시스템(Occupant Detection System)의 하중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공유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tartup detector 10 corresponds to an input element for detecting the ON / OFF state of the engine start and outputting the ON / OFF state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 The mode selection unit 12 outputs the selected mode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as an input elemen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by the driver to select the drive mode as the two-wheel drive mode or the four-wheel drive mode in the part time transfer. The seating detection unit 14 corresponds to an input elemen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river on the driver's seat and outputs it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 In particular, the seating detection unit 14 may be configured to share a signal provided from a load sensor of an Occupant Detection System.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상기 시동 검출부(10)와 상기 모드 선택부(12) 및 상기 착좌 검출부(14)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요소로부터 각각 검출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18)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의 절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해당하는 구동모드를 상기 모드 표시부(2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주행중 사륜 구동모드에서 운전자의 이탈 또는 시동 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여 구동계통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driving section 18 based on signals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elements of the startup detecting section 10, the mode selecting section 12 and the seating detecting section 14, So as to automatically switch from the four-wheel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At this time,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allows the corresponding driving mod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de display unit 20. That is, when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detects at least one state of the driver's departure or start-off in the four-wheel drive mode during travel, it automatically switches the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to prevent the drive system from being damaged Function.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18)는 상기 전환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트랜스퍼의 구동모드를 이륜 또는 사륜으로 절환하는 출력요소로서, 공지의 기계식 또는 전기식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드 표시부(20)는 상기 전환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모드의 절환이 이루어진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요소로서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표시등에 해당한다. The mode switching driver 18 is an output element for switching the drive mode of the transfer to two or four wheels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controller 16, and may be implemented by known mechanical or electrical components. The mode display unit 20 corresponds to an indicator installed in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interior as an output element for outputting a state in which the mode is switched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to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switching of a drive mode of a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드 전환 제어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를 갖춘 차량에서 주행중 구동모드가 사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상태에 한정하여 적용된다.(S10), (S12) 즉, 이 과정에서 상기 시동 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엔진의 시동은 온 상태이고, 상기 모드 선택부(12)로부터 검출되는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이며, 상기 착좌 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to a state in which a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a vehicle having part time transfer to a four-wheel drive mode (S10) The driving mode det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12 is the four-wheel drive mode,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unit 14 is information that the driver It corresponds to the state of being aboard the driver's seat.

이러한 주행 과정에서, 정차후 하차에 따라 운전석으로부터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S14), 이탈의 발생을 검출한 시점부터 시간의 경과가 카운트되기 시작한다.(S14a) 이 과정은 상기 착좌 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If the driver's departure from the driver's seat occurs in step S14, the elapse of time starts to be counted from the moment the departure is detected. (S14a) Based on a signal input to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load information.

이어, 카운트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을 경과하면(S14b),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제공되는 인가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진다.(S16) 이 과정은 상기 전환 제어부(16)가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18)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수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대한 인가 전원의 차단은 차량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을 통해 더 이상의 모드 전환을 제한하는 것은 일종의 부가적 안전장치에 해당한다.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14b), the driv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four-wheel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 control unit 16 is interrupted. S16) This process is accompanied by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driving unit 18 and the switching off of the applied power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is performed in the main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 Particularly, in this process, after switching to the two-wheel drive mode, restricting further mode switching through interrupting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corresponds to a kind of additional safety device.

이 경우, 운전자의 이탈 시점에서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고 이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일련의 과정(S14a, S14b)은 설정된 시간에 걸쳐 운전자의 일시적인 이탈이 이루어질 경우 불필요한 후속 제어에 대한 실시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구동모드의 전환 조작에 대한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a series of processes (S14a, S14b) for counting the elapsed time at the departure time of the driver and comparing the elapsed time with the set value is carried out by preventing the unnecessary follow-up control in advance So as to facilitate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drive mode.

또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어에 있어,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이륜 구동모드로의 전환 제어를 실시한 다음 상기 모드 표시부(20)를 통해 외부로 이륜모드의 전환 상태를 출력하는 일련의 제어를 함께 수행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 과정은 다음 번 운전자의 탑승을 통해 해소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사륜 구동모드로의 자유로운 전환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series of control,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performs switching control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n performs a series of control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two-wheel mode to the outside via the mode display section 20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process can be solved through the next boarding o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freely switch to the four-wheel drive mode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드 전환 제어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를 갖춘 차량에서 주행중 구동모드가 사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상태에 한정하여 적용된다.(S10), (S12) 이 경우,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하중을 검출하는 단계가 부가된다.(S11) 즉, 이 과정에서 상기 시동 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엔진의 시동은 온 상태이고, 상기 모드 선택부(12)로부터 검출되는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이며, 상기 착좌 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이면서 그 하중 정보까지도 함께 검출하는 것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to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the vehicle having the part time transfer to the four-wheel drive mode (S10) A step of detecting the load of the driver boarding the driver's seat is added. (S11) In other words, in this process, the starting of the engine detected by the startup detector 10 is on, The driving mode is a four-wheel drive mode,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ating detection unit 14 corresponds to the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aboard the driver's seat and the load information is detected at the same time.

이러한 주행 과정에서, 정차후 하차에 따라 운전석으로부터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S14), 이탈에 따라 수반되는 하중 변화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S15) 이 과정은 상기 착좌 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하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탈에 따라 변화하는 운전석의 하중 정보와 최초 착좌시 상기 단계(S11)에서 검출되어 기억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운전자의 이탈 유무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즉, 운전석 이탈이 아닌 운전자의 가벼운 동작 등에 기인하여 검출되는 하중 정보의 변화에 따라 수반되어 이루어지는 원치 않는 일련의 후속 제어에 대한 실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예컨대, 최초 검출된 운전자의 하중 정보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하중 정보에 허용오차의 범위를 승산(乘算)한 다음 이를 최초 검출값으로 나눠 적용한 것으로, 기준값은 다음과 같이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기준값 = 최초 검출값*허용오차 범위/최초 검출값) 이 과정에서, 기준값의 산정에 적용되는 허용오차의 범위는 운전자에 대한 정확한 이탈 유무를 판단하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If the driver departs from the driver's seat due to the stoppage in step S14, the rate of change in load accompanying the departure of the driver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15) The load information of the driver's seat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departure and the value detected and stored in the step S11 at the time of the first sitt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judge an accurate situation of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departed. That is, in order to prevent an unexpected series of follow-up control that is accompanied by a change in load information detected due to a driver's light operation or the like, rather than departing from the driver's seat. For example,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lected as follows, in which the range of the tolerance is multiplied by the load information which is changed based on the load information of the driver detec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n divided by the initial detection value. (Reference value = initial detection value * tolerance range / initial detection value) In this process, the range of the tolerance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reference value greatly contributes to judg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accurate departure to the driver.

이어, 하중 변화율이 설정된 기준값 보다 이상이면(S15),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제공되는 인가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진다.(S16) 이 과정은 상기 전환 제어부(16)가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18)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수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대한 인가 전원의 차단은 차량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을 통해 더 이상의 모드 전환을 제한하는 것은 일종의 부가적 안전장치에 해당한다. If the load change rate is great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S15), the drive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two-wheel drive mode in the four-wheel drive mod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 control unit 16 is shut off.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is controlled by the mode switching driving unit 18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is switched off by controlling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 Particularly, in this process, after switching to the two-wheel drive mode, restricting further mode switching through interrupting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corresponds to a kind of additional safety device.

또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어에 있어,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이륜 구동모드로의 전환 제어를 실시한 다음 상기 모드 표시부(20)를 통해 외부로 이륜모드의 전환 상태를 출력하는 일련의 제어를 함께 수행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 과정은 다음 번 운전자의 탑승을 통해 해소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사륜 구동모드로의 자유로운 전환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series of control,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performs switching control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n performs a series of control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two-wheel mode to the outside via the mode display section 20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process can be solved through the next boarding o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freely switch to the four-wheel drive mode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한편, 상기와 같이 이륜 구동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다음번 구동모드의 전환 제어를 위해 최초 검출된 운전자의 하중 정보는 리셋되므로(S18), 이를 통해 동일한 차량에 다른 운전자가 탑승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동모드의 전환 제어는 구현 가능하게 된다. After the switch to the two-wheel drive mode as described above, the load information of the driver detected for the first time for the switching control of the next drive mode is reset (S18), so that even when another driver boarded the same vehicle, The switching control of a series of driving modes such as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control can be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part-time transf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드 전환 제어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를 갖춘 차량에서 주행중 구동모드가 사륜 구동모드로 전환된 상태에 한정하여 적용된다.(S10), (S12) 즉, 이 과정에서 상기 시동 검출부(10)로부터 검출되는 엔진의 시동은 온 상태이고, 상기 모드 선택부(12)로부터 검출되는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이며, 상기 착좌 검출부(14)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상태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rive mode switch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o the four-wheel drive mode in the vehicle having the part time transfer (S10) The driving mode det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12 is the four-wheel drive mode,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ating detection unit 14 is information that the driver It corresponds to the state of being aboard the driver's seat.

이러한 주행 과정에서, 정차후 엔진의 시동이 오프되면(S13), 구동모드는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제공되는 인가 전원의 차단이 이루어진다.(S16) 이 과정은 상기 시동 검출부(10)로부터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입력되는 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18)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수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16)에 대한 인가 전원의 차단은 차량의 메인 제어부(미도시)에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전환 제어부(16)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을 통해 더 이상의 모드 전환을 제한하는 것은 일종의 부가적 안전장치에 해당한다. In this traveling process,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after stopping (S13), the driving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four-wheel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is interrupted. S16) This process is accompani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driver 18 based on the startup information input from the startup detector 10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The power supply is cut off by controlling the main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vehicle. Particularly, in this process, after switching to the two-wheel drive mode, restricting further mode switching through interrupting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16 corresponds to a kind of additional safety device.

또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제어에 있어, 상기 전환 제어부(16)는 이륜 구동모드로의 전환 제어를 실시한 다음 상기 모드 표시부(20)를 통해 외부로 이륜모드의 전환 상태를 출력하는 일련의 제어를 함께 수행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 과정은 다음 번 엔진의 시동을 개시함에 따라 해소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사륜 구동모드로의 자유로운 전환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series of control,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16 performs switching control to the two-wheel drive mode and then performs a series of control for outputt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two-wheel mode to the outside via the mode display section 20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process can be solved by starting the engine next time, it is possible to freely switch to the four-wheel drive mode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시동 검출부 12-모드 선택부
14-착좌 검출부 16-전환 제어부
18-모드전환 구동부 20-모드 표시부
10-start detecting section 12-mode selecting section
14-seating detection unit 16-switching control unit
18-mode switching driver 20-

Claims (8)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시동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검출부;
이륜 또는 사륜의 구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 검출부;
트랜스퍼의 구동모드를 이륜 또는 사륜으로 절환하는 모드 전환 구동부; 및
상기 시동 검출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착좌 검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의 절환을 수행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1. A drive mode switching device for part-time transfer,
A start detector for detecting an on / off state of the start;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wo-wheel or four-wheel drive mode;
A seat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is on board;
A mode switching driver for switching the drive mode of the transfer to two or four wheels; And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driving unit based on a signal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the startup detecting unit, the mode selecting unit and the seating detecting unit to perform switching from the four-wheel driving mode to the two- Features a part-time transfer drive mode switch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지는 구동모드를 외부로 출력하는 모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d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drive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change drive unit to the outside.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 또는 시동 오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면, 구동모드를 사륜 구동모드에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Wherein the drive mode is switched from a four-wheel drive mode to a two-wheel drive mode when at least one of a driver's departure or a start-off is detected during driving in a four-wheel drive mode. 청구항 3에 있어서,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 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카운트되는 시간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서 비교되는 카운트 시간이 설정값 이상이면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Counting an elapse of time when a departure of the driver occurs during driving in the four-wheel drive mod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time counted in said step with a set value,
And switching the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if the count time compared in the ste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청구항 3에 있어서,
운전자의 하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륜 구동모드로의 주행중 운전자의 이탈이 발생하면, 하중 변화율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서 비교되는 하중 변화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Detecting a load of the driv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a rate of change in load with a reference value when a driver departs during driving in a four-wheel drive mode,
And switching the drive mode to the two-wheel drive mode when the rate of change in loa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최초 검출된 운전자의 하중 정보에 허용오차의 범위를 승산한 값을 최초 검출값으로 나눈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load information of an initially detected driver with a tolerance range by an initial detection value.
청구항 5에 있어서,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한 다음, 운전자의 하중 정보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setting the driver's load information after switching to the two-wheel drive mode.
청구항 3에 있어서,
구동모드를 이륜 구동모드로 전환한 다음, 이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트 타임 트랜스퍼의 구동모드 전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switching the drive mode to a two-wheel drive mode and outputting the drive mode to the outside.
KR1020140054650A 2014-05-08 2014-05-08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291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0A KR20150129114A (en) 2014-05-08 2014-05-08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650A KR20150129114A (en) 2014-05-08 2014-05-08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14A true KR20150129114A (en) 2015-11-19

Family

ID=5484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650A KR20150129114A (en) 2014-05-08 2014-05-08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1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118B2 (en) Automatic time headway setting for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US966987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autonomously driving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8160788B2 (en) Improper start preventing apparatus for vehicle
WO2015068491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fail-safe method
WO2017061197A1 (e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724963B1 (en) Turn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multifunction swi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78068A5 (en)
US201601147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n signal
EP36471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ruise control
US201403507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op modes of moter-driven power steering
JP2013216141A (en) Cruise control device of vehicle
JP2010143542A (en)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KR20150021401A (en) Active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KR20150129114A (en) Driving mode changing system for part-time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3385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o a vehicular differential speed controller
US201902036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for industrial vehicle
JP2017137034A (en) Automatic drive control device
KR101641433B1 (en) Driving wheel control method
JP2018149968A (en) Drive control device
JP5744262B1 (en) Vehicle steering control device
JP2005254994A (en) Drive control device
KR20160038415A (en) Control system for 4wd vehicle using infrared senso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16133201A (en) Shift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KR20150129113A (en) Part-time 2wd/4wd conversion control device and methed
JP2007131188A (en) Device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driving power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