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898A -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898A
KR20150127898A KR1020140054109A KR20140054109A KR20150127898A KR 20150127898 A KR20150127898 A KR 20150127898A KR 1020140054109 A KR1020140054109 A KR 1020140054109A KR 20140054109 A KR20140054109 A KR 20140054109A KR 20150127898 A KR20150127898 A KR 20150127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ouble
area
reg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318B1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샤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샤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샤코이
Priority to KR102014005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1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4Evaluating skin marks, e.g. mole, nevi, tumour, s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부 촬영부; 및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고,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분석부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Portable device for skin condition diagnosis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managing sk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상태 분석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 및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인간의 ?이 보다 풍요로워지면서 현대인들은 더욱 자신의 외모를 가꾸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데, 각각의 개인 피부 특성과 생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의 인기도를 신뢰하여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거나 피부 상태를 손상시킬 수 있기에 개인 각각에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피부 트러블 종류는 기미, 피지, 블랙헤드, 화이트헤드, 각질, 주름, 여드름 등으로 다양하고 그에 따른 종류마다 원인이나 관리법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피부 관리 제품이나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관리 방법을 찾고자 많은 사람들이 피부 관리 샵이나 피부과 병원 등을 찾고 있는데, 이는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부담을 주기에 보다 저렴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피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관리 방법을 모색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분위기에 따라 간단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등의 개인 휴대 통신 기기 등을 접목시키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 기술들은 개인 휴대 통신 기기를 통해 피부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서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는 방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스마트폰 등에 피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켜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도 제안되었으나 이경우 간단한 피부 상태만 확인 가능할 뿐 다양한 피부 트러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순히 흥미를 유발시키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정확도가 높은 피부 상태 분석이 피부 관리 샵이나 피부과 병원 등에서만 이루어짐으로써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부담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저렴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피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관리 방법을 모색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나아가서 개인 휴대 통신 기기를 통해 피부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서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하며, 스마트폰 등에 피부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켜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 간단한 피부 상태만 확인 가능할 뿐 다양한 피부 트러블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순히 흥미를 유발시키는 정도에 그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사용자의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부 촬영부; 및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고,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분석부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분석부는,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를 기초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영역 분석부; 및 상기 영역 분석부에서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역 추출부는,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트러블 데이터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트러블 샘플 데이터,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 또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명암 기준치 범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 분석부는,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트러블 샘프 데이터 대비, RGB 색상 기준치 범위 대비 또는 명암 기준치 범위 대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역 분석부는,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통해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트러블 샘프 데이터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역 분석부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평균 색상값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거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명암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상기 피부 상태별로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가 저장된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를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촬영부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탈착 가능한 배율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분석부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은, 분석할 피부 부위를 설정하고, 상기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부 이미지 생성 단계; 상기 피부 부위별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하고, 각각의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 및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는, 상기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이미지 생성 단계에서 분석할 피부 부위의 설정에 따라 분석할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서,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기미, 잡티, 색소침착, 여드름 또는 다크스팟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되며, 상기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상기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여드름 또는 다크스팟이 설정된 경우 소벨 에지 방식을 적용하고, 상기 기미, 잡티 또는 색소침착이 설정된 경우 라플라시안 에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트러블 샘플 데이터 대비, RGB 색상 기준치 범위 대비 또는 명암 기준치 범위 대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트러블 샘프 데이터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평균 색상값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거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명암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피부 상태 판단 단계는,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른 트러블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정확도가 높은 피부 상태 분석을 위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부담되지 않고 저렴하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자신의 피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관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서 스마트 폰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세부 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에서 적용되는 피부 부위별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에서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고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세부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를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 활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서 이와 같은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는 개략적으로 피부 촬영부(110)와 피부 분석부(15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적으로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부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촬영된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피부 부위별로 피부 트러블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므로 피부 촬영부(110)의 촬영에 앞서 피부 부위, 가령, 눈, 코, 입가, 볼 등의 어떤 피부 부위에 대한 분석인지 설정될 필요가 있으며, 피부 부위의 설정은 피부를 분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피부 분석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한 후 피부 이미지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한다.
피부 분석부(150)에서 도출된 사용자의 피부 상태는 바로 사용자에게 피부 상태 정보로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가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다양한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그 사용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도록 휴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피부 상태 분석에 특화된 개별적인 별개의 휴대용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나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시켜 이를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 이용할 수도 있는데, 가령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서 스마트 폰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같이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330)을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300)로서 이용하여, 스마트폰(330) 상에 피부 분석부(150)와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130)으로 탑재시켜서 구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330)의 경우 기본적으로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서는 피부 부위의 촬영시 피부 트러블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배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피부 트러블의 판단이 가능할 정도로 피부 부위를 확대 촬영하기 위한 배율 렌즈(310)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특화된 스마트폰 케이스(320)를 통해 일반적인 스마트폰(330) 상에 배율 렌즈(31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세부 실시예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의 (a)는 피부 촬영부(110)의 세부 구성으로서, 피부 촬영부(110)는 피부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1)와 피부 부위를 확대시키기 위한 배율 렌즈(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상기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스마트폰(330)에 배율렌즈(310)가 탈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피부 촬영부(110)는 촬영된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부(117)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스마트폰을 채용하는 경우에 이미지 생성부(117)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영상 촬영을 지원하는 구성들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3의 (b)는 피부 분석부(150)의 세부 구성으로서, 피부 분석부(150)는 개략적으로 영역 추출부(151), 영역 분석부(155) 및 피부 상태 판단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추출부(151)는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를 기초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데,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는 피부 부위별로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을 사전에 설정한 리스트로서 영역 추출부(151) 자체가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메모리에 저장된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를 필요시에 영역 추출부(151)가 추출하여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역 분석부(155)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여 트러블 영역이 피부 트러블인지를 판단하는데, 이를 위해 피부 트러블 타입별의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가 구비되며,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로는 영역 분석부(155) 자체에 내장될 수도 있고 또는 개별적인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피부 상태 분석부(157)는 영역 분석부(155)에서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를 판단한다. 나아가서 피부 상태 분석부(157)가 판단된 피부 상태를 피부 상태 정보로 생성하여 상태 정보 제공부(2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태 정보 제공부(270)는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분석부(15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적 구성이므로 이후에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3의 (c)에서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피부 상태별로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가 저장된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290)가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의 일부 구성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메모리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피부 관리 샵, 피부과 또는 화장품 회사 등의 시스템과 연동시킴으로서 보다 양질의 피부 관리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한데, 가령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는 사용자의 피부 분석 결과에 따라 피부 관리 샵의 URL, 피부과의 원격 진료를 위한 URL 또는 화장품 회사의 제품 판매 URL 등으로 접속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피부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피부 상태에 따른 다양한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살펴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은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므로 상기에 살펴본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같이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사용자는 분석을 원하는 피부 부위를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에 설정하는데,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에는 피부 부위의 설정을 위한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을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다양한 입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피부 부위 정보는 피부 분석부(150)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분석할 피부 부위를 설정하고 피부 촬영부(110)를 통해 분석할 피부 부위를 촬영(S10)하여, 분석할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가 생성(S50)된다.
영역 추출부(151)는 피부 부위별로 대응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들을 인식하여 설정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피부 부위별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 타입들에 대한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를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는 보유(S110)하고 있으며,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에서 적용되는 피부 부위별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얼굴에 대한 피부 분석과 관련하여, 상기 도 5와 같이 얼굴의 각 피부 부위는 코, 볼, 이마/입가/눈가, 기타 부위 등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각의 피부 부위마다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 타입들이 존재하는데, 가령 피부 부위로서 코의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서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가 존재하여 코에 대응되어 이들 피부 트러블 타입들이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 상에 분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를 이용하여 영역 추출부(151)는 사용자가 설정한 피부 부위에 대응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들을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영역 추출부(151)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트러블 영역을 추출한다. 각각의 피부 트러블 타입들은 서로 다른 형태로 발생되고 나아가서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추출 방식의 적용시에 정확한 피부 트러블 발생 영역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영역 추출부(151)가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최적의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적용되는 영역 추출 방식은 이후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트러블 영역이 추출되면, 영역 분석부(155)는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분석(S250)을 수행하는데,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피부 트러블 타입을 판단하는데 이용하는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보유(S210)하고 있으며 영역 분석부(155)는 상기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피부 트러블 타입의 분석을 수행한다.
영역 분석부(155)에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는 피부 상태 판단부(157)로 제공되며, 피부 상태 판단부(157)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를 판단(S300)한다.
나아가서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는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추천 화장품이나 치료졔 등의 제품 정보와 피부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관리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S450)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100)는 피부 상태별로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가 저장된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290)를 보유하고,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는 분석된 피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다양한 피부 관리 정보를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290)에서 추출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290)는 피부 관리 샵의 URL, 피부과의 원격 진료를 위한 URL 또는 화장품 회사의 제품 판매 URL 등을 보유하고,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190)는 사용자의 피부 분석 결과에 대응하여 피부 관리 샵의 URL, 피부과의 원격 진료를 위한 URL 또는 화장품 회사의 제품 판매 URL 등의 접속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피부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주된 특징들 중 하나로서 영역 추출부(151)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트러블 영역을 추출(S150)하는 구성과 영역 분석부(155)에서 트러블 영역에 대한 피부 트러블 타입을 분석(S250)하는 구성을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분석할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가 준비(S60)되면, 먼저 영역 추출부(151)는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피부 트러블 타입들은 서로 다른 형태로 발생되고 나아가서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추출 방식의 적용시에 정확한 피부 트러블 발생 영역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영역 추출부(151)가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최적의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트러블 영역을 추출한다.
이를 위해서 영역 추출부(151)는 분석하는 피부 부위에 해당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들을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에서 확인(S160)하는데,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는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기미, 잡티, 색소침착, 여드름 또는 다크스팟이 존재하며, 피부 부위에 따라 이들 피부 트러블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피부 트러블 타입들이 상기 도 5와 같이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에 제시되어 있으며 영역 추출부(151)는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210)를 기초로 해당 피부 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 타입을 확인한다.
그리고 영역 추출부(151)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다양한 영역 추출 방식 중 해당 피부 트러블 타입에 대하여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선택(S170)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S180)한다. 예시적인 영역 추출 방식으로서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 타입마다 소벨 에지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 방식 중 어느 방식을 적용할지가 설정되어 있다. 가령, 피부 트러블 타입들 중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여드름, 다크스팟 등은 피부 이미지 상에서 그 형상이 구분 가능하므로 이들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경우에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부 트러블 타입들 중 색소침착, 기미, 잡티 등은 그 형상이 명확하지 않거나 너무 작은 형상으로 분포되므로 이미지 상에서 형상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기 때문에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실시예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7에는 피부 부위로서 볼과 코가 제시되어 있으며, 피부 부위 볼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서 각질과 색소 침착이 제시되어 있고, 피부 부위 코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서 블랙 헤드와 화이트 헤드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도 7은 보다 쉬운 설명을 위해서 간단하게 몇가지 예시적인 피부 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들을 제시한 것으로서 실제 구현되는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 상에는 다양한 피부 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피부 트러블 타입이 제시될 수 있다.
각질의 피부 트러블 타입 경우에는 볼의 피부 이미지 A1에서 그 형상이 구분 가능할 정도로 나타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소벨 에지 방식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 A2를 추출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이미지 A1 상에서의 밝기 변화에 대하여 소벨 마스크를 이용하여 1차 미분 연산한 그래디언트(gradient)를 기초로 트러블 영역 A2가 추출된다.
색소 침착의 피부 트러블 타입 경우에는 볼의 피부 이미지 B1 상에서 그 형상을 명확하게 구분짓기가 어려우므로 라플라시안 에지 방식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 B2를 추출하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이미지 B1 상에서 라플라시안 필터링 마스크를 이용하여 2차 미분 연산함으로써 트러블 영역과 영역의 명암으로 구분되는 트러블 영역 B2가 추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피부 부위 코의 경우에 블랙 헤드와 화이트 헤드의 피부 트러블 타입은 소벨 에지 방식으로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며, 그에 따라 피부 이미지 C1과 D1에 대하여 각각 트러블 영역 C2와 D2가 추출된다.
상기 도 7에서 트러블 영역 A2, B2, C2 및 D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 이미지를 지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명확하게는 여기서 트러블 영역 A2, B2, C2 및 D2는 피부 이미지 A1, B1, C2 및 D1 상에서 추출된 하나 하나의 트러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상기 도 6으로 회귀하여, 영역 추출부(151)에서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면, 다음 과정으로서 영역 분석부(155)에서 트러블 영역에 대한 피부 트러블 타입을 분석(S250)하는데, 이때 영역 분석부(155)는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피부 트러블 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트러블 샘플 데이터,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 또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명암 기준치 범위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영역 분석부(155)는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초로 추출된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게 된다.
상기 도 6의 실시예 상에서는 영역 분석부(155)가 트러블 영역을 피부 트러블 샘플 데이터 비교(S269)하거나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를 통해 분석(S270)하거나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를 통해 분석(S280)하고,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피부 이미지 상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들이 나타나는 패턴 분석(S290)을 통해 피부 상태를 판단(S300)한다.
이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살펴보자면, 상기 도 8은 상기 도 7에서 피부 부위 볼에서 각질의 피부 트러블 타입에 대해 추출된 트러블 영역 A2를 분석하는 실시예로서,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는 피부 부위 볼에서 발생되는 각질의 피부 트러블 샘플(251)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 피부 트러블 샘플을 추출하여 트러블 영역 A2와 추출된 피부 트러블 샘플(251)를 매칭시킴으로써 형태 유사 판단으로 트러블 영역 A2가 각질의 피부 트러블인지를 분석한다.
여기서 트러블 영역 A2와 각질의 피부 트러블 샘플(251)의 대비는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령 SURF 알고리즘의 경우에 트러블 영역 A2에서 헤시안(Hessian) 매트릭스 기반으로 특징 포인트들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샘플 각각의 대응점과 매칭시킴으로써 유사 판단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러블 영역 A2의 분석으로 트러블 영역 A2에 대한 각질의 피부 트러블(410)의 판단이 가능하며,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각질의 피부 트러블(410)들로 형성되는 각질의 트러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 9는 상기 도 7에서 피부 부위 코에서 블랙 헤드의 피부 트러블 타입에 대해 추출된 트러블 영역 C2를 분석하는 실시예인데, 앞서 상기 도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블랙 헤드의 피부 트러블 샘플(253)들을 추출하여 트러블 영역 C2와 블랙 헤드의 피부 트러블 샘플(253)들을 매칭시켜 블랙 헤드의 피부 트러블(420)의 판단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도 9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블랙 헤드의 피부 트러블(420)들로 형성되는 블랙 헤드의 트러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서 트러블 영역 A2와 C2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벨 에지 방식을 적용하여 추출되었는데, 만약 라플라시안 에지 방식을 적용하여 추출된 트러블 영역의 경우에는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계산한 라플라시안 부호와 피부 트러블 샘플을 매칭시켜 유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영역 분석부(155)는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를 추출하여 피부 트러블을 분석(S270)할 수 있는데,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평균 색상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평균 색상값을 해당 피부 트러블 타입의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여 트러블 영역이 해당 피부 트러블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가령, 각질의 피부 트러블 타입에 대한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는 흰색의 RGB 색지수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각질에 대응되는 트러블 영역의 평균 색상값을 각질의 피부 트러블 타입에 대한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함으로써 피부 트러블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도 6에서와 같이 영역 분석부(155)가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를 추출하여 피부 트러블을 분석(S280)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평균 색상값 대비와 유사하게 트러블 영역에 대한 명암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함으로써 피부 트러블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다양한 분석 과정(S260, S270, S280)으로 도출된 결과들은 종합하여 피부 트러블로 판단된 트러블 패턴을 기초로 피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데, 가령 일정 범위 영역 내에서 각질의 트러블 패턴의 밀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를 최종적으로 각질의 피부 트러블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적합한 피부 관리 제품이나 피부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300 :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110 : 피부 촬영부, 111 : 카메라,
115, 310 : 배율 렌즈, 117 : 이미지 생성부,
130 : 어플리케이션,
150 : 피부 분석부, 151 : 영역 추출부,
155 : 영역 분석부, 157 : 피부 상태 판단부,
190 :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
210 :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
250 : 피부 트러블 데이터 저장부,
270 : 상태 정보 제공부,
290 :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
330 : 스마트폰, 320 : 케이스.

Claims (15)

  1. 사용자의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피부 부위에 대한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부 촬영부; 및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고,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분석부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분석 장치로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분석부는,
    피부 부위별로 판단할 피부 트러블 타입 리스트를 기초로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영역 분석부; 및
    상기 영역 분석부에서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추출부는,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을 적용하여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트러블 데이터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트러블 샘플 데이터,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 또는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명암 기준치 범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 분석부는,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트러블 샘프 데이터 대비, RGB 색상 기준치 범위 대비 또는 명암 기준치 범위 대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분석부는,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통해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트러블 샘프 데이터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분석부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평균 색상값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거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명암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상기 피부 상태별로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가 저장된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를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 분석 장치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촬영부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탈착 가능한 배율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분석부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9.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할 피부 부위를 설정하고, 상기 피부 부위를 촬영하여 피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부 이미지 생성 단계;
    상기 피부 부위별로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트러블 타입을 설정하고, 각각의 피부 트러블 타입별로 설정된 영역 추출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 및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상태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는,
    상기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소벨 에지(Sobel edge) 방식 또는 라플라시안 에지(Laplacian edge)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피부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트러블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이미지 생성 단계에서 분석할 피부 부위의 설정에 따라 분석할 피부 트러블 타입으로서,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기미, 잡티, 색소침착, 여드름 또는 다크스팟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되며,
    상기 트러블 영역 추출 단계에서는,
    상기 모공, 각질, 화이트 헤드, 블랙 헤드, 주름, 여드름 또는 다크스팟이 설정된 경우 소벨 에지 방식을 적용하고,
    상기 기미, 잡티 또는 색소침착이 설정된 경우 라플라시안 에지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추출된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피부 트러블 타입에 따라 보유된 피부 트러블 데이터를 기초로 트러블 샘플 데이터 대비, RGB 색상 기준치 범위 대비 또는 명암 기준치 범위 대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여 각각의 트러블 영역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트러블 샘프 데이터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블 영역 분석 단계는,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평균 색상값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피부 색상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거나
    각각의 트러블 영역에 대하여 명암을 추출하고 이를 피부 트러블 타입별 명암 기준치 범위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판단 단계는,
    각각의 상기 트러블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른 트러블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화장품 정보, 치료제 정보, 피부 관리 방법 정보 또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40054109A 2014-05-07 2014-05-07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64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09A KR101647318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09A KR101647318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708A Division KR101706373B1 (ko) 2016-01-18 2016-01-18 피부 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898A true KR20150127898A (ko) 2015-11-18
KR101647318B1 KR101647318B1 (ko) 2016-08-12

Family

ID=5483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09A KR101647318B1 (ko) 2014-05-07 2014-05-07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49A1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베이바이오텍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78299A (ko) 2017-12-26 2019-07-0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진단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2321B1 (ko) * 2021-03-12 2021-07-26 송호빈 천연물질 유래 타나카 성분을 함유하여 냉각과 자외선 블록 효능이 향상되고 기미와 주름을 개선하는 선크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3576421A (zh) * 2021-09-10 2021-11-02 广州帕克西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测肤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마스크형 피부 미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419A (ja) * 1999-06-14 2001-01-09 Procter & Gamble Co:The 肌のイメージング及び分析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KR101197863B1 (ko) * 2012-02-27 2012-11-0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진단을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3069122A (ja) * 2011-09-22 2013-04-18 Fujifilm Corp シワ検出方法、シワ検出装置およびシワ検出プログラム、並びに、シワ評価方法、シワ評価装置およびシワ評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419A (ja) * 1999-06-14 2001-01-09 Procter & Gamble Co:The 肌のイメージング及び分析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JP2013069122A (ja) * 2011-09-22 2013-04-18 Fujifilm Corp シワ検出方法、シワ検出装置およびシワ検出プログラム、並びに、シワ評価方法、シワ評価装置およびシワ評価プログラム
KR101197863B1 (ko) * 2012-02-27 2012-11-0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진단을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49A1 (ko)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 베이바이오텍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78299A (ko) 2017-12-26 2019-07-0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진단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2321B1 (ko) * 2021-03-12 2021-07-26 송호빈 천연물질 유래 타나카 성분을 함유하여 냉각과 자외선 블록 효능이 향상되고 기미와 주름을 개선하는 선크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3576421A (zh) * 2021-09-10 2021-11-02 广州帕克西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测肤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318B1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08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ducts and consultations
KR101870689B1 (ko) 영상 기반의 두피 진단 정보 제공 방법
WO2019100282A1 (zh) 一种人脸肤色识别方法、装置和智能终端
KR101647318B1 (ko) 휴대용 피부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CN111524080A (zh) 脸部皮肤特征的识别方法、终端及计算机设备
KR101733512B1 (ko) 얼굴 특징 기반의 가상 체험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80060B2 (ja) 肌状態解析方法、肌状態解析装置、肌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EP2945372A1 (en) Electronic mirror device
CN111062891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36407B (zh) 用于基于人类巩膜和瞳孔校正数字图像颜色的系统和方法
Kim et al. Evaluation of hair and scalp condition based on microscopy image analysis
CN111433861B (zh) 用于识别色素沉着过度的斑点的系统和方法
KR20130141285A (ko) 피부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적합 화장정보 제공 방법
Rosado et al. 12 From Dermoscopy to Mobile Teledermatology
JP200900041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23198073A1 (zh) 面部特征检测方法、可读介质和电子设备
KR101706373B1 (ko) 피부 상태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서비스 방법
US202203352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onymizing facial images
JP2017023474A (ja) 皮膚毛穴解析装置,皮膚毛穴解析方法および該装置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2011212307A (ja) 化粧肌評価装置、化粧肌評価方法、及び化粧肌評価プログラム
EP2928359A1 (en) Computerized iridodiagnosis
Ko et al. Image-processing based facial imperfection region detection and segmentation
JP2017205426A (ja) 心理状態評価用プログラム及び心理状態評価装置
CN113508438A (zh) 投影和测量系统
Kamble Foundation Makeup Shade Recommendation using Computer Vision Based on Skin Tone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