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784A -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784A
KR20150127784A KR1020120028216A KR20120028216A KR20150127784A KR 20150127784 A KR20150127784 A KR 20150127784A KR 1020120028216 A KR1020120028216 A KR 1020120028216A KR 20120028216 A KR20120028216 A KR 20120028216A KR 20150127784 A KR20150127784 A KR 2015012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try
zone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581B1 (ko
Inventor
조채환
강석연
이혜민
백승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랜(WLAN) 인증 장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Gateway)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구비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저장부에 무선랜 커버리지(Coverage) 및 펨토셀 커버리지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기 설정된 존(Zone)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존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입 확인부; 및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Cell)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상기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확인된 경우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출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Entry Specific Zone}
본 실시예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거시(Legacy) 단말기에서 통신을 위해 주변 장치와 연동하는 정보인 무선랜(WLAN) 인증 정보,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위치 등록 시 호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휴대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 측정 기술은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의 셀(Cell) 반경인 전파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 방식으로 분류된다.
즉, GPS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의 측위는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도, 경도, 고도로 구성된 3차원의 위치 및 시각편차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GPS 수신기가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현재위치와 시간정보를 측정한다. 하지만, GPS 측위는 GPS가 수신되지 않는 GPS 음영 지역에서는 측위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지국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는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는 셀 단위의 위치와, 해당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인접한 기지국들로부터의 근사적 거리로 추정한 위치를 파악한다. 한편,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는 각 기지국 단위의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단말기 위치를 측위하기 때문에 건물 단위의 구분과 같은 정밀한 측위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는 기지국 단위의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측위되므로 건물 구분과 같은 정밀한 측위가 어렵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추가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해야 하는데, 이러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개발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서비스 확산의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무선랜 AP,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특성을 이용하여 건물단위 구분이 가능한 측위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기에서 통신을 위해 주변 장치와 연동하는 정보인 무선랜 인증 정보,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위치 등록 시 호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랜(WLAN) 인증 장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Gateway)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구비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저장부에 무선랜 커버리지(Coverage) 및 펨토셀 커버리지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기 설정된 존(Zone)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존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입 확인부; 및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Cell)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상기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확인된 경우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출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진입 판별 장치에서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랜(WLAN) 인증 장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Gateway)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구비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과정;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저장부에 기 설정된 존(Zone)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존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입 확인 과정; 및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존에 상기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Cell)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상기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확인된 경우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출 판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에서 통신을 위해 주변 장치와 연동하는 정보인 무선랜 인증 정보,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위치 등록 시 호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거시 단말기만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불필요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네트워크(기지국) 기반 측위보다 더 정밀한 건물 단위의 존 기반 측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초소형 기지국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특정 존의 진입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Zone)의 진입 판별 시스템은 단말기(110), AP(Access Point)(122),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126),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이동통신망(130), 진입 판별 장치(140) 및 컨텐츠 제공자(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시스템이 단말기(110), AP(122),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126),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이동통신망(130), 진입 판별 장치(140) 및 컨텐츠 제공자(1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특정 존의 진입 판별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122), 초소형 기지국(126) 및 이동통신망(13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AP(122), 초소형 기지국(126) 및 이동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122), 초소형 기지국(126) 및 이동통신망(130)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는 진입 판별 장치(14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10)는 진입 판별 장치(140)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AP(122)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지정한 후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AP(122)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AP(122)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중계기 및 브릿지(Bridge)를 포함한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AP(122)는 각각의 사용자가 설치한 AP가 아닌 통신사에 설치한 AP를 말한다. 즉, 통신사에서는 이동통신망(130)과 별도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AP를 설치하고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신사 AP의 경우 설치 장소에 대한 정확한 위치값이 저장되어 있다.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일종의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로서, 연동하는 복수의 AP(1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식되는 단말기(110)가 해당 통신사 가입자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AP(122)로부터 단말기(110)가 인식되고, 해당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기(11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단말기(110)가 해당 통신사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110)의 인증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해당 인증 정보에 포함된 무선랜(WLAN) AP 맥 주소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때,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통신사 AP 인증 장치로서, 연동하는 복수의 통신사 AP(122)와 통신하며, 복수의 통신사 AP(122)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AP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가 통신사 가입자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인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연동하는 복수의 통신사 AP에 대한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단말기(110)의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인증 정보의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초소형 기지국(126)은 건물 내 소수의 가입자를 위한 커버리지를 설정하며, 이동통신망(130)과 별도의 IP 망을 통해 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150)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해당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즉, 초소형 기지국(126)은 IP 망을 통하여 통신 사업자의 이동통신 엑세스(Access)망, 및 코어(Core)망에 연결되며 해당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110)에 대한 음성 호 수발신 및 메시지 송수신 등의 전반적인 호 처리를 수행한다. 아울러, 초소형 기지국(126)은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 즉, 초소형 기지국(126)은 해당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110)의 해당 커버리지 진입을 감지하고, 수신된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기재된 초소형 기지국(126)은 펨토셀(Femtocell) 기지국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펨토셀이란, 건물 내에 설치되어 가령, 한 명 내지 네 명 정도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개인용 기지국을 말한다. 이러한, 펨토셀은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서비스를 지칭하며, DSL(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처럼 생긴 초소형 기지국을 건물 내 유무선 IP 망에 연결해 단말기(110)로 유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펨토셀 기지국은 옥내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이동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주파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펨토셀은 음성통화뿐 아니라 Wi-Fi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하나의 펨토셀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을 펨토셀 커버리지라 지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펨토셀 커버리지는 건물 안에서는 펨토셀 기지국이 서비스를 담당하고 건물을 벗어나면 외부(Out-Door)의 기지국이 서비스를 담당하게 된다. 하지만, 무선 매체의 특징상 이와 같이 명확한 커버리지의 구분이 어려우며, 외부의 기지국 커버리지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펨토셀의 커버리지는 외부의 기지국의 출력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는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에 대한 게이트웨이를 말한다. 이러한,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는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단말기(110)가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한편,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는 초소형 기지국(126)을 경유하여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 성공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을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는 펨토셀(Femtocell) 게이트웨이로서,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인 펨토셀 기지국과 통신하며,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초소형 기지국으로 단말기(110)가 위치 등록하는 경우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망(130)은 단말기(1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통신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영상 통화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망(130)은 복수의 전송기와 통신하며, 복수의 전송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송기로 단말기(110)가 위치 등록하는 경우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망(130)은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이동성 관리 엔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 장치(140)는 통신사에서 설치한 AP(122)에 대한 인증 정보 및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위치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존에 대한 실시간 진입 여부를 판별하고 이를 활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진입 판별 장치(140)는 통신사에서 설치한 AP(122)를 이용하는 경우, 가입자가 해당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시 인증 장치가 가입자(단말기) 인증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특정 존으로의 진입 이벤트로 판단하며, 이와는 별도로 초소형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위치 등록 정보를 특정 존의 진입 이벤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 판별 장치(140)가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과 연동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의 각 AP(122), 초소형 기지국(126) 및 이동통신망(130)의 기지국 단위로 서비스별/사용자별 존을 설정(조회/추가/삭제/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 또는 이동통신망(130)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진입 이벤트를 판단하는 데, 이때, 인증되거나 위치 등록한 단말기가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설정된 존과 일치하는 경우에 진입 이벤트로 판단한다. 만약, 다른 영역의 진입 이벤트로 확인되는 경우 진입 판별 장치(140)는 기존 진입한 존(설정되어 있는 존)에서의 진출 이벤트로 판단하며, 진입 이벤트 발생 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자(150)로 진입사실을 통보(필요시 SMS, MMS 등 통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 장치(140)는 단말기(110)와 통신하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구비된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저장부(240)에 기 설정된 존과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진입 판별 장치(140)는 해당 존 내에서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말기(110)가 다른 셀로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존은 AP(122)의 커버리지인 무선랜 커버리지 및 초소형 기지국(126)의 커버리지인 초소형 기지국 커버리지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진입 판별 장치(140)가 해당 존에서 진출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기(110)가 다른 셀로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입 이벤트를 진출 이벤트로 변경한다. 한편, 진입 판별 장치(140)는 존 내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존 내의 해당 셀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진입 판별 장치(140)가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Mobile Directory Number), 단말 맥 주소(MAC Address) 정보,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가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가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한편,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전에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 판별하며, 서비스 등록 가입자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한해서만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진입 판별 장치(140)가 저장하는 정보에 대해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구비된 저장부(240)에 무선랜 인증 장치(124)와 연동하는 복수의 AP에 대한 각각의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와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에 대한 각각의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130)과 연동하는 복수의 전송기에 대한 각각의 전송기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제 1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1 AP 설치 위치 정보, 제 2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2 AP 설치 위치 정보 ... 제 N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N AP 설치 위치 정보, 제 1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 제 N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N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제 1 전송기 셀 ID 정보: 제 1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제 2 전송기 셀 ID 정보: 제 2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 제 N 전송기 셀 ID 정보: 제 N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가 특정 존에 발생한 진입 이벤트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진입 판별 장치(140)는 해당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150)로 하여금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메시지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쿠폰 서비스, 광고 서비스, 할인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모두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진입 이벤트를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컨텐츠 제공자(150)는 CP(Contents Provider)로서, 광고 제공자 또는 쿠폰 제공자와 같은 다양한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자(150)는 측위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입 판별 장치(140)는 가입자 판별부(210), 정보 수집부(220), 위치 결정부(230), 저장부(240), 존 진입 확인부(250), 존 진출 판별부(260) 및 메시지 전송부(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입 판별 장치(140)가 가입자 판별부(210), 정보 수집부(220), 위치 결정부(230), 저장부(240), 존 진입 확인부(250), 존 진출 판별부(260) 및 메시지 전송부(27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진입 판별 장치(14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가입자 판별부(210)는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110)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 판별한다.
정보 수집부(220)는 단말기(110)와 통신하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정보 수집부(220)가 무선랜 인증 장치(124)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정보 수집부(22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단말 맥 주소 정보,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220)가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정보 수집부(22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220)가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정보 수집부(220)는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한편, 정보 수집부(220)는 가입자 판별부(210)를 통해 서비스 등록 가입자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판별된 단말기에 한해서만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
위치 결정부(230)는 구비된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수집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저장부(2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와 연동하는 복수의 AP(122)에 대한 각각의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와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에 대한 각각의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130)과 연동하는 복수의 전송기에 대한 각각의 전송기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서, 저장부(240)는 제 1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1 AP 설치 위치 정보, 제 2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2 AP 설치 위치 정보 ... 제 N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제 N AP 설치 위치 정보, 제 1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2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 제 N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제 N 초소형 기지국 설치 위치 정보, 제 1 전송기 셀 ID 정보: 제 1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제 2 전송기 셀 ID 정보: 제 2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 제 N 전송기 셀 ID 정보: 제 N 전송기 설치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존 진입 확인부(250)는 저장부(240)에 기 설정된 존과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해당 존과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존은 AP(122)에 대한 커버리지인 무선랜 커버리지 및 초소형 기지국(126)에 대한 커버리지인 펨토셀 커버리지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존 진출 판별부(260)는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의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 여부를 확인한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진출 이벤트를 판별한다. 즉, 존 진출 판별부(260)는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진입 이벤트를 진출 이벤트로 변경한다. 또한, 존 진출 판별부(260)는 존 내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존 내의 해당 셀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메시지 전송부(270)는 존 진입 확인부(250)를 통해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메시지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전에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데,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 판별한다(S310). 단계 S310의 확인 결과, 기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진입 판별 장치(140)는 서비스 등록 가입자로 판별하며, 서비스 등록 가입자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한해서만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단말기(110)와 통신하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 및 이동통신망(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한다(S320). 단계 S320에서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단말 맥 주소 정보,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20에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IMSI),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20에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구비된 저장부(24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S330). 이때, 단계 S330에서 진입 판별 장치(140)가 저장하는 정보로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와 연동하는 복수의 AP에 대한 각각의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와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126)에 대한 각각의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130)과 연동하는 복수의 전송기에 대한 각각의 전송기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저장부(240)에 기 설정된 존과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340). 진입 판별 장치(140)는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350). 단계 S350의 확인 결과,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의 발생한 경우, 진입 판별 장치(140)는 진입 이벤트를 진출 이벤트로 변경한다(S360). 한편, 단계 S350의 확인 결과, 존 내에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진입 판별 장치(140)는 존 내에 다른 셀에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존 내의 해당 셀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370).
진입 판별 장치(140)는 특정 존에 발생한 진입 이벤트 또는 진출 이벤트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존에 진입 이벤트 또는 진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150)로 하여금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메시지를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380). 이때,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쿠폰 서비스, 광고 서비스, 할인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8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초소형 기지국 및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특정 존의 진입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소형 기지국(126)이 펨토셀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고,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가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인 것으로 가정하고, 초소형 기지국(126)이 '대형 건물', '쇼핑 시설'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데,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IMSI),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펨토셀)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초소형(펨토셀) 기지국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다시 말해, 진입 판별 장치(140)가 펨토셀 기지국을 통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가입자가 기 설정된 펨토셀 영역(대형 건물, 쇼핑 시설) 진입 시 단말기가 자동으로 올리는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하여, 이를 위치 기반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는 단말기(110)가 해당 초소형 기지국(126)인 펨토셀 기지국을 통해 위치 등록한 수행 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와 진입 판별 장치(140) 간의 위치 등록 정보의 전송주기는 주기적으로 설정하거나, 이벤트가 발생시(위치 등록 수행시) 즉시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가 위치 등록 정보를 교환국으로 전송하면서, 진입 판별 장치(140)로 동시에 복사(Copy)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이때, 진입 판별 장치(140)가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126)인 펨토셀 기지국의 단위로 서비스별/사용자별 존 설정(조회/추가/삭제/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128)인 펨토셀 기지국 게이트웨이로부터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진입 이벤트를 판단하며, 이때, 위치 등록한 단말기가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설정된 존과 일치하는 경우에 진입 이벤트로 판단한다. 만약, 다른 영역의 진입 이벤트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진입한 존(설정되어 있는 존)에서의 진출 이벤트로 판단하며, 진입 이벤트 발생 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자(150)로 진입사실을 통보(필요시 SMS, MMS 등 통보)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122)가 통신사 Wi-Fi AP인 제 1 AP 내지 제 N AP인 것으로 가정하고, 무선랜 인증 장치(124)가 통신사 Wi-Fi AP 인증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고, AP(122)가 '대형 건물', '쇼핑 시설'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데,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단말 맥 주소 정보, 무선랜(Wi-Fi) AP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무선랜(Wi-Fi) AP 맥 주소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즉, 진입 판별 장치(140)가 통신사 Wi-Fi AP를 통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랜 인증 장치(124)는 단말기(110)의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 수행 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를 인증 정보에 포함하여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랜 인증 장치(124)와 진입 판별 장치(140) 간의 위치 등록 정보의 전송주기는 주기적으로 설정하거나, 이벤트가 발생시(인증 수행시) 즉시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진입 판별 장치(140)가 무선랜 인증 장치(124)와 연동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AP(122)의 단위로 서비스별/사용자별 존 설정(조회/추가/삭제/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는 무선랜 인증 장치(124)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진입 이벤트를 판단하며, 이때, 인증된 단말기가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설정된 존과 일치하는 경우에 진입 이벤트로 판단한다. 만약, 다른 영역의 진입 이벤트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진입한 존(설정되어 있는 존)에서의 진출 이벤트로 판단하며, 진입 이벤트 발생 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자(150)로 진입사실을 통보(필요시 SMS, MMS 등 통보)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판별 장치(140)는 AP(122), 초소형 기지국(126)인 펨토셀 기지국과 더불어 이동통신망(130)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데, 진입 판별 장치(140)는 이동통신망(130)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각 장치의 식별 정보로 수집한다. 이때, 이동통신망(130)은 교환국, 이동성 관리 엔터티, 홈 위치 등록기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한다.
진입 판별 장치(140)가 이동통신망(130)을 통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망(130)에 포함된 각 장치(교환국, 이동성 관리 엔터티, 홈 위치 등록기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가입자가 기 설정된 영역(기지국 주변) 진입 시 단말기가 자동으로 올리는 위치 등록 정보를 진입 판별 장치(140)로 실시간 전송하여, 이를 위치 기반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망(130)은 단말기(110)가 해당 기지국을 통해 위치 등록한 수행 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 여부를 포함하여 진입 판별 장치(14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망(130)과 진입 판별 장치(140) 간의 위치 등록 정보의 전송주기는 주기적으로 설정하거나, 이벤트가 발생시(위치 등록 수행시) 즉시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망(130)이 위치 등록 정보를 교환국으로 전송하면서, 진입 판별 장치(140)로 동시에 복사(Copy)하여 전송하는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이때, 진입 판별 장치(140)가 이동통신망(130)과 연동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진입 판별 장치(140)는 이동통신망(130)의 각 기지국의 단위로 서비스별/사용자별 존 설정(조회/추가/삭제/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입 판별 장치(140)는 이동통신망(130)의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진입 이벤트를 판단하며, 이때, 위치 등록한 단말기가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설정된 존과 일치하는 경우에 진입 이벤트로 판단한다. 만약, 다른 영역의 진입 이벤트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기존 진입한 존(설정되어 있는 존)에서의 진출 이벤트로 판단하며, 진입 이벤트 발생 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해 해당 컨텐츠 제공자(150)로 진입사실을 통보(필요시 SMS, MMS 등 통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특정 존으로의 진입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레거시 단말기만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네트워크 상에 불필요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단말기 122: AP
124: 무선랜 인증 장치 126: 초소형 기지국
128: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 130: 이동통신망
140: 진입 판별 장치 150: CP
210: 가입자 판별부 220: 정보 수집부
230: 위치 결정부 240: 저장부
250: 존 진입 확인부 260: 존 진출 판별부
270: 메시지 전송부

Claims (11)

  1.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랜(WLAN) 인증 장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Gateway)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구비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저장부에 무선랜 커버리지(Coverage) 및 펨토셀 커버리지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기 설정된 존(Zone)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존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입 확인부; 및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Cell)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상기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확인된 경우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출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무선랜 인증 장치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Mobile Directory Number), 단말 맥 주소(MAC Address) 정보, 무선랜 AP(Access Point)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되,
    상기 무선랜 인증 장치는 복수의 AP과 통신하며, 복수의 AP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AP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한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며 통신사와 연동하는 복수의 AP에 대한 상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며,
    상기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는 펨토셀(Femtocell) 게이트웨이로서, 복수의 펨토셀 기지국과 통신하며, 상기 복수의 펨토셀 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펨토셀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 등록하는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정보를 상기 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며,
    상기 이동통신망은 복수의 전송기와 통신하며, 상기 복수의 전송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송기로 상기 단말기가 위치 등록하는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정보를 상기 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무선랜 인증 장치와 연동하는 복수의 AP에 대한 각각의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복수의 초소형 기지국에 대한 각각의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동하는 복수의 전송기에 대한 각각의 전송기 셀 ID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서비스 가입자 정보와 상기 단말기에 대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 판별하는 가입자 판별부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서비스 등록 가입자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한해서만 상기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 진입 확인부를 통해 상기 존에 상기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 기반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판별 장치.
  8. 진입 판별 장치에서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랜(WLAN) 인증 장치,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Gateway) 및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인증 또는 위치 등록을 통해 획득된 각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과정;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구비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과정;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저장부에 기 설정된 존(Zone)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존과 상기 현재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존에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입 확인 과정; 및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존에 상기 진입 이벤트 이외에 다른 셀(Cell)에 대한 기존 진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이동 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진출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상기 기존 진입 이벤트가 미확인된 경우 상기 존에서 상기 진입 이벤트만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존 진출 판별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무선랜 인증 장치로부터 가입자 식별 정보(MDN: Mobile Directory Number), 단말 맥 주소(MAC Address) 정보,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 및 인증 접속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무선랜 AP 맥 주소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초소형 기지국 게이트웨이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해당 초소형 기지국 셀 ID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과정은,
    상기 진입 판별 장치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단말 식별 정보, 위치 등록 시간 정보 및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등록 정보에 대한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해당 전송기 셀 ID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KR1020120028216A 2012-03-20 2012-03-20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90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16A KR101905581B1 (ko) 2012-03-20 2012-03-20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16A KR101905581B1 (ko) 2012-03-20 2012-03-20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784A true KR20150127784A (ko) 2015-11-18
KR101905581B1 KR101905581B1 (ko) 2018-10-08

Family

ID=5483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16A KR101905581B1 (ko) 2012-03-20 2012-03-20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930B2 (en) 2006-11-30 2011-06-28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based on a location of a multi-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581B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2554B1 (en) Controlling the use of access poin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2071888B1 (en) Femtocell location
KR101361821B1 (ko) 모바일카드 결제 시스템과 연동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US201002324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ccess point
TWI446801B (zh) 毫微微型存取點及利用其保護用戶安全之方法
US91377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information
US113172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cellular devices and non-SIM devices for accessing a Wi-Fi access point using a cloud platform
CN106664564B (zh) 一种小基站及小基站用户认证的方法
KR101845914B1 (ko)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N104782100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匿名配对设备发现的装置和方法
JP6009242B2 (ja) ユーザ所有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第三者の無線端末を接続させる認証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39220A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SERVICES IN WiMAX NETWORK
KR101905581B1 (ko) 특정 존의 진입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07000250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재난 대피 서비스 방법
JP6266064B2 (ja) ユーザ所有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第三者の無線端末を接続させる認証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プログラム
WO2011055129A1 (en) Identity acquisition of mobile station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4105055A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JP6749882B2 (ja) 移動管理装置と連携したシステムのユーザ識別方法、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66063B2 (ja) ユーザ所有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第三者の無線端末を接続させる認証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プログラム
CN103888899A (zh) 一种提供增值业务的方法及装置
CN115396505B (zh) 基于路由器的消息通知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2015027064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6266062B2 (ja) ユーザ所有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第三者の無線端末を接続させる認証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プログラム
US10499360B2 (en) Passive wireless electronics detection system
JP6382697B2 (ja) オープンモードフェムトセルを実施する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smsの受信者である移動ユーザー機器の精細なロケ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