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895A -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 Google Patents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895A
KR20150125895A KR1020140146447A KR20140146447A KR20150125895A KR 20150125895 A KR20150125895 A KR 20150125895A KR 1020140146447 A KR1020140146447 A KR 1020140146447A KR 20140146447 A KR20140146447 A KR 20140146447A KR 20150125895 A KR20150125895 A KR 20150125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ose
hollow
shower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정휴
Original Assignee
변정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휴 filed Critical 변정휴
Publication of KR2015012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03C1/0407Spouts for unpressurized outflow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따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에서 각각 공급받은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의 중공으로 분리된 상태로 이송받고, 이송받은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의 상부에 장착된 몸체뚜껑의 냉수분출공과 온수분출공을 통하여 각각 분출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서 냉수와 온수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호스를 통하여 공급받기 때문에, 수전금구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관의 불규칙한 수압에 의하여도 일정한 압력을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까지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샤워기에 공급된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 내부의 중공에서 혼합하지 않고, 내관과 중공로를 통하여 별도로 이송한 후 몸체뚜껑에 구비된 냉수분출공과 온수분출공으로 독립하여 분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냉수와 온수의 독립적인 분출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일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Shower apparatus of independent efusion type for cold water and hot water}
본 발명은 호스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따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에서 각각 공급받은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의 중공으로 분리된 상태로 이송받고, 이송받은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의 상부에 장착된 몸체뚜껑의 냉수분출공과 온수분출공을 통하여 각각 분출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인 수전금구는 건물 또는 시설물에 장착된 메인공급관으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고, 수전금구의 카트리지 내부에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일정온도의 물을 만든 후, 호스 또는 배출구로 토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방식의 수전금구는 메인공급관에 가해지는 냉수 또는 온수의 수압에 비하여 수전금구에서 토출되는 수압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메인공급관인 냉수관의 수압 또는 온수관의 수압의 상대적인 수압차이에 의하여 수전금구에는 냉수만 또는 온수만 공급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다가 메인공급관인 냉수관의 수압 또는 온수관의 수압변화가 생기면, 냉수 또는 온수만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일예로 메인공급관인 냉수관과 온수관의 수압이 서로 평형을 이루어 메인 수전금구에서 냉수와 온수가 일정하게 공급되어 미지근한 물로 혼합되다가, 메인공급관과 연결된 다른 수전금구에서 온수(또는 냉수)만을 사용할 경우,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의 수압에 비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관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강해져, 메인 수전금구에는 냉수만이 공급되어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냉수와 온수를 공급받은 후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지 아니하고, 냉수와 온수의 이송 양만을 조절하여 독립적으로 호스 또는 토출구로 공급하는 수전금구가 개발되었고, 그에 따라 호스와 연결된 샤워기가 개발되었다.
즉, 상기와 같이 수전금구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공급받은 샤워기는 일반적으로 샤워기 내부에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한 후, 샤워기의 외부로 분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은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공급받는 샤워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0358028호(2004.07.26)는 개량형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로부터 그 내부로 온수 및 냉수 파이프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온수 및 냉수 경로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부에 토출관이 형성되며, 상부에 냉/온수 유통튜브가 결합되어 유입된 냉/온수를 각각 별도로 외부 토출시키는 샤워기 하우징과; 상기 샤워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어 토출되는 냉수 및 온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물세기 조절레버와; 상기 샤워기 하우징의 상부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냉수 및 온수 튜브가 수용된 냉ㆍ온수 유통튜브와; 상기 냉ㆍ온수 유통튜브에 그 하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냉ㆍ온수 유통튜브 내부에 구비된 냉수 및 온수튜브와 각각 별도로 연결되어 냉수 및 온수를 각각 그 내부에서 조절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샤워기 헤드와; 상기 샤워기 헤드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토출되는 냉수 및 온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냉/온수 조절레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종래 샤워기는 사용자가 샤워중이나 욕조에서 머리를 감을 때, 또는 얼굴에 비누칠은 한 상태에서도 냉수 및 온수의 비율을 용이하게 샤워기 헤드에 형성된 레버를 통해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냉ㆍ온수의 토출비율이 설정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주택이라고 할지라도 신속하게 냉/온수비율을 재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샤워기는 샤워기 헤드의 내부공간에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후 외부로 토출되기 때문에, 샤워기헤드 내부에서의 냉수와 온수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규칙한 온도의 혼합수가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 제20-0358028호(2004.07.26)
본 발명은 샤워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샤워기는 수전금구에 의하여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분출하기 때문에, 수전금구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관의 불규칙한 수압에 의하여 혼합수의 온도조절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샤워기까지는 냉수와 온수가 독립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샤워기의 내부에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후 샤워기의 외부로 분출되기 때문에, 샤워기 내부에서의 냉수와 온수의 혼합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규칙한 온도의 혼합수가 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에는 제1공실이 구성되고, 상기 제1공실과 하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는 호스의 온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내관을 구비하며, 내관 이외의 중공부분인 중공로로 호스에서 냉수를 공급받는 샤워기몸체와; 상기 제1공실의 전방을 밀폐하며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제1공실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분출공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복수 개의 돌출핀을 구비하며, 내관과 연결되어 온수를 하기 제2공실로 공급하는 온수연결관을 구비하는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의 전방에 해당하는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판과 이격되어 제2공실을 형성시키며, 분출공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냉수분출공과 제2공실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온수분출공을 구비하는 몸체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는 수전금구에서 냉수와 온수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호스를 통하여 공급받기 때문에, 수전금구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관의 불규칙한 수압에 의하여도 일정한 압력을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까지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샤워기에 공급된 냉수와 온수를 샤워기몸체 내부의 중공에서 혼합하지 않고, 내관과 중공로를 통하여 별도로 이송한 후 몸체뚜껑에 구비된 냉수분출공과 온수분출공으로 독립하여 분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냉수와 온수의 독립적인 분출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일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나타내는 A 부분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타나새는 부분 분리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의 몸체뚜껑과 분리판을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의 몸체뚜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를 나타내는 B 부분상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의 몸체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의 호스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호스(70)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따로 공급받아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제1공실(40)이 구성되고, 상기 제1공실(40)과 하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는 호스(70)의 온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내관(11)을 구비하며, 내관(11) 이외의 중공부분인 중공로(12)로 호스(70)에서 냉수를 공급받는 샤워기몸체(10)와; 상기 제1공실(40)의 전방을 밀폐하며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제1공실(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분출공(2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복수 개의 돌출핀(21)을 구비하며, 내관(11)과 연결되어 온수를 하기 제2공실(41)로 공급하는 온수연결관(23)을 구비하는 분리판(20)과; 상기 분리판(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판(20)과 이격되어 제2공실(41)을 형성시키며, 분출공(22)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냉수분출공(31)과 제2공실(41)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온수분출공(32)을 구비하는 몸체뚜껑(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는 도 1과 같이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지 아니하고 분리하여 공급하는 수전금구에 연결된 호스(70) 또는 바(Bar) 형태의 수도관(이하, '호스(70)'라 칭함.)과 하부가 연결된다. 이때, 호스(70)는 수전금구에서 냉수와 온수를 따로 공급받고, 호스(70)의 내부에는 냉수와 온수가 이송되는 통로가 분리되어 구성되며, 호스(70)의 외부에는 호스(70)를 보호하기 위한 메탈처리가 되거나 호스(70) 자체가 금속관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샤워기와 연결되는 호스(70)는 냉수와 온수를 분리하여 샤워기에 공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샤워기몸체(10)는 도 2 또는 3과 같이, 상부에는 제1공실(40)이 구성되고, 상기 제1공실(40)과 하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는 호스(70)의 온수공급관(하기의 '호스내관(72)'과 대응됨.)과 연결되는 내관(11)을 구비하며, 내관(11) 이외의 중공부분인 중공로(12)로 호스(70)에서 냉수를 공급받는 구성으로서, 샤워기의 사용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거치대에 샤워기를 거치시킬 때에는 샤워기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샤워기몸체(10)의 하부는 호스(70)와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를 구분하여 공급받고,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통되는 중공 및 중공에 내입된 내관(11)은 호스(70)에서 공급받은 냉수와 온수를 분리하여 샤워기몸체(10) 상부에 구성된 제1공실(40) 및 하기의 제2공실(41)로 냉수와 온수를 구분하여 공급한다.
또한, 샤워기몸체(10)의 중공에 내입되는 내관(11)은 호스(70)의 온수공급관과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고, 샤워기몸체(10)의 중공에서 내관(11)을 제외한 중공의 나머지부분에 해당하는 중공로(12)로는 호스(70)에서 냉수를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내관(11)은 온수를 대신하여 냉수를 공급받아 하기의 제2공실(41)로 이송할 수도 있고, 상기 중공로(12)는 냉수를 대신하여 온수를 공급받아 제1공실(40)로 이송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내관(11)을 통하여 온수가 이송되고, 중공로(12)를 통하여 냉수가 공급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아울러 상기 제1공실(40)은 샤워기몸체(10)의 상부에 구성된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중공(보다 정확하게는 중공로(12))에서 공급받은 냉수를 일시적으로 머무르게 하는 공간이다. 이때, 제1공실(40)의 내경 및 단면적보다 큰 내경 및 단면적을 가져 일정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하기 분리판(20)으로의 냉수공급을 원활하게 확보하고, 하기 분리판(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출공(22)을 통하여 샤워기의 외부로 분출되는 냉수의 분출압을 분출공(22) 모두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 분출되는 냉수가 넓은 면적임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내관(11)은 중공에 내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온수를 이송하기 때문에, 중공로(12)로 이송되는 냉수에 대한 온수의 열교환 효과를 발휘하여, 중공로(12)로 이송되는 냉수를 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호스(70)와 샤워기몸체(10)의 하부 간의 연결은 회전식 연결 또는 끼움식 연결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성가능하다.
아울러 분리판(20)은 도 2 또는 3과 같이 상기 제1공실(40)의 전방을 밀폐하며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제1공실(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분출공(2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복수 개의 돌출핀(21)을 구비하며, 내관(11)과 연결되어 온수를 하기 제2공실(41)로 공급하는 온수연결관(23)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제1공실(40)과 제2공실(41)을 구분시키는 구성이다.
즉, 분리판(20)은 도 4와 같이 샤워기몸체(10)의 상부에 구성된 제1공실(40)의 전방에 대응되는 형태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제1공실(40)에 채워진 냉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분리판(20)에 구비된 돌출핀(21)은 분리판(20)과 일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분리판(20)의 전방에 장착되는 하기의 몸체뚜껑(30)의 배면에 맞닿을 정도로 돌출되고, 돌출핀(21)의 중앙에는 분출공(22)이 형성되어 분리판(20)의 뒤쪽의 공간에 해당하는 제1공실(40)에 채워진 냉수를 분리판(20)의 앞쪽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돌출핀(21)은 하기의 제2공실(41)과 분출공(22)이 연통되지 않도록 하여, 분출공(22)으로 이송되는 냉수가 제2공실(41)에 채워진 온수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하기의 몸체뚜껑(3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하고,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샤워기에서 분출되는 냉수가 돌출핀(21)의 분출공(22)과 대응하는 개수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돌출핀(21)의 분출공(22)으로 이송된 냉수는 하기의 몸체뚜껑(30)을 통과한 후, 물줄기를 형성하며 샤워기의 외부로 직접 분출된다.
아울러 분리판(20)에 구비되는 온수연결관(23)은 도 4 내지 6과 같이 분리판(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에 해당하는 분리판(20)의 일정 부분에 일측이 연결되고, 제1공실(40)에 위치된 내관(11)의 상부 말단이 온수연결관(23)의 타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온수연결관(23)은 내관(11)을 통하여 이송된 온수가 중공로(12) 또는 제1공실(40)에 채워진 냉수와 혼합되지 않는 상태로 제2공실(41)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온수연결관(23)을 통하여 제2공실(41)로 이송된 온수는 분리판(20)의 전방부분에 위치된 제2공실(41) 전체에 채워진다.
아울러 몸체뚜껑(30)은 도 2 또는 3과 같이, 상기 분리판(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판(20)과 이격되어 제2공실(41)을 형성시키며, 분출공(22)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냉수분출공(31)과 제2공실(41)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온수분출공(3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분리판(20)과 더불어 제2공실(41)을 형성하고 제1공실(40)과 제2공실(41)에 각각 채워진 냉수와 온수를 이송받아 샤워기의 외부로 분출시키는 구성이다.
즉, 몸체뚜껑(30)은 분리판(20)을 아우를 수 있은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분리판(20) 또는 샤워기 상부의 제1공실(40)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외주가 맞닿으며 체결된다. 또한 몸체뚜껑(30)에는 몸체뚜껑(30)의 후방에서 전방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구멍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멍 중 돌출핀(21)의 분출공(22)과 연결되는 것은 온수분출공(32)에 해당하고, 제2공실(41)과 연통되는 것은 냉수분출공(31)에 해당한다.
이때, 온수분출공(32)이 위치되는 몸체뚜껑(30)의 후방에는 돌출핀(21)의 전방 말단이 몸체뚜껑(30)의 후방에 끼워지는 체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몸체뚜껑(30)의 홈과 돌출핀(21)의 체결은 수밀성을 확보하여 돌출핀(21)의 분출공(22)으로 이송되는 냉수가 제2공실(41)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냉수분출공(31)과 온수분출공(32)은 제1공실(40)에 채워진 냉수와 제2공실(41)에 채워진 온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샤워기의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공실(40)이 형성된 샤워기몸체(10)와 분리판(20) 사이, 분리판(20)과 몸체뚜껑(30)의 사이 또는 샤워기몸체(10)와 몸체뚜껑(30)의 사이에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압착패킹이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샤워기몸체(10), 분리판(20) 및 몸체뚜껑(30)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하여 볼트 체결방식 또는 끼움 체결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 역시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뚜껑(30)의 전방면에는 도 4 또는 7과 같이, 장공으로 파인 분출홈(33)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분출홈(33)에는 냉수분출공(31)과 온수분출공(32) 하나씩이 한 쌍을 이루며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출홈(33)은 도 4의 부분상세도 및 도 7과 같이 몸체뚜껑(30) 전방면에서 일정 깊이로 들어가고, 냉수분출공(31)과 온수분출공(32) 하나씩이 분출홈(33)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때, 분출홈(33)은 분출홈(33) 내에서 냉수와 온수가 냉수분출공(31) 및 온수분출공(32)을 통하여 각각 분출될 때 분출홈(33)의 깊이에 의하여 형성된 단턱에 의하여 냉수와 온수가 일부 혼합되며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온수가 분출홈(33)에서 흐르는 정도의 적은 양으로 온수분출공(32)에서 배출되고, 냉수는 냉수분출홈(33)에서 분출될 정도의 많은 양으로 배출되는 경우에 분출홈(33) 내에 흘러서 채워진 온수가 냉수분출홈(33)에서 분출되는 냉수를 따라 냉수와 혼합되며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상기와 반대의 경우도 적용가능 함.).
아울러 샤워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호스(70)는 도 8과 같이, 호스외관(71)과 상기 호스외관(7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는 호스내관(72)이 결합된 이중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호스내관(72)으로는 온수가 이송되고, 호스외관(71)의 내부공간 중 호스내관(72) 이외의 부분으로 냉수가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샤워기의 하단에 연결되는 호스(70)는 냉수와 온수를 구분하여 샤워기의 중공로(12)와 내관(11)으로 공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와 같이 이중관 형태로 구성되어 온수는 호스내관(72)으로 이송되어 호스내관(72)과 연결되는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으로 공급되고, 냉수는 호스외관(71)의 내부공간 중 호스내관(72) 이외의 부분으로 이송되어 샤워기몸체(10)의 중공로(1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호스(70)가 호스외관(71)과 호스내관(72)으로 구분되어 냉수와 온수를 이송하는 경우에 샤워기몸체(10)의 하부 또는 호스(70)의 말단(케이싱(73)에 해당함.)에는 몸체연결부재(50) 또는 호스연결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하여, 호스내관(72)과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 및 호스외관(71)과 샤워기몸체(10)의 중공로(12)를 긴밀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호스외관(71)에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체결되는 케이싱(73)이 구비되고; 상기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는, 상단은 샤워기몸체(10)의 하부 중공에 내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케이싱(73)의 내부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몸체연결구(51)와; 호스내관(72)과 하부가 연결되고 내관(11)과 상부가 연결되며, 외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가이드바(52)를 방사형으로 구비하며, 가이드바(52)에 의하여 상기 몸체연결구(51) 중공의 내부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몸체연결구(51)의 중공에 내입되는 중공의 내관연결구(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연결부재(50)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 몸체연결부재(50)가 더 포함되는 경우로서, 우선 호스외관(71)에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호스(70)의 체결을 형성시키는 케이싱(73)이 구비된다. 이때, 케이싱(73)의 하부는 호스외관(71) 말단에 체결되는데, 호스(70) 말단에는 케이싱(73)이 호스(70) 말단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간격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호스(70)와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74)이 끼워질 수도 있고, 상기 소켓(74)의 상부는 케이싱(73)의 하부와 단턱에 의하여 걸림 체결을 형성한다.
아울러 케이싱(73)의 상부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체결되는데, 케이싱(73)의 상부 내측과 샤워기몸체(10)의 하부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케이싱(73)과 샤워기몸체(10) 간의 체결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73)의 상부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 직접체결되지 않고 샤워기몸체(10) 하부의 중공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몸체연결구(51)와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몸체연결부재(50)는 몸체연결구(51)와 내관연결구(5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연결구(51)는 상단이 샤워기몸체(10)의 하부 중공에 내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케이싱(73)의 내부에 내입되어 고정되며,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연결구(51)는 샤워기몸체(10)와 케이싱(73)을 서로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에 형성된 중공으로 하기위 내관연결구(55)를 관통시키고, 내관연결구(55)와 몸체연결구(51) 중공면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냉수를 이송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즉, 상기 내관연결구(55)는 도 8 또는 9와 같이 중공을 가지는 관형태로 구성되어, 하부는 호스내관(72)(또는 호스연결부재(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호스연결부재(60)의 내부연결구(63))과 연결되고, 상부는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과 연결된다. 이때, 내관연결구(55)의 외부에는 내관연결구(55)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바(5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52)는 몸체연결구(51)의 중공에 내입되는 내관연결구(55)가 몸체연결구(51)의 중공 중앙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몸체연결구(51)의 중공의 내부면과 내관연결구(55)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고, 이격된 공간으로 호스(70)의 내부공간(호스내관(72) 이외의 부분)으로 이송되는 냉수가 샤워기몸체(10)의 중공로(12)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시킨다.
또한 복수 개의 가이드바(52)의 외측에는 링형태의 보조 가이드바(53)가 복수 개의 가이드바(52)를 아우를 수 있도록 구비되어, 몸체연결구(51)의 중공 내에서 내관연결구(55)가 흔들림 없이 내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몸체연결구(51)의 중공에는 내관연결구(55)의 가이드바(52)(또는 보조 가이드바(53))와 걸림을 형성하는 단턱이 구비되어 내관연결구(55)가 샤워기몸체(10)의 중공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호스외관(71)에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체결되는 케이싱(73)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73)의 내부에는, 호스외관(71)과 하부가 연결되는 중공의 외부연결구(61)와; 상기 외부연결구(61)의 외부에 체결되는 링형태의 외부패킹(62)과; 호스내관(72)과 하부가 연결되고, 외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가이드바(64)를 방사형으로 구비하며, 가이드바(64)에 의하여 상기 외부연결구(61) 중공의 내부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외부연결구(61)의 중공에 내입되는 중공의 내부연결구(63)와; 상기 내부연결구(63)의 내부에 체결되는 링형태의 내부패킹(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스연결부재(60)가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는 호스(70)에 장착되는 케이싱(73)의 내부에 호스연결부재(60)가 더 포함되는 경우로서, 상기 내부연결구(63)의 중공으로는 호스내관(72)으로부터 온수를 공급받고, 외부연결구(61)의 중공(내부연결구(63)를 제외한 부분)으로는 호스(70)의 중공(호스내관(72)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과 중공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연결구(61)는 도 8 또는 10과 같이 하부가 호스외관(71)과 연결되고, 중공에는 내부연결구(63)를 내입시킨다. 이때, 외부연결구(61)의 중공 내부면과 내부연결구(63)의 외부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호스(7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다.
또한 외부연결구(61)의 외부에는 링형태의 외부패킹(62)이 체결되는데, 상기 외부패킹(62)은 외부연결구(61)와 케이싱(73) 내부면 간의 밀착력을 확보하여 냉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외부연결구(61)의 외부에는 패킹홈이 구비되어 링형태의 외부패킹(62)이 외부연결구(61)에 긴밀하게 끼워지며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내부연결구(63)는 호스내관(72)과 하부가 연결되고, 외부에는 내부연결구(63)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가이드바(64) 복수 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호스내관(72)과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또는 몸체연결부재(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몸체연결부재(50)의 내관연결구(55))을 서로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바(64)는 상기 몸체연결부재(50)의 내관연결구(55)의 가이드바(52)와 동일한 원리로서, 외부연결구(61)의 중공 내부면과 내부연결구(63)의 외부면을 서로 이격시켜 냉수가 이송될 수 있는 일정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바(64)를 아우르는 링형태의 보조 가이드바(미도시)가 가이드바(64)의 외주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링형태의 내부패킹(66)은 도 8과 같이 내부연결구(63)의 내부에 체결되어 내부연결구(63)와 연결되는 내관(11)의 하부 말단(또는 몸체연결부재(50)의 내관연결구(55)의 하부 말단)이 내부연결구(63)의 중공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내부연결구(63)에서 내관(11)(또는 몸체연결부재(50)의 내관연결구(55))으로 이송되는 온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내부연결구(63)의 중공에는 패킹홈이 구성되어 패킹홈이 구비되어 링형태의 내부패킹(66)이 내부연결구(63)에 긴밀하게 끼워지며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성의 몸체연결부재(50)와 호스연결부재(60)는 둘 중 어느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고, 둘 다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에서 분출되는 냉수와 온수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전금구와 연결된 호스(70)는 이중관 형태로 구성되고, 호스내관(72)에는 온수가 이송되고, 호스외관(71)의 중공에는 호스내관(72)을 제외한 내부공간으로 냉수가 이송된다.
또한 호스(70)로 이송되는 냉수는 케이싱(73) 내부에 내입된 호스연결부재(60)의 외부연결구(61) 중공(내부연결구(63)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송되고, 몸체연결부재(50)의 몸체연결구(51) 중공(내관연결구(55)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송된 후, 샤워기몸체(10)의 중공로(12)로 이송된다.
이후 냉수는 샤워기몸체(10)의 중공로(12)의 상부에 위치한 제1공실(40)에 채워진 후, 분리판(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돌출핀(21)에 구성된 분출공(22)을 통하여 몸체뚜껑(30)의 냉수분출공(31)으로 분출된다.
아울러 호스(70)로 이송되는 온수는 케이싱(73) 내부에 내입된 호스연결부재(60)의 내부연결구(63) 중공으로 이송되고, 몸체연결부재(50)의 내관연결구(55) 중공으로 이송된 후, 샤워기몸체(10)의 내관(11)으로 이송된다.
이후 온수는 내관(11)의 상부와 연결된 분리판(20)의 온수연결관(23)으로 이송되어 분리판(20)을 관통한 후, 분리판(20)의 전방에 위치된 제2공실(41)에 채워진 후, 몸체뚜껑(30)의 온수분출공(32)으로 분출된다.
이때, 몸체뚜껑(30)의 온수분출공(32)으로 분출되는 냉수와 온수는 분출홈(33)에서 서로 인접되는 상태로 독립하여 분출되고, 냉수 또는 온수의 분출압이 미약하여 흐르는 정도가 되어 분출되지 못하는 경우는 분출홈(33)에 채워진 후 상대적으로 강하게 분출되는 다른 종류의 물(온수 또는 냉수)과 함께 혼합수되며 분출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샤워기몸체 11 : 내관
12 : 중공로 20 : 분리판
21 : 돌출핀 22 : 분출공
23 : 온수연결관 30 : 몸체뚜껑
31 : 냉수분출공 32 : 온수분출공
33 : 분출홈 40 : 제1공실
41 : 제2공실 50 : 몸체연결부재
51 : 몸체연결구 52 : 가이드바
53 : 보조 가이드바 55 : 내관연결구
60 : 호스연결부재 61 : 외부연결구
62 : 외부패킹 63 : 내부연결구
64 : 가이드바 66 : 내부패킹
70 : 호스 71 : 호스외관
72 : 호스내관 73 : 케이싱
74 : 소켓

Claims (5)

  1. 상부에는 제1공실(40)이 구성되고, 상기 제1공실(40)과 하부를 연통시키는 중공을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에는 호스(70)의 온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내관(11)을 구비하며, 내관(11) 이외의 중공부분인 중공로(12)로 호스(70)에서 냉수를 공급받는 샤워기몸체(10)와;
    상기 제1공실(40)의 전방을 밀폐하며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제1공실(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분출공(22)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복수 개의 돌출핀(21)을 구비하며, 내관(11)과 연결되어 온수를 하기 제2공실(41)로 공급하는 온수연결관(23)을 구비하는 분리판(20)과;
    상기 분리판(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샤워기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판(20)과 이격되어 제2공실(41)을 형성시키며, 분출공(22)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냉수분출공(31)과 제2공실(41)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온수분출공(32)을 구비하는 몸체뚜껑(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뚜껑(30)의 전방면에는,
    장공으로 파인 분출홈(33)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분출홈(33)에는 냉수분출공(31)과 온수분출공(32) 하나씩이 한 쌍을 이루며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70)는,
    호스외관(71)과 상기 호스외관(71)의 내부공간에 내입되는 호스내관(72)이 결합된 이중관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호스내관(72)으로는 온수가 이송되고, 호스외관(71)의 내부공간 중 호스내관(72) 이외의 부분으로 냉수가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외관(71)에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체결되는 케이싱(73)이 구비되고,
    상기 샤워기몸체(10)의 하부에는,
    상단은 샤워기몸체(10)의 하부 중공에 내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케이싱(73)의 내부에 내입되어 고정되는 중공의 몸체연결구(51)와;
    호스내관(72)과 하부가 연결되고 내관(11)과 상부가 연결되며, 외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가이드바(52)를 방사형으로 구비하며, 가이드바(52)에 의하여 상기 몸체연결구(51) 중공의 내부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몸체연결구(51)의 중공에 내입되는 중공의 내관연결구(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몸체연결부재(5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외관(71)에는 샤워기몸체(10)의 하부와 체결되는 케이싱(73)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73)의 내부에는,
    호스외관(71)과 하부가 연결되는 중공의 외부연결구(61)와;
    상기 외부연결구(61)의 외부에 체결되는 링형태의 외부패킹(62)과;
    호스내관(72)과 하부가 연결되고, 외부에는 복수 개의 돌출된 가이드바(64)를 방사형으로 구비하며, 가이드바(64)에 의하여 상기 외부연결구(61) 중공의 내부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외부연결구(61)의 중공에 내입되는 중공의 내부연결구(63)와;
    상기 내부연결구(63)의 내부에 체결되는 링형태의 내부패킹(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스연결부재(6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KR1020140146447A 2014-04-30 2014-10-27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KR20150125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610 2014-04-30
KR1020140052610 2014-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95A true KR20150125895A (ko) 2015-11-10

Family

ID=54605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447A KR20150125895A (ko) 2014-04-30 2014-10-27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KR1020140147870A KR20150125896A (ko) 2014-04-30 2014-10-29 냉ㆍ온수 독립 조절형 수도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870A KR20150125896A (ko) 2014-04-30 2014-10-29 냉ㆍ온수 독립 조절형 수도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1258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4565A (zh) * 2017-08-15 2019-03-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冷切换阀及其切换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02A (ko) 2019-01-18 2020-07-28 이성진 냉ㆍ온수 독립 조절형 수도전 안전밸브
KR102450892B1 (ko) * 2021-03-17 2022-10-06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조립식 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4565A (zh) * 2017-08-15 2019-03-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冷切换阀及其切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96A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5058B2 (ja) バーナーボディ蓋、バーナー及びガス器具
JP6250966B2 (ja) シャワー装置
ES2956096T3 (es) Atomizador y cabezal de ducha
KR20150125895A (ko) 냉ㆍ온수 독립 분출형 샤워기
US8245954B2 (en) Showerhead
RU2517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регулируемой доз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моющих и/ил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через лейку душа
CA3023652A1 (en) Compressed air foam system with in-tank manifold
KR200475805Y1 (ko) 선반이 구비된 샤워수전
CN104043544B (zh) 用于卫生出水件的雾化喷嘴及带有出水件的卫生水龙头
KR20150093312A (ko) 산소가 발생되는 아스피레이터를 이용한 샤워기 연결 장치
ITBS20130004A1 (it) Organo aeratore, e doccia comprendente tale aeratore
KR101946265B1 (ko) 분무각 조절형 포그 노즐
CN108603364A (zh) 卫生出水件、卫生配件和出水件的应用
FR3063295B3 (fr) Robinet a une seule entree a jet de brouillard et embout mousseur pour ledit robinet
TW201420204A (zh) 泡沫施加用噴嘴
JP4657841B2 (ja) ミストヘッド
CA2512795A1 (en) Apparatus for the gunning of a refractory material and nozzles for same
KR101307186B1 (ko) 샤워헤드
CN211289992U (zh) 水加热装置及可切换输出水形态的手持喷射器具
JP4832680B2 (ja) シャワー装置
ITMI20130138U1 (it) Dispositivo termostatico modulare per rubinetteria
CN219516163U (zh) 蒸汽喷头组件及洗碗机
KR20080002852U (ko) 소방용 소화액 관창
KR200460406Y1 (ko) 샤워기 부착형 급수밸브
WO2023005510A1 (zh) 一种射流器及投放装置及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