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821A - 소수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수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5821A KR20150125821A KR1020140052599A KR20140052599A KR20150125821A KR 20150125821 A KR20150125821 A KR 20150125821A KR 1020140052599 A KR1020140052599 A KR 1020140052599A KR 20140052599 A KR20140052599 A KR 20140052599A KR 20150125821 A KR20150125821 A KR 20150125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river
- fixing
- rotating
- induc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일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원형부가 형성되는 제1부하유도체; 상기 하천의 타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2원형부가 형성되는 제2부하유도체;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 사이로 흐르는 하천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체;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를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부하유도체와 제2부하유도체에 의해 하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체로 유도하여 회전체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발전기가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하유도체와 제2부하유도체에 의해 하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체로 유도하여 회전체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발전기가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수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흐름이 집중 유도되도록 하여 하천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7777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근래 에너지 문제는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발전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석에너지는 대기오염과 함께 에너지의 고갈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일 예로서 원자력에너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화석에너지의 대체 에너지로서 주종을 이루는 원자력에너지는 핵폐기물의 처리와 방사능 유출로 인한 폐해가 커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한 발전설비도 있지만, 이는 국내 실정에 비추어 충분한 전력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력발전은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지역을 수몰시켜 댐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환경파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유체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수력발전은 하천이나 간에 보를 막거나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이며 설치 방법에 따라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대체 에너지 시스템이고, 유체의 이동이 규칙적이므로 발전량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수력발전 장치는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정속도 이상의 유체의 흐름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주로 강이나 계곡 등에 보나 댐을 막아 유체를 흐름을 빠르게 하거나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 터빈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소수력발전 장치는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으며, 정해진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출력을 확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발전량에 의한 경제성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아직까지 보급이 널리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강이나 계곡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유동에너지로부터 기복이 심한 부하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회전체의 회전효율을 극대화시켜 환경을 해치지 않고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일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원형부가 형성되는 제1부하유도체; 상기 하천의 타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2원형부가 형성되는 제2부하유도체;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 사이로 흐르는 하천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체;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를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제1원형부 및 제2원형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원형부 및 제2원형부보다 큰 원을 가지며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제1타원부 및 제2타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는 원통형상의 상부원통과, 원통형상으로 상기 상부원통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부원통과, 상기 상부원통과 상기 하부원통 사이에 방사형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원통과 상기 하부원통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상부원통 및 상기 하부원통의 중심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축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상기 상부원통 및 하부원통에 고정하는 블레이드 고정틀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상부원통과 하부원통 및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는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제2부하유도체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과 대응되는 상기 제1부하유도체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삽입홈과 대응되는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해수면 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발전 시스템은 제1부하유도체와 제2부하유도체에 의해 하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체로 유도하여 회전체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발전기가 전기를 생성함으로써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 시스템(100)은 제1부하유도체(110)와, 제2부하유도체(120)와, 복수개의 회전체(130)와,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와, 복수개의 발전기(150)를 포함하고, 플랫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는 하천의 일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부(111)는 대략 "◁"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돌출부(111)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원형부(112)가 된다.
상기 제1원형부(112)의 하부에는 상기 제1원형부(112) 보다 큰 원을 가지는 제1타원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타원부(113)는 후술되는 회전체(130)의 블레이드(133) 외곽 및 내부로 하천의 물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원형부(112)의 상부와 상기 제1타원부(113)의 하부에는 각각 제1직선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직선부(114)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가 일측에 고정된 하천의 타측에는 제2부하유도체(120)가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는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대응되는 일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1)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부(121)는 대략 "▷"자 형상으로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2돌출부(121)의 상부에는 제2원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121)의 하부에는 제2타원부(1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원형부(122) 및 상기 제2타원부(123)는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원형부(112) 및 제1타원부(11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원형부(122)의 상부와 상기 제1타원부(113)의 하부에는 각각 제2직선부(124)와 제1직선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직선부(124)는 상기 제1직선부(114)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상기 제1돌출부(111)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2돌출부(121)에는 각각 제1삽입홈(110a)과 제2삽입홈(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직선부(114)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2직선부(124)에는 각각 제1고정홈(110b)과 제2고정홈(12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홈(110a)과 상기 제2삽입홈(120a) 및 제1고정홈(110b) 및 제2고정홈(120b)은 후술되는 회전체(130)를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10a)과 상기 제2삽입홈(120a) 및 제1고정홈(110b) 및 제2고정홈(120b)은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돌출부(111)에 형성된 제1삽입홈(110a)과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2직선부(124)에 형성된 제2고정홈(120b)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2돌출부(121)에 형성된 제2삽입홈(120a)과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직선부(114)에 형성된 제1고정홈(110b) 역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 및 제2부하유도체(1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제1삽입홈(110a) 및 제2고정홈(120b) 및 제2고정홈(110b) 및 제2삽입홈(120a)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1부하유도체(110)와 제2부하유도체(120)의 사이에 후술되는 복수개의 회전체(130)가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회전체(130)가 구비되며, 각 상기 회전체(130)는 상부원통(131)과, 하부원통(132)과, 복수개의 블레이드(133)와, 회전축(134)과, 회전축 연결프레임(135)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133)의 상부와 하부에는 블레이드 고정틀(133a,133b)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은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 사이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133)가 방사형으로 각각의 블레이드(133)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13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에 각각 상기 블레이드(133)를 고정하는 블레이드 고정틀(133a,133b)이 고정됨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 사이에 복수개의 블레이드(133)가 고정되게 된다.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은 회전축(13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34)에 의해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원통(131)과 상기 하부원통(132)에는 회전축 고정프레임(135)이 장착된다.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133)에 의해 하천을 흐르는 물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130)는 하천의 수중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133)가 하천의 수중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하천을 흐르는 물에 의해 물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130)의 상부원통(131)과 하부원통(132) 및 복수개의 블레이드(133)와 회전축 연결프레임(135)의 내부에는 부력공간(S)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체(130)에 형성되는 부력공간(S)은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130)는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사이에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각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이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 및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1삽입홈(110a)과 제1고정홈(110b) 및 제2삽입홈(120a)과 제2고정홈(120b)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상기 각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각 회전체(130)를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사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각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의 상부에는 발전기(150)가 구비되며, 상기 발전기(150)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축(134)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34)에 의해 상기 회전체(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전시킨다.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발전기(15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120)의 상부에는 플랫폼(160)이 구비되며, 상기 플랫폼(160)은 작업자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랫폼(160)은 상기 회전체(130)와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140)이 상기 제1부하유도체(110)의 제1삽입홈(110a) 및 제1고정홈(110b) 및 제2부하유도체(120)의 제2삽입홈(120a) 및 제2고정홈(120b)에서 상하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이를 수리하기 용이하도록 작업자에게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부하유도체(110)와 제2부하유도체(120)에 의해 하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유체의 유동에너지를 회전체(130)로 유도하여 회전체(13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기(150)가 전기를 생성할 수 있어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고효율의 청정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소수력발전 시스템
110 : 제1부하유도체
120 : 제2부하유도체 130 : 회전체
140 : 회전체 고정프레임 150 : 발전기
160 : 플랫폼
120 : 제2부하유도체 130 : 회전체
140 : 회전체 고정프레임 150 : 발전기
160 : 플랫폼
Claims (8)
- 하천의 일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1원형부가 형성되는 제1부하유도체;
상기 하천의 타측에 하단이 하천의 수중 바닥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대응되는 제2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부의 상부에는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제2원형부가 형성되는 제2부하유도체;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 사이로 흐르는 하천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체;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를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제1원형부 및 제2원형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원형부 및 제2원형부보다 큰 원을 가지며 하천을 흐르는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제1타원부 및 제2타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는,
원통형상의 상부원통과,
원통형상으로 상기 상부원통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부원통과,
상기 상부원통과 상기 하부원통 사이에 방사형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원통과 상기 하부원통을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상부원통 및 상기 하부원통의 중심에 고정되도록 연결하는 회전축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상기 상부원통 및 하부원통에 고정하는 블레이드 고정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상부원통과 하부원통 및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면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는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이 상기 제1부하유도체 및 제2부하유도체의 높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홈과 대응되는 상기 제1부하유도체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과 대응되는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체 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하유도체와 상기 제2부하유도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해수면 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소수력발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599A KR20150125821A (ko) | 2014-04-30 | 2014-04-30 | 소수력발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2599A KR20150125821A (ko) | 2014-04-30 | 2014-04-30 | 소수력발전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5821A true KR20150125821A (ko) | 2015-11-10 |
Family
ID=5460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2599A KR20150125821A (ko) | 2014-04-30 | 2014-04-30 | 소수력발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2582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214A (ko) | 2017-05-11 | 2018-11-21 | 최한웅 | 터빈 유닛 및 그 결합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이용 시스템 |
CN110080933A (zh) * | 2019-05-07 | 2019-08-02 | 上海海洋大学 | 一种潮流能发电装置 |
KR20200017173A (ko) | 2018-08-08 | 2020-02-18 | 공대원 | 수중발전기 |
-
2014
- 2014-04-30 KR KR1020140052599A patent/KR201501258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4214A (ko) | 2017-05-11 | 2018-11-21 | 최한웅 | 터빈 유닛 및 그 결합체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이용 시스템 |
KR20200017173A (ko) | 2018-08-08 | 2020-02-18 | 공대원 | 수중발전기 |
CN110080933A (zh) * | 2019-05-07 | 2019-08-02 | 上海海洋大学 | 一种潮流能发电装置 |
CN110080933B (zh) * | 2019-05-07 | 2020-09-22 | 上海海洋大学 | 一种潮流能发电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3565B1 (ko) | 스크류형상의 수차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 |
KR101504866B1 (ko) | 파력 발전 장치 | |
KR20140129442A (ko) | 소수력 발전 장치 | |
CN109340036B (zh) | 一种潮流能发电装置 | |
KR101559047B1 (ko) | 발전효율을 향상시킨 풍력발전장치 | |
KR20150125821A (ko) | 소수력발전 시스템 | |
KR101035321B1 (ko) | 풍과 수력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 |
KR20130001546U (ko) |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 |
KR20160030633A (ko) | 파력 발전장치,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력 발전시스템 | |
KR20010075817A (ko) | 중력과 부력을 이용한 전기 발생장치 | |
KR20110102050A (ko) | 도로변 풍력발전시스템 | |
KR101552566B1 (ko) | 수력 발전장치 | |
KR101318480B1 (ko) | 고효율 다단 조류 발전기 | |
KR20120036450A (ko) |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 |
KR20110006380A (ko) | 풍력발전기 | |
KR101022346B1 (ko) | 수력발전장치 | |
KR101269880B1 (ko) | 블레이드 일체형 소수력 발전설비 | |
CN209908657U (zh) | 潮汐水轮发电机组 | |
KR101300293B1 (ko) | 소수력 발전장치 | |
KR20110063994A (ko) |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조류력 발전장치 | |
KR101456178B1 (ko) | 조류발전 시스템 | |
KR101516205B1 (ko) | 수직형 발전 장치 | |
KR101756108B1 (ko) | 날개가 접히는 물레방아 구조체를 이용한 수중발전 장치 | |
KR101194893B1 (ko) | 풍력과 수력겸용 발전장치 | |
KR101634637B1 (ko) | 가이드베인을 장착한 수력발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발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