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535A -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 Google Patents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535A
KR20150125535A KR1020140164486A KR20140164486A KR20150125535A KR 20150125535 A KR20150125535 A KR 20150125535A KR 1020140164486 A KR1020140164486 A KR 1020140164486A KR 20140164486 A KR20140164486 A KR 20140164486A KR 20150125535 A KR20150125535 A KR 2015012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orous pressure
pressure
porou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014B1 (ko
Inventor
김대형
현택환
정성묵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초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2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용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Porous Pressure-Sensitive Rubber an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용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에 걸리는 하중을 인식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차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러한 장치를 통해 차량의 안전성과 안락함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중 인식장치는 차량의 안전 기능인 에어백이나 편의 기능인 시트용 히터 등과 연동되어 작동되며, 하중 인식 장치와 연동된 특정 기능의 작동 여부가 승객의 하중을 통해 결정 혹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독일 특허 DE 196 15321호는 시트 하중에 따른 디퍼렌셜 에어백(differential air bag)의 작동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차량의 시트에 성인, 어린이 또는 어린이용 시트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안정장치, 예를 들어 안전벨트 착용 시스템 또는 롤-바(roll-bar) 시스템 등은 시트에 설치된 압력센서식 장치에 의해서 조정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특별한 시트위치의 조정기능과 시트와 연관되어 있는 안전기능이 승객에 의해 수동으로 시트에 작용하는 압력을 통해서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독일 특허 DE 43 39 11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머리받침대의 위치조정과 뒷자석의 도어와 유리창에 관한 어린이에 대한 안전기능과 더불어 또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점등기능 그리고 시트에 발생하는 하중에 따라 작동하는 기후조절 기능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시 운전자의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조명을 밝히는 것과 같은 웰컴 시스템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착석할 때 그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웰컴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시트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기 위한 기계적 센서들(예를 들면, 압력 센서 및 스트레인 게이지)의 감도는, 가장 중요한 성능 계수들(performance factors) 중 하나이다.
신호 증폭을 위해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특정 목적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고감도를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저항 변화 대신에 전기용량 변화(capacitive change)를 측정하거나, 특별하게 설계된 연동 구조(interlocking structure)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미세제작(micro-fabrication) 공정을 필요로 한다.
저항형 기계적 센서는 단순한 작동 원리, 즉 물질의 저항 변화 측정에 따른다. 전형적으로 탄성체와,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튜브와 같은 전도성 충전재의 복합 재료인 압력감지 고무(pressure sensitive rubber (PSR))는, 유연한 저항형 기계적 센서용 재료로서 널리 사용된다.
기계적 변형의 검출에 단지 두 가지 성분(압전 물질 및 전극)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기 구조 및 제작 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PSR의 탄성으로 인해 PSR은 유연하고 신장가능한 기재(flexible and strechable substrate) 및 팽창가능한 수술 도구와 조화롭게 병용될 수 있고(compatible) 인체를 포함하는 부드럽고 곡면인 표면에 용이하게 통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PSR기반 센서는 종종 낮은 감도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압력감지 고무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탄성 고분자에 전도성 충전물을 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고분자에는 폴리우레탄, PDMS 등이 사용되고, 상기 충전물에는 CNT, 그래핀, 카본 블랙 파우더 등이 사용된다.
감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압전 물질에 다공성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다. 특정 힘에서 PSR기반 기계적 센서의 저항 변화는 PSR의 모듈러스(modulus)와 관련된 변형률(deformability)에 의존한다. 이러한 변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폰지와 유사한 구조체들이 제안되었다(ACS . Nano . 2010, 4, 2320.).
예를 들면, 중공 구형의 전도성 고분자, 다공성 카본 나노튜브 스폰지, 금속-고분자 혼성 나노케이블 스폰지, 및 금 필름-폴리우레탄 스폰지는 기계적 변형의 검출에 대해 향상된 감도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스펀지 구조에서 공극의 사이즈, 부피율, 균일도 등을 조절할 수 없다. 또한, 화학 기상 증착법이나 침지담금법을 사용할 경우 공정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면적으로 만들기 어려워 상용화가 어렵다(ACS . Nano . 2010, 4, 2320.).
Yao 등(Adv . Mat. 2013, 25, 6692)은 스펀지 형태의 폴리우레탄에 그래핀 옥사이드를 담지시킨 후 환원시키는 방법을 통해 전기전도성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합성하였고, 이를 압력감지 센서로서 사용하였다. Yao 등과 대비하여, 본 발명은 액상 반응을 통해 전도성 고무를 합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액상 반응에 의해 기공의 크기 및 균일도를 제어할 수 있는 압력감지 고무를 이용하여, 시트(seat), 직물, 필름, 의복, 밴드, 줄(끈) 등에 걸리는 압력(또는 하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제작된 시트, 특히 차량용 시트, 직물, 필름, 의복, 밴드, 줄(끈)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걸리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용도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한 탑승자의 등을 받쳐 주는 시트 백, 상기 시트 백의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의 밑에는 시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레버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은 힌지로써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 백의 연결부분에는 시트 백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 레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시트쿠션, 시트 백 또는 헤드 레스트에 적용함으로써 시트에 걸리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는 시트쿠션, 시트 백 또는 헤드 레스트의 외피 또는 상기 외피의 하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는 본 출원의 출원일 현재까지 상업화되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는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고무에는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SBR 고무, 우레탄 고무, 우레탄 스킨 폼 등으로 공지된 천연 또는 합성의 모든 점탄성 물질이포함된다.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의 압전 현상을 이용하여, 압력이 걸렸을 때의 생성되는 전류 또는 이에 따른 전압의 크기로 상기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에 함유되는 상기 기공의 크기는 100 μm 내지 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에 포함되는 상기 실리콘 고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메틸에틸실록산, 폴리페닐메틸실록산, 또는 폴리페닐에틸실록산 수지가 특히 적합하지만, 소위 실리콘 고무라고 통칭되고 당업계에 공지된 실리콘 고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감지 고무는 고온 또는 상온 이하에서 점탄성체로서의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각종 합성 수지에서도 선택될 수 있으나, 그중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니트릴 고무, 천연 또는 합성의 SBR 고무도 특히 적합하게 가공되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은 1 nm 내지 2 nm이고 길이는 10 μm 내지 2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제작된 시트, 특히 차량용 시트, 직물, 필름, 의복, 밴드, 줄(끈) 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에 포함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는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는 필름 또는 직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의 압전 현상을 이용하여, 압력이 걸렸을 때의 생성되는 전류 또는 이에 따른 전압의 크기로 상기 압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실리콘 고무의 기공의 크기는 100 μm 내지 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실리콘 고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디에틸실록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은 1 nm 내지 2 nm이고 길이는 10 μm 내지 2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시트 백 또는 헤드 레스트의 외피 전체 또는 일부분을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로 제작된 필름 또는 직물로 제조하면 시트에 걸리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시트쿠션, 시트 백 또는 헤드 레스트의 외피 하부에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로 제작된 필름 또는 직물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제작된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하기 실시예 2에 예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제작된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직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 실시예 3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직물을 이용하여 압력감지용 의복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감지용 의복의 경우, 상기 의복 착용자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응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손목, 발목, 이마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가 제공된다. 상기 밴드의 압력감지 성질을 이용하여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사용하여 고무줄과 같은 1차원 물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있어서, 자동차 또는 기타 중요한 물건을 포장하기 위한 커버에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 충격을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커버가 그 힘, 즉 압력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시트(seat), 직물, 필름, 의복, 밴드, 줄(끈) 등에 적용하여 압력(또는 하중)의 측정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에 걸리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제공함으로써,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했는지 여부, 및 탑승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에어백 작동 여부 및 웰컴 시스템과 같은 기타 편의 장비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다중벽 나노튜브(MWNT), 역미셀 용액(RMS) 및 PDMS의 혼합 단계를 보여 주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1B는 PPSR 필름 제조를 위한 주형 몰딩 방법을 예시하며, 도 1C는 PPSR 패턴 형성을 위한 노즐 젯 프린팅 방법을 예시하고, 도 1D는 열처리 과정 동안의 역미셀의 거동을 보여준다.
도 2A는 다른 RMS 부피들(4 mL, 6 mL, 8 mL)와 분자량들(헥산, 헵탄, 옥탄에 대하여 각각 86.2 g/mol, 100.2 g/mol, 114.2 g/mol)에서의 PPSR에 대한 마이크로-CT(micro-computed tomography (μ-CT)) 사진이고, 도 2B는 다른 깊이에서 헥산기반 RMS 4 mL(좌측)와 옥탄기반 RMS 4 mL(우측)로 제조된 PPSR에 대한 3차원 적층 μ-CT 사진이며, 도 2C는 헥산기반 RMS 8 mL(좌측), 헵탄기반 RMS 8 mL(중앙), 및 옥탄기반 RMS 8 mL(우측)에 대해 투과 모드(transparent mode)(전면)와 불투과 모드(solid mode)(후면)를 사용한 PPSR에 대한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보여 준다.
도 3A는 대면적 PPSR기반 압력감지 직물에 대한 사진이고, 도 3B는 쌓아놓은 PPSR 필름들의 가역적인 압축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C는 외부의 압력에 대한 압력감지 직물의 저항 변화 응답을 보여주고, 도 3C의 삽입도는 태핑(tapping, 좌측), 노킹(knocking, 중앙), 및 타격(hitting, 우측) 모드를 예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PPSR기반 압력감지 고무로 제작된 직물이 설치된 자동차 시트에 대한 사진이고, 도 4B는 상기 자동차 시트에 운전자가 착석했을 때에 자동차 시트에 걸리는 하중을 보여 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운전자가 시트에 앉거나 시트로부터 일어설 때에, 상기 시트의 쿠션, 등받이 및 헤드 레스트에 부착된 PPSR기반의 압력감지 직물의 시간에 따른 저항 변화를 보여 준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색 젤유사 혼합물의 제조
20 mL의 옥탄(98%, Sigma-Aldrich, USA), 2 g의 유화제(Polyoxyethylene(5) nonylphenyl ether, branched, Igepal CO-520, Mn: 441, Sigma Aldrich, USA) 및 10 μL의 탈이온수를 30분간 교반하여 역미셀 용액을 제조하였다. 0.1 g의 다중벽 나노튜브(multi-wall nanotube (MWNT))(HANOS CM-250, Hanwha Nanotech, South Korea) 및 9 g의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예비중합체와 경화제의 30:1 혼합물; Sylgard 184, Dow Corning, USA)을 0~8 mL의 역미셀 용액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각각 30분간 초음파처리하고 30분간 교반하여 흑색 젤유사(black gel-like) 용액을 얻었다(도 1A). 이로써, MWNT를 점성 매질 내에 균질하게 분포시키고 균일한 역미셀을 형성하였다. 상기 역미셀은 유화제 및 유기 용매에 둘러싸인 물방울(water droplet)이고, PDMS 혼합물, 유기 용매 및 MWNT는 상기 역미셀의 외부에 존재한다(도 1A 우측 하부).
실시예 2. 필름 제조 및 패터닝 방법
압력감지 필름 제조를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흑색 젤유사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PPSR)를 주형(template)에 부어 필름을 제조하였다(도 1B). 이후, 상기 채워진 주형을 유리로 덮었다. 열처리 동안에 상기 흑색 젤유사 PPSR을 덮음으로써, 기공(pore)의 균일도가 증가될 수 있었다.
PPSR의 패터닝(patterning)을 위해, 잘 혼합된 흑색 젤유사 PPSR을 6 mL 시린지에 채웠고, 노즐 젯 프린팅 시스템(nozzle jet printing system: eNano Printer, Enjet, South Korea)에 장착하였다. 상기흑색 젤유사 PPSR을 노즐로부터 목표 기재(target substrate)로 분사하여 라이 패턴을 형성하였다(도 1C). 주문 제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노즐의 움직임을 제어하였다. 댐(dam)과 실리콘 오일(Shin-Etsu silicone, Japan)로 둘러싸인 패터닝된 흑색 젤유사 PPSR을 댐 속으로 부어 상기 패턴을 덮었다. 마지막으로, 오븐 내에서 열처리를 하여 PDMS를 고체화시켰고 기공 구조를 형성시켰으며, 상기 실리콘 오일을 제거하였다. 도 1D는 상기 공정에 대한 고해상도 사진을 보여 준다. 상기 열처리 단계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켰다(표 1).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역미셀이 이동하고, 합치고, 증발하여 기공 구조를 얻는다. 이후, 이렇게 얻은 샘플을 이소프로필 알콜과 탈이온수로 반복해서 세척하였다.
도 2A의 마이크로-CT(micro-computed tomography (μ-CT)) 사진은 다른 용매들(헥산, 헵탄 및 옥탄) 및 다양한 양의 RMS(4 mL, 6 mL 및 8 mL)를 사용하여 제작된 PPSR의 기공 특성을 보여 준다. 상기 용매들의 비점이 증가할수록, 상기 PPSR이 더 큰 기공 크기 및 더 높은 공극률을 보였다. RMS 양을 증가시켰을 때에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도 2B는 다른 깊이(0 mm, 0.5 mm, 1.0 mm 및 1.5 mm)에서의 3차원 단층 사진 및 헥산과 옥탄을 사용하여 제조된 PPSR에 대한 이들의 결합된 사진(상부)을 보여 준다. 또한, 전도성 충전재의 양도 상기 기공 크기에 영향을 미쳤다. 기공의 크기가 더 작을수록 더 균일한 압전저항 특성(piezoresistive chraracteristics)을 보였다. PPSR의 3차원 유한 요소 모델(도 2C)은 실험 데이터(도 2A 및 2B)와 잘 맞았다.
열처리 온도 및 시간
헥산 헵탄 옥탄
55℃, 12hr
60℃, 0.5hr
65℃, 3hr
70℃, 1hr
80℃, 1hr
90℃, 1hr
120℃, 3hr
55℃, 12hr
70℃, 3hr
80℃, 0.5hr
85℃, 3hr
90℃, 1hr
100℃, 1hr
120℃, 3hr
55℃, 12hr
70℃, 3hr
90℃, 1hr
100℃, 1hr
110℃, 0.5hr
115℃, 3hr
120℃, 3hr
실시예 3. 압력감지 직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PPSR 필름을 두 개의 상용 전도성 탄소 직물(carbon fabric)(W0S1002, CeTech, Japan) 사이에 삽입하여 대면적(23 cm × 16 cm) PPSR 필름(도 3A)을 제조하였다. 상기 PPSR 필름과 탄소 직물 간의 정합 접촉(Conformal Contact)을 위해, 0.2 g의 MWNT와 9 g의 PDMS로 이루어진 바인더(전도성 고무 페이스트)를 사용하였다(도 3A의 삽입도). 적층된 PPSR 필름들에서 서로 다른 변형도가 도 3B에 나타나 있다. PPSR 필름은 압축될 수 있고, 걸린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쉽게 원형을 회복하였다. 상기 압력감지 직물의 기계적 신뢰도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싸이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PPSR은 반복된 압축(약 30% 스트레인, 약 10 kPa 압력)에서 동일한 모듈러스 및 저항 변화 반응을 보였다.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 직물은 반복적으로 다른 압력들(50 kPa, 130 kPa, 260 kPa)을 성공적으로 구별해냈는데, 이는 상기 압력감지 직물을 압력감지 의복과 같은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smart wearable products)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압력감지 직물을 적용한 자동차 시트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의 쿠션(cushion), 등받이(seat back)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 부분에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압력감지 직물(PPSR 센서)을 부착하였다. 또한, 상기 자동차 시트의 내부에 무선통신 시스템(블루투스)을 장착하였다. PPSR 압력 센서의 저항 변화를 전압 분배기(voltage divider)를 이용하여 전압 변화로 바꾸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디지털 전압신호로 바꾼 후, 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앉았을 때와 일어났을 때의 상기 PPSR 센서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차량 내 컴퓨터로 무선 전송하였다. 무선 전송된 전압 정보를 컴퓨터에서 저항 정보로 변환하여 도 5와 같은 그래프의 얻었다.
하중이 가장 많이 걸리는 시트 쿠션의 센서에서 저항 변화가 가장 크며 하중이 두 번째로 많이 걸리는 시트 백 센서, 하중이 가장 작게 걸리는 헤드 레스트의 센서 순으로 저항 변화가 작아진다. 앉았을 때, 또는 일어났을 때를 저항 변화의 피크로 감지할 수 있고, 앉을 때엔 시트 쿠션->등받이->헤드 레스트 순으로 피크가 나타나며(앉을 때에 시트 쿠션->등받이->헤드 레스트 순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 일어날 때에는 헤드 레스트->등받이->시트 쿠션 순으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앉을 때와 일어설 때를 구별할 수 있다.

Claims (12)

  1.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크기가 100 μm 내지 2 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메틸에틸실록산, 폴리페닐메틸실록산, 및 폴리페닐에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은 1 nm 내지 2 nm이고 길이는 10 μm 내지 20 μ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5.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가 장착된 차량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가 필름 또는 직물의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크기가 100 μm 내지 2 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에틸실록산, 폴리메틸에틸실록산, 폴리페닐메틸실록산, 및 폴리페닐에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의 직경은 1 nm 내지 2 nm이고 길이는 10 μm 내지 20 μ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0.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가 장착된 제작된 의복.
  11.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포함하는 포장용 커버.
  12. 기공을 함유하는 실리콘 고무 및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를 포함하는 신체 착용용 밴드.
KR1020140164486A 2014-04-30 2014-11-24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KR10172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2961 2014-04-30
KR1020140052961 201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535A true KR20150125535A (ko) 2015-11-09
KR101720014B1 KR101720014B1 (ko) 2017-04-04

Family

ID=5460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486A KR101720014B1 (ko) 2014-04-30 2014-11-24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503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과학기술원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CN111256547A (zh) * 2020-01-10 2020-06-09 南京理工大学 一种用于保护引信内部部件的吸能材料
KR20200095014A (ko) * 2019-01-31 2020-08-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신축성 스트레인 센서용 소재의 제조 방법
KR102171318B1 (ko) * 2019-07-10 2020-10-28 한국과학기술원 고신축성 고분자 복합체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65556A1 (en) * 2021-02-05 2022-08-11 Monash University Metal nanowire fo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33B2 (ko) * 1995-05-12 1997-01-08
KR20130125884A (ko) * 2012-05-10 2013-11-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싱감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KR20130140195A (ko) * 2011-04-28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33B2 (ko) * 1995-05-12 1997-01-08
KR20130140195A (ko) * 2011-04-28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25884A (ko) * 2012-05-10 2013-11-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싱감도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503A (ko) * 2017-11-24 2019-06-03 한국과학기술원 다공성 pdms-cnt 구조체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
KR20200095014A (ko) * 2019-01-31 2020-08-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신축성 스트레인 센서용 소재의 제조 방법
KR102171318B1 (ko) * 2019-07-10 2020-10-28 한국과학기술원 고신축성 고분자 복합체 스트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11256547A (zh) * 2020-01-10 2020-06-09 南京理工大学 一种用于保护引信内部部件的吸能材料
WO2022165556A1 (en) * 2021-02-05 2022-08-11 Monash University Metal nanowire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014B1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014B1 (ko)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제품
Hwang et al. Fabrication of hierarchically porous structured PDMS 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as a flexib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Duan et al. Recent progress on flexible and stretchable piezoresistive strain sensors: From design to application
Emon et al. Multi-material 3D printing of a soft pressure sensor
Shi et al. A versatile PDMS submicrobead/graphene oxide nanocomposite ink for the direct ink writing of wearable micron-scale tactile sensors
Yang et al. Flexible, conductive, and highly pressure-sensitive graphene-polyimide foam for pressure sensor application
Wang et al. Low-dimensional carbon based sensors and sensing network for wearable health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Cheng et al. A highly sensitive piezoresistive sensor with interlocked graphene microarrays for meticulous monitoring of human motions
EP3052553B1 (en) Sensitive, high-strain, high-rate, bodily motion sensors based on conductive nano-material-rubber composites
EP3397702B1 (en) Piezoresistive ink, methods and uses thereof
Li et al. Scalable fabrication of flexible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s based on occluded microstructures for subtle pressure and force waveform detection
US10590296B2 (en) Piezoresistive ink, methods and uses thereof
JP5290107B2 (ja) 張力センサ
Osman et al. 3D printing of polymer composites to fabricate wearable sensors: A comprehensive review
Carneiro et al. Wearable pressure mapping through piezoresistive C-PU foam and tailor-made stretchable e-textile
CN111990985B (zh) 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应用和颅内压检测设备
Zhang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and flexible MWCNT/PDMS based resistive force sensor
Cuasay et al. Flexible tactile sensors based on silver nanowires: Material synthesis, microstructuring, assembly, performance, and applications
Panahi et al. Investigation of temperature effect on the porosity of a fabric based porous capacitive pressure sensor
Liu et al. Wrinkled, cracked and bridged carbon networks for highly sensitive and stretchable strain sensors
Liang et al. Biomimetic liquid metal elastomer foam with stress sensing
CN110696768B (zh) 一种带有事故感知和主动安全功能的智能座舱系统
CN210882004U (zh) 一种具有事故感知及主动安全功能的座舱
KR101707859B1 (ko) 다공성 압력감지 고무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제조 방법
Ma et al. Tunneling piezoresistive tactile sensing array fabricated by a novel fabrication process with membrane fil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