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254A - Socket for dual memory card - Google Patents

Socket for dual memory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254A
KR20150125254A KR1020140052294A KR20140052294A KR20150125254A KR 20150125254 A KR20150125254 A KR 20150125254A KR 1020140052294 A KR1020140052294 A KR 1020140052294A KR 20140052294 A KR20140052294 A KR 20140052294A KR 20150125254 A KR20150125254 A KR 2015012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anual
take
b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6243B1 (en
Inventor
윤주영
박상현
유구한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5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243B1/en
Publication of KR2015012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with a card drawing unit, more specifically, to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with a card drawing unit, which has two kinds of a micro SIM card and a micro SD card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one socket in the same direction, and has the micro SIM card withdrawn at the same time by simply pulling the micro SIM card with a nail by using a manual card drawing unit installed in an upper right part on the rear surface of a base, or manually without a separate tool wherein the micro SIM card is inserted into a lower side.

Description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SOCKET FOR DUAL MEMORY CAR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본 발명은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손톱으로 당기거나 별도의 다른 도구 없이 수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ejection means, more specifically, to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two types of micro SIM card and micro SD card inserted and extracted in one socket in the same direction, And a card ejection means for ejecting the inserted micro SIM card using a manual card ejection means provid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y a nail or by another operation without any other tool Lt; / RTI >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가 각각 구비된다.A common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memory card for authentica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credit approval,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data when using various contents.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심 카드, 알유아이엠 카드, 모네타 카드, 뱅크 온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스틱, 엑스디 픽쳐 카드, 티플래쉬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memory cards, a memory card used for authent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redit approval is a memory card used for storing data for various contents, such as a SIM card, an ALM card, a Moneta card, and a bank-on card A micro SD card, a smart media card, a memory stick, an X-definition card, and a T-flash card are used.

이러한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용 심 카드는 분실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 팩이 밀착되는 백 케이스의 결합 면에 실장되어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교체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서 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실장 된다.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loss, the SIM card for authentication, which is used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credit settlement of the memory card, is mounted on the mating surface of the back case closely attached to the battery pack, The memory card can not be replaced and the data memory card for storing data is mounted so as to be directly replaceable from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종래에는 인증용 메모리 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각각 별도의 소켓으로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위치에 각각 실장되는 바, 각 메모리 소켓을 각각 실장하기 위한 실장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이 따랐다.Conventionally, the sockets for fixing and connecting the authentication memory card and the data memory card are respectively manufactured as separate sockets and mount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respective memory sockets is required It has been difficult to ma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m and miniaturized. Further,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of parts for adding new function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증용 메모리 카드로서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로서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푸시풀(push/pull) 타입으로 장착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s recently been proposed in which a micro SIM card as an authentication memory card and a micro SD card as a data memory card can be mounted in a push / pull typ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시풀(push/pull) 타입의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경우, 삽입된 마이크로 심 카드의 취출시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므로 소형 사이즈의 카드 취출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도구를 활용하여 취출하는 경우에도 메모리 카드용 소켓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ush / pull type dual memory card socket, since the user inserts the micro SIM card into the socket, the user or the operator's finger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cket for a memory card may be damaged even if it is taken out by utilizing other tool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3-0005659 호 (2013.09.30. 공개)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3-0005659 (Published on March 30,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한 수동작에 의해 손쉽게 취출할 수 있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sym card and a microSD card in which two types of microSym card and microSD card are inserted and extracted in one socket in the same direction, And a card take-out means for easily taking out the card by simple manual operation using various types of manual card taking-out means provid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카드 취출부의 수동 취출부의 전체 높이를 쉘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하여 수동 취출부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별도의 다른 도구 없이 손쉽게 마이크로 심 카드를 취출할 수 있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al card take-out unit which has a total height of a manual take-out part higher than a shell height and protrudes upward, And a card ejection means capable of ejecting the micro SIM car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은,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고,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를 삽입하면 상기 카드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고, 수동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제 1 카드를 전방으로 취출시키는 수동 카드 취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including a card take-out means,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s spaced forward and backward, The base being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ide; A first shel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the first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first contact provided in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first card; A second shell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a second card to be inserted into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second contact provided at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econd card; And a front end of the first card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the card is pushed backward by the card and is supported And a manual card take-out portion for taking out the first card forward when pulled by manual operation.

이때,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art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has a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for manual take-out of the first card; And a card take-out plate which is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ng part and whose front surface contacts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여기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후방에서 좌우로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 탄성 플레이트 형태로서, 그 선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후방의 좌측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rd take-out plate is in the form of a rod-shaped elastic plate which is elongated in a "Z" -shape from left to right in the rear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the tip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ef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Is preferably fixed to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art, so that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후방의 좌측면에는 상기 제 1 카드의 역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삼각형상의 역 삽입 방지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riangular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jaw is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base, which is located behind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to prevent revers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또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선단부는 상기 역 삽입 방지턱의 제 1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제 2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ard take-out plate is fixedly fitt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jaw, and the rear end portion thereof is fitted and fixed in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manual taking- Do.

또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재질은 절연 코팅된 금속 또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Further, the material of the card ejection plate may be an insulated metal or an elastic plastic.

또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후단부가 통과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제 2 끼움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는 노출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rectangular tube-shaped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base, and a rear end of the card take-out plate is passed through the guide groove to be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manual take- A slit hole is formed, and an open upper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projects upward.

또한, 상기 수동 취출부는 상기 제 2 쉘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nual take-out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shell.

한편, 상기한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블록;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를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cludes a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for manual take-out of the first card; A card take-out block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the front face of the card being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And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anual take-out operating portion in a rearward direction.

여기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좌측 전방으로는 상기 카드 취출 블록의 후단 연결부가 통과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일체 결합되도록 하는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 rectangular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base, and a rear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card take-out block is passed to the left front side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And an upper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lit hole,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projects upward.

또한, 사각통 형상의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우측 하단에는 탄성 수단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 내벽 하단과 탄성 수단 수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를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elastic means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tube-shaped manual taking-out operation portion, and the elastic means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inner wall bottom end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and the elastic means receiving groove, It is preferable to apply elastic press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한편,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ront face thereo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Block.

이때,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의 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의 후방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quare-shaped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base, and a forward opening is formed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single-type manual card take- And the manual opening portion, which is a rear upper portion of the single-card-shaped manual card take-out portion, protrudes upward.

또한, 상기 수동 취출부의 상면은 오돌오돌한 형태의 엠보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portion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아울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은,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핀 결합되며, 그 전방부는 전방 끝단이 하향 경사져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부로 되는 수동 취출 힌지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the socket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spaced back and forth, A base adap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ntact mounting portion; A first shel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the first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first contact provided in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first card; A second shell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a second card to be inserted into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second contact provided at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econd card; And a hinge pin which is hinged to the right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pi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hinge pin is inclined downward to abut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And a manual take-out hinge lever which is a manual take-out part for manual take-out of the card.

여기서, 상기 수동 취출 힌지 레버는 역(逆) "L" 자 형태로서,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에는 그 전방부가 하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시에는 그 후방부를 후측으로 밀어주여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전방부는 상향 이동되어 이에 맞닿은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줌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is in the form of an inverted "L" shape.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its front portion moves downward to rotate in all directions about the hinge pi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card is pushed to the rear sid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ard is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about the hinge pin so that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moved upward to push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abutted thereto forward.

또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수동 취출 힌지 레버의 전방부가 통과되도록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는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의 상측부인 후방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 slit hole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base so as to allow a front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to pass therethrough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of the inverted "L " shape protrudes upward.

또한, 상기 제 1 카드는 마이크로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ard is a Micro SIM card, and the second card is a Micro SD CARD.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됨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ards are inserted and extrac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spac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에 의하면, 2종류의 마이크로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소켓에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심 카드를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동 취출부를 구비하는 카드 취출 블록이나 힌지 레버 등과 같은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을 사용하여 별도의 다른 도구 없이 간단한 수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the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wo kinds of micro SIM card and micro SD card can be inserted and extracted in one socket in the same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ake out the inserted micro SIM card by a simple water operation without using another tool by using a card take-out block having a manual take-out part protruding upward and a manual card take-out means such as a hinge lever.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ing-out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nual card take-out means of Fig. 1 is mounted. Fig.
Fig. 5A and Fig. 5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sertion and ejection states of a SIM card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e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ual card take-out means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7A and 7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states of a SIM card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ejection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M card is inserted and taken out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provided with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ual card take-out means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10A and 10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M card is inserted and taken out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states of a SIM card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ing-out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in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nual card take- FIGS. 5A and 5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states of a SIM card in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ejecting mea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1)은,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상면을 덮는 제 1 쉘(20)과, 제 2 접촉자 장착부(12) 상면을 덮는 제 2 쉘(30)과,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와, 푸시풀(push-pull) 동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카드 취출부(40)로 크게 이루어진다.1, a socket 1 for a dual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on which first and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s 11 and 12 are formed and a base 10 on which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is formed. A second shell 3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and first and second contacts 50 and 60 and a push-pull operation And a manual card take-out unit (40).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10)와 제 1 및 제 2 쉘(20, 30)에 의해 상하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70, 80)으로 제 1 및 제 2 카드(2, 3) 즉, 마이크로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가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됨과 동시에, 하측의 제 1 삽입 공간(70)으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는 수동 카드 취출부(40)에 의해 푸시풀(push-pull) 동작에 의해 삽입 및 취출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and second cards 2 and 3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spaces 70 and 80 formed by the bas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shells 20 and 30, The first card 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on the lower side is pushed by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40, And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are performed manually by a push-pull operation.

즉,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40)는 베이스(10)의 상면의 일측(우측)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카드(2)의 내측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2)를 삽입하면, 상기 제 1 카드(2)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고, 수동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제 1 카드(2)를 전방으로 용이하게 취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40 is arranged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one side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card 2, The first card 2 is pushed backward by the first card 2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card 2. When the second card 2 is manually pulled, the first card 2 is easily taken out forwar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마이크로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각각 제 1 및 제 2 카드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심 카드나 에스디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although the micro SIM card and the micro SD card are described as the first and second card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SIM cards and SD cards.

상기한 베이스(10)는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나 기판 등에 설치되거나 그 일부로 형성되며,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체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s 11 and 1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Here, the base 1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molding an insulator such as a synthetic resin.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는 전후로 다수 개 배열(도시된 예에서는 2열(列))된 마이크로 심 카드 접촉자인 제 1 카드 접촉자(50)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는 다수개(도시된 예에서는 1열 배열)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접촉자인 제 2 카드 접촉자(6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11 is a portion to which a first card contact 50 which is a plurality of microstrip contactors arranged in a front-back direction (two rows in the illustrated example) is coupled, and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12 Is a portion to which the second card contactor 60, which is a micro SD card contact of a plurality of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e row), is joined.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는 전후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접촉자(60)는 제 2 접촉자 장착부(12)와의 결합을 위해 제 1 접촉자(50)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50 and 6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back and forth direction and the second contactor 60 located at the rea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or 50 ).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는 베이스(10)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에 오버 몰딩(over molding)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억지끼움 방식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 또는 체결시킬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50 and 60 integrally formed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base 10 by over molding,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t may be an interference fit, or may be joined or fastened by an adhesive or the like.

또한, 제 1 및 제 2 접촉자(50, 60)에서 연장된 제 1 및 제 2 납땜부(51, 52)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soldering portions 51 and 52 exten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50 and 60 are configured to be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한편,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 후단부에 디텍트 스위치 리드(9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접촉자(60)들 중 우측으로부터 기설정된 접촉자와 디텍트 스위치 리드(90)와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detec- tor switch lead 9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10 to detect insertion and ejection of the second card 3 as a micro SD car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sertion and ejection into the micro SD card by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redetermined contact and the detec- tion switch lead 90 from the right side among the second contacts 60 as the micro SD card do.

또한,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41)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카드(2)가 전후로 가이드되어 제 1 카드(2)의 수동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 rectangular guide groove 13 is form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on the right corner portion, which is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first card 2 is guided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41 for manual ejection of the card 1 can slide back and forth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2 can be manually inserted and taken out.

여기서 "전후"방향이라 함은 도면들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70, 80)을 통해 삽입 및 취출되는 방향을 지칭하며, "좌우"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하"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는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rds 2 and 3 are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spaces 70 and 80 as shown in the drawings, Quot;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and the "upper and lower"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finition of this direction applies equally to all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제 1 쉘(20)은 상기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 상면을 덮으며 결합되어 베이스(10)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70)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삽입 및 취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shell 2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and is coupled to form a first insertion space 70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shell 20 and the base 10, There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card 2 can be inserted and removed.

이때, 상기 제 1 쉘(20)이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돌기(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쉘(2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 홀(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다.At this time, coupling protrusions (not numbered)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 so that the first shell 20 can be coupled to the base 10, (Not numbered)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20.

여기서, 추가적으로 제 1 쉘(20)의 좌우의 가장자리 상면 일부를 "L"자형으로 절개하여 각각 대향되게 제 1 가이드 편(21) 및 제 2 가이드편(22)을 상측으로 수직되게 돌출 형성한다.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edges of the first shell 20 is cut into an "L" shape, and the first guide piece 21 and the second guide piece 22 are vertically protruded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편(21)(22)은, 후술하는 제 2 쉘(3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삽입 공간(80)으로 삽입되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여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eces 21 and 22 ar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card 3 as a micro SD card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80 formed by the second shell 30 And maintains the horizontal position.

상기한 제 2 쉘(30)은 제 2 접촉자 장착부(12) 상면을 덮으며 결합되어 베이스(10)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80)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second shell 3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or mounting portion 12 and is coupled to form a second insertion space 80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second shell 30 and the base 10 to form the second card 3 as a micro- Thereby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light guide plate can be inserted.

이때,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는 그 중앙이 절개된 면이며, 그 좌우 양측면에 전후로 가이드부(14)가 상기 제 1 쉘(20)의 상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를 제 2 삽입 공간(80)내에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is a cut surface at the center, and the guide portion 14 is form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ell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So that the card 3 can be guided in the second insertion space 80.

물론, 상기 제 2 쉘(30)이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 양측면에도 결합돌기(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쉘(30)의 좌우 양측면에는 결합 홀(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된다.Of course, coupling protrusions (not numbered)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 so that the second shell 30 can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10, A coupling hole (not numbered)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shell 30. [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3)를 삽입하기 위한 제 2 쉘(30)은 마이크로 심 카드(2)를 삽입하기 위한 제 1 쉘(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함으로, 동일방향으로 다른 종류의 카드를 삽입함에도 불구하고 그 실장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second shell 30 for inserting the micro SD card 3 is locat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shell 10 for inserting the micro sim card 2,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unting area even though the card is inserted.

한편,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역삽입을 방지하도록 제 1 카드(2)의 좌측 모서리에 역삽입 방지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역삽입 방지면(2-1)에 대응하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후방의 좌측면에는 삼각형상의 역 삽입 방지턱(15)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urface 2-1 is formed on the left edge of the first card 2 so as to prevent the revers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 SIM card, and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urface 2-1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is formed a triangular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jaw 15.

따라서, 상기 역삽입 방지면(2-1) 및 역삽입 방지 턱(15)에 의해서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는 정해진 일 방향으로만 삽입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sim card can be inserted only in one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urface 2-1 and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jaws 15.

그러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오삽입되는 경우, 상기 역삽입 방지턱(15)이 마이크로 심 카드(2)의 삽입을 저지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 접촉자(50)와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접속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못하게 하여 시스템 오류 또는 오동작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 SIM card is erroneously insert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jaw 15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micro SIM card 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system error or a malfunction in advance by preventing the connection terminal (not given a reference number) of the first card 2 as a sim card fro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삼각형상의 역 삽입 방지턱(15)의 노출된 후벽에는 제 1 끼움홈(15-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선단부(42-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first fitting groove 15-1 is formed on the exposed rear wall of the triangular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jaw 15 so that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of the manual card take- 42-1 can be fitted and fix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한 수동 카드 취출부(40)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41);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전방에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42)로 이루어진다.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40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right rear side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A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41 for manual taking out of the card 2; And a card take-out plate (42) which is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41) and whose front surface contacts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상기한 카드 취출 플레이트(42)는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후방에서 좌우로 대략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 탄성 플레이트 형태로서, 그 선단부(42-1)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후방의 좌측에 형성된 역 삽입 방지턱(15)의 제 1 끼움홈(15-1)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후단부(42-2)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제 2 끼움홈(41-2)에 끼워져 고정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4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ard take-out plate 42 is in the form of a rod-shaped elastic plate which is elongated in a substantially "Z" -shape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ntactor mounting portion 11 to the left and right. The tip end portion 42-1 of the card take- The rear end 42-2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15-1 of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jaw 15 form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Is fitted and fixed in the second fitting groove 41-2 of the manual taking-out operation part 41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manual operation part 41 so that the manual taking-out operation part 41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an provide elastic force.

이때,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 후방에서 좌우로 대략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 탄성 플레이트 형태의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후단부(42-2) 쪽의 전면부(42-3)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카드(2)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이에 탄성 연결된 수동 취출 동작부(41)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내에서 후측으로 밀려 지지되고,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취출 동작에 따라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수동 취출 동작부(41)가 전방으로 당겨져 이에 탄성 연결된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전면부(42-3)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 제 1 카드의 취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face portion 42-2 of the rear end portion 42-2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in the form of a bar-like elastic plate which is long and bent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3 is a portion abutting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and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rd 2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The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41 is pushed backward in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and is pulled backward by the take-out operation of the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41, 1, when the card 2 is taken out,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41 is pulled forward and the front portion 42-3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card 2 is moved forward Out operation of the first card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한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재질은 절연 코팅된 금속 또는 탄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수동 취출 동작부(41)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material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is made of an insulated metal or a highly elastic plastic material so that an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41.

한편,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 형성된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은 그 전방으로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후단부(42-2)가 통과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제 2 끼움홈(4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 홀(13-1)이 형성되고, 상방으로는 큰 상방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41-1)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방 돌출된 수동 취출부(41-1)를 직접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form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the right corner por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slit hole 13-1 is formed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42-2 of the plate 42 is passed and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41-2 of the manual insertion operation portion 41, A manual opening portion 41-1 in which a worker protrudes upward is formed with a large upper opening portion 13-2 so that the manual taking out portion 41-1,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ing-out operating portion 41,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 SIM card can be taken out easily.

즉,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41-1)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의 상방 개구부(13-2)를 통해 상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제 2 쉘(3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직접 손가락이나 손톱을 이용하여 레버형태로 동작하기 쉽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anual take-out part 41-1,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41, is exposed upward through the upper opening 13-2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3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in the form of a lever using a finger or a nail.

여기서, 상기 수동 취출부(41-1)의 상면은 오돌오돌한 형태의 엠보싱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어 제 1 카드(2)의 취출을 위한 동작시에 당김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도록 되어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part 41-1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not numbered), the pulling operation is facilitated at the time of operation for taking out the first card 2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는 제 1 삽입공간(70)내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가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전면부(42-3)와 맞닿음과 동시에 탄성력을 갖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전면부(42-3)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후단부(42-2)를 통해 연결된 수동 취출 동작부(41)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42)의 후방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의 후방 내측단까지 가이드되어 지지됨으로써, 제 1 카드(2)의 삽입이 완료되어 진다(도 5a 참조).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as the micro SIM car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is inserted into the card take-out plate 40 of the manual card take- The front face portion 42-3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having elastic force is pushed backward while abutting against the front face portion 42-3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41 connected through the guide groove 42-2 is pushed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ard take-out plate 42 and is guided and supported to the rear inner end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 Th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2 is completed (see Fig. 5A).

이 상태에서,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수동 취출 동작부(41)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41-1)가 상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동 취출부(41-1)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자신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해서 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제 1 카드(2)의 삽입 방향과 반대로 수동 카드 취출부(40)이 동작 되어지고 최종적으로, 수동 카드 취출부(40)의 수동 취출 동작부(41)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3)의 전방 내측단까지 이동된 후 걸려 정지하게 되면, 제 1 삽입공간(7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카드(2)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도 5b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ard 2 is loaded and unloaded, the user takes out the manual takeout portion 41-1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takeout portion 41-1,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40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card 2 and finally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40 is operated, The first card 2 protruded forward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is stopped by the manual insertion operation portion 41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when the manual insertion operation portion 41 of the first insertion slot 70 is moved to the front inner side end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3, So that it can be easily taken out (see FIG. 5B).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상의 카드 취출 플레이트(42)를 구비한 수동 카드 취출부(40) 대신에 카드 취출 블록(142)를 구비한 수동 카드 취출부(140) 구조를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ual card take-out means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d-like card take-out plate 42 having a long "Z" -shaped shape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manual card take-out part 140 having a card take-out block 142 instead of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40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structure,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동 카드 취출부(140)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141);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141)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블록(142);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141)를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수단(143)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ight rear side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A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141)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for manual taking out of the first card (2); A card take-out block 142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141 and having its front surface abutted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And an elastic means 143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anual operation member 141 in the backward direction.

또한,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동작부(141)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13)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카드(2)가 전후로 가이드되어 제 1 카드(2)의 수동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 rectangular guide groove 113 is form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on the right corner portion, which is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rectangular card-shaped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141 for manual ejection of the card 1 can slide back and forth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13 so that the first card 2 is guid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manually inserted and taken out.

아울러,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13)의 좌측 전방으로는 카드 취출 블록(142)의 후단 연결부(142-1)가 통과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141)의 전방에 일체 결합되도록 하는 슬릿 홀(113-1)이 형성되고, 상방으로는 큰 상방 개구부(113-2)가 형성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141)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141-1)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방 돌출된 수동 취출부(141-1)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The rear end connecting portion 142-1 of the card take-out block 142 is passed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13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ront side of the manual taking- A large upward opening 113-2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manual taking-out part 141-1,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manual taking-out operation part 141,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sim card can be easily taken out by pulling the manually-pulled-out portion 141-1 which is manually upwardly projected.

더구나, 상기 사각통 형상의 수동 취출 동작부(141)의 우측 하단에 탄성 수단 수용홈(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탄성수단(143)이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13)의 전방 내벽 하단과 탄성 수단 수용홈 사이에 개재되어 수동 취출 동작부(141)를 상시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means receiving groove (unillustrated) is formed at the lower right end of the rectangular tube-shaped manual taking-out operation portion 141 so that the elastic means 143 is engaged with the front inner wall lower end And the elastic means receiving groove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manual operation member 141 in the backward direction at all time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는 제 1 삽입공간(70)내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가 수동 카드 취출부(140)의 카드 취출 블록(142)의 전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카드 취출 블록(142)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카드 취출 블록(142)의 후단 연결부(142-1)를 통해 연결된 수동 취출 동작부(41)는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어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113)의 후방 내측단까지 가이드되어 지지됨으로써, 제 1 카드(2)의 삽입이 완료되어 진다(도 7a 참조).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as the microsim car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The card take-out block 142 is pushed backward while abutting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card take-out block 142. Thus,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41 connected through the rear end connection portion 142-1 of the card take-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3 at the rear inner end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113, thereby completing th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2 (see FIG. 7A).

이 상태에서,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수동 취출 동작부(141)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141-1)가 상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동 취출부(141-1)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자신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해서 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제 1 카드(2)의 삽입 방향과 반대로 수동 카드 취출부(40)가 동작 되어지고 이때, 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143)에 의해 전방으로의 전진을 제한하게 되며, 마이크로 심카드로서의 제 1 카드(2)는 대략 0.5mm 정도 전방으로 취출되어 짐과 동시에 탄성수단(143)의 후방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동 카드 취출부(40) 전체가 후방으로 원위치 되어진다. 물론, 대략 0.5mm 정도로 제 1 삽입공간(70)의 전방으로 밀려난 제 1 카드(2)는 손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도 7b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ard 2 is loaded and unloaded, the user takes out the manual takeout part 141-1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takeout part 141-1,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manual take-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40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d 2, and at this time, The first card 2 as the micro SIM card is taken out to the front side by about 0.5 mm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sid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143 automatically restricts the forward movement of the manual card 1. [ The entire take-out portion 40 is returned to the rear. Of course, the first card 2 pushed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by about 0.5 mm can be easily taken out (see FIG. 7B).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카드 취출 블록(142) 및 탄성수단(143)을 구비한 수동 카드 취출부(140) 대신에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 구조를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S. 8A to 8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insertion and removal states of a SIM card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having a card ejection mean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140 having the card take-out block 142 and the elastic means 143 is replaced by a single block type manual card take-out unit 240, The same constitution and structure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ir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동 카드 취출부(240)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ight rear side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And is a single type of manual card take-out block which is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whose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또한,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대략 사각통 형상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카드(2)가 전후로 가이드되어 제 1 카드(2)의 수동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is formed in the right rear corner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the right corner of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240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for manual ejection of the card 1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so that the first card 2 is guided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manually inserted and taken out.

아울러,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의 전방으로는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개구부(213-1)가 형성되고,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후방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241)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방 개구부(213-2)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방 돌출된 수동 취출부(241)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A front opening portion 213-1 is formed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in the form of a single block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upper opening 213-2 is formed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241, which is an upper rear por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protrudes upward, and the manual take-out portion 241, So that the first card 2 as a micro SIM card can be easily taken out.

여기서, 상기 수동 취출부(241)의 상면은 오돌오돌한 형태의 엠보싱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어 제 1 카드(2)의 취출을 위한 동작시에 당김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도록 되어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unit 241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not numbered), the pulling operation is facilitated during operation for taking out the first card 2 .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쉘(30)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는 베이스(10)의 우측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 양측면에도 결합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6)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쉘(30)의 후방 우측면에는 결합 홀(31)이 형성된다.8C, the second shell 3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213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10 so as to be coupled to the right rear end of the base 10, And a coupling hole 31 is formed in the rear right side surface of the second shell 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16.

이때, 상기 상방 돌출되어 개방된 수동 취출부(241)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 2 삽입공간(80)의 상측을 커버하는 캡 형상의 제 2 삽입공간 커버부(81)가 형성되며, 상기 캡 형상의 제 2 삽입공간 커버부(81)의 우측부(81-1)가 상부로 개방된 수동 취출부(241)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단차진 형태로 되어 있어 수동 취출부(241)의 전체 개방 폭이 더욱 더 넓어지므로 제 1 카드(2)의 취출이 더욱 더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a cap-shaped second insertion space cover portion 81 is formed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space 80 and is spaced to the left from the upwardly opened manual insertion portion 241, The right side portion 81-1 of the second insertion space cover portion 81 in the shape of a steppe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 The width of the first card 2 becomes wider,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taken out more easil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는 제 1 삽입공간(70)내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가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전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의 후방 내측단까지 가이드되어 지지됨으로써, 제 1 카드(2)의 삽입이 완료되어 진다(도 8a 참조).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as the microsim car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is inserted into the manual card take-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240 of a single block type is pushed back and is thereby guided to the rear inner end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 Is completed (see Fig. 8A).

이 상태에서,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후방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241)가 상방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동 취출부(241)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자신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해서 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제 1 카드(2)의 삽입 방향과 반대로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가 동작 되어지고, 제 1 삽입공간(70)의 전방으로 밀려난 제 1 카드(2)는 손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도 8b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ard 2 is loaded and unloaded, the manual take-out part 241 is opened to the us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take-out part 241, which is the upper upper part of the manual card take-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240 of a single block type is operated in reverse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first card 2, The first card 2 pushed to the front of the first card 70 can be easily taken out (see Fig. 8B).

도 9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수동 카드 취출 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상의 카드 취출 플레이트(42)를 구비한 수동 카드 취출부(40) 대신에 카드 취출 힌지 레버(341)를 구비한 수동 카드 취출부(340) 구조를 나타내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ual card take-out means of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IGS.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a card takeout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d-like card take-out plate 42 having a long "Z" -shaped shape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manual card take-out portion 340 having a card take-out hinge lever 341 instead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40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structure,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동 카드 취출부(340)는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핀 결합되며, 그 전방부(341-1)는 전방 끝단이 하향 경사져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341-2)는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부로 되는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34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ight rear side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e hinge pin 342 is hinge-pin-coupled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pin 342. The front portion 341-1 of the hinge pin 341 is inclined downward to abut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341-2) is a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which is a manual take-out part for manual take-out of the first card (2).

이러한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는 대략 역(逆) "L" 자 형태로 되어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는 그 전방부(341-1)가 하방향으로 움직여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시에는 그 후방부(341-2)를 후측으로 밀어줌으로써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전방부(341-1)는 상향 이동되어 이에 맞닿은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 제 1 카드가 취출되어진다.This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has a substantially inverted " L "shape so that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its forward portion 341-1 moves downward to move the hinge pin 342 The first card 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card 2 is manually engaged, the rear portion 341-2 is pushed rearward to rotate backward about the hinge pin 342, The first card 341-1 is moved upward and the first card 2 is pulled out by pushing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2 abutting it.

여기서,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가 그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힌지 핀(342) 체결을 통해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가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 rectangular guide groove 313 is form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on the right corner, which is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hinge lever 341 is housed therein and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pin 34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hinge pin 342. [

아울러,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313)의 전방으로는 수동 취출 힌지 레버(241)의 전방부(341-1)가 통과되도록 슬릿 홀(313-1)이 형성되고, 상방으로는큰 상방 개구부(313-2)가 형성되어 대략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의 상측부인 후방부(341-2)가 상방으로 경사(앞쪽으로)지게 돌출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방 돌출면서 앞쪽으로 약간 경사진 후방부(341-2)를 뒷쪽으로 직접 밀어줌으로써,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A slit hole 313-1 is formed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313 so as to allow the front portion 341-1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241 to pass therethrough, The rear portion 341-2,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having a substantially inverted "L " shap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toward the front) The first card 2 as a micro-sim card can be easily taken out by pushing the rear portion 341-2, which slightly protrudes upward while slightly inclining forward, directly to the rear sid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삽입시에는 제 1 삽입공간(70)내로 삽입되는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가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의 전방부(341-1)에 맞닿음과 동시에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의 전방부(341-1)의 하향 경사진 전방 끝단을 하방향으로 밀어주고, 이에 따라 대략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 전체는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313)의 전면부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제 1 카드(2)의 삽입이 완료되어 진다(도 10a 참조).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card 2 is inserted as the micro SIM car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70 is inserted into the front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341-1 and pushes the downwardly inclined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341-1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downward so that a substantially inverted " L " The entir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round the hinge pin 342 and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is hook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313 , Th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2 is completed (see Fig. 10A).

이 상태에서, 제 1 카드(2)의 취출시에는 대략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의 돌출된 후방부(341-2)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자신의 손가락이나 손톱을 사용해서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대략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 전체는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동 취출 힌지 레버(341)의 전방부(341-1)의 하향 경사진 전방 끝단이 상승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닿은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 제 1 카드(2)는 손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도 10b 참조).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card 2 is taken out, the user manually directly pushes the protruded rear portion 341-2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of the substantially "L" When the user manually pushes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backward using a finger or a nail, the entire manual take-out hinge lever 341 of a substantially inverted "L " shape rotates rearward about the hinge pin 342, The forward end of the front portion 341-1 of the take-out hinge lever 341 is rotated upward and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2 abutting on the front end is forwardly pushed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easily taken out (See FIG. 10B).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의 심 카드의 삽입 및 취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 구조와 유사하나, 클릭 돌기(214) 및 클릭 홈(242)을 형성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동일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11A to 11C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states of a SIM card in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provided with a card ejecting me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click projections 214 and the click grooves 242 are formed. The same structure and structur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동 카드 취출부(240)는, 상술한 세번 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2)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nual card take-out unit 24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The right side of the two contactor mounting portions 12)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2 do.

또한, 베이스(10)의 제 1 접촉자 장착부(11)의 우측 후방, 즉 제 2 접촉자 장착부(12)의 우측부인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수동 취출을 위한 대략 사각통 형상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가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카드(2)가 전후로 가이드되어 제 1 카드(2)의 수동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함은 전술한 세번 째 실시예와 동일하다. A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is formed in the right rear corner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at is, the right corner of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12,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240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e shape for manual ejection of the card 1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so that the first card 2 is guided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first card 2 can be manually inserted and taken out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의 전방으로는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개구부(213-1)가 형성되고,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후방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241)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방 개구부(213-2)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방 돌출된 수동 취출부(241)를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A front opening portion 213-1 is formed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in the form of a single block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upper opening 213-2 is formed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241, which is an upper rear por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240, protrudes upward, and the manual take-out portion 241, So that the first card 2 as a micro SIM card can be easily taken out.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213)의 전후 양사이드에는 상하로 길게 대향되게 클릭돌기(214)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수동 취출부(241)의 전후 양사이드에는 상하로 길게 대향되게 클릭 홈(242)이 형성되어 제 1 카드(2)의 삽입 및 취출시에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수동 카드 취출부(240)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한 삽입 및 취출시에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1a 및 도 11b 참조).In this embodiment, a click projection 214 is formed so as to vertically oppos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213, an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nual takeout section 241 opposed thereto, And the first card 2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card 2 in a mutually engaged manner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click of the manual card take- (See Figs. 11A and 11B).

또한, 제 1 쉘(20)의 우측 모서리에서는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판상의 스토퍼(23)를 형성시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2)의 삽입시에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 a plate-shaped stopper 23 that is vertically bent upward can be formed at the right edge of the first shell 20 so as to serve as a stopper when inserting the second card 2 as the SD card.

여기서, 상기 수동 취출부(241)의 상면은 오돌오돌한 형태의 엠보싱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있어 제 1 카드(2)의 취출을 위한 동작시에 당김 작업이 보다 수월해지도록 되어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unit 241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not numbered), the pulling operation is facilitated during operation for taking out the first card 2 .

한편,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취출부(241)의 상면 높이와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도록 하여 디자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portion 241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card 3 as the SD card can be designed to be the same as shown in Fig. 11C.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 제 1 카드 2-1: 역삽입 방지면
3: 제 2 카드 4: 카드 이젝터 핀
10: 베이스 11. 12: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
13, 113, 213, 313 :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
13-1, 113-1, 313-1: 슬릿 홀 213-1: 전방 개구부
13-2, 113-2, 213-2, 313-2: 상방 개구부
14: 가이드부 15: 역 삽입 방지턱
15-1: 제 1 끼움홈
20: 제 1 쉘 21: 제 1 가이드 편
22: 제 2 가이드편 30: 제 2 쉘
40, 140, 240, 340: 수동 카드 취출부
41, 141: 수동 취출 동작부
41-1, 141-1, 241: 수동 취출부
41-2: 제 2 끼움홈
42: 카드 취출 플레이트 42-1: 선단부
42-2: 후단부 42-3: 전면부
142: 카드 취출 블록
142-1: 후단 연결부 143: 탄성수단
341: 카드 취출 힌지 레버 341-1: 전방부
341-2: 후방부 342: 힌지 핀
50: 제 1 접촉자 51, 52: 제 1 및 제 2 납땜부
60: 제 2 접촉자
70, 80: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
90: 디텍트 스위치 리더
1: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equipped with card ejec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first card 2-1: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surface
3: Second card 4: Card ejector pin
10: base 11. 12: first and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s
13, 113, 213, 313: rectangular guide groove
13-1, 113-1, 313-1: Slit hole 213-1: Front opening
13-2, 113-2, 213-2, and 313-2:
14: guide part 15: reverse insertion preventing chin
15-1: First fitting groove
20: first shell 21: first guide piece
22: second guide piece 30: second shell
40, 140, 240, 340: Manual card ejection unit
41, 141: Manual take-
41-1, 141-1, and 241:
41-2: second fitting groove
42: Card ejection plate 42-1:
42-2: rear end portion 42-3: front portion
142: Card removal block
142-1: rear end connection portion 143: elastic means
341: Card ejection hinge lever 341-1:
341-2: rear portion 342: hinge pin
50: first contacts 51, 52: first and second soldering parts
60: second contact
70, 80: first and second insertion spaces
90: Detect switch reader

Claims (23)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고,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를 삽입하면 상기 카드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고, 수동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제 1 카드를 전방으로 취출시키는 수동 카드 취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attachment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econd contact-attachment portion being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tact-attachment portion;
A first shel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the first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first contact provided in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first card;
A second shell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a second card to be inserted into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second contact provided at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econd card; And
The front face of the first car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and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the card is pushed rearward and supported by the card, And a manual card take-out unit for taking out said first card forward when pulled by manual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ard take-
A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for manually ejecting the first card, the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being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nd a card take-out means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ng portion, the card take-out means having its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후방에서 좌우로 "Z" 자형으로 길게 절곡된 막대형 탄성 플레이트 형태로서, 그 선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후방의 좌측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d take-out plate is in the form of a rod-shaped elastic plate which is elongated in a "Z" shape in a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ntactor mounting portion, the tip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ef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or mounting portion, And the card take-out means is fixed to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so that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후방의 좌측면에는 상기 제 1 카드의 역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삼각형상의 역 삽입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The method of claim 3,
And a triangular inverted insertion preventing jaw for preventing reverse insertion of the first card is formed on a left side surface of the base at a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attachment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선단부는 상기 역 삽입 방지턱의 제 1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그 후단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제 2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card take-out plate is fixedly fitted in a second fitting groove of a manual taking-out operation portion located on the right rear side of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And a card ejection means for ejecting the c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재질은 절연 코팅된 금속 또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d take-out plate is made of an insulated metal or an elastic plastic materi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카드 취출 플레이트의 후단부가 통과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제 2 끼움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는 노출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ear end of the card take-out plate is passed through the front of the guide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of the manual take- And an upper open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protrudes upw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취출부는 상기 제 2 쉘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manual take-out part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sh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 동작부;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는 카드 취출 블록; 및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를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ard take-
A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for manually ejecting the first card, the manual ejection operation portion being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ortion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card take-out block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art, the front face of the card being in contact with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And
And a resilient means for resiliently pressing the manual take-out operating portion in the backward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좌측 전방으로는 상기 카드 취출 블록의 후단 연결부가 통과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전방에 일체 결합되도록 하는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ear end connection portion of the card take-out block is passed through the left front side of the rectangular tube-shaped guide groove to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Wherein a slit hole is formed and an upward opening is formed thereon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operation portion, protrudes upward.
제 10 항에 있어서,
사각통 형상의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의 우측 하단에는 탄성 수단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 내벽 하단과 탄성 수단 수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동 취출 동작부를 후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resilient means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inner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and the elastic means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manual take- And the card-ejecting means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카드 취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우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그 전면이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ard take-out par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tact attachment part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has a front surface that abuts on the right rear end of the first card, And a card ejecting means for ejecting the car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단일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 블록의 전방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방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일 블록 형태의 수동 카드 취출부의 후방 상측부인 수동 취출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ront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single-type manual card take-out block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 upper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so that the manual take-out portion, which is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single-block type manual card take-out portion, protrudes upwar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쉘은 상기 상방으로 돌출된 수동 취출부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 2 삽입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는 캡 형상의 제 2 삽입공간 커버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캡 형상의 제 2 삽입공간 커버부의 우측부가 상기 수동 취출부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단차진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shell further has a cap-shaped second insertion space cover portion that is spaced leftward from the upwardly projected manual insertion portion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sertion space, And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socket is separated from the manual take-out portion to the left side so as to have a stepped shap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후 양사이드에는 상하로 길게 대향되게 클릭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릭돌기에 대향하는 상기 수동 취출부의 전후 양사이드에는 상하로 길게 대향되게 클릭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 및 취출시에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lick protrusion i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ctangular tube-shaped guide groove so as to oppose to each other in a vertically long manner, and a click groove i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nual take- Wherein the card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card insertion / ejection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쉘의 우측 모서리에서는 상측으로 수직 절곡된 판상의 스토퍼를 형성시켜,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시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plate-shaped stopper vertically bent upward is formed at a right edge of the first shell to serve as a stopper when inserting the second card.
제 13 항에 있어서,
수동 취출부의 상면 높이와 상기 제 2 카드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card are the sam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취출부의 상면은 오돌오돌한 형태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ual take-out portion is formed with an embossed portion in a shape of a flap.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1 삽입 공간으로 제 1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와의 사이 공간인 제 2 삽입 공간으로 제 2 카드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 2 쉘;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 우측 후방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핀 결합되며, 그 전방부는 전방 끝단이 하향 경사져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와 맞닿고, 그 후방부는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을 위한 수동 취출부로 되는 수동 취출 힌지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attachment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econd contact-attachment portion being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tact-attachment portion;
A first shell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the first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first contact provided in the first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first card;
A second shell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allowing a second card to be inserted into a second insertion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A second contact provided at the second contact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econd card; And
A front end portion of the hinge pin is inclined downward to abut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and a rear portion of the hinge pin abuts 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And a manual take-out hinge lever as a manual take-out part for manual take-out of the car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취출 힌지 레버는 역(逆) "L" 자 형태로서, 상기 제 1 카드의 삽입시에는 그 전방부가 하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카드의 수동 취출시에는 그 후방부를 후측으로 밀어주여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전방부는 상향 이동되어 이에 맞닿은 상기 제 1 카드의 우측 후단부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is in the form of an inverted " L "shape,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card is moved downward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bout the hinge pin when the first card is inserted,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ard is upwardly moved so as to push the right rear end portion of the first card abutting the front portion forward. Means for inserting the memory card into the socke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우측 코너부에는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가이드 홈의 전방으로는 상기 수동 취출 힌지 레버의 전방부가 통과되도록 슬릿 홀이 형성되고, 그 상방으로는 상방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역(逆) "L" 자 형태의 수동 취출 힌지 레버의 상측부인 후방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1. The method of claim 20,
A slit hole is formed in the right corner of the base so as to allow a front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to pass through a front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 and an upper opening And a rear portion of the manual take-out hinge lever,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manual reverse hinge lever, protrudes upward.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는 마이크로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Wherein the first card is a Micro SIM card and the second card is a Micro SD CARD. 2. A socket for a dual memory card, comprising: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공간을 통해 동일 방향으로 삽입 및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취출 수단을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ards are inserted and extrac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spaces.
KR1020140052294A 2014-04-30 2014-04-30 Socket for dual memory card KR101586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94A KR101586243B1 (en) 2014-04-30 2014-04-30 Socket for dual memory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94A KR101586243B1 (en) 2014-04-30 2014-04-30 Socket for dual memory c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54A true KR20150125254A (en) 2015-11-09
KR101586243B1 KR101586243B1 (en) 2016-01-18

Family

ID=5460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94A KR101586243B1 (en) 2014-04-30 2014-04-30 Socket for dual memory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24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033A (en) * 1999-10-21 2001-04-27 Yokowo Co Ltd Connector for card
JP2001195546A (en) * 2000-11-22 2001-07-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ontact and cancel mechanism for ic card
KR101027914B1 (en) * 2009-09-07 2011-04-12 케이. 에이. 이 (주) Dual sim card connector
KR20130005659U (en)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A dual micro memory socket connector
KR20130122090A (en) * 2012-04-30 2013-11-0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Dual memory card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033A (en) * 1999-10-21 2001-04-27 Yokowo Co Ltd Connector for card
JP2001195546A (en) * 2000-11-22 2001-07-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ontact and cancel mechanism for ic card
KR101027914B1 (en) * 2009-09-07 2011-04-12 케이. 에이. 이 (주) Dual sim card connector
KR20130005659U (en)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A dual micro memory socket connector
KR20130122090A (en) * 2012-04-30 2013-11-0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Dual memory card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243B1 (en)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653B2 (en) Dual-slot memory card adapter
US9077109B1 (en) Card connector
KR101627697B1 (en) Connect assembly for dual memory card and card tray used in the same
US7445476B2 (en) Card for information equipment,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equipment
CN103228115B (en) Electronic equipment
KR101228837B1 (en) Sim card socket
KR101444041B1 (en) Card Connector
JP5824357B2 (en) connector
CN104600490B (en) Mobile terminal with fixing device
KR101574726B1 (en) Socket for dual memory card
US7351081B1 (en) Memory card connector for automobile
KR101724335B1 (en) Connector and detection switch
US20130005168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TW201304311A (en) Card connector
KR101586243B1 (en) Socket for dual memory card
CN104037531A (en) Card plug-ins
KR100717740B1 (en)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KR101489495B1 (en) Socket for dual memory card
EP3304652B1 (en) C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4957410U (en) Split type cassette and have its terminal
KR101824018B1 (en) Connector for card
KR101468956B1 (en) Dual card type socket
KR101531865B1 (en) Socket for dual memory card
JP5974135B1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KR100717741B1 (en) Switch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or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