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773A - 이온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773A
KR20150124773A KR1020140051758A KR20140051758A KR20150124773A KR 20150124773 A KR20150124773 A KR 20150124773A KR 1020140051758 A KR1020140051758 A KR 1020140051758A KR 20140051758 A KR20140051758 A KR 20140051758A KR 20150124773 A KR20150124773 A KR 2015012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voltage
soft
couple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620B1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주) 브이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6010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247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브이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 브이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4005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26Means for avoiding or neutralising unwanted electrical charges on tube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압을 발생하여 연 엑스선관에 전달하는 전압발생부, 연 엑스선관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전압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전달받는 전압 전달 모듈, 그리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연결되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 그리고 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내삽하여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연 엑스선관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해당 연 엑스선관의 수명이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온화 장치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가 필요한 해당 연 엑스선관 모듈만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여 이온화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온화 장치{ION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연 엑스선관을 모듈로서 분리 가능한 바(bar) 형태의 이온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soft X-ray)을 대전체를 향해 방사하는 연 엑스선관을 포함하여 대전체 주변의 기체분자를 이온화(ionization)하여 대전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정전기를 중화하는 장치이다.
이온화 장치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대(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며, 광 이오나이저는 하나의 연 엑스선관을 갖는다.
이때, 연 엑스선관은 음극과 양극을 각각 구비하며, 두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 지지된다.
종래의 연 엑스선관은 절연체로 된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진공의 용기 내부에 양극과 음극을 각각 대향하여 구비하며, 양극과 음극의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엑스선이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엑스선창을 구비한다.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관전압이라 하는데, 관전압이 높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강하고 파장이 짧은 엑스선인 경 엑스선(Hard X-ray)이 발생하고, 관전압이 낮을수록 물질에 대한 투과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파장이 긴 엑스선인 연 엑스선(Soft X-ray)이 발생한다.
공기를 이온화하기 위해서는 투과력이 약한 연 엑스선을 사용하는데,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종래의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는, 전구의 수명이 닳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연 엑스선관도 시간이 지나면 필라멘트가 마모되어 수명을 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온화 장치의 경우, 연 엑스선관에서 사용되는 고전압의 절연을 위해 몰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연 엑스선관이 이온화 장치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 엑스관의 교체를 위해 이온화 장치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온화 장치의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더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을 함께 폐기해 버림으로, 이의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산업 폐기물이 양산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에서 연 엑스선관을 광 이오나이저로부터 분리하여, 연 엑스선관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연 엑스선관 부분만을 쉽게 분리 및 교체함으로써 이온화 장치의 교체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온화 장치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고, 인터로크 발생시 광 이오나이저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온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통신 및 전원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를 통해, 둘 이상의 연속하여 위치하는 바 형태의 이온화 장치를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연 엑스선관에 전달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연 엑스선관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압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전달받는 전압 전달 모듈, 그리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연결되고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 그리고 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광 이오나이저를 내삽하여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풀리거나 조이는 판넬 훼스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풀리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조여지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위치하는 것이 좋다.
한 예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신케이블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중 한 포트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나머지 다른 한 포트는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인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판넬 훼스너(panel fastener)를 형성하여, 연 엑스선관을 이온화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 엑스선관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발광부를 점등하여 연 엑스선관의 동작, 정지, 교체시기, 수명, 상태 이상 및 전원 정상 공급 여부를 나타내어, 이온화 장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구비된 두 쌍의 전원공급 연결포트와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이온화 장치 사이에 전원을 연결하거나 통신을 연결하여 다수의 이온화 장치에 연결되는 배선 소요량을 최소화하고 배선을 간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른 이온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 중 제1 잭 결합부 및 제2 잭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온화 장치는 막대, 즉 바(bar) 형상을 갖는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버(20), 몸체(10)와 상부 커버(20)의 측면에 연결되는 측부 커버(30), 몸체(10)에 적어도 연결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 이오나이저, 이온화 장치의 상태 또는 가동시간을 나타내는 표시창(12),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부(11a, 11b), 이온화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부(13), 광 이오나이저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14),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연결부(11c, 11d), 그리고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입출력연결부(11e)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온화 장치는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나, 도면에서는 하나의 광 이오나이저를 도시하여 설명을 기재했으며, 도면으로 인해 발명이 오해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몸체(10)는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입면체 구조를 갖고, 인접하는 두 면이 서로 수직하여 연결된 면을 구비한다. 이때, 몸체(10)는 세 면을 구비하여 ‘ㄷ’ 형상의 단면을 갖고, 이로 인해 몸체(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한 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10) 내부의 공간에 광 이오나이저의 구성요소들과 전압발생부(40)가 위치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b를 참고로 하면, 몸체(10)를 형성하는 세 면 중 한 면, 바람직하게는 가운데 면은 뚫린 부분(10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부 커버(20)는 몸체(10)의 한 측면으로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연속하는 세 면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면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몸체(10)의 개구된 한 부분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몸체(10)와 상부 커버(20)의 대응되는 구조는 결합구조(이른 바, 파티션을 연결하는 ‘쫄대’ 같은 형상)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부 커버(20)는 몸체(10)의 개구된 부분의 면을 제외하고 상부 커버(20)의 한 단부에서 다른 한 단부까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 커버(20)가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부 커버(20)와 고정부(5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50)에 전압 전달 모듈(60) 및 전압 발생부(40)가 고정되어 연결되고, 고정부(50)는 상부 커버(20)와 몸체(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전압 전달 모듈(60) 및 전압 발생부(40)가 몸체(10)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한 예에서, 전압 전달 모듈(60)은 전압 전달 모듈 결합 나사(51a, 51b)를 통해 고정부(50)에 결합되고, 전압 발생부(40)는 전압 발생부 결합 나사(53a, 53b)를 통해 고정부(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측부 커버(30)는 이온화 장치를 외부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측부 브라켓 연결부(3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몸체(10)의 한 측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몸체(10)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광 이오나이저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광 이오나이저는 연 엑스선관(120)와 연결된 플랜지부(112),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연 엑스선관 몰드(130), 연 엑스선관 커버(140),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전압 전달 모듈(60), 전압 전달부(41), 그리고 전압발생부(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측면을 덮는 구조, 즉 몸체(10)의 구조처럼 인접하는 두 면이 수직으로 연결된 연속적인 세 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크기와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몸체(10)의 측면을 도면과 같이 감싸며 위치한다.
이때,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연 엑스선관(120)을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인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구비하고 있고, 플랜지부(112)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을 구비하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몸체(10)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인 판넬 훼스너(121a, 121b)를 구비한다.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는 연 엑스선관(12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연 엑스선관(120)은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관통하여 위치함으로써 연 엑스선관(120)과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때, 각각의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에는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각각 관통하여 위치한다.
연 엑스선관(120)은 플랜지부(112)의 한 단부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 및 연엑스선관 결합부(150)를 관통하여 위치하며, 연 엑스선관 몰드(130)에 감싸진다.
연 엑스선관(120)는 인가받은 전압을 이용하여 내부에서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를 전위차에 의해 끌어당긴다. 이때, 끌어당겨진 전자들이 애노드(anode)의 양극물질에 충돌하여 연 엑스선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연 엑스선관(120)은 전자를 이용하여 연 엑스선(Soft X-ray)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연 엑스선관(120)에서 생성되어 방출된 연 엑스선은 플랜지부(112)에 형성된 엑스선 출력창(11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120)은 전압발생부(40)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연 엑스선을 생성한다.
그리고,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 외부를 일부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전압발생부(40)로부터 연 엑스선관(120)에 인가되는 고압 절연파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사고를 예방한다.
예로써,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를 실리콘 튜브로 씌운 후 실리콘으로 몰딩(moulding)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몰드(130)는 연 엑스선관(120)과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의 납땜 연결 시 노출되는 비절연 부분(bare wire)을 전기적으로 절연을 확보하여 연 엑스선관(120)의 안정된 동작을 만들어준다.
플랜지부(112)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한 단부에 연 엑스선관(120)와 연결되어 있고, 연 엑스선관(120)에서 출력된 엑스선을 출력하기 위한 엑스선 출력창(110)을 구비한다.
이때,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는 부착되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12)는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관통하는 관통공인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플랜지 결합 나사(111a, 111b)가 플랜지부(112)의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 및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를 각각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의 일체형 구조가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통해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결합되게 된다.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는 연 엑스선관(120)이 관통할 만한 크기의 개구부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한 단면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형성된 개구부가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형성된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에 대응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가 연결되는 접합부에 형성된 홈에 고무 재질의 오링(o-ring)(151)을 삽입하여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서 고압방전현상에 의해 발생된 이온화 기체로 인해 외부 금속과의 고압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의 연 엑스선관 관통부(101)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120)은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플랜지 제1 결합 관통공(113a, 113b) 및 플랜지 제2 결합 관통공(112a, 112b)를 각각 관통한 플랜지부 결합 나사(111a, 111b)가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랜지부(112) 및 연 엑스선관(120)의 일체형 구조는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및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와 결합된다.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서,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원통 형상의 내부에 탭 연결부(162)를 구비하여 탭 연결부(162)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를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로부터 연장하여 구비한다.
연 엑스선관 커버(140)는 연 엑스선관 몰드(130)를 감싸도록 위치하여 연 엑스선관(1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절연한다.
그리고, 연 엑스선관 커버(140)의 외부 형상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및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연 엑스선관 커버(14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120)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를 분리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플랜지부(112)와 연 엑스선관(120) 일체형 구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 연 엑스선관 결합부(150), 연 엑스선관 몰드(130), 연 엑스선관 커버(140),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그리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각각 연결되어 결합되며,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듈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전압발생부(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공급 받은 전원을 연 엑스선관(120)을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고전압으로 승압한다.
이때, 전압발생부(40)는 연 엑스선관(120) 구동전압을 발생하여 연 엑스선관(120)로 전달한다. 한 예에서, 전압발생부(40)는 적어도 두 개의 전선(전압 전달부(41))를 구비하고, 전압 전달부(41)를 통해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연 엑스선관(120)으로 전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된 고전압은 전압 전달부(41)로 전달되고, 전압 전달부(41)는 전압 전달 모듈(60)로 연결되어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을 통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한 예에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탭 연결부(162)에 연결되어 있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 (171)는 동축 케이블의 연결처럼 잭 연결 방식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이때, 탭 연결부(162)가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 내부에 삽입되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는 연 엑스선관(120)를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에 고정 결합되고,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 및 연 엑스선관 결합 돌출부(160)는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 내부로 삽입되며,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의 체결 구조로 인해, 전압발생부(40)에서 발생한 전압이 연 엑스선관(120)로 전달되게 된다.
도 4c를 참고로 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한 전압은 전압 전달부(41)를 통해 전압 전달 모듈(60)로 전달되고, 전압 전달 모듈(60)에 전달된 전압은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 및 연 엑스선 결합 제1 전극부(161)를 통해 연 엑스선관 튜브 결합부(150)에 위치하는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는 연 엑스선관 커버(140)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전선(152a) 및 제2 전선(152b)의 단부는 연 엑스선관 몰드(130)를 통과하여 연 엑스선관(12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한 고전압이 연 엑스선관(120)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 결합 개방홈(170)을 구비하는 전압 전달 모듈(60)은, 전압 전달 모듈 결합 나사(51a, 51b)가 전압 전달 모듈(60)에 형성된 전압 전달 모듈 결합 관통공(52a, 52b)을 관통하여 위치하여 고정부(50)에 고정 결합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고정부(50)은 몸체(10)와 상부 커버(20)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이므로, 고정부(50)에 연결된 전압 전달 모듈(60)이 구비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171)에 연 엑스선관 모듈에 형성된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161)가 연결되면, 연 엑스선관(120)를 포함하고 몸체(10)의 뚫린 부분(10a)을 통해 몸체(10) 내부에 위치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이 이온화 장치 내부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는 몸체(10)의 측면에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결합된 판넬 훼스너(121a, 121b)를 조절하여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를 몸체(10)의 뚫린 부분(10a)을 통해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면,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와 결합된 광 이오나이저 모듈이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100)에 결합된 채로 몸체(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판넬 훼스너(121a, 121b)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인가된 힘에 의해 풀리거나 조이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예로써, 판넬 훼스너(121a, 121b)가 풀리도록 위치하는 경우, 연 엑스선관(120)을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이 이온화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다른 한 예에서, 판넬 훼스너(121a, 121b)가 조이도록 위치하는 경우, 연 엑스선관(120)을 포함하는 연 엑스선관 모듈은 이온화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구비하는 이온화 장치에서 어느 하나의 연 엑스선관(120)에서 이상이 발생하거나 연 엑스선관(120)의 수명이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온화 장치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가 필요한 해당 연 엑스선관 모듈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연 엑스선관 모듈로 교체하여 이온화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온화 장치의 몸체(10)에 형성된 표시창(12), 발광부(13), 스위치(14) 및 전원 통신 연결부(11)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표시창(1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로서 이온화 장치의 동작 상태를 숫자, 문자 등으로 출력하는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발광부(13)는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LED(liquid emitting diode)로서, 이온화 장치의 전압 정상 인가 여부, 광 이오나이저의 엑스선 정상 출력 여부, 또는 연 엑스선관(120)의 교체 시기와 같은 이온화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며, 이로 인해, 발광부(13)의 점등으로부터 이온화 장치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14)는 푸시(push) 스위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한 푸시 동작에 따라 이온화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표시창(12)에 해당 광 이오나이저의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예에서, 이온화 장치의 몸체(10) 한 측면에 구비되는 전원 통신 연결부(11)는 랜 케이블을 삽입하는 포트 구조로 형성되고, 다섯 개의 전원 통신 연결부(11)는 각각 전원 연결부(11a, 11b), 통신연결부(11c, 11d), 그리고 입출력연결부(11e)이다.
이때, 전원 연결부(11a, 11b)는 전원 공급을 위한 포트로서, 한 전원 연결부(11a)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포트이고,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는 한 전원연결부(11a)를 통해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전원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포트이다.
예로써, 연속하는 두 개의 이온화 장치가 있고 한 이온화 장치는 외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한 이온화 장치는 한 전원연결부(11a)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를 통해 이온화 장치의 전원을 다른 한 이온화 장치로 공급한다. 따라서, 다른 한 이온화 장치의 한 전원연결부(11a)는 전원을 공급한 한 이온화 장치의 다른 한 전원연결부(11b)와 연결되어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두 개의 통신연결부(11c, 11d)는 이온화 장치를 직렬로 연결할 때 사용되는 포트로서, RS485 통신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포트이다.
한 예에서, 이온화 장치가 통신연결부(11c, 11d)를 통해 RS485을 수행할 때, 이온화 장치에 각각의 ID가 부여될 수 있고, 중앙제어부(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입출력연결부(11e)는 알람이나 상태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거나, 이온화 장치에서 발생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한 예에서, 입출력연결부(11e)는 중앙제어부(PLC) 또는 다른 제어부와 1:1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온화 장치는 몸체(10) 내부에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복수개의 광 이오나이저를 제어한다. 예로써, 제어부는 통신연결부(11c, 11d) 및 입출력연결부(11e)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엑스선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거나 발생 중인 연 엑스선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광 이오나이저로 전달할 수 있다.
한 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인터로크(interlock) 신호에 따라 광 이오나이저가 연 엑스선 발생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온화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가 개방되는 순간 제어부(미도시)는 광 이오나이저의 연 엑스선 발생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어부(미도시)는 이온화 장치의 몸체(10) 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이온화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며 통신연결부(11)의 어느 한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온화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외부의 신호에 따라 이온화 장치를 제어하기도 하고, 이온화 장치의 상태를 표시창(12) 또는 발광부(13)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이온화 장치의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몸체 20 : 상부 커버
30 : 측부 커버 100 :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110 : 엑스선 출력창 112 : 플랜지부
121a, 121b : 판넬 훼스너 120 : 연 엑스선관

Claims (3)

  1. 연 엑스선을 발생하는 연 엑스선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연 엑스선관에 전달하는 전압발생부, 상기 연 엑스선관에 연결된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압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전달받는 전압 전달 모듈, 그리고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연결되고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 엑스선관 결합 제2 전극부로부터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연 엑스선관으로 전달하는 연 엑스선관 결합 제1 전극부를 포함하는 광 이오나이저, 그리고
    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광 이오나이저를 내삽하여 구비하는 몸체
    를 포함하는 이온화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에 의해 풀리거나 조이는 판넬 훼스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풀리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판넬 훼스너가 조여지는 경우 상기 연 엑스선관 지지 덮개가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위치하는 이온화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신케이블 삽입을 위한 복수개의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중 한 포트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나머지 다른 한 포트는 인가받은 전원을 인접하는 다른 이온화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인 이온화 장치.
KR1020140051758A 2014-04-29 2014-04-29 이온화 장치 KR10160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58A KR101609620B1 (ko) 2014-04-29 2014-04-29 이온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58A KR101609620B1 (ko) 2014-04-29 2014-04-29 이온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73A true KR20150124773A (ko) 2015-11-06
KR101609620B1 KR101609620B1 (ko) 2016-04-06

Family

ID=5460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58A KR101609620B1 (ko) 2014-04-29 2014-04-29 이온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81B1 (ko) *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CN111107706A (zh) * 2018-10-26 2020-05-05 禅才高科技股份有限公司 X射线管易于拆卸且确保沿面放电距离的x射线电离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24B1 (ko) 2019-04-17 2019-11-11 (주)하이브리드앰디 진공과 대기에서 사용 가능한 전기력선 방식의 이오나이저
KR20210021669A (ko) * 2019-08-19 2021-03-02 (주)선재하이테크 탈부착이 용이한 방수모듈을 포함하는 이오나이저
KR20210106640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엑스엘 다중 엑스선 발생모듈이 장착된 정전기 제거용 연엑스선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795B1 (ko) * 2012-11-09 2014-02-14 (주) 브이에스아이 광 이오나이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81B1 (ko) * 2016-02-05 2016-09-12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WO2017135778A1 (ko) * 2016-02-05 2017-08-10 (주)선재하이테크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CN111107706A (zh) * 2018-10-26 2020-05-05 禅才高科技股份有限公司 X射线管易于拆卸且确保沿面放电距离的x射线电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620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620B1 (ko) 이온화 장치
KR101656781B1 (ko) 엑스선관의 교체가 용이한 엑스선 이오나이저
EP2554895A1 (en) Tubular lamp and lighting equipment
KR100904633B1 (ko) 형광램프장치
KR20010020239A (ko) 발광 회로, 발광 시스템 방법 및 장치, 소켓 조립체, 램프 절연체 조립체 및 그 구성부품
KR102138092B1 (ko) 엑스선관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방전 안전 거리가 확보된 엑스선 이오나이저
JP2010192224A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KR20120034926A (ko) 방폭용 조명장치
US20160081173A1 (en) X-ray generation device and x-ray generating unit and high voltage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same
KR101030695B1 (ko) 음이온 엘이디 형광등
KR100990881B1 (ko) 제논램프 조명장치
US9523481B2 (en) LED lighting apparatus
JP2011108376A (ja) 光源および照明器具
KR20200036325A (ko) 이온화 장치
KR101486227B1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KR101069221B1 (ko)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한 조명장치
KR20210106640A (ko) 다중 엑스선 발생모듈이 장착된 정전기 제거용 연엑스선 발생 시스템
KR101859065B1 (ko) 이중 방전관을 적용한 조명 장치
KR101748394B1 (ko) 이온화 장치 및 이온화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49972B1 (ko) 이그나이터의 교체가 용이한 터널등용 모듈형 안정기
KR101746751B1 (ko) 전자선 발생기 장착 구조물
JP2013149482A (ja) 電球用ソケット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直流用の電球、および当該電球用ソケットを含む照明装置ならびに照明システム
US20130106314A1 (en) Xenon lamp illumination apparatus
KR20180050590A (ko) 이중발광부를 적용한 제논 램프 조명장치
WO2016120823A1 (en) Light-emitting diode array lamp and fus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12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429

Effective date: 201608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6982;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10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921

Effective date: 20161208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4087;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40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61220

Effective date: 2017071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0010015;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102

Effective date: 201803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04

Effective date: 201806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78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316

Effective date: 201811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112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103

Effective date: 2019082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300011459;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920

Effective date: 2020011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4000129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107

Effective date: 202005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78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0

Effective date: 202108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554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30

Effective date: 2022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