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523A -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 Google Patents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523A
KR20150124523A KR1020140050808A KR20140050808A KR20150124523A KR 20150124523 A KR20150124523 A KR 20150124523A KR 1020140050808 A KR1020140050808 A KR 1020140050808A KR 20140050808 A KR20140050808 A KR 20140050808A KR 20150124523 A KR20150124523 A KR 20150124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valve
unit
valv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텍
Priority to KR102014005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523A/ko
Publication of KR2015012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용 포지셔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장치와, 상기 컨트롤 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감지하는 피드백 센서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최대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드백 센서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 및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에 약한 모터 제어부와 PCB가 장착된 제어부를 고온의 설치 환경으로부터 최대한 이격시켜 고온에 의한 구성품의 에러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에 약한 구성품은 분리하되 다른 구성품들은 컨트롤 밸브에 가깝게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동작용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제어 정밀도가 향상되며, 오버슈팅이나 헌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제어용 PCB의 고장 시 밸브에 최적화된 파라미터값을 새로운 PCB로 옮겨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및 밸브의 응동 시험을 거치지 않아 밸브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Separable positioner f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에 약한 구성품을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트롤 밸브용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 밸브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지칭하는 것으로, 발전소, 수처리, 석유화학 등 각종 공정자동화의 효율 및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기기이다. 특히, 컨트롤 밸브는 발전소와 같은 대형의 플랜트에 설치된 각종 관로 내부를 흐르는 고온, 고압의 유체를 제어하는데 필수적이며, 유체의 유량, 압력 및 방향 등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유로 개폐, 교축, 역지, 과압방지 등의 주요 기능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제어신호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로부터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4-20mA의 전류를 사용하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보조 동력원으로서 공압을 이용한다.
컨트롤 밸브는 크게 밸브본체, 액추에이터, 포지셔너로 구성되며, 밸브의 구동 방식이 직선 운동이냐 회전 운동이냐에 따라 리니어 타입 밸브, 로터리 타입 밸브로 구분된다. 액추에이터는 보조동력원인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본체와 연결된 스템을 밀어내거나 회전토크를 발생시켜 밸브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밸브본체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힘과 이동거리(혹은 회전각도)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사양이 결정된다. 포지셔너는 밸브본체(정확하게는 스템)와 연결된 센서를 통해 플러그 개도를 측정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신호(4-20mA)와 비교하여 밸브의 개도가 명령신호와 일치할 때까지 액추에이터로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는 제어기기이다.
일반적으로 포지셔너는 피드백 센서부, 외부에서 입력된 전기적 제어신호(명령신호)를 공압으로 변경시키는 모터 제어부,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위한 토크 모터부,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명령신호를 처리하고 구성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 중 모터 제어부와 PCB(인쇄회로기판)가 장착된 제어부의 경우, 고온의 설치 환경으로 인한 고장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 제10-12319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너를 밸브 바디로부터 분리해서 설치하는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는 대부분 원격 제어 방식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는 이격 거리가 커지면 복사열에 의한 부품의 고장 방지 효과가 커지지만,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공압 배관의 길이도 길어져 컨트롤 밸브의 제어 정밀도를 저하시키고 오버슈팅이나 헌팅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격 거리의 한계 때문에 강한 복사열을 방출하는 현장에서는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거기다 제어용 PCB가 고온에 손상되더라도 새로운 PCB로 교체하는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교체 후에도 컨트롤 밸브에 맞게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작업 및 밸브의 응동 시험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PCB의 단순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1924호(등록일: 2013. 02. 04)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고온에 약한 구성품을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제어용 PCB를 교체할 수 있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컨트롤 밸브용 포지셔너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장치와, 상기 컨트롤 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감지하는 피드백 센서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최대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드백 센서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 및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대이격거리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부품들이 열변형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 기설정된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PCB(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라인(A)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피드백 센서부는 신호 라인(B)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 라인(B)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압 라인을 개폐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초기 작동 시 상기 컨트롤 밸브의 고유 파라미터 값들을 상기 저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B에는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 또는 상기 저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포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B의 교체 시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파라미터 값들을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제어 시 PID 제어(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Control)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에 약한 모터 제어부와 PCB가 장착된 제어부를 고온의 설치 환경으로부터 최대한 이격시켜 고온에 의한 구성품의 에러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에 약한 구성품은 분리하되 다른 구성품들은 컨트롤 밸브에 가깝게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동작용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제어 정밀도가 향상되며, 오버슈팅이나 헌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제어용 PCB의 고장 시 밸브에 최적화된 파라미터값을 새로운 PCB로 옮겨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및 밸브의 응동 시험을 거치지 않아 밸브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 밸브 시스템은 고온, 고압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밸브(100)와, 컨트롤 밸브(100)의 개도를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200)와, 액추에이터(2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컨트롤 밸브(100)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300)로 구성된다.
분리형 포지셔너(300)는 컨트롤 밸브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으로, 컨트롤 밸브(100)의 개도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센서부(310)와, 전기적 제어 신호를 공압으로 변경시키는 모터 제어부(332) 및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을 위한 모터부(334)가 구비된 구동부(330), 그리고 외부에서 입력된 명령신호를 처리하고 구성품을 제어하는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피드백 센서부(310)는 컨트롤 밸브(100)에 설치되며, 구동부(330)는 액추에이터(200)에 공압을 제공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설치되고, 제어부(350)는 각종 제어를 위한 부품들이 장착된 PCB(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컨트롤 밸브(100)와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설치 환경(도 1의 C 영역 참조)에서는 포지셔너의 고장이 잦으며, 특히 열에 취약한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PCB의 고장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PCB(352)를 컨트롤 밸브(100)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도 신뢰성 있는 동작을 구현하고자 한다.
피드백 센서부(310)는 고온의 환경(C)에서도 신뢰성을 유지하며 작동할 수 있으며, 컨트롤 밸브(100)의 개도 상태 및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구동부(330)는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공압을 조절하여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332)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압을 액추에이터(200)로 전달하여 액추에이터(200)를 구동시키는 모터부(334)로 구성된다. 모터 제어부(332)와 모터부(334)는 PCB(352) 등의 제어 부품들 보다는 열에 강하지만 강한 열에는 열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열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거리(최대이격거리)로 컨트롤 밸브(100)에서 이격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이격거리는 실험값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30)가 제어부(350)와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면 컨트롤 밸브(100)로부터 지나치게 이격되어 공압 배관(A)이 너무 길어지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330)와 제어부(350)를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압 배관(A)이 액추에이터(200)의 제어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컨트롤 밸브(100)와 가깝도록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350)는 고온의 설치 환경(C)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어 설치되나, 컨트롤 밸브(100)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 컨트롤 밸브(100)의 제어 정밀도가 떨어진다. 이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PID 제어기법을 활용하여 컨트롤 밸브(100)의 제어 시 필요한 파라미터의 최적값을 실험적으로 구해 사용할 수 있다.
PID 제어(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Control)란, 비례 제어(Proportional control), 적분 제어(Integral control), 미분 제어(Derivative control)를 통해 제어 대상의 파라미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법이다.
비례 제어는 파라미터값의 피드백에 따른 제어를 의미하며, 적분 제어는 설정값에 최대한 빨리 접근하기 위한 요소 제어(예를 들어, 설정값과 실측값의 차이가 크면 해당 파라미터값을 최대값으로 설정)를 의미한다. 또한, 미분 제어는 전술한 비례 및 적분 제어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변화를 최대한 완화시키는 제어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실제 구동에서 있어 제어부(350)는 입력받은 설정값과 피드백센서(310)에서 받은 실측값 사이의 오차만큼 비례 값을 연산하고 여기에 실측값의 변화 속도에 따른 미분제어 값과 적분제어 값을 추가 연산 하여 구동부(330)로 송출되는 제어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PID 제어 방식을 컨트롤 밸브(100)의 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 값들에 적용함으로써 컨트롤 밸브(100)와 이격 거리가 늘어나더라도 제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350)에는 컨트롤 밸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반도체 소자 등의 부품이 장착된 PCB(352)가 설치된다(PCB 상에 메모리가 설치되어 전술한 각종 파라미터값을 저장하는 것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메모리를 포함하는 PCB에 이러한 파라미터값이 저장된다고 설명함).
PCB(352)는 컨트롤 밸브(100)를 제어하기 위해 밸브의 영점 조절을 위한 제로값 및 스판값, 정밀 제어를 위한 해당 밸브의 PID값, 밸브의 동작 기준점 선정을 위한 내부 BIAS값, 액추에이터 타입 등 다양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 밸브의 수동 캘리브레이션 이나 자동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때 설정되는 값들로서 특정한 파라미터들은 컨트롤 밸브를 구동하면서 최적의 동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밸브의 응동 시험을 통해 취해지는 값이다. 따라서 PCB의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도 단순히 새로운 PCB로 교체한다고 하여 컨트롤 밸브를 곧바로 사용할 수는 없고 PCB 교체 후 밸브의 응동시험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에서 밸브의 응동시험은 매우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필요한 작업을 충분히 조치한 후 이루어져야 한다. 이전 PCB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록한 후 그것을 새로운 PCB에 입력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지만 특정한 파라미터들은 PCB기판 내부에 숨겨져 있고 사용자가 모니터링하거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종래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는 없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밸브의 응동시험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값이므로 응동시험 없이 PCB(352)를 사용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모든 PCB들은 각각 오차범위 안에서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같은 파라미터가 입력되어도 이전 PCB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PCB(352)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매체에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 포트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장치(400)에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조작장치(400)는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가 사용자 조작장치(4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PCB(352)가 고장이 나더라도 사용자 조작장치(400)를 통해 해당 PCB(352)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새로운 PCB(352)에 입력하여 별도의 캘리브레이션 작업 없이 PCB(352)의 교체만으로 곧바로 컨트롤 밸브(100)의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에 PCB(352)가 고장 난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컨트롤 밸브를 사용하게 된다.
1) 컨트롤 밸브 전후에 설치된 수동밸브 잠금
2) 바이패스 밸브를 적당히 열어 시스템 운용
3) 고장 난 포지셔너의 PCB를 새로운 PCB로 교체
4) 캘리브레이션 작업(약 10분 소요)
5) 바이패스 밸브를 잠금
6) 컨트롤 밸브 전후에 설치된 수동밸브 오픈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PCB(352)가 고장난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컨트롤 밸브를 사용하게 된다.
1) 컨트롤 밸브에 장착된 수동기어를 이용해 컨트롤 밸브의 개도를 고정
2) 고장난 PCB를 새로운 PCB로 교체
3) 고정된 밸브 개도 해체
이와 같이, 종래에 복잡하게 이루어졌던 PCB(352)의 교체 단계가 단축되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조작장치(400)는 제어부(3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350)를 원격 제어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350)와 연동된다. 사용자 조작장치(400)는 컨트롤 밸브(100)가 설치된 시설의 작업 환경에 맞게 컨트롤 밸브(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하며, 제어부(350)에서는 전달된 외부 제어 신호를 해석해 구동부(33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조작장치(400)는 포지셔너(300)의 초기 작동 시 PCB(352)에 저장된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하며, 추후 PCB(352)가 교체되었을 때 저장된 파라미터값들을 PCB(352)에 전송한다. 제어부(350)는 전송된 파라미터값들을 PCB(352)에 저장해 PCB(352)가 교체 이전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50)가 사용자 조작장치(400)와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밸브의 응동 속도나 제어 정밀도 등 포지셔너(300)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PCB(352)를 고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할 수 있으며, PCB(352)의 교체가 용이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의 작동 및 컨트롤 밸브의 제어 흐름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지셔너(300)가 사용자 조작장치(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구동부(330)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 신호는 신호 라인(B, 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전달된다.
제어부(35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는 모터 제어부(332)에서 공압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공압 신호에 따라 모터 제어부(332)는 모터부(334)를 제어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제공되는 공압 라인(A)의 개도를 변경하여 공압을 조절한다.
구동부(330)를 통해 액추에이터(200)로 공기가 유입되고, 액추에이터(200)에 의해 컨트롤 밸브(100)가 작동하여 시설물의 관로의 개도율이 결정된다.
컨트롤 밸브(100)의 개도율 및 작동 상태는 신호 라인(B)를 통해 제어부(350)로 실시간 전달되며, 피드백된 컨트롤 밸브(100)의 작동 상태는 제어부(350)를 거쳐 사용자 조작장치(400)로 전송되고 저장 및 분석된다.
만약, 제어부(350)의 PCB(352)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컨트롤 밸브(100)의 개폐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동기어(10)를 작동시켜 컨트롤 밸브(100)를 닫은 후 PCB(352)를 교체한다. 사용자 조작장치(400)는 PCB(352)가 교체되면 제어부(350)와 통신해 새로운 PCB(352)에 기존 파라미터값들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저장된 파라미터값들을 전송시킨다.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수동기어(10)를 작동시켜 컨트롤 밸브(100)의 작동을 재개시킨다. 전술한 PCB(352)의 교체 과정 및 파라미터값의 전송은 사용자가 수동기어(10)를 조작해 컨트롤 밸브(100)를 닫은 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컨트롤 밸브 200: 액추에이터
300:분리형 포지셔너 310: 센서부
330: 구동부 350: 제어부
400: 사용자 조작장치

Claims (8)

  1.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용 포지셔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장치와,
    상기 컨트롤 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감지하는 피드백 센서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최대이격거리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드백 센서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를 전송받고, 상기 컨트롤 밸브의 개도 상태 및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이격거리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부품들이 열변형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는 기설정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PCB(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 라인(A)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피드백 센서부는 신호 라인(B)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신호 라인(B)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모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압 라인을 개폐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초기 작동 시 상기 컨트롤 밸브의 고유 파라미터 값들을 상기 저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CB에는 상기 사용자 조작장치 또는 상기 저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B의 교체 시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파라미터 값들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제어 시 PID 제어(Proportional Integral and Derivative Control)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KR1020140050808A 2014-04-28 2014-04-28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KR20150124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08A KR20150124523A (ko) 2014-04-28 2014-04-28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808A KR20150124523A (ko) 2014-04-28 2014-04-28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523A true KR20150124523A (ko) 2015-11-06

Family

ID=5460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808A KR20150124523A (ko) 2014-04-28 2014-04-28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5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586A (zh) * 2019-03-22 2019-06-18 深圳市新可优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式智能型阀门定位器
KR20190096516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프로발 공압식 작동기 테스트 장치
KR20200000027U (ko)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밸브 포지셔너와 액츄에이터의 연결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16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프로발 공압식 작동기 테스트 장치
KR20200000027U (ko)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밸브 포지셔너와 액츄에이터의 연결용 지그
CN109899586A (zh) * 2019-03-22 2019-06-18 深圳市新可优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式智能型阀门定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67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егулирующим клапаном посредством цепи управления, а также для выявл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этой цепи
US8814133B2 (en) Automatic speed searching device and method for a partial stroke test of a control valve
RU2717634C2 (ru)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позиционер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и компью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авления для калибровки устройств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EP3092538B1 (en) Valve positioner with overpressure protection capabilities
US10598194B2 (en) Fluid valve assembly and a process valve positioner
US11274685B2 (en) Actuator of a process device hav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in a measured position feedback mode and a simulated position feedback mode
US9250632B2 (en) Valve positioning system with bleed prevention
RU271926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спытания приводного механизма клапана,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компью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581833B2 (ja) アクチュエータ不具合検知装置、制御装置および方法
CA2543394A1 (en) Shut dow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electro-pneumatic controllers
US11174965B2 (en) Detecting maintenance statuses of valves
CN102052509A (zh) 流量控制阀
US20080154436A1 (en) Control device for a pneumatically operated actuator
KR20150124523A (ko) 컨트롤 밸브용 분리형 포지셔너
US20180245712A1 (en) Setup of valve controller
US20210048047A1 (en) Compensating for orientation of a valve positioner on a valve assembly
US11603753B2 (en) Automated high-pressure pump testing system
EP3347782A1 (en) Valve monitoring
US11525523B2 (en) Open circuit diagnostic for pulsed solenoid I/P
KR101592325B1 (ko) 통풍기 날개각 조절 유압시스템
US20230193729A1 (en) Easy-to-clean visual graMethod for remotely shutting down downhole unit of rotary steering system from groundin monitoring device
US9523376B2 (en) Discrete pilot stage valve arrangement with fail freeze mode
US11269017B2 (en) Diagnostic for pulsed solenoid I/P functionality
KR101586257B1 (ko) 더블 노즐 타입 스마트 포지셔너
US10746314B2 (en) Positioner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