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013A -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013A
KR20150124013A KR1020140049885A KR20140049885A KR20150124013A KR 20150124013 A KR20150124013 A KR 20150124013A KR 1020140049885 A KR1020140049885 A KR 1020140049885A KR 20140049885 A KR20140049885 A KR 20140049885A KR 20150124013 A KR20150124013 A KR 2015012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unit
distance
cleaning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8861B1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브리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61B1/en
Publication of KR2015012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A robot cleaner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ming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a light emitting unit irradiating linear light towar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 capturing unit capturing a region including the irradiated linear light and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region; and a control unit calculating a distance from an obstacle positioned in the region using the captured image.

Description

거리 센서,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nce sensor,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0002]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3]

본 발명은 거리 센서,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 청소기의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nce sensor,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ance sensor,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located in a cleaning area of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part of factory automation. In recent years, medical robots, aerospace robot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ordinary homes are being developed.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가전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주행 중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 A typical example of a home robot is a robot cleaner, which is a type of household appliance that carries out cleaning by suctioning dust or foreign matter around the robot while traveling in a certain area by itself. Such a robot cleaner generally h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is provided with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avoiding an obstacle while driving so as to be able to run and clean by itself.

즉,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을 주행하면서 청소기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 센서를 통해, 청소 구역 내에 물건, 가구와 같은 청소에 방해를 주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이 감지되면 장애물과의 간섭(충돌, 접근, 접촉)을 회피하여 청소 구역의 청소를 수행한다. In other words, the robot cleaner senses an obstacle obstructing the cleaning such as goods and furniture i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installed on the cleaner while traveling in the cleaning area, and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is avoided.

이러한, 종래의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세기 측정 방법과, PSD(Position SensingDevice)를 통한 측정 방법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측정 방법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의 유무 및 거리를 감지한다. 적외선 세기 측정 방법은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측정하여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근접 거리의 측정은 가능하나 반사 적외선의 세기를 통해 추정하기 때문에 측정된 거리는 부정확하다. 또한, PSD를 통한 측정 방법은 적외선 삼각측량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PSD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정확하나 PSD 센서의 가격이 비싸고, 최소측정거리에 제한이 있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방법은 초음파를 표적에 발신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나 근거리 측정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obstacle detection sensor detects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and distance by using an infrared intensity measurement method, a measurement method using a PSD (Position Sensing Device), a measurement method using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The infrared intensity measurement method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distance by measuring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 reflected from the infrared ray. However, since the distance measurement is possible, the measured distance is inaccurate because it is estimated through the reflection infrared ray intensity. In addition,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PSD is a method using a PSD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infrared triangulation method, but it is relatively expensive, and the price of the PSD sensor is expensive, and the minimum measurement distance is limited. The method using the ultrasonic sensor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distance by returning the ultrasonic wave to the target and returning it to the target.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asure near distance.

따라서,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can not be accurately detected.

또한,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단 방향의 장애물 거리만을 측정하는 것이며, 여러 방향의 장애물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센서를 배열하거나, 혹은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measures only the obstacle distance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In order to measure the obstacle distance in various directi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sensors are arranged or rotated sequentially by a mot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형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발광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구비하여, 로봇 청소기의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거리 센서,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leane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of linear fluorescence and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n area including luminescent light,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calcula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부에 포함된 렌즈부 및 촬상 소자의 위치를 조절하여, 촬상 소자의 활용도를 높이고, 촬영 영역을 넓히며, 로봇 청소기로부터 근거리 영역의 촬영이 가능한 거리 센서,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tance sensor, a robot cleaner, and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ns unit and the image pickup element included in the image pickup uni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mage pickup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n imaging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area and an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그리고, 상기 촬영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radiographic part provided on the main body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adiating part provided o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The imaging unit may include a lens unit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n imaging area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area passing through the lens unit forms an image, and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devic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center line of the lens unit hav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형광의 상기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and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또한, 상기 로봇 청소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키는 주행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를 위한 청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청소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for running the robot cleaner, a traveling unit for travel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and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to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to the vicinity of the obstacl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청소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to perform the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maintains the gap with the obstacle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센서는, 선형광을 방출하는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가 설치된 높이는, 상기 발광부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tance senso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a linear fluorescent light; an area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a height of the imaging unit may be higher than a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또한,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The imaging unit may include a lens unit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n imaging area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area passing through the lens unit forms an image, and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devic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center line of the lens unit have.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mitting linear fluorescence toward a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Photographing an area including fluorescence,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area,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obstacle in the area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그리고,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The imaging section may include an imaging section including a lens section and an imaging area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area passed through the lens section forms an image, and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element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 center line of the lens section have.

또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형광의 상기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step may detec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contained in the image and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그리고,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to the vicinity of the obstacl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set distance, So as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또한,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n optimal distance for performing clean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활용도를 높이고, 촬영 영역을 넓히며, 로봇 청소기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 영역의 촬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maging device, widen the photographing area, and photograph a close-range area located close to the robot cleaner.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의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간섭을 정확하게 회피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of the robot cleaner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can precisely avoid interference with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 cleaning.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의 근거리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는 장애물과의 최적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lculate the distance to an obstacle located near the robot cleaner.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can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while maintaining an optimum gap with the obstacl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가의 초 근접 거리의 측정이 가능한 거리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ement at a low second near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저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센서가 설치된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의 선형광 방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 및 촬영부를 수평선에 수직인 Z 평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평선에 수직인 Z 평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distan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ar light emission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Z plane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9 is a view illustrating an obstacle detection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Z plane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on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s well as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all elements contempla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currently known equivalents as well as the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e., the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block diagrams herein represent conceptual views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and the like are representative of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the functional blocks depicted in the processor or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explicit use of terms such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as hardware capable of running software,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hereof, the elements represent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performing the function or firmware / microcode etc. , And is coupled with appropriate circuitry to execute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s not to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such functionality, a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listed means are combined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in which the claims require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저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센서가 설치된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입출력부(110), 구동부(120), 청소부(130), 주행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거리 센서(170), 제어부(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distanc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o 5,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an input / output unit 110, a driving unit 120, a cleaning unit 130, a traveling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 power supply unit 160, a distance sensor 170, and a control unit 180, all of which are shown in FIG.

입출력부(110)는 로봇 청소기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로봇 청소기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출력부(110)는 로봇 청소기 본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110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robot cleaner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bot cleaner. The input / output unit 1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robot cleaner main body.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로봇 청소기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 로봇 청소기의 동작 또는 정지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put unit may receive various user inputs such as a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robot cleaner power on / off, a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clean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a user input for operating or stopping the robot cleaner, Here,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또한, 출력부는 로봇 청소기의 배터리 상태,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 등과 같은 로봇 청소기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부는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형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may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bot cleaner such as the battery state of the robot cleaner, the clean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etc., and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data that can be perceptually recognize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ata. Here,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The display uni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a transparent display.

구동부(120)는 주행부(140)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주행부(140)의 주 바퀴들을 회전시키는 휠 모터(Wheel Motor)를 구비하여, 휠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킨다. 휠 모터는 각각 주 바퀴에 연결되어 주 바퀴가 회전하도록 하고, 휠 모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driving unit 120 may drive the driving unit 140. Here, th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wheel motor that rotates the main wheels of the traveling unit 140, and drives the robot cleaner by driving the wheel motor. The wheel moto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wheels so that the main wheels rotate, and the wheel motors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주행부(140)은 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킨다. 여기서, 주행부(140)는 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이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진, 후진 및 회전 주행 등의 이동 동작이 가능하도록하는 주 바퀴(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 바퀴(141,142)는, 일 예로, 본체 하부의 중앙 영역의 좌우 가장자리에 서로 대칭적으로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0 drives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20. The traveling unit 140 includes main wheels 141 and 142 for allowing the robot cleaner 100 to perform forward, backward, and rotational movements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20 . The main wheels 141 and 142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주행부(140)는 보조 바퀴(143,144,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바퀴(143,144,145)는 로봇 청소기(100) 본체를 지지하고, 바닥면(청소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원활하도록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바퀴(143,144,145)는, 일 예로, 본체 하부의 앞단 및 뒷단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the auxiliary wheels 143, 144, 145. Here, the auxiliary wheels 143, 144, and 145 support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minimize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cleaning surface), and facilitate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auxiliary wheels 143, 144 and 145 may b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한편, 보조 바퀴(143,144,145)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본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스터(caster)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uxiliary wheels 143, 144, and 145 may be implemented as a caster that rotate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to maintain the body in a stable posture.

청소부(130)는 청소 구역을 청소한다. 여기서, 청소부(130)는 바닥면 등과 같은 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자유 입자를 쓸어 흡입구로 유도하는 메인 브러쉬(133)와, 벽면 인접부와 구석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사이드 브러쉬(131,132)를 포함한다.The cleaning unit 130 cleans the cleaning area. Here, the cleaning unit 130 includes a main brush 133 for sweeping free particles of dust or the like existing on a clean surface such as a floor surface to the suction port, and side brushes 131 and 132 for cleaning adjacent portions of the wall surface and corners do.

메인 브러쉬(133)는 롤러와, 롤러의 외부면에 박혀 있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브러쉬는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바닥면에 쌓인 먼지를 휘저어 먼지가 흡입구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는 단단한 강체로 형성될 수 있고, 브러쉬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브러쉬(133)는 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main brush 133 may include a roller and a brush embed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The roller serves to rotate the brush, and the brush can stir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surface as the roller rotates, so that the dus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Here, the roller may be formed of a rigid body, and the brush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The main brush 133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청소부(130)는 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미도시),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구로 유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leaning unit 130 may include a blowing device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t the suction port,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not shown) for collecting dust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by the blow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부(130)는 걸레 청소를 위한 클리너를 고정 가능한 클리너 고정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너 고정부(134)는 본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리너는 바닥면의 고착된 이물질을 닦을 수 있는 극세사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과 같은 섬유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eaner fixing unit 134 capable of fixing a cleaner for cleaning the mop. The cleaner fixing portion 134 may be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Here, the cleaner may be embodied as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microfiber cloth, a rag, a nonwoven fabric, a brush, or the like, which is capable of wiping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부(130)는 클리너의 걸레 청소 능력 향상을 위한 물 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improving the cleaning ability of the cleaner.

저장부(150)는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거리 센서(17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된 로봇 청소기(100)와 장애물 간의 거리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로봇 청소기는 청소 지도, 청소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various programs and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50 may receive and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distance sensor 17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obstacle calculated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the cleaning map and the cleaning area.

여기서, 저장부(15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i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 storage unit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a ROM (Read Only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A memory card,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as well as a detachable type storage device such as a USB memory.

전원부(160)는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60)는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구동 전원과,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거나 청소를 수행하는데 따른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여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6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supplies power to the robot cleaner 100.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60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of the robot cleaner 100 to supply driving power and operating power for cleaning or cleaning the robot cleaner. If the remaining power is insufficient, It can be charged with an electric current. Here,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거리 센서(170)는 로봇 청소기(100)와 장애물 간의 거리 산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170)는 촬영부(171), 발광부(17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170 may generate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obstacle,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 The distance sensor 17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71 and a light emitting unit 173.

발광부(173)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선형광으로 확산시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73)는 광원, 광원 구동부, 확산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173 can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emit the light. The light emitting unit 173 may include a light source, a light source driving unit, a diffusion unit, and a slit.

여기서, 광원은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LD), LED 등 일 수 있다. 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는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빔 형태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Here, the light source serves to emit light, and may be, for example, a laser diode (LD), an LED, or the like. The light may include infrared light, visible light, and the like. Further, the light source can generate beam-shaped light traveling in one direction.

또한, 광원 구동부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광원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광원 구동부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전원 온(ON) 상태에서만 광원을 구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may drive the light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may drive the light source only in the power ON state of the robot clean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또한, 확산부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선형광으로 확산시켜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부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미러를 통하여 반사시키거나 렌즈를 통하여 굴절시킴으로써 선형광을 생성하여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확산부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이 넓게 확산되도록, 광을 반사하는 원뿔 형태를 갖는 미러를 이용하거나 광을 굴절시키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lso, the diffusing portion can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emit it. Specifically, the diffusing portion can generate and emit linear fluorescence by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hrough a mirror or refracting through a lens. Here, the diffusing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mirror having a conical shape reflecting light or a wide-angle lens for refracting light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widely diffused.

또한, 슬릿은 상하로 좁은 틈이 형성되어 선형광을 얇은 두께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the slit may have a narrow gap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allow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to be emitted in a thin thickness.

한편, 촬영부(171)는 렌즈부(171-1), 촬상 소자(171-2),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71-3)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section 171 may include a lens section 171-1, an image capturing element 171-2, and an analog signal processing section 171-3.

렌즈부(171-1)는 촬상 소자(171-2)의 촬상 영역에 광학 신호를 결상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71-1)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ens unit 171-1 can form an optical signal on the imaging region of the imaging element 171-2. Here, the lens unit 171-1 includes a zoom lens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view to be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the focal length, a focus lens for focusing the subject, and the zoom lens and the focus lens, Lens, or may be a group of a plurality of lenses.

촬상 소자(171-2)는 렌즈부(171-1)를 투과하여 촬상 영역에 결상된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소자(171-2)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can convert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unit 171-1 and image-formed in the image pickup area into an electric signal. Here,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may b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CI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or a high-speed image sensor for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71-3)는 촬상 소자(171-2)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171-3 can generate an image by performing noise reduction processing, gain adjustment, waveform shap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and the like on the analog signal supplied from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부(171)는 조리개, 렌즈부 구동부, 조리개 구동부,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개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 구동부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구동부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셔터는 촬상 소자(171-2)의 노광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조리개를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71-2)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17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aphragm, a lens unit driving unit, a diaphragm driving unit, and a shutter. Here, the diaphragm can adjust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ereof. In addition, the lens unit driving unit can adjust the focal length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and perform the operations of auto focusing, zoom change, and focus change. Also, the diaphragm driving unit may adjust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diaphragm and adjust the number or aperture value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autofocus, automatic exposure correction, focus change, depth of field adjustment, and the like. The shutter also has a mechanical shutter that can adjust the exposure time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and adjusts the incidence of light by moving the diaphragm and a mechanical shutter for controlling the exposure by supply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It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shutter.

이러한, 거리 센서(170)는 발광부(173), 촬영부(171)를 모두 포함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리 센서(170)에서 촬영부(171)가 설치된 높이는, 발광부(173)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170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including all of the light emitting unit 173 and the photographing unit 171. In this case, the height at which the photographing portion 171 is provided in the distance sensor 170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light emitting portion 173 is installed.

또한,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은, 렌즈부(171-1)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element 171-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line of the lens portion 171-1.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bo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line of the lens unit.

이에 따라, 촬영부(171)는, 발광부(173)에서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은, 거리 센서(170)를 기준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1 영역 및 근거리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unit 171 can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73 to generate an image. Here, the region may include a first region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distance sensor 170 and a second region located at a short distance.

한편, 촬영부(171)에서 촬상 소자(171-2) 및 렌즈부(171-1)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과 렌즈부(171-1)의 중심선의 높이 차이는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pickup device 171-2 and the lens unit 171-1 in the image pickup unit 171 can be adjusted. That i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and the center line of the lens portion 171-1 can be adjusted.

이러한, 모듈화된 거리 센서(170)는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주행 중에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 산출을 위하여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발광부(173)는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 외부에 설치되고, 촬영부(171)는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odularized distance sensor 170 may be installed outside or inside the robot cleaner 100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unit 173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photographing unit 17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

한편, 거리 센서(170)가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 발광부(173)는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 촬영부(171)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을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은, 로봇 청소기(100)를 기준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1 영역 및 근거리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tance sensor 17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the light emitting portion 173 may emit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photographing unit 171 photographs an area includ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generate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area, Lt; / RTI > Here, the region may include a first region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robot cleaner 100 and a second region located near the robot cleaner 100.

제어부(180)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입출력부(110), 구동부(120), 청소부(130), 주행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거리 센서(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all or a part of the input / output unit 110, the driving unit 120, the cleaning unit 130, the driving unit 140, the storage unit 150, the power supply unit 160, Can be controlled.

특히, 제어부(180)는 거리 센서(170)의 촬영부(171)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80 ma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71 of the distance sensor 170. [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선형광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c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us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그리고, 제어부(180)는 검출된 선형광의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180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또한, 제어부(180)는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제어부(180)는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구동부(120) 및 청소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cleaning unit 130 to perform the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100 travels near the obstacl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set distance.

또한,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제어부(180)는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구동부 및 청소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거리는,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to perform the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100 maintains the gap with the obstacle. Here, the preset distance may be an optimal distance for performing clean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does not collide with an obstacle.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의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간섭을 정확하게 회피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of the robot cleaner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precisely avoids interference with the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s cleaning can do.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의 근거리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는 장애물과의 최적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an obstacle located near the robot cleaner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travels while maintaining an optimum gap with the obstacle, Can be performed.

한편, 제어부(180)는 촬영부(171)의 촬상 소자(171-2) 및 렌즈부(171-1)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0)를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영역의 촬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과 렌즈부(171-1)의 중심선의 높이 차이는 키우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image pickup device 171-2 and the lens unit 171-1 of the image pickup unit 171. [ For example, in order to improve the photographing ability of the region located nearer to the robot cleaner 100,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and the center line of the lens portion 171-1 is controlled to be increased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의 선형광 방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의 발광부(173)는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미러를 통하여 반사시키거나 렌즈를 통하여 굴절시킴으로써 부채꼴 형태의 선형광(10)을 생성하고, 생성된 선형광(10)을 주행 방향을 향하여 방출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inear light emission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light emitting unit 173 of the robot cleaner 100 generates the fan-shaped linear fluorescent light 10 by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hrough a mirror or refracting through a lens, The fluorescent light 10 can be emitted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다만, 상술한 발광부의 선형광 생성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발광부는 로봇 청소기(100) 본체의 전방에 조밀하게 설치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광원이 방출하는 빔 형태의 광을 서로 중첩시켜 선형광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generating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ensely arranged in front of the body of the robot cleaner 100. In this case, the light beams in the form of beam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이동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 과정 중 로봇 청소기(100)의 발광부(173)는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10)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에는 선형광(10)이 조사될 수 있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robot cleaner 100 can automatically clean the cleaning area by suction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mov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without user's opera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the light emitting unit 173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emi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10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ly, the obstacle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can be irradiated with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10.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의 촬영부(171)는 방출된 선형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장애물들(20)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80)는 영상을 이용하여 영역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171 of the robot cleaner 100 can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obstacles 20 existing at a position irradiated with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rea. The controller 180 of the robot cleaner 100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using the image.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에 위치한 물건, 가구와 같은 청소에 방해를 주는 장애물(20)과의 간섭(충돌, 접근, 접촉)을 정확하게 회피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100 can precisely avoid interference (collision, approach, contact) with the obstacle 20 that obstructs the cleaning, such as objects and furnitur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 및 촬영부를 수평선에 수직인 Z 평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형광을 발광하는 발광부(173)가 설치된 높이는 촬영부(171)가 설치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8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Z plane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8, the height at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173 for emitt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s installed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171 is installed.

또한,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은, 렌즈부(171-1)의 중심선(30-1) 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은, 촬상 소자(171-2)의 중심을 포함하고, 촬상 소자(171-2) 면에 수직인 선일 수 있다. 또한, 렌즈부(171-1)의 중심선(30-1)은, 렌즈부(171-2)의 중심을 포함하고,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에 평행인 선일 수 있다.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ing element 171-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line 30-1 of the lens portion 171-1. Here,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ing element 171-2 may be a line including the center of the imaging element 171-2 an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171-2. The center line 30-1 of the lens section 171-1 includes a center of the lens section 171-2 and is a line that is parallel to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ing element 171-2 have.

즉, 하단에 위치한 발광부에서 발출하는 선형광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로봇 청소기에서,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과 렌즈부(171-1)의 중심선(30-1)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일반적인 촬영부를 이용하게 되면, 촬상 소자의 활용도가 낮고, 촬영 영역을 좁히며, 로봇 청소기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 영역의 촬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에 위치한 발광부에서 방출하는 선형광을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로봇 청소기에서 촬영 영역 중 관심 영역은, 선형광이 조사되는 장애물의 하단 영역이다. 따라서,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과 렌즈부(171-1)의 중심선(30-1)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일반적인 촬영부를 이용하게 되면, 촬상 소자(171-2)의 영역 중 중심선(30-2)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한 영역의 활용도가 낮아지고, 로봇 청소기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 영역의 촬영이 불가능하여 촬영 영역을 좁히게 된다. That is, in the robot cleaner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by us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end,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ing element 171-2 and the center line 30-2 of the center line 30-2 of the lens portion 171-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imaging device is low and the photographing area is narrowed and the close range of the robot cleaner located close to the camera can not be photographed. Specifically, in the robot cleaner that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us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end,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photographing region is the lower region of the obstacle to which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s irradiated. Therefore, if a general photographing section in which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e pickup element 171-2 and the center line 30-1 of the lens section 171-1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is used, the image pickup elements 171-2 The utilization of the area located below the center line 30-2 out of the area of the robot cleaner 30-2 is lowered and it is impossible to photograph the near area located nearer from the robot cleaner to narrow the photographing area.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소자(171-2)의 중심선(30-2)을 렌즈부(171-1)의 중심선(30-1) 보다 높이 위치시킴으로써, 촬상 소자의 활용도를 높이고, 촬영 영역을 넓히며, 로봇 청소기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 영역의 촬영이 가능하다.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line 30-2 of the imaging element 171-2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line 30-1 of the lens portion 171-1, The photographing area is widened, and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 close-range area located close to the robot cleaner.

이에 따라, 촬영부(171)는 발광부(173)에서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고 로봇 청소기(100)를 기준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1 영역(40-2)을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unit 171 can photograph the first region 40-2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ased on the robot cleaner 100, including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73. [

그리고, 촬영부(171)는, 발광부(173)에서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고, 로봇 청소기(100)를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제2 영역(40-1)을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71 may include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73 and may photograph the second area 40-1 positioned near the robot cleaner 10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평선에 수직인 Z 평면을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부(173)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10)을 방출하고, 이에 따라, 제1, 제2 장애물(20)에는 선형광(10)이 조사될 수 있다. 9 is a view illustrating an obstacle detection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Z plane perpendicular to a horizontal line. 9, the light emitting unit 173 emits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10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bstacles 20 are irradiated with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10 Can be investigated.

이 경우, 촬영부(171)는 선형광이 조사되고, 로봇 청소기(100)을 기준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제2 장애물(20)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unit 171 can photograph a region including a part of the second obstacle 2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with reference to the robot cleaner 100 irradiated with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또한, 촬영부(171)는 선형광이 조사되고, 로봇 청소기(10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제1 장애물(20)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unit 171 can photograph a region including a part of the first obstacle 20 located near by the robot cleaner 100, which is irradiated with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그리고, 제어부(180)는 촬영부(171)에서 촬영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1, 제2 장애물(20)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first obstacle 20 and the second obstacle 20 using the image of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71. [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100)는 원거리에 위치한 장애물 뿐만 아니라, 근거리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간섭을 정확하게 회피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00)는 장애물과의 최적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100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distances to distant obstacles as well as distant obstacles.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100 can precisely avoid interference with an obstacle located in the cleaning area and perform cleaning. Also, the robot cleaner 100 can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while maintaining an optimum gap with the obstacl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할 수 있다(S1001).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robot cleaner 100 may emit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S1001).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의 촬영부가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002).Then, the image pickup unit of the robot cleaner 100 can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area (S1002).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는 영상을 이용하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1003).Then, the robot cleaner 100 can calculate the distance to an obstacle locat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area using the image (S1003).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할 수 있다(S1101).11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the robot cleaner 100 may emit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S1101).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의 촬영부가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1102).Then, the image capturing unit of the robot cleaner 100 can photograph an area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S1102).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는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할 수 있다(S1103).Then, the robot cleaner 100 can detect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S1103).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는 검출된 선형광의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1104).Then, the robot cleaner 1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S1104).

그리고, 로봇 청소기(100)는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5).Then, the robot cleaner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1105).

만약,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크면(S1105:Y),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6).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S1105: Y), the robot cleaner 100 may control to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near the obstacle (S1106).

만약,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S1105:N), 로봇 청소기(100)가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7).If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S1105: N),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controlled to travel in a state in which the gap with the obstacle is maintained, and to perform cleaning (S1107).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provided to each server or devices in a state stored in vario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로봇 청소기 110 : 입출력부
120 : 구동부 130 : 청소부
140 : 주행부 150 : 저장부
160 : 전원부 170 : 거리 센서
171 : 촬영부 172 : 발광부
180 : 제어부
100: robot cleaner 110: input /
120: driving part 130:
140: running part 150: storing part
160: Power supply unit 170: Distance sensor
171: photographing unit 172:
180:

Claims (13)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In the robot cleaner,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n area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area; And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imaging section is set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light emitting par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lens portion;
And an imaging region including an imaging region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region passed through the lens section is imaged,
Wherein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element
Where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bo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enter line of the lens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형광의 상기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and calculates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를 주행시키는 주행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를 위한 청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청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 traveling unit for travel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And a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to perform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travels near the obstacl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청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cleaning unit to perform the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maintains the gap with the obstacle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거리 센서에 있어서,
선형광을 방출하는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가 설치된 높이는,
상기 발광부가 설치된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센서.
In the distance sensor,
Emitting portion emitting a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a photographing unit photographing a region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region,
The height at which the photographing unit is installed,
And the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lens portion;
And an imaging region including an imaging region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region passed through the lens section is imaged,
Wherein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element
And is positioned higher than a center line of the lens section.
촬영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선형광을 방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가 상기 방출된 선형광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robot cleaner including a photographing part,
Emitting a linear fluorescent light toward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Capturing an area including the emitted linear fluorescent light and genera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area; And
And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using the generated im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상기 영역에 대한 광학 신호가 결상되는 촬상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 소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부의 중심선보다 높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lens portion;
And an imaging region including an imaging region in which an optical signal for the region passed through the lens section is imaged,
Wherein the center line of the imaging element
Wherein the lens unit is positioned higher than a center line of the lens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선형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선형광의 상기 영상 내 위치를 기초로 상기 영역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lculating step comprises:
Detecting a linear fluorescent light included in the image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obstacle located in th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near fluorescent light in the im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 근처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to the vicinity of the obstacle if the calculated distance is greater than a preset distance; And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cleaning while traveling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obstacle is maintained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reaches a preset dista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Preferably,
Wherein the robot cleaner is an optimal distance for performing clean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KR1020140049885A 2014-04-25 2014-04-25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78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85A KR101578861B1 (en) 2014-04-25 2014-04-25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85A KR101578861B1 (en) 2014-04-25 2014-04-25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013A true KR20150124013A (en) 2015-11-05
KR101578861B1 KR101578861B1 (en) 2015-12-21

Family

ID=5460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885A KR101578861B1 (en) 2014-04-25 2014-04-25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61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473A1 (en) * 2016-12-29 2018-07-0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robo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19126427A (en) * 2018-01-22 2019-08-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Self-travel type vacuum cleaner
US10860029B2 (en) 2016-02-15 2020-12-08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1175670B2 (en) 2015-11-17 2021-11-16 RobArt GmbH Robot-assisted processing of a surface using a robot
US11188086B2 (en) 2015-09-04 2021-11-30 RobArtGmbH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a base st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1550054B2 (en) 2015-06-18 2023-01-10 RobArtGmbH Optical triangulation sensor for distance measurement
US11709489B2 (en) 2017-03-02 2023-07-25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1768494B2 (en) 2015-11-11 2023-09-26 RobArt GmbH Subdivision of maps for robot navigation
US11789447B2 (en) 2015-12-11 2023-10-17 RobArt GmbH Remote control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713A (en) * 2005-08-02 2007-02-15 Funai Electric Co Ltd Monitoring device and self-traveling type cleaner
KR20130034573A (en) * 2011-09-28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Fencing sense apparatus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JP2014048842A (en) * 2012-08-30 2014-03-17 Brother Ind Ltd Autonomous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713A (en) * 2005-08-02 2007-02-15 Funai Electric Co Ltd Monitoring device and self-traveling type cleaner
KR20130034573A (en) * 2011-09-28 201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Fencing sense apparatus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JP2014048842A (en) * 2012-08-30 2014-03-17 Brother Ind Ltd Autonomous mobile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0054B2 (en) 2015-06-18 2023-01-10 RobArtGmbH Optical triangulation sensor for distance measurement
US11188086B2 (en) 2015-09-04 2021-11-30 RobArtGmbH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a base st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1768494B2 (en) 2015-11-11 2023-09-26 RobArt GmbH Subdivision of maps for robot navigation
US11175670B2 (en) 2015-11-17 2021-11-16 RobArt GmbH Robot-assisted processing of a surface using a robot
US11789447B2 (en) 2015-12-11 2023-10-17 RobArt GmbH Remote control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0860029B2 (en) 2016-02-15 2020-12-08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US11709497B2 (en) 2016-02-15 2023-07-25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WO2018124473A1 (en) * 2016-12-29 2018-07-0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robo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20190104177A (en) * 2016-12-29 2019-09-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robot device and its motion control method
US11709489B2 (en) 2017-03-02 2023-07-25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JP2019126427A (en) * 2018-01-22 2019-08-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Self-travel type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861B1 (en)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884B1 (en)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78861B1 (en)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78878B1 (en) Distance sensor device,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78864B1 (en) Distance sensor,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48125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396475B2 (en) Robot vacuum cleaner
RU2719222C1 (en) Robot vacuum cleaner
KR101822942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3696641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11494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3185096A1 (en) A charging pile,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the charging pile, and an autonomous cleaning device
CN107297755B (en) Mobile robot, charging base for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system
US9271621B2 (en) Robot cleaner
EP2963515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78879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US9864914B2 (en) Lens assembly, obstacle detecting unit using the same, and moving robot having the same
KR100728225B1 (en) Driving method for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using the method
KR20150126210A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150107398A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JPWO2019073590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US20210127932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303159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KR100825919B1 (en) Distance measurement sensor, moving robot having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and driving method for moving robot using the moving robot
KR101303158B1 (en) Robot cleaner and self testing method of the same
CN112153928B (en) Sweep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