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090A - 휴대용 접이식 물통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090A
KR20150123090A KR1020140049560A KR20140049560A KR20150123090A KR 20150123090 A KR20150123090 A KR 20150123090A KR 1020140049560 A KR1020140049560 A KR 1020140049560A KR 20140049560 A KR20140049560 A KR 20140049560A KR 20150123090 A KR20150123090 A KR 2015012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bottle
members
coupled
press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459B1 (ko
Inventor
권종완
Original Assignee
권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완 filed Critical 권종완
Priority to KR102014004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4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플레이트, 상부면에 개폐가능한 커버가 결합되고, 하부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이 결합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관통삽입되는 물통,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물통{A Folder Type Of Portable Water Bottle}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나들이, 등산, 여행, 캠핑 시에 휴대하여 음료를 위해 내부에 물을 담아 사용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구나 가족 단위로 야외에 나들이를 할 경우에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물이 담긴 소형 물통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다니거나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물통은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중첩가능하게 마련된 접이식 물통(일명 "자바라 물통")이 자주 사용되며, 이 접이식 물통은 평시에 중첩되게 접혀있어 휴대가 편하며, 사용시 내부에 물을 담고 일측에 마련된 콕크(cock)를 개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접이식 물통의 일예가 실용신안 실1982-0001001호 "휴대용 물통"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물통은 유수구에 콕크가 돌착된 마개를 나합토록 한 공지의 물통에 하방에 돌관을 연설한 콕크지지관을 마개에 감착하고 돌관에는 호오스을 삽착, 물통의 내저면에 이르게 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물을 주수구로 통하여 주수하며, 사용시는 콕크를 돌려 인출공을 돌관과 연통되게 연 후 손잡이를 잡고 압하하면 물통내의 물은 압력에 의하여 호오스를 통해 콕크를 통하여 배출되어 편리한 사용이 된다.
하지만, 전술한 문헌은 휴대가 편하고 내부에 많은 물을 수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물을 수용하게 되면 바닥면이 일부 튀어나와 사용되는 장소에 안전하게 안착하기 힘들고 자주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통이 압하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수용된 물의 중량으로 인해 저장된 물이 적절하게 배출되나, 사용에 의해 수용된 물이 줄어들면 사용자가 물통의 상부를 가압하거나 물통을 뒤집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물통 내부의 물이 일정 수압으로 전량 배출되도록 하기위해 나무 등에 걸어 비교적 지면보다 높은 곳에 물통을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 후 넘어짐이 방지된 휴대용 접이식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자동배출이 가능한 휴대용 접이식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압으로 전량 배출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설치 및 조립이 간단하고 물통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접이식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플레이트, 상부면에 개폐가능한 커버가 결합되고, 하부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이 결합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관통삽입되는 물통,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통이 관통삽입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관통삽입된 상기 물통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는 탄성밴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를 상호 잡아당겨 상기 물통이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는 와이어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상기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에 체결될 때 상기 물통의 편심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의 각각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의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후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은,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 후 넘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자동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압으로 전량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 및 조립이 간단하고 물통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100)은, 하부플레이트(110), 상부플레이트(120), 물통(130),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 복수개의 가압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플레이트(11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하부프레이트(110)의 모서리 각각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와이어연결홈(112)이 각각 형성되고, 가장자리 각각의 상부면 중심의 소정 위치에는 인접된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밴드연결홈(114)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플레이트(120)는 상부면에 개폐가능한 커버(126)가 결합되고, 하부면에 공간부(128d)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28)이 결합된다.
상부플레이트(120)는,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플레이트(110)와 대칭되는 사각형의 박판형상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모서리와 각각의 가장자리 중심에는 하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와이어연결홈(112) 및 밴드연결홈(114)과 동일한 와이어연결홈(122) 및 밴드연결홈(12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중심에는 힌지결합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26)가 결합되고, 하부면에는 커버(126)의 회동으로 개폐되는 고정프레임(128)이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28)은 하우징(128a), 수용홈(128b), 고정부(128c)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28a)은 내부에 공간부(128d)가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12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즉, 하우징(128a)은 내부에 공간부(128d)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단턱부(128e)가 마련되어 상부플레이트(120)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공간부(128d)는 하우징(128a)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이며, 이 공간에는 후술되는 물통(130),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 복수개의 가압부재(150)가 수용되어 휴대용 접이식 물통(100)의 사용 전후에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수용홈(128b)은 하우징(128a)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물통(130)이 관통삽입된다. 보다상세하게는, 수용홈(128b)은 공간부(128d)와 연통되게 하우징(128a)의 하부면 중심부에 형성된다.
고정부(128c)는 수용홈(128b)에 관통삽입된 물통(130)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여기서, 고정부(128c)는 수용홈(128b)이 형성된 하우징(128a)의 바닥면을 말하는 것으로써, 수용홈(128b)을 형성시키는 가장자리 단부가 수용홈(128b)에 관통t삽입되어 공간부(128d)에 위치되는 후술하는 물통(130)의 외주면 소정 위치를 지지한다.
물통(130)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고, 고정프레임(128)에 타단이 관통삽입된다.
물통(13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교차되어 형성된 오목부(132)와 볼록부(134)에 의해 중첩되어 접히는 통상 "자바라 물통"으로 마련되며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공간부(128d)와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이때, 물통(130)의 일단에는 탈착가능하게 회전결합되는 마개(136)가 결합되고, 외주면 일측 소정 위치에는 코크(cock)밸브(138)가 결합된다.
여기서, 물통(130)의 일단 단부의 외주면 직경은 수용홈(128b)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수용홈(128b)에 관통삽입된 물통(130)의 일단이 고정부(128c)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함이다.
한편, 물통(130)의 길이방향 일단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고리(139a)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단의 단부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리(139a)와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의 교환용줄(139b)이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교환용줄(139b)은 각각의 상부에 대칭되게 위치된 한 쌍의 고리(139a)에 각각 관통삽입되는데, 이는 관통삽입된 한 쌍의 고리(139a)를 사용자가 동시에 움켜잡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즉,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에 설치된 물통(130)의 사용이 완료된 후 다른 물통으로 교체할 때, 교체를 위한 물통(130)에 수용된 물의 무게로 인하여 운반이 힘들고 이로인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물통(130)은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은 각각 고정프레임(128)의 거치와 하부플레이트(110)의 안착 및 교환시 운반을 위해 경질로 마련되고, 오목부(132)와 볼록부(134)가 형성된 중심쪽은 중첩되어 접힘이 가능한 연질로 마련되는게 바람직하다.
쏠림방지부재(14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의 각각에 대칭되게 형성된 와이어연결홈(112, 122)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다.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는 와이어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복수개의 가압부재(150)가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110, 120)에 체결될 때 물통(130)의 편심이 방지되게 한다.
즉,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는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에 연결된 후, 후술하는 복수개의 가압부재(150)를 하나씩 늘여서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에 각각 연결할 때 발생되는 물통(13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가 수평이 유지되게 한다.
가압부재(15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개의 가압부재(150)는,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의 각각에 대칭되게 형성된 밴드연결홈(114, 124)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가압부재(150)는 탄성밴드로 마련되어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를 상호 잡아당겨 물통(130)이 압축되게 한다.
즉, 복수개의 가압부재(150)는 자체 탄성복원력으로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는 내부에 위치된 물통(130)을 압축시키게되어 사용자가 물통(130)을 상부에서 가압하듯이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자동배출되게 한다.
한편,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와 복수개의 가압부재(150)의 각각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의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후크(160)가 결합된다.
즉, 후크(160)는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140)와 복수개의 가압부재(150)가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110, 12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접이식 물통은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 후 넘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자동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물통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 수압으로 전량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 및 조립이 간단하고 물통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휴대용 접이식 물통 110: 하부플레이트 112: 와이어연결홈
114: 밴드연결홈 120: 상부플레이트 122: 와이어연결홈
124: 밴드연결홈 126: 커버 128: 고정프레임
128a: 하우징 128b: 수용홈 128c: 고정부
128d: 공간부 128e: 단턱부 130: 물통
132: 오목부 134: 볼록부 136: 마개
138: 코크밸브 139a: 고리 139b: 교환용줄
140: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150: 복수개의 가압부재 160: 후크

Claims (5)

  1. 하부플레이트;
    상부면에 개폐가능한 커버가 결합되고, 하부면에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이 결합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타단이 관통삽입되는 물통;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 및 상부플레이트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통이 관통삽입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관통삽입된 상기 물통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는 탄성밴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를 상호 잡아당겨 상기 물통이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는 와이어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가 상기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에 체결될 때 상기 물통의 편심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쏠림방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가압부재의 각각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의 단부에는 고리형상의 후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물통.
KR1020140049560A 2014-04-24 2014-04-24 휴대용 접이식 물통 KR10158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60A KR101589459B1 (ko) 2014-04-24 2014-04-24 휴대용 접이식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60A KR101589459B1 (ko) 2014-04-24 2014-04-24 휴대용 접이식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090A true KR20150123090A (ko) 2015-11-03
KR101589459B1 KR101589459B1 (ko) 2016-01-28

Family

ID=5459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560A KR101589459B1 (ko) 2014-04-24 2014-04-24 휴대용 접이식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66A (ko) 2017-09-25 2019-04-03 신동준 캠핑용 물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001B1 (ko) * 1978-08-18 1982-06-04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키이드 agc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001B1 (ko) * 1978-08-18 1982-06-04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키이드 agc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459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40B1 (ko) 공회전 방지 버팀대가 구비된 포장용기 마개
CA2173604C (en) Arrangement for portioning viscous materials from a pack
CA2866335C (en) Waste-disposal device
US20190337686A1 (en) Bottle and method of using
WO2007103240A3 (en) Drinking extension for blender container
US11261005B2 (en) Modular utility bottle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WO2016019697A1 (zh) 伸缩收纳瓶
US1959782A (en) Water carrier and the like
US7959033B2 (en) Drip catcher
US10682025B2 (en) Portable urinal
KR101589459B1 (ko) 휴대용 접이식 물통
US20170174382A1 (en) Wide mouth opening military canteen with nbc adapter
TWM473371U (zh) 水壺蓋
CN204161794U (zh) 按钮内藏式防误开容器盖
US20190039819A1 (en) Air-tight container for storing reusable filter cups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CN209845952U (zh) 便携式宠物饮水器
US11542139B2 (en) Keg filling apparatus
CN208625175U (zh) 过滤水杯
CN205697188U (zh) 烹饪器具
CN206714598U (zh) 果汁机
CN203845178U (zh) 饮水瓶
KR20170001019U (ko) 휴대용 용기
CN204124499U (zh) 一种便于携带的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