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041A -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041A
KR20150122041A KR1020140134090A KR20140134090A KR20150122041A KR 20150122041 A KR20150122041 A KR 20150122041A KR 1020140134090 A KR1020140134090 A KR 1020140134090A KR 20140134090 A KR20140134090 A KR 20140134090A KR 20150122041 A KR20150122041 A KR 2015012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re
electrode
skin
patch
care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창연
정기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르츠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르츠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르츠닥
Publication of KR2015012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극, 상기 전극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도체 및 하이드로겔이 모두 상호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피부케어용 패치를 형성하고, 신호선의 일측 끝단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신호선의 다른 일측 끝단이 구동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미세전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는, 각각 상호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이 분리된 채 고정되며, 제1리드선, 제2리드선 및 제3리드선이 각각 관통되도록 홀(hole)이 형성되는 절연시트; 상기 절연시트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도체,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3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도체; 상기 제1전도체, 제2전도체 및 제3전도체의 직상부에 각각 도포되되,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하이드로겔, 제2하이드로겔 및 제3하이드로겔;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전류를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및 상기 신호선의 다른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연시트는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가 상호 접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Patch for skin care and the driv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극, 상기 전극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도체 및 하이드로겔이 모두 상호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피부케어용 패치를 형성하고, 신호선의 일측 끝단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신호선의 다른 일측 끝단이 구동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미세전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미세전류를 흐르게 하여 피부미용에 좋은 유효성분을 피부 내부로 침투하게 하는 기술인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피부자체에 바른 후 패치를 그 상부에 부착시켜 미세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피부와 패치 사이에 회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형성된 회로를 통해 피부에 유효한 활성물질 성분을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침투시켜 피부의 미백, 기미제거 등의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50584호 (등록일자: 2010. 03. 24.) 는 전지 일체형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토포레시스 패치와 전지를 일체화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하고, 전류 저항을 최소화하는 패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패치와 전지를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특성상, 전지와 관련된 구성을 패치에 부가함에 따른 별도의 제조과정이 더 필요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단순히 패치를 통해 전류를 흐르도록 하고 있을 뿐, 패치 적용에 따른 피부효과 등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적으로 패치를 이용함에 따른 필요 데이터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피부접촉여부 자체를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으로 인해 피부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38184호 (등록일자: 2013. 12. 02.) 는 피부 수분 측정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피부수분측정기기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함유된 수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수분을 측정하는 것이긴 하나, 피부수분측정기기 자체에 발진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한 후 이를 구동전원으로 하여 상기 발진신호 생성부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피부수분측정기기가 상기 구성들을 모두 구비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스마트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발진신호 생성부와 함께 상기 피부수분측정기기에 별도로 더 구비된 전원부를 통해 전원이 재인가되어 상기 발진신호 생성부가 구동되는 등으로, 피부수분측정기기 자체가 구동기기로 작동되면서, 이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KR 10-0950584 B1 2010. 03. 24. KR 10-1338184 B1 2013. 12. 0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전극, 상기 전극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도체 및 하이드로겔이 모두 상호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피부케어용 패치를 형성하여 미세전류의 피부침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신호선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장치에 전원공급부와 전기신호생성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여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전송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가 피부에서 떨어지거나 접촉이 불량한 경우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는, 각각 상호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이 분리된 채 고정되며, 제1리드선, 제2리드선 및 제3리드선이 각각 관통되도록 홀(hole)이 형성되는 절연시트; 상기 절연시트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도체,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3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도체; 상기 제1전도체, 제2전도체 및 제3전도체의 직상부에 각각 도포되되,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하이드로겔, 제2하이드로겔 및 제3하이드로겔;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전류를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및 상기 신호선의 다른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플러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연시트는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가 상호 접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미세전류는 상기 제3전극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3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미세전류는 상기 제1전극을 통해 출력되며, 상기 제1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2전극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3전극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2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은, 전술한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장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고, 피부접촉여부의 판단에 따라 미세전류의 공급 또는 전기신호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메모리부;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신호생성부; 상기 전기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피부케어용 패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부터 되돌아오는 전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송수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메모리부, 전기신호생성부, 신호송수신부 및 전원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 판단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극, 상기 전극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도체 및 하이드로겔이 모두 상호 분리된 상태로 피부케어용 패치를 형성하여 미세전류의 피부침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선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장치에 전원공급부와 전기신호생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장치에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전송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가 피부로부터의 접촉이 떨어지거나 불량한 경우 해당 정보가 음향으로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장치와 피부케어용 패치가 상호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서 신호선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서 신호선이 탈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 구비되는 신호선의 일측 끝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장치와 피부케어용 패치가 상호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면이다.
도 1은 구동장치(100)와 피부케어용 패치(2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의 경우 구동장치(100)로서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내장가능하고,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200)에 대해 미세전류 공급, 전기신호 송수신 및/또는 피부에 포함된 수분량 등을 포함하는 피부상태와 관련된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도 1은 일 실시 예로 휴대가능한 스마트폰이 구동장치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장치로는, 상기 스마트폰 외에, 휴대가능한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이동 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데스크탑 PC와 같이 일정 장소에 고정된 형태를 갖는 컴퓨터도 구동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100)에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동되는 상태 및/또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접촉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세전류는 인체에 흐르는 생체전류처럼 사용자의 인체에 유익하도록 하기 위한 전류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1mA이하의 크기의 전류가 미세전류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피부케어용 패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실시 예로 휴대가능한 스마트폰을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에는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부에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구동장치로부터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라 구동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200)가 구동장치(100)와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연결플러그(290)가 구동장치(100)의 신호송수신부(140)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장치의 신호송수신부로는 이를 테면 스마트폰의 이어폰삽입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PC의 경우 이어폰삽입구와 함께, USB포트 또한 신호송수신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을 위해, 제어부(110), 메모리부(120), 전기신호생성부(130), 신호송수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고, 피부접촉여부의 판단에 따라 미세전류 공급 또는 전기신호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고, 전기신호생성부(130)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전기신호로는 예를 들면, 일정 세기를 갖는 전류, 전압, 진폭 및/또는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기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후술하는 신호송수신부(140)를 통해 피부케어용 패치(200)로 전송하고, 이후 상기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피부케어용 패치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신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피부케어용 패치의 접촉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되는 전기신호의 특성으로는, 예를 들면 전류 세기, 전압 레벨, 진폭 및/또는 주파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신호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피부케어용 패치의 접촉여부 또는 접촉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송수신부(140)는 상기 전기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피부케어용 패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부터 되돌아오는 전기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케어용 패치(200)에 구비된 연결플러그(290)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부(150)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스마트폰을 실시 예로 하고 있는 도 1의 경우, 상기 신호송수신부(140)로 이어폰삽입구가 사용되게 되는데, 상기 이어폰삽입구에는 기본적으로 제1스피커단자(또는 좌측스피커단자), 제2스피커단자(또는 우측스피커단자), 마이크단자 및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은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등에 음성 입출력을 위해 일반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구동장치에 구비된 상기 이어폰삽입구를 신호송수신부로 하여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를 공급함과 함께,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스피커단자는 후술하는 피부케어용 패치 중 좌측 패치본체(200A)의 제1전극(211)에 대응되어 연결되고, 제2스피커단자는 우측 패치본체(200A')의 제1전극(211')에 대응되어 연결되며, 마이크단자는 제2전극(212, 212')에 대응되어 연결되고, 접지단자는 제3전극(213, 213')에 상호연결된 상태에서,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연결플러그는 도 3에서와 같이 좌측 패치본체(200A)에 구비되는 제1전극(211), 우측 패치본체(200A')에 구비되는 다른 제1전극(211'), 좌우 양쪽 패치본체에 구비되는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으로 연결되는 4극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단자가 구동장치의 이어폰삽입구에 구비되는 제1스피커단자, 제2스피커단자, 마이크단자 및 접지단자에 각각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160)는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구비되며, 구동장치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내장된 배터리가 상기 전원공급부로 이용될 수 있고, 데스크탑 PC의 경우 외부 상용전원이 상기 전원공급부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피부케어용 패치가 구동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부(120), 전기신호생성부(130), 신호송수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전원공급부(16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및/또는 데스크탑 PC 등에 사용되는 중앙연산처리장치(CPU)가 상기 제어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면으로서,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패치본체(200A, 200A')가 좌우 양측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셋 이상으로도 증감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케어용 패치에 구비되는 연결단자 및 구동장치의 이어폰삽입구에 형성되는 단자가 갯수 또는 기능 등에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2개의 패치본체를 구비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200)에는, 상호 분리된 채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이 상호 분리된 채 고정되도록 절연시트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시트에는 후술하는 제1리드선(221, 221'), 제2리드선(222, 222') 및 제3리드선(223, 223')이 각각 관통되도록 홀(hole)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시트의 상부에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도체(231, 231'),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도체(232, 232'), 및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3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도체(233, 233')가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전도체, 제2전도체 및 제3전도체의 직상부에는 제1하이드로겔(241, 241'), 제2하이드로겔(242, 242') 및 제3하이드로겔(243, 243')이 각각 도포되되, 상기 제1하이드로겔, 제2하이드로겔 및 제3하이드로겔 또한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케어용 패치(200)에는 상기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에 구동장치로부터의 미세전류의 공급 및/또는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 확인을 위한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신호선(270, 270', 280)이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의 메모리부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AC 미세전류가 공급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제1전극(211, 211')을 통해 입력되는 미세전류는 제3전극(213, 213')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3전극(213, 213')을 통해 입력되는 미세전류는 제1전극(211, 211')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이어폰삽입구를 예로 들면, 피부케어용 패치에 구비된 연결플러그(290)를 구동장치의 신호송수신부인 상기 이어폰삽입구에 삽입하게 되면, 제1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가 제1신호선(271)을 따라 좌측 패치본체(200A)에 구비되는 제1전극(211)을 통해 입력되어 피부를 통해 흐른 후, 다시 제3전극(213)을 통해 출력되어 제3신호선(273)을 통해 이어폰삽입구의 접지단자로 흐르게 되며, 극성이 바뀌면 접지단자를 통해 제3신호선(273)을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는 상기 제3전극(213)을 통해 입력되어 피부를 통해 흐른 후, 다시 제1전극(211)을 통해 출력되어 제1신호선(271)을 따라 이어폰삽입구의 제1스피커단자로 흐르게 된다. 우측 패치본체(200A')의 경우 제2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미세전류가 제1신호선(271')을 따라 제1전극(211')을 통해 입력되어 피부를 통해 흐른 후, 다시 제3전극(213')을 통해 출력되어 제3신호선(273')을 따라 이어폰삽입구의 접지단자로 흐르게 되며, 극성이 바뀌면 접지단자를 통해 제3신호선(273')을 따라 출력되는 미세전류는 상기 제3전극(213')을 통해 입력되어 피부를 통해 흐른 후, 다시 제1전극(211')을 통해 출력되어 제1신호선(271')을 따라 이어폰삽입구의 제2스피커단자로 흐르게 된다.
또한, 좌측 패치본체(200A)의 제1전극(211) 또는 제3전극(213)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제2전극(212)을 통해 출력되게 되는데, 구동장치인 스마트폰의 이어폰삽입구에 구비된 제1스피커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제1신호선(271)을 따라 제1전극(211)을 통해 입력되어 흐른 후, 제2전극(212)을 통해 출력되어 제2신호선(272)을 따라 이어폰삽입구의 마이크단자를 통해 입력되게 되며, 극성이 바뀌면 접지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제3신호선(273)을 따라 제3전극(213)을 통해 입력되어 흐른 후, 제2전극(212)을 통해 출력되어 제2신호선(272)을 따라 이어폰삽입구의 마이크단자를 통해 입력되게 된다. 상기 과정은 우측 패치본체(200A')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수행되게 된다.
상기 전기신호의 송수신은 본 발명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피부케어용 패치(200)의 피부접촉여부 판단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게 되고, 출력단자가 제1스피커단자(좌측스피커단자)와 제2스피커단자(우측스피커단자)로 구비되는 특성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 전기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며, 상기 전기신호의 송수신은 예를 들면 양측 패치본체 각각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경우,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를 피부에 접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는데,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가 피부에 접촉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통한 비교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피부케어용 패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전기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피부에의 정상 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상 부착여부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가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거나, 구동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하이드로겔(241, 241'), 제2하이드로겔(242, 242') 및 제3하이드로겔(243, 243')의 하이드로겔은 전도성과 점착성을 동시에 갖는 물질로서,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여러 가지 화학적 조성과 물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높은 함수율과 세포외 기질과의 물리화학적 유사성을 통해 높은 생체적합성을 갖게 되며, 이러한 특성들에 따라 상기 하이드로겔은 의학과 약물학적인 응용에 있어 매력적인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제1전도체(231, 231'), 제2전도체(232, 232') 및 제3전도체(233, 233')와, 제1리드선(221, 221'), 제2리드선(222, 222') 및 제3리드선(223, 223')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 은, 구리 등의 금속이나 탄소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과 제1전도체(231, 231'), 제2전도체(232, 232') 및 제3전도체(233, 233')가 각각 직접 연결되는 대신, 절연시트를 통해 전극과 전도체가 상호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과 제1전도체(231, 231'), 제2전도체(232, 232') 및 제3전도체(233, 233')가 전술한 제1리드선(221, 221'), 제2리드선(222, 222') 및 제3리드선(223, 223')을 통해 각각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1리드선, 제2리드선 및 제3리드선이 절연시트에 관통되어 형성된 홀(hole)을 통해 전극과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절연시트의 종류로는 종이, 연성의 플라스틱, 부직포 등을 포함하되 특별히 제한되지 않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연시트를 2종으로 하여 절연 및 방수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절연시트는 제1절연시트(251, 251')와 제2절연시트(261, 261')로 구분하여 상호 접착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절연시트(251, 251')로는 예를 들면 절연효과와 방수효과를 동시에 갖는 부직포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제2절연시트(261, 261')로는 절연효과를 갖는 종이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서 신호선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서 신호선이 탈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케어용 패치에 구비되는 신호선의 일측 끝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은 패치본체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특성상 편의상 하나로만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신호선이 연결되는 패치본체의 후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3에서와 같이 피부(300)에 접착되는 패치본체의 전면을 나타낸다. 도 4(a)의 경우, 패치본체 후면에 암케이스(210, 210')가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암케이스의 내부에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이 형성되게 된다.
도 3의 경우, 상기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이 제1신호선(271, 271'), 제2신호선(272, 272') 및 제3신호선(273, 273')과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도 6은 상기 제1전극(211, 211'), 제2전극(212, 212') 및 제3전극(213, 213')이 상기 제1신호선(271, 271'), 제2신호선(272, 272') 및 제3신호선(273, 273')과 접촉되는 끝단에 제1신호전극(271a, 271a'), 제2신호전극(272a, 272a') 및 제3신호전극(273a, 273a')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신호전극(271a, 271a'), 제2신호전극(272a, 272a') 및 제3신호전극(273a, 273a')이 숫케이스(270A, 270A')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숫케이스가 도 5에서 보듯이 암케이스(210, 210')에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결합되면서 미세전류의 공급 및/또는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전극(211, 211')과 제1신호전극(271a, 271a'), 제2전극(212, 212')과 제2신호전극(272a, 272a') 및 제3전극(213, 213')과 제3신호전극(273a, 273a')이 각각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부호로 표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암케이스와 숫케이스에 상호 착탈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전면을 나타내며, 도면부호는 편의상 패치의 최상부에 구비되는 제1하이드로겔(241, 241'), 제2하이드로겔(242, 242') 및 제3하이드로겔(243, 243')만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선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장치에 전원공급부와 전기신호생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고,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 공급 및 전기신호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장치에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전송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며,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가 피부로부터의 접촉이 떨어지거나 불량한 경우 해당 정보가 음향으로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한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부착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만 기재하고 있으나, 피부수분 측정을 포함하여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용도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는 경우, 피부상태의 측정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구동장치
110: 제어부 120: 메모리부
130: 전기신호생성부 140: 신호송수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전원공급부
200: 피부케어용 패치
200A, 200A': 패치본체
210, 210': 암케이스
211, 211': 제1전극 212, 212': 제2전극
213, 213': 제3전극
221, 221': 제1리드선 222, 222': 제2리드선
223, 223': 제3리드선
231, 231': 제1전도체 232, 232': 제2전도체
233, 233': 제3전도체
241, 241': 제1하이드로겔 242, 242': 제2하이드로겔
243, 243': 제3하이드로젤
251, 251': 제1절연시트 261, 261': 제2절연시트
270A, 270A': 숫케이스
270, 270', 280: 신호선
271, 271': 제1신호선 272, 272': 제2신호선
273, 273': 제3신호선
271a, 271a': 제1신호전극 272a, 272a': 제2신호전극
273a, 273a': 제3신호전극
290: 연결플러그
300: 피부

Claims (5)

  1. 각각 상호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이 분리된 채 고정되며, 제1리드선, 제2리드선 및 제3리드선이 각각 관통되도록 홀(hole)이 형성되는 절연시트;
    상기 절연시트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도체,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도체, 및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3리드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도체;
    상기 제1전도체, 제2전도체 및 제3전도체의 직상부에 각각 도포되되, 상호 이격되어 분리된 채 형성되는 제1하이드로겔, 제2하이드로겔 및 제3하이드로겔;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전극, 제2전극 및 제3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전류를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및
    상기 신호선의 다른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미세전류의 공급 및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플러그;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는,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로 구분되며,
    상기 제1절연시트와 제2절연시트가 상호 접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거나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구동장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고, 피부접촉여부의 판단에 따라 미세전류 공급 또는 전기신호 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메모리부;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신호생성부;
    상기 전기신호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신호를 피부케어용 패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부터 되돌아오는 전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송수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메모리부, 전기신호생성부, 신호송수신부 및 전원공급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피부케어용 패치의 피부접촉여부 판단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케어용 패치의 구동시스템.
KR1020140134090A 2014-04-22 2014-10-06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KR201501220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383 2014-04-22
KR20140048383 2014-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041A true KR20150122041A (ko) 2015-10-30

Family

ID=5443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90A KR20150122041A (ko) 2014-04-22 2014-10-06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0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38U (ko) * 2018-03-06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관리 장치
WO2019168248A1 (ko) * 2018-03-02 2019-09-0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구 제품
KR20200009475A (ko) * 2018-07-19 2020-01-30 박성효 피부 미용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248A1 (ko) * 2018-03-02 2019-09-0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구 제품
KR20180000938U (ko) * 2018-03-06 2018-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관리 장치
KR20200009475A (ko) * 2018-07-19 2020-01-30 박성효 피부 미용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3985B (ko)
US9425566B2 (en) Power strip and cord thereof
EP1702207B8 (en) Cartridge device for blood analysis
ATE469515T1 (de) Hörvorrichtung mit gemeinsamem anschluss für schirmung und identifikation eines hörers
ATE418912T1 (de) Elektrode für biomedizinische messungen
CN105848028B (zh) 用于为音频设备充电的耳机及为音频设备充电的方法
KR20150122041A (ko) 피부케어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구동시스템
CN103887643A (zh) 耳机插座、电子器件、电子设备及电子系统
US20200237307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CN103917157A (zh) 测量心率的头戴式受话器
US11051710B2 (e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dy impedance
KR101736344B1 (ko) 피부 정보 측정기
EP2648419A3 (en) Earphone jack and earphone interface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KR20170004302A (ko) 피부미용 패치 시스템
CN207652095U (zh) 无线耳机充电模块
CN209269696U (zh) 人体阻抗检测耳机
JP2013019739A (ja) コネクタ異常検出装置、コネクタ異常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28547B1 (ko) 우울증 치료,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헤드 셋
CN102572645A (zh) 音频设备及控制自动关闭该音频设备的方法
CN111093134B (zh) 耳机控制装置、耳机控制方法以及耳机
CN204707249U (zh) 智能蓝牙耳机
CN204839508U (zh) 体脂肪测量装置
CN207541234U (zh) 用于植入式医疗设备的电量提示装置
CN105866568B (zh) 移动终端的充电测试方法、测试设备及系统
CN109039316A (zh) 耳机插孔复用电路、方法以及智能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