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419A -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419A
KR20150121419A KR1020140047226A KR20140047226A KR20150121419A KR 20150121419 A KR20150121419 A KR 20150121419A KR 1020140047226 A KR1020140047226 A KR 1020140047226A KR 20140047226 A KR20140047226 A KR 20140047226A KR 20150121419 A KR20150121419 A KR 2015012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ransmission
unit
time
inactivity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Priority to KR102014004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419A/ko
Publication of KR2015012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가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up Inactivity Ti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인액티비티 타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도면 1의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향후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며,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2020년에 1GB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이동통신사가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한정된 자원인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서 통신을 하므로 망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무선단말장치에서는 RRC State라는 아래와 같은 통신 규격을 사용한다.
① DCH - 실제로 통화, 데이터 사용이 이루어지는 단계(Dedicated Channel state)
② FACH - 중간 연결 단계
③ PCH - Standby상태(실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규격)
④ IDLE - 통화나 데이터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지국과 채널이 끊어져 있는 상태
이동통신사 입장에서는 idle상태에 있는 무선단말장치가 많을수록 가용할 수 있는 망자원이 늘어나는 것이므로 무선단말장치가 FACH나 PCH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과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무선단말장치에 명령 메시지를 보내서 강제로 무선단말장치가 IDLE상태로 전환되게 하여 무선단말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종료하게 되는대, 이 ‘일정시간’을 인액티비티 타임(Inactivity time)이라고 한다.
인액티비티 타임을 얼마로 하느냐는 망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만약 Inactivity time이 10초인데, 1)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keep alive 기타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보내는 메시지의 주기가 11초라면, 2)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상 많은 이용자들이 11초만에 통신을 유발시키는 action을 하는 것이 사용패턴이라면(예를 들어, 채팅이나 게임같이 단속적인 action을 필요로 하는 경우 11초, 뉴스같은 경우 다른 action할 때까지 3분은 평균적으로 소요), 이동통신사 입장에서는 통신채널이 10초만에 끊어지자마자 1초 후 통신 채널이 다시 set-up되어야 하므로 망 부담 요인이 된다.
결론적으로, 애플리케이션별로 최적의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이 가능하면 통신망 자원의 효율적 운용이 가능할 것이나 현재까지 대안이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들의 시각 정보를 근거로 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으로 설정함으로서, 특정 애플리케이션별로 모바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운영을 가능케 하는 인액티비티 타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가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으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는, 상기 설정된 인액티비티 타임 동안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장치로 명령을 전송하여 강제로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IDLE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방법은,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패킷에 대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와,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단계와,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하는 단계와,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인액티비티 타임을 애플리케이션별로 설정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망의 효율적 윤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증설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또 다른 효과는, 네트워크 이용의 최적화를 통해 데이터 통신지연 등에 따른 무선단말장치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모바일(무선) 데이터 트래픽 지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의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 2는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복수개의 서버(300)가 패킷 송수신을 하는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한 후,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도면 2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 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개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고, 상기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한 후,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상기 설정된 인액티비티 타임 동안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장치(200)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강제로 상기 무선단말장치(200)가 IDLE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도면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수집부(10)와, 정렬부(20)와, 검출부(30)와, 비교부(40)와, 설정부(50)와, 처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집부(10)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300)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르면,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버(300)(게임, 웹, 채팅, 유튜브 등)와 통신을 할 때, 기본적으로 무선단말장치(200)에서 발생된 패킷은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거치면서 TCP/IP프로토콜로 변환되어 해당하는 서버(300)로 전달되는데, 무선단말장치(200)와 서버(300) 간에 주고 받던 통신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패킷들을 분석해야 하는 바, 상기 수집부(10)는 패킷을 복제한 후, 복제된 패킷을 정렬부(20)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렬부(20)는, 상기 수집부(10)가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2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패킷들의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1초에서 6초까지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른 검출부(30)는,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20)를 통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인 90%를 포함 가능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 5초를 검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한 비율(%)은 60% 내지 95% 중 정책적으로 결정된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90%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른 비교부(40)는,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을 비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30)가 검출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인 90%를 포함 가능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 5초와 통신사업자가 정책적으로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인 30초를 비교하여 두 값 중 작은 값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른 설정부(50)는, 상기 비교부(40)를 통한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부(40)의 비교결과,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 5초와 통신사업자가 정책적으로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인 30초 중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 5초가 작은 값(t)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정부(50)는 5초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정책적으로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이 동일한 경우, 두가지 값(t)중 하나를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60)는, 상기 설정된 인액티비티 타임 동안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기지국 간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장치(200)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강제로 상기 무선단말장치(200)가 IDLE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에 구비된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구성부는 하나 이상의 서버나 장치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수집부(10)를 통해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300)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한다(S410).
이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정렬부(20)를 통해 상기 수집부(10)가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S420).
이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검출부(30)를 통해 상기 정렬부(20)에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한다(S430).
이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비교부(40)를 통해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을 비교하여 두 값 중 작은 값을 판단한다(S440).
이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설정부(50)를 통해 상기 비교부(40)에 의한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부(30)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한다(S450).
이후, 상기 (S450)과정을 통해 설정된 인액티비티 타임동안 무선단말장치(200)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기지국 간 교신이 없으면(S460),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100)는 처리부(6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장치(200)로 명령 내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강제로 상기 무선단말장치(200)가 IDLE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한다(S470).
100 :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200 : 무선단말장치 300 : 서버
10 : 수집부 20 : 정렬부
30 : 검출부 40 : 비교부
50 : 설정부 60 : 처리부

Claims (6)

  1. 통신망을 통해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복수개 패킷을 수집 또는 캡쳐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가 수집 또는 캡쳐하는 패킷 수집 또는 캡쳐 시각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으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는,
    상기 설정된 인액티비티 타임 동안 통신망 상의 기지국과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무선단말장치로 명령을 전송하여 강제로 상기 무선단말장치가 IDLE상태로 전환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은,
    주기성을 지닌 시간 간격(t)을 포함하는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서버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5.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복수개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통신망 상의 서버 간 상호 송수신하는 패킷에 대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상기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들 중 기 설정한 비율(%)의 패킷을 포함하는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을 검출하는 단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Inactivity) 타임(time)을 비교하는 단계;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에서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한 패킷 송수신 발생 시간 간격(t)과 통신사업자가 기 책정한 최대 허용 가능한 인액티비티 타임 중 작은 값(t)을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액티비티 타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방법.
  6. 제 5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47226A 2014-04-21 2014-04-21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21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26A KR20150121419A (ko) 2014-04-21 2014-04-21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226A KR20150121419A (ko) 2014-04-21 2014-04-21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419A true KR20150121419A (ko) 2015-10-29

Family

ID=5443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226A KR20150121419A (ko) 2014-04-21 2014-04-21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4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fiq et al. A first look at cellular network performance during crowded events
EP2210370B1 (en) Method and monitoring component for network traffic monitoring
CN101548489B (zh) 无线网性能监视方法、无线通信系统、装置及其程序
WO2017219972A1 (zh) 网元管理方法、设备、系统、控制面功能实体及存储介质
CN103430602B (zh) 用户设备将流量相关信息提供给网络的方法
EP3449596B1 (en) Technique for handling service level related performance data for roaming user terminals
CN106534289A (zh) 自动化测试方法、装置及系统
Shafiq et al. Characterizing and optimizing cellular network performance during crowded events
CN105451261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VoLTE无线网络测试方法
CN106572482B (zh) 参数配置方法、装置及核心网络自配置自优化平台
CN101541027A (zh) 一种无线接入点接口故障定位实现方法和系统
CN105578440A (zh) Lte系统中的即时通讯业务心跳包的传输方法及装置
CN113923682B (zh)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2711254B (zh) 网络侧的资源释放控制方法及rnc
CN107547444B (zh) 一种流量统计方法及交换设备
CN106572481B (zh) 一种移动性管理参数生成及配置的方法、装置、scop及mme
KR20150121419A (ko)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101149587B1 (ko) 이동통신망의 시그널링 도스 트래픽 탐지방법
KR20150121420A (ko)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21422A (ko) 인액티비티 타임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CN110958162A (zh) 一种ble级联网络及其链路检测方法、设备和终端
KR20150102500A (ko)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02490A (ko)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21423A (ko) 프리미엄 인액티비티 타임 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50102494A (ko) 인액티비티 타임 설정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