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02A -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02A
KR20150121302A KR1020140046391A KR20140046391A KR20150121302A KR 20150121302 A KR20150121302 A KR 20150121302A KR 1020140046391 A KR1020140046391 A KR 1020140046391A KR 20140046391 A KR20140046391 A KR 20140046391A KR 20150121302 A KR20150121302 A KR 2015012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height
grill
height adjusting
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정 filed Critical 이희정
Priority to KR102014004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302A/ko
Publication of KR2015012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숯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거치부와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각각 형성하고, 그 거치부와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숯통이 거치되는 거치대에는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형성하여 숯통의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부와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이용하여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숯통을 구이기 본체로부터 빼지 않은 상태에서도 숯불의 화력에 따라 숯통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을 연속적으로 구울 수 있으며, 숯통에 형성된 거치부와 높이조절부 및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통해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을 타는 것을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거치대의 하단으로 이격되게 걸림부를 유동홀의 직하방에 더 형성하여 유동홀을 통해 구이기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숯통을 완충시킬 수 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 Barbecue Device }
본 발명은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숯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거치부와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각각 형성하고, 그 거치부와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숯통이 거치되는 거치대에는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형성하여 숯통의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부와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이용하여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숯통을 구이기 본체로부터 빼지 않은 상태에서도 숯불의 화력에 따라 숯통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을 연속적으로 구울 수 있으며, 숯통에 형성된 거치부와 높이조절부 및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통해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을 타는 것을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거치대의 하단으로 이격되게 걸림부를 유동홀의 직하방에 더 형성하여 유동홀을 통해 구이기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숯통을 완충시킬 수 도록 한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베큐 장치란 야외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또는 채소 등과 같은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바베큐 구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반통형으로 형성된 몸통 위에 석쇠를 올리고, 상기 몸통의 내부에는 숯불을 넣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바베큐 장치는 야외에서 사용이 용이하나 숯불을 넣는 통이나 접혀지지 않는 반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된 특허 제 1357186 호와 같이 접철식의 바베큐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바베큐 장치를 도 8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바베큐 장치는 숯통(210)이 내부에 안착 되게 설치되는 구이기 본체(200)와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상부에 올려져 숯통(210)에서부터 공급되는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석쇠(220)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는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의 외주면에 힌지로 결합 되며, 부채꼴 모양으로 펼져치는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20)(21)과, 그 다리프레임(20)(21)이 결합 된 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을 연결하는 연결판(230)과, 상기 연결판(230)에 결합 되어 숯통(21)이 결합 되는 결합판(201)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를 이루는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이 부채꼴 모양으로 접철 되도록 한 쌍의 측면바(12)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 링크판(14)(15)이 힌지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제1 링크(13)가 결합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의 외면에 힌지로 결합 되는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20)(21)이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한 쌍의 다리바(22)의 상단에는 제3 및 제4 링크판(24)(25)이 힌지로 결합 구성되어 이루어진 제2 링크판(22)이 결합 된다.
따라서, 제1 링크(13)에 의해 결합 된 한 쌍의 측면바(12)와 제2 링크(23)에 의해 결합 된 한 쌍의 다리바(22)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철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과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20)(21)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을 연결하는 연결판(230)을 상기 측면바(12)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고, 상기 연결판(230)의 하단에는 숯통(210)이 결합 되는 결합판(201)을 수평하게 결합하여 구이기 본체(200)를 이루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20)(21)의 하단에는 받침패널(도면 미 도시)이 착,탈식으로 결합 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펼쳐진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20)(21)의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구이기 본체(200)의 상부에는 경첩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상판부재(300)가 착,탈식으로 결합 된다.
접혀짐이 가능한 상판부재(300)는 'U'자 모양의 한 쌍의 상판 프레임(310)을 경첩으로 연결되게 결합하고, 그 상판 프레임(310)의 상면에는 상판(320)을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 하므로써, 상기 상판(320)에 구이물 내지 음식물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용도로 사용한다.
이때, 상판 프레임(310)의 하부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그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봉(240)을 측면바(12)의 상단에 각각 결합하여 상판부재(300)가 구이기 본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판부재(300)가 착,탈식으로 결합 되는 구이기 본체(200)의 상부에는 구이물이 구워지는 석쇠(220)를 올려 숯통(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구울 수 있게 한다.
상기 석쇠(220)의 석쇠 프레임(221)의 양측에는 숯불의 화력에 따라 석쇠(2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편(400)이 결합 된다.
상기 높이조절편(400)에는 상,하로 길게 가이드홈(401)을 형성하고, 가이드홈(401)과 연통 되게 걸림홈(402)을 등 간격으로 높이조절편(400)에 형성한다.
그리고 걸림홈(402)에 끼워져 높이가 조절된 석쇠(220)의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정봉(410)이 구이기 본체(1)의 양측면에 돌출되게 측면바(12) 상단에 결합 된다.
이와 같이 숯통(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의 화력에 따라 석쇠(220)가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하게 되면,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판(201)에 숯불이 피워진 숯통(210)을 결합한다.
상기 숯통(210)이 구이기 본체(200) 내에 설치되면 고정봉(410)이 관통되게 걸림홈(402)이 구비된 석쇠(220)를 상기 구이기 본체(200)에 결합하여 석쇠(220)에 올려진 구이물을 굽는다.
구이물을 굽는 동안에 숯통(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 화력이 약해지면 사용자는 석쇠프레임(221)의 양측을 손으로 잡은 후에 고정봉(410)을 걸림홈(40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 고정봉(410)이 걸림홈(402)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도 10과 같이 높이조절편(400)에 형성된 가이드홈(401)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석쇠(22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된 석쇠(220)의 걸림홈(402)이 다시 구이기 본체(200)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봉(410)에 걸려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석쇠(220)에 올려진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바베큐 장치에 형성된 숯통 높이조절 장치의 문제점은 숯통(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의 화력의 세기에 따라 석쇠(220)에 올려진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이기 본체(200)에 올려지는 석쇠(220)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키야 하는 데, 상기 석쇠(2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구이기 본체(200)의 상단에는 형성되는 고정봉(410)과 그 고정봉(4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석쇠(220)에는 가이드홈(401)과 걸림홈(402)이 구비된 높이조절편(400)을 석쇠(210)에 형성해야만 하기 때문에 바베큐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바베큐 구이 장치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석쇠(220)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석쇠 프레임(211)을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석쇠(220)를 상,하로 올리거나 내려야 하기 때문에 석쇠(220)의 설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숯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거치부와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각각 형성하고, 그 거치부와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숯통이 거치되는 거치대에는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형성하여 숯통의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부와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이용하여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숯통을 구이기 본체로부터 빼지 않은 상태에서도 숯불의 화력에 따라 숯통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을 연속적으로 구울 수 있으며, 숯통에 형성된 거치부와 높이조절부 및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통해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을 타는 것을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거치대의 하단으로 이격되게 걸림부를 유동홀의 직하방에 더 형성하여 유동홀을 통해 구이기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숯통을 완충시킬 수 도록 한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숯통의 상단에 형성되는 거치부와,
숯통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높이조절부와;
거치부 또는 높이조절부가 올려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이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거치대와;
거치대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부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유동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본원 발명에 의하면, 숯통의 상단과 하단에는 거치부와 복수의 높이조절부를 각각 형성하고, 그 거치부와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숯통이 거치되는 거치대에는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다수의 유동홀을 형성하여 숯통의 하단에 형성된 높이조절부와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이용하여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숯통을 구이기 본체로부터 빼지 않은 상태에서도 숯불의 화력에 따라 숯통의 설치 높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물을 연속적으로 구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숯통에 형성된 거치부와 높이조절부 및 거치대에 형성된 유동홀을 통해 숯통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구이물을 타는 것을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치대의 하단으로 이격되게 걸림부를 유동홀의 직하방에 더 형성하여 유동홀을 통해 구이기 본체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숯통을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된 연결판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숯통이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재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부재에 숯통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의 바베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석쇄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숯통(8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거치부(81)와,
숯통(8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높이조절부(82)와;
거치부(81) 또는 높이조절부(81)가 올려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이기 본체(1) 내에 설치되는 거치대(60)와;
거치대(60)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부(81)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유동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된 구이기 본체(1) 내부에는 숯통(8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의 화력에 따라 숯통(80)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숯통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50)를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50)에 의해 숯통(80)이 구이기 본체(1)로부터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숯불의 화력을 조절하므로서, 석쇠(80)에 올려진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이물을 연속적으로 구울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구이기 본체(1)를 이루는 연결판(30)의 하단을 절곡시켜 높이가 조절된 숯통(80)의 설치 상태를 유지시키는 거치대(60)와, 그 숯통(8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유동홀(51)을 형성하기 때문에 높이조절부재(50)가 구비된 바베큐 장치의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바베큐 구이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높이조절부재(50)는 구이기 본체(1)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1)을 연결할 수 있게 측면바(12)의 일면에 마주보게 결합 되는 연결판(30)의 하단을 절곡시켜 거치대(60)를 형성한다.
상기 거치대(60)를 연결판(30)의 하단에 절곡시켜 형성하고, 그 거치대(60)에 올려지도록 거치부(81)가 상단에 형성된 숯통(80)을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 결합하므로써, 상기 숯통(80)은 도 5의 (a)와 같이 거치대(60)를 따라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구이기 본체(1)에 결합 된 석쇠(90)를 이용하여 구이물을 굽는 것이다.
상기 숯통(80)이 상단에 형성된 거치부(81)가 도 7의 (a)와 같이 거치대(60) 위에 올려지게 되면 숯통(80)으로부터 공급되는 숯불의 화력이 강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숯통(80)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부(81)가 연결판(30)의 하단에 수평하게 절곡 형성된 거치대(60)에 올려 지도록 상기 숯통(80)을 구이기 본체(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구이기 본체(1)의 상단에 결합 된 석쇠(90)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강한 숯불에 의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치대(60)를 따라 도면상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숯통(80)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거치대(60)에는 숯통(8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유동홀(51)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유동홀(51)을 통해 숯통(80)이 상,하 이동되도록 복수의 높이조절부(82)를 숯통(80)의 하단에 형성한다.
상기 숯통(80)의 하단에는 복수의 높이조절부(82)를 형성하고, 그 높이조절부재(8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유동홀(51)을 도 5와 같이 거치대(60)에 형성하므로써, 유동홀(51)을 통해 거치대(60)의 상면으로 이동된 높이조절부(82)로 인하여 숯통(80)과 구이기 본체(1)의 상단에 설치되는 석쇠(90)와의 상,하 거리는 숯통(80)의 높이만큼 가까워져 도 7의 (b)와 같이 화력이 약해진 숯불을 이용하여 석쇠에 올려진 구이물을 구울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이기 본체(1)의 내에서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숯통(80)의 작동 상태를 도 5의 (a) ~ (c)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숯불이 피워진 숯통(80)의 높이조절부(82)가 거치대(60)에 상면에 올려지게 구이기 본체(1) 내에 숯통(80)을 결합한다.
상기 높이조절부(82)가 거치대(60)에 올려지면 숯통(80)에 형성된 손잡이(83)를 손으로 잡고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 5의 (b)와 같이 유동홀(51)에 조절부(82)를 일치한다.
상기 유동홀(51)에 높이조절부(82)가 일치함에 따라서 숯통(80)은 자체 하중에 의해 도 5의 (c)와 같이 구이기 본체(1)의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숯통(80)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부(81)에 의해 숯통(80)은 도 7의 (a)와 같이 구이기 본체(1) 내에 설치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이기 본체(1)의 상단에 결합 된 석쇠(90)와 숯통(80)과의 거리는 숯통(80)이 이동된 거리만큼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강한 숯불을 이용하여 석쇠에 올려진 구이물을 타지 않고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통(80)을 설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석쇠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구이기 본체(200)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봉과 그 고정봉이 걸려지는 걸림홈이 구비된 가이드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높이조절편을 더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바베큐 구이기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거치대(60)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되게 연결판(30)의 하단에는 걸림부(70)를 도 4와 같이 더 형성하여 유동홀(51)을 따라 아래로 떨여지는 숯통(80)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이기 본체(1)의 양측에는 결합돌기(42)가 돌출 형성된 결합판(41)을 결합하고, 그 결합판(41)에 받침판(40)을 도 3과 같이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 구이기 본체(1)의 아래로 이동된 숯통(8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숯통(80)이 구이기 본체(1)로부터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이기 본체(1)의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제2 링크(23)에 힌지를 이용하여 상판프레임(110)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상판 프레임(110)에 상판(120)을 결합 구성하여 상판부재(100)를 이루므로써, 상기 상판부재(100)는 구이기 본체(1)에 결합 구성되어 테이블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구이기 본체(1)의 상단에 결합 되는 상판부재(100)는 힌지로 상판 프레임(110)을 결합 하기 때문에 상기 상판 프레임(110)은 힌지를 중심으로 도면상 상,하로 접혀짐이 가능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바베큐 구이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구이기 본체(1)의 상단에는 도 2와 같이 냄비(91)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1: 구이기 본체, 10,11: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
12: 측면바, 13: 제1 링크,
14,15: 제1 및 제2 링크판, 20,21: 제1 및 제2 다리프레임,
22: 다리바, 23,24: 제3 및 제4 링크판,
30: 연결판, 40: 받침판,
41: 결합판, 41: 결합돌기,
50: 높이조절부재, 51: 유동홀,
60: 거치대, 70: 걸림부,
80: 숯통, 81: 거치부,
82: 높이조절부, 83: 손잡이,
90: 석쇠, 91: 냄비,
100: 상판부재, 110: 상판프레임,
120: 상판,

Claims (3)

  1. 숯통(8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거치부(81)와,
    숯통(8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높이조절부(82)와;
    거치부(81) 또는 높이조절부(81)가 올려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이기 본체(1) 내에 설치되는 거치대(60)와;
    거치대(60)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부(81)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유동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유동홀(51)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된 숯통(80)의 높이조절부(82)가 올려질 수 있게 걸림부(70)를 유동홀(51)의 직하방에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거치대(60)는 구이기 본체(1)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측면바(12)가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제1 링크(13)로 결합 된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10)(12)을 연결하는 연결판(30)의 하단을 수평하게 절곡시켜 형성하고,
    거치대(60)의 중간부를 일정간격으로 부분절단하여 유동홀(51)을 형성하며,
    유동홀(51) 형성을 위해 부분절단된 부분을 수평상으로 접어 걸림부(70)를 형성하되,
    걸림부(70)의 높이가 거치대(60) 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KR1020140046391A 2014-04-18 2014-04-18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KR20150121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391A KR20150121302A (ko) 2014-04-18 2014-04-18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391A KR20150121302A (ko) 2014-04-18 2014-04-18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02A true KR20150121302A (ko) 2015-10-29

Family

ID=5443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391A KR20150121302A (ko) 2014-04-18 2014-04-18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3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90Y1 (ko) 2018-02-05 2018-06-20 채장병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KR20180002078U (ko) * 2016-12-28 2018-07-06 닝 장 폴딩 가능한 바베큐 그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78U (ko) * 2016-12-28 2018-07-06 닝 장 폴딩 가능한 바베큐 그릴
KR200486690Y1 (ko) 2018-02-05 2018-06-20 채장병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06351A (es) Parilla asadora (o barbacoa) y estructura de soporte.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KR200480913Y1 (ko)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KR101703292B1 (ko)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KR200454953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그릴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797097B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20130134678A (ko) 그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50121302A (ko) 바베큐 구이기의 숯통 높이조절장치
KR101763695B1 (ko) 바베큐 구이기 장치
KR101638430B1 (ko) 조립식 화로대
KR200484407Y1 (ko)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10151131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KR101554201B1 (ko) 다기능 화로대 테이블
KR200457675Y1 (ko) 휴대용 숯불 구이기
JP2023524966A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1230258B1 (ko) 버너 받침대를 구비한 레저용 테이블
KR100777675B1 (ko) 절첩식 식탁을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23000037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용 그릴
KR10139955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석쇠조립체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20160100482A (ko) Led조명 서랍형 구이기
US20150150414A1 (en) Extendable outdoor cooking grill
KR101817540B1 (ko) 자동 불판교체 테이블
KR200462387Y1 (ko) 숯불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