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553A -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 Google Patents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553A
KR20150120553A KR1020140045886A KR20140045886A KR20150120553A KR 20150120553 A KR20150120553 A KR 20150120553A KR 1020140045886 A KR1020140045886 A KR 1020140045886A KR 20140045886 A KR20140045886 A KR 20140045886A KR 20150120553 A KR20150120553 A KR 20150120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essage
push message
push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9696B1 (en
Inventor
윤재석
김재호
원광호
이상신
안일엽
송민환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696B1/en
Publication of KR2015012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using a push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receiving a command for a device from a user application; and generating a message to perform the command, and pushing the same to the device. Accordingly, the device is controlled by using the push message, a command execution start of the device is faster, and ultimately, service providing for a user is faster, so user′s satisfaction can be enhanced.

Description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a push message,

본 발명은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로 이용가능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usable with an IoT service.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는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things)을 인터넷으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다.IoT (Internet of Things) is a new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connects all the things in the world with the Internet so that people and things, things and thing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any time and anywhere.

IoT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다양하고 편리하며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세상에 널리 퍼져 있는 다양한 많은 IoT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명령대로 빠르게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게 서비스하는 것이 필요하다.IoT services will provide us with a more diverse, convenient and secure lifestyle.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ntrol a variety of IoT devices that are widespread in the world, and promptly control them to users.

도 1은 기존의 디바이스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20)으로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evice control process. FIG. 1 shows a process of controlling a device 10 with a user application 2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IoT 서비스 서버(30)에 커맨드를 전송하면(①), IoT 서비스 서버(30)는 수신한 커맨드를 디바이스(10)에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②).1, when the user application 20 first sends a command to the IOT service server 30 (i), the IoT service server 30 sends the received command to the area allocated to the device 10 Record (②).

이후, 디바이스(10)는 폴링(polling)을 통해 IoT 서비스 서버(30)로부터 커맨드를 획득하고(③), 획득한 커맨드를 실행한다(④).Thereafter, the device 10 acquires a command from the IoT service server 30 through polling (3) and executes the acquired command (4).

도 1에서 디바이스(10)가 폴링을 통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자신에 대한 커맨드가 있었음을 인지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커맨드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In FIG. 1, since the device 10 recognizes from the user application 20 via polling that there is a command for itself, immediate command execution may not be performed.

이에 따라, 디바이스(10)의 커맨드 실행 시작이 늦어지게 될 수 있는데, 이는 서비스 제공 시간이 늦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As a result, the start of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10 may be delayed, resulting in a delay in service provision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빠르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바이스의 커맨드 실행 시작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providing a service to a user, And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control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command for a device from a user application; Generating a message for performing the command; And pushing the message to the device.

그리고,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커맨드를 상기 메시지에 수록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the command in the message.

또한, 상기 커맨드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 가능한 길이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 length that can be recorded in the message.

그리고, 상기 커맨드는, 상기 디바이스가 외부 리소스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커맨드일 수 있다.The command may be a command that the device can perform without external resources.

또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저장된 주소를 상기 메시지에 수록할 수 있다.Also, the generating step may include an address in which a resource necessary for executing the command is stored in the message.

그리고, 상기 리소스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 불가능한 길이일 수 있다.The resource may be a length that can not be recorded in the message.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된 내용을 안내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ssage may include a field for guiding contents stored in the messag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푸시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한다.
Meanwhile, a devi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for receiving a command for a device from a user application; And a push server for generating a message for executing the command and for pushing the message to the devi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커맨드 실행 시작이 빨리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궁극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빨라지게 되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controlled by using the push message, and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is quickly started. As a result, the service provision to the user is ultimately accelerated, and the us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도 1은 기존의 디바이스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사용되는 푸시 메시지 포맷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device control process,
2 is a diagram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provided in the description of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sh message format used in FIGS. 2 to 4.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2 is a diagram provided in a description of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 device using a push messag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IoT 서비스 서버(100)에 커맨드를 전송하면(①), IoT 서비스 서버(100)는 수신한 커맨드를 디바이스(10)에 할당된 영역에 기록한다(②).2, when the user application 20 first transmits a command to the IOT service server 100 (i), the IoT service server 100 transmits the received command to the area allocated to the device 10 Record (②).

여기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은 사용자 기기(미도시)에서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모바일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물론 데스크탑 PC 등의 거치형 기기도 포함한다.Here, the user application 20 is an application executed to control the device 10 in a user equipment (not shown). The user device includes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smart phone or a mobile PC, as well as a stationary device such as a desktop PC.

이후, IoT 서비스 서버(100)는 디바이스(10)에 대한 커맨드가 있음을 푸시 서버(200)에 통보한다(③). 그러면, 푸시 서버(200)는 커맨드를 푸시 메시지에 수록하여 디바이스(10)에 푸시한다(④).Thereafter, the IoT service server 100 notifies the push server 200 that there is a command for the device 10 (3). Then, the push server 200 stores the command in the push message and pushes it to the device 10 (4).

푸시 서버(2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10)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되어 있는 커맨드를 실행한다(⑤). 디바이스(10)의 커맨드 실행에 의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진다.The device 10 that has received the push message from the push server 200 executes the command contained in the push message (step 5). By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10, a desired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디바이스(10)의 커맨드 실행은, 푸시 서버(200)의 푸시 메시지에 의해, IoT 서비스 서버(100)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지체 없이 시작된다. 이에, 궁극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빨라지게 된다.The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10 is started without delay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IOT service server 100 receives the command from the user application 20 by the push message of the push server 200. [ Ultimately, service provision to the user becomes faster.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역시,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3 is a diagram provided in a description of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trols a device using a push messag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푸시 서버(200)에 커맨드를 전송한다(①). 도 3에서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의 커맨드 전송이, IoT 서비스 서버(100)가 아닌 푸시 서버(200)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2와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application 20 first transmits a command to the push server 200 (1). 3 is different from FIG. 2 in that the command transmission of the user application 20 is made to the push server 200, not to the IoT service server 100. [

커맨드를 수신한 푸시 서버(200)는 커맨드를 푸시 메시지에 수록하여 디바이스(10)에 푸시한다(②). 그러면, 푸시 서버(2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10)가 푸시 메시지에 수록되어 있는 커맨드를 실행한다(③). 디바이스(10)의 커맨드 실행에 의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진다.Upon receiving the command, the push server 200 stores the command in the push message and pushes it to the device 10 (2). Then, the device 10, which has received the push message from the push server 200, executes a command recorded in the push message (3). By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10, a desired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본 실시예에서의 디바이스(10)의 커맨드 실행 역시, 푸시 서버(200)의 푸시 메시지에 의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지체 없이 시작된다. 이에, 궁극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빨라지게 된다.The execution of the command of the devic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lso starts without delay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application 20 by the push message of the push server 200. [ Ultimately, service provision to the user becomes faster.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역시, 푸시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한다.4 is a diagram provided in a description of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ntrols a device using a push message.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10)의 제어를 위해 다른 외부기기(310, 320 및 330)에 저장되어 있는 리소스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한 경우를 상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10)의 제어를 위해, 디바이스(10)가 멀티미디어 서버(310) IoT 서비스 서버-1(320), IoT 서비스 서버-2(330)에 저장되어 있는 리소스에 접근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resources stored in other external devices 310, 320, and 330 are additionally required for the control of the device 10. [ That is, in this embodiment, for the control of the device 10, the device 10 accesses the resources stored in the IoT service server-1 320 and the IoT service server-2 330 of the multimedia server 310 shall.

여기서, 리소스는, 데이터, 정보,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컨텐츠, 컨텍스트,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resources may include contents, contexts, services, etc. in addition to data,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IoT 서비스 서버(100) 또는 푸시 서버(200)에 리소스 주소를 전송하면(①), 디바이스(10)에 리소스 주소가 수록된 푸시 메시지가 푸시된다(②).4, when the user application 20 first transmits a resource address to the IOT service server 100 or the push server 200 (1), the push message containing the resource address is pushed to the device 10 (2).

"①"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IoT 서비스 서버(100) 또는 푸시 서버(200)에 전송하는 리소스 주소는,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의 일종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다.The resource address transferred from the user application 20 to the IOT service server 100 or the push server 200 in the step "a "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command for controlling the device 10.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IoT 서비스 서버(100)에 리소스 주소를 전송한 경우는, 도 2의 "②~④"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디바이스(10)에 전달된다.When the user application 20 transmits the resource address to the IOT service server 100, the push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10 by the procedure shown in "2 to 4" in Fig.

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0)이 푸시 서버(200)에 리소스 주소를 전송한 경우는, 도 3의 "②"에 도시된 절차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디바이스(10)에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pplication 20 transmits the resource address to the push server 200, the push message is delivered to the device 10 by the procedure shown in "2"

어느 경우이든, "②"에서 디바이스(10)에 푸시되는 푸시 메시지에는, 리소스가 저장된 리소스 주소가 수록되어 있다. 푸시 메시지의 용량에는 한계가 있고, 리소스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할 수 없기 때문에, 푸시 메시지에 리소스 대신 리소스 주소를 수록하는 것이다.In either case, the push message pushed to the device 10 at "2" contains the resource address where the resource is stored. Because the capacity of push messages is limited and resources can not be stored in push messages, the push message is to store resource addresses instead of resources.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10)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된 리소스 주소에 접근하여 리소스를 요청하고(③),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리소스를 수신하여 처리한다(④).The device 10 having received the push message requests the resource by accessing the resource address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3), and receives and processes the resour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4).

디바이스(10)의 리소스 처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진다. 디바이스(10)의 리소스 처리는, 푸시 서버(200)의 푸시 메시지에 의해 지체 없이 시작되므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빨라지게 된다.By the resource processing of the device 10, a desired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Since the resource processing of the device 10 is started without delay by the push message of the push server 200, service provision for the user becomes faster.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사용되는 푸시 메시지 포맷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첫 번째와 두 번째 포맷은 도 2와 도 3에 제시된 제어 방법에서 이용되는 푸시 메시지의 포맷이고, 도 5의 세 번째와 네 번째 포맷은 도 4에 제시된 제어 방법에서 이용되는 푸시 메시지의 포맷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sh message format used in FIGS. 2 to 4. FIG. The first and second formats of FIG. 5 are the format of the push message used in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third and fourth formats of FIG. 5 correspond to the push message used in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Forma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메시지는 'signature' 필드, 'type' 필드 및 'contents'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ush message includes a 'signature' field, a 'type' field, and a 'contents' field.

'signature' 필드에는 메시지가 푸시 메시지임을 지시하기 위한 'prefix'가 수록된다.The 'signature' field contains 'prefix' to indicate that the message is a push message.

'type' 필드는 푸시 메시지의 종류를 지시하기 위한 필드로, 'contents' 필드에 수록되는 내용에 따라 'type' 필드의 수록 내용이 결정된다. 즉, 'type' 필드는 푸시 메시지의 'contents' 필드에 수록된 내용을 안내하기 위한 필드이다.The 'type' field is a field for indicating the type of the push message, and the content of the 'type' fiel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s' field. That is, the 'type' field is a field for guid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s' field of the push message.

구체적으로, 'contents' 필드에 "On", "Off" 등의 커맨드가 수록되는 경우 'type' 필드에는 "A"가 수록된다. 반면, 'contents' 필드에 "http://IoT_Service_ Server/address/", "http://Multimedia_Server/address/" 등의 리소스의 주소(URL)가 수록되는 경우 'type' 필드에는 "B"가 수록된다.Specifically, when a command such as "On" or "Off" is stored in the contents field, "A"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ress (URL) of a resource such as "http: // IoT_Service_Server / address /" and "http: // Multimedia_Server / address /" is contained in the contents field, "B" Respectively.

'contents' 필드에는 커맨드 또는 리소스 주소(URL)가 수록된다. 커맨드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 가능한 길이이다. 디바이스(10)는 외부 리소스 없이 커맨드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ents' field contains the command or resource address (URL). The command is a length that can be recorded in a push message. The device 10 can execute commands without external resources.

도 4에 예시된 커맨드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종류의 커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커맨드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 가능하여야 하고, 그 의미가 디바이스(10)에 알려져 있을 것이 요구된다.The type of the command illustrated in FIG. 4 is an exemplary one, and may include other types of commands.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command should be able to be recorded in a push message, and that its meaning is known to the device 10.

반면, 리소스는 푸시 메시지에 수록 불가능할 정도 길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버(310) IoT 서비스 서버-1(320), IoT 서비스 서버-2(330)에 저장하고, 디바이스(10)에는 리소스 주소를 알려주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source is long enough to be unreadable in the push message, it is stored in the IoT service server-1 320 and the IoT service server-2 330 of the multimedia server 310, and the resource address is notified to the device 10.

한편, 도 5에 도시된 푸시 메시지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들로, 다른 필드를 더 추가하거나 일부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push message shown in FIG. 5 i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other fields are additionally added or omit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디바이스
20 :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100 : IoT 서비스 서버
200 : 푸시 서버
310 : 멀티미디어 서버
320, 330 : IoT 서비스 서버
10: Device
20: User application
100: IoT service server
200: push server
310: Multimedia server
320, 330: IoT service server

Claims (8)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Receiving a command for a device from a user application;
Generating a message for performing the command; And
And pushing the message to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커맨드를 상기 메시지에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the command is recorded in the mess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 가능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Wherein the message is a length that can be recorded in the messa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는,
상기 디바이스가 외부 리소스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above-
Wherein the device is a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without an external resou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가 저장된 주소를 상기 메시지에 수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storing an address where a resource necessary for executing the command is stored in the messag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 불가능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rein the message is a length that can not be recorded in the message.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에 수록된 내용을 안내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message comprises:
And a field for guiding contents stored in the message.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바이스에 대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푸시하는 푸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A server for receiving a command for a device from a user application; And
And a push server for generating a message for executing the command and for pushing the message to the device.
KR1020140045886A 2014-04-17 2014-04-17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KR101679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86A KR101679696B1 (en) 2014-04-17 2014-04-17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86A KR101679696B1 (en) 2014-04-17 2014-04-17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553A true KR20150120553A (en) 2015-10-28
KR101679696B1 KR101679696B1 (en) 2016-11-28

Family

ID=5442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886A KR101679696B1 (en) 2014-04-17 2014-04-17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6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626A (en)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service server, and user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626A (en)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service server, and user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696B1 (en)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544B2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erv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749143B2 (en) Web real-time communication call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RU2621643C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AU20133250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files among multiple terminals
EP2962216B1 (en) Sharing application states
WO2015161786A1 (en) Remote control method, server, control device and system
WO2017024842A1 (en) Internet access authentication method, client, computer storage medium
US10581993B2 (en) Method for forwarding traffic in application on mobile intelligent terminal
WO2019001074A1 (en) Remote process cal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KR10212135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40123076A (en) A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404797B2 (en) Supporting multiple clipboard items in a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environment
WO2015176352A1 (en) Android system-based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pplications
WO2016150191A1 (en)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CN105100150B (en) Cloud desktop migration method and device and distributed cloud desktop system
CN105141567A (en) Interact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f terminal application and service end and interaction method
US20130151672A1 (en) Cloud computing method, computing apparatus and server using the same
US106234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data, and user terminal
CN111107119B (en) Data access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cloud storag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4586325B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content preparation for media streaming networks
CN106302093B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server
KR101679696B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Push Message
KR20190051646A (en) Method for adding limitation on clipboard copy function under virtual desktop infra and virtualization system adotting the same
CN110178353A (en) Method for processing business, Cloud Server and terminal device
JP2023524409A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figuring 5G application servers in connected uplink-downlink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