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03A -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03A
KR20150118703A KR1020140044563A KR20140044563A KR20150118703A KR 20150118703 A KR20150118703 A KR 20150118703A KR 1020140044563 A KR1020140044563 A KR 1020140044563A KR 20140044563 A KR20140044563 A KR 20140044563A KR 20150118703 A KR20150118703 A KR 2015011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defibrillator
irregularities
paddle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하
장상덕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4004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703A/ko
Publication of KR2015011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적이 넓은 전극 판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을 사용하여 심정지 환자의 몸에 손상이 적게 전기 쇼크를 전달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은 신체에 닿는 면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과,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에 전기 쇼크(shock)를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 A defibrillator paddles with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적이 넓은 전극 판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을 사용하여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접촉성이 우수한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의료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환경 및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서 심장 관련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응급 환자의 응급 처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어 1994년 1월에 응급의료에 관한 법이 제정되었고, 응급 처치 전문가로서 응급 구조사라는 새로운 자격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더 나아가 제세동기를 비롯한 우수한 장비와 시설로 응급 의료 시스템을 갖추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심장 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는 심장 환자를 이송하는 모든 구급차에 제세동기를 장착하고 응급 요원은 그 사용법에 대하여 훈련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응급 의료법에는 응급 의료 센터, 종합 병원 및 응급 의료 기관에서 심실 제세동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세동기의 사용하기 위해서는 응급 상황 발생 시 환자 가까이에 있는 제3자동 젤 분사 패들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심장을 제세동해야 한다. 만약 주변에 아무도 없다면 응급 상황 시 환자는 스스로 심장 제세동기를 사용할 수 없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세동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제세동기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전달할 제 3자가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은 환자의 신체와 접촉성이 좋지 않아 전도성 젤을 도포한 후에 제세동기 패들을 상기 환자의 흉부에 밀착시켜 접촉성을 높여야 했다.
또한 제 3자가 없는 장소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된 경우에는 전기 쇼크가 제공되기 어려웠으며 전도성 젤이 환자의 신체에 적당량 도포되기 어려웠다. 전도성 젤이 충분히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에 심한 화상을 입거나 과하게 도포된 경우에는 패들 사이로 전기 쇼크가 방출되어 환장의 심장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969974호는 원격지에서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응급구호장치를 이용한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자동 외부 제세동기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가 원격지에서 파악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구호기관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대응정보를 제공하는 구호시스템으로서, 응급상황 발생 시 원격지에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빠르게 구호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응급구호장치가 응급 환자나 제3자에 의해서 응급 환자의 몸에 부착되지 않는다면 구호기관이나 응급처치자에게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며 응급구호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응이 어렵고 응급 상황 발생 시에 즉시 필요한 조치를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에 맞는 제세동기 패들이 제공되지 못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되는 특성의 전도성 젤이 적절하게 제공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96997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에 적합한 표면적을 구현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도성 젤이 도포되지 않아도 제세동기 패들과 환자의 신체 사이의 접촉성이 우수한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이나 수동 제세동기에 모두 사용 가능한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은, 신체에 닿는 면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과,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에 전기 쇼크(shock)를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은 상기 연결부에서 전기 쇼크를 전달받는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은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에 결합이나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상기 전극 판은 신체에 닿는 요철 면에 전도성 접착액이 도포되어 있거나 전도성 접착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상기 전극 판의 요철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전도성 젤을 보관하는 젤 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 판은 상기 젤 보관부의 젤이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젤 이동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젤 보관부에 기계적 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적 압력이나 제세동기 패들을 치거나 누르는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적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젤 보관부 내부의 전도성 젤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은 심정지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가 판단되어 상기 환자에게 사용될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를 선정하는 패들 선정 단계와, 제세동기의 신호 수신부에 전기 쇼크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와, 제세동기의 전기 쇼크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 쇼크가 연결부를 거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신체로 전달되는 쇼크 전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의 상기 패들 선정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에 따라 표면적이 좁은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이나 표면적이 넓은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이 사용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의 상기 신호 수신 단계와 쇼크 전달 단계 사이에, 전도성 젤이 보관되는 젤 보관부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전도성 젤이 환자의 신체에 분사되는 젤 분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의 상기 신호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기 쇼크 발생 신호는 소정의 버튼이 눌리거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센서의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의하면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에 적합한 표면적을 가지는 제세동기 패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에 의하면 전도성 젤이 도포되지 않아도 제세동기 패들과 환자의 신체 사이의 접촉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의하면 표면적이 넓은 제세동기 패들은 자동 제어나 수동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의 구성과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구성을 측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과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에 형성된 전도성 접착액이나 전도성 접착필름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젤 보관부와 전도성 젤이 외부로 이동되는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의 부착형 사용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수동형 사용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작동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적이 넓은 전극 판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을 사용하여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접촉성이 우수한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의 구성과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구성을 측면에서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과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에 형성된 전도성 접착액이나 전도성 접착필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젤 보관부와 전도성 젤이 외부로 이동되는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의 부착형 사용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일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수동형 사용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작동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은 신체에 닿는 면에 복수 개의 요철(111)이 형성된 전극 판(110)과,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에 전기 쇼크(shock)를 전달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도 1의 상단을 참조하면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의 전극 판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표면적이 A와 같았으나 도 2의 하단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세동기 패들의 전극 판은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표면적이 B와 같다.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은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닿는 면적이 좁아 신체 접촉성이 좋지 않았기에 전도성 젤을 도포한 후에 제세동기 패들을 상기 환자의 흉부에 강하게 눌러 접촉성을 높여야 했으나, 복수 개의 요철(111)이 형성된 전극 판(110)의 표면적(B)은 종래 제세동기 패들 전극 판의 표면적(A)에 비해 월등하게 넓은(A<<B) 전극 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세동기 패들의 전극 판 표면적이 넓으면 환자의 신체에 닿는 면적이 넓으며 종래의 제세동기 패들이 신체 접촉성을 전도성 젤을 사용하여 해결해왔던 것에 비하여 전도성 젤을 사용하기 않고도 좋은 신체 접촉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요철(111)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원뿔 형태나 각뿔 형태, 완만하게 돌출된 형태, 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모양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다만 착용하는 제세동기에 있어서는 평상시에 전극 판이 환자의 몸에 직접적으로 닿아 있으므로 착용 시 사용자(환자)에게 이물감을 덜 주기 위하여 요철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형태는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에 전기 쇼크를 전달하는 연결부(120)는 제세동기의 전기 쇼크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기 쇼크를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과 동일한 형태이며 고압의 전기 쇼크를 견딜 수 있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은 상기 연결부에서 전기 쇼크를 전달받는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은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에 결합이나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표면적이 좁은 제세동기 패드가 사용되어야 하며 성인의 경우에는 표면적이 넓은 제세동기 패드가 사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제세동기 패드가 제공되어야 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과 표면적이 넓은 전극 판(110)이 모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에 표면적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전극 판이 교체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심정지 환자의 연령이나 신체 크기 및 상태 등이 판단되어 상기 환자에게 알맞은 표면적을 갖는 제세동기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 상단을 참조하면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은 결합 홈(131)이 형성되어 있어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의 결합부(112)가 상기 결합 홈(131)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131)과 결합부(11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최소 2개 이상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 하단을 참조하면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은 측면을 따라 결합 홈(131')이 형성되어 있어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의 돌출된 결합부(112')가 일면에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110')이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130')에 결합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상기 전극 판(110)은 신체에 닿는 요철 면에 전도성 접착액이 도포되어 있거나 전도성 접착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액이나 전도성 접착필름(113)은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기 쉽도록 끈적한 전도성 용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긴박한 상황에서 전도성 젤 튜브를 짜서 환자의 신체에 도포하는 행위는 불편할 수 있으므로 미리 전도성 접착액이나 접착필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전도성 젤은 한번 사용 후에는 전도성이 떨어지므로 제거되어야 하는데 전도성 접착액은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한번 사용 후에 버리는 일회용 제세동기 패드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접착 필름은 벗겨내기 쉽도록 형성하여 한번 사용 후에 제거한 후 새로운 접착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접착액이나 접착필름(113)은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필름 막으로 공기와 닿지 않도록 밀봉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기 직전에 상기 필름 막이 제거되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상기 전극 판(110)의 요철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전도성 젤을 보관하는 젤 보관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 판(110)은 상기 젤 보관부의 젤이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젤 이동 홀(1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젤 보관부(140)에 기계적 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적 압력이나 제세동기 패들을 치거나 누르는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적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젤 보관부 내부의 전도성 젤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젤 보관부(140)는 필름 막이나 비닐 막과 같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손상되어 상기 전극 판에 형성된 젤 이동 홀(114)를 통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심정지 상황 발생 시에 환자는 주먹이나 손바닥으로 제세동기 패들이 있는 가슴 부근을 소정의 힘 이상으로 강하게 치거나 제 3자가 제세동기 패들을 환자의 가슴 부근에 위치시킨 후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젤 보관부(140)의 전도성 젤이 환자의 신체에 분사된다. 또는 소정의 버튼을 눌러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젤 보관부에 기계적인 압력이 가해지게 한다.
상기 전극 판에 형성된 젤 이동 홀(114)의 개수와 형태 등은 한정되지 않으며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 판 전체에 고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제세동기 패드는 부착형 제세동기 패드 또는 착용형 제세동기 패드이다.
도 6에 도시된 제세동기 패드는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며 손잡이가 형성된 제세동기 패드이다.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은 부착형 제세동기 패드, 착용형 제세동기 패드, 손잡이가 형성된 제세동기 패드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심정지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가 판단되어 상기 환자에게 사용될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를 선정하는 패들 선정 단계(S100)와, 제세동기의 신호 수신부에 전기 쇼크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S200)와, 제세동기의 전기 쇼크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 쇼크가 연결부를 거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신체로 전달되는 쇼크 전달 단계(S400)로 구성된다.
착용형 제세동기 패드는 심정지 위험이 있는 사용자가 미리 본인의 상태와 신체 크기 및 연령을 파악하여 제세동기 패드를 선정할 수 있고 부착형 제세동기 패드나 병원에서 사용되는 수동 제세동기의 패드는 제 3자나 환자 스스로 제세동기 패드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패들 선정 단계(S100)는, 상기 결정된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에 따라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이나 표면적이 넓은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이 사용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에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되는 전극 판은 다양한 표면적을 가지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환자에 맞추어 교체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수신 단계(S200)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기 쇼크 발생 신호는 소정의 버튼이 눌리거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센서의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발생되며 소정의 버튼은 착용형 제세동기에 포함되는 작동 버튼일 수도 있다. 착용형 제세동기는 환자의 심전도를 항상 감지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심전도 센서와 더불어 소정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 단계와 쇼크 전달 단계 사이에, 전도성 젤이 보관되는 젤 보관부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전도성 젤이 환자의 신체에 분사되는 젤 분사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세동기 패들의 전극 판은 표면적이 매우 넓으므로 전도성 젤이 불필요할 수도 있으나 전기 쇼크의 더욱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전도성 젤이 제세동기 패드의 후면에 미리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젤 보관부가 포함되는 제세동기 패드는 전도성 젤 튜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도성 젤이 관리되기 쉬운 병원에서 사용되는 제세동기보다는 심정지 위험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착용형 제세동기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자동 제세동기 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쇼크 전달 단계(S400)는 제세동기의 전기 쇼크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 쇼크가 상기 제세동기 패들에 연결된 연결부를 거쳐 심정지 환자의 심장에 전달되는 단계이다.
제세동기에 포함될 수 있는 심전도 센서나 제세동기를 작동하는 제 3자에 의해 환자의 상태가 판단되어 환자의 심정지 상태가 회복되지 않았으면 전기 쇼크 발생 신호를 재전송하여 전기 쇼크를 다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세동기 패들
110 :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요철 형성 전극 판)
111 : 요철
112 : 결합부
113 : 전도성 접착액 또는 전도성 접착필름
114 : 젤 이동 홀
120 : 연결부
130 :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
131 : 결합 홈
140 : 젤 보관부

Claims (8)

  1. 신체에 닿는 면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과;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에 전기 쇼크(shock)를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2. 제 1항에 있어서,
    제세동기 패들은 상기 연결부에서 전기 쇼크를 전달받는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은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에 결합이나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판은 신체에 닿는 요철 면에 전도성 접착액이 도포되어 있거나 전도성 접착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판의 요철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에 전도성 젤을 보관하는 젤 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 판은 상기 젤 보관부의 젤이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젤 이동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젤 보관부에 기계적 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적 압력이나 제세동기 패들을 치거나 누르는 행위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적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젤 보관부 내부의 전도성 젤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5. 심정지 환자의 연령과 신체 크기가 판단되어 상기 환자에게 사용될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를 선정하는 패들 선정 단계와;
    제세동기의 신호 수신부에 전기 쇼크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 단계와;
    제세동기의 전기 쇼크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 쇼크가 연결부를 거쳐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통해 상기 환자의 신체로 전달되는 쇼크 전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 선정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세동기 패들의 표면적 크기에 따라 표면적이 좁은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이나 표면적이 넓은 복수 개의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이 사용되도록 상기 요철이 형성된 전극 판을 상기 표면적이 좁은 전극 판에 탈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단계와 쇼크 전달 단계 사이에,
    전도성 젤이 보관되는 젤 보관부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전도성 젤이 환자의 신체에 분사되는 젤 분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기 쇼크 발생 신호는 소정의 버튼이 눌리거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심전도 센서의 감지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의 작동 방법.
KR1020140044563A 2014-04-15 2014-04-15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KR2015011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63A KR20150118703A (ko) 2014-04-15 2014-04-15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63A KR20150118703A (ko) 2014-04-15 2014-04-15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03A true KR20150118703A (ko) 2015-10-23

Family

ID=5442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63A KR20150118703A (ko) 2014-04-15 2014-04-15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02B1 (ko) * 2017-04-21 2018-08-20 반형기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02B1 (ko) * 2017-04-21 2018-08-20 반형기 일회용 제세동기 전극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1227B2 (en) Dual sensor electrodes for providing enhanced resuscitation feedback
US3901218A (en) Disposable electrode
US9162045B2 (en) Biomedical electrode
US4308870A (en) Vital signs monitor
US5848966A (en) Medical device easily removed from skin and a method of removal therefrom
EP3007767B1 (en) Multipart non-uniform patient contact interface and method of use
WO2008057302A3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system with multiple patient wireless monitoring capability
US20240050734A1 (en) Configurable electrodes and sensors
US6952605B1 (en) Pneumatic release mechanism for a patient contacting article
US20200085335A1 (en) Suction cup ekg electrode
KR20150118703A (ko) 복수 개의 요철을 갖는 제세동기 패들 및 그 작동 방법
KR101584088B1 (ko) 젤 공급이 가능한 제세동기용 전극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제세동기
KR20150118707A (ko) 제세동기를 위한 자동 젤 분사 패드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1687B1 (ko) 신생아용 맥박계
KR20150118706A (ko) 제세동기를 위한 자동 노출 패드 및 그 동작 방법
CN210785012U (zh) 一种心血管介入术后护理舒缓装置
KR20150118709A (ko) 제세동기를 위한 젤 분사 홀 패드 및 그 동작 방법
CN209204489U (zh) 一种颈枕部离子导入治疗仪
US20200129682A1 (en) Supporter for body
CN110680714A (zh) 一种医用心脏按压辅助装置
CN113057642A (zh) 生理讯号监测装置
WO2018102499A1 (en) Electrophysiological and stimulation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