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412A -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412A
KR20150118412A KR1020140044255A KR20140044255A KR20150118412A KR 20150118412 A KR20150118412 A KR 20150118412A KR 1020140044255 A KR1020140044255 A KR 1020140044255A KR 20140044255 A KR20140044255 A KR 20140044255A KR 20150118412 A KR20150118412 A KR 2015011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air
storage tank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6244B1 (ko
Inventor
이정훈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4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24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5780086.3A priority patent/EP3132077B1/en
Priority to CN201580016429.2A priority patent/CN106133228B/zh
Priority to CN201580019063.4A priority patent/CN106164358B/zh
Priority to EP15780273.7A priority patent/EP3132078B1/en
Priority to PCT/KR2015/002673 priority patent/WO2015160097A1/en
Priority to PCT/KR2015/002648 priority patent/WO2015160095A1/en
Priority to US14/685,152 priority patent/US9943204B2/en
Priority to US14/685,215 priority patent/US9976241B2/en
Publication of KR2015011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00Hand implements for washing purposes, e.g. sticks 
    • D06F5/005Receptacles for washing articles, e.g. hosiery, by shaking or squeez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00Washing devices adapted to be used independently of any particular receptacle, e.g. for removable mounting on wash-tubs, bath-tubs, or the like
    • D06F7/04Washing devices adapted to be used independently of any particular receptacle, e.g. for removable mounting on wash-tubs, bath-tubs, or the like of the vibrator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02Spot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길이의 바 형태를 갖으며,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배치되는 세탁물에 접하여 세탁물의 국부 영역을 세탁하는 포터블 바디와, 상기 포터블 바디의 중간부에 상기 포터블바디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면 또는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의 국부 세탁을 수행할 때 상기 포터블 바디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국부영역에서 발생되는 오염수를 회수 및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류처리장치{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의 일부 영역에 오염이 발생될 경우 의류의 일부영역만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 펄세이터(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력 및 충격력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한 뒤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이었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일부 영역에만 오물이 잔류하는 경우에도 세탁수가 저장된 터브에 세탁물을 투입해야만 했기 때문에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는 적절하지 않았다.
즉, 세탁물이 국부적으로 오염된 경우, 오염부위에만 세탁수나 세제를 공급하여 세탁물로부터 오염을 제거할 수 있음에도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필요 이상의 세탁수, 세제 및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국부적인 오염이 발생한 세탁물에 대하여 세탁물의 오염분위만을 세탁할 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와 세탁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탁물에 분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 잔류하는 액체는 회수 가능한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는 소정길이의 바 형태를 갖으며,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배치되는 세탁물에 접하여 세탁물의 국부 영역을 세탁하는 포터블 바디와, 상기 포터블 바디의 중간부에 상기 포터블바디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면 또는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의 국부 세탁을 수행할 때 상기 포터블 바디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국부영역에서 발생되는 오염수를 회수 및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포터블 바디의 중간부에서 상기 포터블 바디의 상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포터블 바디의 사용 상태에 따라 수평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며,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탱크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탁수저수부와, 회수되는 오염수가 저장되는 오염수저수부 및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포터블 바디에 체결되며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탱크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가 저장되는 오염수저수부를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포터블바디에 체결되며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세탁수저수부로 공급되기 위한 에어유입보스와, 상기 세탁수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토출보스와, 상기 오염수가 상기 오염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오염수유입보스와, 상기 오염수와 같이 상기 오염수저장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에어회수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에어유입보스, 상기 세탁수토출구, 상기 오염수유입보스, 상기 에어회수보스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씰링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수저수부는 상기 에어유입보스에서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 1에어유입유로와, 상기 제 1에어유입유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제 2에어유입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수저수부는 상기 세탁수토출보스에서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 1세탁수토출유로와, 상기 제 1세탁수토출유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제 2세탁수토출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저수부는 상기 오염수유입보스에서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에서 개방되는 오염수유임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저수부는 상기 에어회수보스에서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에서 개방되는 에어회수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는 세탁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하면에는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급수홀과 배수홀은 개폐하는 급배수캡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터블 바디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에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저수탱크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장착부에는 상기 저수탱크를 고정하는 회동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은 상기 회동클램프의 회동에 따라 가압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 및 상기 회동클램프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터블 바디는,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유체이송부와,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물에 분사하고,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는 세탁부와, 상기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기 세탁물에 진동력을 부가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이송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저수탱크로 안내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세탁수를 상기 세탁부로 안내하며, 상기 세탁부에서 회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저수탱크로 안내하고,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오염수와 같이 회수되는 공기를 상기 유체이송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연결블록과,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탱크체결블록과, 상기 펌프연결블록과 상기 탱크체결블록 사이에서 상기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되는 에어유로블록과, 상기 탱크체결블록과, 상기 세탁부 사이에서 상기 세탁수 및 상기 오염수의 경로를 형성화는 워터유로블록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이송부는 압력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 및 공기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가 구비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연결블록은 상기 에어펌프가 체결되며 상기 토출구가 연결되는 토출유로 및 상기 회수구가 연결되는 흡입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유로블록은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상기 탱크체결블록으로 연장하는 토출연장유로 및 상기 탱크체결블록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저수탱크의 공기의 이동경로를 상기 흡입유로로 연장하는 흡입연장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체결블록은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씰링홈과, 상기 토출연장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홀과, 상기 공기에 의해 압출되는 상기 저수탱크의 세탁수가 이동되는 세탁수공급홀과, 상기 세탁부에서 발생한 상기 오염수가 회수되는 오염수회수홀과, 상기 흡입연장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공기가 회수되는 에어회수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 유로 블록은 상기 세탁수공급홀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부로 안내하는 세탁수공급유로와, 상기 오염수회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부의 상기 오염수를 상기 오염수회수홀로 안내하는 오염수회수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부는 상기 세탁수공급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물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탁수분사노즐과, 상기 오염수회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기 위한 오염수회수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물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제거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국부적인 오염이 발생한 세탁물을 적은 세탁수, 세제 및 전력을 사용하여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세탁수를 세탁물에 분사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탁수 및 세제를 회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유체이송부 및 순환유로부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순환유로부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수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수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유로구조 및 신호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1사용 상태에 따른 세탁수 및 오염수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2사용 상태에 따른 세탁수 및 오염수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물의 일부 영역에만 오물이 존재하는 세탁물의 국부적 오염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는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고, 세탁물에 잔류하는 오염수(세탁수, 세제, 오염물질 등, 이하 '오염수'라 함)를 회수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국부 오염됨 세탁물의 오염부위를 세탁할 수 있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본체를 형성하는 포터블 바디(100)와 포터블 바디(10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시 필요한 세탁수를 저장하고, 의류를 세척하고 회수되는 세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세탁수(이하 '오염수'라 함)를 저장하는 저수탱크(200)를 구비한다.
상기 포터블 바디(100)는 저수탱크(200)에 저장된 세탁수를 세탁물의 오염영역에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물에 잔류하는 오염수를 저수탱크(200)로 회수하기 위하여 소정압력의 공기(30)를 순환시키는 유체이송부(110)와, 유체이송부(110)에서 공급되는 공기(30)의 유로를 형성하고, 세탁수(40) 및 오염수(50)의 유로를 형성하고 세탁물로 분사하는 순환유로부(120)와, 순환유로부(120)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을 완료한 오염수를 회수하는 세탁부(136)와, 순환유로부(120)에 의해 안내되는 세탁수(40)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진동부(150)와, 유체이송부(110) 및 진동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60)와, 전원부(16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조작부(170)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와, 조작부(170)의 제어에 따라 유체이송부(110), 진동부(150) 및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90)(도 13참고)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터블 바디(100)는 별도의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미도시)으로 구비되며, 상술한 유체이송부(110), 순환유로부(120), 세탁부(136), 진동부(150), 전원부(160), 조작부(170), 표시부, 제어부(190)가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터블 바디(100)의 경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간편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60)는 포터블 바디(100) 내부에 구비되는 각 전장부(예를 들어 진동부(150), 조작부(170), 표시부, 제어부(19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포터블 바디(10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하기 위한 충전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60)는 일반적인 일회용 건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전원부(160)는 포터블 바디(100)의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장부에 공급하는 외부전원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부를 구비할 경우 외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컨버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부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70)는 포터블 바디(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전원부(16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71)와, 후술할 진동부(150)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강도조절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포터블 바디(100)의 외측면(바람직하게는 조작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작부(17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표시되는 작동표시등(미도시) 및 전원부족, 물 부족 등의 오작동시 표시되는 경고표시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포터블 바디 내측에 구비되는 조작부(170)의 조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각 전장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저수탱크(200)는 유체이송부(110)에서 공급되는 소정압력의 공기(30)에 의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탁수저수부(210)(도 10 참고)와, 진동부(150)에 의해 세탁을 완료한 오염수가 회수되어 저장되는 오염수저수부(220)(도 10 참고)를 구비한다.
한편, 포터블 바디(100)의 중간부에는 저수탱크(200)가 장착되기 위한 저수탱크장착부(101)가 형성된다. 저수탱크장착부(101)는 후술할 순환유로부(120)의 탱크체결블록(127)(도 4참조)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저수탱크장착부(101)의 양측에는 회동됨에 따라 저수탱크(200)를 가압 체결하는 회동클랜프(102)가 구비된다. 회동클램프(102)의 경우 저수탱크(200)에 대한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여기서, 저수탱크장착부(101)는 포터블 바디(100)의 중간부에서 형성되며 저수탱크장착부(101)를 통하여 포터블 바디(100)의 순환유로부(120)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경우 수평면의 세탁물(20) 및 수직면의 세탁물(20)을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포터블 바디(100)가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또는 수직면에 대하여 약 45°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사용 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탁물(4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포터블 바디(100)에 장착되는 저수탱크(200)의 경우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와 상관없이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수탱크(200)가 포터블 바디(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포터블바디의 사용 상태와 상관없이 포터블 바디(100)에 장착되는 저수탱크(200)의 경우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와 상관없이 수평면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약 45°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저수탱크(200)에 저장된 세탁수가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와 상관없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바디(100)에 설치되는 저수탱크(200)의 설치 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터블 바디(100)에 설치되는 저수탱크(200)의 경우 포터블 바디(100)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15°또는 시계방향 15°정도의 여유각도를 더 갖을 수 있다.
즉, 포터블 바디(100)에 설치되는 저수탱크(200)는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수평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며,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저수탱크(200)의 하부가 저수탱크(200)의 상부보다 항상 하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저수탱크(200)의 설치 각도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바디(100)의 경우 사용자가 취부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게 됨에 따라 포터블 바디(100)의 일단은 손잡이로 사용되며 타단이 세탁물(20)을 세탁하는 세탁부(136)로 사용된다. 이에 상술한 저수탱크장착부(101)의 경우 포터블 바디(100)의 세탁부(136)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터블 바디(100)의 경우 사용자의 취부 및 사용의 편리함을 더하기 위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수탱크장착부(101)는 포터블 바디(100)의 만곡면 중 볼록한 측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체이송부(110) 및 순환유로부(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유체이송부 및 순환유로부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순환유로부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유체이송부(1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1)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펌프(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에어펌프(112)는 순환유로부(120)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토출구(113)와, 순환유로부(120)를 통하여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구(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체이송부(110)를 형성하는 모터(111) 및 에어펌프(112)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형성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순환유로부(120)는 상술한 유체이송부(110)의 에어펌프(112)가 체결되는 펌프연결블록(121)과, 저수탱크(200)가 체결되는 탱크체결블록(127)과, 펌프연결블록(121)과 탱크체결블록(127) 사이를 연결하며 탱크체결블록(127)에 체결되는 저수탱크와 펌프연결블록(121)에 체결되는 에어펌프(112) 사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로블록(124)과, 탱크체결블록(127)에서 세탁부(136)로 연장되어 세탁부(136)로 세탁수를 공급하고 세탁물에서 세탁을 완료한 오염수를 회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워터유로블록(133)을 구비한다.
여기서, 펌프연결블록(121)은 에어펌프(112)가 체결되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에어펌프(112)의 토출구가 연결되는 토출유로(122)와,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가 연결되는 흡입유로(123)가 형성된다. 펌프연결블록(121)과, 에어펌프(112)는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탱크체결블록(127)은 일면에 저수탱크(200)가 체결되기 위한 씰링홈(128)이 형성되며, 씰링홈(128)의 내측으로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공급홀(129), 세탁수공급홀(130), 오염수회수홀(131), 에어회수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공급홀(129) 및 에어회수홀(132)은 에어유로블록(124)에 의해 펌프연결블록(121)의 토출유로(122) 및 흡입유로(123)에 연결되며, 세탁수공급홀(130) 및 오염수회수홀(131)은 워터유로블록(133)에 의해 세탁부(136)에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유로블록(124)은 펌프연결블록(121)과 탱크체결블록(127)을 연결하며, 펌프연결블록(121)의 토출유로(122)와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공급홀(129)을 연결하는 토출연장유로(125)와,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회수홀(132)과 펌프연결블록(121)의 흡입유로(123)를 연결하는 흡입연장유로(126)를 구비한다.
그리고 워터유로블록(133)은 탱크체결블록(127)과 세탁부 사이를 연결하며,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에 저장된 세탁수(40)가 세탁부(136)로 이동되기 위한 세탁수공급유로(134)와, 세탁부(136)에서 세탁물(20)을 세탁한 오염수(50)가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로 회수되기 위한 오염수회수유로(135)가 형성된다.
한편, 세탁부(136)는 워터유로블록(133)의 하부에 위치하며 워터유로블록(133)의 세탁수공급유로(134)에서 공급되는 세탁수(40)를 세탁물(20)로 분사하기 위한 세탁수분사노즐(138)을 구비하며, 세탁물(20)을 세탁한 오염수(50)를 흡입회수하기 위한 오염수회수구(140)(도 5참고)를 구비한다. 이러한 세탁부(136)는 진동부(150)의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워터유로블록(133)의 세탁수공급유로(134)와 세탁수분사노즐(138)은 직결될 수 있으나 별도의 유동 가능한 벨로우즈 형태의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세탁부(136)의 오염수회수구(140)의 경우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에 직결될 수 있으나 별도의 유동 가능한 벨로우즈 형태의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체이송부(110) 및 순환유로부(120)에 의한 유체의 이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유체이송부(110)의 에어펌프(112)가 모터(111)의 작동에 의해 소정 압력의 공기를 발생시키며 에어펌프(112)의 토출구(113)에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하 "+압력"이라 함)이 형성되며 모터(111)의 회수구(114)에는 대기압보자 낮은 압력(이하 "-압력"이라 함)이 형성된다.
이에 모터(111)의 토출구(113)에서 토출되는 소정 압력의 공기는 펌프연결블록(121)의 토출유로(122) 및 에어유로블록(124)의 토출연장유로(125)를 통해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공급홀(129)로 이동되며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된다.
여기서,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된 압력 공기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세탁수(4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되며 세탁수(40)는 워터유로블록(133)의 세탁수공급유로(134)를 따라 세탁부(136)의 세탁수분사노즐(138)에 의해 세탁물(20)에 분사된다.
한편, 세탁물(20)에 분사된 세탁수(40)는 진동부(150)에 의해 세탁을 수행하면서 오염수(50)로 바뀌며 오염수(50)는 에어펌프(112)의 -압력에 의해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로 회수된다.
즉,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에 연결되는 펌프연결블록(121)의 흡입유로(123), 에어유로블록(124)의 흡입연장유로(126),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는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에 연결되어 있어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40)가 세탁부(136)의 세탁수분사노즐(138)로 분사되면 세탁부(136)의 오염수회수구(140)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오염수회수구(140)로 흡입된다.
이후,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를 통하여 탱크체결블록(127)에 체결된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때 오염수저수부(220)에는 오염수(50)와 공기가 같이 유입되며 오염수저수부(220)에서 오염수(50)와 공기가 분리되며, 분리된 공기(30)는 에어유로블록(124)의 흡입연장유로(126) 및 펌프연결블록(121)의 흡입유로를 통하여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로 유입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세탁부(136) 및 진동부(1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진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부(150)의 경우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구조에 따라 2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부는 세탁부와 연관되어 구비됨으로 먼서 세탁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부 및 진동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세탁부(136)는 워터유로블록(133)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는다. 몸체의 일측에는 워터유로블록(133)의 세탁수공급유로(134)에 연결되는 세탁수분사노즐(138)이 구비되며, 몸체의 타측에는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에 연결되는 오염수회수구(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세탁부(136)는 포터블 바디(100)의 하부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20)의 세탁시 포터블 바디(100)의 밀착에 의해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세탁수분사노즐(138)의 경우 세탁물(20)의 표면에 넓게 분사하기 위하여 세탁물(2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후술할 진동부(150)의 진동자(153) 측으로 세탁수(40)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오염수회수구(140)는 세탁물에서 진동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오염수(50)를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가능하면 세탁물의 표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진동부(150)는 세탁부(136)의 세탁수분사노즐(138)의 일측에 위치하며 세탁수(40)와 더불어 세탁물(20)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여 세탁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동부(150)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51)와, 모터(15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편심회전축(152)과, 상기 편심회전축(152)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자(153)와, 진동자(153)와 세탁부(136)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유동가스켓(156)을 구비한다.
여기서, 진동자(153)는 상측 단부에 모터(151)의 편심회전축(152)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편심회전축홈(154)이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세탁물(20)에 직접 접하여 모터(151)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20)에 직접 타격을 가하는 타격블록(155)이 형성된다. 이러한 진동자(153)의 타격블록(155)에 의해 세탁물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여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150`)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150`)는 상술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진동부(150)와 연관성이 있는 세탁부(136)의 경우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부(150`)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151`)와, 솔레노이드(151`)의 작동에 따라 세탁물(20)에 접하여 타격을 수행하는 진동자(153`)와 진동자(153`)와 세탁부(136)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는 유동가스켓(156`)을 구비한다.
여기서, 진동자(153`)는 하측 단부에 세탁물(20)에 직접 접하여 솔레노이드(151`)의 작동에 따라 세탁물(20)에 직접 타격을 가하는 타격블록(155`)이 형성된다. 이러한 진동자(153`)의 타격블록(155`)에 의해 세탁물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여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저수탱크(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수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에서 저수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1은 구체적으로 저수탱크의 세탁수저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저수탱크의 오염수저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저수탱크장착부(101)에 구비되는 회동클랜프(102)에 의해 가압되는 만곡부(240)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저수탱크장착부(101)에 노출되는 탱크체결블록(127)에 장착되는 체결부(250)가 형성된다.
여기서, 만곡부(240)의 일측에는 회동클램프(102)에 의해 가압될 때 회동클램프(102)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250)는 탱크체결블록(127)에 형성된 씰링홈(128)에 삽입되는 씰링돌기(251)가 형성된다. 씰링돌기(251)의 내측으로는 탱크체결블록(127)에 구비되는 에어공급홀(129), 세탁수공급홀(130), 오염수회수홀(131), 에어회수홀(132)에 각각 삽입되는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토출보스(253), 오염수유입보스(254), 에어회수보스(255)가 형성된다.
한편, 저수탱크(200)의 내부에는 저수탱크(200)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201)이 구비되며, 격벽(201)의 일측은 세탁수저수부(210), 격벽(201)의 타측은 오염수저수부(220)가 된다.
여기서, 세탁수저수부(210)와 오염수저수부(220)의 하부에는 세탁수저수부(210)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홀(211)이 형성되며, 오염수저수부(220)의 하부에는 오염수저수부(220)에 저장된 오염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221)이 형성된다.
또한, 저수탱크(200)의 하부(구체적으로는 급수홀(211)과 배수홀(221)의 일측)에는 세탁수저수부(210)의 급수홀(211) 및 오염수저수부(220)의 배수홀(221)을 차폐하기 위한 급배수캡(23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술한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토출보스(253), 오염수유입보스(254), 에어회수보스(255)의 경우 세탁수저수부(210)와 오염수저수부(220)에 각각 분할되어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토출보스(253)는 세탁수저수부(210)에 형성되고, 오염수유입보스(254), 에어회수보스(255)는 오염수저수부(220)에 형성된다.
한편, 세탁수저수부(210)의 내측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유입보스(252)와 연통되는 제 1에어유입유로(212a) 및 제 1에어유입유로(212a)의 상부와 연통되고, 세탁수저수부(210)의 하측 내부로 연통되는 제 2에어유입유로(2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에어유입유로(212a)의 일측에는 세탁수토출보스(253)와 연통되는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a) 및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a)의 상부와 연통되며 세탁수저수부(210)의 하측 내부로 연통되는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에어유입유로(212a, 212b)와 제 1, 2세탁수토출유로(213a, 213b)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중앙부에서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1, 2에어유입유로(212a, 212b) 및 제 1, 2세탁수토출유로(213a, 213b)는 2중 구조의 유로로 공기(30) 및 세탁수(40)의 유입 및 배출이 세탁수저수부(210)의 하부에서 이루어진다.
즉, 에어펌프의 작동에 따라 공기(30)가 에어유입보스(252)를 통하여 제 1에어유입유로(212a)로 유입되어 제 1에어유입유로(212a)의 상부에 연결된 제 2에어유입유로(212b)로 안내되며, 제 2에어유입유로(212b)의 하부에서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되어 세탁수저수부(21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세탁수저수부(210)에 충전된 세탁수(40)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증가로 인하여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로 유입되고,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의 상부에 연결된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a)로 안내되며 세탁수토출보스(253)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오염수저수부(220) 내측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유입보스(254)와 연통되는 오염수유입유로(222)가 형성되고, 오염수유입유로(222)의 일측에는 에어회수보스(255)와 연통되는 에어회수유로(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오염수유입유로(222) 및 에어회수유로(223)는 오염수저수부(220)의 하면에서 연장되며 오염수유입유로(222) 및 에어회수유로(223)의 상부가 오염수저수부(220)와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오염수유입유로(222) 및 에어회수유로(223)의 경우 오염수저수부(220)의 중앙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에어회수보스(255) 및 에어회수유로(223)를 통하여 오염수저수부(220)의 공기가 배기되면서 오염수저수부(22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진다. 이에 오염수저수부(220)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오염수유입보스(254)로 오염수(50)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수(50)는 오염수유입유로(222)를 따라 유입되어 오염수유입유로(222)의 상부에서 오염수저수부(220)로 저장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저수탱크(200)의 경우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수탱크(200)의 몸체를 격벽에 의해 세탁수저수부(210)와, 오염수저수부(220)로 구획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르게는 저수탱크(200)를 형성하는 세탁수저수부(210) 및 오염수저수부(220)가 각각 별개의 탱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개별적으로 포터블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 및 오염수저수부(220)의 경우 포터블 바디(100)의 저수탱크장착부(101)에 장착되는 하부에서 공기의 공급, 세탁수의 공급, 오염수의 유입, 공기의 회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상태가 수평면의 세탁물(20) 또는 수직면의 세탁물(20)을 세탁할 경우에도 공기의 공급, 세탁수의 공급, 오염수의 유입, 공기의 회수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전원, 제어신호 및 유체유로의 연결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유로구조 및 신호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60)의 전원은 조작부(170)에 연결되며, 조작부(170)는 제어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제어부(190)에는 유체이송부(110), 진동부(150), 표시부가 연결되며, 제어부(19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유체이송부(110), 진동부(150), 표시부는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한편, 제어부(190)는 조작부(170)의 작동에 따라 조작신호가 제어부(190)로 입력되며 제어부(190)는 제어부(190)에 연결되는 유체이송부(110), 진동부(150), 표시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유체이송부(110)의 모터(111)로 전원을 인가하여 에어펌프(112)에 의해 압력공기를 생성한다. 이에 에어펌프의 토출구에는 +압력이 형성되어 공기를 압송한다.
이에 에어펌프(112)에서 생성된 압력 공기는 에어펌프(112)의 토출구(113), 펌프연결블록(121)의 토출유로(122), 에어유로블록(124)의 토출연장유로(125),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공급홀(129)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된다.
여기서,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되는 압력 공기(30)는 저수탱크(200)의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저수부(210)의 제 1에어유입유로(212a) 및 제 2에어유입유로(212b)를 통하여 세탁수저수부(210)로 이동되어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에 세탁수저수부(210)에 충전된 세탁수(40)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증가로 인하여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로 유입되고,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의 상부에 연결된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b)로 안내되며 세탁수토출보스(253)를 통해 배출된다.
이후, 세탁수토출보스(253)로 배출되는 세탁수(40)는 워터유로블록(133)의 세탁수공급유로(134)에 의해 세탁부(136)에 마련되는 세탁수분사노즐(138)에 의해 세탁물에 분산된다.
한편, 세탁수분사노즐(138)에 의해 세탁수(40)가 분사됨과 동시에 제어부(190)는 진동부(150)를 제어하여 세탁수(40)가 분사되는 세탁물(20)의 국부영역에 타격을 가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에 의해 진동부(150)의 모터(15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모터(151)가 작동되고, 모터(151)의 작동에 의해 모터(151)의 편심회전축(152)에 연결된 진동자(153)가 진동을 하게 되며, 진동자(153)의 단부에 형성된 타격블록(155)이 세탁수가 분사되는 세탁물(20)의 표면을 타격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상술한 과정과 동시에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에는 -압력이 발생되고, 에어펌프의 회수구에 연결되는 펌프연결블록(121)의 흡입유로(123), 에어유로블록(124)의 흡입연장유로(126),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는 에어펌프(112)의 회수구(114)도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세탁부(136)의 세탁수분사노즐(138)에서 분사되어 진동부(150)에 세탁이 완료된 오염수(50)는 회수구(114)의 -압력에 의해 회수구(114)로 흡입되며, 회수구(114)에 연결된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를 따라 탱크체결블록(127)의 오염수회수홀(131)을 통하여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오염수(50)와 같이 회수구(114) 주변의 공기(30)가 같이 유입되며 오염수(50)와 같이 유입되는 공기(30)도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한편,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되는 오염수(50) 및 공기(30)는 오염수저수부(220)의 오염수유입유로(222)를 따라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되며, 오염수저수부(220)의 상부에서 오염수저수부(220)로 토출된다. 이에 오염수(50)와 같이 유입된 공기(30)는 오염수와 분리되어 오염수저수부(220) 상부에 체류하며, 오염수(50)는 자중에 의해 오염수저수부(220)의 하부에 저장된다.
여기서, 오염수저수부(220)에 체류하는 공기는 오염수회수유로(135)로 유입되며, 탱크체결블록(127)의 에어회수홀(132)을 통하여 에어유로블록(124)의 흡입연장유로(126)로 이동된다. 이후, 펌프연결블록의 흡입유로를 통하여 에어펌프의 회수구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는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저수탱크(200)를 기준으로 공기가 공급 및 회수되는 구조를 같으며, 세탁수(40)는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저수탱크(200)를 기준으로 세탁수가 공급 및 회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작동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의 작동설명으로는 대표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작동상태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1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1사용 상태에 따른 세탁수 및 오염수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로 세탁물(20)이 수평면 상태로 위치하고, 포터블 바디(100)의 세탁부(136)가 수평면상의 세탁물에 접하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개시한다. 상술한 사용 상태에서 포터블 바디(100)에 장착된 저수탱크(200)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약 45°정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저수탱크(200)에 저장되는 세탁수(40)의 경우 도 15(a)와 같이 형성되며,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되는 공기(30)는 저수탱크(200)의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저수부(210)의 제 1에어유입유로(212a) 및 제 2에어유입유로(212b)를 통하여 세탁수저수부(210)로 이동되어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에 세탁수저수부(210)에 충전된 세탁수(40)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증가로 인하여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로 유입되고,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의 상부에 연결된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a)로 안내되며 세탁수토출보스(253)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세탁물(20)을 세탁한 오염수(50)는 회수구(114)의 -압력에 의해 회수구(114)로 흡입되며, 회수구(114)에 연결된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를 따라 탱크체결블록(127)의 오염수회수홀(131)을 통하여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오염수(50)와 같이 회수구(114) 주변의 공기(30)가 같이 유입되며 오염수(50)와 같이 유입되는 공기(30)도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때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에 저장되는 오염수(50)는 도 15(b)와 같이 저장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2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의 제 2사용 상태에 따른 세탁수 및 오염수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로 세탁물(20)이 수직면 상태로 위치하고, 포터블 바디(100)의 세탁부(136)가 수직면상의 세탁물에 접하는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개시한다. 상술한 사용 상태에서 포터블 바디(100)에 장착된 저수탱크(200)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약 45°정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저수탱크(200)에 저장되는 세탁수(40)의 경우 도 17(a)과 같이 형성되며, 에어펌프(112)의 작동에 따라 저수탱크(200)의 세탁수저수부(210)로 공급되는 공기(30)는 저수탱크(200)의 에어유입보스(252), 세탁수저수부(210)의 제 1에어유입유로(212a) 및 제 2에어유입유로(212b)를 통하여 세탁수저수부(210)로 이동되어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에 세탁수저수부(210)에 충전된 세탁수(40)는 세탁수저수부(210)의 압력증가로 인하여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로 유입되고, 제 2세탁수토출유로(213b)의 상부에 연결된 제 1세탁수토출유로(213a)로 안내되며 세탁수토출보스(253)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세탁물(20)을 세탁한 오염수(50)는 회수구(114)의 -압력에 의해 회수구(114)로 흡입되며, 회수구(114)에 연결된 워터유로블록(133)의 오염수회수유로(135)를 따라 탱크체결블록(127)의 오염수회수홀(131)을 통하여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오염수(50)와 같이 회수구(114) 주변의 공기(30)가 같이 유입되며 오염수(50)와 같이 유입되는 공기(30)도 오염수저수부(220)로 유입된다. 이때 저수탱크(200)의 오염수저수부(220)에 저장되는 오염수(50)는 도 17(b)과 같이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류처리장치(10)의 경우 세탁물(20)의 세탁 위치가 수평 또는 수직면상에 위치하더라도 세탁수(40)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및 오염수(50)를 회수하기 유로가 세탁수(40) 및 오염수(50)의 저수면 아래로 형성되어 포터블 바디(100)의 사용 상태와 상관없이 세탁수(40)의 공급 및 오염수(50)의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0 : 세탁물
30 : 공기 40 : 세탁수
50 : 오염수 100 : 포터블바디
110 : 유체이송부 120 : 순환유로부
136 : 세탁부 150, 150` : 진동부
200 : 저수탱크 210 : 세탁수저수부
220 : 오염수저수부

Claims (23)

  1. 소정길이의 바 형태를 갖으며,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배치되는 세탁물에 접하여 세탁물의 국부 영역을 세탁하는 포터블 바디와,
    상기 포터블 바디의 중간부에 상기 포터블바디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면 또는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의 국부 세탁을 수행할 때 상기 포터블 바디의 사용 상태에 따라 세탁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세탁물의 국부영역에서 발생되는 오염수를 회수 및 저장하는 저수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포터블 바디의 중간부에서 상기 포터블 바디의 상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포터블 바디의 사용 상태에 따라 수평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며, 수직면 상에 배치된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 수직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약 30°~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탁수저수부와,
    회수되는 오염수가 저장되는 오염수저수부 및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포터블 바디에 체결되며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세탁수가 저장되는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가 저장되는 오염수저수부를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포터블바디에 체결되며 상기 세탁수저수부 및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연통공간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세탁수저수부로 공급되기 위한 에어유입보스와,
    상기 세탁수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토출보스와,
    상기 오염수가 상기 오염수저장부로 유입되기 위한 오염수유입보스와,
    상기 오염수와 같이 상기 오염수저장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에어회수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에어유입보스, 상기 세탁수토출구, 상기 오염수유입보스, 상기 에어회수보스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씰링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저수부는
    상기 에어유입보스에서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 1에어유입유로와, 상기 제 1에어유입유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제 2에어유입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저수부는
    상기 세탁수토출보스에서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 1세탁수토출유로와, 상기 제 1세탁수토출유로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서 개방되는 제 2세탁수토출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저수부는
    상기 오염수유입보스에서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에서 개방되는 오염수유임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저수부는
    상기 에어회수보스에서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오염수저수부 상부에서 개방되는 에어회수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2.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저수부의 하부에는 세탁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염수저수부의 하면에는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급수홀과 배수홀은 개폐하는 급배수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바디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에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저수탱크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장착부에는 상기 저수탱크를 고정하는 회동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은 상기 회동클램프의 회동에 따라 가압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 및 상기 회동클램프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바디는,
    소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유체이송부와,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물에 분사하고,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는 세탁부와,
    상기 세탁수가 분사되는 상기 세탁물에 진동력을 부가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저수탱크로 안내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세탁수를 상기 세탁부로 안내하며, 상기 세탁부에서 회수되는 세탁수를 상기 저수탱크로 안내하고, 상기 저수탱크에 상기 오염수와 같이 회수되는 공기를 상기 유체이송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부는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장착되는 펌프연결블록과,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탱크체결블록과,
    상기 펌프연결블록과 상기 탱크체결블록 사이에서 상기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되는 에어유로블록과,
    상기 탱크체결블록과, 상기 세탁부 사이에서 상기 세탁수 및 상기 오염수의 경로를 형성화는 워터유로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부는 압력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토출구 및 공기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가 구비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연결블록은 상기 에어펌프가 체결되며 상기 토출구가 연결되는 토출유로 및 상기 회수구가 연결되는 흡입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로블록은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상기 탱크체결블록으로 연장하는 토출연장유로 및 상기 탱크체결블록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저수탱크의 공기의 이동경로를 상기 흡입유로로 연장하는 흡입연장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체결블록은
    상기 저수탱크가 장착되는 씰링홈과,
    상기 토출연장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홀과,
    상기 공기에 의해 압출되는 상기 저수탱크의 세탁수가 이동되는 세탁수공급홀과,
    상기 세탁부에서 발생한 상기 오염수가 회수되는 오염수회수홀과,
    상기 흡입연장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저수탱크의 공기가 회수되는 에어회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유로 블록은
    상기 세탁수공급홀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부로 안내하는 세탁수공급유로와,
    상기 오염수회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부의 상기 오염수를 상기 오염수회수홀로 안내하는 오염수회수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는
    상기 세탁수공급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탁물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탁수분사노즐과,
    상기 오염수회수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상기 오염수를 회수하기 위한 오염수회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2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물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44255A 2014-04-14 2014-04-14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10221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55A KR102216244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N201580016429.2A CN106133228B (zh) 2014-04-14 2015-03-19 手持式衣物处理设备
CN201580019063.4A CN106164358B (zh) 2014-04-14 2015-03-19 手持式衣物处理设备
EP15780273.7A EP3132078B1 (en) 2014-04-14 2015-03-19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5780086.3A EP3132077B1 (en) 2014-04-14 2015-03-19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5/002673 WO2015160097A1 (en) 2014-04-14 2015-03-19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5/002648 WO2015160095A1 (en) 2014-04-14 2015-03-19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4/685,152 US9943204B2 (en) 2014-04-14 2015-04-13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4/685,215 US9976241B2 (en) 2014-04-14 2015-04-13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55A KR102216244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412A true KR20150118412A (ko) 2015-10-22
KR102216244B1 KR102216244B1 (ko) 2021-02-17

Family

ID=5426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255A KR102216244B1 (ko) 2014-04-14 2014-04-14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6241B2 (ko)
EP (1) EP3132078B1 (ko)
KR (1) KR102216244B1 (ko)
CN (1) CN106164358B (ko)
WO (1) WO2015160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8329A (ja) * 2015-07-10 2017-01-2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しみ除去装置
CN105648694B (zh) * 2016-02-17 2017-11-10 深圳创新设计研究院有限公司 可替换清洗系统的便携式洗衣机
CN105525478B (zh) * 2016-02-17 2017-09-29 深圳创新设计研究院有限公司 便携式洗衣机
KR102598650B1 (ko) * 2017-01-06 202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리닝 장치
CN109468793A (zh) * 2017-09-07 2019-03-1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US11987771B2 (en) 2017-10-13 2024-05-21 Conopco, Inc. Fabric spray composition comprising a non-functionalized silicone nanoemulsion and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US11725163B2 (en) 2017-10-13 2023-08-15 Conopco, Inc. Aqueous spray composition
CN111201308A (zh) 2017-10-13 2020-05-26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水性喷雾组合物
CN111212897A (zh) * 2017-11-29 2020-05-29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衣物复新中的改善和与衣物复新相关的改善
CN108796951B (zh) * 2018-07-10 2020-11-27 浙江程诚文化用品有限公司 免脱污渍清洁装置
CN113123067A (zh) * 2020-01-10 2021-07-1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手持洗衣机洗涤方法及手持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028A (en) * 1961-09-01 1963-07-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3964925A (en) * 1974-04-29 1976-06-22 The Scott & Fetzer Company Apparatus for treating floor coverings
US4069541A (en) * 1976-04-23 1978-01-24 U.S. Floor Systems, Inc.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99573A1 (en) * 2012-02-07 2013-08-08 Ken Joyner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in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8000A (en) * 1946-01-29 1952-03-04 Hines Albert Roy Suction cleaner with brush for cleaning walls
US4595420A (en) * 1984-10-29 1986-06-17 Williams Iii Robert 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maintaining carpet
CN2091644U (zh) * 1991-03-16 1992-01-01 赵兴浩 衣物污渍清洗器
CN2142694Y (zh) * 1992-08-10 1993-09-29 李长凯 多功能吸洗刷地毯清洁器
US5367740A (en) * 1993-07-21 1994-11-29 Mccray; Kimothy R.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5507068A (en) * 1994-06-22 1996-04-16 Aquabroom Products Corporation Handheld fluid extraction cleaner and drier
US5599401A (en) * 1994-08-04 1997-02-04 Jancar Industries, Inc. Portable, hand-held, self-contained multi-surface, hydro-cleaning apparatus
CN2280112Y (zh) * 1996-12-12 1998-04-29 周刘进 清洗器
US6550098B2 (en) * 1997-12-05 2003-04-22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er with tank retention
US6347428B1 (en) * 2000-01-12 2002-02-19 Royal Appliance Mfg. Co. Hand-held wet/dry vacuum
US7225503B1 (en) * 2002-11-27 2007-06-05 Bissell Homecare, Inc. Hand-held deep cleaner
US7478455B2 (en) * 2003-01-10 2009-01-20 Lisa Ann Heim Hand-held clothing spot remover
AU2006216836B2 (en) * 2005-02-22 2009-12-03 Royal Appliance Mfg. Co. High pressure extractor
CN202000133U (zh) * 2011-02-20 2011-10-05 刘之雨 局部洗衣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9028A (en) * 1961-09-01 1963-07-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3964925A (en) * 1974-04-29 1976-06-22 The Scott & Fetzer Company Apparatus for treating floor coverings
US4069541A (en) * 1976-04-23 1978-01-24 U.S. Floor Systems, Inc.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99573A1 (en) * 2012-02-07 2013-08-08 Ken Joyner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in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2078A1 (en) 2017-02-22
CN106164358B (zh) 2018-05-15
KR102216244B1 (ko) 2021-02-17
US20150292139A1 (en) 2015-10-15
EP3132078A4 (en) 2018-01-17
EP3132078B1 (en) 2021-12-08
WO2015160095A1 (en) 2015-10-22
CN106164358A (zh) 2016-11-23
US9976241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8412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EP3132077B1 (en) Hand-held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48474B1 (ko) 드럼 세탁기의 분사 세정장치와 세정방법 및 드럼 세탁기
EP3121324A1 (en) Washing machine
EP3012368B1 (en) Portable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601932C2 (ru) Моечный аппарат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N111759240A (zh) 自动洗拖布维护站
EP2412866A2 (en) Washing machine
KR20080100168A (ko) 드럼식 세탁기
KR200442125Y1 (ko) 멀티 분사노즐을 구비한 내시경 세척기
CN111334964A (zh) 衣物处理设备
JP2009017907A (ja) 洗濯機
KR20150118413A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N219653325U (zh) 衣物处理设备
KR102114610B1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N210280026U (zh) 一种化学实验设备自动清洗装置
CN111334965A (zh) 衣物处理设备
CN105442239B (zh) 洗衣机
CN208905610U (zh) 用于洗鞋机的洗涤槽及洗鞋机
KR102114611B1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KR102114609B1 (ko) 휴대용 의류처리장치
CN206545125U (zh) 可替换式手持洗衣机
CN116497565A (zh) 清洁设备
KR20190029936A (ko) 탱크실 일체형 세척장치
CN117144640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