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12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121A
KR20150118121A KR1020157021014A KR20157021014A KR20150118121A KR 20150118121 A KR20150118121 A KR 20150118121A KR 1020157021014 A KR1020157021014 A KR 1020157021014A KR 20157021014 A KR20157021014 A KR 20157021014A KR 20150118121 A KR20150118121 A KR 2015011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ci
terminal
dci format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946B1 (ko
Inventor
이승민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6Code rate detection or code typ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DCI 는 다수의 단말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 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 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 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그룹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 과 Release 8 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E-UMTS 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4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 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 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 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 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 를 기반으로 LTE 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의 위치는,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상의 무선 자원 영역의 일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상의 무선 자원 영역과 상이한 무선 자원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검출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에 대하여 할당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 중 일부가 재할당되어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 그룹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단말 그룹은, 동일한 그룹 식별자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재전송은 비-적응 재전송(Non-adaptive retransmission)기반의 상향링크 재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 그룹은, 상기 DCI 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영역이 공통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무선 주파수 유닛(Radio Frequency Unit, RF Unit);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은 3GPP LTE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낸다.
도 4 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 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다.
도 6 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 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단위를 나타낸다
도 8 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9 는 복수의 캐리어가 병합된 경우의 스케줄링을 예시한다.
도 10 은 EPDCCH 와 EPDCCH 에 의하여 스케줄링 되는 PDSCH 를 예시한다.
도 11 및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I 포맷의 구성들을 예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DCI 포맷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영역을 예시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DCI 포맷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재할당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를 예시한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 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 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 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 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 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 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 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 의 진화된 버전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 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 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 안테나 포트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 2 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 나 IPv6 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 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eNB)을 구성하는 하나의 셀은 1.4, 3,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 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3 은 3GPP LTE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사용자 기기는 단계 S301 에서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주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사용자 기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물리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기는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사용자 기기는 단계 S302 에서 물리 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기기는 기지국에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이후 단계 S303 내지 단계 S306 과 같은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기기는 물리임의접속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S303),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04). 경쟁 기반 임의 접속의 경우 추가적인 물리임의접속채널의 전송(S305) 및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하향링크공유 채널 수신(S306)과 같은 충돌해결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기기는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 수신(S307) 및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전송(S308)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통칭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라고 지칭한다. UCI 는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Acknowledgement/Negative-ACK), SR(Scheduling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HARQ ACK/NACK 은 간단히 HARQ-ACK 혹은 ACK/NACK(A/N)으로 지칭된다. HARQ-ACK 은 포지티브 ACK(간단히, ACK), 네거티브 ACK(NACK), DTX 및 NACK/DT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CSI 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ion) 등을 포함한다. UCI 는 일반적으로 PUCCH 를 통해 전송되지만, 제어 정보와 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할 경우 PUSCH 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요청/지시에 의해 PUSCH 를 통해 UCI 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 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4 의 (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 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 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할당 단위로서의 자원 블록(RB)은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 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표준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표준 CP 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 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 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표준 CP 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 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 개일 수 있다. 사용자 기기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 가 사용될 수 있다.
표준 CP 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4 의 (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 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하프 프레임은 2 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4 개의 일반 서브프레임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하는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으로 구성된다.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에서, DwPTS 는 사용자 기기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 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사용자 기기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즉, DwPTS 는 하향링크 전송으로, UpPTS 는 상향링크 전송으로 사용되며, 특히 UpPTS 는 PRACH 프리앰블이나 SRS 전송의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에 관하여 현재 3GPP 표준 문서에서는 아래 표 1 과 같이 설정을 정의하고 있다. 표 1 에서 T s=1/(15000×2048) 인 경우 DwPTS 와 UpPTS 를 나타내며, 나머지 영역이 보호구간으로 설정된다.
Figure pct00001
한편,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 즉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설정(UL/DL configuration)은 아래의 표 2 와 같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 에서 D 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U 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며, S 는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 2 는 각각의 시스템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설정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 스위칭 주기 역시 나타나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Figure pct00003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Figure pct00004
자원블록을 포함한다. 각각의 자원블록이
Figure pct00005
부반송파를 포함하므로 하향링크 슬롯은 주파수 영역에서
Figure pct00006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5 는 하향링크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이 1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순환전치(Cyclic Prefix; CP)의 길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라 하고, 하나의 자원 요소는 하나의 OFDM 심볼 인덱스 및 하나의 부반송파 인덱스로 지시된다. 하나의 RB 는
Figure pct00007
자원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Figure pct00008
)는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6 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에서 앞부분에 위치한 최대 3(4)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대응한다. 남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LTE 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예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CFICH 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 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HARQ ACK/N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ment/negative-acknowledg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 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한다. DCI 는 사용자 기기 또는 사용자 기기 그룹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CI 는 상향/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상향링크 전송(Tx) 파워 제어 명령 등을 포함한다.
PDCCH 는 하향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상향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랜덤 접속 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정보, 사용자 기기 그룹 내의 개별 사용자 기기들에 대한 Tx 파워 제어 명령 세트, Tx 파워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지시 정보 등을 나른다. 복수의 PDCCH 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복수의 PDCCH 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DCCH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들의 집합(aggregation) 상에서 전송된다. CCE 는 PDCCH 에 무선 채널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유닛이다. CCE 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한다. PDCCH 의 포맷 및 PDCCH 비트의 개수는 CCE 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사용자 기기에게 전송될 DCI 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가한다. CRC 는 PDCCH 의 소유자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식별자(예,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마스킹 된다. 예를 들어, PDCCH 가 특정 사용자 기기를 위한 것일 경우, 해당 사용자 기기의 식별자(예, cell-RNTI (C-RNTI))가 CRC 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 가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것일 경우, 페이징 식별자(예, paging-RNTI (P-RNTI))가 CRC 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 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C))를 위한 것일 경우,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 에 마스킹 될 수 있다. PDCCH 가 랜덤 접속 응답을 위한 것일 경우,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 에 마스킹 될 수 있다.
도 7 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단위를 나타낸다. 특히, 도 7 의 (a)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1 또는 2 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7 의 (b)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4 개인 경우를 나타낸다. 송신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RS(Reference Signal) 패턴만 상이할 뿐 제어 채널과 관련된 자원 단위의 설정 방법은 동일하다.
도 7 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기본 자원 단위는 REG(Resource Element Group)이다. REG 는 RS 를 제외한 상태에서 4 개의 이웃한 자원 요소(RE)로 구성된다. REG 는 도면에 굵은 선으로 도시되었다. PCFICH 및 PHICH 는 각각 4 개의 REG 및 3 개의 REG 를 포함한다. PDCCH 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s) 단위로 구성되며 하나의 CCE 는 9 개의 REG 를 포함한다.
단말은 자신에게 L 개의 CCE 로 이루어진 PDCCH 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L)(≥L)개의 연속되거나 특정 규칙으로 배치된 CCE 를 확인하도록 설정된다. 단말이 PDCCH 수신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L 값은 복수가 될 수 있다. 단말이 PDCCH 수신을 위해 확인해야 하는 CCE 집합들을 검색 영역(search space)이라고 한다. 일 예로, LTE 시스템은 검색 영역을 표 3 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Figure pct00009
여기에서, CCE 집성 레벨 L 은 PDCCH 를 구성하는 CCE 개수를 나타내고, Sk (L)은 CCE 집성 레벨 L 의 검색 영역을 나타내며, M(L)은 집성 레벨 L 의 검색 영역에서 모니터링해야 하는 후보 PDCCH 의 개수이다.
검색 영역은 특정 단말에 대해서만 접근이 허용되는 단말 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과 셀 내의 모든 단말에 대해 접근이 허용되는 공통 검색 영역(common search space)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은 CCE 집성 레벨이 4 및 8 인 공통 검색 영역을 모니터하고, CCE 집성 레벨이 1, 2, 4 및 8 인 단말-특정 검색 영역을 모니터한다. 공통 검색 영역 및 단말 특정 검색 영역은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각 CCE 집성 레벨 값에 대하여 임의의 단말에게 부여되는 PDCCH 검색 영역에서 첫 번째(가장 작은 인덱스를 가진) CCE 의 위치는 단말에 따라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변화하게 된다. 이를 PDCCH 검색 영역 해쉬(hashing)라고 한다.
상기 CCE 는 시스템 대역에 분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논리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CCE 가 인터리버(interleaver)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리버는 입력된 복수의 CCE 를 REG 단위로 뒤섞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하나의 CCE 를 이루는 주파수/시간 자원은 물리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서 전체 주파수/시간 영역에 흩어져서 분포한다. 결국, 제어 채널은 CCE 단위로 구성되지만 인터리빙은 REG 단위로 수행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와 간섭 랜덤화(interference randomization) 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8 은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CA)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복수의 상/하향링크 컴포넌트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을 모아서 더 넓은 상/하향링크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용어 "컴포넌트 반송파(CC)" 는 등가의 다른 용어(예, 캐리어, 셀 등)로 대체될 수 있다. 각각의 CC 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거나 비-인접할 수 있다. 각 컴포넌트 반송파의 대역폭은 독립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UL CC 의 개수와 DL CC 의 개수가 다른 비대칭 반송파 집성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정보는 특정 CC 를 통해서만 송수신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CC 를 프라이머리 CC(또는 앵커 CC)로 지칭하고, 나머지 CC 를 세컨더리 CC 로 지칭할 수 있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이 적용될 경우, 하향링크 할당을 위한 PDCCH 는 DL CC#0 으로 전송되고, 해당 PDSCH 는 DL CC#2 로 전송될 수 있다.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해, 캐리어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의 도입이 고려될 수 있다. PDCCH 내에서 CIF 의 존재 여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반-정적 및 단말-특정(또는 단말 그룹-특정)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PDCCH 전송의 베이스 라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CIF 디스에이블드(disabled): DL CC 상의 PDCCH 는 동일한 DL CC 상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거나 하나의 링크된 UL CC 상의 PUSCH 자원을 할당
● No CIF
● LTE PDCCH 구조(동일한 부호화, 동일한 CCE-기반 자원 맵핑) 및 DCI 포맷과 동일
■ CIF 이네이블드(enabled): DL CC 상의 PDCCH 는 CIF 를 이용하여 복수의 병합된 DL/UL CC 중에서 특정 DL/UL CC 상의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 가능
● CIF 를 가지는 확장된 LTE DCI 포맷
- CIF (설정될 경우)는 고정된 x-비트 필드(예, x=3)
- CIF (설정될 경우) 위치는 DCI 포맷 사이즈에 관계 없이 고정됨
● LTE PDCCH 구조를 재사용(동일한 부호화, 동일한 CCE-기반 자원 맵핑)
CIF 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 측의 BD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할당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병합된 전체 DL CC 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DL CC 를 포함하고 단말은 해당 DL CC 상에서만 PDCCH 의 검출/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기지국이 단말에게 PDSCH/PUSCH 를 스케줄링 할 경우, PDCCH 는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를 통해서만 전송된다. PDCCH 모니터링 DL CC 세트는 단말-특정(UE-specific), 단말-그룹-특정 또는 셀-특정(cell-specific)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용어 "PDCCH 모니터링 DL CC" 는 모니터링 캐리어, 모니터링 셀 등과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을 위해 병합된 CC 는 서빙 CC, 서빙 캐리어, 서빙 셀 등과 같은 등가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9 는 복수의 캐리어가 병합된 경우의 스케줄링을 예시한다. 3 개의 DL CC 가 병합되었다고 가정한다. DL CC A 가 PDCCH 모니터링 DL CC 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DL CC A~C 는 서빙 CC, 서빙 캐리어, 서빙 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CIF 가 디스에이블 된 경우, 각각의 DL CC 는 LTE PDCCH 설정에 따라 CIF 없이 자신의 PDSCH 를 스케줄링 하는 PDCCH 만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단말-특정 (또는 단말-그룹-특정 또는 셀-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CIF 가 이네이블 된 경우, DL CC A(모니터링 DL CC)는 CIF 를 이용하여 DL CC A 의 PDSCH 를 스케줄링 하는 PDCCH 뿐만 아니라 다른 CC 의 PDSCH 를 스케줄링 하는 PDCCH 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 모니터링 DL CC 로 설정되지 않은 DL CC B/C 에서는 PDCCH 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DL CC A(모니터링 DL CC)는 DL CC A 와 관련된 PDCCH 검색 영역, DL CC B 와 관련된 PDCCH 검색 영역 및 DL CC C 와 관련된 PDCCH 검색 영역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PDCCH 검색 영역은 캐리어 별로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 는 크로스-CC 스케줄링을 위하여 PDCCH 내에서 CIF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CIF 의 사용 여부 (즉, 크로스-CC 스케줄링 모드 또는 논-크로스-CC 스케줄링 모드의 지원) 및 모드간 전환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정적/단말-특정하게 설정될 수 있고, 해당 RRC 시그널링 과정을 거친 후 단말은 자신에게 스케줄링 될 PDCCH 내에 CIF 가 사용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 은 EPDCCH 와 EPDCCH 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PDSCH 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EPDCCH 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 영역의 일부분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단말은 자신의 EPDCCH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EPDCCH 는 기존의 레거시 PDCCH 와 동일한 스케줄링 동작(즉, PDSCH, PUSCH 제어)을 수행하지만, RRH 와 같은 노드에 접속한 단말의 개수가 증가하면 PDSCH 영역 안에 보다 많은 수의 EPDCCH 가 할당되어 단말이 수행해야 할 블라인드 디코딩의 횟수가 증가하여 복잡도가 높아질 수 있는 단점은 존재할 수 있다.
EPDCCH 할당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각의 서빙 셀에서는, 단말의 EPDCCH 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하나 혹은 두 개의 EPDCCH-PRB 세트에 대하여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해줄 수 있으며, 각각의 EPDCCH-PRB 세트는 Localized EPDCCH 전송 또는 distributed EPDCCH 전송을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활성화(activated)된 서빙 셀 상의 EPDCCH 후보들의 세트에 대하여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를 검출(혹은 모니터링/블라인드 디코딩(BD))하기 위한 EPDCCH 후보들의 세트는 EPDCCH USS(UE-Specific Search Spaces) 단위로 정의되며, 집성 레벨 L ∈ {1,2,4,8,16,32} 에 대한 EPDCCH USS (즉,
Figure pct00010
)가 EPDCCH 후보들의 세트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만약, EPDCCH 가 검출되는 서빙 셀에 관한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EPDCCH 가 검출되는 서빙 셀에 대한 EPDCCH 후보들의 세트에서 집성 레벨 L 인 경우 모니터링하는 EPDCCH 후보들의 개수(이하,
Figure pct00011
)는 표 4 및 표 5 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Distributed EPDCCH-PRB 세트의 경우 EPDCCH 후보들의 개수에 대하여 설명하나, 그 이외의 경우에는 3GPP TS 36.213 상의 내용으로 설명을 대체한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여기서,
Figure pct00014
는 EPDCCH-PRB 세트 p 를 구성하는 PRB-쌍들의 개수이며, 표 4 및 표 5 는 하나의 Distributed EPDCCH-PRB 세트의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에, 만약 EPDCCH 가 모니터링되는 서빙 셀에 관한 CFI(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된 경우라면, EPDCCH 가 모니터링되는 서빙 셀에 대한 EPDCCH 후보들의 세트에서 집성 레벨 L 인 경우 모니터링해야되는 EPDCCH 후보들의 개수는 CIF 값(즉, n CI)이 지시하는 서빙 셀 관련 EPDCCH-PRB 세트 상의 집성 레벨(L)에 따른 EPDCCH 후보들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만약 EPDCCH 가 모니터링되는 서빙 셀에 관한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EPDCCH 가 모니터링되는 서빙 셀의 하향링크 대역폭 설정에 따르도록 설정된다(즉,
Figure pct00015
, 여기서,
Figure pct00016
는 하향링크 대역폭 설정). 그러나, 만약, EPDCCH 가 모니터링되는 서빙 셀에 관한 CIF 가 설정되었다면, CIF 값(즉, n CI)이 지시하는 서빙 셀의 하향링크 대역폭 설정에 따르도록 설정된다.
나아가, 표 4 및 표 5 에서 나타난 Case 1 내지 Case 3 는 이하의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 Case 1:
● DCI 포맷 2/2A/2B/2C/2D 가 검출되며,
Figure pct00017
인 경우, 일반 하향링크 CP 을 가지는 일반 서브프레임
● DCI 포맷 2/2A/2B/2C/2D 가 검출되며,
Figure pct00018
인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 3, 4 및 8 을 따르며, 일반 하향링크 CP 를 가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 DCI 포맷 1A/1B/1D/1/2/2A/2B/2C/2D/0/4 가 검출되며, EPDCCH 전송에 이용가능한 RE 의 개수가 104 미만 (즉, n EPDCCH < 104)인 경우, 일반 하향링크 CP 을 가지는 일반 서브프레임
● DCI 포맷 1A/1B/1D/1/2A /2/2B/2C/2D/0/4 가 검출되며, EPDCCH 전송에 이용 가능한 RE 의 개수가 104 미만 (즉, n EPDCCH < 104)인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 3, 4 및 8 을 따르며, 일반 하향링크 CP 를 가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 Case 2:
● DCI 포맷 1A/1B/1D/1/2/2A/2B/2C/2D/0/4 가 검출되는 경우, 확장 하향링크 CP 을 가지는 일반 서브프레임
● DCI 포맷 1A/1B/1D/1/2/2A/2B/2C/2D/0/4 가 검출되는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 1, 2, 6, 7 및 9 를 따르며, 일반 하향링크 CP 를 가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 DCI 포맷 1A/1B/1D/1/2/2A/2B/2C/2D/0/4 가 검출되는 경우,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 1, 2, 3, 5 및 6 을 따르며, 확장 하향링크 CP 를 가지는 스페셜 서브프레임
- Case 3
● 상술한 Case 1 및 Case 2 를 제외한 경우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를 효율적으로 지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은 사전에 정의된 (시스템 정보 상의) 상향링크 자원 그리고/혹은 무선 자원 용도의 동적 변경을 통해서 상향링크 용도로 변경된 하향링크 자원 등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재)전송 여부는, 초기 전송(initial transmission)에 대한 재전송 여부뿐만이 아니라, 재전송(retransmission)에 대한 재-재전송(re-retransmission) 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범위는 3GPP LTE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반송파 집성 기법(Carrier Aggregation, CA)이 적용된 시스템 ii)그리고/혹은 CA 환경 하에서 Self Scheduling 기법이 적용된 경우 iii)그리고/혹은 CA 환경 하에서 Cross Carrier Scheduling(CCS) 기법이 적용된 경우 iv)그리고/혹은 FDD 시스템 v)그리고/혹은 TDD 시스템 vi)그리고/혹은 TDD 대역과 FDD 대역이 반송파 집성 기법으로 병합된 시스템 vii)그리고/혹은 New Carrier Type (NCT)이 반송파 집성 기법으로 병합된 시스템 등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지시하는 경우에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 간의 통신(예, D2D 통신/단말 릴레이 통신)이 수행되는 상황 하에서, 수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 단말의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상향링크 (재)전송 관련 DCI 포맷 설정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에 대한 (재)전송 여부 정보를 사전에 정의된 새로운 형태의 포맷을 통해서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히, i)PHICH 그리고/혹은 EPHICH 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보장되지 않거나 ii)혹은 PHICH 그리고/혹은 EPHICH 의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iii)혹은 상향링크 통신의 신속한 링크 적응(Fast Link Adaptation)이 필요한 경우에서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제어 정보들 (예, EPDCCH, PDCCH)이 전송되는 검색 영역(SS) (예, 공통 탐색 영역(CSS) 혹은 단말 특정 탐색 영역(USS)) 상의 특정 영역 ii)혹은 데이터/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PDSCH 상의 특정 영역 iii)혹은 사전에 정의된 특정 자원 영역에서 (E)PHICH 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관련 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전송될 수 가 있으며, 해당 DCI 포맷은 기존의 PHICH/EPHICH/상향링크 DCI 포맷/하향링크 DCI 포맷과는 상이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단말 특정 탐색 영역 (혹은 공통 탐색 영역) 상에 한정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혹은 구조/구성)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관련 정보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서 기존 필드의 형태 혹은/그리고 이와 같은 목적의 새로운 필드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관련 정보가 기존 필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New Data Indicator (NDI) 필드가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재)이용될 수 가 있으며, 해당 NDI 필드의 토글 (Toggle) 여부에 따라서 재전송이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또는,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관련 정보가 새로운 필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가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정의될 수 가 있으며, 단말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 (혹은 블라인드 디코딩) 한 후에 자신의 식별자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추가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재전송이 수행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 인덱스 정보 등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이 수행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 인덱스 정보의 전송 없이 단말/기지국은 상향링크 HARQ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암묵적으로 재전송이 수행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 인덱스 정보를 도출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뿐만 아니라 사전에 정의된 다양한 용도의 정보들이 함께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의 신속한 링크 적응(Fast Link Adaptation) 관련 정보들이 추가적으로 전송되도록 정의될 수 가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i)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에 대한 Modulation & Coding Scheme (MCS) 정보 ii)그리고/혹은 Transmit Power Control (TPC) 정보 iii)그리고/혹은 Precoding Information 정보 iv) 그리고/혹은 Layer 개수 정보 v)그리고/혹은 DM-RS Cyclic Shift & OCC 인덱스 정보 등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전에 정의된 추가적인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무선 용도를 시스템 부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하는 환경 하에서 하향링크 통신의 부하가 증가된 경우(즉, 상향링크 통신을 원하는 단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에, 신속한 링크 적응 (Fast Link Adaptation)이 적용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전송/갱신 되지 않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일부 혹은 모든) 정보들 (예, Resource Block Assignment & Hopping Resource Allocation 정보)은, 단말의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따르도록 설정되거나,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따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재전송 여부가 결정되는 특정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타임라인과 연동된 정보들로 한정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단말의)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재전송 여부가 결정되는 특정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타임라인과 연동된 정보들로 한정될 수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전송되는 정보들의 전체 페이로드 크기는, 단말의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되는 DCI 포맷(예, DCI 포맷 0/4) 혹은/그리고 가장 최근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되었던 DCI 포맷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값으로 정의될 수 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전송/갱신 되지 않는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일부 혹은 모든) 정보들은, 이전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따르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는 사전에 정의된 목적 (예,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의 신속한 링크 적응 관련 정보 등)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들만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페이로드 크기는, 기존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 (예, DCI 포맷 0/4)의 페이로드 크기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되거나, 기존의 하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 (예, DCI 포맷 1A)의 페이로드 크기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되거나, 기존의 시스템 정보/페이징 정보/랜덤 엑세스 정보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 (예, DCI 포맷 1C)의 페이로드 크기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의 DCI 포맷과 다른 페이로드 크기의)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단말의 추가적인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BD) 횟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단말의 (검색 영역 상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의 추가적인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사전에 정의된 (기존) 특정 DCI 포맷의 상대적으로 낮은 집성 레벨(AL)의 블라인드 디코딩 후보(즉, EPDCCH Candidates 에 관한 개수)들 중에 일부를 차용하는 형태로 검색 영역(SS)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기존 DCI 포맷 4 의 상대적으로 낮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2, 4, 8} 중 AL{1, 2})의 블라인드 디코딩 후보들 중에 일부를 차용하는 형태로 검색 영역 상에서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반대로, 사전에 정의된 (기존) 특정 DCI 포맷의 상대적으로 높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2, 4, 8} 중 AL{4, 8})의 블라인드 디코딩 후보들 중에 일부를 차용하는 형태로 검색 영역 상에서 위치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사전에 정의된 무선 자원 기본 단위 그리고/혹은 무선 자원 양을 기반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 기본 단위는, 기존의 PDCCH/PHICH 전송에 이용되는 CCE 단위 혹은 EPDCCH/EPHICH 전송에 이용되는 ECCE 단위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PDCCH/PHICH 전송에 이용되는 CCE 단위 혹은 EPDCCH/EPHICH 전송에 이용되는 ECCE 단위와 상이하게 정의될 수 도 있다. 만약,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을 위해서 기존과 상이한 무선 자원 기본 단위가 정의될 경우, (예를 들어) 사전에 새롭게 정의된 개수의 (E)REG/RE/(E)CCE 로 구성된 무선 자원 기본 단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사전에 정의된 특정 집성 레벨(AL) 값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상대적으로 낮은 집성 레벨 값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적은 페이로드 크기로 정의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에 상대적으로 낮은 집성 레벨 값을 적용한다고 할지라도 충분히 낮은 코딩 레이트(Coding Rate)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색 영역(SS) 상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으로 인해 다른 상향링크/하향링크 DCI 전송들이 수행되지 못하는 확률(즉, Blocking Probability)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높은 AL 값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즉,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전송에 상대적으로 높은 집성 레벨 값을 적용하여 해당 DCI 포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적용되는 특정 집성 레벨에 대한 설정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설정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파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사전에 정의된 고정 위치의 무선 자원을 통해서 전송되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설정을 기반으로 변동되는 무선 자원 위치를 통해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위치는, 제어 정보들(예, EPDCCH, PDCCH)이 전송되는 검색 영역 상의 무선 자원 위치를 의미하거나, 데이터/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PDSCH 상의 무선 자원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변동되는 무선 자원 위치를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 특정 서브프레임 시점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무선 자원 위치는,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에 이용되었던 자원 블록(RB) 인덱스들 중에 가장 낮은 인덱스를 입력 변수(혹은 파라미터)로 가지는 사전에 정의된 함수를 통해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었던 자원 블록(RB) 인덱스들 중에 가장 낮은 인덱스를 입력 변수(혹은 파라미터)로 가지는 사전에 정의된 함수를 통해서 특정 서브프레임 시점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무선 자원 위치가 정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위치를 결정하는 함수는 추가적으로 단말의 식별자(RNTI), 셀의 (물리적/가상적) 식별자, 서브프레임 인덱스, 슬롯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변수(혹은 파라미터)로 가지도록 정의될 수 도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사전에 정의된 고정 위치의 무선 자원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고정된 위치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다수의 단말들을 고려한 상향링크 (재)전송 관련 DCI 포맷 설정
전술한 본 발명의 새로운 DCI 포맷 관련 설정에 기반하여, 이하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다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관련 정보들이 동시에 전송되도록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공통 탐색 영역 (혹은 단말 특정 탐색 영역) 상에 한정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을 알려주기 위해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 상기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들에 대응하는 개수의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이 정의될 수 가 있으며, 단말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혹은 블라인드 디코딩) 한 후에 자신의 식별자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신된 관련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가 있다. 다른 예로,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을 알려주기 위해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 해당(즉,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과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들(예 NDI 필드)이 정의될 수 가 있다. 나아가,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은 사전에 추가적으로 정의된 다양한 용도의 정보들과 함께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도 11 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이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 에서 사전에 정의된 개수(예, M 은 자연수)의 단말들에 대한 각각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 정의된 해당(즉, 사전에 정의된) 개수의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을 통해서 전송된다고 가정하였으며, 개별 단말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혹은 블라인드 디코딩 검출) 한 후에 자신의 식별자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신된 관련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은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 특정 단말에게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서 해당 특정 단말과 관련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 정보를 알려주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필드는 i)' 단말의 식별자 (RNTI) 정보 필드' ii)혹은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과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들(예, NDI 필드)' 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필드 위치를 지시해 줌으로써, 특정 단말의 i)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ii)그리고/혹은 단말의 식별자 정보에 대한 검출 오류 확률 (즉, False Alarm)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의 직접적인 필드 위치 정보 전송 없이) 단말로 하여금 사전에 정의된 함수를 기반으로, 자신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그리고/혹은 단말 식별자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 위치 정보를 암묵적으로 파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필드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함수는 "(단말의 식별자) MODULO (새로운 DCI 포맷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 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DCI 포맷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 은 예를 들어, i)' 단말의 식별자 (RNTI) 정보 필드' ii)혹은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과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들' 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 ii)의 경우, 특정 단말 식별자 정보 필드와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는 한 개의 필드로 간주될 수 도 있다. 또는, 사전에 정의된 함수는 "(단말의 식별자) MODULO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준 그룹 인덱스)" 혹은 "(단말의 식별자) MODULO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준 그룹 인덱스들의 총 개수)" 등으로 정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그룹 인덱스들의 총 개수는, 새로운 DCI 포맷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와 동일한 값으로 정의될 수 도 있다.
다수의 단말 그룹들을 고려한 상향링크 (재)전송 관련 DCI 포맷 설정
전술한 본 발명을 확장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다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필드에서는 사전에 정의된 단말 그룹 식별자 (ID)들 중에 하나가 전송되거나, 혹은 그룹 식별자와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될 수 가 있다. 단말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혹은 블라인드 디코딩) 한 후에 자신에게 할당된 그룹 식별자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수신된 관련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즉, 해당 그룹 식별자와 연동된 다수 개의 단말들이 동시에 각각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다수의 단말 그룹들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단말 그룹에게 공통적으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 여부 정보를 알려줄 수 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도 11 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에서 전송되는 다수 개의 단말 식별자 (RNTI) 정보들 혹은/그리고 다수 개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들의 재전송 여부 정보들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공통 탐색 영역(혹은 단말 특정 탐색 영역) 상에 한정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여기서, 특정 그룹 식별자와 연동된 단말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설정을 기반으로 단말들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사전에 정의된 규칙은 "(단말의 식별자) MODULO (새로운 DCI 포맷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 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DCI 포맷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 은 예를 들어, i)' 단말의 식별자 (RNTI) 정보 필드' ii)혹은 '단말의 식별자(RNTI) 정보 필드들과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들' 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 ii)의 경우, 특정 단말 식별자 정보 필드와 이와 연동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 필드는 한 개의 필드로 간주될 수 도 있다.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은 "(단말의 식별자) MODULO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준 그룹 인덱스들의 총 개수)" 와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그룹 식별자 정보와 연동된 단말 그룹은, (모두) 비-적응 재전송 (Non-Adaptive Retransmission) 기반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적응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그룹은 각각 자신들의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재전송 동작들을 실시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재전송 동작들을 실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그룹 식별자 정보와 연동된 단말 그룹들에 대하여 비-적응 재전송 동작이 적용되는 상황 하에서, '단말 간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들의 자원 충돌' 혹은 '단말 간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들에 대한 재전송 여부 정보들의 자원 충돌' 은 기지국이 (단말 별) 스케줄링 정보들의 조절/제어를 통해서 방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그룹 식별자 정보와 연동된 단말들 중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을 (실제로) 수행하게 되는 단말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값(예, 4ms)을 포함하여 이전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고 이와 관련된 재전송 여부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들 그리고/혹은 현재 종료 (Termination)되지 않은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들을 가지고 있는 단말들로 한정될 수 가 있다.
도 12 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가 다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상에는 N(사전에 정의된 단말 그룹의 개수(예, N 은 자연수)의 필드들이 설정된 경우, 이러한 필드에서는 사전에 정의된 (단말) 그룹 식별자(ID)들 중에 하나가 전송된다고 가정하였으며, 개별 단말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혹은 블라인드 디코딩) 한 후에 자신에게 할당된 (단말) 그룹 식별자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수신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관련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특정 위치의 필드가 다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동시에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특정 위치의 필드와 연동된 단말 그룹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가 있다.
또한, 특정 위치의 필드 값은, 해당 필드와 연동된 단말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 여부 정보들의 논리적 AND/OR 연산으로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혹은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에 대한 ACK/NACK 정보들의 논리적 AND/OR 연산에 따라 특정 위치의 필드 값이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즉, 특정 위치의 필드 값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지시할 경우에, 해당 위치의 필드와 연동된 단말 그룹은 모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 위치의 필드 값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지시할 경우에, 해당 위치의 필드와 연동된 단말 그룹은 (모두) 비-적응 재전송 (Non-Adaptive Retransmission) 기반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비-적응 재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그룹은, 각각 자신들의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을 기반으로 해당 재전송 동작들을 실시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재전송 동작들을 실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특정 위치의 필드 값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을 지시할 경우에 해당 위치의 필드와 연동된 단말들 중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을 (실제로) 수행하게 되는 단말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값 (예, 4ms)을 포함하여 이전에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고 이와 관련된 재전송 여부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들 그리고/혹은 현재 종료 (Termination)되지 않은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들을 가지고 있는 단말들로 한정될 수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의 위치는 제어 정보들(예, EPDCCH, PDCCH)이 전송되는 검색 영역 상에서 다수 개의 단말들 간의 블라인드 디코딩 후보들의 위치가 겹치는 지점들 중에 하나로 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다수 개의 단말들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에 검색 영역(SS) 상의 자원이 효율적으로 설정될 수 가 있다. 즉, 검색 영역(SS) 상에서 다수 개의 단말들이 동일한 위치의 블라인드 디코딩 후보에 대한 검출 동작을 통해서 자신들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도록 한정될 수 도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사이즈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공통 검색 영역(Common Search Space, CSS) 혹은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를 통해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CSS 를 통해서 전송될 경우에는, 다수 개의 단말들(혹은 단말 그룹)이 사전에 정의된 공통된 RNTI 정보 혹은 개별 RNTI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 동작/CRC 검증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USS 를 통해서 전송될 경우에는 개별 단말들이 자신의 RNTI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 동작/CRC 검증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다수 개의 단말들 (혹은 단말 그룹)이 사전에 정의된 공통된 RNTI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 동작/CRC 검증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CSS/USS 상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검출 동작/CRC 검증 동작에 이용되는 공통된 RNTI 정보와 해당 공통된 RNTI 정보와 연동된 단말 그룹 구성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i)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 혹은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사전에 정의된 DCI 포맷을 통해서 전송되거나 ii)그리고/혹은 사전에 정의된 상향링크 전송 모드 (Transmission Mode (TM))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초기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 혹은 가장 최근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전송 관련 스케줄링 정보가 상대적으로 큰 페이로드 (Payload) 크기를 가지는 DCI 포맷 4 를 통해서 전송되었을 경우' , 그리고/혹은 '상대적으로 많은 스케줄링 정보를 요구하는 상향링크 MIMO 전송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 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적용되는 특정 조건들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TDD 시스템 환경 하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 (UL-DL Configuration) (예, UL-DL Configuration #0)이 지정되었을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적용되는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들에 대한 정보 그리고/혹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의 구성 비율에 대한 임계 값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줄 수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시점은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재전송 여부가 결정되는 특정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임라인과는 다르게 정의(예, 효율적인 링크 적응 (Link Adaptation) 동작의 목적) 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 시점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통해서 재전송 여부가 결정되는 특정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임라인을 그대로 따르지만,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시점은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재전송이 수행되는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값 (예, 4ms) 이전의 시점으로 정의될 수 가 있다.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들을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제어 정보들(예, EPDCCH, PDCCH)이 전송되는 검색 영역상에서 사전에 정의된 특정 전송 타입을 기반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제어 정보들(예, EPDCCH, PDCCH)이 전송되는 검색 영역 상에서 Localized Transmission 타입 혹은 Distributed Transmission 타입(예, EPDCCH 전송 타입의 일종)을 기반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과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단말이 암묵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설정해줄 수 가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사전에 정의된 i)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ii)그리고/혹은 참조 신호의 안테나 포트 설정 iii)그리고/혹은 Scrambling (Sequence) 설정을 기반으로 검출(혹은 디코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EPDCCH 가 전송되는 검색 영역(SS) 상에서 전송될 경우에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DM-RS 를 기반으로 검출(혹은 디코딩)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혹은 검출되는) 무선 자원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3 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하기 위한 무선 자원 상의 영역 혹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을 검출하기 위한 검색 영역(SS) 상의 특정 영역이 독립적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혹은 검출되는) 무선 자원 영역은, 도 13(A)와 같이 제어 정보들(예, EPDCCH)이 전송되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 중의 일부로 설정되거나 혹은 도 13(B)와 같이 제어 정보들이 전송되는 U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과 독립적인 무선 자원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3 에서, 무선 자원 영역은 물리적 (Physical) 자원 영역 혹은 논리적 (Logical) 자원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은 단말의 기존 C-RNTI 를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새롭게(즉, 독립적으로) 정의된 RNTI (예, EPHICH-RNTI)를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즉, 독립적으로) 정의된 RNTI (예, EPHICH-RNTI)는, 단말 별로 독립적인 값으로 정의되거나, 혹은 (사전에 설정된) 단말 그룹 별로 독립적인 값으로 (즉, 동일 단말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은 공통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별 단말들(혹은 단말 그룹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에 이용되는 RNTI 를 기반으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전송되는 (예를 들어, 도 13(A) 또는 도 13(B)와 같이 설정된) 무선 자원 영역 상에서 검출(블라인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사전에 정의된 독립적인 무선 자원 상의 특정 영역 혹은 검색 영역(SS) 상의 특정 영역을 통해서 전송될 (혹은 검출될) 경우에,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에 대한 단말의 추가적인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 증가를 피하거나, 단말의 기존 최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존 USS 에 할당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검출(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기존 USS 에 할당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할 경우에 어떠한 (기존) DCI 포맷 관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할 것인지에 대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해 USS 상에 전송되는 (기존) DCI 포맷 관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이는 반면에,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확보하려는 형태로 해석될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검출(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특정 DCI 포맷(예, DCI 포맷 4 혹은 DCI 포맷 0/1A) 혹은 특정 DCI 포맷 시리즈(예, DCI 포맷 2 시리즈 혹은 DCI 포맷 1 시리즈)의 상대적으로 낮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2, 4, 8} 중 AL{1, 2})들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들 중에 일부를 차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에 대한 검출(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특정 DCI 포맷(예, DCI 포맷 4 혹은 DCI 포맷 0/1A) 혹은 특정 DCI 포맷 시리즈(예, DCI 포맷 2 시리즈 혹은 DCI 포맷 1 시리즈)의, 상대적으로 높은 집성 레벨(예를 들어, AL{1, 2, 4, 8} 중 AL{4, 8})들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들 중에 일부를 차용하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된 가중치(Weight)를 기반으로 특정 집성 레벨들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들의 일부 혹은 전체 집성 레벨들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들의 절반을 차용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사전에 정의된 독립적인 무선 자원 상의 특정 영역 (혹은 검색 영역상의 특정 영역)을 통해서 전송되고, 임의의 단말 그룹이 특점 시점에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면, 해당 그룹에 속하는 모든 단말들은 사전에 정의된 설정에 따라 기존 USS 상에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수행할 수 가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단말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은 사전에 정의된 단말 그룹 별 RNTI 정보 혹은 개별 단말의 C-RNTI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 USS 상에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수행할 수 가 있다.
도 14 는 사전에 정의된 설정에 따라 기존 USS 상에 전송되는 특정 DCI 포맷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차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4 에서, 1 개의 Localized EPDCCH Set 이 설정되고, 해당 Localized EPDCCH Set 이 8 개의 PRB 쌍들로 구성된 상황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단말은 해당 Localized EPDCCH Set 상의 USS 에서 (기존) DCI 포맷 검출을 위해서 '집성 레벨{1, 2, 4, 8}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D) 횟수{6, 6, 2, 2}' 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되지만,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기반으로 (기존) DCI 포맷 (예, DCI 포맷 0/1A) 관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 중에 일부를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해서 차용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즉, (기존) DCI 포맷 관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 중에 일부인 '집성 레벨{1, 2, 4, 8}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3, 3, 1, 1}' 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해서 이용된다.
따라서, 도 14(A)와 같이 제어 정보들(예, EPDCCH)이 전송되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 중의 일부로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대하여 '집성 레벨{1, 2, 4, 8}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3, 3, 1, 1}' 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도 14(B)와 같이 제어 정보들이 전송되는 U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과 독립적인 무선 자원 영역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대하여 '집성 레벨{1, 2, 4, 8}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3, 3, 1, 1}' 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의 페이로드 길이(Payload Size) 혹은 DCI 포맷(혹은 EPHICH) 최종 길이 (예, "페이로드 + CRC + Channel Coding + Rate Matching" (즉, 물리적 자원 영역 상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비트들의 양))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주도록 설정되거나, 혹은 Network Configurability 특성을 가지도록 설정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만약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의 페이로드 길이 혹은 DCI 포맷(혹은 EPHICH) 최종 길이가 사전에 정의된 고정 값으로 설정된다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상위 계층 시그널 혹은 물리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해당 DCI 포맷(혹은 EPHICH) 상에서 다수 개의 단말들 (혹은 다수 개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들을 알려주기 위해서 실제로 이용되는 (혹은 설정된) 필드들의 총 개수를 알려주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가 있다.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의 페이로드 길이 혹은 DCI 포맷(혹은 EPHICH) 최종 길이에서 실제로 이용되는 필드들의 총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은, 사전에 정의되거나 시그널링된 고정 값 (예, 제로 패딩)으로 정의될 수 가 있으며, 해당 고정 값의 비트들은 가상 (Virtual) CRC 로 이용될 수 가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의 페이로드 길이에서 사전에 정의되거나 시그널링된 고정 값 (예, 제로 패딩)으로 설정되는 비트들(예, 영역, 개수, 크기 등)은 MOD(X, Y)에 의하여 정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MOD (X, Y)는 X 를 Y 로 나눈 나머지 값 (즉, Modulo 연산 (Remainder of Division of X by Y))을 의미하며, X 는 i)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의 페이로드 길이 혹은 ii)DCI 포맷(혹은 EPHICH) 최종 길이를 나타내며, Y 는 사전에 정의된 하나의 필드 (예, 하나의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MOD(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의 페이로드 길이, 사전에 정의된 하나의 필드 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DCI 포맷의 뒤쪽 비트들은 암묵적으로 사전에 정의된 (혹은 시그널링된) 고정 값 (예, 제로 패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 검출을 위한 검색 영역 함수 (혹은 Hashing Function)는 기존 USS/CSS 상의 제어 정보 검출을 위한 검색 영역 함수 (혹은 Hashing Function)과는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이 전송되는 (사전에 정의된) 자원 영역에서, 해당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혹은 EPHICH) 검출을 위해 독립적으로 정의된 검색 영역 함수 (혹은 Hashing Function)을 이용하여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공통 검색 영역(C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 중의 일부 혹은 CSS 상의 무선 자원 영역들과 독립적인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해서 전송되는 경우에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검출에 사전에 정의된 새로운(즉, 독립적인) RNTI (예, EPHICH-RNTI)가 이용되는 경우 ii)그리고/혹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USS/CSS 를 통해서 전송되는(혹은 검출되는) 경우 iii)그리고/혹은 상향링크 HARQ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이전 시점에서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 (PUSCH)에 대한 성공 여부 정보 (예, (E)PHICH 정보)를 수신할 경우 iv)그리고/혹은 특정 상향링크 전송 모드 (TM) (혹은 하향링크 전송 모드)가 설정된 경우 v)그리고/혹은 특정 시스템 대역폭 값이 설정된 경우 vi)그리고/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특정 DCI 포맷 (예, DCI 포맷 4)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경우 vii)그리고/혹은 특정 CP 설정(예, Normal CP, Extended CP)/특정 서브프레임 타입 (예, Normal Subframe, Special Subframe)/특정 스페셜 서브프레임 설정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이 설정된 경우 viii)그리고/혹은 하나의 PRB Pair 상에서 EPDCCH 전송에 이용 가능한 RE 들의 개수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ix)그리고/혹은 하나의 PRB Pair 상에서 EPDCCH 전송에 이용 가능한 RE 들의 개수가 사전에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등의 조건들의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는 경우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응적 재전송(adaptive retransmission) 기법 혹은 비-적응적 재전송(non-adaptive retransmission) 기법 중 특정 재전송 기법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혹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경우 특정한 재전송 기법만이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반송파 병합(Carrier Aggregation) 기법이 적용될 경우,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공통 탐색 영역은 프라이머리 (Primary) 셀 (혹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케리어) 상의 공통 탐색 영역으로 해석될 수 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설정/규칙/예들 각각마다 독립적인 제안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설정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안하는 규칙/설정/실시예들에 대한 정보 혹은 해당 규칙/설정/실시예들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서 알려줄 수 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링크 제어/데이터 (재)전송 여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서 고안된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은 페이로드 크기가 작은 UL Grant 형태의 일종으로 간주 (예, "Short UL Grant" 로 정의)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전에 정의된 종류의 통신 방식이 설정된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 간의 통신 (예, D2D 통신/단말 릴레이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 상의 구성 필드들은 단말 간의 통신 (예, D2D 통신 혹은 단말 릴레이 통신) 관련 정보들의 전송을 위해서 추가/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셀은 자신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에게 사전에 정의된 시그널 (예, 물리 계층 시그널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 (예, RRC/MAC) 혹은 시스템 정보 전송 채널 (예, SIB/PBCH (MIB)/Paging))을 통해서 특정 통신 방식의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형태의 DCI 포맷이 CSS/USS 를 통해서 전송될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 PDCCH 채널 그리고/혹은 기존 PHICH 채널의 전송이 구현될 수 없는 경우(예, New Carrier Type, NCT)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지국(BS)로부터 단말(UE)은 상향링크 재전송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제어/데이터의 전송과 관련하여 재전송할지 여부 및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S1501). 즉, S1501 에서, 상향링크 재전송과 관련된 정보/설정/규칙 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부의 조합으로서 결정될 수 도 있다.
도 15 와 관련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상향링크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 및 사용자 기기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릴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 통신은 기지국과 릴레이 사이에 이뤄지고 억세스 링크에서 통신은 릴레이와 사용자 기기 사이에 이뤄진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기지국 또는 사용자 기기는 상황에 맞춰 릴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6 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 110) 및 사용자 기기(UE, 120)을 포함한다. 기지국(110)은 프로세서(112), 메모리(114)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유닛(11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16)은 프로세서(11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사용자 기기(120)은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및 RF 유닛(126)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 유닛(126)은 프로세서(122)와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기지국(110) 및/또는 사용자 기기(120)은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3GPP LTE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의 위치는,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상의 무선 자원 영역의 일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상의 무선 자원 영역과 상이한 무선 자원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검출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에 대하여 할당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 중 일부가 재할당되어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 그룹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단말 그룹은, 동일한 그룹 식별자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재전송은 비-적응 재전송(Non-adaptive retransmission) 기반의 상향링크 재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그룹은,
    상기 DCI 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영역이 공통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Radio Frequency Unit, RF Unit);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DCI 는, 다수의 단말들 각각에 대한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검출된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상에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할당된 필드의 위치는, 상향링크 재전송 여부에 관한 지시 정보가 전송되는 필드들의 총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CI 는,
    단말-특정 검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 USS)상의 무선 자원 영역의 일부를 모니터링하여 검출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7021014A 2013-02-21 2014-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59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7762P 2013-02-21 2013-02-21
US61/767,762 2013-02-21
US201361803113P 2013-03-18 2013-03-18
US61/803,113 2013-03-18
PCT/KR2014/001440 WO2014129848A1 (ko) 2013-02-21 2014-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121A true KR20150118121A (ko) 2015-10-21
KR101759946B1 KR101759946B1 (ko) 2017-07-20

Family

ID=5139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014A KR101759946B1 (ko) 2013-02-21 2014-02-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88342B2 (ko)
KR (1) KR101759946B1 (ko)
WO (1) WO2014129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EP2705626B3 (en) * 2011-05-03 2018-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5340198B (zh) * 2013-06-26 2018-08-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获取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9369241B2 (en) * 2014-02-18 2016-06-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RQ frame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HARQ in systems using blind detection
CN105376035B (zh) * 2014-08-28 2018-10-02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非对称上行载波聚合中辅载波的控制方法及装置
US10582025B2 (en) * 2015-05-05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signaling and addressing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s
US10581549B2 (en) * 2015-06-11 2020-03-03 Apple Inc. Enhanced overlai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S9955460B2 (en) * 2015-07-01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ssignment optimiz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7027184B (zh) * 2016-02-02 2020-01-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控制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102554339B1 (ko) * 2016-04-15 2023-07-10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595326B2 (en) * 2016-12-12 2020-03-17 Mediatek Inc. Methods of efficien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CN110140312B (zh) * 2017-01-07 2022-01-11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重发数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通信设备
CN115208540A (zh) * 2017-01-08 2022-10-18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上行链路信号的方法和设备
CN110582952B (zh) * 2017-03-24 2021-12-31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控制信道的方法、装置和系统
US10736083B2 (en) * 2017-05-01 2020-08-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signaling for uplink transmission
CN108811156B (zh) * 2017-05-04 2021-09-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9587743B (zh) * 2017-09-29 2021-05-28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CN114040476B (zh) * 2017-10-2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下行控制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US10849117B2 (en) * 2017-11-13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trol information determination for payloads with leading zeroes
JP6977166B2 (ja) * 2017-11-17 2021-12-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次世代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多重搬送波支援のための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729891B1 (en) * 2017-12-21 2023-07-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uter-loop control of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link
EP3609279A1 (en) * 2018-08-09 2020-02-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improved discontinued reception for unlicensed cells
EP3629662A1 (en) * 2018-09-27 2020-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data
EP3772197A1 (en) * 2019-08-02 2021-02-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ceiver device and schedu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094B1 (ko) 2006-10-02 200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재전송 방법
KR100945860B1 (ko) 2007-12-14 2010-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의 접속 방법
WO2011034321A2 (en) 2009-09-16 2011-03-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EP2501071B1 (en) 2009-11-09 2018-01-03 LG Electronics Inc. Efficient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technique
JP2011223127A (ja) * 2010-04-06 2011-11-04 Sharp Corp 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TW201320692A (zh) * 2011-08-10 2013-05-16 Ind Tech Res Inst 資料傳送方法及使用此方法的基地台及用戶端設備
US20150296542A1 (en) * 2011-08-11 2015-10-15 Blackberry Limited Performing random access in carrier aggregation
DE202011105547U1 (de) 2011-09-12 2011-12-13 Adete - Advanced Engineering & Technologies Gmbh Nutzfahrzeugachse
KR102130417B1 (ko) * 2011-09-30 2020-07-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의 다중점 송신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8342B2 (en) 2017-10-10
KR101759946B1 (ko) 2017-07-20
WO2014129848A1 (ko) 2014-08-28
US20160007374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4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0384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336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57667B1 (ko)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639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0253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92255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for same
US9549395B2 (en)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853914B1 (ko) 셀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48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78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의 동적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1754B1 (ko)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4879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0706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동적 변경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269104A1 (en) Downlink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201600783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0343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of fallback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change in use of wireless resource and device therefor
KR1020310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843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411686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RQ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1500900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70207885A1 (en) Method for operating buffer for d2d communication and wa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51453A (ko)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12880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