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857A -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 Google Patents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857A
KR20150117857A KR1020140043498A KR20140043498A KR20150117857A KR 20150117857 A KR20150117857 A KR 20150117857A KR 1020140043498 A KR1020140043498 A KR 1020140043498A KR 20140043498 A KR20140043498 A KR 20140043498A KR 20150117857 A KR20150117857 A KR 2015011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rniquet
cover
wound
hemostasis
surgical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852B1 (ko
Inventor
백관호
Original Assignee
백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관호 filed Critical 백관호
Priority to KR102014004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8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는 지혈 튜브로서,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된 환형의 심재; 및 상기 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 튜브를 제공하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혈 튜브; 상기 지혈 튜브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 주변을 감싸는 천부재; 및 상기 천부재와 함께 상기 지혈 튜브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견인끈;을 포함하는 지혈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 상부로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TOURNIQUET AND APPARATUS INCLUDING THAT}
본 발명은 사지 수술에 사용되는 지혈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함으로써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수술 시간을 줄이도록 한 지혈대 및 지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 다리 등 사지의 관절 수술시 수술부위의 시야 확보 및 혈류량 제어를 위하여 지혈 기구로서 공기압 토니켓(tourniquet)과 붕대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공기압 토니켓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수술부위 상부의 신체 일부를 묶어서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혈행을 지연시키고, 수술 부위의 시야를 확보하며, 수술부위와 수술부위 주변은 붕대로 감아 압박하여 혈전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압 토니켓은 강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해 지혈대를 부풀리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통증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하여 전신마취를 실시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고, 지혈과 별개로 붕대를 사용하여 수술부위 주변을 압박해야 하므로 지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a를 참고하면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856호에는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되어 혈행을 제어하는 실리콘 재질의 링(1)과 상기 링에 말려 있는 압박스타킹(2)과, 상기 압박스타킹(2)의 목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압박스타킹(2)과 함께 상기 링(1)에 말려 있는 1쌍의 링 견인용 끈(3)을 포함하는 지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b와 같이 종래의 지혈장치는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시 압박스타킹(2)을 사이에 두고 링(1)과 피부(D)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의사나 간호사가 잡아 당기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수(족)지, 발뒤꿈치, 팔꿈치, 무릎 등을 통과할 때는 더욱 큰 힘을 주고 당겨야 하므로, 지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링(1)의 마찰과 압박에 의해 피부에 상처가 나는 경우도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술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 상부로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혈대 및 지혈 기구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는 지혈대로서,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된 환형의 심재; 및 상기 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는 지혈대로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커버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환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되,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된 환형의 심재와, 상기 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 주변을 감싸는 천부재; 및 상기 천부재와 함께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견인끈;을 포함하는 지혈 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 주변을 감싸는 천부재; 및 상기 천부재와 함께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견인끈;을 포함하는 지혈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환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지혈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천부재는 목부가 상기 지혈대의 외부로 접히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천부재는 압박스타킹 또는 압박천으로 이루어져 수술부위 주변을 압박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견인끈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 또는 두쌍이 형성되고, 선단에 손잡이가 상기 지혈대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 상부로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종래기술의 지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래기술의 지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기구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기구를 이용한 다리 수술시 지혈을 위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기구를 이용한 팔 수술시 지혈을 위한 사용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종래기술의 지혈장치를 사용한 지혈 상태와 본 발명의 지혈 기구를 사용한 지혈 상태를 도시한 사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지혈 기구를 사용하여 수술시 견인에 큰 힘이 필요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지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환자의 피부에 상처나 통증이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혈대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링부재를 형성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혈 기구를 견인하여 지혈시킬 수 있고,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기구는 팔, 다리 등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고 수술부위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으로, 크게 지혈대(100), 천부재(200) 및 견인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100)는 내부의 심재(110)와 외부의 링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심재(110)는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되며,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재(130)는 상기 심재(110)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재(130)는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의 상부로 견인시 탄성재의 신축 작용과 코일 형태의 구름 작용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그만큼 수술 시간도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혈대(100)는 외부의 커버(120)와 내부의 링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20)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질 또는 경질의 재질을 가지며,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20)는, 내부에 설치공간(12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환상의 통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130)가 상기 커버(120)의 내부 설치공간(121)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통공(122)을 통하여 상기 커버(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링부재(130)는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며,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부재(130)는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의 상부로 견인시 탄성재의 신축 작용과 코일 형태의 구름 작용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그만큼 수술 시간도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혈 기구는 상기 지혈대(100)에 천부재(200) 및 견인끈(30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부재(200)는 상기 지혈대(100)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시 팔, 다리 등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O)의 주변을 감싸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천부재(200)는 팔, 다리 등 사지가 인입되는 목부(210)가 상기 지혈대(100)의 외부로 접히도록 형성되고, 압박스타킹 또는 압박천으로 이루어져 수술부위 주변을 압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끈(300)은 상기 천부재(200)와 함께 상기 지혈대(100)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 또는 두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부재(200)가 상기 지혈대(100)에 말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잡아당길 수 있도록 선단이 상기 지혈대(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노출된 선단에는 손잡이(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을 갖는 지혈 기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링부재(130)가 설치된 지혈대(100)의 내측으로 천부재(200)를 통과시켜 천부재(200)의 목부(210)를 지혈대(100)의 외부로 접어 천부재(200)의 목부(210)가 지혈대(100) 전체를 감싸게 한 후 지혈대(100)를 천부재(200)의 아래쪽으로 감게 되면 천부재(200)에 말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지혈대(100)를 천부재(200)의 아래쪽으로 감기 시작하기 전에 미리 천부재(200)의 복부(210)에 견인끈(300)을 배치하고, 이러한 견인끈(300)은 지혈대(100)가 천부재(200)를 감을 때 천부재(200)와 같이 지혈대(100)에 말리게 된다.
더불어, 견인끈(300)은 천부재(200)와 결합을 하지 않고 천부재(200)의 목부(210)에 위치시킨 후 천부재(100)와 함께 지혈대(100)에 말릴 수도 있고, 천부재(200)의 목부(210)에 미리 결합을 하여 지혈대(100)에 말릴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혈 기구에 대한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지혈 기구의 사용 전 포장 및 내용물이 완전하게 보전되었는 지 확인하고, 일부 환자들에게 있어 마취가 안 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마취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먼저, 도 4(a)와 같이 측정용 자를 가지고 다리의 압박할 부위의 둘레를 측정한 후 동봉된 선택 가이드표를 참조하여 정확한 크기의 모델을 선택하고, 환자의 수축기 혈압에 맞는 세부 모델을 선택한다.
다음에, 도 4(b)와 같이 외장 싸개를 펼쳐서 지혈 기구를 최대한 무균 상태가 유지되도록 꺼내고, 도 4(c)와 같이 수술 부위와 그 주변을 멸균 증류수 또는 식염수로 적셔준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족지 말단부를 지혈 기구의 천부재(200)의 목부(210) 입구에 위치시킨 후 족지가 입구의 내부로 들어갔는 지를 확인한 후 견인끈(300)의 한쪽 손잡이(310)는 발바닥과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대칭되는 다른 쪽 손잡이(310)는 발등과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도 4(e)와 같이 각 손잡이(310)를 잡아당기기 시작하되, 발뒤꿈치를 통과할 때에는 아래쪽 손잡이(310)에 더 큰 힘을 주고 잡아당긴 후, 양쪽 손잡이(310)를 원하는 위치까지 잡아당겨서 수술부위와 그 주변을 압박하게 된다.
이때, 링부재(130)의 신축 작용과 코일 형태의 구름 작용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도 4(f)와 같이 지혈 기구의 지혈대(100)가 원하는 위치인 수술부위 상부에 도달하게 되면, 지혈대(100)가 혈관을 압박하여 지혈하여 혈류량을 제어하게 되고, 견인끈(300)과 손잡이(310)를 다리 주위로 묶어 주거나 제거해 준다.
그리고, 도 4(g)와 같이 소독된 수술가위를 사용하여 수술부위의 천부재(200)를 절개하여 수술부위를 노출시켜 수술을 시행한다.
마지막으로, 도 4(h)와 같이 수술 완료 후에는 피부 보호용 카드를 지혈대(100)의 밑에 삽입한 후 수술용 나이프를 이용하여 지혈대(100)를 절단하고, 수술가위를 이용하여 피부에 남아 있는 나머지 천부재(200)를 제거함으로써, 수술부위의 혈행을 재개시킨다.
상기에서는 다리 수술시 본 발명의 지혈 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수술시에도 동일한 사용 방법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혈 기구를 사용하여 수술부위의 상부를 압박하면서 수술하게 되면, 도 6a 및 도 6b을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하여 혈행을 신속하게 지연시켜 혈행을 제어하고, 수술 부위의 충분한 시야가 확보되며, 수술시 또는 수술 후에 혈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지혈대 및 지혈 기구는 수술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혈 기구를 수술부위 상부로 잡아당겨서 지혈시킬 수 있고, 지혈에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켜 수술 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상처와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링
2. 압박스타킹
3. 끈
100. 지혈대
110. 심재
120. 커버
121. 설치공간
122. 통공
130. 링부재
200. 천부재
210. 목부
300. 견인끈
310. 손잡이
D. 피부
O. 수술부위

Claims (11)

  1.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는 지혈대로서,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된 환형의 심재; 및
    상기 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2.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는 지혈대로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환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튜브.
  5.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되, 연성을 지닌 고체로 형성된 환형의 심재와, 상기 심재에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를 이루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 주변을 감싸는 천부재; 및
    상기 천부재와 함께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견인끈;을 포함하는 지혈 기구.
  6. 사지의 수술부위 상부로 견인되어 혈관을 압박하여 혈행을 제어하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겨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링부재;를 포함하는 지혈대;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되고, 사지를 따라 펼쳐지면서 수술부위 주변을 감싸는 천부재; 및
    상기 천부재와 함께 상기 지혈대에 감겨서 말려 있는 상태로 구비된 복수 개의 견인끈;을 포함하는 지혈 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환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기구.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대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기구.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부재는 목부가 상기 지혈대의 외부로 접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기구.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천부재는 압박스타킹 또는 압박천으로 이루어져 수술부위 주변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기구.
  1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끈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 또는 두쌍이 형성되고, 선단에 손잡이가 상기 지혈대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기구.
KR1020140043498A 2014-04-11 2014-04-11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KR10157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98A KR101573852B1 (ko) 2014-04-11 2014-04-11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98A KR101573852B1 (ko) 2014-04-11 2014-04-11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57A true KR20150117857A (ko) 2015-10-21
KR101573852B1 KR101573852B1 (ko) 2015-12-02

Family

ID=5440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98A KR101573852B1 (ko) 2014-04-11 2014-04-11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7A1 (ko) * 2016-03-17 2017-09-21 배상임 배혈 및 압박장치 및 이에 장착되는 수술용 압박스타킹 및 이의 권취방법
CN116919515A (zh) * 2023-09-14 2023-10-24 吉林大学 一种多通道磁控压迫装置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175B1 (ko) 2019-10-30 2021-11-17 (주)대성마리프 지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7573A1 (en) 2003-10-28 2005-04-28 Unsworth John D. Device and method to assist in putting on tubular garments or coverings, for example, socks and condoms and glo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7A1 (ko) * 2016-03-17 2017-09-21 배상임 배혈 및 압박장치 및 이에 장착되는 수술용 압박스타킹 및 이의 권취방법
CN116919515A (zh) * 2023-09-14 2023-10-24 吉林大学 一种多通道磁控压迫装置及系统
CN116919515B (zh) * 2023-09-14 2023-11-17 吉林大学 一种多通道磁控压迫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852B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2619B2 (en) Tubular compression orthosis for immobilising a lower limb after a venous surgical procedure
JP4917144B2 (ja) タニケット・カフおよびスリーブのシステム
US9763670B2 (en) Compression unit and a radial artery compression system
US3570475A (en) Surgical retractor
EP1453424B1 (en) Device for excluding blood out of a limb
KR101573852B1 (ko) 지혈대 및 이를 포함한 지혈 기구
US10973669B2 (en) Daneshvar wrapping means II and methods
JP2016500322A (ja) 血管閉鎖システム
US20100100025A1 (en) Tourniquet dressing sleeve for digits
AU2018343331B2 (en) Medical pressure therapy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194916B2 (en)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exsanguination tourniquet
KR101759074B1 (ko) 수술용 압박스타킹 및 이의 권취방법
JP2006280861A (ja) 弾性シリコンを用いた成形手術法
CN203815531U (zh) 腹股沟疝手术或股动脉穿刺术后加压固定带
KR102246886B1 (ko) 지혈대 오염방지를 위한 방수밴드
RU1746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я из бедренной артерии в паховой области
RU26610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я "пневмоприжим"
CN114948057A (zh) 一种用于患者手术后的压迫止血护理装置
RU214651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трофических венозных яз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2741667A (zh) 一种充气式压力包扎装置
Glinz et al. Development and technical evaluation of military tourniquets and emergency tourniquets for pre-hospital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