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978A -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978A
KR20150116978A KR1020140041926A KR20140041926A KR20150116978A KR 20150116978 A KR20150116978 A KR 20150116978A KR 1020140041926 A KR1020140041926 A KR 1020140041926A KR 20140041926 A KR20140041926 A KR 20140041926A KR 20150116978 A KR20150116978 A KR 2015011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reign matter
housing
filt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욱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978A/ko
Publication of KR2015011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포집 호스가 접속되는 흡입 덕트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덕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필터부; 상기 흡입 덕트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에어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부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PORTABL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선박의 작업장에 이동 설치가 가능한 소형의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하는 진공흡입장치를 고소작업차에 탑재하여 선박 및 유류저장탱크 등과 같은 철구조물을 완성한 후 이러한 철구조물에 발생되어 있는 각종 부식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공흡입장치 중 V/Recovery(이하, 리커버리)는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 후 흡입 압력을 이용하여 분진 및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분진 수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는, 와류 저항과 같은 원리로 압력차를 이용하여 분진 및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리커버리는 중/대형선 위주의 장비 개발로 소형선 제작에 사용하기에 장비 배치시 장비 부피의 문제로 장비의 위치 선정 및 장비 사용시 부피에 대한 애로 사항이 있다.
또한 중/대형선 사용에 맞게 제작 설계가 되어 소형선 사용에는 필요 이상의 장비 용량으로 과도한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소형 선박에 맞게 제작 설계시에는 별도의 제작 공간을 활용하여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중형선 제조시 작업 호환성 문제로 인해 사용 빈도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는, 장비의 크기 및 흡입압력이 소형 선 작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나, 분진 수거장치가 없어 단순한 청소 작업 이외에 물 청소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0853호(2003.10.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성을 강화시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와 연결하여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포집 호스가 접속되는 흡입 덕트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덕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필터부; 상기 흡입 덕트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에어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부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 덕트에는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회수하는 포집 호스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분사부는, 에어공급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로 외부의 압축 공기가 이동하는 에어 공급관;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부터 필터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펄스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내측면에 각각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에 의하면, 더스트 포집기의 콤팩트한 외형을 제공하여 휴대성과 이동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를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는 정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는 선박 건조 도크 내에 건조 중인 선박의 최소 하부 공간이나, 건조 선박 블록 내의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더스트 포집기는 선박 건조시 오염원 자체가 분산되어 있는 선박 받침대 하부, 선박 블록 내 탱크, 배관 사이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철판 절단, 용접 및 그라인딩 작업 중에 발생하는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흡착 및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흡입 덕트(110), 상기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필터부(120), 상기 필터부(120)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130), 이물질 저장부(140), 이물질 배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용이한 컴팩트한 외형을 제공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바퀴(미도시)가 장착되어 장소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덕트(11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분진 등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회수하는 포집 호스(111)가 접속되며, 이물질 회수 작업 포인트를 동시에 여러 곳으로 확장하여 포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내부에 필터부(120)가 수용되며, 상기 필터부(120) 일부가 하우징(100)을 외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 덕트(1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출 덕트(115)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 흡입부인 종래의 공지된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200)가 접속되어 상기 흡입 덕트(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필터부(120)로 여과되고 공기만이 배출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20)는 공기 중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걸러내어 흡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120)는 하우징(100)의 흡입 덕트(1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내부에 원기둥 형태의 필터(121)가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부(120)의 필터(121)가 노후되거나 파손시에는 즉시 교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필터부(120)는 본 실시예와 다른 공지의 구성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120)의 필터(121)가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흡착하게 되면 흡착 효율, 즉 포집 효율이 떨어지므로 필터(121)에 흡착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털어주어 포집 효율을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상기 에어 분사부(13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120)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121)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내어 하부로 낙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 분사부(130)는 에어공급펌프(3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외부의 압축 공기를 이동하는 에어 공급관(131), 상기 에어 공급관(131)으로부터 필터부(120)로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132) 및 상기 에어 공급관(131)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펄스 타이머(1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펄스 타이머(133)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에어 공급관(131)으로 공급하거나 에어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펄스 타이머(133)의 작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노즐(132)이 개방되면 에어 분사부(130)를 통해 필터(121)의 내부로 에어가 신속하게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120)의 필터(121)가 진동하면서 필터(121)에 흡착된 이물질이 떨어져 나와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 저장부(140)에 적재된다.
상기 펄스 타이머(133)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저장부(140)는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필터부(120)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이물질 저장부(140)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는바, 내측면에 각각 하향 경사진 경사부(160)를 통해 필터부(120)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부(15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도어 개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터부(120)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터부(120), 에어 분사부(130), 이물질 저장부(140), 이물질 배출부(150) 등에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도시하지 않은 계측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계측 센서로부터 입력된 각종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각 부의 가동, 정지, 관리, 이상 경보 등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도시하지 않은 온/오프 스위치, 비상정지 스위치 또는 리셋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등과 같은 표시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각 부에 마련된 계측 센서 등으로부터 각종 신호의 처리를 집중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각 부의 가동, 정지, 관리, 이상 경보 등의 더스트 포집기에 대한 운전에 필요한 모든사항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의 외부 이물질의 포집 및 포집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의 외부 이물질 포집 과정을 설명한다.
더스트 포집기가 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게 되면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공기 흡입력이 배출 덕트(115)와 흡입 덕트(110)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 덕트(110)로 흡입된다.
흡입된 이물질은 필터부(120)의 필터(121)에 흡착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청정 공기는 배출 덕트(115)를 거쳐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200)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를 이용하여 포집된 이물질의 외부 배출 과정을 설명한다.
펄스 타이머(133)에 의해 주기적으로 작동되는 에어 분사부(130)가 소정의 설정 시간마다 필터부(120)로 에어 공급관(131)의 노즐(132)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20)에 흡착된 이물질은 하부의 이물질 저장부(140)로 자유 낙하되어 이물질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이때, 이물질은 경사부(160)를 타고 이물질 저장부(140)의 바닥면에 낙하하여 점진적으로 쌓이게 되므로 이물질 배출부(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배출부(150)에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200)를 연결하고, 상기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20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공기 흡입력을 통해 이물질을 회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의 크기를 소형화한 더스트 포집기를 구비하여 이물질 흡착 과정과 이물질 배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며, 이동이 자유롭고, 수리 및 관리에 어려움이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흡입 덕트
111 ; 포집 호스 115 : 배출 덕트
120 : 필터부 121 : 필터
130 : 에어 분사부 131 : 에어공급관
132 : 노즐 133 : 펄스 타이머
140 : 이물질 저장부 150 : 이물질 배출부
160 : 경사부 200 : 복합 잔수처리 에어펌프
300 : 에어공급펌프

Claims (4)

  1.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흡입 덕트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덕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흡입 덕트로부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필터부;
    상기 흡입 덕트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배출 덕트를 통해 공기만을 배출하기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 흡입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필터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에어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부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에는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회수하는 포집 호스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부는,
    에어공급펌프를 통해 하우징 내로 외부의 압축 공기가 이동하는 에어 공급관;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부터 필터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펄스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내측면에 각각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KR1020140041926A 2014-04-08 2014-04-08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KR20150116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26A KR20150116978A (ko) 2014-04-08 2014-04-08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26A KR20150116978A (ko) 2014-04-08 2014-04-08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78A true KR20150116978A (ko) 2015-10-19

Family

ID=5439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26A KR20150116978A (ko) 2014-04-08 2014-04-08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9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7507B (zh) 一种用于磁体加工车间的粉尘的除尘装置
CN109011981B (zh) 一种去除磁体加工车间粉尘的除尘方法
CN105818001A (zh) 一体式打磨抛光除尘器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CN102300649A (zh) 用于非接触式颗粒物去除的便携式装置
KR101007267B1 (ko)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CN104958976A (zh) 一种废气净化装置
KR101892806B1 (ko) 용접 분진 세척기
CN204502615U (zh) 一种除尘器褶皱形滤袋
KR101377268B1 (ko) 필터 청소가 용이한 집진 장치
KR100923280B1 (ko) 흡착성 연기 및 냄새 제거 집진기
JP5776632B2 (ja) エアフィルタ再生方法及びエアフィルタ再生装置
CN104941366A (zh) 一种具有集尘功能的空气净化器
KR101991083B1 (ko)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101344133B1 (ko) 탄산칼슘 자동공급장치
KR102051460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KR20140091860A (ko)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KR20130137921A (ko) 집진기
KR20150116978A (ko) 휴대용 더스트 포집기
KR101943027B1 (ko) 집진장치
CN207085547U (zh) 一种脉冲布袋除尘器
CA2843995A1 (en)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from a filter
KR100951533B1 (ko) 소형 집진기
CN212236536U (zh) 一种仓库除尘装置
KR100950935B1 (ko) 용접흄 집진필터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