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01A -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01A
KR20150116001A KR1020140039955A KR20140039955A KR20150116001A KR 20150116001 A KR20150116001 A KR 20150116001A KR 1020140039955 A KR1020140039955 A KR 1020140039955A KR 20140039955 A KR20140039955 A KR 20140039955A KR 20150116001 A KR20150116001 A KR 2015011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environment
target
humidit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현
김종우
이호상
나상욱
김태호
김세연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광
Priority to KR102014003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001A/ko
Publication of KR2015011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각 곤충 사육 공간의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가습, 히팅, 냉각, 빛 조사, 환기 등을 실행하여 곤충 사육 공간이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등 목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설정된 목표에 따라 곤충 사육 환경이 조절되고, 원격지에서도 현재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안정적인 곤충 사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for Insect Raising }
본 발명은 곤충 사육을 위한 장치와 통합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곤충을 사육하는 곤충 사육 장치의 내부 온도나 습도 등 사육 환경을 감시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곤충 사육이 더욱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근래 들어 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곤충은 애완용으로 길러지는 경우도 많을 뿐 아니라, 천적자원, 환경정화, 환경지표, 치료제 등 여러 방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곤충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각 곤충마다 사육에 최적인 환경조건(예: 온도, 습도, 광 주기 등)도 달라 사육이 까다로운 편이다.
특히, 곤충을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이 아니라 천적자원이나 환경정화 등 산업적 목적을 가지고 사육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곤충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사육되어야 하는데, 그 사육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곤충 사육 장치의 내부 온도나 습도 등 사육 환경을 감시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다수의 곤충 사육이 더욱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는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조절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환경조절부를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환경조절부는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광 주기를 조절하는 램프 조절부, 및 환기를 조절하는 환기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기 설정된 목표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환경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은 각 곤충 사육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각 곤충 사육 장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환경정보 수신 수단;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여, 각 곤충 사육 장치에 대한 환경정보를 조회하거나, 목표 환경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및 설정된 목표 환경정보에 따라 각 곤충 사육 장치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표 환경정보는 적어도 곤충 사육 장치에 대한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환경정보는 예약을 위한 미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곤충 사육 장치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 습도, 광 주기 등 사육 환경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수의 곤충 사육 장치들을 서버를 통해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곤충별 생육 특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각 곤충에 적합하게 사육환경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예약을 통한 관리도 가능하다.
설정된 목표 환경에 따라 곤충 사육 장치의 사육 환경이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사용자는 원격지에서도 현재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안정적인 곤충 사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현재 온도와 습도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
도 3은 여러 곤충 사육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 시스템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
도 6은 통합 관제 시스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관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 장치(20)는 곤충(11)이 사육되는 곤충사육실(10) 내부의 온도나 습도 등 사육 환경이 해당 곤충의 사육에 적합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곤충 사육 장치(20)는 각종 센서(21), 환경조절부(22), 전원부(23), 입력부(24), 통신부(25), 메인 콘트롤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곤충사육실(10)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곤충(11)도 한마리 이상 같은 공간에서 사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21)는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사육 환경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육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21-1)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2)를 들 수 있다.
환경조절부(22)는 곤충(11)이 사육되는 공간의 사육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떤 사육 환경을 조절할 것인지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가습 기능을 수행하여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22-1), 히터나 냉각 기능을 수행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22-2), 광 주기(빛 과 어둠이 존재하는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램프조절부(22-3), 환기를 조절하기 위한 환기조절부(22-4) 등을 들 수 있다.
램프조절부(22-3)는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임의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램프조절부(22-3)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기조절부(22-4)는 곤충사육실(10)의 환기구에 대한 열고 닫기를 할 수도 있지만, 팬을 가동하여 능동적 환기를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부(23)는 곤충 사육 장치(20)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하는데,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하여 터치식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24)는 단순한 전원의 온/오프(On/Off)뿐 아니라, 사용자가 곤충 사육 장치(20)의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목표 온도와 목표 습도를 설정하거나, 또는 목표 환경을 미리 예약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5)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유선/무선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5)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인 콘트롤러(27)는 센서(21)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통신부(25)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메인 콘트롤러(27)는 입력부(24)나 통신부(25)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예컨대 환경조절부(22)를 제어하여 곤충 사육 환경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24)나 통신부(25)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제어 명령은 습도조절부(22-1), 온도조절부(22-2), 램프조절부(22-3), 환기조절부(22-4) 등의 환경조절부(22)를 직접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은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등 목표 환경을 지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미래의 일정 시간에 대한 특정 목표 환경을 지정하는 예약 정보일 수도 있다.
제어 명령이 환경조절부(22)를 직접 제어하는 것이라면, 메인 콘트롤러(27)는 해당 제어 기능을 바로 실행한다.
그러나 목표 환경이 설정되는 것이라면, 메인 콘트롤러(27)는 센서(21)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기초로 스스로 환경조절부(22)를 제어하여 해당 목표 환경이 유지되도록 처리한다.
예컨대 목표 온도가 20도이고, 온도센서(21-2)를 통해 측정된 현재 온도가 19도 라면 현재 온도가 20도가 될 때까지 온도조절부(22-2)를 제어하여 히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만일 예약 목표 환경이 설정되었다면, 지정된 미래의 날짜가 되었을 때 해당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등 목표 환경이 유지되도록 환경조절부(22)를 제어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6)는 곤충 사육 장치(2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메인 콘트롤러(27)는 센서(21)를 통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를 디스플레이부(26)에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간이나 목표 환경정보, 예약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부(26)를 통해 보여 줄 수도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화면(26-3)에 관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현재 곤충 사육 공간의 온도(26-1)와 습도(26-2)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통신부(25)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 측과 통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 각종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메인 콘트롤러(27)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센서(21)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통신부(25)를 통해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일명 앱이라고 불리운다)을 이용하여 곤충 사육 장치(20)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30: 이하, 통합 관제 시스템이라 한다)은 하나 이상의 곤충 사육 장치(20)와 통신망(15)을 통해 통신하여 각 곤충 사육 장치(2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자면, 통합 관제 시스템(30)은 통신망(15)을 통해 각 곤충 사육 장치(20)와 통신하거나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는 웹 서버(30-1), 통합 관제 시스템(30)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30-3), 데이터베이스(30-3)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DBMS(30-2: Database Management System)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통합 관제 시스템(30)의 일 실시예에 관한 기능 블록도로서, 통합 관제 시스템(30)은 환경정보 수신 수단(31),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정보 수신 수단(31)은 각 곤충 사육 장치(20)로부터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여, 사용자가 각 곤충 사육 장치(20)에 대한 환경정보를 조회하거나, 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목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은 웹 페이지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6)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각 곤충 사육 장치(20)의 현재 환경과 그 이력을 조회하거나, 목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6)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과 같이 통합 관제 시스템(30)에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을 통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정보에 따라 각 곤충 사육 장치(2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다양한 방법으로 각 곤충 사육 장치(2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을 통해 각 곤충 사육 장치(20)의 습도, 온도, 광 주기, 환기 등을 직접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 하였을 경우,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곤충 사육 장치(20)의 환경조절부(22)를 직접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목표 습도, 목표 온도, 목표 광 주기 등 목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각 곤충 사육 장치(20)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환경정보 수신 수단(31)을 통해 수신된 현재 환경정보와 목표 환경정보를 기초로 하여 환경조절부(22)를 직접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고, 목표 환경정보를 제어 명령으로서 곤충 사육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곤충 사육 장치(20)는 제어 명령에 따라 바로 환경조절부(22)를 제어하고, 후자의 경우 곤충 사육 장치(20)는 센서(21)에서 측정된 환경정보를 기초로 목표 환경이 유지되도록 스스로 환경조절부(22)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해당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목표 습도가 40% 이고, 현재 습도값이 38% 라면, 습도 값이 40%가 될 때까지 가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습도가 40% 라는 목표 습도정보를 해당 곤충 사육 장치로 전송하여, 그 곤충 사육 장치가 스스로 해당 목표 습도를 조절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각 곤충 사육 장치(20)에 대한 목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곤충별 생육 특성에 따른 환경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해 놓고, 이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곤충 A, 곤충 B, 곤충 C에 대하여 적절한 사육을 위한 날짜별 온도, 습도, 광 주기 등을 데이터베이스(30-3)에 기록해 놓고, 이를 목표 환경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되어 있는 곤충별 생육 특성에 따른 환경정보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곤충별 생육 특성에 따른 환경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 수정 또는 삭제하는 등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곤충 사육 장치(20)에 대하여 사육 일정을 예약해 놓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약은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을 통해 설정, 수정 또는 삭제하는 등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미래의 날짜나 시간별 온도, 습도, 광 주기, 환기 등의 목표 환경정보를 설정해 놓으면, 제어명령 전송 수단(33)은 데이터베이스(30-3)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 정보를 기초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통합 관제 시스템(30)의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32)이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10)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곤충 사육 장치의 목록(111)에서 특정 곤충 사육 장치를 선택하면, 현재 선택된 곤충 사육 장치와 관련된 온도, 습도, 광 주기 정보 등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해 준다(113).
사용자는 목표 환경정보 설정항목(114)에서 해당 곤충 사육 장치의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기 항목(115)에서 환기를 시킬 시간을 분 단위로 지정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즉시 환기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스케줄 조회 항목(117)에는 곤충별 생육 특성에 따른 환경정보 또는 예약된 목표 환경정보가 날짜별로 표시되어 있고, 달력 항목(116)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에 설정되어 있는 목표 환경정보가 하이라이트 된다.
사용자는 스케줄 조회 항목(117)의 동작버튼(117-1)을 클릭하여 해당 날짜에서의 환경 제어를 중지시키거나 다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유저 인터페이스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곤충사육실 11: 곤충
15: 통신망 16: 사용자 단말
20: 곤충 사육 장치 21: 센서
21-1: 습도센서 21-2: 온도센서
22: 환경조절부 22-1: 습도조절부
22-2: 온도조절부 22-3: 램프조절부
22-4: 환기조절부 23: 전원부
24: 입력부 25: 통신부
26: 디스플레이부 27: 메인 콘트롤러
30: 통합 관제 시스템 30-1: 웹 서버
30-2: DBMS 30-3: 데이터베이스
31: 환경정보 수신 수단 32: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33: 제어명령 전송 수단

Claims (8)

  1.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곤충이 사육되는 공간의 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조절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환경조절부를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곤충 사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조절부는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광 주기를 조절하는 램프조절부, 및 환기를 조절하는 환기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기 설정된 목표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환경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 장치.
  6. 각 곤충 사육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각 곤충 사육 장치의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환경정보 수신 수단;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여, 각 곤충 사육 장치에 대한 환경정보를 조회하거나, 목표 환경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 및
    설정된 목표 환경정보에 따라 각 곤충 사육 장치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환경정보는 적어도 곤충 사육 장치에 대한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목표 광 주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환경정보는 예약을 위한 미래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140039955A 2014-04-03 2014-04-03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5011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55A KR20150116001A (ko) 2014-04-03 2014-04-03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55A KR20150116001A (ko) 2014-04-03 2014-04-03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01A true KR20150116001A (ko) 2015-10-15

Family

ID=5435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955A KR20150116001A (ko) 2014-04-03 2014-04-03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001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294A (ko) * 2016-04-14 2017-10-25 그린테코 주식회사 곤충 대량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20170138769A (ko) * 2016-06-08 2017-12-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의 인공 사육방법
KR20180000104A (ko) * 2016-06-22 2018-01-02 고창용 곤충의 생육 환경 제어시스템
KR20180059988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66547B1 (ko) * 2018-01-22 2018-07-23 주식회사 어니언커뮤니케이션즈 식용달팽이 사육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180085918A (ko) * 2017-01-20 2018-07-30 송광수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61670B1 (ko) 2017-10-20 2019-03-26 대한민국 곤충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9840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림아이씨티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58743B1 (ko) * 2017-09-27 2019-07-04 주식회사 현태 대량 곤충 사육 시스템
KR20200011280A (ko) 2018-07-24 2020-02-03 (주)이너웨이브 곤충 생육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4782A (ko) 2018-11-29 2020-06-08 노태범 곤충 사육 장치
CN112535154A (zh) * 2020-12-23 2021-03-23 石河子大学 一种昆虫温湿度调节装置
CN113287140A (zh) * 2018-12-26 2021-08-20 福迪沃姆株式会社 昆虫养殖控制装置及方法
KR20220000504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WO2022139303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곤충 전시를 위한 온습도 제어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294A (ko) * 2016-04-14 2017-10-25 그린테코 주식회사 곤충 대량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20170138769A (ko) * 2016-06-08 2017-12-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의 인공 사육방법
KR20180000104A (ko) * 2016-06-22 2018-01-02 고창용 곤충의 생육 환경 제어시스템
KR20180059988A (ko) * 2016-11-28 2018-06-07 송광수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85918A (ko) * 2017-01-20 2018-07-30 송광수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58743B1 (ko) * 2017-09-27 2019-07-04 주식회사 현태 대량 곤충 사육 시스템
KR101961670B1 (ko) 2017-10-20 2019-03-26 대한민국 곤충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9840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림아이씨티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66547B1 (ko) * 2018-01-22 2018-07-23 주식회사 어니언커뮤니케이션즈 식용달팽이 사육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200011280A (ko) 2018-07-24 2020-02-03 (주)이너웨이브 곤충 생육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4782A (ko) 2018-11-29 2020-06-08 노태범 곤충 사육 장치
CN113287140A (zh) * 2018-12-26 2021-08-20 福迪沃姆株式会社 昆虫养殖控制装置及方法
KR20220000504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CN112535154A (zh) * 2020-12-23 2021-03-23 石河子大学 一种昆虫温湿度调节装置
WO2022139303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곤충 전시를 위한 온습도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001A (ko) 곤충 사육 장치, 곤충 사육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US96033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hydroponic growing environment
KR102366075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101856845B1 (ko) 곤충 사육장치와 그 사육장치의 사육관리시스템 및 그 사육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893044B1 (ko) IoT 기반의 곤충생육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583683B (zh) 基于云的建筑物自动化系统
KR20130030926A (ko)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수경재배 통합관리 시스템
KR101132151B1 (ko) 유비쿼터스 기반 온실 관리방법
KR101671588B1 (ko) 임베디드 기반으로 한 농업 자동화 시스템
JP2017067427A (ja) 空調制御方法、空調制御装置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96295A (ko) 스마트 온실 관제 시스템
KR101518212B1 (ko) Usn 기반 식물공장 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7998B1 (ko) 공조 관리 시스템
KR101296509B1 (ko) 식물 관리기
KR102331141B1 (ko) 개량형 스마트팜 관리시스템
JP6348440B2 (ja) 動植物の育成場の環境を適正に保つための装置
KR102105185B1 (ko)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온실 통합환경제어시스템
KR20120120689A (ko) 비닐하우스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70088516A (ko) 식물재배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4817A (ko) 시설재배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025471B1 (en) User-programmable cluster of smart devices
JP6872766B2 (ja) 植物管理システム
RU27245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шмелеопыления в теплицах,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шмелеопыления в теплицах
KR20190053668A (ko) 작물의 생육 모델링을 이용한 생산 효율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N206196575U (zh) 一种智能花卉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