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429A -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429A
KR20150115429A KR1020140040474A KR20140040474A KR20150115429A KR 20150115429 A KR20150115429 A KR 20150115429A KR 1020140040474 A KR1020140040474 A KR 1020140040474A KR 20140040474 A KR20140040474 A KR 20140040474A KR 20150115429 A KR20150115429 A KR 2015011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fast
screen
input signal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학 filed Critical 김재학
Priority to KR102014004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429A/ko
Publication of KR2015011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무선 리모트콘트롤러 등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듈을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한 번의 신호입력으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디바이스 외부의 웹사이트 등과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CREEN UNLOCK AND FAST CUT AT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무선 리모트콘트롤러 등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듈을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한 번의 신호입력으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디바이스 외부의 웹사이트 등과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편리성과 함께 보안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대부분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는 불필요한 입력 오류를 제한하고 타인의 사용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의 입력 잠금 및 해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는 디바이스는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잠금 설정된 디바이스에서 호 착신이나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잠금을 해제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해 공개된 기술은 볼륨 버튼 또는 홈버튼을 눌러 대기상태로 전환 하는 단계; 슬라이딩, PIN 번호, 패턴입력, 두드림, 지문인식 등 각 기기에서 지정된 잠금해제를 실시하는 단계; 이후 원하는 기능을 찾아 실행하는 단계; 로 나눌 수 있다.
이중 PIN 숫자로 화면 잠금을 설정하는 것은 가장 고전적이면서도 가장 보안성이 높은 방법이다. 세계 최대 스마트폰 개발사인 애플에서는 여전히 PIN을 통한 잠금방법을 고수하고 있음을 봐도 알 수 있다.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화면 잠금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안드로이드 계열의 디바이스에 주로 사용되는 패턴 방식의 잠금해제는 터치스크린 위를 반복하여 드래그함으로써 그 흔적이 남아 타인이 이를 쉽게 인지 가능하여 개인정보유출의 위험이 있다. 또 터치스크린을 두드려서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은 잠금상태임에도 두드림을 인식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으며 실수로 인한 입력으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지문이나 홍채인식은 보안성은 높으나 인식의 정확도가 낮아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고 보안성 높은 화면 잠금해제 방법을 원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거론된 잠금해제 방식은 단순히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는데 그친다. 즉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찾아 클릭하는 등 또 다시 몇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은 개선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인 이동통신단말기나 테블릿PC는 사용중에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중인 기능을 종료하고 홈버튼을 클릭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검색한 후 원하는 기능 버튼을 다시 클릭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다른 기능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이다. 이는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나 테블릿PC에서 다른 기능을 사용 중에도 빨리가기 신호를 입력하여 그 신호에 대응하는 메뉴나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을 보다 편리하게 해제하고 빠르게 다른 메뉴나 기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동시에 특정한 내부 메뉴 또는 외부의 기능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입력 신호는 6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단계,
6자리의 숫자 중에서 먼저 잠금해제를 위한 4자리 숫자의 대표번호와,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빨리가기로 실행할 수 있는 숫자를 2자리에 저장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내부 메뉴 또는 외부 웹사이트 증 특정 기능 하나만을 잠시 동안 허용하기 위해, 대표번호가 포함되지 아니한 6자리의 숫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6자리의 숫자의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잠금해제를 판단하는 앞 4자리의 대표번호와,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결되어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빨리가기 링크로 사용될 수 있는 뒤 2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6자리 빨리가기 입력신호의 앞 4자리 숫자가 대표번호이면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뒤 2자리 숫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빨리가기 입력신호의 앞 4자리 숫자가 대표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외부의 웹사이트 등과도 한 번에 빨리가기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표번호로 시작되는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잠금해제 후 빨리가기 기능을 실현하고 연결된 기능이 종료되어도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대표번호를 포함하지 않은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연결된 기능 수행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6자리의 숫자의 퀵넘버 입력만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잠금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해제하고 그와 동시에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와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의 특정 기능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표번호로 시작되는 빨리가기 퀵넘버는 잠금해제 후 빨리가기 기능을 실현하고 연결된 기능이 종료되어도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대표번호를 포함하지 않은 빨리가기 퀵넘버는 잠금상태를 풀지 않고 연결된 기능만을 일시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가 타인에게 노출되어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 해제 및 바로가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기적 블럭 구성도이다.
도 3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해제 및 빨리가기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및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무선 리모트콘트롤러 등을 포함하며, 여기서, 사용자 단말(도2 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UMPC군, 넷북, e북 디바이스, 구글TV, 스마트TV, PDA, 게임기 및 콘텐츠 학습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키패드, 무선 리모트콘트롤러 등 신호 입력모듈(201) 및 인식모듈(202)을 포함하며, 입력된 신호를 인식하여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동시에 특정한 내부 메뉴 또는 외부의 기능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잠금상태, 또는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 등의 기능을 동작 중에도 다른 기능으로 빠르게 변경하기 위한 빨리가기 신호 입력모듈(201),
입력된 신호가 유효하며 사전에 정의된 형식의 신호가 맞는지를 인식하는 인식모듈(203),
저장모듈(209) 및 외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211)와 연결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205),
신호비교부의 수행 결과에 따라 잠금해제, 디바이스 내부 또는 외부의 기능을 실행하는 신호판단부(207);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저장모듈(209)과 서버(2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며 대다수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전력을 차단하고 잠금상태가 된다(100). 이때 사용자는 홈버튼, 전원버튼, 볼륨버튼 등을 조작하거나 화면을 터치하여 잠금해제 요청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의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바로 잠금이 해제된 상태(107)가 된다.
(101)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 단계로 (100)상태의 이동통신디바이스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제조사에서 내장되어 제공하거나 별도의 설치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예컨대 화면슬라이딩, 비밀번호입력, 패턴드래그, 화면터치, 지문인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101)의 단계에서 일련의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100)의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디바이스 내장되어 있는 메뉴와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하는 숫자는 6자리로 제한하지 않는다. 6자리는 편의상 예를 든 것으로 7자리 이상 혹은 5자리 이하여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다.
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내 외부의 기능을 실행하는 본 발명의 세부 단계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잠금상태 (100)에서 잠금해제 요청상태(101)가 되면 사용자가 일련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잠금 화면을 출력한다. (101)단계에서는 숫자만 입력이 가능한 가상 키보드가 함께 활성화된다.
한편 입력된 숫자가 4자리인지를 먼저 판단한다(103). 103단계에서 4자리 숫자로 판단하면 4자리 숫자가 등록된 잠금해제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105) 일치하면 잠금을 해제하고(107), 일치하지 않으면 잠금상태(100)로 되돌아간다.
한편 (103)의 단계에서 4자리 숫자가 아니면 6자리 숫자인지 판단한다(111). (111)단계에서 6자리 숫자로 판단하면 앞 4자리 숫자가 등록된 잠금해제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113) 일치하면 잠금을 해제한다(107). 다음은 뒤 2자리 숫자에 연결된 기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115)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117) 연결된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잠금을 해제하는 107단계에 그친다. 117의 단계에서 해당 기능이 종료되면 잠금 해제 (107)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113)의 단계에서 입력된 앞 4자리 숫자가 잠금해제 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전체 6자리 숫자에 연결된 기능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119) 연결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121). 숫자에 대응하는 기능이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기능수행 단계(121)를 종료하면 (117)단계와는 달리 잠금상태(100)으로 되돌아간다.
(113)의 단계에서 잠금번호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4자리 숫자는 반드시 앞 4자리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일 뿐이며 뒷 4자리 혹은 가운데 4자리여도 결과는 변하지 않는다.
(117)단계의 연결된 기능의 예로는 통화, 문자메시지, 카메라, 주소록 등 스마트 디바이스 내부의 기본기능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편익을 위해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즉 게임,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121)단계의 외부와 연결된 기능이란 디바이스에 내부에 내장되거나 추가로 설치된 프로그램 뿐 아니라 인터넷의 특정 웹페이지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보면 000001은 청와대 홈페이지, 000112는 경찰청 홈페이지로 연결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표번호 등록 방법을 보여준다.
대표번호는 퀵넘버의 앞 4자리로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대표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퀵넘버 앞 4자리에 항상 자동으로 입력된 상태로 보여지게 된다.
대표번호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퀵넘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바이스(300)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301)의 단계의 화면이며 여기서 대표번호등록(311)을 선택한다.
(302)의 단계에서 대표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팝업(321)이 보여지면 4자리 숫자를 2회 입력하고 확인버튼(322)을 누르면 등록이 완료된다. 대표번호의 수정도 같은 동일한 절차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리가기 입력신호인 Q2 퀵넘버 등록 화면이다.
Q2 퀵넘버는 디바이스의 잠금해제를 할수 있는 대표번호 4자리와 퀵넘버 2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Q2넘버는 대표번호와 함께 동작하기 때문에 뒤 2자리 숫자만 입력하면 된다.
퀵넘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바이스(400)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401)의 단계이며 여기서 Q2등록(411)을 선택한다.
(402)는 현재 등록된 Q2 퀵넘버 목록이다. 여기서 화면 좌측 넘버(421)는 00에서 99까지의 Q2 전체 퀵넘버이며 중앙의 문자(422)는 해당 퀵넘버를 설명하고 있다. 화면 우측의 수정 및 등록 버튼(423)을 선택하여 Q2 퀵넘버를 새로 등록하거나 수정할 수있다.
실시예는 퀵넘버 02에 트위터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등록버튼(423)을 선택하면 (403)의 단계에서 디바이스 내부에 저장된 기능목록이 팝업(431)으로 보여진다.
여기 목록중 트위터 아이콘을 선택하여 등록을 계속한다. 등록을 완료하여 갱신된 Q2 목록(404)을 보면 02 항목에 트위터가 등록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리가기 입력신호인 Q6 퀵넘버 등록 화면이다.
Q6 퀵넘버는 디바이스의 잠금해제를 할수 있는 대표번호를 포함하지 않은 6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외부의 웹사이트(artup.co.kr)를 퀵넘버 333333에 등록하는 방법을 예시로 설명하지만, 특정 퀵넘버나 특정 웹사이트에 국한하지 않는다.
퀵넘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바이스(500)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501)의 단계이며 여기서 Q6등록(511)을 선택한다.
(502)는 현재 등록된 Q6 퀵넘버 목록이다. 여기서 화면 좌측 넘버(521)는 등록된 Q6 퀵넘버이며 중앙의 문자(522)는 해당 퀵넘버를 설명하고 있다. 화면 우측의 수정 및 등록 버튼(523)을 선택하여 Q6 퀵넘버를 새로 등록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먼저 등록버튼(523)을 선택하면 (503)의 단계에서 디바이스 내부에 저장된 기능목록이 팝업(531)으로 보여진다.
여기서 목록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을 계속한다. 실시예는 웹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하여 웹아이콘(532)를 선택했다.
(504)의 단계로 인해 입력창(541)이 생성된다. 여기서 웹사이트 주소와 6자리의 퀵넘버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한다.
이제 (505)의 화면에서 333333 artup.co.kr 이 등록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502)의 화면에서 수정버튼(202)을 선택하여도 (503)의 화면으로 이동하여 같은 절차를 밟게 된다.
한편 입력한 퀵넘버에 대응하는 내부메뉴나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가 보여지고 다시 (503)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퀵넘버 등록 방법을 설명한다.
디바이스 사용중에 어떤 화면에서든지 퀵넘버로 등록하고자 하는 메뉴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 퀵넘버 팝업이 보여진다 (611).
한편 퀵넘버 팝업(611)에는 아이콘 이름의 변경,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수 있고 퀵넘버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601)의 단계에서 퀵넘버 등록 버튼(612)을 클릭하면 (602)의 단계로 이동하여 퀵넘버를 등록할 수 있는 팝업창(621)이 나타난다. 원하는 퀵넘버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퀵넘버 목록(603)에 저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600)는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이기 때문에 4자리 대표번호는 자동으로 입력이 되어 보이므로 퀵넘버는 뒤 2자리만 입력하면 된다.
화면의 실시예는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을 퀵넘버 05에 빠르게 등록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한편 입력한 퀵넘버에 대응하는 내부메뉴나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가 보여지고 다시 (602)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화면잠금을 해제하는 화면이다.
스마트 디바이스(700)는 잠금상태(701)에서 홈버튼, 전원버튼을 누르거나 화면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입력요청에 의해 퀵넘버 입력화면(702)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3에서 등록된 4자리의 대표번호만 입력하면 디바이스는 잠금이 해제되고 홈 화면으로 이동한다(70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2를 실행하는 그림이다.
스마트 디바이스(800)는 잠금상태(801)에서 홈버튼, 전원버튼을 누르거나 화면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입력요청에 의해 퀵넘버 입력화면(802)으로 변환된다.
디바이스가 잠금상태(801)일 때에는 도 3에서 등록된 4자리의 대표번호와 00에서 99까지 뒤 2자리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802), 그 숫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내부메뉴(803)와 별도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806),(805) 등으로 바로 연결됨을 볼 수 있다.
디바이스의 잠금해제 상태(811)에서도 퀵넘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는 도 3에서 등록된 대표번호가 자동으로 입력이 되어 보여진다(821). 때문에 00에서 99까지 2자리 숫자만 입력하면 된다.
입력한 퀵넘버에 대응하는 내부메뉴나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가 보여지고 다시 (802)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6를 실행하는 그림이다.
스마트 디바이스(900)는 잠금상태(901)에서 홈버튼, 전원버튼을 누르거나 화면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입력요청에 의해 퀵넘버 입력화면(902)으로 변환된다.
(902)에서 도 3에서 등록된 대표번호를 제외한 6자리 숫자를 입력하면 그 숫자에 대응하는 외부의 웹사이트(903) 등으로 바로 연결됨을 볼 수 있다.
만일 퀵넘버 6자리의 숫자 중에 대표번호가 포함되면 경고 메시지가 보여지고 다시 (902)단계로 되돌아간다. 퀵넘버 6자리 숫자에 대응하는 기능이나 콘텐츠가 없을 경우에도 경고 메시지가 보여지고 다시 (902)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넘버의 장점을 설명하는 다른 그림이다.
(1000)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종래의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용중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능의 종료(1001), 홈으로 이동(1002), 사용할 프로그램 검색(1003) 및 클릭(1004)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현재 기능 사용 중에도 퀵넘버(1101)만 입력하면 단 한번만에 바로 퀵넘버에 대응하는 기능(1102)으로 이동함을 볼수 있다. 특히 (1101)의 단계를 자세히 보면 디바이스가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기에 대표번호 4자리는 자동으로 입력이 되어 보여짐을 알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시판중인 한 스마트TV의 메인화면(1110)이다.
스마트TV란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 각종 앱(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 웹 서핑 및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TV를 말한다. 그러나 PC와는 달리 입력장치가 리모콘뿐이어서 여성이나 연장자에게 매우 불편하다.
모든 메뉴의 이동과 선택은 리모콘의 커셔(1120)를 이용한다. 스마트TV는 많은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커셔를 이용하여 대메뉴와 소메뉴를 넘나들며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며 시간도 많이 걸린다.
특히 웹사이트 검색이 스마트TV의 장점인데 리모콘으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힘들어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TV 채널을 돌리듯 익숙한 숫자만을 입력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즐길수 있는 퀵넘버 리모콘을 포함한다. (1130)은 리모콘을 단순화한 것이다. 전원버튼과 숫자 입력패드(1132), 볼률과 채널을 선택하고 이동할 수 있는 버튼 및 퀵넘버 설정버튼(11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퀵넘버는 별도의 인쇄물 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그 내용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1130)에서 퀵 버튼(1131)을 선택하면 (1140)의 단계에서 퀵넘버를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1141)이 보여지고 사용자를 퀵 리모콘(1130) 숫자패드(1132)로 알고 있는 퀵넘버를 입력하면 바로 대응하는 메뉴로 이동함을 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2 잠금해제
1130 스마트TV 무선리모트콘트롤러

Claims (6)

  1.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동시에 특정한 내부 메뉴 또는 외부의 기능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입력 신호는 6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단계,

    6자리의 숫자 중에서 먼저 잠금해제를 위한 4자리 숫자의 대표번호와,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빨리가기로 실행할 수 있는 숫자를 2자리에 저장하는 단계,

    디바이스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내부 메뉴 또는 외부 웹사이트 증 특정 기능 하나만을 잠시 동안 허용하기 위해, 대표번호가 포함되지 아니한 6자리의 숫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6자리의 숫자의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잠금해제를 판단하는 앞 4자리의 대표번호와,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결되어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빨리가기 링크로 사용될 수 있는 뒤 2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6자리 빨리가기 입력신호의 앞 4자리 숫자가 대표번호이면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뒤 2자리 숫자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빨리가기 입력신호의 앞 4자리 숫자가 대표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디바이스 내부의 메뉴 또는 추가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뿐 아니라 외부의 웹사이트 등과도 한 번에 빨리가기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대표번호로 시작되는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잠금해제 후 빨리가기 기능을 실현하고 연결된 기능이 종료되어도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대표번호를 포함하지 않은 빨리가기 입력신호는 연결된 기능 수행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6. 터치스크린, 키보드, 무선 리모트콘트롤러 등 신호 입력모듈 및 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입력된 신호를 인식하여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동시에 특정한 내부 메뉴 또는 외부의 기능을 빨리가기로 연결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디바이스의 잠금상태, 또는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 등의 기능을 동작 중에도 다른 기능으로 빠르게 변경하기 위한 빨리가기 신호 입력모듈,

    입력된 신호가 유효하며 사전에 정의된 형식의 신호가 맞는지를 인식하는 인식모듈,

    인식모듈 중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있는지를 비교하는 신호비교부,

    인식모듈 중 신호비교부의 수행 결과에 따라 잠금해제, 디바이스 내부 또는 외부의 기능을 실행하는 신호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과 빨리가기 제공 장치.
KR1020140040474A 2014-04-04 2014-04-04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11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74A KR20150115429A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74A KR20150115429A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29A true KR20150115429A (ko) 2015-10-14

Family

ID=5435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74A KR20150115429A (ko) 2014-04-04 2014-04-04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4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724A (zh) * 2017-09-29 2018-02-09 北京盛世辉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724A (zh) * 2017-09-29 2018-02-09 北京盛世辉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682724B (zh) * 2017-09-29 2020-05-01 北京盛世辉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遥控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089B2 (en) Unl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y performing multiple actions on an unlock interface
KR102299261B1 (ko) 어플리케이션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07211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reading
KR101412764B1 (ko) 대안적 잠금 해제 패턴
CN109923544B (zh) 鉴权方法及电子设备
US20150213252A1 (en)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US20140143856A1 (en) Operational shortcuts for computing devices
CN106156561B (zh) 应用加锁方法、应用解锁方法和装置
CN104598783A (zh) 一种智能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US11366577B2 (en) Method for presentation by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22089431A1 (zh) 设备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3173963B1 (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95978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7193393A (zh) 输入法切换方法及装置
CN105353874A (zh) 一种多媒体内容分享方法和终端
CN106446626B (zh) 一种移动终端解锁方法及移动终端
CN112147964A (zh) 设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05262909B (zh) 一种移动终端使用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15429A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 잠금해제와 빨리가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073425A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及移动终端
US20150169866A1 (en) Objec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202103045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5022584A (zh) 屏幕解锁的方法及装置
WO2017049438A2 (zh) 控制应用执行方法及装置
CN113835576A (zh) 图标操作方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