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339A -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339A
KR20150115339A KR1020140040200A KR20140040200A KR20150115339A KR 20150115339 A KR20150115339 A KR 20150115339A KR 1020140040200 A KR1020140040200 A KR 1020140040200A KR 20140040200 A KR20140040200 A KR 20140040200A KR 20150115339 A KR20150115339 A KR 2015011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eiving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ing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희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339A/en
Publication of KR2015011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3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by controlling power from a transmitting device by detect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from a receiving part;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by controlling an output voltag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detec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by controlling a harmonic wave, included in output, by detecting the sensitivity of reception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controlling a duty ratio of a power converting part according to the detection. The prev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nd a receiving device receiving the power, and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ower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of data reception, detec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Description

무선전력전송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0001]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0002]

본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시스템은 공간을 통하여 선 없이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써, 모바일(Mobile) 기기 및 디지털 가전 기기들에 대한 전력 공급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기술이다.A wireless power transfer (WPT) system is a technology that delivers power without wires through space,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power supply to mobile devices and digital home appliances.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실시간 전력 사용 제어를 통한 에너지 절약, 전력 공급의 공간 제약 극복 및 배터리 재충전을 이용한 폐 건전지 배출량 절감 등의 강점을 지닌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s advantages such as saving energy through real-time power usage control, overcoming space limit of power supply, and reducing waste battery discharge by battery recharging.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현 방법으로써 대표적으로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이 있다.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re are typically a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self resonance type.

자기유도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근접시켜 한쪽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 그에 따라 발생한 자속을 매개로 하여 다른 쪽의 코일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비접촉 에너지 전송기술로써, 수백 kHz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noncontact energy transmission technique in which two coils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 current is supplied to one coil, and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other coil via the magnetic flux generated thereby.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나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 전장 또는 자장만을 이용하는 자기 공명 기술로써 전력 전송이 가능한 거리가 수 미터 이상으로써, 수십 MHz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self-resonance method is a magnetic resonance technology that uses only electric field or magnetic field without using electromagnetic wave or current.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band of several tens of MHz because the distance of power transmission is several meters or more.

다만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전력송신기로부터 나오는 불요파 즉, 고조파가 발생되고 이러한 고조파 성분은 전자기 간섭효과 및 인체에 악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However,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spurious waves coming from the power transmitter, that is, harmonics are generated, and these harmonic components may caus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ffects and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고조파는 전력관계에서 상용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예를 들면 수백 Hz 이상인 주파수를 말하며 고조파는 기본파에 대하여 그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말한다.Harmonics are frequencies that are higher than the commercial frequency in the power relationship, for example, hundreds of Hz or more, and harmonics are the integral multiple of the fundamental wave.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수신 주파수의 채배 주파수 근처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성분의 발생원인은 기본적으로 송신 장치 부하의 비선형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즉 송신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 신호는 비선형 부하에 의하여 파형이 유지되지 못하고 일그러지면서 고조파가 형성된다.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cause of harmonic components generated near the frequency of the reception frequency is basically due to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device load. That is, the AC signal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distorted without being held by the non-linear load, and harmonics are formed.

이러한 고조파 성분은 주변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거나 원하지 않는 전력수신, 잡음 및 여러 가지 장애현상을 일으키게 된다.These harmonic components interfere with the normal operation of the peripheral devices, cause unwanted power reception, noise, and various disturbances.

구체적으로 전력송신기로부터 방출되는 자장(magnetic field)의 변화는 정지한 주변기기의 도체에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 인한 전류를 발생시켜 비정상적인 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Specifically,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emitted from a power transmitter may cause an abnormal operation by generating a current due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in a conductor of a stationary peripheral device.

또한 전력송신기에서 발생된 자장은 휴대기기 등이 자장의 주변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휴대기기에 전류를 발생시켜 장애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ls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ower transmitter may generate a current in the portable device even when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moves around the magnetic field, thereby causing a failure phenomenon.

또한 전력송신기와 전력수신을 원하지 않는 주변기기가 공진조건이 비슷하게 되면 자계 공진 커플링(magnetic resonance coupling)이 발생할 수도 있어, 주변기기에 오 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Also, if resonance conditions are similar between the power transmitter and peripheral devices that do not want to receive power,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ay occur, which may cause malfunctions in the peripheral devices.

또한 상기 고조파 성분은 수신 장치에 포함된 통신 시스템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즉. 수신 장치가 무선 충전과 동시에 인터넷 사용이나 전화 통화 등 외부 통신망과 통신을 하는 경우 송신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고조파 성분은 수신 장치와 외부 통신망 사이의 통신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harmonic component serves as a cause of lowe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In other words. When the receiving device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e or the telephone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wireless charging, the harmonic components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have a problem of obstruc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전자파 문제는 구체적으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에 인가되는 구형파 신호가 라이징(Rising), 폴링(Falling) 타임과 스파크(spikes) 등으로 인하여 완전한 구형파 성분이 아니고, 그에 따라 고조파 성분이 많이 유기되고, 이러한 고조파 성분이 수신 장치의 통신 시스템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The problem of such electromagnetic waves is that a square wave signal applied to an inverter for converting DC into AC is not a complete square wave component due to rising, falling time and spikes, These harmonic components cause a decrease i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receiving apparatus.

이러한 고조파에 따른 방사 에너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the radiation energy problem due to the harmonics have been studied.

방사되는 에너지는 기본파의 크기와 비례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데, 더욱이 이러한 기본파의 크기 값은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라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방사되는 에너지 역시 수신 장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같게 됨으로 EMI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역시,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The radiated energy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the fundamental wave. Further, the magnitude of the fundamental wave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energy radiated thereby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receiving device, There has also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required to desig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살펴본 바와 같이 고조파 성분은 전자기기와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자파 적합성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전자파 장해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전자파 내성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EMS]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As we have seen, harmonic component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electronic equipment and human body, so it is necessary to satisfy regula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EMS) It is importan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고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reception sensitivity by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from a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power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변압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from a receiving apparatus and adjus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ing unit accordingly to improve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라 전력변환부의 듀티비를 제어하고 출력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조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도 제공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from a receiving apparatus, controlling the duty ratio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accordingly, and adjusting the harmonic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to improve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검출된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data receiving sensitivity detec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교류 전원의 크기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 power converting unit for generating an A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transform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agnitude or a frequency of the AC power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는 RSSI(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RSSI (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data receiving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SSI detection unit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apparatus,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RSSI 검출부로 제공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Wherein the receiving apparatus detect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and provides the detected receiving sensitivity to the RSSI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DC power is adjust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periodically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검출된 데이터 수신 감도에 대응된 무선 전력 전송량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 tab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ata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무선전력을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ts wireless power to a reception apparatus,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data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apparatu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는 RSSI 검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n RSSI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및 상기 변압부의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SSI 검출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ze of the DC power supply of the transforming unit,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size of th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data receiving sensitivity from the RSSI detec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and the size of the direct current power source is adjust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제공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SSI detection unit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apparatus, and the reception apparatus detect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periodically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으로써,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요구 전력량에 따른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와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A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device; ;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cting a data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and provid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transmitting device compare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with a preset value and control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상기 기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량을 낮추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The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whe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 than the preset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The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is periodically ge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요구 전력량에 따른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장치가 제1 전력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가 제2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In the driving metho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device may transmit the wireless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demand of the receiv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requesting the first power;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ower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와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3 전력을 전송하거나,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기 설정갑보다 높은 경우 제1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In the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he transmitting device comparing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preset value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cludes: Transmitting the third power when the sensitivity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or transmitting the first power whe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capac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은 제2 전력보다 크고, 제2 전력은 제3 전력보다 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A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power is greater than the second power and the second power is greater than the third powe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발명으로써,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변압부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전력변환부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출력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조절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by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the power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thereby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mission unit accordingly To provi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and capable of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by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from a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a duty ratio of a power conversion unit thereby adjusting harmonic components included in an output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검출에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력 전송까지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감도정보를 검출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감도정보를 검출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전력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서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ing apparatu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s from detection of a reception apparatus to transmission of a power to a reception apparatu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reception apparatu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reception apparatu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version unit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ransformer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syste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예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하여 저주파(50kHz)부터 고주파(15MHz)까지의 다양한 종류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시스템 제어를 위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지원이 필요하다.Embodiments use a variety of frequency bands from low frequency (50 kHz) to high frequency (15 MHz) selective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xchanging data and control signals for system control .

실시예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휴대단말 산업, 가전기기 산업, 전기자동차 산업, 의료기기 산업, 로봇 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a mobile terminal industry using a battery or an electronic device required, a household appliance industry, an electric car industry, a medical device industry, and a robot industry.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한 개의 송신 코일을 사용하여 한 개 이상의 다수기기에 전력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An embodiment may consider a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to one or more multiple devices using a single transmit coil provided with the device.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약어는 다음과 같다.The terms and abbreviations used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자기장 영역 내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제공하는 시스템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 system that provide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in a magnetic field region

송신 장치(송신부)(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Charger): 자기장 영역 내에서 다수기기의 전력수신기에게 무선전력전송을 제공하며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장치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Charger: A device that provide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power receivers of multiple devices within the magnetic field area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수신 장치(수신부)(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Deivce): 자기장 영역 내에서 전력송신기로부터 무선전력 전송을 제공받는 장치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Deivce: A device that receive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rom a power transmitter within a magnetic field region.

충전 영역(Charging Area): 자기장 영역 내에서 실제적인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지역이며, 응용 제품의 크기, 요구 전력, 동작주파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Charging Area: A region where actu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ccurs within the magnetic field reg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required power, and operating frequency of the application product.

<무선전력전송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ing apparatu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10)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100) 및 상기 송신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nd a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ing power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

상기 수신 장치(2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단말기, 테블릿 PC, 전기 자동차 등, 무선으로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기기라면 가능하고, 상기 송신 장치(100)와의 인증 절차를 거쳐 인증된 수신 장치(200)에 대해서 상기 송신 장치(100)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a plurality of apparatuses, or may be a device capable of charging energy wirelessly, such as a terminal, a tablet PC, an electric vehicle, etc.,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power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송신 장치(100)의 서브 시스템의 블록도를 살펴보면, 송신 장치(100)의 서브시스템은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과 전송 안테나 시스템(10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block diagram of a subsystem of the transmitter 100, the subsystem of the transmitter 100 may include a transmit power converter system 101 and a transmit antenna system 102.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은 다수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브 시스템으로는 정류 및 필터부(110)와 변압부(120), 전력변환부(130), 제어부(140) 그리고 매칭부(150)가 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systems including a rectifier and filter unit 110, a transformer unit 120, a power converter unit 130, a controller 140, (150).

정류 및 필터부(110)는 다음 스테이지에서 사용될 직류(DC)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DC 전압은 변압부(120) 에 제공되고 이후 전송 안테나 시스템(102)에 공급될 전력이 될 수 있다.The rectification and filter section 110 generates a direct current (DC) voltage to be used in the next stage and the generated DC voltage may be provided to the transformer 120 and then to th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transmit antenna system 102.

상기 변압부(120)는 제어 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정류 및 필터부(11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원의 레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전력용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를 스위치로 사용하여 직류 입력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통하여 제어된 직류 출력 전압을 얻는 장치이다. The transformer 120 regulates the level of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rectifying and filtering unit 11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he DC power supply 120 uses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power transistor as a switch, To a voltage of a square wave form, and then obtains a controlled DC output voltage through a filter.

이때 직류 출력 전압의 제어는 스위치의 온(ON), 오프(OFF) 기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control of the DC output voltage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ON and OFF periods of the switch.

상기 변압부(120)의 동작은 직류 입력에서 직류 출력으로 변환을 기본으로 하므로 스위치모드파워서플라이(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직류-직류 변압기 또는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라고 부르기도 한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transforming unit 120 is based on the conversion from a DC input to a DC output, it is called a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a DC-DC transformer or a DC-DC converter It is also called.

상기 변압부(120)는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아 오차를 제어하여 일정한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The transformer 120 can output a constant DC power by controlling an error by receiving an output voltage.

상기 변압부(120)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게 나타나는 벅(Buck) 컨버터,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높게 나타나는 부스트(Boost) 컨버터, 위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는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의 세 종류 중 어느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transformer 120 includes a buck converter having an output voltage lower than the input voltage, a boost converter having an output voltage higher than the input voltage, a buck-boost converter having both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converter can have any one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상기 변압부(120)는 출력하는 직류 전압의 레벨이 조절될 수 있고, 이러한 직류 전압의 레벨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level of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ing unit 120 may be adjusted, and the level of the DC voltage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상기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유닛(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마이콤(Micom)이라고 부를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be referred to as a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unit, or a microcomputer.

제어부(140)는 최대 전력 전송 효율과 수신 장치(200)의 전력 요구량, 수신 장치(200)의 현재 충전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변압부(1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20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the power demand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present charging amount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또한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송신 장치(100)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not only controls an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ing unit 120 but also controls an algorithm,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quired for control read from a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상기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은 송신측 통신부(141) 및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검출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송신측 통신부(141) 및 RSSI 검출부(142)는 수신 장치(200)의 수신측 통신부(25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and an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detection unit 142. 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and the RSSI detection unit 142 may be connected to a receiving device Side communication unit 251 of the base station 200. [

상기 송신측 및 수신측 통신부(141, 251), 그리고 RSSI 검출부(142)와 수신측 통신부(251)는 소정의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 그 예로써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de and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s 141 and 251 and the RSSI detection unit 142 and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can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Examples thereof includ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luetooth low energy (BLE).

또한 송신측 및 수신측 통신부(141, 251)는 서로간에 전력 정보를 송 수신할 수 있고,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수신 장치(20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powe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ommunication units 141 and 251, where the power information includes the capac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remaining battery power, the number of times of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송신측 통신부(141)는 RSSI 검출부(142)와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수신측 통신부(251)로부터 수신신호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통해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어부(140)가 상기 송신측 통신부(141) 및 RSSI 검출부(142)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40)가 수신측 통신부(251)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is provided in one configuration with the RSSI detection unit 142 and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throug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nd the control unit 140 is constituted by one chip including both 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and the RSSI detection unit 142 so that the control unit 140 can communicate with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 &Lt; / RTI &gt;

또한 송신측 통신부(141)는 수신 장치(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Side communication unit 141 can transmit a charging fun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250. [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수신 장치(200)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 입, SA 모드로부터 NSA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harging function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the receiving device 200 to enable or disable the charging function. Alternatively,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nput of the wired charging terminal, switching from the SA mode to the NSA mode, and releasing the error situation.

한편 상기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은 송신측 통신부(141)과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송신 장치(200)가 아웃-밴드(out-band) 형식으로 통신될 수 도 있고,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과 송신측 통신부(141)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송신 장치(10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may be configured with hardware different from 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so that the transmission apparatus 200 may be communicated in an out-band format, and 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And 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may be implemented in one piece of hardware so that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an in-band format.

상기 송신측 통신부(141)는 상기 제어부(140)와 별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 장치(200) 또한 수신측 통신부(251)가 수신 장치의 제어부(250)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receiving side apparatus 200 and the receiving side communication unit 25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250 of the receiv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전력변환부(130)는 수십 K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전력변환부(130)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타켓이 되는, 즉 충전 영역에 들어온 수신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웨이크-업 전력" 또는 "충전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can generate power by converting a DC voltage of a certain level into an AC voltage by a switching pulse signal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KHz to several tens MHz. That is,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can convert the DC voltage into the AC voltage to generate the "wake-up power" or "charge power" us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at becomes the target, have.

여기서, 웨이크-업 전력은 0.1~1mWatt의 작은 전력을 의미하고, 충전용 전력은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전력 또는 수신 장치(200)의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으로써, 타겟 수신 장치(200)의 부하에서 소비되는 1mWatt~200Watt의 큰 전력을 의미한다.Here, the wake-up power means a small power of 0.1 to 1 mWatt, and the charging power is the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receiving device 200 or the power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200, Quot; means a large power of 1 mWatt to 200 Watt consumed in the load of the power source 200.

한편 전력변환부(130)는 스위칭 펄스 신호에 따라 변압부(120)으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ter 130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20 according to the switching pulse signal.

상기 전력변환부(130)는 풀 브리지(full bridge) 또는 하프 브리지(Half bridge) 인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may be a full bridge or a half bridge inverter.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130)는 복수개의 전력변환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conversion units.

복수개의 전력변환부(1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력변환부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유도 코일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전력변환부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공진 코일에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version units 130 may supply AC power to the induction coil to transmit power in a self-induction manner, and the other power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resonance A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il.

상기 복수개의 전력변환부 각각은 전송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교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verters may generate an AC signal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cheme.

매칭부(150)는 제어부(140)의 후단에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assive element and at least one active element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controller 140 and may perform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상기 매칭부(150)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부(150)는 제어부(140) 및 송신측 통신부(141)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50)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 및 송신측 통신부(141)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pedance viewed from the matching unit 150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output power to be high efficiency or high output. The matching unit 150 can adjust the impedanc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transmission-side communication unit 141. [ The matching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il and a capacitor.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transmission-side communication unit 141 can control the connection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coils and the capacitors, thereby performing the impedance matching.

상기 전송 안테나 시스템(102)은 유도 코일 및 공진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antenna system 1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il and a resonant coil.

무선전력송신 시스템(10)이 자기유도방식으로만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송 안테나 시스템(102)은 유도 코일만을 구비할 수 있고, 자기공진방식으로만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공진 코일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을 혼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유도 코일과 공진 코일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 transmits power only in a self-induction manner, the transmission antenna system 102 may include only an induction coil. In the case where power is transmitted only by a self-resonance metho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power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and the magnetic resonance type, both the induction coil and the resonance coil can be provided.

또한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은 단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중첩되는 면적은 자속 밀도의 편차를 고려하여 결정한다.Further, the induction coil or the resonance coil may be provided in a single number, or 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or resonance coils may be provided. When 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or resonance coils are provided, they can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overlapping area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iation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선택부(160)는 제어부(140)의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변압부(120)에서 생성된 전력이 공진 코일 또는 유도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코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lecting unit 160 may cause the power generated by the transforming unit 120 to be transmitted to any one of the resonant coil and the induction coil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

복수개의 코일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코일과 수신 장치(200)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은 선택부(160)를 경유하여 코일에 제공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ils are provided, the power provided from 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when any one of the coils is coupled magnetically with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transmitted to the coil As shown in FIG.

상기 선택부(160)는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수신 장치(200)와 자기적으로 결합된 코일을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6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and may electrically connect a coil magnetically coupled to the reception device 200 to the transmission power converter system 101.

상기 선택부(160)는 공진 또는 유도 방식과 같이 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서 제어부(14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6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 power transmission scheme, such as a resonance or induction scheme.

상기 선택부(160)는 제어부(140)의 선택 신호에 의하여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선택부(160)는 변압부(120)와 전력변환부(130) 내의 어느 하나의 전력변환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선택부(160)는 변압부(120)와 전력변환부(130) 내의 다른 하나의 전력변환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ing unit 160 is to transmit power in a self-resonant manner by the selection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the selecting unit 160 selects either one of the transformer 120 and the power converter 130 The selection unit 160 may connect 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to each other when 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is determined to transmit power in a self- .

전송방식에 따라 전력변환부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크기가 달라질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변압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변압부(120)가 출력하는 직류 전원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ize of the DC power supplied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C power supply 120 to control the DC power level output from the transforming unit 120 .

수신 장치(200)는 수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201)과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200 may include a receiving power converter system 201 and a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수신 장치(200)의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은 송신 안테나 시스템(102)과 동일할 수 있고, 수신 안테나의 치수는 수신 장치(200)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of the receiving device 200 may be the same as the transmitting antenna system 102 and the dimensions of the receiving antenna may vary depending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ing device 200.

또한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수신 방식에 따라서 상기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은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Near Field Communication)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The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may also receive power through a magnetic induction or self-resonant scheme.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duction coil and a resonance coil according to a power receiving scheme. The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may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수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201)은 매칭부(210), 정류부(220), 수신측 변압기(230), 부하(240) 및 수신측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wer converter system 201 may include a matching unit 210, a rectifying unit 220, a receiving side transformer 230, a load 240, and a receiving side control unit 250.

상기 수신측 제어부(250)는 수신측 통신부(25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측 통신부(251)가 상기 제어부(25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receiving side communication unit 251 and the receiving side communication unit 251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50. [

상기 매칭부(210)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The matching unit 210 performs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transmitter 100 and the receiver 200.

상기 정류부(220)는 수신 안테나 시스템(202)으로부터 출력되는 AC 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을 생성한다. The rectifying unit 220 rectifies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receiving antenna system 202 to generate a DC voltage.

수신측 변압기(230)는 DC/DC 컨버터로 구성되어 상기 정류부(220)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부하(240)의 용량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The receiving-side transformer 230 may include a DC / DC converter to adjust the level of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load 240.

상기 부하(240)는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그리고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ad 240 may include a battery, a display, a voice output circuit, a main processor, and various sensors.

수신측 제어부(25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웨이크-업 전력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고, 송신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 장치(200)의 서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250 can be activated by the wake-up power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system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상기 수신 장치(200)는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송신 장치(100)로부터 동시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송신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타켓 수신 장치(200)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200 may be a single device or a plurality of devices, and may receive energy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100 at the same time. That is, in the resonance typ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plurality of target receiving apparatuses 200 can receive power from one transmitting apparatus 100. [

이때 상기 송신 장치(100)의 매칭부(150)는 복수개의 수신 장치(200)들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ching unit 15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adaptively perform impedance match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한편 상기 수신 장치(200)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동일 종류의 시스템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apparatuses 20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the receiving apparatuses 200 may be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of systems.

<수신 장치 검출 및 전력 전송 단계><Reception apparatus detection and power transmission step>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의 검출에서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력 전송까지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s from detection of a reception apparatus to transmission of a power to a reception apparatu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 방식은 크게 4 단계로 구분할 수 있고, 각 단계로 수신 장치(200) 검출 단계(Selection, S100), 반응 확인 단계(Ping, S200), 인증과 구성 단계(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S300) 그리고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S400)가 있다.The control method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four steps. In each step, the steps of detecting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election, S100), the response checking step (Ping, S200), the authentication and configuration step (S300) (Power Transfer, S400).

상기 수신 장치(200) 검출 단계(S100)는 송신 장치(100)가 수신 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하고, 수신 장치(200)의 반응을 기다리는 단계이다.The detecting step S10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a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nd waiting for a response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상기 반응 확인 단계(S200)은 수신 장치(200)가 신호의 강도 정보를 송출하고, 송신 장치(100)는 그 정보를 통해 수신 장치(20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response confirmation step S200,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ransmit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confirm the presence of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hrough the information.

상기 인증과 구성 단계(S300)는 수신 장치(200)가 인증과 요구 전력 정보를 송출하고, 송신 장치(100)는 전력 송출을 구성하고 전력을 송출할 준비를 한다.In the authentication and configuration step S300,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ransmits authentication and required power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constructs a power transmission and prepares to transmit power.

상기 전력 전송 단계(S400)는 수신 장치(200)가 제어 정보를 송출하고, 송신 장치(100)가 전력 전송을 개시한다.In the power transmission step (S400),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starts transmission of power.

이 네 단계 사이에 신호가 차단되거나 신호가 불량할 경우에는 타임 아웃이 되어 처음 단계로 돌아갈 수 있고, 또 송전 도중에 이상이 검출될 경우나 수신 장치(200)가 충전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나 완충된 경우에는 송전을 종료하고 처음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If the signal is interrupted during these four steps or if the signal is bad, timeout occurs and the operation can be returned to the first step. If an abnormality is detected during transmission or whe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out of the charging area or fully charged The transmission can be terminated and the operation can be returned to the first step.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감도에 따른 전력 제어>&Lt; Power control according to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감도정보를 검출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detecting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from a reception apparatu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l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reception apparatus.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전력 전송 중인 제 4단계(S400)는,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에 따라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세부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 4단계(S400)는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를 검출하는 제4-1 단계(S410), 송신 장치(100)가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 감도 정보를 수신하는 제4-2 단계(S420), 수신 감도 정보와 기 설정값을 비교하는 제4-3 단계(S430), 비교 결과에 따라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제4-4 단계(S44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ourth step (S400) in which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re performing power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3, includes the steps of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410) of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apparatus 200, and the fourth step S410 of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receive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200, (S430) of compa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with the preset value in step S430 (S430),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S440 (S440) .

제4-1 단계: 수신 감도 검출 단계Step 4-1: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tep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 수신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transmit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이때의 수신 감도(Receive Sensitivity)는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수신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수신 장치(200)가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얼마만큼의 세기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표시하는 것이다.The reception sensitivity at this time indicates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provided in the reception apparatus 200 and is used to determine how much intensity the reception apparatus 200 can receive when receiving data from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e ability of

이러한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수신 신호 강도 지수(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있다. 이는 수신기 입력에서의 평균 신호 강도 지수인데, 송신 장치(200)로 들어오는 모든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것으로 실제 공간에서는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 및 잡음 신호가 합쳐져서 수신되고, 안테나 이득과 전송 손실은 포함되지 않는다.There i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s an index indica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is is an average signal strength index at the receiver input, which is a measure of the strength of all the received signals coming in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200. In the actual space, the desired signal, the interference signal and the noise signal are combined and received, and the antenna gain and transmission loss are included It does not.

송신 장치(100) 내의 송신측 통신부(141)는 수신측 통신부(251) 측으로 수신감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RSSI 검출부(142)는 수신측 통신부(251) 측으로 수신감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하기 수신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de communication unit 141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can transmit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side. Alternatively, the RSSI detecting unit 142 may transmit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side.

제4-2 단계: 수신 감도 정보 수신 단계Step 4-2: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reception step

수신측 통신부(251)는 수신감도 검출 신호를 인가 받은 경우, 송신 장치(200)는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신 감도 정보(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를 RSSI 검출부(142)로 제공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he reception side communication unit 251 may measure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provide the measured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 to the RSSI detection unit 142.

제4-3 단계: 수신 감도 정보와 기 설정값 비교 단계.Step 4-3: Step of comparing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with preset values.

RSSI 검출부(142)에서 제공 받은 수신 감도 정보는 제어부(140)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수신 감도 정보와 기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SSI detection unit 142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40 can compare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with the preset value.

기 설정값은 특정 값 또는 특정 범위가 될 수 있다.The default value can be a specific value or a specific range.

상기 기 설정값은 테이블화 되어 송신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eset values may be tabulated and stored in a storage device separately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

상기 저장 장치에는 현재의 수신 감도와 이에 대응한 전송 전력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거나, 현재의 수신 감도와 이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몇 %를 전송할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거나, 현재의 수신 감도와 이에 대응한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의 레벨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거나, 현재의 수신 감도와 이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전력량을 충족하기 위한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의 몇 %의 레벨로 상기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을 결정할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power amount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r information on how much of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is to be transmitted and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is stored , Information on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level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ing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eceiving sensitivity or the current receiving sensitivity an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eceiving sensitivity and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120 may be stored with information on how much the level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ing unit 120 is to be determined.

제4-4- 단계: 전송 전력 제어 단계.Step 4-4: Transmission power control step.

송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수신 감도가 기 설정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거나,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경우 또는 기 설정 범위 이상의 값을 가지거나 그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고조파 성분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조파 성분에 따른 수신 감도 저항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200 has a value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fall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or has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reset range, The harmonic components can be suppressed. Thu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sistance according to the harmonic component can be prevented.

예를 들어 적정 수신 감도가 70~80이고, 기 설정된 수신 감도의 범위가 60~70인 경우, 수신감도 검출 신호에 따른 수신 감도가 60에 해당하면, 현재 수신감도에 간섭하는 고조파의 영향이 큰 것으로 간주하고, 무선 전송 전력량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번 수신감도 검출 신호에 따른 수신 감도가 75에 해당하는 경우, 기 설정 범위를 넘기 때문에 수신 감도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간주하고, 무선 전송 전력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per reception sensitivity is 70 to 80, the preset reception sensitivity range is 60 to 70,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is 60, the influence of the harmonics interfering with the current reception sensitivity is large And the amount of wireless transmission power can be reduced.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next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is equal to 75,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considered to be an appropriate level because it exceeds the preset range,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power can be increased.

또 다른 예로 적정 수신 감도가 70~80이고, 기 설정된 수신 감도가 60인 경우, 현재 검출된 수신 감도가 60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송 전력량을 특정 값이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고, 수신 감도를 반복 측정하여 측정된 값이 적정 수신 감도에 해당하는 경우, 무선 전송 전력량을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전력량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timum reception sensitivity is 70 to 80, the preset reception sensitivity is 60, and the currently detected reception sensitivity is 60 or less, the radio transmission power can be reduced to a specific value or less, The wireless transmission power can be increased to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reception apparatus 200 when the measured value obtained by the repeated measurement corresponds to the appropriate reception sensitivity.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전력을 전송 받고 있을 때, RSSI 검출부(142)는 주기적으로 수신감도 검출 신호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여 주기적으로 수신 감도 정보를 인가 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무선 충전 보다는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에 우선 순위를 두어, 무선 충전 중에 수신 감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RSSI detecting unit 142 periodically transmits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ng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o periodically receive the receiving sensitivity information have. Thus, it is possible to prioritiz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apparatus 200 rather than the wireless charging, so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during wireless charging.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감도에 따른 전력 제어>&Lt; Power control according to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 감도 정보를 검출하여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로 전송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detec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reception apparatus.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설명한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 측으로 요구하는 전력 량(S300)이 요구 제1 전력인 경우,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 제2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410).5, if the amount of power (S300) request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in FIG. 3 is the requested first power,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amount of power 2 power can be transmitted (S410).

송신하는 제2 전력은 수신 장치(200)가 요구한 요구 제1 전력보다 작은 량일 수 있다.The second power to be transmitted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power demand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이처럼 초기 수신 장치(200)가 요구하는 전력량을 그대로 전송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해서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전력 전송 시 요구 전력량보다 적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initial receiving apparatus 200 as it is,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drastically lowered by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nsmit less power than the required power amount in the initial power transmission.

이후 RSSI 검출부(142)는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200)는 수신 감도를 상기 RSSI 검출부(142)로 제공할 수 있다.The RSSI detecting unit 142 may transmit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apparatus 200 and the reception apparatus 200 may provide the reception sensitivity to the RSSI detection unit 142. [

제어부(140)는 상기 RSSI 검출부(142)에서 검출된 수신 감도 정보와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감도가 적정 수준에 해당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 제공하는 제2 전력량을 초기에 수신 장치(200)가 요구한 전력량만큼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by compa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SSI detection unit 142 with a preset value. At this time, if the reception sensitivity corresponds to an appropriate level,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increase the second power amount provid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by the amount of power initially request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그러나 수신 감도가 낮은 경우, 송신 장치(100)는 현재 제공하는 제2 전력량보다 적은 전력량을 수신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low,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the receiving apparatus 200 with a smaller amount of power than the presently provided second amount of power.

<전력 제어 방법><Power Control Method>

이하 수신 감도 따른 전력 제어 방식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reception sensitivity will be described.

수신 감도에 따라서 전력을 제어하여 무선 전력 전송 량을 줄여 고조파 성분을 줄이면서 상기 고조파 성분이 수신 장치(200)의 통신에 간섭 현상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무선 충전 하에서 수신 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거나, 수신 감도가 안정화되는 경우, 수신 장치(200)에서 요구하는 무선 전력 전송 량만큼 전력량을 증가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변압부(120) 또는 전력변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harmonic component can control the interference phenomenon in the communic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while reducing the harmonic component by controlling the power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so as to redu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The control unit 140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transformer 120 or the transformer 120 or the transformer 120. 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can be controlled.

먼저 제어부(140)가 전력변환부(130)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한다.First, the manner in which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전력변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version unit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부(130)의 구성을 살펴본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converter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풀 브릿지(Full Bridge)로 구성된 전력변환부(130)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프 브릿지(Half Bridge)로 구성될 수 있다.6 is a power conversion unit 130 configured as a full bridg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half bridge.

상기 전력변환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를 기반으로 변압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증폭시킬 수 있고, 풀 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may convert the power provided from the transforming unit 120 into AC power based on the contro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40, amplify the AC power, and may include a full bridge inverter.

상기 전력변환부는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 S2, S3, S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may include first through fourth switching devices S1, S2, S3, and S4.

제1 스위칭 소자(S1)는 제1 노드(N1)와 컨버터(120)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2 스위칭 소자(S2)는 제1 노드(N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S1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converter 120 and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2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N1 and ground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

제3 스위칭 소자(S3)는 제2 노드(N2)와 컨버터(120)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4 스위칭 소자(S4)는 제2 노드(N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third switching element S3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converter 120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S4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N2) and ground and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0. [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 S2, S3, S4)는 N형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Transis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자라면 가능하다.The first to fourth switching elements S1, S2, S3 and S4 may be an N-type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Transistor)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switching operation is possible.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 및 제4 스위칭 소자(S1, S4)가 턴 온되고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S2, S3)가 턴 오프되는 경우 매칭부(150)에는 정극성의 출력 전압(Vo)이 인가된다.When the first and fourth switching devices S1 and S4 are turned on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ing devices S2 and S3 are turned off by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140 The output voltage Vo of positive polarity is applied to the matching unit 150.

반대로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 및 제4 스위칭 소자(S1, S4)가 턴 오프되고 제2 및 제3 스위칭 소자(S2, S3)가 턴 온되는 경우 매칭부(150)에는 부극성의 출력 전압(Vo)이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fourth switching elements S1 and S4 are turned off and the second and third switching elements S2 and S3 are turned on by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40, A negative output voltage Vo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S4)의 도통 비율에 따라서 듀티비(시비율, Duty Ratio)는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전력변환부(130)의 출력 신호의 기본파와 기본파의 체배 성분인 고조파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Also, the duty ratio (duty ratio)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uction rates of the first to fourth switching devices S1 to S4, and thus the fundamental wav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and the fundamental wave of the fundamental wave The magnitude of the harmonic component, which is a multiplication component, can be changed.

예를 들어 듀티비가 50%, 30% 또는 70%에 따라서 전력변환부(130)의 출력 신호의 기본파와 고조파 성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듀티비를 조절하여 고조파 성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감도의 정도에 따라서 제어부(140)는 전력변환부(130)의 스위칭 소자(S1~S4)의 도통 비율을 조절하여 상기 전력변환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크기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고조파 성분에 기인한 전자파의 수신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fundamental wave and the harmonic component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may vary depending on the duty ratio of 50%, 30%, or 7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witching elements S1 to S4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eption sensitivity received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herefore, The conduction ratio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r the frequency of the AC power outputt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electromagnetic wave due to the harmonic components.

이하에서는 제어부(140)가 변압부(120)를 제어하여 수신 감도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control unit 140 from controlling the transformer unit 120 to deteriorate the reception sensitivity.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부와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transformer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변압부(120)는 변압기(121)와 제어 유닛(122) 그리고 분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nsformer 120 may include a transformer 121, a control unit 122, and a distributor 123.

도면 상으로 상기 분배부(123)가 변압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distributor 123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ransformer 120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상기 제어 유닛(122)은 상기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regulation)할 수 있는 장치로써,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의 분압 전압을 피드백 받아 상기 출력 전압의 오차를 제어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2 is capable of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and can control an error of the output voltage by receiving a divided voltag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상기 분배부(123)는 상기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을 전압 분배하여 상기 제어 유닛(122)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23 may divide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and supply the voltage to the control unit 122.

상기 제어 유닛(122)은 분배부(123)로부터 분배된 전압을 토대로 펄스 폭이 조정된 구형파 펄스(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변압기(121)으로 제공하고 상기 변압기(121)는 구형파 펄스의 펄스 폭에 따라 레벨이 조절된 일정한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2 provide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whose pulse width is adjusted based on the voltage distributed from the distribution unit 123 to the transformer 121 and the transformer 121 generates a pulse of a square wave pulse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stant DC voltage whose leve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상기 분배부(123)는 제어부(140)의 출력 제어 포트(Output control port; OUP)에 연결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23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control port (OUP) of the control unit 140.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 유닛(122)의 입력 단자 전압의 값을 조절하여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an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by adjusting a value of an input terminal voltage of the control unit 12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서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syste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유닛(122)의 서브 시스템은 오차 증폭기(124), 비교기(125) 그리고 스위치 구동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subsystem of the control unit 122 may include an error amplifier 124, a comparator 125, and a switch driver 126.

상기 오차 증폭기(124)는 분배부(123)의 분배 전압(Vd)을 기초로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Vout)의 오차를 증폭하여 증폭된 전압(Vc)을 출력한다.The error amplifier 124 amplifies the error of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transformer 121 based on the distribution voltage Vd of the distribution unit 123 and outputs the amplified voltage Vc.

상기 오차 증폭기(124)는 제1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분배부(123)를 거친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고, 비 반전 단자에는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된다.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through the voltage divider 123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applied to the non- The voltage Vref is applied.

상기 오차 증폭기(124)는 분배부(123)를 거친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여기서 나타나는 오차를 증폭하여 비교기(125)로 입력한다. The error amplifier 124 compares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through the voltage divider 123 with the reference voltage Vref, amplifies the error, and inputs the amplified error to the comparator 125.

상기 비교기(125)는 오차증폭기(124)의 출력 전압(Vc)을 기초로 하여 구형파 펄스를 발생한다. The comparator 125 generates a square wave puls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상기 비교기(125)는 제2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될 수 있고, 비 반전 단자에는 오차증폭기(124)의 출력 전압(Vc)이 인가되고, 반전 단자에는 삼각파가 인가된다.The comparator 125 may be composed of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output voltage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triangular wave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상기 비교기(125)는 삼각파와 오차증폭기(124)의 출력 전압(Vc)을 비교하여 변압기(121)를 구동하기 위한 구형파 펄스를 발생할 수 있고, 변압기(121)의 출력 오차에 상응하여 펄스폭을 조정함으로써 변압기(121) 출력 전압(Vout)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The comparator 125 compares the triangle wave with the output voltage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to generate a square wave pulse for driving the transformer 121 and outputs a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output error of the transformer 121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transformer 121 can be stabilized.

상기 스위치 구동부(126)는 비교기(12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변압기(121)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변압기(121) 내에 포함된 스위치의 온(ON), 오프(OFF)를 제어하여 변압기(121)의 기 설정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switch driver 126 may drive the transformer 121 based on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25. That is, the predetermined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can be kept constant by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transformer 121.

상기 제어 유닛(122)과 변압기(121)는 변압부(120)로 직접화(Integrated Chip; IC)화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2 and the transformer 121 may be integrated into an integrated circuit (IC) by the transformer 120.

이처럼 변압부(120)는 기 설정된 전압의 오차를 반영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을 가변 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부(140)가 변압부(120)를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한다.As such, the transforming unit 120 may output a constant voltage reflecting the error of the predetermined voltage. However, if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0 needs to be change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ransformer 120. FIG.

상기 분배부(123)는 변압기(121)의 출력 단자와 오차증폭기(124)의 입력 단자(반전 단자)에 연결된 제1 저항(R1) 그리고 상기 오차 증폭기(124)의 입력 단자(반전 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ribution unit 123 includes 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121 and an input terminal (inverting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124 and an input terminal (inverting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124 And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ground.

상기 제1 저항(R1)과 상기 제2 저항(R2)의 크기 관계는 R1<R2 관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itude relation between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is related to R1 <R2.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저항(R1, R2) 값에 따라서 변압기(121)의 분배 전압(Vd)이 달라질 수 있는데, 그 원리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저항(R1, R2)에 의해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Vout)이 분압된 분압 전압(Vd)은 기준 전압(Vref)과 비교되고 그 오차가 증폭되므로, 분압 전압(Vd)이 기준 전압(Vref)보다 작은 경우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 레벨은 오차증폭기(124)의 입력 저항(Rin)과 피드백 저항(Rf)의 비, 즉 ?f/Rin의 기울기로 올라간다. 반면에 분압 전압(Vd)이 기준 전압(Vref)보다 큰 경우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 레벨은 ?f/Rin의 기울기로 내려간다. The distribution voltage Vd of the transformer 121 may vary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R1 and R2. The principl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R1 and R2 are as follows. The divided voltage Vd obtained by dividing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21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error is amplified so that when the divided voltage Vd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 Rises to the ratio of the input resistance Rin of the error amplifier 124 to the feedback resistance Rf, i.e., the slope of? F / R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vided voltage Vd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ref, the output Vc level of the error amplifier 124 goes down to the slope of? F / Rin.

이와 같이 상기 분압 전압(Vd)은 제1 및 제2 저항(R1, R2)의 값에 따라서 고정될 것이나, 분압 전압(Vd)을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vided voltage Vd may be fix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s R1 and R2, but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may be finally adjusted by adjusting the divided voltage Vd.

이러한 역할은 제어부(140)에서 담당할 수 있다.This role can be handled by the control unit 140.

즉 제어부(140)는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간의 전력 송신 환경에 따라서 상기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Vout)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 정보를 검출했을 때 수신 감도가 낮은 경우 변압기(121)의 출력 전압의 레벨을 낮출 필요가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40 needs to adjust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transformer 121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environment betwe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Further,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detecte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level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1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low.

이때 상기 제어부(140)의 출력제어포트(OCP)와 오차증폭기(124)의 입력단자(반전단자) 사이에는 제3 저항(R3)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출력제어포트(OCP)로 출력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오차증폭기(124)의 입력 단자로 인가되는 분압 전압(Vd)을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third resistor R3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control port OCP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124 (inverted terminal), the voltage output to the output control port OCP The divided voltage Vd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rror amplifier 124 can be adjusted.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분압 전압(Vd) 값이 달라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분압 전압(Vd)과 기준 전압(Vref)의 비교를 기초로 한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 레벨의 상승 또는 하강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The value of the divided voltage Vd can be chan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and the output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divided voltage Vd with the reference voltage Vref Up or down state of the battery can be controlled.

상기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은 비교기(125)의 삼각파와 비교되어 상기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의 레벨이 상승하는 경우 비교기(125)는 펄스폭이 증가된 구형파를 발생하고, 상기 오차증폭기(124)의 출력(Vc)의 레벨이 하강하는 경우 비교기(125)는 펄스폭이 줄어든 구형파를 발생하게 된다.When the output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is compared with the triangular wave of the comparator 125 so that the level of the output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rises, the comparator 125 compares the square wave with the increased pulse width When the level of the output Vc of the error amplifier 124 falls, the comparator 125 generates a square wave having a reduced pulse width.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저항(R1, R2, R3)의 크기 관계는 R1<R3<R2의 관계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relation of the first to third resistors R1, R2, and R3 may be such that R1 <R3 <R2.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수신 장치(200)의 수신 감도에 따라서 변압부(12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변압부(120)로부터 출력되는 DC 전압을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전력변환부(130)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 성분도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can adjust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nd generates an AC power based on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transforming unit 120 The harmonic component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can also be adjusted.

이처럼 전력변환부(130)의 스위칭 소자(S1~S4)를 컨트롤 하기 위한 구형파 신호에 따른 고조파 성분은 전력변환부(130)로 인가되는 직류 전압이 비례하는 특성과 상기 스위칭 소자(S1~S4)를 컨트롤 하기 위한 구형파 신호의 듀티비에 따른 고조파 성분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고조파 성분을 조절함으로써 수신 장치(200)의 통신 시스템의 수신 감도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여, 무선 충전 시에도 데이터 수신 감도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harmonic components according to the rectangular wav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elements S1 to S4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ar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DC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is proportional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witching elements S1 to S4, The harmonic component is adjusted by using the change of the harmonic component according to the duty ratio of the square wave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ception device 200 so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reception device 200 is lowered, It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무선전력전송 시스템(10)
송신 장치(100)
송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101)
전송 안테나 시스템(102)
변압부(120),
전력변환부(130)
제어부(140)
송신측 통신부(141)
RSSI 검출부(142)
매칭부(150)
선택부(160)
수신 장치(200)
수신 전력 컨버터 시스템(201)
매칭부(210)
정류부(220)
수신측 변압기(230)
부하(240)
수신측 제어부(250)
수신측 통신부(251)
변압기(121)
제어 유닛(122)
분배부(123)
스위치 구동부(126)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ransmit power converter system 101
The transmit antenna system 102,
The transformer 120,
Power convers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Side communication unit 141,
The RSSI detecting unit 142 detects,
The matching unit 150,
The selection unit 160 selects,
The receiving device 200,
The received power converter system (201)
The matching unit 210,
The rectifying part (220)
The receiving-side transformer 230,
The load (240)
The receiving-
Side communication unit 251,
Transformers (121)
The control unit 122,
The distribution unit 123,
The switch driver 126,

Claims (20)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검출된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A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And control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ed from the recep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es:
Power supply;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nd
And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DC power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원을 기초로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교류 전원의 크기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es:
Power supply;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 power converting unit for generating an AC power based on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transforming unit;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agnitude and a frequency of the AC power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제3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는 RSSI(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RSSI (Receive Sensitivity Inform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data receiving sensitivit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RSSI 검출부로 제공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SSI detection unit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apparatus,
Wherein the receiving apparatus detect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and provides the detected receiving sensitivity to the RSSI detecting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compare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with a preset value, and adjusts the size of the direct current power according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ceive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occurs periodic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검출된 데이터 수신 감도에 대응된 무선 전력 전송량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device that tabulates and stor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ata reception sensitivity.
무선전력을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o a receiving apparatu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And control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data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ception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는 RSSI 검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And an RSSI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the data receiving sensitivit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력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및 상기 변압부의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SSI 검출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에 따라서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Power supply;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nto a DC pow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magnitude of a DC power supply of the transform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DC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from the RSSI detection uni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를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상기 직류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compare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with a preset valu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rect current power accordingl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RSSI 검출부는 상기 수신 장치로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수신 장치의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제공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SSI detection unit transmits a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ption apparatus,
Wherein the receiving apparatus detects the data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and provides the detected receiving sensitivity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무선전력전송 송신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periodically occurs.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으로써,
상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요구 전력량에 따른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수신 감도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에 따라 데이터 수신 감도를 검출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와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A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a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the method comprising:
A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an amount of power requir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the receiving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Detecting a data reception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and providing the detection result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And
And the transmitting device compare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with a preset value and control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method of dri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상기 기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량을 낮추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if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 than the preset value, lowering the amount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감도 검출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ception sensitivity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periodically.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의 요구 전력량에 따른 무선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장치가 제1 전력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장치가 제2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the radio power according to a required power amount of the receiving apparatus,
The receiving apparatus requesting a first power; And
And transmitting the second power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와 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기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3 전력을 전송하거나,
상기 데이터 수신 감도가 기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1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transmitting device compares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with a preset value and control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Whe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ransmitting the third power,
And transmitting a first power when the data reception sensitivity is higher than a preset value.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은 제2 전력보다 크고, 제2 전력은 제3 전력보다 큰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power is greater than the second power and the second power is greater than the third power.
KR1020140040200A 2014-04-03 2014-04-03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501153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00A KR20150115339A (en) 2014-04-03 2014-04-03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00A KR20150115339A (en) 2014-04-03 2014-04-03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339A true KR20150115339A (en) 2015-10-14

Family

ID=5435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00A KR20150115339A (en) 2014-04-03 2014-04-03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339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31A1 (en) * 2015-11-10 2017-05-18 엘지이노텍(주) Multi-coil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107919736A (en) * 2016-10-10 2018-04-17 三星电机株式会社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040468A (en) * 2016-10-12 2018-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066006A (en) * 2016-10-12 2018-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19133381A1 (en) * 2017-12-29 2019-07-04 Verily Life Sciences Llc High-efficiency power amplifi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WO2024063430A1 (en) * 2022-09-22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output voltage of convert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31A1 (en) * 2015-11-10 2017-05-18 엘지이노텍(주) Multi-coil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107919736A (en) * 2016-10-10 2018-04-17 三星电机株式会社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040468A (en) * 2016-10-12 2018-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80066006A (en) * 2016-10-12 2018-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944291B2 (en) 2016-10-12 2021-03-09 Wit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19133381A1 (en) * 2017-12-29 2019-07-04 Verily Life Sciences Llc High-efficiency power amplifi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CN111373630A (en) * 2017-12-29 2020-07-03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0833638B2 (en) 2017-12-29 2020-11-10 Verily Life Sciences Llc High-efficiency power amplifi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CN111373630B (en) * 2017-12-29 2022-03-22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WO2024063430A1 (en) * 2022-09-22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output voltage of convert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99B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US1056682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charger
US1039659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20150115339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EP3131178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60143044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5019576A (en) Adaptive impedance tuning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0784707B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US1019987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70016626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75599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50112160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Charger
KR20170139319A (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779747B1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KR20170082309A (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70082281A (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20170105467A (en) Method for wireless transmitting power
KR20200093257A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