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169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5169A KR20150115169A KR1020140039759A KR20140039759A KR20150115169A KR 20150115169 A KR20150115169 A KR 20150115169A KR 1020140039759 A KR1020140039759 A KR 1020140039759A KR 20140039759 A KR20140039759 A KR 20140039759A KR 20150115169 A KR20150115169 A KR 201501151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layer
- displayed
- display
-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판서(writ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제1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판서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도 증대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판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특히, 판서 기능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판서 기능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판서 기능은 판서 기능을 제공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다. 판서 모드로 진입하면 판서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판서 데이터와 연동되어 동작하지 않으므로 판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저장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 한 후 다시 판서 데이터를 불러오면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의 배율이 틀려질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과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이 상이한 경우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 판서 데이터를 동일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더라도 확대 또는 축소되는 중심점이 상이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컨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에도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를 일치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판서(writ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제1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판서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제1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제2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의 표시 영역 및 배율을 일치시켜, 컨텐츠를 확대, 축소 또는 스크롤 하더라도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를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별로 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데이터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화면에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801의 블록도 1800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데이터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화면에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801의 블록도 1800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V,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판서(writing)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판서 데이터란 사용자가 필기로 입력한 문자, 선, 도형, 그림 등의 데이터를 의미 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레이어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제1 레이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레이어를 추가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여 제2 레이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판서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판서 데이터를 기 저장된 다른 판서 데이터로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는 저장부(140)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편집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판서 데이터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동작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Key, 마우스,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종류 및 그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1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10)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리모컨 또는 모션 인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10) 및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가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또는 배경화면(또는, 대기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제2 레이어에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레이어는 제1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20)의 복수의 레이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배경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배경화면 상에 "Awesome!!"이라는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가상의 두 레이어에 의해 도 2의 (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제1 레이어(210) 및 제2 레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이어(210)는 배경화면을 표시하고 있으며, 제2 레이어(220)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이어(220)는 제1 레이어(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레이어는 투명 레이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20)는 도 2의 (a)와 같이 제1 레이어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및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판서 데이터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복수(예: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제2 레이어 및 제3 레이어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레이어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어에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각 레이어에 표시된 판서 데이터는 개별적으로 확대, 축소, 스크롤 또는 편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고정적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 및 가변적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적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 또는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적인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가변 영역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확대, 축소, 스크롤, 또는 편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명칭)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을 확대, 축소, 또는 스크롤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영화 포스터, 영화 순위, 영화 리뷰, 방송 시간표 등의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채팅방 목록, 대화 내용 등의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지도, 목적지까지의 경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판서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 또한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데이터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면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을 판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원 형태의 판서 데이터(30)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판서 데이터(30)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에도 입력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입력된 판서 데이터(30) 중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에 입력된 판서 데이터(40)는 표시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 확대 또는 축소된 컨텐츠의 배율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확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입력된 판서 데이터(30)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50)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확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5의 (b)와 같이 컨텐츠가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확대되면 컨텐츠의 배율과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비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컨텐츠의 배율과 판서 데이터의 배율이 일치하지 않으면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컨텐츠의 배율과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면, 판서 데이터를 스크롤된 컨텐츠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서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등을 표시하는 영역(10)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입력된 판서 데이터(30)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20)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50)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와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6의 (b)와 같이 컨텐츠가 스크롤되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가 스크롤되어 표시되면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스크롤전 픽셀 좌표와 스크롤 후 픽셀 좌표를 비교하여 컨텐츠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스크롤된 컨텐츠와 동일하게 판서 데이터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의 배율과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다른 판서 데이터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6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브젝트(60)는 판서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세 개이면 도 7의 (a)와 같이 세 개의 레이어가 합쳐진 형태의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오브젝트(6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7의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55)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표시될 때,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배율(magnification)과 저장된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컨텐츠의 배율과 판서 데이터의 배율이 일치하지 않으면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컨텐츠의 배율과 일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면 오브젝트(60)에 현재 표시된 판서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오브젝트(6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도 7의 (c)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다른 판서 데이터(50)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6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6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브젝트(60)는 판서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세 개이면 도 8의 (a)와 같이 세 개의 레이어가 합쳐진 형태의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오브젝트(6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리스트(70)가 표시될 수 있다. 리스트(70)는 도 7의 (b)와 같이 판서 데이터를 축소된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리스트(70) 내에 표시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75)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도 8의 (c)와 같이 선택된 판서 데이터(5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판서 데이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레이어에 표시하고, 선택된 판서 데이터를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판서 데이터들이 정렬되어 표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된 판서 데이터들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판서 데이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도 9의 (b)와 같이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레이어에 선택된 판서 데이터(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화면에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는 멀티태스킹 화면에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각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8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및 판서 데이터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태스킹 화면에 표시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5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판서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모서리 좌표, 너비,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 확대 또는 축소된 컨텐츠의 배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가 스크롤되면 컨텐츠의 이동 방향 및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스크롤전 픽셀 좌표와 스크롤 후 픽셀 좌표를 비교하여 컨텐츠의 이동 방향 및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저장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때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컨텐츠의 배율과 판서 데이터의 배율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판서 데이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판서 데이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된 판서 데이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각종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입력부(110)에 입력된 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별로 구분하여 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판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과 판서 데이터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별로 복수의 판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판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입력된 판서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판서 데이터를 배율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판서 데이터의 배율은 판서 데이터를 최초 입력할 때 표시된 컨텐츠의 배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판서(writ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제1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판서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1801의 블록도 1800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 18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80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810, 통신 모듈 18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1824, 메모리 1830, 센서 모듈 1840, 입력 장치 1850, 디스플레이 1860, 인터페이스 1870, 오디오 모듈 1880, 카메라 모듈 1891, 전력관리 모듈 1895, 배터리 1896, 인디케이터 1897 및 모터 18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1810(예: 상기 제어부 13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1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18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8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1820은 상기 전자 장치 1801(예: 상기 전자 장치 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1820은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NFC 모듈 18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18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1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상기 AP 18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18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18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181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810이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8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1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18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18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1823, 상기 BT 모듈 1825, 상기 GPS 모듈 1827 또는 상기 NFC 모듈 18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또는 NFC 모듈 18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또는 NFC 모듈 1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또는 NFC 모듈 18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18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18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8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18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18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및 NFC 모듈 1828이 하나의 RF 모듈 1829를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1821, Wifi 모듈 1823, BT 모듈 1825, GPS 모듈 1827 또는 NFC 모듈 1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8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18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830(예: 상기 저장부 140)은 내장 메모리 1832 또는 외장 메모리 18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1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18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8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1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18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801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8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1840A, 자이로 센서 1840B, 기압 센서 1840C, 마그네틱 센서 1840D, 가속도 센서 1840E, 그립 센서 1840F, 근접 센서 8140G, color 센서 1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1생체 센서 840I, 온/습도 센서 1840J, 조도 센서 1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1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1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1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1850(예: 상기 입력부 11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1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1854, 키(key) 18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8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1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1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1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18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18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18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8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18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18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801은 상기 통신 모듈 18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8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20)은 패널 1862, 홀로그램 장치 1864 또는 프로젝터 18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18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1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1862은 상기 터치 패널 18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18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1866은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1860은 상기 패널 18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1864, 또는 프로젝터 18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18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872, USB(universal serial bus) 1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1876 또는 D-sub(D-subminiature) 18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18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8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1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1882, 리시버 1884, 이어폰 1886 또는 마이크 1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18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시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895는 상기 전자 장치 1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1895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1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896은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18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18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1897는 상기 전자 장치 18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1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18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18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21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S12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의 모서리 좌표, 너비,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제1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1230). 전자 장치(100)는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124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레이어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제1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판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3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판서 데이터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제2 레이어 또는 제3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레이어 또는 제3 레이어는 투명 레이어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50). 제1 레이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지 않으면(S1250-N), 종료한다.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S1250-Y), 확대 또는 축소된 컨텐츠의 배율에 따라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S1260).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가 스크롤되는지 판단하여 컨텐츠가 스크롤되면,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스크롤된 컨텐츠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어에 판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각 레이어에 표시된 판서 데이터는 개별적으로 확대, 축소, 스크롤 또는 편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저장 또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입력된 판서 데이터는 제1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판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판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실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과 판서 데이터를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별로 복수의 판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존재하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다른 판서 데이터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판서 데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판서 데이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레이어에 표시하고, 선택된 판서 데이터를 제2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과 연동된 판서 데이터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제1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제2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Claims (10)
- 사용자로부터 판서(writing)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제1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컨텐츠의 배율에 따라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가 스크롤되면,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상기 스크롤된 컨텐츠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또는 제3 레이어는 투명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제1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판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3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디스플레이 화면의 제1 레이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판단하는 동작;
제1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1 레이어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제2 판서 데이터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는 판서 데이터를 상기 제2 레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편집 가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으로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확대 또는 축소되면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컨텐츠의 배율에 따라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시켜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스크롤되면 상기 제1 판서 데이터 또는 제2 판서 데이터를 상기 스크롤된 컨텐츠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 또는 제3 레이어는 투명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어를 제3 레이어에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제1 판서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판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동작; 및
제3 레이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판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759A KR102266869B1 (ko) | 2014-04-03 | 2014-04-03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US14/678,242 US10331334B2 (en) | 2014-04-03 | 2015-04-03 | Multiple transparent annotation layers for use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9759A KR102266869B1 (ko) | 2014-04-03 | 2014-04-03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5169A true KR20150115169A (ko) | 2015-10-14 |
KR102266869B1 KR102266869B1 (ko) | 2021-06-21 |
Family
ID=5420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9759A KR102266869B1 (ko) | 2014-04-03 | 2014-04-03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331334B2 (ko) |
KR (1) | KR1022668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32609A1 (ko) * | 2017-12-29 | 2019-07-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84115B2 (ja) * | 2016-09-23 | 2020-11-11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超音波診断装置及びプログラム |
WO2020138845A1 (en) * | 2018-12-24 | 2020-07-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backgroun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1187A (ko) * | 2012-03-30 | 2013-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40004868A (ko) * | 2012-07-03 | 2014-0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40021296A (ko) * | 2012-08-10 | 2014-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2014052746A (ja) * | 2012-09-05 | 2014-03-20 | Konica Minolta Inc |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42906B1 (en) * | 1999-02-02 | 2002-01-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nnotation layer for synchronous collaboration |
US6871556B2 (en) * | 2001-07-27 | 2005-03-29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Porous protective solid phase micro-extractor sheath |
US7027056B2 (en) * | 2002-05-10 | 2006-04-11 | Nec Electronics (Europe) Gmbh | Graphics engine, and display driver IC and display module incorporating the graphics engine |
US8166388B2 (en) | 2002-05-14 | 2012-04-24 | Microsoft Corporation | Overlaying electronic ink |
US6867786B2 (en) * | 2002-07-29 | 2005-03-15 | Microsoft Corp. | In-situ digital inking for applications |
US7284192B2 (en) * | 2004-06-24 | 2007-10-16 | Avaya Technology Corp. | Architecture for ink annotations on web documents |
US7577902B2 (en) * | 2004-12-16 | 2009-08-18 |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annotating pages of a 3D electronic document |
US20120306749A1 (en) * | 2011-05-31 | 2012-12-06 | Eric Liu | Transparent user interface layer |
US9304612B2 (en) * | 2014-03-07 | 2016-04-05 | Lenovo (Singapore) Pte. Ltd. | Off-screen input capture for mobile device |
US10127700B2 (en) * | 2014-03-31 | 2018-11-13 | Samsung Display Co., Ltd. | Generation of display overlay parameters utilizing touch inputs |
-
2014
- 2014-04-03 KR KR1020140039759A patent/KR1022668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4-03 US US14/678,242 patent/US1033133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1187A (ko) * | 2012-03-30 | 2013-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40004868A (ko) * | 2012-07-03 | 2014-0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40021296A (ko) * | 2012-08-10 | 2014-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2014052746A (ja) * | 2012-09-05 | 2014-03-20 | Konica Minolta Inc |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32609A1 (ko) * | 2017-12-29 | 2019-07-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US11460979B2 (en) | 2017-12-29 | 2022-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6869B1 (ko) | 2021-06-21 |
US20150286392A1 (en) | 2015-10-08 |
US10331334B2 (en) | 2019-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35433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contents using a plurality of displays | |
US10025451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screen | |
CN106060378B (zh) | 用于设置拍摄模块的装置和方法 | |
TWI522894B (zh) | 用於電子元件中的方法、電腦程式產品以及非暫時性電腦可讀記錄媒體 | |
KR102599383B1 (ko) |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
US991053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o the method | |
CN105426035B (zh) | 用于提供信息的方法和电子装置 | |
KR102219861B1 (ko) |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20160004425A1 (en) |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 |
EP3992786A1 (en) |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50127989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US11681411B2 (en) | Method of selecting one or more items according to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20150100394A (ko) |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 |
US20150143277A1 (en) | Method for changing an input mode in an electronic device | |
KR20150138742A (ko) | 컨텐츠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WO2022135186A1 (zh) | 设备控制方法和终端设备 | |
KR20160001076A (ko) |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
KR20150076955A (ko) |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
US10331334B2 (en) | Multiple transparent annotation layers for use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103033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content change | |
KR20160027699A (ko)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150105005A (ko)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2151705B1 (ko) | 영상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
KR20150140012A (ko) |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 |
KR101667721B1 (ko) |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