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068A -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 Google Patents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068A
KR20150114068A KR1020140037705A KR20140037705A KR20150114068A KR 20150114068 A KR20150114068 A KR 20150114068A KR 1020140037705 A KR1020140037705 A KR 1020140037705A KR 20140037705 A KR20140037705 A KR 20140037705A KR 20150114068 A KR20150114068 A KR 2015011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map data
screen
current position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수
경미현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068A/en
Publication of KR2015011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0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isplay method used when a map screen is moved.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is used to actively adjust the scale of a map when the map is moved while outputting map data through a touchscreen in order to output the initial location and the moved location at the same time within the screen and without making the initial location leave the screen due to the fixed scale of the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to move the map data output to the screen area through an input unit of a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area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 third step of moving the map data to arrange the moved location in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the current location in the second step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creen area; a fourth step of adjust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to make the current location be in the screen area; and a fifth step of outputting the map data to include the moved loc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 the screen area.

Description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n a map screen,

본 발명은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여 지도를 이동하는 경우, 고정된 지도의 축척으로 인해 최초 위치가 화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최초 위치와 이동되는 위치를 같은 화면 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능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n moving a map scree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on a map screen by displaying map data on a touch screen and moving the m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display method for moving a map screen to actively change the scale of a map so that the moved position can be output in the same screen.

내비게이션 등의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이동체의 위치정보 및 속도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표시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지도상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기도 한다.A terminal for outputting map data such as a navigation system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GPS satellites and displays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ing object on the stored map data,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lso, the route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input source and destination, and the route from the map data to the destination is guided using the searched route.

이러한 내비게이션 또는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기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의 입력에 따라 경로가 탐색되는 경우, 해당 경로를 한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 지도의 축적을 변경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있다. When a route is searched according to an input of a source and a destination in a terminal that outputs navigation or map data, the accumulation of the map is changed and displayed on a screen in order to display the route on one screen.

그러나, 경로 탐색에 따라 전체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지도를 확인하는 경우,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를 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지도 축척으로 변경하여 확인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 does not intend to show the entire route according to the route search, if the user confirms the map through the screen, the user can change the map location to an appropriate map scale in order to display the desired location on one screen.

종래기술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267호(2011.05.25)의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경로를 한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해 지도의 축적을 변경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e "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55267 (May 25, 2011) discloses accumulation of a map in order to output a rout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source and destination setting on one screen Is known.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전체 경로뿐만 아니라 구간 경로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해당 구간 경로가 내비게이션의 전체 화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rt includes a technique of changing the scale of a map so that a corresponding section path can be included in the entire screen of navigation even when confirming not only an entire route but also a section route.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기술은 출발지와 목적지가 설정되고 난 이후에 전체 경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수행하는 것일 뿐,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경우 또는 출력된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통해 지도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축척의 지도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를 확인해야 한다.However, as in the prior art, the technique of changing the map scale is only performed to show the entire path to the user after the start point and the destination are set.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route guidance or moving the output map data The map data of the same scale must be continuously moved through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to confirm the desired position.

이때, 터치 이동을 통해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면서 다른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초기에 위치한 지역은 내비게이션의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되어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ap data is moved through the touch movement and the map data of another area is to be checked, the initially located area is moved out of the screen area of the navigation and not outputted.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지도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로부터 원하는 위치까지 지도를 이동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를 통해 지도 데이터를 몇 번 이동하게 되면, 지도 데이터에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은 지도 이동에 따라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되며, 터치 이동에 따른 위치가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해당 이동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n general, when a user confirms map data, he can check the map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ired location. However, when the map data is moved a few times through the touc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in the map data is moved out of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map movement,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movement is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

이때, 사용자는 이동된 위치의 지도 데이터 영역을 확인할 수 있지만, 현재 위치로붙 이동 위치까지의 전체 도로 형태나 실제 거리 등을 같은 화면에서 보기 위해서는 현재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된 현재 위치를 이동된 위치와 같은 화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도록 증가시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confirm the map data area of the moved position. However, in order to view the entire road form to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actual distance, etc. on the sam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position must be increased to be output in the same screen area as the moved position.

또한, 현재 위치로부터 지도 화면 이동에 따른 이동 위치를 축척 변경을 통해 같은 화면에 출력한 이후, 다시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변경한 축척을 다시 복원시킨 후, 터치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 이동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position to move again after outputting the mov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p screen from the current position on the same screen by changing the scale, the previously changed scale is restored again,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of performing map screen movement.

또한, 내비게이션의 지도 데이터는 특정 몇 가지의 축척으로 이루어진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지도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경우, 지정된 몇 가지의 축척으로만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축척 또는 현재 위치와 지도 데이터를 이동한 이동 위치에 적합한 축척으로의 지도 데이터 출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p data of the navigation stores map data having a certain number of scales, when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map screen is performed, the map data is output only at a specified number of scal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utput the map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scale position suitable for the movement position where the map data is m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에서 '강남구 논현동'의 현재 위치로부터 '잠실 종합운동장역'을 확인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a)에 도시된 '강남구 논현동'의 현재 위치로부터 지도 화면을 연속적으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통해 '잠실 종합운동장역'까지 지도 화면을 이동시켜 해당 (b)에 도시된 '잠실 종합운동장역' 부근의 지도 화면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Jamsil Sports Complex St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Nonhyun-dong, Gangnam-gu' in the map data, he or she continuously displays the map scree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Nonhyun- The map screen is moved to the 'Jamsil general playground station' through touch or touch dragging so that a map screen in the vicinity of 'Jamsil general playground station' shown in (b)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이러한 경우, 지도 데이터에서 '잠실 종합운동장역'의 위치 및 방향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만 해당 '잠실 종합운동장역' 방향으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통해 지도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p screen can be moved through touch or touch drag in the direction of the 'Jamsil comprehensive playground station' only if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Jamsil general playground station' are accurately known in the map data.

또한, 지도 화면을 이동시키는 경우, 현재 위치인 '강남구 논현동'은 이동되는 지도 화면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에서 사라지기 때문에 이동 위치인 '잠실 종합운동장역'과 현재 위치인 '강남구 논현동'과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p screen is moved, since the current position 'Nonhyeon-dong, Gangnam-gu' disappears from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ving map screen, the distance between 'Jamsil general athletics station' And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can not easily be confirmed.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FIG. 2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인 '강남구 논현동'으로부터 '잠실 종합운동장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축척을 (b)와 같이 증가시켜 화면을 축소시키고, (c)와 같이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여 시킴으로써 하나의 지도 화면에 현재 위치인 '강남구 논현동'과 이동 위치인 '잠실 종합운동장역'을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a) of FIG. 2, in order to confirm the 'Jamsil Sports Complex St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Nonhyun-dong, Gangnam-gu', the scale of the map is increased as shown in (b) By moving the map data as shown in (c), it is possible to display both the current location 'Nonhyun-dong' in Gangnam-gu and the 'Jamsil general athletic area' in the moving map.

이후, 이동 위치인 '잠실 종합운동장역'의 세부 확인을 위해서는 (d)와 같이 이동 위치인 '잠실 종합운동장역'을 지도 화면의 중심에 위치시킨 후, (e)와 같이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감소시켜 화면을 확대시킨 후 세부 확인을 수행한다.In order to check the details of the 'Jamsil Sports Complex Station' at the moving location, the 'Jamsil Sports Complex Station', which is the moving loca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p screen as shown in (d) And enlarges the screen to perform detailed checking.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지도 데이터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모두 하나의 지도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지도 데이터의 이동 위치를 확대함으로써 세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를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hown in FIG. 2, since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are both outputted on a single map screen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map data and the detailed position can be confirmed by enlarg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map data, complicated procedures are performed .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기에서 지도 화면의 이동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위치와 이동되는 위치를 단말기의 출력 화면에 함께 출력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p display apparatus, have.

또한, 본 발명은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터치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며, 현재위치를 이동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동일한 화면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for displaying a map screen, the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So as to change the scale of the map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am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드래그에 의해 이동된 지도 화면의 중심과 현재위치를 이동된 지도 화면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도록 동일한 화면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p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map screen on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a map screen, There is another purpose of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ame screen so as to b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함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되는 위치가 함께 지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한 이후에 소정 시간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지도 화면의 중심에 위치시키되, 지도의 축척을 변경되기 이전의 축척으로 복구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ap screen is moved using a touch or a touch drag on the touch screen, a touch inpu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cale of the map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d position are displayed on the map screen together There is another purpose of restoring the scale of the map to a scale before the position of the map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함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되는 위치가 함께 지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함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가 지정된 축척에 한정되어 변경되지 않고,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하나의 화면 영역에 모두 출력될 수 있는 축척으로 변경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anging a scale of a map so that a current position and a moved posi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a map screen by moving a map screen using a touch or a touch drag on a touch screen, There is another purpose for chang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 a scale at which both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be outputted in one screen area without being limitedly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에서 지도 화면의 이동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위치와 이동되는 위치를 내비게이션의 메인 화면 위에 보조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초기 축척을 이용한 이동 위치의 지도 데이터를 메인 화면에서 출력하고,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모두 출력되도록 축척이 변경된 지도 데이터를 보조 화면에서 출력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In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map screen is performed in the navigation for outputting the map data,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d position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navigation system, Is outputted from the main screen and the map data whose scale is changed so that both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ted is outputted from the sub scree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지도 데이터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에 포함되도록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화면 영역에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가 포함되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map data,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o a screen area through an input unit of a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 of the screen area if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A third step of moving the map data,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included in the screen area, a step of outputting the map data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the screen area And a fifth step of displaying the map scree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도 데이터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메인 화면 영역 내에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위치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보조 화면 영역 내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이동 위치가 포함되도록 상기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메인 화면 영역 및 상기 보조 화면 영역에 각각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display method of map data, which comprises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ted to a main screen area through an input unit of a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and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moving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main screen area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in the main screen area; and a fourth step of moving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are included in the sub screen area. A fifth step of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sub screen area, and Group is achieved by the main display region and a map screen when the mobile screen display method comprises a sixth step of respectively outputting the map data to the second screen region.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은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에서 지도 화면의 이동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위치와 이동되는 위치를 내비게이션의 출력 화면에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되는 위치 및 도로 현황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displaying a map on moving map screen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a current position and a moved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of navigation when a map screen is moved in navigation for outputting map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where the user is moved and the road status can be easily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은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터치된 위치를 화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며, 현재위치를 이동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도록 하여 동일한 화면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함으로써,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사용자 입력 없이도 함께 출력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for displaying a map screen, the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be output together by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be output together without user input.

또한, 본 발명은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하는 경우, 드래그에 의해 이동된 지도 화면의 중심과 현재위치를 이동된 지도 화면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화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도록 동일한 화면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함으로써,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사용자 입력 없이도 함께 출력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p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map screen on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a map screen,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be output together without user input by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 together on the same screen so that they are positioned on the same screen.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함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되는 위치가 함께 지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한 이후에 소정 시간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지도 화면의 중심에 위치시키되, 지도의 축척을 변경되기 이전의 축척으로 복구함으로써, 지도 데이터의 이동에 따라 지도 데이터 축척의 확대 또는 축소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ap screen is moved using a touch or a touch drag on the touch screen, a touch inpu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cale of the map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d position are displayed on the map screen together The map data can be automatically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by restoring the map scale to the scale before the scale is changed by positioning the movement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map screen,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을 이동함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되는 위치가 함께 지도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도의 축척을 변경함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가 지정된 축척에 한정되어 변경되지 않고,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하나의 화면 영역에 모두 출력될 수 있는 축척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다양한 축척을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anging a scale of a map so that a current position and a moved posi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a map screen by moving a map screen using a touch or a touch drag on a touch screen,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various scales can be used by chang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 a scale that can be output in one screen area without being limitedly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에서 지도 화면의 이동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위치와 이동되는 위치를 내비게이션의 메인 화면 위에 보조 화면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두 가지 이상의 축척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ap screen is moved in navigation for outputting map data, a current position and a position to be moved are generated and displayed on a main screen of the navigation system to display map data for two or more scales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이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hif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second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100)는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he terminal 100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may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not shown) and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n the map data .

따라서, 단말기(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110),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부(120), GPS 수신부(110)에서 판단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에 맵핑하기 위한 제어부(130)와 제어부(130)에서 맵핑된 지도 데이터와 현재 위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0 includes a GPS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a map data unit 120 for storing map data,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determined by the GPS receiving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40 for outputting the map data mapped by the controller 130 and the current position.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31)와 지도 데이터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설정하기 위한 축척 설정부(132)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n input unit 131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from the user, and a control unit 130 for sett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And a scale setting unit 132 for setting the scale.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영역에는 GPS 수신부(110)에서 판단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지도 데이터부(1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후, 화면 영역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는 입력 신호가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위치가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되, 축척 설정부(132)가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p data stored in the map data part 120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determined by the GPS receiving part 110 is output to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rt 140 do. When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output to the screen area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31, the control unit 130 moves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inputted input signal, and moves the current position out of the screen area The scale setting unit 132 changes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screen are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이때,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 위치가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지도 데이터에서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의 밖으로 벗어난 경우에 해당 현재 위치가 해당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증가시켜 지도 데이터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out of the screen area in the map data moved so that the moving position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the current position is positioned in the corresponding screen area Thereby increas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map data can be reduced.

또한,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다시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되,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현재 위치를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축척 설정부(131)에서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When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input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30 causes the moving position moved by the input signal again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If the current position is not included in the screen area, the scale setting unit 131 changes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included in the screen area.

한편,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되,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초기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 변경한다.If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received, the controller 130 positions the moving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area is initially changed to the scale of the map data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즉, 지도 데이터 이동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표시하기 위해 지도의 축척을 변경한 경우,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고, 현재 위치를 다시 이동된 위치와 하나의 화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That is, when the scale of the map is changed in order to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on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when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map data is moved and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displayed on the moved position and one screen area.

반면,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동시에 출력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 것을 원래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 변경하여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 change of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changed to a scale of the original map data in order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one screen area And outputs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to the screen area.

또한, 지도 데이터의 이동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면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되,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중지 신호에 따라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동시에 출력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 것을 원래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 변경하여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on on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outputted by the user while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is changed to the scale of the original map data by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to the scale of the original map data so as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on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stop signal Output.

한편, 원래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 변경된 이동 위치가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경우,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ing position changed by the scale of the original map data is output to the screen area, the screen image of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 to the screen area by any on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do.

이때, 화면 영역에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출력을 대신하여 화면 영역에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에 출력할 때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생성된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and the real image in the screen area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output of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when a separat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f the inpu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he sub screen area can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generated sub screen area when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 to the screen area.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o the sub screen are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y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or the re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40)의 메인 화면 영역에는 GPS 수신부(110)에서 판단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지도 데이터부(1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후,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는 입력 신호가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되,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도 데이터를 출력시키고, 메인 화면 영역 내에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The map data stored in the map data part 120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determined by the GPS receiving part 110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of the display part 140. [ do. When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31, the control unit 130 moves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inputted input signal, The map data is outputted such that the corresponding moving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and a sub screen area is created in the main screen area so that both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are displayed in the sub screen area,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ted to the area is changed.

이때,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 위치와 현재 위치를 보조 화면 영역의 최외곽에 위치하도록 출력된다. 즉, 보조 화면 영역 내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함께 출력될 수 있는 축척 중에서 가장 작은 비율의 축척으로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At this time,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sub screen area is outputted so that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re located at the outermost of the sub screen area. That is,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changed at the scale of the smallest scale among the scales at which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 together in the sub screen region.

또한,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다시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되,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와 다시 이동된 이동 위치가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해당 현재 위치와 다시 이동된 이동 위치를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축척 설정부(131)에서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When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input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30 causes the moving position moved by the input signal again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I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d position are not included in the sub screen region, the scale setting unit 131 changes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d position moved back can be included in the sub screen region .

반면,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되, 보조 화면 영역은 삭제한다. 즉, 제2 실시예는 지도 데이터의 이동에 따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지 않으며,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보조 화면 영역에 함께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f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if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received, the controller 130 places the moving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Delete the sub screen area. 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change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ted to the main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but also generates the sub screen area and outputs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gether in the sub screen area.

따라서,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이내에 재입력되지 않거나,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수신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생성한 보조 화면 영역을 삭제하고, 메인 화면 영역만을 출력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re-input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inputted from the user and received,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ted on one screen And deletes the generated auxiliary screen area and outputs only the main screen area.

한편,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생성한 보조 화면 영역을 삭제하는 경우,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eleting the generated sub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on one screen, the screen image for the movement position may be displayed as any on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The above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이때, 화면 영역에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출력을 대신하여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할 때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생성된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and the real image in the screen area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output of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when a separat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case where no additional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sub screen area can be generated and outputted to the generated sub screen area when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o the sub screen are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y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or the re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기(100)는 내비게이션, PC,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타블렛 PC, 노트북 등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for outputting map data may be any type of terminal for outputting map data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 PC, a smart pad,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

또한, 사용되는 단말기(100)는 GPS 수신부(110)가 구비되어야 하나, PC 등과 같이 GPS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의 현재 위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현재 위치, 또는 네트워크 신호를 이용한 위치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현재 위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to be used must have a GPS receiving unit 110, but a current position in a terminal such as a PC, which does not have a GPS receiving uni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urrent position designated by the user, The current location, etc., can be used.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131)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등으로 구비되며, 이를 통해 터치 입력 또는 터치 드래그 입력을 통해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말기 종류에 따라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카메라 또는 센서 등으로 입력되는 제스처(gesture), 조이스틱(joy stick), 음성 등을 사용하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31 for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thereby generating an input signal through a touch input or a touch drag input. In addition,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using an input unit using a gesture, a joystick, a voice, or the like that is input to a mouse, a stylus pen, a camera, or a sensor according to various terminal types .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영역 또는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표시되는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 이미지 또는 아바타 등은 해당 화면 영역 또는 보조 화면 영역 이내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con, an image, or an avatar for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or the sub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s preferably output within the corresponding screen area or sub screen area.

또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화면 영역 또는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표시되는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는 상호 직선으로 연결되어 출력되며, 출력되는 직선은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 사이의 거리가 함께 출력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or the sub screen are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traight line, and the outputted straight line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

또한, 제2 실시예에서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이동 위치는 메인 화면 영역 밖에 위치하는 현재 위치와 직선으로 상호 연결되며, 메인 화면 영역 내에서 해당 직선이 출력되고, 직선은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 사이의 거리가 함께 출력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ving position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is connected to the current position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by a straight line, the corresponding straight line is output in the main screen area, Are output together.

축척 설정부(132)는 지도 데이터부(120)에 저장된 다양한 축척의 지도 데이터에서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는 축척의 지도 데이터를 판단하여 해당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scale setting unit 132 determines map data of a scale capable of output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one screen area in map data of various scales stored in the map data unit 120 and outputs the map data.

또한, 축척 설정부(132)는 저장된 다양한 축척의 지도 데이터 이외에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출력하기 위해 판단된 축척이 지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축척과 상이한 경우, 판단된 축척의 상위 레벨의 지도 데이터를 확대하거나, 판단된 축척의 하위 레벨의 지도 데이터를 축소함으로써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stored scale data of the various scales, the scale setting unit 132 may set the determined scale to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one screen area, different from the various scales stored in the map data storage unit. The map data of the upper level is enlarged or the map data of the lower level of the determined scale is reduc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be outputted in one screen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이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받는다(S110).FIG. 4 is a flow chart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f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1 (S110).

입력 신호를 입력받기 이전의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영역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A)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현재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The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map data before receiving the input signal shows an icon representing the current position A and a scale (a) of the map data currently output as shown in FIG. 5A .

이후,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 영역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경우,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되는지를 판단한다(S120).When the map data outputted to the screen are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31 and the moving position move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moved out of the area (S120).

즉,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하나의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map data is move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included in one screen area.

S12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된 지도 데이터에서의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된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한다(S140).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ed map data is out of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20, the map data is moved so that the moved 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140).

또한, 화면 영역을 벗어난 현재 위치를 이동 위치와 함께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S150).In addition,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screen area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utside the screen area can be included in the screen area together with the movement position (S150).

지도 데이터의 축척 변경은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되, 현재 위치를 화면 영역 이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도 데이터의 축소를 수행한다.The scale change of the map data is performed by reducing the map data by increas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movement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and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이후,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S160).The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 to one screen area (S160).

출력되는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는 상호 연결되는 직선이 표시되며, 직선에는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 간의 거리가 표시된다.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output are displayed 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with each other, and the straight line show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S160 단계에서의 화면 영역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는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동일한 화면 영역 내에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 위치(C)가 화면 영역의 중심에 출력되도록 지도 데이터를 위치시키되, 현재 위치(A)가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축척(ⓑ)을 변경하여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5, in the screen area in step S160, since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can not be output within the same screen area as the scale (a) of the map data indicating the initial current position, The map data can be outputted by locating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C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and changing the scale b to allow the current position A to be included in the screen area.

이때,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를 상호 연결하는 직선과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 사이의 거리를 직선에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C and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C can be displayed on a straight line.

S160 단계에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도록 축척이 변경된 지도 데이터가 출력된 이후,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After the map data whose scale has been changed so as to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gether in the screen area in step S16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input unit (S170).

만약,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S120 단계부터 재수행한다.If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rocess starts from step S120.

즉, 추가적으로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S12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여 재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할 때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와 재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That is, when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additionally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outside the screen area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re- If it is not included in the area,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moving position can be outputted together in one screen area.

만약 S170 단계에서 일정 시간 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되,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현재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출력한 S110 단계에서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축척의 지도 데이터를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S180).If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input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S170, the movement 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to output the map data, and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set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In step S110, the map data is changed to the scale of the map data, and the map data of the changed scale is output to the screen area (S180).

즉, 일정 시간 내에 지도 데이터를 추가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축척 증가에 따라 지도 데이터가 축소되어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한 지도 데이터를 원래의 축척으로 변경(축척을 감소하여 지도 데이터를 확대)하여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나타나도록 한다.That is, if an input signal for further movement of the map data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map data is reduc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scale, and the map data output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gether is changed to the original scale Map data is enlarged)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이 경우, 지도 데이터를 원래의 축척으로 변경함에 따라 지도 데이터가 확대되기 때문에 현재 위치는 화면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동 위치와 그 주변에 대한 지도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map data is enlarged by changing the map data to the original scale, the current position is not included in the screen area, and the map data about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periphery thereof can be output.

따라서, S180 단계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최초 축척인 도 5의 (a)에서의 축척(ⓐ)과 동일하게 변경하여 이동 위치(C)를 화면 영역에 출력하고, 현재 위치는 변경된 축척(ⓐ)에 따라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된다.5 (d), the scale (a) of the map data is changed to the scale (a) in FIG. 5 (a) To the screen area, and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 of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changed scale (a).

이 경우에도 이동 위치(C)와 현재 위치 사이에는 직선이 연결되어 출력되며, 이동 위치(C)와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함께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straight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movement position C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ement position C and the current position is output together.

한편, S120 단계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되,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동일한 축척에서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S130). 이때의 현재 위치는 화면 영역 내에 표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p data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in step S120 and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at the same scale, the map data in which the movement posi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output (S130). The current position at this time is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S130 단계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변경되지 않으며,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5, even if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so that the scale (a) of the moved map data is not changed, The map data can be outputted by positioning the movement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이때에도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B) 사이에는 직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B) 사이의 거리가 직선에 포함되어 출력된다.At this time, a straight line is also connected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B is included in the straight line and outputted.

한편, S180 단계 이후에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180, the screen image of the moving position can be output to the screen area by any one or mor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or a real image.

이때, 화면 영역에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출력을 대신하여 화면 영역에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에 출력할 때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생성된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and the real image in the screen area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output of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when a separat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f the inpu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he sub screen area can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generated sub screen area when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 to the screen area.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o the sub screen are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y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or the re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화면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받는다(S210).FIG. 6 is a flow chart for perform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screen movement of map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f the terminal 100 is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1 (S210).

입력 신호를 입력받기 이전의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화면 영역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A)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현재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7A, the main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map data before receiving the input signal shows an icon representing the current position A and a scale (a) of the map data currently output have.

이후, 입력부(131)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함에 따라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경우, 현재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 밖으로 이동되는지를 판단한다(S220).When the mov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as the map data outputted to the main screen are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part 131,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moved out of the main screen area (S220).

즉,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map data is moved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included in the main screen area.

S22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동된 지도 데이터에서의 현재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역 내에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한다(S240). 보조 화면 영역은 메인 화면 영역 보다 작게 형성되며, 메인 화면 영역 내에서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함께 출력되는 현재 위치가 출력되는 위치에 따라서 메인 화면 영역의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등의 위치에 보조 화면 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ed map data is out of the main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220, a sub screen area is created in the main screen area (S240). The auxiliary screen are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main screen area. The sub screen area is divided into a left top, a bottom left corner, an upper right corner, and a right lower corner of the main screen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t which the current position, Area can be output.

이후,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된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한다(S250).Thereafter, the map data is moved so as to position the moved position shift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o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S250).

또한, 메인 화면 영역을 벗어난 현재 위치를 이동 위치와 함께 보조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도록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한다(S260).In addition, the scal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sub screen area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can be included in the sub screen area together with the movement position (S260).

지도 데이터의 축척 변경은 이동 위치와 현재 위치를 보조 화면 영역 내에 위치시키되,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각각 보조 화면 영역의 최외곽에 위치하도록 하여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출력하는 지도 데이터가 가장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scale change of the map data places the moving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 the sub screen area,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outermost of the sub screen area, and the map data for output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is enlarged Output.

이후, 축척이 변경되지 않은 지도 데이터에서의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며, 현재 위치 및 이동 위치를 하나의 화면 영역에 출력하기 위해 축척을 변경한 지도 데이터를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S270).Thereafter, the moving position in the map data whose scale has not been changed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and the map data whose scale is changed is outputted to the sub-screen area to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position in one screen area (S270 ).

메인 화면 영역과 보조 화면 영역에 각각 출력되는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는 상호 연결되는 직선이 표시되며, 직선에는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 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한편, 메인 화면 영역에서는 현재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동 위치로부터의 직선은 메인 화면 영역 밖에 위치하는 현재 위치 방향을 향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and the sub screen area is displayed, and the straight line show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main screen area, since the current position is not included in the main screen area, a straight line from the moving position is preferably output toward the current position direction locat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S270 단계에서의 화면 영역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으로는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를 동일한 메인 화면 영역(main) 내에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이동 위치(C)가 메인 화면 영역(main)의 중심에 출력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고, 이동된 지도 데이터를 메인 화면 영역(main)에 출력하되, 메인 화면 영역(main) 내에 생성된 보조 화면 영역(sub)에는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가 포함될 수 있도록 축척을 변경하여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7, the screen area in step S270 includes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ing position C as the main screen area ( the map data is shifted so that the shift position C is outputted to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main without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and the shifted map data is shifted to the main screen area main The map data can be output by changing the scale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ing position C are included in the sub screen area sub generated in the main screen area main.

이때,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를 상호 연결하는 직선과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C) 사이의 거리를 직선에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C and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C can be displayed on a straight line.

S270 단계에서 지도 데이터의 축척이 변경되지 않은 이동 위치를 출력하는 메인 화면 영역과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기 위해 축척을 변경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조 화면 영역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이후,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80).After the main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movement position where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not changed and the sub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map data for which the scale is changed to outp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gether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in step S270,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input unit (S280).

만약, 일정 시간 이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S220 단계부터 재수행한다.If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process starts from step S220.

즉, 추가적으로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S22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하여 재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할 때 현재 위치가 메인 화면 영역의 밖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메인 화면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이동 위치에 따라 이동된 지도 데이터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고, 현재 위치와 재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축척을 변경한 지도 데이터를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That is, if the input signal for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further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re- When the map data is not included in the main screen area, map data moved according to the re-moving position is outputted to the main screen area, and map data in which the scale is chang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re- do.

만약 S280 단계에서 일정 시간 내에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인 화면 영역은 유지하여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시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되, 보조 화면 영역은 삭제한다(S290).If the input signal for moving the map data is not input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S280, the main screen area is maintained, the moving positi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to output map data, and the sub screen area is deleted S290).

즉, 일정 시간 내에 지도 데이터를 추가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한 보조 화면 영역을 삭제하고, 메인 화면 영역만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이동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에는 직선이 연결되어 출력되며, 이동 위치와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함께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f an input signal for further moving the map data is not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sub screen area in which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outputted together is deleted, and only the main screen area is outputted.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straight line is connected between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s output together.

한편, S220 단계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되,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동일한 축척에서 메인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S230). 이때의 현재 위치는 화면 영역 내에 표시된다.If the map data is located in the main screen area at the same scale where the current position is not change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in step S220. (S230). The current position at this time is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S230 단계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에 따라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현재 위치가 화면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현재 위치와 이동 위치를 함께 출력하기 위한 보조 화면 영역은 생성되지 않으며,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7, since the current position is located within the screen area even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he sub screen area for output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togethe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map data by positioning the movement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이때에도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B) 사이에는 직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현재 위치(A)와 이동 위치(B) 사이의 거리가 직선에 포함되어 출력된다.At this time, a straight line is also connected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A and the movement position B is included in the straight line and outputted.

한편, S290 단계 이후에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290, a screen image of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ted to the main screen area by at least on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and a real image.

이때, 화면 영역에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출력을 대신하여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 위치를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할 때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여 생성된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and the real image in the screen area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output of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when a separate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case where no additional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sub screen area can be generated and outputted to the generated sub screen area when the moving position is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또는 실사 이미지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outputting to the sub screen area,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y one of the aerial image, the satellite image, the road view, or the re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단말기 110 : GPS 수신부
120 : 지도 데이터부 130 : 제어부
131 : 입력부 132 : 축척 설정부
140 : 디스플레이부
100: terminal 110: GPS receiver
120: map data unit 130:
131: input unit 132: scale setting unit
140:

Claims (23)

지도 데이터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위치를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에 포함되도록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화면 영역에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이동 위치가 포함되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A screen display method of map data,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o a screen area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screen area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 third step of moving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included in the screen area; And
A fifth step of outputting the map data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the screen area;
And displaying the map on th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제6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화면 영역에 위치시키며, 상기 지도 데이터가 확대 되도록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제7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fifth step,
A six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o a screen area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is received;
Wherein when the input signal is not received or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received in the fifth step,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screen area, and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enlarged The seventh step
And displaying the map on the display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current position is not moved outside the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move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move the moved map data to the screen area And outputting the displayed map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단계부터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input signal is received in the sixth step, it is re-executed from the second step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패드, 제스처(gesture), 조이스틱(joy stick)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mouse, a stylus pen, a touch pad, a gesture, a joystick, or a voice.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상기 화면 영역 내에서 상기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상기 화면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의 축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ale of the map data in the fourth step is a scal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ic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within the screen area does not deviate from the screen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제1 단계에서 출력된 지도 데이터와 동일한 축척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changing the scale of the map data in the sixth step is changed to the same scale as the map data outputted in the first step.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이동 위치는 직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nd outputted to the screen are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위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raight line indicates a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movement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화면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은 상기 이동 위치가 상기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ep of moving the moving position to the screen area moves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 이후 상기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displaying the screen image of the moving position after the seventh step on the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and a real image, Display method.
지도 데이터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가 이동되는 경우, 현재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메인 화면 영역 내에 보조 화면 영역을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위치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
상기 보조 화면 영역 내에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이동 위치가 포함되도록 상기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을 변경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메인 화면 영역 및 상기 보조 화면 영역에 각각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A screen display method of map data,
A first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o a main screen area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terminal;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when the map data is mov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 third step of creating a sub screen area in the main screen area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moved out of the main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moving the map data so that the movement position is located in the main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 the main screen area;
A fifth step of changing scale of map data output to the sub screen area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are included in the sub screen area; And
A sixth step of outputting map data to the main screen area and the sub screen area,
And displaying the map on the scree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지도 데이터의 이동을 중지하기 위한 중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보조 화면 영역을 삭제하고,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위치시킨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제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ixth step,
A seven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signal for moving map data output to the main screen area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terminal is received;
If the input signal is not received or a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map data is received in the fifth step, the sub screen area is deleted and the map data in which the movement position is located in the main screen area To the main screen area
And displaying the map on the display scree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밖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 위치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지도 데이터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f the current position is not moved outside the main screen area in the second step, move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in the main scree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are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4 단계부터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when the input signal is received in the seventh step, the process is resumed from the fourth step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패드, 제스처(gesture), 조이스틱(joy stick) 또는 음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mouse, a stylus pen, a touch pad, a gesture, a joystick, or a voice. W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은 상기 보조 화면 영역 내에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각각의 아이콘이 상기 보조 화면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의 축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cale of the map data in the fifth step is a scale within a range in which each ico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in the sub screen area does not deviate from the sub screen area. How to displ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이동 위치는 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ement position output to the sub screen region are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위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raight line indicates a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movement posi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에서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는 상기 이동 위치는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출력되지 않은 상기 현재 위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ovement position output to the main screen region in the eighth step is connected to the current position that is not output in the main screen region in a straight lin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위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traight line indicates a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movement position.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은 상기 이동 위치가 상기 메인 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Wherein the step of moving the moving position to the main screen area moves the map data so that the moving posi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ain screen are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 이후 상기 이동 위치에 대한 화면 영상을 항공영상, 위성영상, 로드뷰(road view),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화면 이동 시 화면 표시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displaying the screen image of the moving position after the eighth step on the main scree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erial image, a satellite image, a road view, and a real image, How to display.
KR1020140037705A 2014-03-31 2014-03-31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KR201501140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05A KR20150114068A (en) 2014-03-31 2014-03-31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05A KR20150114068A (en) 2014-03-31 2014-03-31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068A true KR20150114068A (en) 2015-10-12

Family

ID=5434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705A KR20150114068A (en) 2014-03-31 2014-03-31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06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49A1 (en) * 2015-11-18 2017-05-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desired point and method for setting travel route of moving body
CN108351644A (en) * 2015-11-18 2018-07-31 韩华泰科株式会社 The setting method of desired point and the enforcement route setting method of moving bo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49A1 (en) * 2015-11-18 2017-05-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desired point and method for setting travel route of moving body
CN108351644A (en) * 2015-11-18 2018-07-31 韩华泰科株式会社 The setting method of desired point and the enforcement route setting method of moving body
US10962382B2 (en) 2015-11-18 2021-03-30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for setting target point and method for setting travel rout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980B2 (en) Mapping application with interactive compass
US10733776B2 (en) Gesture based controls for adjusting display areas
US8963849B2 (en) Display input device
US20170123618A1 (en) Dynamic user interface for map applications
US11567622B2 (en) Navigation application with novel declutter mode
KR20170046675A (en) Providing in-navigation search results that reduce route disruption
JP6838563B2 (en) On-board unit, display area divis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control device
CN106687905B (en) Tactile sensation control system and tactile sensation control method
US20210335128A1 (en) Traffic Notifications During Navigation
WO201318454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ransition animation for a map view change
US20140152562A1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system, storage medium and method
KR10130734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 on a map of mobile terminal
KR20150114068A (en) A screen display method when you have moved the map screen
KR1012965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image data
JP6284426B2 (en) Route output device and route output method
US201602530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248400B1 (en) navigation system displaying 3D type child POI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JP6842797B2 (en) Information control device and display area division method of information control device
JP6554220B1 (en) Program,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JP6842796B2 (en) Information control device and display area division method of information control device
JP6467960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2011191651A (en) Map display device
JP2017182260A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program
KR20140010246A (en)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