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031A -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4031A KR20150114031A KR1020140037480A KR20140037480A KR20150114031A KR 20150114031 A KR20150114031 A KR 20150114031A KR 1020140037480 A KR1020140037480 A KR 1020140037480A KR 20140037480 A KR20140037480 A KR 20140037480A KR 20150114031 A KR20150114031 A KR 201501140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kali
- anionic
- copolymerized polyester
- film
- red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 나노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lend films, nanofilaments comprising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나노필라멘트는 단면 직경이 수백부터 수십 나노미터 수준인 초극세 장섬유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해도형 복합방사의 방식이 굵기가 균일하고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나노필라멘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The nanofilaments are ultrafine filaments having a cross-sectional diameter ranging from several hundreds to several tens of nanometers. In general, the sea-island hybrid radiation method is most advantageous in producing nanofilaments having uniform thickness and sufficient strength.
해도형 복합방사 타입의 나노필라멘트 제조는 방사 구금과 같은 하드웨어의 설계와 공정 제어도 중요하지만, 섬유의 제조 관점에서 해성분 고분자의 신속한 용출과 도성분 섬유의 균일 분할 역시 매우 중요한 공정 요소 중에 하나이다. 특히, 해도형 복합방사를 이용하여 나노미터급 직경의 나노 필라멘트를 제조할 경우, 최종 단사 섬도가 작아질수록 단위면적 당 삽입되는 도의 수와 이에 따른 비표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열수중에서 물 분자나 알칼리의 침투가 어려워지면서 해성분 고분자의 용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 production of nanofilament of sea-island complex radial type is also important for the design of hardware and process control such as spinning and detaching, but also the rapid dissolution of marine polymer and the uniform division of isoelectric fiber is one of important process factors. Particularly, when nanofilaments having a nanometer-scale diameter are manufactured using sea-island composite radiation, as the final single-filament fineness decreases, the number of degrees of insertion per unit area and thus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 sharply, The penetration of the alkali becomes difficult and the leaching of the sea component polymer is adversely affected.
또한, 해성분 고분자의 신속한 용출을 위해서 알칼리 가수분해 또는 감량을 더 가혹한 조건에서 진행할 경우, 도성분 섬유도 동시에 침해를 받게 되므로 균일한 섬유 제조가 어렵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lkaline hydrolysis or reduction is proceeded under more severe conditions for the rapid elution of the sea component polymer, the conductive fiber bundle is also invaded at the same tim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roduce a uniform fiber.
따라서, 나노필라멘트의 제조에 있어서는 보다 신속한 용출 특성을 지니는 해성분 고분자의 설계 및 제조가 반드시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production of nanofilamen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anufacture a marine polymer having faster dissolution characteristics.
종래에, 해도형 복합방사 및 극세사 제조에 사용되는 해성분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디메틸 5-소듐설포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5-sodiumsulfo isophthalate, DMS),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와 같은 공단량체를 폴리에스터 주쇄에 도입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anionic copolyester)가 가장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 공중합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높은 용융 점도에 기인한 분자량 저하 및 급격한 융점 저하, 결정화 속도 저하, 또는 융점이 사라지고 연화점만 존재하는 현상 등을 유발하게 되므로 방사 중 섬유 형성이 어려워지게 되고, 방사된 원사의 물성이 취약해져서 후처리 공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Conventionally, marine polymeric polymers used in sea-island composite spinning and microfiber fabrication generally include dimethyl 5-sodiumsulfo isophthalate (DMS), poly (ethylene glycol), PEG, Is an anionic copolyester introduced into the main chain of the polyester. However,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se copolymers in order to improve the elution properties causes a de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due to high melt viscosity, a drop in the melting point, a decrease in the crystallization rate,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melting point disappears and only the softening point is present. The fiber formation becomes difficult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un yarn become weak, which may cause various problems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따라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용출 속도 향상을 위해서 공단량체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이들 소재의 열적 특성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알칼리 감량 특성만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to use an excess amount of a comonomer for improving the dissolution rate of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 new approach that can selectively improve only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 while maintaining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Method is needed.
한편, 고속으로 용융 방사된 섬유가 일정 수준 이상의 분자 배향도 및 결정화도를 지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나노필라멘트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해성분 고분자인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역시 예외는 아니며, 방사 및 후연신 공정상에서 분자 배향도가 결정되고 결정화도가 발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방사 후 도성분과 해성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방사된 상태에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에 대한 다양한 미세구조를 평가하거나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방사된 원사는 직/편물, 부직포 등의 원단 형태로 제조된 후 대부분 알칼리 감량 처리를 통해서 이들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제거시키기 때문에 방사 후 공중합 폴리에스터에 대한 미세구조 평가가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방사 단계에서 결정되는 결정화도의 경우 최종 원사 및 원단 상태에서의 알칼리 감량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결정화도와 알칼리 감량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조성의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해성분으로 사용하여 나노필라멘트를 제조할 경우, 방사 온도 조건 및 후연신 공정과 이에 따른 열 이력의 변화에 의해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결정화도가 결정되고, 최종 용출 속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well known that fibers melt-spun at high speed have molecular orientation degree and crystallinity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anionic copolyester, which is a marine polymer used for producing nanofilaments, is no exception, and the degree of molecular orientation is determined and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s determined in the spinning and post-drawing process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evaluate or predict various microstructures of the anionic copolyester in the radiated state, since it is practically very difficult to physically separate the radiating and segregating components. In addition, since the radiated raw yarn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fabric such as a woven / knitted fabric, a nonwoven fabric and the like, and most of these copolyesters are removed through alkali reduction treatment, evaluation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fter spinning gives a great meaning no. However, since the crystallinity determined in the spinning step may affect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final yarn and fabric st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ity and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 of the conventionally used anionic copolymer polyester It is very important. When the nanofilaments are produced by using the anionic copolymer polyester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e sea component,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is determined by the spinning temperature condition, the post-drawing process and the subsequent change in thermal history, Can be affected.
또한, 상기 언급된 선행연구를 포함한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알칼리 감량 특성을 주로 무정형 필름 또는 건조된 칩을 이용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이 결과들이 일정 수준의 결정화도가 발현된 실제 원사 상태에서의 용출 특성을 100% 반영하지는 못한다. 특히, DBS와 같은 저분자량의 화합물이 섬유 매트릭스 내부에 존재하고 있을 경우의 알칼리 감량 특성은 매트릭스의 결정화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정형 필름 또는 단순 건조된 칩 상태에서는 DBS 도입에 의한 효과와 그 현상을 체계적으로 비교하거나 규명하지 못한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literature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tudies evaluates the alkali loss characteristics of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mainly by using an amorphous film or a dried chip, these results show that in the state of actual yarn in which a certain degree of crystallinity is expressed Of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drug. In particular, when the low-molecular weight compound such as DBS is present in the fiber matrix, the alkali-reducing property can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 crystallinity of the matrix. Therefore, the effect of introducing DBS in an amorphous film or a simple- It does not systematically compare or identify phenomena.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가 혼합됨으로써, 알칼리 감량 특성이 우수한 블렌드 필름, 나노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end film, a nanofila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ch are excellent in alkali weight loss property by mixing an anionic copolymer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end film comprising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이때,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은 블렌드 필름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blend film.
또, 상기 블렌드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blend film is preferably from 10 탆 to 100 탆.
또한, 상기 블렌드 필름은 98℃, NaOH 1.0중량% 수용액에서 알칼리 100%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end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100% reduction of alkali in an aqueous solution of 1.0 wt% of NaOH at 98 캜 is 20 minutes or less.
또한,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나노필라멘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anofilament comprising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여기서, 상기 나노필라멘트는 해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nano filament is a sea type.
아울러,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혼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 압출된 혼합물을 급냉한 후, 칩으로 절단하여 진공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가 완료된 칩을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hich comprises melt-extruding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by mixing; Quenching the extruded mixture, cutting into chips and vacuum drying; And pressing the dried chip with a hot pres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lend film.
본 발명에 따른 블렌드 필름 및 나노필라멘트는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기반으로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열적 특성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알칼리 감량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블렌드 필름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용출 속도가 향상됨으로써, 해도형 나노필라멘트의 제조가 용이하다.The blend film and the nano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based o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so that the alkali loss-reducing property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thermal property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such a blend film has an improved dissolution rate of the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so that it is easy to produce sea-island nano filaments.
도 1은 98℃, NaOH 1.0wt% 수용액에서의 실시예 1에 따른 필름, 비교예 1에 따른 칩 및 비교예 2에 따른 원사의 알칼리 100% 감량 시간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필름의 열처리 시간에 따른 알칼리 100% 감량 시간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15℃, 140℃에서 각각 30분 동안 열처리된 실시예 1의 필름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FT-IR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100℃의 온도 조건에서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필름의 시간에 따른 트랜스(Trans)의 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필름의 알칼리 100% 감량 시간 및 트랜스(Trans) 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6에 따른 필름의 알칼리 100% 감량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a film according to Example 1 at 98 占 폚, a 1.0 wt% NaOH aqueous solution, a chip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a 100% weight loss time of an alkali yarn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valuation of a 100% reduction in alkali time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ime of the film according to Example 1. FIG.
FIG. 3 shows the FT-IR spectrum of the film of Example 1 which was heat-treated at 15 ° C and 140 ° C for 30 minutes, respectively.
4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according to Example 1 by FT-IR.
5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fraction of Tran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over time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0 캜.
6 is a graph showing the 100% alkali reduction time and trans fraction of the film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Fig.
7 is a graph showing a 100% reduction in alkali time of the film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Sodiumdodecylbenzenesulfonate, DBS)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end film comprising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BS).
여기서,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은 블렌드 필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ntent of th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blend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경우, 우수한 알칼리 감량 특성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content of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in the above range, excellent alkali reducing properties can be obtained.
이러한 블렌드 필름은 신속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용출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나노미터급 나노필라멘트의 제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Since such a blend film has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a rapid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nano-scale nano filamen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나노필라멘트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은 나노필라멘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nanofilaments comprising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ecylbenzenesulfonate. At this time, the content of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 filament.
또한, 상기 나노필라멘트는 해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nano filamen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ea typ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blend film comprising the anionic copolymer polyester and th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p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를 혼합하여 용융 압출한다. 이때, 이축압출기(twin-screw extrud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2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re mixed and melt-extruded. In this case, a twin-screw extruder is preferably used, and the melt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20 to 250 ° C.
이후, 압출된 스트랜드(strand) 상태의 혼합물을 얼음물에 급냉한 후, 칩으로 절단하여 진공 건조한다. 진공 건조는 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after, the extruded stranded mixture is quenched in ice water, cut into chips and vacuum dried. Vacuum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 DEG C for 24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건조가 완료된 칩을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시킨 후, 얼음물에 급냉 처리함으로써 블렌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압착 가공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5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ed chips are compressed by using a hot press, and then quenched into ice water to obtain a blend film. Here, the temperature of the pressing proc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is 250 to 300 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블렌드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blend film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is preferably 10 탆 to 100 탆,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블렌드 필름은 98℃, NaOH 1.0중량% 수용액에서 알칼리 100%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이하로, 알칼리 감량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len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100% reduction of alkali in an aqueous solution of 1.0 wt% of NaOH at 98 占 폚 is 20 minutes or less, thereby improving the alkali reducing propert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DBS를 다양한 농도 범위에서 용융 혼합하여 무정형 필름으로 제조하고, 이들 필름의 열적 성질과 알칼리 감량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결정화도와 알칼리 감량 특성 사이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DBS를 넣지 않은 순수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단계별 열처리 한 후 알칼리 감량을 진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DBS를 넣은 시료들 역시 무정형 필름이 아닌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한 결정화도를 지니도록 열처리를 진행하고 알칼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모든 시료의 열처리에 따른 결정화도의 상대적인 비교는 적외선 분광분석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type copolymerized polyester and DBS were melted and mixed in various concentration ranges to prepare an amorphous film, and the thermal properties and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film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order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ity of the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 the alkali anion reduction was carried out after the stepwise heat treatment of the pure anionic copolymer polyester without DBS. Based on the result, DBS The samples were also heat treated to have similar crystallinity above a certain level, not amorphous films, and the alkali loss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addition, relative comparison of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of all the samples was carried out by using an infrared spect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한편, 무정형 필름의 상태가 아닌 이상 DBS 도입에 의한 알칼리 감량 특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료들 간의 결정화도 차이에 의한 변수를 반드시 배제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결정화 거동에 있어서 DBS와 같은 물질은 오히려 외부의 이물질로 간주되기 쉽기 때문에 동일한 열처리 조건에서 DBS가 도입된 모든 시료의 결정화도는 DBS의 투입 함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시료의 결정화도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 시료별 열처리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ffectively evaluate the alkali-reduction characteristics by introducing DBS,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parameter due to the crystallization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unless it is in the state of an amorphous film. However, in general,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mer in DBS is likely to be regarded as an external foreign substance. Therefore, the crystallization degree of DBS in all samples subjected to the same heat treatment condi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DBS content. Therefore, it is most preferable to presen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for each sample so that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all the samples may show a similar level.
일반적으로, 고분자 재료의 융점, 결정화도와 같은 열적 특성은 시차주사열량계(DSC) 또는 FT-IR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데, 이중에서 FT-IR을 이용한 고분자의 분광분석은 고분자의 입체형태 및 분자들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폴리페닐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의 경우 에틸렌 글리콜 반복 단위의 휨 모드(wagging modes)에 해당하는 1340과 1370 cm-1의 특성 밴드가 각각 변형(Trans)과 비대칭(Gauche)의 입체형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두 특성 밴드를 이용하여 PET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도 및 결정화 동역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경우에도 결정의 형성은 이들 두 특성 밴드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결정화도의 평가와 각 시료별 열처리 조건에 대한 제시는 FT-IR을 이용한 결정화도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단, 순수 PET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터는 주쇄에 PEG가 공중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FT-IR을 통해서 얻은 결과는 실제 결정화도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고 결정 성분과 관련된 트랜스(Trans)의 분율을 구해서 시료들 사이의 상대적인 비교만 가능하다.
In general, thermal properties such as melting point and crystallinity of a polymer material can be evaluated by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or FT-IR. Among them, spectroscopic analysis of a polymer using FT-IR can be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stereostructure of a polymer, It is well known that it provides relatively fast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interac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the characteristic bands of 1340 and 1370 cm -1 , which correspond to the wagging modes of the ethylene glycol repeating units, are represented by the trans- and asymmetric (Gauche) ,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rystallization degree and crystallization kinetics of PET using these two characteristic bands. In the case of the anionic copolymer polyes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rmation of crystals is closely related to these two characteristic bands, the evaluation of the crystallinity and the presentation of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for each sample are made by comparing the relative crystallinity with FT-IR . However, unlike pure PET, the copolymerized polyes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PEG is copolymerized in the main chain. Therefore, the result obtained through FT-IR does not reflect actual crystallinity, And the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s is possib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재료][material]
소듐도데실베네젠설포네이트(Sodiumdodecylbenzenesulfonate, DBS, technical grade)와 NaOH(98.0%)는 각각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와 삼전 화학(Samchun Chemical,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BS, technical grade) and NaOH (98.0%)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and Samchun Chemical, Korea, respectively, and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기반으로 하고 디메틸 5-소듐설포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5-sodumsulfo isophthalate, DMS)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이 공단량체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칩 상태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디메틸 5-소듐설포 이소프탈레이트의 함량은 전체 몰수 대비 1 내지 10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s are based on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nd include dimethyl 5-sodumsulfo isophthalate (DMS) and poly (ethylene glycol) , PEG) as a comonomer was used as a chip. The content of the dimethyl 5-sodium sulfoisophthalate was 1 to 10 mol% based on the total molar amount, and the poly (ethylene glycol)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무정형 필름의 제조[Example 1] Production of an anion type copolymerized polyester amorphous film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220~25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strand) 상태의 혼합물을 얼음물에 급냉한 후, 칩으로 커팅하여 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가 완료된 칩은 핫 프레스(hot-press)를 이용하여 26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압착시킨 후, 얼음물에 급냉 처리하여 약 100㎛ 두께의 무정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was melt-extruded at a temperature of 220 to 250 DEG C by using an extruder. The extruded stranded mixture was quenched in ice water, cut into chips and vacuum dried at a temperature of 80 DEG C for 24 hours. Thereafter, the dried chips were compressed at a temperature of 260 ° C for 5 minutes using a hot-press, and then quenched into ice water to prepare an amorphous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실시예 2]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Dodecylbenzenesulfonate 블렌드 무정형 필름의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an anion-type copolymerized polyester / Dodecylbenzenesulfonate blend amorphous film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Dodecylbenzenesulfonate(DBS) 1wt%를 이축압출기(twin-screw extruder, BK-11, Bautek, Korea)를 이용하여 220~25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strand) 상태의 혼합물을 얼음물에 급냉한 후, 칩으로 커팅하여 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가 완료된 칩은 핫 프레스(hot-press)를 이용하여 26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압착시킨 후, 얼음물에 급냉 처리하여 약 100㎛ 두께의 무정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Anion type copolymerized polyester and 1 wt% of dodecylbenzenesulfonate (DBS) were melt-extruded at a temperature of 220 to 250 ° C using a twin-screw extruder (BK-11, Bautek, Korea). The extruded stranded mixture was quenched in ice water, cut into chips and vacuum dried at a temperature of 80 DEG C for 24 hours. Thereafter, the dried chips were compressed at a temperature of 260 ° C for 5 minutes using a hot-press, and then quenched into ice water to prepare an amorphous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0 μm.
[실시예3 내지6]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Sodiumdodecylbenzenesulfonate 블렌드 무정형 필름의 제조[Examples 3 to 6] Preparation of an anion type copolymerized polyester /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blend amorphous film
Sodiumdodecylbenzenesulfonate(DBS) 함량을 각각 3wt%, 5wt%, 7wt%, 10wt%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무정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An amorphous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BS) content was 3 wt%, 5 wt%, 7 wt%, and 10 wt%, respectively.
[비교예 1]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 칩[Comparative Example 1]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chips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기반으로 하고 디메틸 5-소듐설포 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5-sodumsulfo isophthalate, DMS)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이 공단량체로 도입되어 있는 것을 칩 상태로 사용하였다.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s are based on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nd include dimethyl 5-sodumsulfo isophthalate (DMS) and poly (ethylene glycol) , PEG) was introduced as a comonomer was used as a chip state.
[비교예 2] 600nm급 나노필라멘트 원사[Comparative Example 2] A 600 nm-grade nano filament yarn
600nm급 나노필라멘트 원사는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칩을 해성분으로 이용하여 해도형 복합방사(해도비 4:6)를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The 600 nm-grade nano filament yarn was prepared by using the chip used in Comparative Example 1 as a sea component in a sea-island composite spinning (sea water ratio 4: 6).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알칼리 감량은 98℃, NaOH 1.0wt% 수용액에서 진행하였으며, 육안으로 시료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투명한 용액 상태가 되기 시작한 시점을 100% 감량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시간을 기록하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필름의 표면적 차이에 의한 알칼리 감량 특성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모든 시료는 가로, 세로 각각 5mm의 일정한 크기로 자른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열처리에 따른 결정화도의 상대적인 비교는 적외선 분광분석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Nicolet iS500 FT-IR, 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he alkali reduction was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of 1.0 wt% of NaOH at 98 ° C,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transparent solution state began to be visible to the naked eye was regarded as 100% reduction, and the time was recorded to evaluate the weight loss characteristics. Further, in order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alkali weight loss characteristic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all the samples were cut into a uniform size of 5 mm in width and 5 mm in length. Finally, relative comparisons of crystallizations due to heat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an infrared spectromete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Nicolet iS500 FT-IR, Thermo Scientific).
[실험예 1] 알칼리 감량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alkali weight loss characteristics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는 결정화도에 따라서 최종 원사 또는 원단 상태에서의 용출 특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무정형 필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칩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600nm급 나노필라멘트 원사의 알칼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The anion type copolymerized polyester may have an influence on the elution characteristics in the final yarn or fabric stat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alkali weight loss characteristics of the amorphous film prepared in Example 1, the chip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600 nm nano filament yarn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were evaluated.
알칼리 감량은 98℃, NaOH 1.0wt% 수용액에서 진행하였으며, 육안으로 시료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투명한 용액 상태가 되기 시작한 시점을 100% 감량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시간을 기록하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필름의 표면적 차이에 의한 알칼리 감량 특성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모든 시료는 가로, 세로 각각 5mm의 일정한 크기로 자른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The weight loss of alkali was measured at 98 ° C in aqueous solution of 1.0 wt% of NaOH.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ample began to become transparent to the extent that the sample could not be seen visually was regarded as 100%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alkali weight loss characteristic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 area of the film, all the samples were cut into a uniform size of 5 mm in width and 5 mm in length.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0nm급 나노필라멘트 원사(비교예 2)의 경우 해성분 고분자가 100% 감량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45분인데 반해, 무정형 필름(실시예 1)은 18분 만에 100% 감량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조된 칩(비교예 1)의 경우 100% 감량에 걸리는 시간은 무려 242분이나 소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시료의 상태에 따른 알칼리 감량 거동이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amorphous film (Example 1) had a time of 18 minutes only in the case of 600 nm nano-filament yarn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100% reduction was completed.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time taken for the dried chip (Comparative Example 1) to attain a 100% reduction amounted to 242 minut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behavior of alkali redu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ample.
무정형 필름(실시예 1)의 경우, 원사 상태에서보다 결정화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100% 감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을 수 있지만, 칩의 경우는 건조 공정상에서 발생한 표면 결정화 및 전체 결정화도의 증가가 알칼리 감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알칼리 감량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무정형 필름의 적절한 열처리를 통해서 결정화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알칼리 감량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case of the amorphous film (Example 1), since the crystallization degree is expecte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yarn state, the time for reaching the 100% loss can be short. However, in the case of chips, the surface crystallization and the increase in total crystallinity, It is judged that the weight loss is delay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ost preferable to evaluate the alkali weight loss property of the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by inducing crystallization through an appropriate heat treatment of the amorphous film and evaluating the alkali loss weight property accordingly.
[실험예 2] 열처리 시간에 따른 알칼리 감량 특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Alkali weight lo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eat treatment time
100℃의 온도 조건에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무정형 필름의 알칼리 감량 특성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amorphous film prepared in Example 1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ime at a temperature of 100 캜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처리 초기 단계에서 시간이 증가할수록 100%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며, 열처리 시간 80분을 넘어서면서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열처리에 의해 무정형 필름의 결정화도가 증가하고, 증가한 결정화도로 인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알칼리 감량 특성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time required for 100% reduction rapidl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tim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heat treatment, and it is observed that the slope of the curve becomes gentle while the heat treatment time exceeds 80 minu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rystallization degree of the amorphous film is increased by the heat treatment, and the alkali reduction characteristic of the copolymer polyester is remarkably lowered due to the increased crystallinity.
[실험예 3] 열적 특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3] Thermal characteristic analysis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무정형 필름을 15℃(점선) 및 140℃(실선)의 온도에서 각각 30분간 열처리를 진행한 후, Nicolet iS500 FT-IR(Thermo Scientific)을 이용하여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The amorphous film prepared in Example 1 was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for 3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15 ° C (dotted line) and 140 ° C (solid line), and then FT-IR (Fourier transform) was performed using Nicolet iS500 FT-IR (Thermo Scientific)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펙트럼은 공통적으로 Trans와 Gauche 입체형태에 해당하는 1340 및 1370cm-1의 특성 밴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열처리 유무에 따라서 1340 cm-1의 강도는 크게 증가하고 1370 cm-1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1340 및 1370 cm-1의 특성 밴드는 열처리 및 이에 따른 분자 사슬의 입체형태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고 볼 수 있는데, 두 특성 밴드의 강도나 면적을 이용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전이온도의 평가도 가능하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spectrum commonly Trans and Gauche and shows a characteristic band of 1340 and 1370cm -1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whether or not the strength of 1340 cm -1 i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1370 cm - 1 was relatively decreased.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 band of 1340 and 1370 cm -1 can be considered to be very sensitive to heat treatment and conformational change of the molecular chain. By using the intensity or area of the two characteristic bands, as shown in FIG. 4, Is also possible.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무정형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FT-IR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서 동일 시료의 DSC 분석 결과를 삽입하였다.FIG. 4 shows the result of FT-IR evaluation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morphous film prepared in Example 1. For comparative comparison, DSC analysis results of the same sample were inserted.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T-IR로 분석한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유리전이온도는 약 71.7℃이며, DSC로 측정된 66.8℃와 비교하여 약간의 차이는 발생하지만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nalyzed by FT-IR was about 71.7 ° C, which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measured by DSC at 66.8 ° C, but comparable results were obtained .
[실험예 4] Trans 분율 변화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Trans fractional change evaluation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무정형 필름의 등온 결정화 거동에 대한 상대 비교를 위하여, 100℃의 온도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Trans의 분율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각 시간별 등온 결정화에 대한 Trans의 분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For comparison of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amorphous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6, the trans fractional change with time was evaluat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
이때, Trans의 분율은 일반적으로 PET의 결정상에 대한 정보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며, A와 k는 각각 해당 특성 밴드에서의 면적값과 흡수계수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열처리 시간 변화에 따른 Trans 분율의 변화는 일반적인 결정성 또는 반결정성 고분자의 DSC 등온 결정화 곡선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DB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rans 분율의 변화 거동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DBS가 각각 1wt%, 3wt% 첨가된 필름(실시예 2 및 3)의 경우 Trans 분율의 증가 속도는 순수 공중합체(실시예 1)보다 느리지만 최종 시간에서의 값은 유사한 반면, DBS가 각각 5wt%, 7wt%, 10wt% 첨가된 필름(실시예 4 내지 6)은 열처리 초기 Trans 분율의 증가 속도가 상당히 느리고 최종 시간에서의 수치 역시 DBS의 함량 증가에 따라 차례대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즉, 도 5의 결과를 바탕으로 DBS의 도입 및 함량 변화가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결정화 거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결정 형성과 결정화 속도를 지연시킨다는 것은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fraction of Trans is generally used to predict information on the crystal phase of PET, and A and k represent the area value and the absorption coefficient in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 bands, respectively. 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change of the trans fraction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ime is very similar to the DSC isothermal crystallization curve of a general crystalline or semi-crystalline polymer, and the behavior of the Trans fraction changes with increasing DBS content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lms in which 1 wt% and 3 wt% of DBS were added (Examples 2 and 3), the rate of increase of the Trans fraction was slower than that of the pure copolymer (Example 1) In the films (Examples 4 to 6) added with 5 wt%, 7 wt% and 10 wt%, respectively, the rate of increase of the trans fraction at the initial stage of the heat treatment was considerably slow and the value at the final time was also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DBS content there was. That is, based on the results shown in FIG. 5, it can be expected that the introduction and content of DBS significantly affect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nd delay the crystallization and crystallization rate.
[실험예 5] DBS 도입에 따른 알칼리 감량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Assessment of alkali loss by introduction of DBS
DBS 도입이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알칼리 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5의 결과를 바탕으로 100℃의 온도 조건에서 실시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한 무정형 필름별 처리 시간을 달리하여 열처리를 진행하고 이에 따른 필름의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Based on the results of FIGS. 2 and 5, the treatment time of each amorphous film prepared in each of Examples 1 to 6 at a temperature of 100 ° C. was mea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BS introduction on the alkali reduction of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The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differently and the weight loss characteristics of the film were evaluated.
이때, DBS의 도입 유무에 상관없이 결정화도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해야 하기 때문에 각 무정형 필름의 열처리 조건은 매우 신중히 선택되어야 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600nm급 원사(비교예 2)의 경우 약 45분에서 100% 감량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도 2의 열처리 시간과 감량 시간의 결과로부터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적절한 열처리 시간을 도출하였다. 상기 열처리 시간을 도 5의 결과에 대입하여 약 45분 정도에서 100% 감량이 진행될 수 있는 열처리 조건(100℃, 28분)과 결정화도(14,2%, Trans)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후, 도 5의 결과를 바탕으로 DBS를 넣은 각 필름의 Trans 함량이 14.2%가 되는 열처리 시간을 얻었다.At this time, since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crystallinity should be exclud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DBS is introduced,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each amorphous film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600 nm class yarn (Comparative Example 2), about 45 minutes to 100% of the weight loss was obtained. From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time and the loss time of FIG. 2, the appropriate heat treatment time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was derived. The heat treatment time was substituted into the result of FIG. 5, and information about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100 ° C., 28 minutes) and the crystallinity (14,2%, Trans) were obtained at about 45 minutes. There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FIG. 5, heat treatment time was obtained in which the Trans content of the DBS-containing films was 14.2%.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각 필름의 100℃ 열처리 시간은 최소 24분에서 최대 73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열처리에 따른 각 필름의 결정화와 관련된 특성인 Trans 분율을 도 6에 나타내었다.As a result, the heat treatment time of each film at 100 ° C was from 24 minutes to 73 minutes at the minimum, and the Trans frac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related to crystallization of each film due to the heat treatment, is shown in FIG.
또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한 필름을 15℃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한 후, 이에 따른 필름의 알칼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알칼리 감량은 98℃, NaOH 1.0wt% 수용액에서 진행하였으며, 육안으로 시료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투명한 용액 상태가 되기 시작한 시점을 100% 감량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시간을 기록하여 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In addition, the films prepared in Examples 1 to 6 wer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5 ° C, and the alkali loss-reducing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alkali reduction was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of 98 wt% NaOH and 1.0 wt% of NaOH. The time point when the transparent solution state became visually invisible to the naked eye was regarded as 100% reduction, and the time was recorded to evaluate the weight loss characteristics .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필름 대부분 기준점인 14.2%에 매우 근접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모든 필름의 결정화도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DBS의 도입에 의한 알칼리 감량 거동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6, the film shows a very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of 14.2%, which means that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all the films is maintained at a similar level. Therefore, the alkali- It is possible to evaluate it.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열처리된 음이온형 공중합 폴리에스터의 알칼리 감량 특성은 소량(1-3wt%)의 DBS 첨가만으로 급격하게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5wt% 이후에는 그 효과가 완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urther, as show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alkali-reducing property of the heat-treated anionic copolymer polyester is drastically improved by only a small amount (1-3 wt%) of DBS addition, and after 5 wt% .
또한, 도 6의 결과는 DBS의 도입 및 함량 변화가 무정형 필름의 알칼리 감량 특성에 대해서는 선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7의 결과 및 경향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시료의 상태에 따라서 공중합체의 감량 특성에 DBS가 미치는 영향과 적정 농도 그리고 그 속도론적 고찰에 대한 해석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results in FIG. 6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and trends in FIG. 7, which shows that the introduction and content of DBS have a linear effect on the alkali loss characteristics of the amorphous film.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effect of DBS on the weight loss characteristics of the copolymer, the proper concentr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kinetic considerations can be comple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ample.
따라서, 실제 방사된 원사 상태에 100% 근접한 수준은 아니지만 적절한 결정화도를 발현시킨 상태에서의 알칼리 감량에 대한 평가와 DBS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무정형 필름 상태로부터 얻은 결과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Thus, although not at a level close to 100% of the actual irradiated yarn state, an assessment of the alkali loss and DBS effects in the presence of appropriate crystallinity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results obtained from the amorphous film state .
Claims (9)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은 블렌드 필름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블렌드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of the blend film.
상기 블렌드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인 블렌드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lend film is 10 占 퐉 to 100 占 퐉.
상기 블렌드 필름은 98℃, NaOH 1.0중량% 수용액에서 알칼리 100%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이하인 블렌드 필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end film has a time of less than 20 minutes for a 100% reduction in alkali in an aqueous solution of 1.0 wt% NaOH at 98 占 폚.
상기 나노필라멘트는 해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필라멘트.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nano filament is a sea-island type.
압출된 혼합물을 급냉한 후, 칩으로 절단하여 진공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가 완료된 칩을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Mixing an anionic copolymerized polyester and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nd melt-extruding the mixture;
Quenching the extruded mixture, cutting into chips and vacuum drying; And
And pressing the dried chip with a hot press.
상기 소듐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의 함량은 블렌드 필름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ent of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is 1 to 10 wt% based on the total 100 wt% of the blend film.
상기 블렌드 필름은 98℃, NaOH 1.0중량% 수용액에서 알칼리 100% 감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이하인 블렌드 필름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lend film has a time required for 100% reduction in alkali in an aqueous solution of 98% C, 1.0% by weight NaOH of 20 minutes or l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480A KR101684902B1 (en) | 2014-03-31 | 2014-03-31 |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480A KR101684902B1 (en) | 2014-03-31 | 2014-03-31 |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4031A true KR20150114031A (en) | 2015-10-12 |
KR101684902B1 KR101684902B1 (en) | 2016-12-13 |
Family
ID=5434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7480A KR101684902B1 (en) | 2014-03-31 | 2014-03-31 |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490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8594B1 (en) * | 1992-07-28 | 1996-06-28 | 주식회사 코오롱 | Method for manufacturing extractable polyester |
JP2002086553A (en) * | 2000-09-18 | 2002-03-26 | Toyobo Co Ltd | Heat-resistant formed body constituted of polyest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20133037A (en) * | 2011-05-30 | 2012-12-10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regenerated polyester using waste polyester and regenerated polyester obtained therefrom |
US20130295218A1 (en) * | 2012-05-07 | 2013-11-07 | Toray Plastics (America), Inc. | Multilayer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anti-static property for molding processes |
-
2014
- 2014-03-31 KR KR1020140037480A patent/KR10168490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8594B1 (en) * | 1992-07-28 | 1996-06-28 | 주식회사 코오롱 | Method for manufacturing extractable polyester |
JP2002086553A (en) * | 2000-09-18 | 2002-03-26 | Toyobo Co Ltd | Heat-resistant formed body constituted of polyest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120133037A (en) * | 2011-05-30 | 2012-12-10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 of regenerated polyester using waste polyester and regenerated polyester obtained therefrom |
US20130295218A1 (en) * | 2012-05-07 | 2013-11-07 | Toray Plastics (America), Inc. | Multilayer oriented polyester film with anti-static property for molding processes |
Non-Patent Citations (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4902B1 (en) | 201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i et al. | Characterization on mixed-cryst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biodegradable fibers | |
Mottin et al. | What changes in poly (3-hydroxybutyrate)(PHB) when processed as electrospun nanofibers or thermo-compression molded film? | |
CN113278268B (en) | High-toughness polyester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Yin et al. | Fiber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olypropylene for reinforcing concrete | |
CN101878330B (en) | Methods for making polylactic acid stereocomplex fibers | |
Lee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vinyl alcohol) nanofiber mats crosslinked with blocked isocyanate prepolymer | |
CN113278269B (en) | Preparation method of durable polyglycolic acid-based material | |
Shi et al. | Characterization on mixed-crystal structure of poly (butylene terephthalate/succinate/adipate) biodegradable copolymer fibers | |
Zhang et al. | Disclosing the formation of ring-banded spherulites for semicrystalline polymers through the double-layer film method | |
Farahani et al. | An investigation into the polylactic acid texturization through thermomechanical processing and the improved d33 piezoelectric outcome of the fabricated scaffolds | |
Wang et al. | Preparati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polyoxymethylene fiber through melt spinning and hot drawing by using injection-molding grade resins | |
Kim et al. | Effects of annealing 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LCP/PEN/PET ternary blend fibers | |
Roungpaisan et al. | Development of polylactide fibers consisting of highly oriented stereocomplex crystals utilizing high-speed bicomponent melt spinning process | |
Vozniak et al. |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de by equal channel multiple angular extrusion | |
KR101684902B1 (en) | Anionic copolyesters/sodiumdodecylbenzensulfonate blend films, nanofila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he same | |
Zhao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copolyesters and fibers modified with sodium-5-sulfo-bis-(hydroxyethyl)-isophthalate and poly (ethylene glycol) | |
KR20050119900A (en) | Conjugated fiber and manufacturing thereof | |
KR101858550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strength fiber and high strength fiber manufactured thereby | |
Esrafilzadeh et al. | Crystalline orde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s‐electrospun and post‐treated bundles of uniaxially aligned polyacrylonitrile nanofiber | |
TW202130865A (en) | Polyethylene yarn of high tenacity having high dimensional st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Tarkhanov et al. | Halfway to Technical Stereocomplex PLA Products—An Arduous Path to a Breakthrough | |
JP7133540B2 (en) | Semi-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for making fibers | |
CN104619897A (en) | Hygroscopic polyester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276098B1 (en) | Polyester Filaments Having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Uddin et al. | Effects of Take-up Speed of Melt Spinning on the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of Maximally Laser Drawn PA9-T Fib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