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64A -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3664A KR20150113664A KR1020140037976A KR20140037976A KR20150113664A KR 20150113664 A KR20150113664 A KR 20150113664A KR 1020140037976 A KR1020140037976 A KR 1020140037976A KR 20140037976 A KR20140037976 A KR 20140037976A KR 20150113664 A KR20150113664 A KR 201501136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user terminal
- access link
- repeater
- mobi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에 의해 구성된 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들은,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고, 중계기로부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고,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계층망(Multi-tier Network) 및 이종망(Heterogeneous Network)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방식 사이의 연동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스몰 셀(small cell)을 구성하여 도너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고정 이동 중계기(Fixed Relay)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자체적으로 이동하며 스몰 셀을 구성하되, 도너 기지국의 무선 자원을 백홀(backhaul)로 사용하고 기지국의 기능 및 중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 중계기(Mobile Relay)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3-0124197호(발명의 명칭: 이동 중계기 및 그 핸드오버 방법)는, 하부 단말의 데이터를 제1 기지국으로 중계하는 이동 중계기에서 제1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하는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핸드오버의 수락여부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에 핸드오버의 수락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부 단말로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구간인 서비스 불용 구간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하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중계기의 핸드 오버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중계기(Relay)에 속한 복수의 단말 간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이하 ‘D2D’라고 지칭함) 통신을 처리하는 D2D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계기(relay)에 의해 구성된 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 -Device)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고, 상기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릴레이셀(relaycell) 내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속한 중계기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고,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릴레이셀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고, 기설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을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할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기(relay)에 의해 구성된 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 -Device)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릴레이셀(relaycell) 내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속한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릴레이셀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 기설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무선 통신 환경에서 동일 릴레이셀(Relaycell)에 속한 단말 간에 인프라스트럭쳐 기반(infrastructure-based)의 D2D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기기 대 기기(D2D)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 매크로셀 내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른 매크로셀에서의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매크로셀로부터 모바일릴레이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릴레이셀로부터 매크로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이용한 D2D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 매크로셀 내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른 매크로셀에서의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매크로셀로부터 모바일릴레이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릴레이셀로부터 매크로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이용한 D2D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기기 대 기기(D2D)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은 도너 기지국(100), 중계기(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7에서는, 도너 기지국(100)을 ‘Donor eNB’(100)로, 중계기(200)를 ‘Relay’(200)로, 사용자 단말(200)을 ‘UE’(300)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매크로셀을 ‘Macrocell’로 나타내었고, 모바일릴레이셀을 ‘Mobile-Relaycell’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너 기지국(100)의 커버리지를 ‘매크로셀(Macrocell)’이라 지칭하고, 중계기(200)의 커버리지를 ‘릴레이셀(Relaycell)’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은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Multi-RAT) 및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을 이용할 수 있으며,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무선 네트워크 엔티티(entity)들 사이의 인터(inter) 및 인트라(intra)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너 기지국(100)은 무선 기지국으로서, 서빙 셀 내에서 사용자 장비(즉, 사용자 단말) 및 이동 중계기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유닛이다. 이때, 도너 기지국(100)은 사용자 장비 및 이동 중계기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기지국(100)은 적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eNodeB(eNB), NodeB, eNB, eNode B(evolved Node B), BTS, AP 기지국, 기지국 라우터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중계기(Relay)(200)는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네트워크 유닛으로서, 도너 기지국(100)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무선 백홀(backhaul)로 사용하여 기지국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도너 기지국 및 중계기와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무선 통신 기기, 무선 단말기/장치 또는 노드 등으로 다양하게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 단말기라 지칭되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랩톱, 모바일, 센서 등 비제한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에서는, 도너 기지국(100)에 의한 커버리지(즉, 매크로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200)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중계기(200)에 의한 커버리지(즉, 릴레이셀) 및 매크로셀 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매크로셀 내에 위치하며 속하는릴레이셀이 없는 경우, 도너 기지국(100)과 직접적으로 통신 링크가 연결되어 무선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동일 커버리지 영역에 중계기(200) 및 도너 기지국(100)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중계기(200)와 연결되어 중계기(200)를 통해 도너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하거나, 중계기(200) 및 도너 기지국(100) 각각에 무선 접속하여 동시에 연결을 유지하며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중계기(200)는 도너 기지국(100)에 무선 접속(radio access)하고, 도너 기지국(100)으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받아 백홀(backhaul)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중계기(200)와 도너 기지국(100) 간에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가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중계기(200) 및 도너 기지국(1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접속하며, 중계기(200)와는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고, 도너 기지국(100)과는 매크로 링크(macro link)를 설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에서는 어느 하나의 중계기(200)의 릴레이셀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1, 300-2)이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D2D 통신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의 구성 및 동작과 D2D 통신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자체적으로 이동하며 모바일릴레이셀(Mobile-Relaycell)을 형성하는 이동 중계기(Mobile Relay)(200)를 포함하는 D2D 통신 시스템(10)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모바일릴레이셀을 ‘Mobile-Relaycell’로 나타내었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 매크로셀 내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도너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내에 복수의 이동 중계기(200-1, 200-2)가 존재할 때, 사용자 단말(300)이 동일 매크로셀(P100) 내에서 이동하여 제 1 모바일릴레이셀(P201)에서 제 2 모바일릴레이셀(P202)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모바일릴레이셀(P201)의 제 1 이동 중계기(200-1)로부터 제 2 모바일릴레이셀(P202)의 제 2 이동 중계기(200-2)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D2D 통신 시스템(10) 각 구성들(즉, 도너 기지국, 둘 이상의 이동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은 각각 기설정된 ‘동일 매크로셀 내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 절차’를 처리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른 매크로셀에서의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도너 기지국(100-1, 100-2)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200-1, 200-2, 200-3)가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이 제 1 매크로셀(P101)로부터 제 2 매크로셀(P102)로 이동하여 제 1 매크로셀(P101) 내에 위치한 제 1모바일릴레이셀(P201)로부터 제 2 매크로셀(P102) 내에 위치한 제 2 모바일릴레이셀(P202)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제 1 매크로셀(P101) 내의 제 1 이동 중계기(200-1)로부터 제 2 매크로셀(P202) 내의 제 2 이동 중계기(200-2)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이동 중계기(200-1, 200-2) 간 핸드오프 절차 뿐 아니라 복수의 도너 기지국(100-1, 100-2) 간 핸드오프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D2D 통신 시스템(10) 각 구성들(즉, 둘 이상의 도너 기지국, 둘 이상의 이동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은 각각 기설정된 ‘다른 매크로셀 내 이동 중계기 간 핸드오프 절차’를 처리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매크로셀로부터 모바일릴레이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도너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200)가 존재할 수 있고, 해당 도너 기지국(100)과 연결을 유지하던 사용자 단말(300)이 이동하여 해당 매크로셀(P100) 내 이동 중계기(200)의 커버리지, 즉 모바일릴레이셀(P20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매크로셀(P100)의 도너 기지국(100)으로부터 모바일릴레이셀(P200)의 이동 중계기(200)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D2D 통신 시스템(10) 각 구성들(즉, 도너 기지국, 이동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은 각각 기설정된 ‘매크로셀 및 모바일릴레이셀 간 핸드오프 절차’를 처리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릴레이셀로부터 매크로셀로의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도너 기지국(100)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200)가 존재할 수 있고, 매크로셀(P100) 내 모바일릴레이셀(P200)에 위치하여 해당 이동 중계기(200)와 통신 링크를 유지하던 사용자 단말(300)이 이동하여 모바일릴레이셀(P200)로부터 벗어나 매크로셀(P10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모바일릴레이셀(P200)의 이동 중계기(200)로부터 매크로셀(P100) 내의 도너 기지국(100)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이때, D2D 통신 시스템(10) 각 구성들(즉, 도너 기지국, 이동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은 각각 기설정된 ‘모바일릴레이셀 및 매크로셀 간 핸드오프 절차’를 처리한다.
이상,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D2D 통신 시스템(10)의 핸드오프 절차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중계기들이 각각 이동하므로 도너 기지국과 이동 중계기간 통신 링크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내의 이동 중계기의 위치 및 채널 상태에 따라 채널이득(channel gain)이 수시로 변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의 도너 기지국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 이동 중계기와의 통신 링크의 전송 용량의 변화를 각각 검출하여 이동 중계기와의 통신 링크(즉, 백홀 링크) 및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링크(즉, 매크로 링크)의 스케줄링을 변경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매크로셀에서 모바일릴레이셀로’ 또는 ‘모바일릴레이셀에서 매크로셀로’ 핸드오프할 경우, 도너 기지국과의 매크로 링크 및 이동 중계기와의 백홀 링크는 서로 상이한 전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셀과 모바일릴레이셀의 각 통신 링크의 전송 방식 차이에 따라 고려해야할 변수들을 사전에 설정해두고, 기설정된 변수의 값을 검출 또는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D2D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은 사용자 단말이 핸드오프하게 될 상대 링크의 특성에 따라 해당하는 변수 값들(예를 들어, ‘해당 링크에서의 신호 세기’ 등)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2D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은 도너 기지국 및 이동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은, 동일 모바일릴레이셀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또는 기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단말 간에 이동 중계기(200)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무선 통신하는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릴레이셀 내 사용자 단말 간의 D2D 통신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D2D 통신 시스템에서의 D2D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에서는, 어느 하나의 도너 기지국(100)의 커버리지에 따른 매크로셀과, 매크로셀 내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이동 중계기(200)의 커버리지에 따른 모바일릴레이셀이 구성된다. 이때, 모바일릴레이셀 내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도 6에서는 2개의 사용자 단말(300-1 및 300-2)이 포함된 것을 나타냄)이 속한 경우, 각 사용자 단말(300-1, 300-2)은 이동 중계기(200)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 중계기(200)와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한다.
참고로, 이동 중계기(200)와 도너 기지국(100) 간에 백홀 링크(backhaul link)가 설정된다. 이러한,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간에 D2D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300-1, 300-2) 또는 모바일릴레이셀에 속하되 D2D 통신에는 참여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미도시)의, 백본망으로의 상향 링크(UpLink, 이하 ‘UL’이라고 함)와 하향 링크(DownLink, 이하 ‘DL’이라고 함) 통신이 처리된다.
이때, 동일 모바일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300-1, 300-2)들 간에는 인프라스트럭쳐에 기반한(infrastructure-based) D2D 통신이 발생된다. 인프라스트럭쳐에 기반한 D2D 통신에서는, 이동 중계기(200)에서 D2D 통신을 위한 제어를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300-1, 300-2) 간에 실제 사용자 데이터(이하, ‘트래픽 데이터’라고 지칭함)만 송수신된다.
한편, 이동 중계기(200)는 사전에 모바일릴레이셀의 커버리지 내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의 D2D 모드 사용 여부 정보 및 사용하는 무선 자원의 정보를 ?관리한다.
이동 중계기(200)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D2D 통신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에 D2D 통신용으로 할당된 자원 정보, 전송 포맷, 송신 전력 등의D2D 모드 설정을 위한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D2D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300-1, 300-2)들은,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해당 전송에 대한 채널정보, 채널 품질 표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정보를 액세스 링크를 통해 이동 중계기(200)에 피드백하여 다음번 자원 할당에 반영하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1, 300-2)들은 D2D 통신을 통해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HARQ를 실행하여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은, 사전에 D2D 통신용으로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 및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D2D 통신용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및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을 이동 중계기(200)로 전송한다. DM-RS는 D2D 통신의 코히어런트 복조(coherent demodulation)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로서, 사용자 단말(300-1 또는 300-2)은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DM-RS에 기초하여 코히어런트 복조를 수행한다. CSI-RS는 D2D 통신의 채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신호로서, 이동 중계기(200)는 CSI-RS를 각 사용자 단말(300-1, 300-2)에 전송하고, 각 사용자 단말(300-1, 300-2)에서 측정된 CSI-RS 값(즉, 채널 상태 정보)이 이동 중계기(200)로 피드백되어 다음 무선 자원 할당 스케줄링에 반영된다. 이때, 이동 중계기(200)에서는 D2D 통신을 하는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의 거리, 채널 상태 정보, D2D 통신 링크의 랭크(rank) 정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송신 전력 등을 결정하고, 이를 해당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에 컨트롤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으로 전송한다.
한편, 모바일릴레이셀은, D2D 통신 시 액세스 링크에서의 상향 링크 통신 자원의 일부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또는 기설정된 그룹 내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릴레이셀에서 사용자 단말과 이동 중계기, 및 사용자 단말들 간의 무선 통신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FDD는 업로드와 다운로드 주파수 채널을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이며, TDD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에 시간 차를 두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전송하여 업/다운로드의 무선 자원 분배가 FDD에 비해 유연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 방식(즉, FDD 및 TDD)의 종류에 따라 D2D 통신에서의 실제 전송 방식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FDD의 경우, 이동 중계기(200)는 D2D 통신을 위해서 액세스 링크의 통신에서의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D2D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한다. 이는, 하향 링크 통신 자원은, D2D 통신을 하는 사용자 단말이 아닌 다른 사용자 단말들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TDD의 경우에도 이동 중계기(200)는 D2D 통신을 위해서 액세스 링크의 통신에서의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D2D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한다.
이에 따라, F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은 각각 모바일릴레이셀에서의 상향 링크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TD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은 각각 모바일릴레이셀에서의 상향 링크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타임 슬롯(Time slot)을 송/수신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 별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D2D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및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은, 이동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고, 이동 중계기로부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D2D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D2D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액세스 링크를 통해 이동 중계기로부터 D2D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D2D통신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과 트래픽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이동 중계기로부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되,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고,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D2D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D2D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이동 중계기로 전송하고, 이동 중계기로부터 D2D통신 모드 설정 요청에 대응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이동 중계기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중계기가 결정한 D2D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전송 포맷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복조 정보(demodualation refernce signal)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D2D 통신 시스템의 이동 중계기의 동작 및 무선 통신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이동 중계기는, 모바일릴레이셀 내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과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고,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모바일릴레이셀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D2D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는다. 그러면, 이동 중계기는 기설정된 D2D 통신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D2D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선 자원을 D2D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전송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할당한다.
이때, 이동 중계기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D2D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할당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간에 트래픽 데이터가 직접 송수신된다.
한편, 이동 중계기는 액세스 링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D2D 통신용으로 할당한다. 이동 중계기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D2D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하고,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D2D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한다.
또한, 이동 중계기는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D2D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한다. 그런 후, 이동 중계기는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로 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D2D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나서, 이동 중계기는 D2D 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들로 전송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처리하는 절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중계기를 이용한 D2D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는 하나의 이동 중계기의 모바일릴레이셀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0) 중 D2D 통신을 요청하는 제 1 사용자 단말을 ‘UE1’(300-1)로 나타내고, 제 1 사용자 단말(300-1)이 D2D 통신하고자하는 제 2 사용자 단말(300-2)을 ‘UE2’(300-2)로 나타내었다. 참고로, 제 2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으며, 사전에 설정되되 제 1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사용자 단말들(300-1, 300-2)과 액세스 링크가 설정된 해당 이동 중계기(200)를 ‘MR(200)’로 나타내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300-1, 300-2)과 이동 중계기(200) 간의 무선 통신은 각각의 액세스 링크를 통해 수행된다.
먼저, 이동 중계기(200)는 관리하는 전체 무선 자원(예를 들어, 도너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자원) 중 D2D 통신용 자원을 결정하고, 모바일릴레이셀 내의 전체 사용자 단말들로 해당 D2D 통신용 자원의 정보를 공지한다(S70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도 7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300-1)로 나타냄)이 이동 중계기(200)로 동일 모바일릴레이셀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도 7에서는 제 2 사용자 단말(300-2)로 나타냄)과의 D2D 모드 설정을 요청한다(S702). 이때, D2D 모드 설정 요청에는 제 2 사용자 단말(300-2)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된다.
이에, 이동 중계기(200)는 제 1 사용자 단말(300-1)의 D2D 모드 설정 요청에 따라 제 2 사용자 단말(300-2)로 D2D 모드 설정 요청을 알린다(S703). 이때, 제 2 사용자 단말(300-2)로의 D2D 모드 설정 요청 알림에는 요청한 사용자 단말, 즉 제 1 사용자 단말(300-1)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 등)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이동 중계기(200)는 D2D 모드 설정 요청에 대응하는 제 2 사용자 단말(300-2)로부터의 응답(ACK)을 제 1 사용자 단말(300-1)로 전송한다(S704).
그런 다음, D2D 통신용으로 사용할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들(300-1, 300-2)은 서로 간에 사전에 D2D 통신용으로 할당된 전 대역으로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한 CSI-RS를 전송한다(S705). 이때, 효율적인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들은 상기 할당된 전 대역 중 ‘comb’ 형태로 CSI-RS를 전송하거나, 기설정된 샘플 대역으로만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대 사용자 단말로부터 CSI-RS를 수신한 제 1 사용자 단말(300-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2)은 각각 CSI-RS 수신 신호에 기초한 채널 상태 정보를 이동 중계기(200)로 전송한다(S706-1, 706-2). 이때, 단계 (S706-1) 및 (S706-2)는 직렬 또는 병렬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중계기(200)는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들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전송 포맷을 결정한다(S707).
그런 후, 이동 중계기(200)는 결정된 D2D 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로 각각 전송한다(S708-1, 708-2). 이때, 단계 (S708-1) 및 (S708-2)는 직렬 또는 병렬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은 할당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서로 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709).
이때,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은 각각 상대 사용자 단말이 전송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도록 DM-RS를 서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DM-RS는 할당된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해 전송되며, 추후 D2D 통신 중 자원 할당이 되지 않은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해 CSI-RS가 전송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 간에 D2D 통신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 (S701) 내지 (S709)까지의 단계가 반복 처리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 간에 D2D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반복을 종료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720).
이처럼,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 간에 D2D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이동 중계기(200)는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300-1, 300-2)로 각각 D2D 통신 종료를 알리고(S720-1, S720-2), 해당 사용자 단말을 위해 사용하였던 D2D 통신용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한다(S730). 참고로, 단계 (S720-1) 및 (S720-2)는 직렬 또는 병렬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에 이동 중계기가 포함되어, 동일 이동 중계기에 속한 사용자 단말 간의 D2D 통신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시스템(10)은,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중계기 대신에 고정된 위치에서 릴레이셀(이하, ‘고정릴레이셀(Fixed-Relaycell)’이라고 지칭함)을 구성하는 고정 중계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D2D 통신 시스템(10)에는 상기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릴레이셀에 속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에 D2D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D2D 통신 시스템
100: 도너 기지국
200: 중계기(또는 이동 중계기)
300: 사용자 단말
100: 도너 기지국
200: 중계기(또는 이동 중계기)
300: 사용자 단말
Claims (28)
- 중계기(relay)에 의해 구성된 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 -Device)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고,
상기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 트래픽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는 사용자 단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고,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는 사용자 단말. - 제 1 항에 있어서,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사용자 단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가 결정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포맷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복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릴레이셀을 커버리지로 하는 이동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 릴레이셀(relaycell) 내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속한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고,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릴레이셀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고,
기설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무선 자원을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중계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할당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간에 트래픽 데이터가 직접 송수신되는 것인 중계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으로 할당하는 중계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하고,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할당하는 중계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로 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기. -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릴레이셀을 구성하는 이동 중계기인 것인 중계기. - 중계기(relay)에 의해 구성된 릴레이셀에 속한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릴레이셀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 -Device) 통신용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 및
상기 할당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트래픽 데이터는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을 통해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고,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할당받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중계기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기가 결정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포맷 정보에 기초한 데이터 복조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릴레이셀을 커버리지로 하는 이동 중계기에 무선 접속하여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 릴레이셀(relaycell) 내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속한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과 액세스 링크(access link)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릴레이셀 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
기설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 설정 조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기기 대 기기 통신을 제어하는 컨트롤 시그널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할당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 간에 트래픽 데이터가 직접 송수신되는 것인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경우, 상기 상향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 대역의 일부를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링크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대 기기 통신 모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로 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대 기기 통신용 전송 포맷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을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기 대 기기 통신용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 및 전송 포맷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 제 2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릴레이셀을 구성하는 이동 중계기인 것인 중계기의 무선 통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976A KR20150113664A (ko) | 2014-03-31 | 2014-03-31 |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PCT/KR2015/000430 WO2015152502A1 (ko) | 2014-03-31 | 2015-01-15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US15/300,646 US10368380B2 (en) | 2014-03-31 | 2015-01-15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US16/450,954 US10805974B2 (en) | 2014-03-31 | 2019-06-24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976A KR20150113664A (ko) | 2014-03-31 | 2014-03-31 |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3664A true KR20150113664A (ko) | 2015-10-08 |
Family
ID=5434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7976A KR20150113664A (ko) | 2014-03-31 | 2014-03-31 |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136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1494A1 (en) * | 2015-12-22 | 2017-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cheme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and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ports |
-
2014
- 2014-03-31 KR KR1020140037976A patent/KR201501136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11494A1 (en) * | 2015-12-22 | 2017-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cheme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and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ports |
US11206177B2 (en) | 2015-12-22 | 2021-1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cheme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and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 por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5974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US11570664B2 (en) | Link monitoring with self-backhauling for wireless networks | |
JP6361791B2 (ja) | マスターeNB及びその方法 | |
TWI578818B (zh) | 用於多重跳躍為底之網路的網路發起探索和路徑選擇程序 | |
CN103037450B (zh) | 一种通信模式切换的方法和装置 | |
EP2472920B1 (en) | Method for obtain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and network | |
CN108886724B (zh) | 一种无线通信系统中管理连接的系统和方法 | |
GB2504862A (en) | Handover from a relay node | |
CN112534869B (zh) | 蜂窝无线局域网(wlan)网络接口 | |
CN116210275A (zh) | 用于涉及侧行链路中继的连接链路的变更的方法和装置 | |
US20220386187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US20220400411A1 (en) | Threshold-based reporting for efficient admission control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 |
US20230113249A1 (en) | Connection management in multi-hop networks | |
WO2014045319A1 (ja) |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および無線端末 | |
KR20230037590A (ko) | 상향 전송 파라미터의 결정 방법 및 단말 디바이스 | |
EP3211959B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ablishing a mix of d2d direct and cellular communication links between two devices for interaction | |
US1206359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utilizing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7105475A (zh) | 一种无线回程网接入控制方法和装置 | |
US20230048554A1 (en) | Connection management in multi-hop networks | |
US20120252472A1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 |
KR20150113664A (ko) | 기기 대 기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
CN116648868A (zh) | Iab动态能力更新 | |
KR101781195B1 (ko) | 와이파이 통합 소형 셀 환경에서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5011366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
KR20230079434A (ko) | Iab 계층적인 du 리소스 구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