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570A - 안전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안전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570A
KR20150112570A KR1020140037040A KR20140037040A KR20150112570A KR 20150112570 A KR20150112570 A KR 20150112570A KR 1020140037040 A KR1020140037040 A KR 1020140037040A KR 20140037040 A KR20140037040 A KR 20140037040A KR 20150112570 A KR20150112570 A KR 2015011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iner
locking
warning de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4003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570A/ko
Publication of KR2015011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안전보관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는, 커버 및 용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하나의 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잠금날개에 의해서 커버가 용기에 대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잠금날개는 잠금수단에 의해서 임의 개방이 제한되어 케이스의 보안이 유지된다.

Description

안전보관용기{SAFEKEEPING CONTAINER}
본 발명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또는 귀금속 등과 같은 고가의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지만, 두꺼운 철제 구조를 가지고 부피가 크며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금고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지만, 귀중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물건을 보관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서류 중에서 엄격한 보안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보안을 요구하는 서류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금고에 보관할 필요는 없고 단지 타인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안전보관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보관용기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지만 타인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별한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타인이 약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지만, 그 약은 일반적인 철제 금고 등에 보관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안전보관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보관용기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8-000401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철제로 형성된 케이스를 가지고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금고를 축소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보관용기를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저렴하면서도 일정 정도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용기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안전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는, 커버 및 용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커버에는 하나의 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잠금날개에 의해서 커버가 용기에 대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잠금날개는 잠금수단에 의해서 임의 개방이 제한되어 케이스의 보안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수단은 자물쇠이고, 용기는 잠금수단이 체결되는 잠금돌기를 구비하며, 잠금날개는 잠금돌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외향 돌출된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잠금수단은 체결돌기에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여 잠금날개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
케이스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감지장치와 연동되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며, 감지장치에 의해서 케이스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장치가 작동할 수 있다.
경고장치는 케이스의 외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감지장치는 인증부를 구비하고, 인증부를 통해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케이스의 변동이 감지되더라도 경고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가 재치되는 베이스와, 케이스가 베이스에서 무단 이탈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인증부를 통해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베이스에서 케이스가 이탈한 경우라도 경고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건의 이탈 감지를 위한 베이스는, 물건이 재치되는 면을 구비하고 면에서 물건의 이탈을 감지하는 것으로, 면에서 물건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와, 물건이 면에서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경고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물건이 면에서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더라도 경고장치에서 경고신호가 생성되지 않게 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저렴하면서도 일정 정도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전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용기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안전보관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의 케이스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의 케이스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100)의 케이스(102)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100)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는, 물건(도시하지 않음)이 그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스(102)와, 케이스(102)가 재치되는 베이스(220)와,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무단 이탈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경고장치(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102)는 커버(110)와 용기(140)를 포함하고, 커버(110)는 잠금날개(112)에 의해 용기(140)와 상호 결합하고 있으며, 잠금날개(112)는 잠금수단(260)에 의해서 임의 개방이 제한되기 때문에 안전보관용기(100)의 보안이 유지되고, 커버(110)가 용기(14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는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스(102)를 포함하고, 케이스(102)의 커버(110) 및 용기(140)는 잠금수단(26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케이스(102)의 보안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저렴하면서도 일정 정도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케이스(102)는 그 내부에 물건이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커버(110) 및 용기(140)로 이루어진다. 커버(110) 및 용기(140)는 플라스틱 수지, 유리, 자기, 금속 또는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 재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02)는 플라스틱과 금속의 복합 소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2)는 플라스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용기에 해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5178호 및 제134830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밀폐용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이건출원은 상기 등록특허들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커버(110)는 용기(140)에 대해 하나의 잠금날개(112)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된다. 즉, 커버(110)를 용기(140)의 상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잠금날개(112)를 회전시키면, 잠금날개(112)가 용기(140)의 벽면을 가압하면서 커버(110)를 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의 걸림돌기(122)가 용기(140)의 잠금홈(144)에 걸리게 된다. 잠금날개(112)는 회전에 의해서 그 결합돌기(116)가 잠금홈(144)에 결합한다. 이로 인해, 커버(110)의 일측은 잠금날개(112)에 의해서 용기(140)의 측면에 결합하고, 타측은 커버(110)의 걸림돌기(122)에 의해서 용기(140)의 잠금홈(144)에 결합된다.
잠금날개(112)가 용기(140)에 결합된 도 2의 상태에서 잠금날개(112)를 회전시키면, 가압돌기(114)가 용기(140)의 걸림홈(142)의 내부를 하향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110)가 용기(140)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용기(140)가 개방된다. 이때, 커버(110)는 측방향으로도 이동하는데, 그 결과 잠금홈(144)에 대한 걸림돌기(122)의 걸림상태도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2)는 하나의 잠금날개(112)의 회전에 의해서 커버(110)가 용기(14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5178호 및 제1348309호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2)는 하나의 잠금날개(112)에만 잠금수단(260)을 이용하여 회전을 제한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네 개의 결합날개를 구비하는 종래의 밀폐용기에 비해서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커버(110)의 내측에는 패킹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패킹홈(120)의 내부에는 패킹(124)이 삽입되어 있다. 패킹(124)은 용기(14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그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140)의 일 측면에는 U 형상을 갖는 잠금돌기(148)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돌기(148)에 대응하여 잠금날개(112)에는 관통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날개(112)가 회전하여 용기(140)의 측면에 결합할 때, 잠금돌기(148)는 관통공(118)을 통과하여 잠금날개(112)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잠금돌기(148)에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수단(260)이 체결되어서, 잠금날개(112)의 보안이 유지된다. 잠금수단(260)은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물쇠에 해당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잠금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은 자물쇠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2)의 내부에 수납되는 물건(도시하지 않음)은, 중요도가 현금 또는 귀금속 등과 같이 높지는 않지만 제3자에 대한 보안이 어느 정도는 요구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이에게는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약품 또는 물건(예를 들면, 신용카드, 액세서리 등)의 경우, 종래의 철제 금고에 비해서 본 실시예와 같은 안전보관용기(100)에 보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케이스(102)는 베이스(220) 상에 재치되어 있다. 베이스(220)는 케이스(102)가 그 상면에 올려지고, 케이스(102)가 무단 이탈되는 경우 경고장치(240)를 작동시켜서 무단 이탈에 대한 경고신호(예를 들면, 알람 또는 경고등 점멸 등)가 발생되도록 한다.
베이스(220)는, 인증부(222), 제어부(226), 베이스통신부(228) 및 이탈감지부(230)를 포함한다.
인증부(222)는 베이스(220)의 상면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의 인증버튼(2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인증부(222)를 통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하면,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이탈하더라도 무단 이탈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경고장치(240)가 작동을 하지 않는다. 인증부(220)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증버튼(224)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지문 입력 또는 키(key)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통신부(228)는 제어부(226)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경고장치(240)에 신호를 전송한다. 경고장치(240)가 베이스통신부(228)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케이스(102)가 베이스(220)로부터 무단 이탈했음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베이스통신부(228)는 리모컨(250)에서 발생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26)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베이스(220)의 인증부(222)를 이용하지 않고 리모컨(250)을 이용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완료하는 경우, 베이스통신부(228)는 리모컨(250)에서 발생한 신호를 제어부(226)에 전송하고 제어부(226)의 제어신호를 경고장치(240)에 전송하여 경고장치(240)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물론, 인증부(222) 및 리모컨(250)을 통해서 입력된 번호가 미리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6)는 경고장치(240)를 작동시켜 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베이스통신부(228)는 일반적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통신부(228)는 경고장치(240)와 지그비(Zigbee), RF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에 의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탈감지부(230)는 베이스(220)의 상면에서 케이스(102)가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탈감지부(230)는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의 상면에서 이탈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감지부(230)는 압력 센서, 접촉 센서, 근접 센서 또는 광 센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의 상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이탈감지부(230)는 이를 파악하여 제어부(226)에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226)는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무단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장치(240)를 작동시켜서 경고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탈감지부(230)에 의해서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인증 없이 무단으로 이탈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226)는 베이스통신부(228)를 동작시켜서 경고장치(240)에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데, 이로 인해 경고장치(240)에서 케이스(102)의 무단 이탈에 대한 경고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어부(226)는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이탈되더라도 사용자에 의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경고장치(240)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이탈하기 이전에, 인증부(222) 또는 리모컨(250)에 의해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226)는 베이스통신부(228)를 작동시키지 않는데, 이로 인해 경고장치(240)에서 경고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제어부(226)는 인증부(222) 또는 리모컨(250)으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미리 저장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번호가 저장된 인증번호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생성되게 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장치(240)에 의해서 경고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경고장치(240)는 사용자에 의한 인증 없이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무단 이탈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경고장치(240)에 의해서 생성되는 경고신호는 스피커(242)를 이용한 경고음 또는 엘이디(244)를 이용한 빛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고장치(240)는 베이스(22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거나 또는 베이스(22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는 하나의 잠금날개(112)에 의해서 커버(110)가 용기(140)에 결합 및 분리되므로, 하나의 잠금날개(112)만을 잠금수단(260)을 이용하여 개방되지 않게 하면 케이스(102) 내부의 보안 및 밀폐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는 케이스(102)가 베이스(220)에서 무단 이탈하는 경우, 경고장치(240)에 의해서 무단 이탈을 알리는 경고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인증을 완료하지 않은 제3자가 케이스(102)를 무단으로 절취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베이스(220)에서 무단 이탈된 케이스(102)가 다시 베이스(220)의 상면에 재치되는 경우, 제어부(226)는 경고장치(24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의 케이스(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의 케이스(3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의 케이스(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의 케이스(102)와 구성이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잠금수단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3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300)는 커버(110) 및 용기(140)를 포함한다. 용기(140)의 측면에는 잠금돌기(148)를 대신하여 체결돌기(302)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302)의 둘레에는 외부나사산(3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302)에는 잠금수단(304)이 나사 결합되는데, 잠금수단(304)의 내부에는 체결돌기(302)와 나사 결합하는 내부나사산(306)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수단(304)의 단부에는 헤드(308)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308)는 관통공(118)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수단(304)이 체결돌기(302)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헤드(308)에 잠금날개(112)가 걸려서 개방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300)는 자물쇠가 아닌 나사 결합에 의한 잠금수단(304)을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잠금수단(304)은 용기(140)의 측면에 결합된 잠금날개(112)가 쉽게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4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400)의 케이스(402)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안전보관용기(400)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400)는, 감지장치(420)가 케이스(402)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402)는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케이스(102)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잠금돌기(148)와 자물쇠 형상의 잠금수단(260)을 대신하여 체결돌기(404) 및 잠금수단(410)을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402)의 커버(110) 및 용기(140)의 결합 및 분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커버(110)의 일 측면에는 하나의 잠금날개(112)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날개(112)에는 관통공(118)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18)을 통해서 체결돌기(404)가 잠금날개(1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체결돌기(404)의 둘레에는 걸림돌기(406)가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돌기(406)는 잠금수단(410)의 걸림홈(412)에 삽입되어서, 체결돌기(404)에 삽입된 잠금수단(410)이 쉽게 빠지지 않게 한다.
잠금수단(410)은 체결돌기(404)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 삽입되어서, 용기(140)의 측면에 결합된 잠금날개(112)가 개방되지 않게 한다. 잠금수단(410)은 체결돌기(404)를 수용하는 중공(中空)의 몸통부(411)와, 몸통부(411)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헤드(414)를 포함한다.
몸통부(411)는 체결돌기(404)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걸림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411)의 외부 단면 크기는 잠금날개(11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8)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몸통부(411)는 관통공(118)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헤드(414)는 몸통부(411) 및 관통공(118)에 비해서 단면이 크게 형성된다. 헤드(414)는, 체결돌기(404)에 잠금수단(410)이 결합한 경우 잠금날개(112)가 걸리게 되는 부분에 해당하는데, 이로 인해 잠금날개(112)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케이스(402)의 커버(110)에는 감지장치(420)가 구비되어 있는데, 감지장치(420)는 제어부(422), 통신부(424), 인증부(426) 및 감지부(430)를 포함한다.
감지장치(420)의 인증부(426)는 커버(1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다수 개의 인증버튼(428)을 포함한다. 인증부(426)는 사용자에 의해서 인증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에 의한 인증은 리모컨(25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인증버튼(428)은 기계적인 버튼(button)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422)는 인증부(426) 또는 리모컨(250)으로부터 입력된 번호의 진위를 파악한 후,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케이스(402)가 정해진 장소에서 이탈, 충격 감지, 진동 감지 등의 경우라도 경고장치(240)가 작동하지 않게 한다.
통신부(424)는 감지장치(420)와 경고장치(240) 그리고 감지장치(420)와 리모컨(250)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통신부(424)는 감지장치(420)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케이스(402)가 원래의 장소에서 이탈하는 경우, 제어부(422)가 이를 감지하여 경고장치(240)에서 경고신호(예를 들면, 경고음 또는 경고등 점멸 등)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통신부(424)는 리모컨(250)에서 인증을 위한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제어부(422)에 전달한다.
통신부(424)와 경고장치(250)의 통신 방법에는 제한이 없는데, 예를 들어 RF 무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무선통신 등이 있다.
감지부(430)는 케이스(402)에 대한 접근 감지, 충격 감지, 진동 감지 또는 이동 감지를 하고,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422)에 전송한다. 제어부(422)는 감지부(430)로부터 케이스(402)에 대한 접근, 충격, 진동 또는 이동 등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장치(240)를 작동시켜서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장치(400)의 감지장치(420)는 케이스(402)의 커버(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감지장치(420)는 용기(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감지장치(420)가 용기(140)에 구비되는 경우, 인증부(426)는 생략되고 리모컨(250)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감지장치(420)가 용기(140)에 구비되는 경우, 인증부(426)는 용기(140)의 측면에 노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보관용기(400)에서 경고장치(240)는 케이스(402)의 외부로 위치할 수도 있지만 감지장치(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402)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전보관용기 110: 커버
112: 잠금날개 140: 용기
220: 베이스 240: 경고장치
250: 리모컨 260: 잠금수단

Claims (10)

  1. 커버 및 용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하나의 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날개에 의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에 대해 결합 또는 분리되고,
    상기 잠금날개는 잠금수단에 의해서 임의 개방이 제한되어 상기 케이스의 보안이 유지되는 안전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자물쇠이고,
    상기 용기는 상기 잠금수단이 체결되는 잠금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날개는 상기 잠금돌기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외향 돌출된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체결돌기에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잠금날개의 개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와 연동되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의 변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경고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인증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해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케이스의 변동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경고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재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베이스에서 무단 이탈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해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케이스가 이탈한 경우라도 상기 경고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보관용기.
  10. 물건이 재치되는 면을 구비하고 상기 면에서 물건의 이탈을 감지하는 베이스로서,
    상기 면에서 물건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이탈감지부;
    물건이 상기 면에서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경고장치;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 물건이 상기 면에서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더라도 상기 경고장치에서 경고신호가 생성되지 않게 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물건의 이탈 감지를 위한 베이스.
KR1020140037040A 2014-03-28 2014-03-28 안전보관용기 KR20150112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40A KR20150112570A (ko) 2014-03-28 2014-03-28 안전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40A KR20150112570A (ko) 2014-03-28 2014-03-28 안전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70A true KR20150112570A (ko) 2015-10-07

Family

ID=543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40A KR20150112570A (ko) 2014-03-28 2014-03-28 안전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6858B2 (en) Remotely operable door lock interface system
US9311797B2 (en) EAS tag for bottles
US20160053526A1 (en) Tamper-proof wall safe with communications capabilities
US8573140B2 (en) Safety box
US8847760B1 (en) Tamper-resistant purse
US20160148452A1 (en) System for securely transporting and housing cosmetics
KR20160075967A (ko) 분실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구박스
KR20040044851A (ko) 휴대용 보안 장치
US20120313783A1 (en) Balance alarm s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thereof
CN204418905U (zh) 智能保险柜
EP1067496A3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unauthorized opening of containers
US11021894B1 (en) Power-activated cam lock
KR101392632B1 (ko) 지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침입경보 시스템
KR20150112570A (ko) 안전보관용기
US11321980B1 (en) Security system
CN211287097U (zh) 一种密码识别智能锁防护装置
CN205382847U (zh) 一种指纹识别防盗门
CN108397082A (zh) 一种智能防盗保险柜
CN211287216U (zh) 一种具有多重防盗结构的智能保险箱
CN208934554U (zh) 一种智能防盗保险柜
CN202904778U (zh) 一种安全防护系统
JP6383474B1 (ja) 鞄類のファスナーロック装置
US20220051535A1 (en) Interactive security system for a stationary storage container
US12031354B1 (en) Power-activated cam lock
JP3235404U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施解錠対象物の施解錠応答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