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566A -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566A
KR20150112566A KR1020140037027A KR20140037027A KR20150112566A KR 20150112566 A KR20150112566 A KR 20150112566A KR 1020140037027 A KR1020140037027 A KR 1020140037027A KR 20140037027 A KR20140037027 A KR 20140037027A KR 20150112566 A KR20150112566 A KR 2015011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danc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confi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상훈
남택원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텐던스
남택원
손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텐던스, 남택원, 손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텐던스
Priority to KR102014003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566A/en
Publication of KR2015011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stored therein and, more specifically,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stored therein, wherein attendance is automatically checked by using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s of members of meetings and lectures requiring attendance checks without separate terminals, and a result thereof is recorded.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단말기 없이 개인이 보유한 전자기기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출석 확인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confirming attendanc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출석 확인은 일상에서 드물지 않게 일어난다. 대학의 강의실에서 회사의 체육대회까지 출석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은 모두의 삶 곳곳에 존재한다. 그러나 구성원의 수가 일정 수를 넘어가는 모임에서 출석 확인을 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정력을 필요로 한다.
Confirmation of attendance occurs rarely in daily life. The situation that needs to confirm attendance from the lecture room of the university to the athletic meet of the company exists in every part of life. However, checking attendance at meetings where the number of members exceeds a certain number requires much time and energy.

특히 강의 현장에서 모든 학생에 대한 출석 확인을 매 수업마다 실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대급부가 큰 일이다. 특히, 등록된 학생의 수가 100명을 넘어가는 대형 강의에서 매 수업마다 출석을 확인하는 것은 너무나 많은 시간을 소요할 뿐만 아니라 강의에 집중되어야 할 강의자의 집중력마저 흩트리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인력으로 이루어지던 출석 확인을 기계를 이용해 개선하고자 학생증이나 지문을 통한 출석 확인 시스템이 등장하였으나, 이들 시스템의 경우 초기 설치비용이 막대하며 유지하는 경비도 적지 않게 들어가는 데다 출석 확인에 드는 시간도 여전히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to conduct attendance confirmation for every student on every class at the lecture site. In particular, in large lectures where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exceeds 100, confirming attendance per class does not only take too much time but also distracts the concentration of the lecturer who should concentrate on the lectur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ttendance confirmation made by manpower using machine,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by student ID card or fingerprint has appeared. However, in these systems,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is large and the expenses to be maintained are small. There is still a lot of problem that needs.

최근 스마트폰과 기타 스마트 기기가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출석 확인 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보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별도 단말기를 강의실에 추가로 설치하여 유지해야 하거나, QR 코드를 수강생이 직접 찍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러한 시도들은 출석 확인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단지 강의실로 한정함으로써 다른 출석확인이 필요한 곳에서는 사용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as smart phones and other smart devices became popular, attempts to utilize smart devices to solve attendance confirmation problems have been made.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maintain additional terminals in the classroom or to take QR codes manually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se attempts are limited to the classroom where the confirmation of attendance is made, so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place where other attendance confirmation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10-2013-0097874]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기반 출석체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97874 discloses a location based attendance check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한국공개특허 [10-2013-0097874](공개일: 2013년 09월0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3-0097874] (Publication date: September 04,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단말기 설치 없이 모임 혹은 강의에 속한 구성원 개개인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그 구성원들의 축석 확인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출석 확인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막고 그 효율성을 재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evice,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viewing and confirming confirmation of the presence of members of a staff member efficiently by reviewing and recording the presence of attendance at the site, thereby reviewing the efficiency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출석관리서버(10)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가입수행단계(S11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는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출석확인진행알림송신단계(S13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수신받는 식별정보수신단계(S14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수신단계(S140)에서 수신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1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하는 출석확인단계(S150); 및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15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 송신하는 출석정보송신단계(S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an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110) of receiving a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performing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Receiving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S120)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receives a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notification transmission step (S130) of inform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of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other devices recognized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ep S14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emb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1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vices receiv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40, (S150); And an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o transmit the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to be present 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제1회원가입단계(S21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는 출석확인진행요청송신단계(S22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1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23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 및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출석 여부가 확인된 출석정보를 수신받는 제1출석정보수신단계(S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first membership joining step (S210) for joining; A step S220 of transmitting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o request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s not activate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230) requesting to activ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240) f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50) of transmitting, b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2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a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6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as presence or absence based 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출석확인단말(3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제2회원가입단계(S310);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2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320);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제2식별정보검색단계(S33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3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econd member joining step (S310) of performing a second membership process;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not activate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320) requesting to activate the function;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33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of transmit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340)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erver (3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회원가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가입단계(S51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출석확인진행단계(S520);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53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고유식별정보검색단계(S54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5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S55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S550)에서 전송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5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하는 출석확인단계(S560); 및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56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출석정보전송단계(S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by connecting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 member joining step (S510)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stores membership information in a database upon completion of a membership subscription procedure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quests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step (S520) of notifying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have receive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ve not activat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530) requesting activ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54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55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emb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5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vices transmitt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S56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to be attended 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to at least on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570). ≪ / RTI >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의하면, 별도의 단말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일 없이 출석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terminal.

출석확인요청단말(20)을 소유한 사람을 강의자로, 출석확인단말(30)을 소유한 사람을 수강생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의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다면,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who own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s a lecturer, a person who own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s a student, If the effect of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for realizing this is store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강의자와 수강생 개개인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기들 간의 검색정보(맥어드레스 등)를 이용하여 수강생의 출석을 자동으로 확인하므로 기존 강의 현장에서의 출석 확인(호명에 의한 출석 확인)으로 인한 비효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Confirm attendance of participants by using search information (MAC address, etc.) between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smart devices possessed by lecturers and students. Confirmation of attendance at existing lecture sites (confirmation of attendance by nam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efficiency caused by the problem.

또한, 타인에게 양도 혹은 대여하기 힘든 고가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방법이므로 수강생의 대리 출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method using an expensive smart device which is difficult to transfer or loan to another person, there is an effect that surrogate attendance of a learner can be suppressed.

또, 강의자가 손쉽게 추가적인 출석 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강의 도중에 자리를 비우는 수강생을 확인 할 수 있어서 수강생의 조기 퇴실 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cturer can easily confirm additional attendan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earner who is leaving the lecture room during the lecture.

또, 별도의 단말기 설치 없이 강의자와 수강생 개개인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만으로 작동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전혀 없이도 자동으로 수강생의 출결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operated only by the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lecturer and the individual student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terminal, the attendance of the student can be confirmed automatically without any additional cost.

아울러, 출석 확인이 필요한 어떤 모임(학교, 회사, 동호회 등)에서든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어느 지역에서도 부대 장비 없이 스마트 기기만으로 출석 확인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y meeting (school, company, club, etc.) where attendance confirmation is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attendance only by a smart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in any area connectabl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의 데이터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1 to 8 are views showing a flow of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movement in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의 데이터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내지 도 3은 출석관리서버(1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출석확인단말(3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출석관리서버(10),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the data movement of the confirmation method. 1 to 3 show a process performed by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FIG. 4 illustrates a process performed b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FIGS.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performed in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회원가입수행단계(S110),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 출석확인진행알림송신단계(S130), 식별정보수신단계(S140), 출석확인단계(S150) 및 출석정보송신단계(S160)를 포함한다.
1,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cription performing step S110, an attendance confirmation attendance request receiving step S120, Step S130,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ption step S140,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and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회원가입수행단계(S110)는 출석관리서버(10)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In the subscription execution step S11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d proceeds wit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이때,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MAC 계층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주소로서 보통 네트워크 카드의 ROM에 저장되어 있다.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s an address of a network device in the MAC layer in a network structure, and is usually stored in the ROM of the network card.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일종의 시리얼넘버인 셈이다.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user device. It is a kind of serial number.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를 말한다. 공간과 시간(약 3400년까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한 식별 숫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맥어드레스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대체하여 저장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 할 수 있다.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is a 128-bit number used to identify an object or entity on the Internet. It is a nearly uniquely identifiable identifier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up to about 3400 years), and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ranging from extremely short time objects to permanent object identification. There is no registration procedure for certification bodies, but onl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eneric single identifier gener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example, if a certain product's MAC address is stored in a specific server, a problem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may occur,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storing and storing a MAC address.

위에서 여러 가지 고유식별정보(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하나의 기기가 다수의 고유식별정보를 갖을 수 있다.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one device can have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휴대폰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면, 핸드폰 기기 자체의 식별자(UDID), 와이파이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블루투스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등 여러 고유식별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For example, if the mobile phone is capable of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it has 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UDID) of the mobile phone device itself, a MAC address for the Wi-Fi chip, and a MAC address for the Bluetooth chip.

아울러, 상기 회원가입수행단계(S110)는 개개인이 소유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출석확인단말(30))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정보를 출석관리서버(10)에 저장할 때, 개인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회원가입 시 약관 및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등을 받고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bscription execution step (S110) may include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owned by the individual 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 It is desirable to proceed with the membership process by receiving the terms and conditions for provid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onsent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는다.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a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ttendance request receiving step S120.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선생님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을 이용하여 출석관리서버(10)에 출석 확인 진행 요청(출석 확인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하면, 출석관리서버(10)는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을 수 있다.
When the teache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tudents are present, for example, when the teacher makes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request (command to start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us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he server 10 can receiv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출석확인진행알림송신단계(S13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린다.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notification transmission step S13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nform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은 출석관리서버(1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학생)로 출석 확인 진행(출석체크의 시작)을 알릴 수 있다. 이는 출석 체크를 시작하였는데 이를 모르는 사람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며, 혹시라도,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은 상기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를 재 수행하거나,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출석확인단말(30)을 소유한 학생만 별도로 호명하여 출석 확인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ving received a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tudent is present.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ttend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You can notify the confirmation process (start of attendance check). This is because there is no one who knows the attendance check, and there may be a terminal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not been made even if the attendance check is started. In this cas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eacher) re-execute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receiving step (S120), or calls only the student who own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You can check.

식별정보수신단계(S14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들 간에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한 연결(컨넥션)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검색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 기기에 연결 가능한 단말의 수가 제한(IOS 운영체제의 경우 한번에 컨넥션 가능한 단말의 수는 7 대 정도, 와이파이의 경우 120 대 정도임)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이 있는 기기도 다른 기기와 연결(컨넥션)을 하기 위해 검색된 검색 기기의 수 제한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연결(컨넥션) 가능한 기기의 수 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기기를 한 번에 검색 가능하다.In the step S 14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other devices recognized b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o make a conn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to search only.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devic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IOS operating system,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being connected at once is about 7, and Wi-Fi is about 120). However, even if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earch devices that have been searched to connect with other devices,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can be searched at a time more tha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

다시 말해, 한 번에 연결 가능한 기기 수의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컨넥션)이 아닌 검색결과를 이용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e use search results rather than conne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t one time.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 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 . ≪ / RTI >

일반적인 휴대기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기기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며, 블루투스의 통신 거리(적게는 10m 내외, 많게는 50m 내외)가 출석 확인을 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portable device uses Bluetooth. This is because most devices support Bluetooth,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istance (less than 10m, more than 50m) is suitable for attendance confirmation.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 각각의 운영체제가 다르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수신단계(S14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 각각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f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terminal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unication or retrieval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may not be performed. The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 140 may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rDA,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 3G (3Generation), and LTE (Long Term Evolution).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어도, 출석 확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에도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Even if it is not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can not be performed or retrieved, position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for correc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ttendance confirmation results.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 확인이 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의 위치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으면, 결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석 확인이 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의 위치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confirmed as attendance is not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if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confirmed to be absent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eacher), it can be judged as attendance.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며,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동일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은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석 확인을 하고,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은, 운영체제 별로 집단을 만들어, 하나의 집단으로 인정하기 위한 최소 영역(거리, 면적 등) 내에 위치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을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른 각각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집단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라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도 출석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위에서 집단을 예로 들었으나, 개별적으로 거리를 기반으로 출석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or search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and the teacher uses the same operating system a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The group us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attendance. The group that uses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attendance confirms the minimum area (distanc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an area, etc.) of each of the operating systems is classified into respective groups according to respective operating systems, (20) (teacher) and other operating systems can be judged as attendance. Although the above group is taken as an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ndividually judge whether or not to attend based on the distance.

출석확인단계(S15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수신단계(S140)에서 수신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1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한다.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mbers registered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1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devices receiv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40 Matches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presence or absence.

다시 말해, 회원가입 한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출석확인단말(30))의 고유식별정보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기기의 소유자가 출석을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database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wned by the registered use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confirm whether the owner of the device is present.

출석정보송신단계(S16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15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 송신한다.In 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여기서, 출석정보는 출석이 확인된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출석자) 이름과, 출석이 확인되지 않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결석자) 이름 등의 정보를 말한다.
Here, attendanc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the owner (attend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confirmed and the owner (absent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not confirm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상기 출석정보전송단계(S160) 이후에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각각의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제2출석확인정보송신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fter 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And a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70) of notifying whether the confirmation of attendance to th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completed normally.

다시 말해,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려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가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s successfully complete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can be confirmed, and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an check the result of whether attendance confirmation has been normally performed.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학생 개개인이 본인의 출석체크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 teacher can check whether each student has his / her attendance check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student is present or abs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상기 출석확인단계(S150)와 상기 출석정보전송단계(S160) 사이에 제1출석확인정보전송단계(S165), 재출석확인요청수신단계(S166) 및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60) betwe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and 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A transfer step S165, a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receiving step S166, and a presence / absence re-judgment step S167.

제1출석확인정보전송단계(S165)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각각의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린다.In the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5,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nforms each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ether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or not.

재출석확인요청수신단계(S166)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말(30) 중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는다.In the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receiving step (S166),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nforming that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completed normally amo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You will be asked to confirm your re-attendance.

다시 말해,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가, 출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석 처리 결과를 받았다면, 다시 출석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출석 확인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추가 출석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의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ving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ing receives the result of the absent process despite having made the attendanc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an reques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gain. At this time, You can ask for additional attendance confirmation. In this cas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y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of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ing, and may receive a re-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request.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출석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출석확인단말(30) 및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20),(3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의 출석 여부를 재 판단한다.The attendance re-judgment step S167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judges whethe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normally been comple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s (20, 30) selected from the confirmation terminals 30, it is re-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informed that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

이때, 상기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상기 출석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출석확인단말(30)과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ttendance re-judgment step S167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ich normally complete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when the dist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예를 들어,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ttend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received the absence processing resul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ttendance is possible.

또는, 출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 및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s received the result of the attendance process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s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ttend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는 상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이 미리 결정된 수 이상 일정 영역안에 모여있음이 확인될 경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nforms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determination step S167 is normally completed .

예를 들어, 100명의 출석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50명 이상이 모여 있다면 출석으로 판단하도록 출석관리서버(1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는, 100명 중 50명 이상이 결석인 상황은 육안으로 확인해도 판단이 가능할 정도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판단했을 때, 50명 이상이 출석하였다면 50명 이상이 모여 있는 사람들은 출석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For example, if the attendance of 100 persons is to be confirme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can be requested to judge the attendance if more than 50 persons are gathered.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judging by the naked eye, if 50 people or more are present, 50 people or more are gathered because the presence of 50 or more of 100 persons is absent.

다른 예로, 선생님이 학생들(예: 50명)끼리 현장학습을 보내고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소유자(선생님)는 현장학습 장소에 동행하지 않기 때문에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 60%(30명) 이상의 학생이 모여있는 경우 출석으로 판단하도록 출석관리서버(10)에 요청하고, 30명 이상이 모여 있다면 모여 있는 학생들은 출석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는, 선생님의 지시를 무시하고 단체로 무단이탈을 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send a field trip between students (for example, 50 persons) and confirm presence / absence, the owner (teach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does not accompany the field study place, It can not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recognized by the request terminal 20 (teacher)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if 60% (30 or more) students are gathere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s requested to judge attendance, and if 30 or more students are gathered, the gathered students can be judged to be present. This is because it is unlikely to ignore the instructions of the teacher and leave the organization unauthorizedl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제1회원가입단계(S210), 출석확인진행요청송신단계(S220), 제1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230),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 및 제1출석정보수신단계(S260)를 포함한다.
4,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joining step S210, a presence confirmation request transmission step S220, An activation request step S230,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240,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50, and a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reception step S260.

제1회원가입단계(S21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한다.In the first member joining step S21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ccess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enter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join the membership.

이때,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MAC 계층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주소로서 보통 네트워크 카드의 ROM에 저장되어 있다.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s an address of a network device in the MAC layer in a network structure, and is usually stored in the ROM of the network card.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일종의 시리얼넘버인 셈이다.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user device. It is a kind of serial number.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를 말한다. 공간과 시간(약 3400년까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한 식별 숫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맥어드레스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대체하여 저장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 할 수 있다.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is a 128-bit number used to identify an object or entity on the Internet. It is a nearly uniquely identifiable identifier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up to about 3400 years), and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ranging from extremely short time objects to permanent object identification. There is no registration procedure for certification bodies, but onl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eneric single identifier gener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example, if a certain product's MAC address is stored in a specific server, a problem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may occur,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storing and storing a MAC address.

위에서 여러 가지 고유식별정보(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하나의 기기가 다수의 고유식별정보를 갖을 수 있다.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one device can have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휴대폰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면, 핸드폰 기기 자체의 식별자(UDID), 와이파이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블루투스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등 여러 고유식별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For example, if the mobile phone is capable of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it has 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UDID) of the mobile phone device itself, a MAC address for the Wi-Fi chip, and a MAC address for the Bluetooth chip.

출석확인진행요청송신단계(S22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한다.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transmission step S22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quest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o proceed wit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선생님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을 이용하여 출석관리서버(10)에 출석 확인 진행 요청(출석 확인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acher can request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 command to start attendance confirmation) by us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teacher is present.

제1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23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한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23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f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activated, it is requested to activat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은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은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출석체크의 시작)이 되었음을 통보 받을 수 있다. 이는 출석 체크를 하기 위해,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였는데, 출석관리서버(10)에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혹시라도,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지 않았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은 상기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를 재 수행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notifi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been made, that attendance confirmation has been made (start of attendance check) Can receive. In order to check attendanc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quest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erver 10 to check whether attendance confirmation has been normally received.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has not normally been receive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may re-execut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ttendance request receiving step (S120).

또한,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화면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If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eacher) is not activat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ctiv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screen capable of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한다.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24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searches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들 간에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한 연결(컨넥션)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검색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 기기에 연결 가능한 단말의 수가 제한(IOS 운영체제의 경우 한번에 컨넥션 가능한 단말의 수는 7 대 정도, 와이파이의 경우 120 대 정도임)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이 있는 기기도 다른 기기와 연결(컨넥션)을 하기 위해 검색된 검색 기기의 수 제한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연결(컨넥션) 가능한 기기의 수 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기기를 한 번에 검색 가능하다.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o make a conn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to search only.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devic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IOS operating system,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being connected at once is about 7, and Wi-Fi is about 120). However, even if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earch devices that have been searched to connect with other devices,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can be searched at a time more tha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

다시 말해, 한 번에 연결 가능한 기기 수의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컨넥션)이 아닌 검색결과를 이용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e use search results rather than conne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t one time.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 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 . ≪ / RTI >

일반적인 휴대기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기기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며, 블루투스의 통신 거리(적게는 10m 내외, 많게는 50m 내외)가 출석 확인을 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portable device uses Bluetooth. This is because most devices support Bluetooth,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istance (less than 10m, more than 50m) is suitable for attendance confirmation.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한다.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S25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found in the first identifying information searching step S240 to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 각각의 운영체제가 다르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f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terminal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unication or retrieval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may not be performed. ,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50) may further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rDA,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 3G (3Generation), and LTE (Long Term Evolution).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어도, 출석 확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에도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Even if it is not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can not be performed or retrieved, position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for correc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ttendance confirmation results.

제1출석정보수신단계(S26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출석 여부가 확인된 출석정보를 수신받는다.In the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6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attendance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출석정보는 출석이 확인된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출석자) 이름과, 출석이 확인되지 않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결석자) 이름 등의 정보를 말한다.
Here, attendanc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the owner (attend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confirmed and the owner (absent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not confirm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제2회원가입단계(S310), 제2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320), 제2식별정보검색단계(S330) 및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를 포함한다.
5,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member joining step S310,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320, An information retrieval step S330 and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제2회원가입단계(S310)는 출석확인단말(3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한다.In the second member registration step S31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enter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join the membership.

이때,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MAC 계층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주소로서 보통 네트워크 카드의 ROM에 저장되어 있다.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s an address of a network device in the MAC layer in a network structure, and is usually stored in the ROM of the network card.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일종의 시리얼넘버인 셈이다.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user device. It is a kind of serial number.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를 말한다. 공간과 시간(약 3400년까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한 식별 숫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맥어드레스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대체하여 저장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 할 수 있다.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is a 128-bit number used to identify an object or entity on the Internet. It is a nearly uniquely identifiable identifier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up to about 3400 years), and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ranging from extremely short time objects to permanent object identification. There is no registration procedure for certification bodies, but onl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eneric single identifier gener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example, if a certain product's MAC address is stored in a specific server, a problem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may occur,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storing and storing a MAC address.

위에서 여러 가지 고유식별정보(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하나의 기기가 다수의 고유식별정보를 갖을 수 있다.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one device can have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휴대폰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면, 핸드폰 기기 자체의 식별자(UDID), 와이파이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블루투스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등 여러 고유식별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For example, if the mobile phone is capable of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it has 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UDID) of the mobile phone device itself, a MAC address for the Wi-Fi chip, and a MAC address for the Bluetooth chip.

제2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320)는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한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32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s not activated, requests to activat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단말(30)(학생)은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은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출석체크의 시작)을 통보 받을 수 있다. 이는 출석 체크를 시작하였는데 이를 모르는 사람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며, 혹시라도,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선생님께 요청하여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을 이용하여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를 재 수행하거나,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출석확인단말(30)을 소유한 학생만 별도로 호명하여 출석 확인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can be notified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start of attendance check)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at receive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ttendance request have. This is because the attendance check is started so that no one knows it, and even if there is a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whos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not been made, there may be a student. In this case, the teacher requests the teacher to re-execut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receiving step (S120) by us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teacher) 20, or the student who own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You can check your attendance by calling separately.

또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출석확인단말(30)의 화면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Further, if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is not activat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ctiva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an be activated.

제2식별정보검색단계(S330)는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들 간에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한 연결(컨넥션)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검색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 기기에 연결 가능한 단말의 수가 제한(IOS 운영체제의 경우 한번에 컨넥션 가능한 단말의 수는 7 대 정도, 와이파이의 경우 120 대 정도임)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이 있는 기기도 다른 기기와 연결(컨넥션)을 하기 위해 검색된 검색 기기의 수 제한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연결(컨넥션) 가능한 기기의 수 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기기를 한 번에 검색 가능하다.I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33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earches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to make a conn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to search only.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devic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IOS operating system,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being connected at once is about 7, and Wi-Fi is about 120). However, even if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earch devices that have been searched to connect with other devices,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can be searched at a time more tha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

다시 말해, 한 번에 연결 가능한 기기 수의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컨넥션)이 아닌 검색결과를 이용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e use search results rather than conne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t one time.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 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 . ≪ / RTI >

일반적인 휴대기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기기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며, 블루투스의 통신 거리(적게는 10m 내외, 많게는 50m 내외)가 출석 확인을 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portable device uses Bluetooth. This is because most devices support Bluetooth,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istance (less than 10m, more than 50m) is suitable for attendance confirmation.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는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3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한다.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foun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3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 각각의 운영체제가 다르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f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terminal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unication or retrieval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may not be performed. ,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may further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rDA,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 3G (3Generation), and LTE (Long Term Evolution).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어도, 출석 확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보정에도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Even if it is not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can not be performed or retrieved, position information can also be used for correc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ttendance confirmation results.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 확인이 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의 위치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으면, 결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석 확인이 된 출석확인단말(30)(학생)의 위치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confirmed as attendance is not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if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confirmed to be absent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eacher), it can be judged as attendance.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며,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동일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은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출석 확인을 하고,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은, 운영체제 별로 집단을 만들어, 하나의 집단으로 인정하기 위한 최소 영역(거리, 면적 등) 내에 위치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을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른 각각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집단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라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집단도 출석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위에서 집단을 예로 들었으나, 개별적으로 거리를 기반으로 출석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or search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and the teacher uses the same operating system a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The group us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attendance. The group that uses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attendance confirms the minimum area (distanc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an area, etc.) of each of the operating systems is classified into respective groups according to respective operating systems, (20) (teacher) and other operating systems can be judged as attendance. Although the above group is taken as an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individually judge whether or not to attend based on the distan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상기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 이후에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수신받는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fter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And a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50) of receiving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 whethe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다시 말해,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수신받아,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가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whether or not attendance confirmation has been normally completed, and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an confirm the result of whether or not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performed.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학생 개개인이 본인의 출석체크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 teacher can check whether each student has his / her attendance check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student is present or abs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상기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 이후에 재출석확인요청송신단계(S360) 및 제2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360 of transmitting a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after receiving the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S350) And a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70).

재출석확인요청송신단계(S360)는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에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한다. In the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ransmission step S360,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in the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5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erver 30 ), And makes a request to proceed with re-attendance confirmation.

제2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70)는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출석 여부를 재 판단 결과를 수신받는다.In the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7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the result of the re-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attendanc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다시 말해,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가, 출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석 처리 결과를 받았다면, 다시 출석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출석 확인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추가 출석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의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ving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ing receives the result of the absent process despite having made the attendanc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an reques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again. At this time, You can ask for additional attendance confirmation. In this cas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y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of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ing, and may receive a re-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reques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회원가입단계(S510), 출석확인진행단계(S520), 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530), 고유식별정보검색단계(S540), 식별정보전송단계(S550), 출석확인단계(S560) 및 출석정보전송단계(S570)를 포함한다.
8,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cription step S510, a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step S520, a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530,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40,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an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and an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70.

회원가입단계(S51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회원가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ccess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mplete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stores the membership subscrip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이때,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MAC 계층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주소로서 보통 네트워크 카드의 ROM에 저장되어 있다.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s an address of a network device in the MAC layer in a network structure, and is usually stored in the ROM of the network card.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이다. 일종의 시리얼넘버인 셈이다.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is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user device. It is a kind of serial number.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는 인터넷상에서 객체나 실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128비트 숫자를 말한다. 공간과 시간(약 3400년까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로서, 극히 단시간의 객체에서부터 영구적인 객체 식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증 기관의 등록 절차는 없고, 다만 범용 단일 식별자 생성 프로그램의 유일한 식별 숫자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의 맥어드레스를 특정 서버에 저장하게 되면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맥어드레스를 대체하여 저장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 할 수 있다.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is a 128-bit number used to identify an object or entity on the Internet. It is a nearly uniquely identifiable identifier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up to about 3400 years), and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ranging from extremely short time objects to permanent object identification. There is no registration procedure for certification bodies, but onl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generic single identifier generation program is required. For example, if a certain product's MAC address is stored in a specific server, a problem such as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may occur,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dentifier for storing and storing a MAC address.

위에서 여러 가지 고유식별정보(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하나의 기기가 다수의 고유식별정보를 갖을 수 있다.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one device can have a pluralit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휴대폰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면, 핸드폰 기기 자체의 식별자(UDID), 와이파이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블루투스 칩에 대한 맥어드레스 등 여러 고유식별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For example, if the mobile phone is capable of Wi-Fi and Bluetooth communication, it has variou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er (UDID) of the mobile phone device itself, a MAC address for the Wi-Fi chip, and a MAC address for the Bluetooth chip.

출석확인진행단계(S52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린다.(도 9 참조)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requests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step S520) And notifie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see FIG. 9).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선생님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을 이용하여 출석관리서버(10)에 출석 확인 진행 요청(출석 확인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하면,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은 출석관리서버(1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학생)로 출석 확인 진행(출석체크의 시작)을 알릴 수 있다. 이는 출석 체크를 시작하였는데 이를 모르는 사람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며, 혹시라도,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은 상기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를 재 수행하거나, 출석 확인 진행이 안 된 출석확인단말(30)을 소유한 학생만 별도로 호명하여 출석 확인을 할 수 있다.
When the teache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tudents are present, for example, when the teacher makes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request (command to start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us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ving received the progress request can notif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eacher)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udent) of attendance confirmation (start of attendance check). This is because there is no one who knows the attendance check, and there may be a terminal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not been made even if the attendance check is started. In this cas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eacher) re-execute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receiving step (S120), or calls only the student who own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You can check.

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53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53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ving received th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ve activated the short- It requests to activat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선생님이 학생들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은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은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각각의 화면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e mobile terminal 10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ctivated on each scree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en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activated, You can switch to a screen where you can activate the function.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시키는 이유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한다면, 외부에서 강제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켜 해당 기기에 접속하여 중요정보 등을 가져갈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ctivated is displayed without being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a screen capable of activ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near-by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an be forcibly externally activated to access important information from the device. In other words, security problems may arise.

고유식별정보검색단계(S54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한다.(도 9 참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들 간에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한 연결(컨넥션)을 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검색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한 기기에 연결 가능한 단말의 수가 제한(IOS 운영체제의 경우 한번에 컨넥션 가능한 단말의 수는 7 대 정도, 와이파이의 경우 120 대 정도임)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이 있는 기기도 다른 기기와 연결(컨넥션)을 하기 위해 검색된 검색 기기의 수 제한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연결(컨넥션) 가능한 기기의 수 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기기를 한 번에 검색 가능하다.I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4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efer to FIG. 9). This is not a conn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a search only.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devic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IOS operating system, the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being connected at once is about 7, and Wi-Fi is about 120). However, even if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earch devices that have been searched to connect with other devices,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can be searched at a time more tha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

다시 말해, 한 번에 연결 가능한 기기 수의 제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컨넥션)이 아닌 검색결과를 이용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we use search results rather than connection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 on the number of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at one time.

여기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Bluetooth, Zigbee, UWB (Ultra Wide B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 . ≪ / RTI >

일반적인 휴대기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기기가 블루투스를 지원하며, 블루투스의 통신 거리(적게는 10m 내외, 많게는 50m 내외)가 출석 확인을 하기에 적당하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a general portable device uses Bluetooth. This is because most devices support Bluetooth,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istance (less than 10m, more than 50m) is suitable for attendance confirmation.

식별정보전송단계(S55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5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도 9 참조)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e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foun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5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See Fig. 9)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들 각각의 운영체제가 다르면 서로 다른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의 기기들 간에 통신 또는 검색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S55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 각각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f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terminal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mmunication or retrieval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operating systems (Android, IOS, etc.) may not be perform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may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rDA,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 3G (3Generation), and LTE (Long Term Evolution).

출석확인단계(S56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S550)에서 전송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5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한다.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member registered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5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spective devices transmitt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Matches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presence or absence.

다시 말해, 회원가입 한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출석확인단말(30))의 고유식별정보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기기의 소유자가 출석을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database stor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wned by the registered use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confirm whether the owner of the device is present.

출석확인단계(S560)는 고유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출석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가, 출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석 처리 결과를 받았다면, 출석 확인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추가 출석 확인을 할 수 있다.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compa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attendance. However, if the own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ving received the absence processing result has received the absence processing result despite having made attendance, As an auxiliary means of confirmation, additional attendance confirm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made.

예를 들어,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ttend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received the absence processing resul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ttendance is possible.

또는, 출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 및 결석 처리 결과를 받은 출석확인단말(3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s received the result of the attendance process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has received the result of the absence proces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ttenda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또, 일정 수 이상 모여있을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0명의 출석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50명 이상이 모여 있다면 출석으로 판단하도록 출석관리서버(1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는, 100명 중 50명 이상이 결석인 상황은 육안으로 확인해도 판단이 가능할 정도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판단했을 때, 50명 이상이 출석하였다면 50명 이상이 모여 있는 사람들은 출석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In addition, if there ar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people, it can be judged to be present. If the attendance of 100 persons is to be confirme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can be requested to judge if the attendance is over 50 persons.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judging by the naked eye, if 50 people or more are present, 50 people or more are gathered because the presence of 50 or more of 100 persons is absent.

또는, 일정 퍼센트 이상 모여있을 경우 출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생님이 학생들(예: 50명)끼리 현장학습을 보내고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예를 들면,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소유자(선생님)는 현장학습 장소에 동행하지 않기 때문에 출석확인요청단말(20)(선생님)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없다. 이러한 경우, 60%(30명) 이상의 학생이 모여있는 경우 출석으로 판단하도록 출석관리서버(10)에 요청하고, 30명 이상이 모여 있다면 모여 있는 학생들은 출석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는, 선생님의 지시를 무시하고 단체로 무단이탈을 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Or, if more than a certain percentage, they can be judged to be present. For example, the owner (teacher)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does not accompany the on-site learning place, s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for example, 20) (the teacher) can not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recognize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if 60% (30 or more) students are gathere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s requested to judge attendance, and if 30 or more students are gathered, the gathered students can be judged to be present. This is because it is unlikely to ignore the instructions of the teacher and leave the organization unauthorizedly.

출석정보전송단계(S570)는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56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도 9 참조)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70 is a step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to at least on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ee Fig. 9).

여기서, 출석정보는 출석이 확인된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출석자) 이름과, 출석이 확인되지 않은 출석확인단말(30)의 소유자(결석자) 이름 등의 정보를 말한다.
Here, attendanc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the owner (attend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confirmed and the owner (absentee) nam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is not confi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Although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by tangibly embodying a program of instructions And may be includ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as will be readily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other word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optical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light or metal lin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출석관리서버 20: 출석확인요청단말
30: 출석확인단말
S110: 회원가입수행단계 S120: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
S130: 출석확인진행알림송신단계 S140: 식별정보수신단계
S150: 출석확인단계 S160: 출석정보송신단계
S165: 제1출석확인정보전송단계 S166: 재출석확인요청수신단계
S167: 출석여부재판단단계 S170: 제2출석확인정보송신단계
S210: 제1회원가입단계 S220: 출석확인진행요청송신단계
S230: 제1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 S240: 제1식별정보검색단계
S250: 제1식별정보송신단계 S260: 제1출석정보수신단계
S310: 제2회원가입단계 S320: 제2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
S330: 제2식별정보검색단계 S340: 제2식별정보송신단계
S350: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 S360: 재출석확인요청송신단계
S370: 제2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
S510: 회원가입단계 S520: 출석확인진행단계
S530: 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 S540: 고유식별정보검색단계
S550;식별정보전송단계 S560: 출석확인단계
S570: 출석정보전송단계
10: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20: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30: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S110: Member Subscription Performing Step S120: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Reception Request Step
S130: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notification transmission step S140: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ption step
S150: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60: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5: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6: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reception step
S167: Whether or not attendance is re-judged Step S170: The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sending step
S210: First member joining step S220: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transmission step
S230: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240: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250: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60: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reception step
S310: second member joining step S320: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330: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340: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50: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60: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sending step
S370: Receiving the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S510: Member joining step S520: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step
S530: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54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50;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60: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70: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Claims (27)

출석관리서버(10)가,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가입수행단계(S11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는 출석확인진행요청수신단계(S12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출석확인진행알림송신단계(S13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식별정보를 수신받는 식별정보수신단계(S14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수신단계(S140)에서 수신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1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하는 출석확인단계(S150); 및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15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로 송신하는 출석정보송신단계(S160);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S110)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d proceeding wit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Receiving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S120) in which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receives a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notification transmission step (S130) of informing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of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e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other devices recognized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tep S14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emb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1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vices receiv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40, (S150); And
An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of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o transmit the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i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of the attendee is corr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수신단계(S14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 각각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14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access (WiMAX)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3G (3Genera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luetooth, Zigbee, Ultra Wide 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Fidelity (Wi-Fi)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정보전송단계(S160) 이후에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각각의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제2출석확인정보송신단계(S170);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A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70) of informing whethe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s normally completed attendance confirmation to each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확인단계(S150)와 상기 출석정보전송단계(S160) 사이에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각각의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제1출석확인정보전송단계(S165);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말(30) 중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받는 재출석확인요청수신단계(S166); 및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출석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출석확인단말(30) 및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20),(30))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의 출석 여부를 재 판단하는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Betwe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150) and the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A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5) of informing whether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s normally completed attendance confirmation to each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s (3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nforming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not normally completed and receives a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Request receiving step (S166); And
Wherein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whose attendance confirmation has normally been completed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nforming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completed normally A presence or absence re-judgment step S167 of re-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present, informing that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one terminal (20, 3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상기 출석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출석확인단말(30)과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ence / absence re-judgment step S167
If the distance betwe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upo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notifying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completed normally is measured, And th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석여부재판단단계(S167)는
상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린 출석확인단말(30)이 미리 결정된 수 이상 일정 영역안에 모여있음이 확인될 경우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ence / absence re-judgment step S167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nforming th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is collect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areas. Way.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제1회원가입단계(S21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는 출석확인진행요청송신단계(S22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1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23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제1식별정보검색단계(S2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 및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출석 여부가 확인된 출석정보를 수신받는 제1출석정보수신단계(S260);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A first member joining step (S21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ccess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join the membership;
A step S220 of transmitting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ss request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o request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s not activate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230) requesting to activ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240) f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50) of transmitting, by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2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A first attendance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6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ceives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as attendance on the basis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ing server (1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of the attendee is corr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식별정보송신단계(S25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5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s further transmit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access (WiMAX)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3G (3Genera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or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luetooth, Zigbee, Ultra Wide 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Fidelity (Wi-Fi)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Function.
출석확인단말(30)이,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제2회원가입단계(S310);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제2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320);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제2식별정보검색단계(S33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3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A second member joining step (S31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connects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join the membership;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is not activate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step (S320) requesting to activate the function;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33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of send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34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of the attendee is correc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는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is further transmitt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access (WiMAX)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3G (3Genera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hor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luetooth, Zigbee, Ultra Wide 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Fidelity (Wi-Fi)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Fun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별정보송신단계(S340) 이후에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수신받는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40)
A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ption step (S35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whether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rmally comple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 이후에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제1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50)에서 출석 확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경우,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재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는 재출석확인요청송신단계(S36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된 출석 여부를 재 판단 결과를 수신받는 제2출석확인정보수신단계(S370);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After the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50)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ttendance confirmation is not normally completed in the first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5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 re-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ransmission step (S360) for making a confirmation proceeding request; And
A second attendance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S370) in which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receives a result of the re-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attendanc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출석확인요청단말(20) 또는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에 접속해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완료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회원가입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가입단계(S51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이,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출석 확인 진행 요청을 하면,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로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출석확인진행단계(S520);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부터 출석 확인 진행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무선통신활성화요청단계(S53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검색하는 고유식별정보검색단계(S540);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이, 상기 식별정보검색단계(S540)에서 검색된 다른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출석관리서버(10)로 전송하는 식별정보전송단계(S550);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S550)에서 전송받은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회원가입단계(S510)에서 회원가입 된 회원의 고유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출석 여부를 확인하는 출석확인단계(S560); 및
상기 출석관리서버(10)가, 상기 출석확인단계(S560)에서 출석 확인된 출석정보를 상기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상기 출석확인단말(30)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출석정보전송단계(S570);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or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ccesses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input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mplete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A member joining step (S510) of storing membership information in a database;
When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requests attendance confirmation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An attendance confirmation proceeding step (S520) of notifying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to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I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hat have receive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ttendance confirmation progress from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have not activat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530) requesting activ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tivation request;
A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ing step (S540)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ing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to search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ther devices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devices search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step S540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550);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emb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step S510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vices transmitt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550, (S560); And
The attendance management server 10 transmits the attendance information confirmed at the attendance confirmation step S560 to at least one of the attendance confirmation request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S570);
And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맥어드레스(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국제모바일기기식별코드(IME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고유식별번호(UDID: User Device IDentification) 및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a User Device IDentification (UDID), an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ttendance of the attendee is correc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전송단계(S550)는
출석확인요청단말(20) 및 출석확인단말(30) 각각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S550)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20) and the attendance confirmation terminal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3G(3Generation) 및 LTE(Long Term Evolution)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위치를 추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location information
(GPS), a wireless LAN (WLAN), a wireless fidelity (Wi-Fi),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a microwave access (WiMAX) Downlink Packet Access, Zigbee, Bluetooth, Ultra-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Ultra Wild Band,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3G (3Generation)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hor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luetooth, Zigbee, Ultra Wide 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Fidelity (Wi-Fi)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Function.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자동 출석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automatic attendance confirmation method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KR1020140037027A 2014-03-28 2014-03-28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1501125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27A KR20150112566A (en) 2014-03-28 2014-03-28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27A KR20150112566A (en) 2014-03-28 2014-03-28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66A true KR20150112566A (en) 2015-10-07

Family

ID=5434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27A KR20150112566A (en) 2014-03-28 2014-03-28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5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96A1 (en) * 2016-01-04 2017-07-13 박희석 Integrated member management method
KR20220056355A (en)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유앤아이씨 Retransmission preventing system using security code table and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c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96A1 (en) * 2016-01-04 2017-07-13 박희석 Integrated member management method
US10290161B2 (en) 2016-01-04 2019-05-14 Hee Suck Park Integrated membership management method
KR20220056355A (en)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유앤아이씨 Retransmission preventing system using security code table and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c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2917A (en) Short-range user identif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425345B1 (en)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with smart devices using wi-fi beacon frames
CN104468335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US10638270B2 (en) Location-based wireless tracking
CN106658458B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mobile terminal based on anti-lost device
CN104540086A (en) Business car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50112566A (en) Method for automatic attendance check using area network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N106780815A (en) A kind of register method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geographical position
WO2017122029A1 (en) Monitoring system
Ali Near-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ts impact in smart university and digital library: comprehensive study
KR20150094921A (en)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s capabilities Xidstory attendance app and check how
KR102186900B1 (en) Apparatus for Managing Student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7705091A (en) A kind of Quick Response Code location fingerprint identifies student's intelligent Checking on Work Attendance management method
Menon et al. Smart workplace—Using iBeacon
KR20120114667A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CN107548026B (en) School safety ser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shared information
KR101749707B1 (en) System for automatic attendance management using wireless fidelity with limitless number of occupations
Wu et al. A crowdsourced WiFi sensing system with an endorsement network in smart cities
CN106851643B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 and electronic schoolbag system
KR20140068736A (en) Seminar participant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686748B1 (en) Smartphone Location based Automatic Attendance Check System and Method
US9813853B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KR101585191B1 (en) Method,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ntent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ound user terminal
US10165439B1 (en) Passive wireless electronics detection system
KR20130129029A (en) Method for managing attendance based on chip having unique number using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