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320A - Shaped piece toilet - Google Patents

Shaped piece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320A
KR20150112320A KR1020140036233A KR20140036233A KR20150112320A KR 20150112320 A KR20150112320 A KR 20150112320A KR 1020140036233 A KR1020140036233 A KR 1020140036233A KR 20140036233 A KR20140036233 A KR 20140036233A KR 20150112320 A KR20150112320 A KR 2015011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tank
toilet bow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선상
Original Assignee
유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상 filed Critical 유선상
Priority to KR102014003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320A/en
Publication of KR2015011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3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piece toilet bowl. The one-piece toilet bowl comprises: a toilet bowl; a toilet bowl seat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bowl to be rotated and has an opening; a tank which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 drain combined to the toilet bowl to discharge excreta to a drainpipe; and a water supply unit which is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tank and directly supplies water in plumbing into the toilet bowl when an external toilet bowl handle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of components can be simplifi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bowl can be reduced as the excreta can be removed without water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ater tank. Moreover, the one-piece toilet bowl reduces water usage and the components of the toilet bowl, thereby reducing costs.

Description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Shaped piece toilet}{Shaped piece toilet}

본 발명은 원피스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저장하지 않고 용변을 제거하고 양변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piece type toilet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eat without a water storage and a space for installing a toilet seat.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용변을 처리하는 것으로 변기와 물탱크 및 후레쉬 밸브로 대별된다. Generally, a toilet is divided into a toilet, a water tank, and a fresh valve.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를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양변기(10)는 조절레버(미도시)의 가압으로 개방된 필밸브(12)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림측으로 공급되어 림측배출공(13)로 배출됨으로써 변기본체(11)의 내면을 세척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21)의 상승으로 개방된 수조(20)의 배출공을 통해 수조(20)에 저장된 세척수가 림측배출공(13)와 변기본체(11)의 하단부에 형성된 공급수로(14)로 배출되는 수압차에 의해 세척수가 배수관(15)으로 배출되면서 변기본체(11)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is provided with wash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via a fill valve 12 opened by the pressure of an adjustment lever (not shown) to the rim sid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ub 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tub 20 opene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fresh water valve 21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rim side discharge hole 13,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15 by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discharged through the hole 13 and the supply water channel 1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11 to clean the toilet bowl 11.

그러나 종래의 양변기는 물탱크 안에 담긴 물의 양이 대변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양을 감안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물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is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necessary for treating the feces,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wasted.

즉, 통상적으로 사람은 대변보다 소변을 보는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소변을 본 후에도 물탱크 안의 물이 대변을 본 것과 같은 양의 물이 배출됨으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since the number of people urinating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eces,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after the urine is drained, the same amount of water a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discharged, resulting in waste of water.

한편 세계 수자원 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이 물부족국가로 지정되어 있고,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물소비량은 세계 4위이며, 외국에 비해 수돗물값이 싸지만 향후 계속적으로 물값 인상이 예상되고, 전국민이 10% 물 절약 시 한해 약 2,800억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World Water Resources Report, South Korea is designated as a water-scarce country, and the per capita water consumption per capita in Korea is 4th in the world, and tap water is cheaper than foreign countries. It is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save about W280 billion in water savings.

따라서 종래의 양변기는 상기와 같은 물 절약 차원에서 양변기에 절수장치가 다수 출원된바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양변기에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many water saving devices have been filed in the toilet in the above-mentioned water saving aspect, and in fact, they have been installed in the toilet.

그러나 종래의 양변기에 설치되는 절수장치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부품의 설치 비용 및 교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절수장치의 부피가 적어 물을 여러 번 사용해야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ater-saving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is complicated in structure, the cost is increased,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replacement cost of the component are increased, and the volume of the water-saving device is small, there wa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3335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24333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214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121448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의 수용공간에 물을 저장하지 않고 용변을 제거하고 양변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rsatile one-piece type toilet which can eliminate the use of water in a storage space of a tank and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또한 양변기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협소한 화장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되는 비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rsatile one-piece type toilet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a toilet and thus allowing easy installation of a bidet,

또한 물탱크의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차단하는 탱크 뚜껑을 활용하여 물건을 장식 및 수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chnique for decorating and accommodating an object by utilizing a storage space for the water tank and a tank lid for blocking the storage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피스형 양변기는, 양변기;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양변기 시트; 상기 양변기의 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탱크; 상기 양변기와 결합되고 용변을 배수관에 배출하는 배수구; 상기 탱크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외부에 배치되는 양변기 핸들의 작동시 수도배관의 물을 상기 양변기의 내부에 직접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one-piece typ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ilet; A toilet seat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and having an opening; A tank mounted at the rear of the toilet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ain port coupled to the toilet seat and discharging the toilet bowl to the drain pipe;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pipe directly to the inside of the toilet when the toilet handle mounted on the outside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ank.

그리고 상기 탱크의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탱크 뚜껑은 물건을 수용 및 장착할 수 있도록 선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ank lid for opening or clos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tank may be formed in a shelf shape so as to receive and mount the object.

또한 상기 배수관과 배수구의 연결부분에는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플랜지가 장착될 수 있다. Further, a flange, which is selectively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ng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ort so that the backflow preventing member can be fixed while blocking the smell flowing back through the sewage pipe.

여기서 상기 물 공급수단은 상기 수도배관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앵글밸브; 상기 앵글밸브와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고압호스 밸브; 상기 양변기와 연결되면서 하부에 결합되는 고압호스 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공급하는 후레쉬 밸브 탱크; 상기 후레쉬 밸크 탱크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양변기 핸들과 연결되는 후레쉬 밸브 뭉치;를 포함한다. Wherein the water supply means includes an angle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supplying water thereto; A high pressure hose valve connected to the angle valve through a connection hose; A flush valve tank connected to the toilet and supplying water delivered through a high-pressure hose valve coupl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sh valve bundl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eshness valve tank and connected to the toilet seat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의 수용공간에 물을 저장하지 않고 용변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설치가 간편하고 양변기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절감하면서도 양변기의 부품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ilet can be removed without storing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the parts,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toilet, reduce the water, Can be reduced.

또한 양변기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협소한 화장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되는 비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화장실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size of the toilet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bidet in a small size, and it is also applicable to the existing toilet.

또한 물탱크의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차단하는 탱크 뚜껑을 활용하여 물건을 장식 및 수용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tank lid for blocking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used to decorate and accommodate the objects, the beauty of the toilet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a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intended to mean that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일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one-piece type toilet sea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one- piece typ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원피스형 양변기(100)는 양변기(110)와, 상기 양변기(1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양변기 시트(120)와, 상기 양변기(1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탱크(130)와, 상기 양변기(110)와 결합되고 용변을 배출하는 배수구(140)와, 상기 탱크(130)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 공급수단(150) 등으로 구성된다. The one-piece type toilet sea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seat 110, a toilet seat 120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110, a tank 130 mounted to the rear of the toilet seat 110, A drain 140 coupled to the toilet 110 and discharging the use of the toilet, a water supply unit 150 installed inside the tank 130, and the like.

상기 양변기(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 측에는 물 공급부(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 고임부(112)와 물 배출부(113)가 형성된다. A water supply unit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ilet 110 and a water reservoir 112 and a water discharge unit 113 are formed on a lower side.

즉 상기 양변기(110)는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되는 용변을 물 고임부(112)에 수용하고, 상기 물 공급부(111)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물 고임부(112)에 위치하는 용변을 물 배출부(113)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toilet 110 has a receptacle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reservoir 112 through the opened upper part,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servoir 112 So that the toilet can be drained through the water discharging part 113.

이때 상기 물 배출부(113)의 높이는 용변을 수용하는 물 고임부(112)의 위치를 고려하여 높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water discharge part 113 is formed to be high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water reservoir 112 receiving the toilet.

또한 상기 양변기(110)는 도시된 도면의 양변기뿐만 아니라 공지된 양변기로도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toilet can be configured not only as a toilet bowl in the drawing, but also as a known toilet bowl.

상기 양변기 시트(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130)와 근접하는 부분에는 힌지부(124)가 장착된다.The toilet seat 1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opening 122 is formed in the toilet seat 120. A hinge portion 124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toilet seat near the tank 130. [

즉 상기 양변기 시트(12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엉덩이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양변기(110)의 상부에 장착하고, 일 측에는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124)를 장착하며, 내부에는 개구부(122)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toilet seat 12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support the butt portion when the user views the toilet, an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110. A hinge portion 124 And an opening 122 is formed therein.

그리고 상기 양변기 시트(120)의 상부에는 개구부(122)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양변기 뚜껑(126)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A toilet lid 126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120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122.

이때 상기 양변기 뚜껑(126)은 힌지부(124)와 연결되어 회전작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oilet lid 126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124 to rotate.

상기 양변기(1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탱크(130)는 내부에 수용공간(1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32)의 상부에는 탱크 뚜껑(13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A tank 130 mounted to the rear of the toilet 110 has a receiving space 132 formed therein and a tank lid 134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32.

즉 상기 탱크(130)는 물을 대신하여 내부에 물 공급수단(1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32)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탱크 뚜껑(134)을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tank 130 has a housing space 132 in which the water supply means 150 can be received in place of water, and a tank lid (not shown) 134).

이를 통해서 기존의 물탱크보다 작은 크기의 탱크(130)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변기(110)에 선택하여 설치되는 비데의 선택 폭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132)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tank 130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conventional water tank can be provided, the selection width of the bidet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toilet 110 can be increased, and the article can b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32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beau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32)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탱크 뚜껑(134)은 물건을 수용 및 장착할 수 있도록 선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tank lid 134, which opens or closes the receiving space 132, is formed in a shelf shape to accommodate and mount objects.

이때 상기 탱크 뚜껑(134)의 상부에는 진열대 등이 장착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tank lid 134 is formed flat so that a shelf or the lik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nk lid 134.

상기 배수구(1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주름관 또는 배관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일 측에 상기 양변기(110)의 물 배출부(113)와 결합되며, 반대 측이 배수관(170)과 결합된다. The drain 140 is formed by connecting a corrugated pipe or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upled to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13 of the toilet 110 at one side and to the drain pipe 170 at the opposite side.

즉 상기 배수구(140)는 일 측이 물 배출부(113)와 결합되고, 반대 측이 배수관(170)과 결합되어, 상기 물 공급수단(150)의 작동시 상기 물 고임부(112)에 수용된 용변을 배수관(170)에 배출하게 된다. That is, the drain 140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art 113 at one side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170 at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art 113, And discharges the toilet to the drain pipe 170.

그리고 상기 물 배출부(113)와 결합되는 배수구(140)의 연결부분에는 악취나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을 위하여 씰링(171) 및 밴드(172)가 장착된다. A seal 171 and a band 172 ar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ort 140 coupled with the water discharge part 113 to prevent odor and water from being discharged and for fixing.

또한 상기 배수관(170)과 결합되는 배수구(140)의 연결부분에는 고정을 위하여 플랜지(173)를 장착하되, 상기 플랜지(173)의 내부에는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부재(174)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A flange 173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ort 140 coupled to the drain pipe 170 so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member 174 Can be selectively mounted.

이때 상기 역류방지부재(174)는 판 형상으로 중앙이 개방되면서 방사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backflow prevention member 174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with a cut-out in a radial shape with the center being opened.

상기 탱크(130)의 수용공간(132)에 장착되는 물 공급수단(150)은 양변기(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양변기 핸들(160)의 작동시 수도배관(180)의 물을 상기 양변기(110)의 내부에 직접공급하게 된다. The water supply means 150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132 of the tank 130 can supply water from the water pipe 180 to the toilet 110 when the toilet handle 160 disposed outside the toilet 110 is operated, ).

즉 상기 물 공급수단(150)은 양변기 핸들(160)의 작동시 수도배관(180)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상기 양변기(110)의 내부에 바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water supply means 150 directly supplies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pipe 180 to the inside of the toilet 110 when the toilet handle 160 is operated.

그리고 상기 물 공급수단(150)은 수도배관(180)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앵글밸브(151)와, 상기 앵글밸브(151)와 연결호스(153)를 통해 연결되는 고압호스 밸브(152)와, 상기 양변기(110)와 연결되면서 하부에 결합되는 고압호스 밸브(152)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공급하는 후레쉬 밸브 탱크(154)와, 상기 후레쉬 밸크 탱크(154)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양변기 핸들(160)과 연결되는 후레쉬 밸브 뭉치(155)로 구성된다. The water supply means 150 includes an angle valve 151 connected to the water pipe 180 for supplying water and a high pressure hose valve 152 connected to the angle valve 151 through a connection hose 153, A fresh water valve 154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110 and supplied with water through a high pressure hose valve 15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54, And a flash valve bundle 155 connected to the handle 160.

보충설명하면, 상기 물 공급수단(150)은 양변기 핸들(160)의 조작시 상기 후레쉬 밸브 뭉치(155)가 연동작동하고, 상기 앵글밸브(151)는 수도배관(180)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상기 고압호스 밸브(152)에 전달하며, 상기 고압호스 밸브(152)는 후레쉬 밸브 탱크(154)에 전달하고, 상기 후레쉬 밸브 탱크(154)는 양변기(110)의 물 공급부(111)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150 operates the flush valve 155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handle 160, and the angle valve 151 controls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0 The high pressure hose valve 152 is transmitted to the fresh water valve tank 154 and the fresh water valve tank 154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11 of the toilet head 110 .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100)의 설치 과정 및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상부가 개방되고, 일 측에는 물 공급부(1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 고임부(112)와 물 배출부(113)가 형성되는 양변기(110)를 형성한다. A water supply unit 111 is formed on one side and a toilet seat 110 on which a water reservoir 112 and a water discharge unit 113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양변기(110)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는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130)와 근접하는 부분에는 힌지부(124)가 장착되는 양변기 시트(120)를 장착한 후 상기 양변기 시트(120)의 상부에 양변기 뚜껑(126)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An opening 122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110 and a toilet seat 120 on which a hinge 124 is mounted is attached to a portion near the tank 130 And then the toilet lid 12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paper sheet 120.

다음으로 상기 양변기(110)의 후방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3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32)의 상부에는 탱크 뚜껑(13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탱크(130)를 장착한다. A receiving space 132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toilet 110 and a tank 130 to which the tank lid 134 is detachably mounte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32.

그리고 상기 양변기(110)와 배수관(170)의 사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배수구(140)를 장착한다. A drain 140 formed of a corrugated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mounted between the toilet 110 and the drain pipe 170.

이때 상기 물 배출부(113)와 결합되는 배수구(140)의 연결부분에는 씰링(141) 및 밴드(142)가 장착되고 상기 배수관(170)과 결합되는 배수구(140)의 연결부분에는 역류방지부재(174)가 구비되는 플랜지(173)를 장착한다. A sealing portion 141 and a band 142 are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rain port 140 coupled to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13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rain port 140 coupled to the drain pipe 170 is provided with a reverse- A flange 173 provided with a flange 174 is mounted.

다음으로 상기 탱크(130)의 수용공간(132)에 수도배관(180)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앵글밸브(151)와, 상기 앵글밸브(151)와 연결호스(153)를 통해 연결되는 고압호스 밸브(152)와, 상기 양변기(110)와 연결되면서 하부에 결합되는 고압호스 밸브(152)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공급하는 후레쉬 밸브 탱크(154)와, 상기 후레쉬 밸크 탱크(154)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양변기 핸들(160)과 연결되는 후레쉬 밸브 뭉치(155)로 구성되는 물 공급수단(150)을 장착하면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An angle valve 151 connected to the water pipe 180 and supplying water to the accommodation space 132 of the tank 130 and a high pressure valve 152 connected to the angle valve 151 via the connection hose 153, A freshness valve tank 154 for supplying water delivered through a hose valve 152 and a high pressure hose valve 152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oilet seat 110, When the water supply unit 150 including the flash valve bundle 155 connected to the toilet handle 160 is installed, the assembly of the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seat 100 is completed.

다음으로 상기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Next, a case of using the versatile one-piece type toilet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양변기 시트(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양변기 뚜껑(126)을 회동작동시켜 상기 양변기(110)의 상부를 개방한다.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110 is opened by rotating the toilet lid 126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120. [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 시트(120)에 앉은 후, 용변을 본 다음, 상기 양변기 핸들(160)을 조작하면, 상기 양변기 핸들(16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후레쉬 밸브 뭉치(155)는 연동작동하고 상기 양변기(110)의 물 공급부(111)와 후레쉬 밸브 탱크(154)는 연통하게 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ilet seat handle 160 aft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120 after using the toilet seat 160, the flash valve bundle 155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handle 160, The water supply portion 111 of the toilet 110 and the flash valve tank 154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수도배관(180)을 통해 전달되는 물은 앵글밸브(151)와 연결호스(153) 및 고압호스 밸브(152)를 통해 후레쉬 밸브 탱크(154)에 전달된 후 상기 후레쉬 밸브 탱크(154)를 거쳐 상기 양변기(110)의 물 공급부(111)에 공급된다. The water delivered through the water pipe 180 is transferred to the fresh water valve tank 154 through the angle valve 151, the connecting hose 153 and the high pressure hose valve 152,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11 of the toilet 110.

그리고 상기 물 공급부(111)를 통해 양변기(110)의 내부에 전달되는 물은 물 고임부(112)에 채워지면서 상기 물 고임부(112)에 위치하는 용변을 물 배출부(113)를 통해 배수관(170)으로 배출하게 된다. The water delivered 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11 is filled in the water reservoir 112 so that the toilet located in the water reservoir 112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unit 113, (Not shown).

다음으로 상기 양변기 핸들(160)의 조작이 멈추면, 상기 후레쉬 밸브 뭉치(155)는 연동작동하여 상기 양변기(110)의 물 공급부(111)와 후레쉬 밸브 탱크(154)는 차단되고 더 이상 상기 양변기(110)의 물 고임부(112)로 물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handle 160 is stopped, the fresh water valve unit 155 is interlocked and the water supply unit 111 of the toilet seat 110 and the freshness valve tank 154 are shut off,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water holding part 112 of the water tank 110.

이와 같이 상기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100)는 양변기 핸들(160)의 조작시 상기 물 공급수단(150)의 작동과 정지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one-piece type toilet seat 100 is repeatedly operated and stopp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handle 1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110 : 양변기,
111 : 물 공급부, 112 : 물 고임부,
113 : 물 배출부, 120 : 양변기 시트,
122 : 개구부, 124 : 힌지부,
126 : 양변기 뚜껑, 130 : 탱크,
132 : 수용공간, 134 : 탱크 뚜껑,
140 : 배수구, 150 : 물 공급수단,
151 : 앵글밸브, 152 : 고압호스 밸브,
153 : 연결호스, 154 : 후레쉬 밸브 탱크,
155 : 후레쉬 밸브 뭉치, 160 : 양변기 핸들
170 : 배수관, 171 : 씰링,
172 : 밴드, 173 : 플랜지,
174 : 역류방지부재, 180 : 수도배관.
100: a versatile one-piece type toilet, 110: a toilet,
111: water supply part, 112: water high pregnancy part,
113: water discharge portion, 120: toilet seat,
122: opening portion, 124: hinge portion,
126: toilet lid, 130: tank,
132: accommodation space, 134: tank lid,
140: drain, 150: water supply,
151: Angle valve, 152: High pressure hose valve,
153: connecting hose, 154: fresh valve tank,
155: bundle of fresh-water valves, 160: toilet seat handle
170: drain pipe, 171: sealing,
172: band, 173: flange,
174: backflow preventing member, 180: water pipe.

Claims (4)

양변기;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양변기 시트;
상기 양변기의 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탱크;
상기 양변기와 결합되고 용변을 배수관에 배출하는 배수구;
상기 탱크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외부에 배치되는 양변기 핸들의 작동시 수도배관의 물을 상기 양변기의 내부에 직접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A toilet;
A toilet seat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and having an opening;
A tank mounted at the rear of the toilet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ain port coupled to the toilet seat and discharging the toilet bowl to the drain pipe;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pipe directly to the inside of the toilet when the toilet handle mounted on the outside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an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탱크 뚜껑은 물건을 수용 및 장착할 수 있도록 선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nk lid for opening or block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tank is formed in a shelf shape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nd mount objec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과 배수구의 연결부분에는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플랜지가 장착되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ort so as to be able to block the odor backflowing through the sewer pipe while preventing the reverse flow.
제 1항에 있어서, 물 공급수단은,
상기 수도배관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앵글밸브;
상기 앵글밸브와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고압호스 밸브;
상기 양변기와 연결되면서 하부에 결합되는 고압호스 밸브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공급하는 후레쉬 밸브 탱크;
상기 후레쉬 밸크 탱크의 상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양변기 핸들과 연결되는 후레쉬 밸브 뭉치;를 포함하는 다용도 원피스형 양변기.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 angle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supplying water;
A high pressure hose valve connected to the angle valve through a connection hose;
A flush valve tank connected to the toilet and supplying water delivered through a high-pressure hose valve coupl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ush valve assem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eshness valve tank and connected to the toilet seat handle.
KR1020140036233A 2014-03-27 2014-03-27 Shaped piece toilet KR201501123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33A KR20150112320A (en) 2014-03-27 2014-03-27 Shaped piece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33A KR20150112320A (en) 2014-03-27 2014-03-27 Shaped piece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320A true KR20150112320A (en) 2015-10-07

Family

ID=5434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233A KR20150112320A (en) 2014-03-27 2014-03-27 Shaped piece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3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en) Water-saving toilet
WO2009002062A3 (en) Toilet stool having supporting water tank for preventing overflowing
CN102378843B (en)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for toilet fill valve
KR20120117073A (en) Form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saving toilet.
KR200202253Y1 (en) A toilet stool for economize water
JP2009114838A (en) Openable/closable twin tank type flushing water container using recycled water
JP5435606B2 (en) Western style toilet fill valve rim side water supply pipe quantity control valve
US9057186B1 (en) Integrally formed water and space saving lavatory-toilet fixture
KR20150112320A (en) Shaped piece toilet
KR101282271B1 (en) Bowl make-up water supply adjustable toilet fixture of the make-up water supply hose
JP4296843B2 (en) Wash water supply structure for flush toilet
KR101094473B1 (en) Water saving closestool
KR20100071911A (en) Small enclosure and auxiliary device for water saving of toilet
KR101489224B1 (en) Toilet bowl
KR101577696B1 (en) Water-saving toilet bowl with separate faucets and urine drain
KR20130002284U (en) A home urinating apparatus
KR20000027953A (en) Recycling device for filthy water of basin
KR101124613B1 (en) A toilet stool of water saving type
KR20130033855A (en) Toilet bowl
KR20100009972U (en) Toilet tank of water saving type
KR200191217Y1 (en) A water saving device of water closet
KR20090005647U (en) Water closet
KR20050050967A (en) A chamber pot
RU67122U1 (en) Flush toilet bowl
KR200246741Y1 (en) Flushing toilet for the use of saving water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