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214A -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214A
KR20150112214A KR1020140035852A KR20140035852A KR20150112214A KR 20150112214 A KR20150112214 A KR 20150112214A KR 1020140035852 A KR1020140035852 A KR 1020140035852A KR 20140035852 A KR20140035852 A KR 20140035852A KR 20150112214 A KR20150112214 A KR 2015011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purified water
condition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2975B1 (en
Inventor
김형곤
모병선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975B1/en
Publication of KR2015011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er having an ice-maker comprises: a filter part which purifies original water and generates purified water, a storage part which receives purified water to generate ice from the filter part and storing it; a cooling part which cools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part, generating ice; and a control part which performs control to generate ice through the cooling part. Here, the storage part has an outlet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The control part performs a first control if at least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first condition is that where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when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part; the first control is that where the purified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orage part; and if the control part satisfies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the cooling part further performs a second control to start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part.

Description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an ice water purifier,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ice-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정량의 물을 제빙 수단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량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제빙 수단이 얼음 생성을 위한 물의 냉각을 시작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ice produc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starting water cooling,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ice producing device.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제빙 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해야 한다. 즉,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얼음 정수기는 제빙 수단으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A water purifier commercially available in recent years is generally capable of providing ice to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such ice, the ice water purifier must have an ice maker to make ice inside. In addition, the ice water purifier must have an ice reservoi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ce made by the ice-making means. That is, recently, an ice water purifier,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stores ice in the ice reservoir after making ice using the ice maker, and provides ice to the user in the ice reservoir when the user requests ice.

그런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수단은 미리 정해진 냉각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제빙 수단이 냉각 능력 이상의 물을 냉각하면 물이 제대로 얼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빙 수단이 냉각 능력 이하의 물을 냉각하면 물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냉각 수단의 작동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수단으로 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정량이 물이 공급됐을 때 제빙을 시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However, the ice making means for generating ice generally exhibits a predetermined cooling ability. As a result, if the ice-making unit cools the water over the cooling capacity, the water may not freeze properly. On the contrary, when the ice-making means cools the water below the cooling capacity, the water may become too frozen to cause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ice-making means and start ice-making when the water is supplied.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정량의 물을 제빙 수단(저장부)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정량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제빙 수단(냉각부)이 얼음 생성을 위한 물의 냉각을 시작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making apparatus which can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an ice making unit (storage unit)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starting the cooling of water for genera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ice produc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필터부로부터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냉각부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저장부는 정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고,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제1 조건은 정수수가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정수수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고, 제1 제어는 저장부로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냉각부가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더 행할 수 있다.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unit for purifying raw wa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for generating ice from the filter unit,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ice,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generate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ha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when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water is being supplied to the reservoir, and the first control is such that no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reservoir.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perform a second control to cause the cooling unit to start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에 의해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 단계, 정수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저장부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공급 단계 이후에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공급 단계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부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제1 조건은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저장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정수수가 배출되는 것이다. Further, a control method for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method for an ice water purifier, comprising: an integer step of rectifying raw water by a filter part for purifying raw water; a supplying step of supplying a purified water number generated by the purification step to a storage part; Wherein the supply step stops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reservoir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condition is to store the purified water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의 얼음 정수기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냉각부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저장부는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내측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제1 조건은 정수수가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정수수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고, 제1 제어는 저장부로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ice water purifier of the direct formu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rect water ice water purifier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a purified water. The ice water purifi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purified water for generating ice,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generate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when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integer numb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first control is such that no integer numb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생성 장치는,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냉각부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저장부는 물을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제1 조건은 물이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물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고, 제1 제어는 저장부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Further, the ice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ce producing apparatus for generating ice by cooling wat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or generating ice;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for generating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has an outlet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order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and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control i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는 저장부의 배출구에서 저장부의 물(정수수)이 배출될 때까지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정량의 물을 저장부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량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냉각부가 얼음 생성을 위한 물의 냉각을 시작할 수 있고, 설사 정량의 물이 공급되기 전에 저장부의 배출구에서 저장부의 물이 배출된다 하더라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조건에서도 저장부로 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 냉각부가 저장부의 물을 매우 적절하게 얼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ice water purifier, th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ice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y water to the storage unit until the water (purified water) of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storage uni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Alternatively, when a fix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he cooling unit can start cooling the water for generating ice, and even if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storage unit before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storage portion even under abnormal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cooling portion can very effectively freeze water in the storage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와 냉각부를 단순하게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por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ure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upply of ice and cold water in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필터부(110), 저장부(120), 냉각부(1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filter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cooling unit 13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먼저 필터부(110)를 살펴본다. 필터부(110)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한다. 필터부(110)는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터부(1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을 말한다. First, the filter unit 110 is examined. The filter unit 110 receives the raw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n purifies the raw water to generate a purified water. The filter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filters. For example, the filter unit 110 may include a pre-carbon filter, a membrane filter, and a post-carbon filter. Or the filter unit 110 may include an electrodeionization type filter. Electrodeionization system refers to EDI (Electrodeionization), CEDI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and CDI (Capacitive Deionization).

다음으로 저장부(120)를 살펴본다. 저장부(120)는 필터부(110)로부터 공급 받은 정수수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필터부(110)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필터부(110)로부터 직접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필터부(110)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탱크로부터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후술할 보조 탱크부(15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수를 저장할 수도 있다(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참조). 저장부(120)의 정수수는 후술할 냉각부(130)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저장부(120)를 상술한다.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Next, the storage unit 120 is examined. The storage unit 120 stores the integer number supplied from the filter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may receive the purified water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filter unit 1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storage unit 120 may receive purified water directly from the filter unit 110 or may receive purified water from a tank that stores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10 hav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the number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tank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e arrow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part 120 is cooled by the cooling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ce. The storage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por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FIG.

저장부(1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트레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121)는 내부에 정수수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121)는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를 가진다. 배출구(122)는 트레이(121)의 내측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 (122)로부터 정수수가 배출되면 배출구(122)의 높이만큼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이를 통해 정수수의 정량 저장을 확인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뒤에서 상술한다.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the tray 121 shown in FIG. The tray 121 stores the purified water therein. In this embodiment, the tray 121 has a discharge port 122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tray 121 by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1 by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122.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rms the quantitative storage of the purified water through it.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냉각부(130)를 살펴본다. 냉각부(13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120)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냉각부(13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와 냉각부를 단순하게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Next, the cool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The cooling unit 130 cools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120 to generate ice. The cool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imply showing a storage unit and a cool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viewed from above,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oling section as viewed from below.

냉각부(130)는 트레이(121)의 정수수에 침지되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키는 핑거(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131)는 냉매를 통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즉, 핑거(131) 내의 냉매가 증발되면 이에 의해 트레이(121)의 정수수가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으로 트레이(121)의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어 핑거(131)에 매달릴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130)는 핑거(131)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2)는 핑거(131)의 상측에서 핑거(131)에 연결되어 핑거(131)로 냉매를 안내한다. 냉매는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을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얼음 생성에 필요한 냉열을 제공한다. 냉매에 의한 냉열의 제공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매우 자명한 기술이다. The cooling unit 130 may include a finger 131 that is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to cool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 The fingers 131 cool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through the refrigerant. That is, when the refrigerant in the finger 131 is evaporated,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can be cooled. By this cooling, ice can be generated inside the tray 121 to hang on the finger 131. The cool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base 132 for guiding the refrigerant to the finger 131. The base 132 is connected to the finger 131 on the upper side of the finger 131 and guides the refrigerant to the finger 131. The refrigerant undergoes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repeatedly to provide the cold needed for ice formation. The provision of cold heat by the refrigerant is a very obvious technology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다음으로 제어부를 살펴본다. 제어부는 냉각부(130)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상술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가 얼음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Next, look at the control se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oling unit 130 to generate ice. A process of generating ice by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escrib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제어부에 의한 제어Control by control unit

먼저 원수가 필터부(110)로 공급된다. 원수는 필터부(110)에서 정수되어 정수수가 된다(정수 단계). 정수수는 트레이(121, 저장부)에 공급되어 저장된다(공급 단계). 정수수가 트레이(121)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면 정수수의 수위도 계속 높아진다. 정수수의 수위가 트레이(121)의 배출구(122)에 다다르면 정수수는 트레이(121)의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 First,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10. The raw water is purified by the filter unit 110 to be an integer number (integer step).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storage unit) and stored (supply step). When the number of purifie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ray 121, the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also increases continuously. When the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reaches the discharge port 122 of the tray 121, the purified water start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2 of the tray 121.

이와 같이 정수수가 배출구(122)로부터 배출되면 (즉,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는 제1 제어를 행한다. 제1 제어는 트레이(121)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제어이다. 제어부는 필터부(110)로 원수를 공급하는 도관(C1) 중에 설치된 밸브(미도시)나, 필터부(110)로부터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공급하는 도관(C2) 중에 설치된 밸브(미도시)를 폐쇄시켜 제1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 제어에 의해 트레이(121)로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정수수의 수위는 트레이(121)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이때의 수위는 배출구(122)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왜냐하면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되면, 즉 정수수의 수위가 배출구(122)의 높이에 다다르면, 제1 제어에 따라 트레이(121)로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that is,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The first control is a control for stopping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The control unit includes a valv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duit C1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lter unit 110 or a valv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duit C2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10 to the tray 121 Can be closed to perform the first control. If the purified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tray 121 by the first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will be kept constant in the tray 121. [ The water level at this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122. This is because, when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that is, when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reache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122, purified water will not be supplied to the tray 121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이와 같이 트레이(121)에 저장되는 정수수의 수위는 배출구(122)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참고로, 정수수의 배출은 수위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122)에서 배출된 정수수가 흘러 나가는 경로 중에 수위 센서를 설치 하면 이를 통해 정수수의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The level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ay 1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122. For reference, the discharge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detect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in the path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the discharge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sensed through the sensor.

한편,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 장치는 미리 정해진 냉각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냉각 장치가 냉각 능력 이상의 물을 냉각하면 물이 제대로 얼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냉각 장치가 냉각 능력 이하의 물을 냉각하면 얼음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냉각 장치의 작동에 무리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될 때까지 트레이 (121)로 정수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정량의 정수수를 트레이(121)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21)로 정량의 정수수가 공급되면 냉각부(130)는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적절하게 얼릴 수 있다. 여기서 정수수의 정량은 냉각부 (130)의 냉각 능력에 따라 결정되고, 배출구(122)의 높이는 정수수의 정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device for generating ice generally exhibits a predetermined cooling capability. As a result, if the cooling device cools water above its cooling capacity, water may not freeze properly. On the contrary, if the cooling device cools water below the cooling capacity, the ice may become too frozen to cause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device. However, since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lies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until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in a predetermined fixed amount. When the constant amount of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the cooling unit 130 can properly freeze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Here, the fixed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oling capacity of the cooling unit 130, and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ort 12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xed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위와 같은 제어는 직수식 정수기에 매우 적합하다. 직수식 정수기는 필터부 (110)에서 생성된 정수수를 별도로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구비하지 않는다. 정수수를 저장 탱크에 미리 저장해 두면, 정수수를 대체로 일정하게 저장 탱크로부터 트레이 (121)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수가 공급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정량의 정수수를 트레이(121)로 공급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is very suitable for direct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does not have a storage tank for separately storing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110. If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tank, the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tray 121 in a substantially constant man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a constant integer number to the tray 121 simply by checking the time at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그러나 직수식 정수기는 필터부(110)로부터 트레이(121)로 정수수가 바로 공급되기 때문에 필터부(110)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에 따라 트레이(121)로 공급되는 정수수의 유량은 달라진다. 그런데 원수는 일반적으로 유량 변동이 크게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정수수가 트레이(121)로 공급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것으로 정량 공급을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위를 직접 감지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것으로 정량 공급을 판단하기 때문에 직수식 정수기에 적용된다 하더라도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량 공급을 판단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water purifier is supplied with the purified water directly from the filter unit 110 to the tray 121,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tray 121 varies depending on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10. However, raw water is generally supplied with a large variation in flow rate.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upply of the fixed amount by checking the time at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Also, it is not easy to directl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However, since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by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 122,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urified water supply is applied to the direct water purifier.

한편, 트레이(121)에 정량의 정수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얼음 생성을 위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부(130)로 냉각하기 시작한다(냉각 단계). 이는 제어부가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제2 제어는 냉각부(130)를 통해 트레이(121)의 정수수에 대한 냉각을 시작하는 제어이다. 제어부는 저온의 냉매가 베이스(132)를 통해 핑거(131)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2 제어를 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tan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1, that is, if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water in the tray 121 is cooled by the cooling unit 130 to cool the tray 121 (cooling step) . This can be achieved by the control unit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The second control is a control for starting the cooling for the integer number of trays 121 through the cooling unit 130.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the second control by allowing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to be supplied to the finger 131 through the base 132. [

그런데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트레이(121)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트레이(121)의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가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행하면 정수수의 부족으로 얼음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트레이(121)의 후술할 작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어렵다. 이를 막기 위해 제어부는 제1 조건에 더해서 제2 조건이 만족될 때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트레이(121)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水量)이 소정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을 말한다. However, even if a constant amount of purified water is not stored in the tray 121, the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of the tray 121 due to the movement of the tray 121 or the like. 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the ice is excessively frozen due to a lack of the purified wat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y 121 to be described later is difficult to occur smooth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when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in addition to the first condition. The second condition is a condition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of water (water amount) stored in the tray 121 reaches a predetermined quantity.

트레이(121)에 저장될 정수수의 정량은 정수수의 수량(水量)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21)의 배출구(122)까지 정수수가 저장될 때의 수량은 250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것에 더해서 트레이(121)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이 250 ㎖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제어부가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행하면,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채로 제1 제어와 제2 제어가 행해질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to be stored in the tray 121 can be expressed by the quantity of water (quantity of water). For example,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up to the outlet 122 of the tray 121 may be 250 ml.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ay 121 reaches 250 ml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of the purified water from the discharge port 122, if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are performed without being stored in the memory 121 is remarkably reduced.

예를 들어, 제1 조건은 만족되나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2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또는 다시 제1 조건이 만족되고 제2 조건도 만족될 때까지 트레이(121)로 계속 정수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하면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된 이후에 제1 제어와 제2 제어가 행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또는 제1 조건은 만족되나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모두 배출하고 처음부터 다시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공급한 다음에 제1 조건 등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ut the second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control unit continues to the tray 121 until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or until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agai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integer number. This control greatly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are performed after the fixed number of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1. [ Or if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ut the second condition is not satisfied, all of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121 may be discharged, and then the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tray 121 from the beginning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condition or the like is satisfied .

여기서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는 트레이(121) 내의 얼음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필터부(110)로 공급된 원수의 수량이나, 저장부(120)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상술한다. The satisfaction of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from the point at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again to the tray 121 after the ice in the tray 1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quantity of the raw water or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2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냉각부(130)에 의해 얼음이 생성되면 트레이(121)는 후술할 작동에 따라 얼음을 얼음 저장부(140)로 배출한다. 그런 다음에 얼음의 생성이 필요해지면 트레이 (121)로 정수수가 다시 공급되기 시작한다. 제2 조건의 판단을 위한 정수수의 수량은 이때부터 계산될 필요가 있다. 이는 트레이(121)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When ice is generated by the cooling unit 130, the tray 121 discharges the ice to the ice storage unit 140 according to an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n, when generation of ice is required, the number of purified water starts to be supplied to the tray 121 again. The quantity of the integer number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condition needs to be calculated from this time. This i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tray 121.

여기서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은 필터부(110)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미도시)나,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미도시)를 개방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 (110)의 정수수를 트레이(121)로 공급하는 도관(C2) 중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 밸브를 개방하면, 트레이(121)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이 시작될 것이므로, 급수 밸브를 개방한 시점, 또는 이 시점에 일정한 딜레이를 더한 시점을,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수식 정수기의 경우에는 필터부(110)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를 개방한 시점, 또는 이 시점에 일정한 딜레이를 더한 시점을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for supplying raw water to the filter unit 110 and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are provided at the time when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again An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ned time point. For exampl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provided in the conduit C2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filter unit 110 to the tray 121 is opened, the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is star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stant water delay time is added at one point or at this point to the point when the water supply to the tray 121 starts again. In the case of the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lter unit 110 is opened, or when the constant water delay time is added at this point, have.

트레이(121)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은 이를 직접 감지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런데 트레이(121)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트레이(121)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어, 트레이(121)로 250 ㎖의 정수수가 공급됐다면 트레이(121)에 250 ㎖의 정수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21)에 연결된 도관(C2)을 따라 트레이(121)를 향해 유동하는 정수수의 유량은 그 도관(C2) 중에 설치된 유량 감지센서(유량 감지부)에 의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유량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면 기준 시간 동안, 즉 트레이(121)로 새롭게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제1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트레이(121)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을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It is most accurate that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ay 121 is directly detected and judged. But this is very difficult to detect. However, it is very easy to indirectly determine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ay 121 based on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tray 121. For example, if 250 ml of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it can be determined that 250 ml of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1. More specifically, the flow rat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toward the tray 121 along the conduit C2 connected to the tray 121 can be easily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flow rate sensing section) installed in the conduit C2 .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flow rate sensor,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tray 121 is easily calculated during the reference time, that is, from when the new integer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until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

또는 필터부(110)로 공급된 원수의 수량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트레이(121)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직수식 정수기에 적합하다. 직수식 정수기는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필터부(110)로 원수를 공급한 다음에 이를 정수하여 그대로 트레이(121)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필터부(110)에 연결된 도관(C1)을 따라 필터부(110)를 향해 유동하는 원수의 유량을 그 도관(C1) 중에 설치된 유량 감지센서(유량 감지부)로 감지하면,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트레이(121)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Or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ay 121 indirectly based on the quantity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10. This is especially suitable for direct water purifiers. When the direct water purifier needs to supply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the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10, and then purified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tray 121. When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flowing toward the filter unit 110 along the conduit C1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110 is detected by the flow rate sensor (flow rate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conduit C1, The amount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tray 121 can be easily determined.

그런데 유량 감지센서는 감지 가능한 최소 유량과 최대 유량이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소 유량 이하로 유체가 흐를 때, 또는 최대 유량 이상으로 유체가 흐를 때 유량 감지센서는 그 유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유량 감지센서가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을 최소 유량이나 최소 유량보다 적은 유량으로 감지하면,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한 원수나 정수수의 수량을 신뢰하기 어렵다. 즉, 유량 감지센서가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을 최소 유량 이하로 감지한 경우에는 제2 조건이 만족되었다 하더라도 트레이(121)에 정량 미만의 정수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가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행하면 정수수의 부족으로 얼음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트레이(121)의 후술할 작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어렵다.However, the flow sensor generally has a minimum flow rate and a maximum flow rate that can be detected. When the fluid flows below the minimum flow rate, or when the fluid flows above the maximum flow rate, the flow rate sensor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flow rate. Accordingly, if the flow rate sensor senses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the purified water at a flow rate smaller than the minimum flow rate or the minimum flow rate,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quantity of the raw water or the purified wate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at is, when the flow rate sensor senses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the purified water below the minimum flow rate, even if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the tray 121 may store the integer numbe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the ice is excessively frozen due to a lack of the purified wat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y 121 to be described later is difficult to occur smoothly.

이를 막기 위해 유량 감지센서가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을 최소 유량 이하로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1 조건과 제2 조건에 더해서 제3 조건의 만족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조건은 트레이(121) 내의 얼음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을 말한다. 즉, 제3 조건은 트레이(121)로 공급되기 위한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이 최소 유량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다시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조건을 말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the flow rate sensor senses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the purified water below the minimum flow rate, the controller adds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to satisfy the third condition to perform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 The third condition is a condition tha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start of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after the ice in the tray 121 w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third condition is that when a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be supplied to the tray 121 is detect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minimum flow rate, a condition that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tart of feed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tray 121 .

예를 들어, 제1 조건과 제2 조건이 만족되었으나, 유량 감지센서가 최소 유량 이하로 유량을 감지하였다면, 트레이(121)로 다시 정수수를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어부는 정수수의 공급이 중단되고 트레이(121) 내의 정수수에 대한 냉각이 시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하면 유량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된 이후에 제1 제어와 제2 제어가 행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참고로, 최소 유량은 유랑 감지센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최소 유량은 유량 감지센서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정 시간은 실험적인 방법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but the flow rate sensor detects the flow rate below the minimum flow r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feeding the purified water back to the tray 121, It is possible to stop the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and control the cooling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tray 121 to start. This control greatly increases the possibility that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are performed after the constan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1 even w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w rate sensor is difficult to be relied upon. For reference, the minimum flow rate can be set based on the wander detection sensor. This is because the minimum flow rate may be different for each flow sensor.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by an experimental method or the like.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제어부에 의한 제어는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 예를 들어 냉장고에서 얼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얼음 생성 장치는 필터부를 구비할 수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by the controller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n ice producing device for generating ice, for example, a device for generating ice from a refrigerator and supplying it to a user. In such a case, the ice producing device may or may not include the filter portion.

추가 구성Additional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듯이 얼음 저장부(140), 보조 탱크부(150), 냉수 생성부(160), 냉수 저장부(170), 및 온수 생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ce storage unit 140, an auxiliary tank unit 150, a cold water generation unit 160, a cold water storage unit 170, and a hot water generation unit 180 .

우선 얼음 저장부(140)를 살펴본다. 얼음 저장부(140)는 냉각부(130)에 의해 저장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얼음 저장부(140)는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이송부(191)를 구비한다. 얼음 이송부(19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크루(screw)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얼음 저장부(140)는 모터(192)에 의한 얼음 이송부(191)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배출문(193)까지 이송시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ice storage unit 140 will be described. The ice storage unit 140 receives and stores the ice generated in the storage unit 120 by the cooling unit 130. The ice storage unit 140 has an ice transfer unit 191 for providing ice to the user. The ice transfer part 191 has a screw shap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ice storage unit 140 can transfer ice to the discharge door 19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ce transfer unit 191 by the motor 192, thereby providing ice to the user.

다음으로 보조 탱크부(150)를 살펴본다. 보조 탱크부(150)는 얼음 저장부 (140)의 정수수를 집수하여 배출한다. 얼음 저장부(140)는 저장부(120)로부터 얼음과 함께 잔수(殘水, 결국 정수수)도 공급받는다. 그리고 얼음 저장부(140)에는 해빙 (解氷)으로 인한 정수수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얼음 저장부(140)의 정수수는 보조 탱크부(150)에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는 얼음 저장부(140)의 정수수는 보조 탱크부(150)에 집수된 다음에 저장부(120)로 회수될 수 있다(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회수되면 정수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보조 탱크부(150)는 얼음 저장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출구(122)로부터 배출된 정수수도 보조 탱크부(150)에 집수된 다음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된 정수수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는 보조 탱크부(150)에 마련된 저수위 센서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Next, the auxiliary tank unit 150 will be described. The auxiliary tank part 150 collects and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of the ice storage part 140. The ice storage unit 140 receives residual water (residual water, eventually purified water) together with ice from the storage unit 120. In the ice storage part 140, there is an integer number of water due to thawing. The purified water of the ice storage part 140 is collected in the auxiliary tank part 15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the purified water of the ice storage part 140 may be collected in the auxiliary tank part 150 and then recovered to the storage part 120 (see arrow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 If it is recalled like this, the waste of the integer number can be reduced. For reference, the auxiliary tank unit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ce storage unit 14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then collected in the purified water auxiliary tank unit 150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2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discharged purified water can utilize the low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auxiliary tank unit 150 as it is.

다음으로 냉수 생성부(160)를 살펴본다. 냉수 생성부(160)는 정수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냉수 생성부(160)는 냉각부(130)의 낮은 온도를 활용하여 정수수를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수 생성부(160)는 냉각부(130)에 인접하게 유로(도 4의 화살표 참조)를 구비한다. 냉각부(130)는 냉매를 통해 정수수를 냉각한다. 이에 따라 냉각부(130)는 매우 낮은 온도를 가진다. 냉수 생성부(160)는 전술한 유로를 따라 정수수를 흘려 보냄으로써 냉각부(130)의 낮은 온도를 활용하여 정수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으면 냉수 생성을 위해 정수수를 냉각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냉수 생성부(160)는 냉각부(130)에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generates cold water by cooling the purified water.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may cool the purified water by utilizing the low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30. To this en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has a flow path (see arrows in FIG. 4) adjacent to the cooling unit 130. The cooling unit 130 cools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refrigerant. Accordingly, the cooling unit 130 has a very low temperature.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can cool the purified water by utilizing the low temperature of the cooling unit 130 by flowing purified water along the flow path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configuration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to generate cold water. That is,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flow path in the cooling unit 130.

다음으로 냉수 저장부(170)를 살펴본다. 냉수 저장부(170)는 냉수 생성부(16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냉수 저장부(17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얼음 저장부(140)와 구별되게 냉수를 저장한다. 즉, 냉각부(130)에 의해 생성된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은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되고 냉수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냉수는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된다.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는 냉수 생성부(160)로 다시 공급되어 냉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를 대체로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Next,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will be described.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receives and stores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generation unit 160.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stores cold water separately from the ice storage unit 14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ice (including the residual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unit 130 is supplied to the ice storage unit 140 and the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ion unit 160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may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and cooled. Accordingly,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can be maintained at a substantially constant temperature.

다음으로 온수 생성부(180)를 살펴본다. 온수 생성부(180)는 필터부(110)에서 정수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이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온수 생성부(180)는 필터부(110)에서 공급받은 정수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순간온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순간온수 모듈은 직수식 정수기에 적합하다. 즉, 순간온수 모듈은 필요할 때마다 필터부(110)로부터 정수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이를 단시간 동안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간온수 모듈이 구비되면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저장부가 불필요하다. 참고로, 필터부(110)의 정수수는 선택적으로 저장부(120), 냉수 생성부(160), 및 온수 생성부(18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관 중에 4방 밸브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관마다 밸브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Next, the hot water generator 180 will be described.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180 receives the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10 and then heats it to generate hot water.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180 may include an instantaneous hot water module for instantly heat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filter unit 110. The instantaneous hot water module is suitable for direct water purifier. That is, the instantaneous hot water module can receive the purifi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110 whenever necessary, and then generate hot water by heating it for a short time. Accordingly, i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module is provided, a hot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hot water is stored is unnecessary. For reference, the integer number of the filter unit 110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120,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and the hot water generating unit 180. For this purpose, a four-way valve may be provided in the conduit, or a valve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each conduit.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트레이(121)의 작동을 설명한다. 냉각부(130)가 생성한 얼음은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공급을 위해 트레이(121)는 제1 위치(A, 저장 위치)와 제2 위치(B, 배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은 회전을 위해 동기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A)는 트레이 (121)로 정수수가 공급되고 얼음이 생성되는 위치이다. 제2 위치는 트레이(121)의 저장물(얼음과 잔수)이 트레이(121)의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이다. 트레이(12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면 트레이(121)의 저장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121)의 저장물을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하기 위해 저장부(120)는 저장물을 얼음 저장부(140)로 안내하는 가이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3, 6 참조). Finally, the operation of the tray 1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ice generated by the cooling unit 130 is supplied to the ice storage unit 140. For this supply, the tray 121 rotates between the first position (A, storage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B, discharge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sition A is a position wher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1 and ice is generated.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at which the stored product (ice and residual water) of the tray 1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121. When the tray 121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tored material of the tray 1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torage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123 for guiding the stored product to the ice storage unit 140 to supply the stored product of the tray 121 to the ice storage unit 140 , 3, 6).

그런데 냉수 생성부(16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냉수 저장부(170)의 상측에 위치하면 냉수 생성부(160)에서 냉수를 그대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냉수를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정수수는 전술한 유로를 따라 흐른 다음에 그대로 낙하하여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냉수 생성부(160)의 하측에 트레이(121)가 위치하면 냉수가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냉수가 냉수 생성부(160)에서 배출될 때 트레이(121)는 제3 위치(C)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전술한 유로의 말단을 트레이(121)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6, when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d water storing unit 170, the cold water may be directly dropped from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to supply the cold water to the cold water storing unit 170 . That is, the purified water flows along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and then falls down and can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However, when the tray 121 is positioned below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it is difficult for the cold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121 rotates to the third position C when the col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Alternatively, it may be considered to extend the end of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to the outside of the tray 121.

110: 필터부 120: 저장부
121: 트레이 122: 배출구
130: 냉각부 131: 핑거
132: 베이스 140: 얼음 저장부
150: 보조 탱크부 160: 냉수 생성부
170: 냉수 저장부 180: 온수 생성부
110: filter unit 120: storage unit
121: Tray 122: Outlet
130: cooling section 131: finger
132: Base 140: Ice storage
150: auxiliary tank portion 160: cold water generating portion
170: cold water storage unit 180: hot water generation unit

Claims (19)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정수수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정수수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제어는 상기 저장부로 상기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raw water to generate a purified water;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for generating ice from the filter unit;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generate the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ha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irst control when at least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integer numb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integer numb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section, and the first control is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각부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performs a second control for causing the cooling unit to start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과 제2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제어와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水量)이 소정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when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Wherein the second condition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of water of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quantit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조건은 만족되나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또는 다시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고 상기 제2 조건도 만족될 때까지, 상기 저장부로 상기 정수수가 계속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ontrol the storage unit until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ut the second condition is not satisfied or until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again, And the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so that the constant numb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ce water purifi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저장부 내의 얼음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상기 저장부로 다시 상기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된 원수의 수량이나, 상기 저장부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ther or not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quantity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unit from the time when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after the ice in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And is determined based on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상기 필터부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나, 상기 저장부로 상기 정수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를 개방한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ime point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a time point at which the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the raw water to the filter unit or the water supply valve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unit is open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연결된 도관이나 상기 저장부에 연결된 도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나 상기 저장부를 향해 상기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로 공급된 원수의 수량이나 상기 저장부로 공급된 정수수의 수량은 상기 유량 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low rate sensing unit installed in a conduit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or a conduit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to sense a flow rat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flowing along the conduit toward the filter unit or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quantity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unit or the quantity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flow rate sensing un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량 감지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최소 유량 이하로 상기 유량 감지부가 상기 원수나 상기 정수수의 유량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와 상기 제2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제3 조건의 만족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저장부 내의 얼음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상기 저장부로 다시 상기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flow rate sensing unit senses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or the purified water below the minimum flow rate set based on the flow rate sensing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hird condition is satisfied , ≪ / RTI >
Wherein the third condition is determined as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again after the ice in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수수를 저장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트레이의 정수수에 침지되어 냉매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tray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cooling unit includes a finger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of the tray to generate the ice through the refrigera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저장부의 내측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le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by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는 별도의 저장 탱크에 저장되지 않은 채로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urified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unit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without being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tank.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에 의해 상기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 단계;
상기 정수 단계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저장부로 공급하는 공급 단계; 및
상기 공급 단계 이후에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단계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상기 정수수가 배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의 제어 방법.
An integer step of rectifying the raw water by a filter unit that rectifies raw water;
A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storage unit with the integer number generated by the integer step; And
And a cooling step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reservoir after the supplying step to generate ice,
Wherein the supply step stops supply of the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unit when at least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rom an outlet formed in the storage unit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ce water purifi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oling step starts to cool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과 제2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냉각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며,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수의 수량(水量)이 소정 수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upply step stops supply of the integer number to the storage unit when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The cooling step starts to cool the purified water in the reservoir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and the second condition are satisfied,
Wherein the second condition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of water (water amou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quantity.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급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 상기 제2 조건, 및 제3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에 대한 정수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냉각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 상기 제2 조건, 및 상기 제3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며,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기 위한 원수나 정수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상기 저장부 내의 얼음이 외부로 배출된 이후에 상기 저장부로 다시 상기 정수수가 공급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pply step stops supply of the integer number to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the second condition, and the third condition are satisfied,
Wherein the cooling step starts to cool the purified water in the reservoir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the second condition, and the third condition are satisfied,
The third condition is that when the flow rate of raw water or purified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flow rate, the 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ime has elapsed.
원수를 정수한 정수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탱크를 구비하지 않는 직수식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내측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정수수가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정수수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제어는 상기 저장부로 상기 정수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 A direct-current ice water purifier having no sepa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a constant number of raw water,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for generating ice;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generate the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Wherein the reservoir has an outle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irst control when at least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integer numb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integer numb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section, and the first control is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sec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각부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기 시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performs a second control for causing the cooling unit to start cool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물을 냉각시켜 상기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물을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제1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물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중에 상기 물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고, 상기 제1 제어는 상기 저장부로 상기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1. An ice producing device for generating ice by cooling water,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water for generating ice;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the 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generate the ice through the cooling unit,
The storage unit has an outle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for discharging the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irst control when at least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rein the first condition is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control is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storage por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냉각부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물을 냉각하기 시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performs a second control for causing the cooling unit to start cooling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if at leas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KR1020140035852A 2014-03-27 2014-03-27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KR102232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52A KR102232975B1 (en) 2014-03-27 2014-03-27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52A KR102232975B1 (en) 2014-03-27 2014-03-27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14A true KR20150112214A (en) 2015-10-07
KR102232975B1 KR102232975B1 (en) 2021-03-30

Family

ID=5434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852A KR102232975B1 (en) 2014-03-27 2014-03-27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97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01A (en)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Water supply device of automatic ice maker
KR100389417B1 (en) * 2000-12-30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ontrol device for ICE maker apparatus
KR20110011318A (en) * 2009-07-28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07676A (en) * 2011-03-22 2012-10-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and cold water m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01A (en)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Water supply device of automatic ice maker
KR100389417B1 (en) * 2000-12-30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Control device for ICE maker apparatus
KR20110011318A (en) * 2009-07-28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107676A (en) * 2011-03-22 2012-10-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and cold water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975B1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50019118A (en) Water purifier with a cold water suppying modul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3700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in refrigeration equipment
CN107843038B (en) Independent ice ma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756993B1 (en) Water supplying control apparatus for a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2214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KR20090099908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44575A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172642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26710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102162772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U20202057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KR10226238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storage unit
KR10224320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20120110734A (en) Ice making process control method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controlled by the same
KR102170139B1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20210029168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20150114162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101948001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262828B1 (en) Inner tank and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omprising the same
JPS646387B2 (en)
KR20160000140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3736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1024471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ying apparatus
KR20110061086A (en) Cold water tank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