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622A -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622A
KR20150111622A KR1020140035178A KR20140035178A KR20150111622A KR 20150111622 A KR20150111622 A KR 20150111622A KR 1020140035178 A KR1020140035178 A KR 1020140035178A KR 20140035178 A KR20140035178 A KR 20140035178A KR 20150111622 A KR20150111622 A KR 2015011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dust
dust cap
cap assembly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맹성재
정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14003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622A/en
Publication of KR201501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6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1Non-metallic be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a vehicle stee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ssembly strength and watertight features of a dust cap assembly by forming a rubber dust packing material with a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to form the dust cap assembly integrally with a dust cap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capable of reducing production cost by simplifying assembly processes. The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ust cap (10)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joined to the top of a housing (50) covering a pinion gear (31) and a rack bar (40) formed in the lower side of a pinion shaft (30) and the rubber dust packing material (20) formed on the top of the dust cap (10). The dust cap assembly structure (A)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SA) is characterized by forming the dust packing material (20) with the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to be integrated with a packing joining unit (11) on the top of the dust cap (10).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for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더스트 캡에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을 이중사출로 성형하여 더스트 캡 어셈블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for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ap assembly formed by molding synthetic resin material into a dust cap, To a structure of a dust cap assembly of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assembling rigidity and water tightness, and simplify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바꿀 때 조작되는 모든 장치들로, 조향 휠(Steering Wheel)을 회전시켜 조향 기어에 그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차륜의 각도를 바꾸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 것이다.Generally,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is a device that is operated when a direction of a vehicle is arbitrarily changed according to an intention of a driver.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teering gea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 중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steering device in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유압펌프(도시생략)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유압밸브 및 2개의 피드튜브(158)를 통해 실린더(130) 내의 좌,우 실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실린더(130) 내에는 랙바(120)에 설치된 피스톤(160)과 양측에서 실린더(130)의 단부를 밀봉하는 오일씰(도시생략)에 의해 좌,우 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작동유가 좌,우실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에 의해 랙바(1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향휠(도시생략)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된다.1, in the conventional power steering apparatus, the hydraulic oil supplied by a hydraulic pump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chambers in the cylinder 130 through the hydraulic valve and two feed tubes 158 The cylinder 13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hambers by a piston 160 provided on the rack 120 and an oil seal (not shown) sealing the ends of the cylinder 130 on both sides. The rack bar 12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being selectively supplied to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so that the steering wheel (not shown) can be easily operated.

밸브바디 하우징(150)은 피니언밸브 어셈블리(도시생략)를 내장하며, 상기 피니언밸브 어셈블리는 조향휠의 비틀림신호를 받아 밸브를 개폐하여 작동유의 유로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상향 돌출되어 조향휠과 연결되는 피니언 샤프트(153)가 마련된다.The valve body housing 150 includes a pinion valve assembly (not shown). The pinion valve assembly receives a torsion signal of the steering wheel to open / close a valve to form a flow path of the operating oil. The valve body housing 150 protrudes upward, A pinion shaft 153 is provided.

상기 밸브바디 하우징(150)의 외부에는 실린더(130) 내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포트(157)가 마련되고, 피드튜브(158)는 밸브포트(157)와 실린더포트(159)를 연결하여 작동유를 실린더(130)로 공급한다.A valve port 157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housing 150 so as to supply oil into the cylinder 130. The feed tube 158 connects the valve port 157 and the cylinder port 159, To the cylinder (130).

상기 밸브바디 하우징(150)의 상부에는 더스트 캡 어셈블리(151)가 장착된다. 상기 더스트 캡 어셈블리(151)는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외부로부터 먼지 또는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A dust cap assembly 151 is mounted on the valve body housing 150. The dust cap assembly 151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water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during traveling or stopping.

상기 실린더(130) 내부에는 실린더(130) 양측 단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연장되도록 봉상의 랙바(120)가 설치되고, 상기 랙바(120)의 양측단에는 볼시트(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소켓(110)이 구비되어 타이로드 구부(球部; 190)와 볼조인트 결합된다.A bar-shaped rack bar 120 is provided in the cylinder 130 so as to extend laterally from both ends of the cylinder 130. Sockets for inserting a ball seat (not shown)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ack bar 120 110 to be ball-jointed to a tie rod 190.

상기 랙바(120)의 중간측에는 실린더(130) 내부공간을 양분하여 그 내부로 유입되는 작동유에 의해 랙바(12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원판형상의 피스톤(160)이 마련된다.A disk-shaped piston 160 slidably moves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hydraulic oil flowing into the cylinder 130 by dividing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130 is provided at the middle side of the rack 120 .

피니언 하우징(140)의 일단은 실린더 튜브(125)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피니언 하우징(140)에 구비된 마운팅 부시(170)와 실린더 튜브(125)에 구비된 마운팅 클램프(175)에 의해 차량에 장착된다.One end of the pinion housing 140 is press-fitted into the cylinder tube 125 and is mounted on the vehicle by a mounting clamp 175 provided on the mounting tube 170 and the cylinder tube 125 provided on the pinion housing 140. [ do.

실린더 튜브(125) 끝단에 구비된 벨로우즈(180)는 볼시트가 삽입된 소켓(110)과 타이로드 구부(球部; 190)의 볼조인트 결합부를 감싸게 되어 소켓(110)과 실린더 튜브(125)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bellows 180 provid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tube 125 encloses the ball joint between the socket 110 in which the ball seat is inserted and the ball joint portion of the tie rod 190 and the socket 110 and the cylinder tube 125,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상기 랙바(120)의 양측에 볼조인트로 결합된 타이로드(100)의 끝단에는 차륜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 타이로드 엔드(105)가 타이로드(100)와 나사결합되어 구비된다.A tie rod end 105, which is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is screwed to the tie rod 100 at the ends of the tie rods 10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ack bar 120 by a ball joint.

도 2는 도 1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ap assembly of FIG. 1;

도 2를 참고하면, 더스트 캡 어셈블리(151)는 더스트 캡(210), 스폰지(220), 그리고 더스트 패킹(230)을 포함한다.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더스트 캡(210)은 피니언 샤프트(153)을 감싸고, 고무재로 형성되는 더스트 패킹(230)은 더스트 캡(210)의 상부에 압입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스폰지(220)는 더스트 캡(210)과 더스트 패킹(230) 사이에 제공되어 더스트 패킹(230)이 눌려지면서 더스트 캡(210)에 맞닿아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ust cap assembly 151 includes a dust cap 210, a sponge 220, and a dust packing 230. The dust cap 210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surrounds the pinion shaft 153 and the dust packing 230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s press-fit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ap 210. The sponge 220 is provided between the dust cap 210 and the dust packing 230 to prevent the dust packing 230 from being pressed against the dust cap 210 to be torn.

그러나, 이와 같이 더스트 캡(210)의 상부에 압입으로 조립되는 더스트 패킹(230)은 별도로 성형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원가 및 조립 공정의 추가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상기 더스트 패킹(230)과 더스트 캡(210) 사이의 간극에 의해 수밀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ust packing 230 assembled by press-fitt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dust cap 210 is separately molded and assembled, the cost and the assembling process further increase the cost, and the dust packing 230,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watertightness due to the gap between the dust caps 210 and the assembling rigidity is lowered.

또한, 상기 더스트 캡(210)과 더스트 패킹(230) 사이에 제공되는 스폰지(220)는 원가 및 장치 조립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소성 변형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상술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ponge 220 provided between the dust cap 210 and the dust packing 230 may cause a cost increase in the assembly of the cost and the apparatus, and may caus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o fail due to elastic deformation due to plastic deformation .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390)의 종단면도이다.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ust cap assembly 390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도 3을 참고하면, 더스트 캡(391)과 더스트 패킹(393) 사이에 제공되는 에어 충진 공간(395) 및 상기 더스트 패킹(393)의 일면을 관통하며 상기 에어 충진 공간(395)과 연통되는 에어 주입구(397)를 포함한다.3, an air filling space 395 provided between the dust cap 391 and the dust packing 393 and an air passing through the one side of the dust packing 393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filling space 395 And an injection port 397.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작업자가 더스트 패킹(393)을 별도로 성형하여 더스트 캡(391)에 압입으로 조립하게 되고, 에어 주입 장치(410)의 노즐(420)을 에어 주입구(397)의 패킹(399)을 관통시켜 에어 충진 공간(395) 내로 삽입한 후, 에어 주입 장치(410)에서 공급되는 에어(Air)를 노즐(420)을 통해 에어 충진 공간(395) 내에 충진해야 되므로, 원가 및 조립 공정의 추가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상기 더스트 패킹(393)과 더스트 캡(391) 사이의 간극에 의해 수밀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onfiguration, however, the operator separately molds the dust packing 393 and press-fitting the dust cap 391, and the nozzle 420 of the air injection device 410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399 of the air inlet 397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injecting apparatus 410 must be filled into the air filling space 395 through the nozzle 420 so that the cost and assembly process And the gap between the dust packing 393 and the dust cap 391 makes it difficult to ensure watertightness, and the assembling rigidity is deteriorated.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7964호(2013.06.25. 공개)(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7964 (published on June 25,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더스트 캡에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을 이중사출로 성형하여 더스트 캡 어셈블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cap formed by molding a rubber dus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that can simplify a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는, 피니언 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 및 랙바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과, 상기 더스크 캡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 상부의 패킹 결합부에 상기 더스트 패킹이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for a vehicle steering system including a dust cap of a plastic materia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surrounding a rack bar and a pinion gea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pinion shaft, The dust cap assembly of the automotiv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pack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packing at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on the dust cap.

상기 더스트 캡 상부의 패킹 결합부는 상부면에 제1 패킹 결합요홈(11a)과 제2 패킹 결합요홈(11b)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cking coupling portion on the dust cap has a first packing coupling groove 11a and a second packing coupling groove 1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패킹 결합부의 바깥둘레면에는 다수의 T형 구멍이 제2 패킹 결합요홈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lurality of T-shaped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상기 제1 패킹 결합요홈과 제2 패킹 결합요홈이 피니언 샤프트 삽입공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packing engagement groove and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are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shape centering around the pinion shaft insertion hole or an elongated shape formed long in one side.

상기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cap of the plastic material is formed of polypropylene (PP).

상기 더스트 패킹은 내부가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pack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thereof is formed in a jar shape.

상기 더스트 패킹의 바깥둘레면에는 상면에 안착돌기가 형성된 제1 플래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패킹 고정부 사이에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flang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packing fixing portion.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packing.

상기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은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ust packing of the rubber material is formed of an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EPDM).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성형한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에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재질의 더스트 패킹을 이중사출로 성형하여 더스트 캡 어셈블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the automotive stee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packing made of EPD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is molded by double injection into a dust cap made of polypropylene (PP) By integrally forming the cap assembly, the assembly rigidity and water tightness of the dust cap assembly can be improved.

또한,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더스트 캡에 더스트 패킹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assemble the dust packing in the dust cap of the dust cap assembly,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 중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자동차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steering apparatus in an automotiv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ust cap assembly of Figure 1,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5,
FIG. 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ubstantial part of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8,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and the same members in the drawings may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o be determined ar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캡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자동차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8, and Fig. 10 is a plan view of a dust cap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는, 피니언 샤프트(30)의 하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31) 및 랙바(40)를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10)과, 상기 더스크 캡(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20)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SA)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에 상기 더스트 패킹(20)이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the automotiv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ap assembly structure of the automotive steering system includes a pinion gear 31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0, A dust cap assembly (A) for an automotive steering device (SA) comprising a dust cap (10) and a dust packing (20) of rubber material provided on the top of the dust cap (10) The dust packing 20 is formed in a double injection molding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cking connector 11 on the upper side.

이때, 상기 자동차 조향장치(SA)는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샤프트(30), 랙바(40), 하우징(50), 베어링(60), 스톱링(70), 플러그(80), 더스트 씰(85), 오링(90), 그리고 더스트 캡 어셈블리(A)를 포함한다.7,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SA includes a pinion shaft 30, a rack bar 40, a housing 50, a bearing 60, a stop ring 70, a plug 80 A dust seal 85, an O-ring 90, and a dust cap assembly A, as shown in FIG.

상기 피니언 샤프트(30)는 조향 축(도시생략)으로부터 회전운동을 입력받는다. 피니언 샤프트(30) 하부의 바깥둘레면에는 피니언 기어(31)가 구비된다.The pinion shaft 30 receives rotational motion from a steering shaft (not shown). A pinion gear 31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0.

상기 랙바(40)에는 피니언 기어(31)와 치합되는 랙 기어가 형성된다. 랙바(40)는 조향 축(도시생략)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A rack gear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31 is formed in the rack bar 40. The rack bar 40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input from the steering shaft (not shown) into a linear motion.

상기 하우징(50)은 피니언 샤프트(30)의 하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31) 및 랙바(40)를 둘러싼다.The housing 50 surrounds the pinion gear 31 and the rack bar 4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0. [

상기 베어링(60)은 하우징(5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니언 샤프트(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피니언 샤프트(30)를 지지한다.The bearing 6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50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ion shaft 30 to support the pinion shaft 30.

상기 스톱링(70)은 상측이 피니언 샤프트(30)의 바깥둘레면에 안착되고, 타측이 베어링(6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압입됨으로써, 베어링(60)을 지지한다.The stop ring 70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ion shaft 30 and the other sid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ring 60 and press-fitted to thereby support the bearing 60.

상기 플러그(80)는 하우징(50)의 상측 내부둘레면에 결합되어, 베어링(6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 샤프트(30)가 삽입되어 관통한다.The plug 80 is coupled to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50 and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60, and the pinion shaft 30 is inserted and penetrated.

상기 더스트 씰(85)은 피니언 샤프트(30)의 바깥둘레면을 감싸도록 플러그(80)의 상부 내부둘레면에 구비된다.The dust seal 85 is provid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8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ion shaft 30.

상기 오링(90)은 상기 플러그(80)와 하우징(50) 사이에 구비되어 누유를 방지한다.The O-ring 90 is provided between the plug 80 and the housing 50 to prevent leakage.

상기 더스트 캡 어셈블리(A)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부에 결합되며, 더스트 캡(10)과 더스트 패킹(20)을 포함한다.The dust cap assembly 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 and includes a dust cap 10 and a dust packing 20 as shown in FIGS.

상기 더스트 캡(10)은 상기 피니언 샤프트(30)를 감싸고, 상기 하우징(50)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dust cap 10 surrounds the pinion shaft 3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

상기 더스트 패킹(20)은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에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10)을 성형한 후 상기 더스트 캡(10)에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20)을 성형하여 더스트 캡 어셈블리(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더스트 캡 어셈블리(A)의 조립시 별도로 종래와 같이 상기 더스트 캡(10)에 더스트 패킹(20)을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The dust packing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cking coupling part 11 on the dust cap 10 by being double injected. That is, the dust cap assembly A is integrally formed by molding the dust cap 10 of the plastic material and then forming the dust packing 20 of the rubber material on the dust cap 10.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the dust packing 20 to the dust cap 10 separately as in the prior art when the dust cap assembly A is assembled, so that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는 상부면에 제1 패킹 결합요홈(11a)과 제2 패킹 결합요홈(11b)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형성된다. 이는 더스트 패킹(20)과 더스트 캡(10)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켜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acking part 11 on the dust cap 10 is formed with a first packing engagement groove 11a and a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11b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is is to seal the gap between the dust packing (20) and the dust cap (10) so that the water tightness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패킹 결합부(11)의 바깥둘레면에는 다수의 T형 구멍(11c)이 제2 패킹 결합요홈(11b)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다. 이는 상기 더스트 패킹(20)이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에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T형 구멍(11c)에 의해 상기 더스트 캡(10)으로부터 상기 더스트 패킹(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더스트 캡 어셈블리(A)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A plurality of T-shaped holes 11c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engagement portion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11b. This is because the dust packing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cking engagement portion 1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ap 10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therewith so that the dust is removed from the dust cap 10 by the T- The separation of the packing 20 is prevented, and the rigidity of the dust cap assembly A is improved.

상기 제1 패킹 결합요홈(11a)과 제2 패킹 결합요홈(11b)은 피니언 샤프트 삽입공(12)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자동차의 차종에 따라 상기 더스트 패킹(20)의 상부로 결합되는 부품형상이 상이하므로 이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acking engagement groove 11a and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11b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entered on the pinion shaft insertion hole 12 or in an elongated shape formed to one side.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parts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ust packing 20 differ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of the automobile, so tha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재 더스트 캡(10)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가볍고, 내약품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폴리프로필렌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물성으로 되어 있어서 단순히 치환할 수 있는 재질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lastic dust dust cap 10 is most preferably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by molding with polypropylene (PP) known to be light,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but is not limited to polypropylen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substitute materials which are similar to polypropylene and which can be replaced with materials.

상기 더스트 패킹(20)은 내부가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상면에 안착돌기(21a)(21b)가 형성된 제1 플래지부(21)와 상기 제1 플랜지부(21)와 패킹 고정부(23) 사이에 제2 플랜지부(22)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가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되어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패킹(20)의 압축변위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력을 우수하게 하여 더스트 캡 어셈블리(A)에 대한 전체 길이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ust packing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jar.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packing 20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21 having seating projections 21a and 21b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 first flange portion 21, And a second flange portion 2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This is because the first flange portion 2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2 serve as springs to provide excellent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at the time of compression displacement of the dust packing 20 made of rubber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a change in the tot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cable.

그리고, 상기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20)은 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로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EPDM 고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EPDM 고무와 유사한 물성으로 되어 있어서 단순히 치환할 수 있는 재질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ust packing 20 of the rubber material is most preferably formed by molding with an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which is known to have excellent water resista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EPDM rubber, And can be replaced with a substitute materi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더스트 캡 11 : 패킹 결합부
11a : 제1 패킹 결합요홈 11b : 제2 패킹 결합요홈
11c : T형 구멍 12 : 피니언 샤프트 삽입공
20 : 더스트 패킹 21 : 제1 플랜지부
21a, 21b : 안착돌기 22 : 제2 플랜지부
23 : 패킹 고정부 30 : 피니언 샤프트
31 : 피니언 기어 40 : 랙바
50 : 하우징 60 : 베어링
70 : 스톱링 80 : 플러그
85 : 더스트 씰 90 : 오링
A : 더스트 캡 어셈블리 SA : 조향장치
10: dust cap 11: packing coupling part
11a: first packing coupling groove 11b: second packing coupling groove
11c: T-shaped hole 12: Pinion shaft insertion hole
20: dust packing 21: first flange portion
21a, 21b: a seating projection 22: a second flange portion
23: packing fixing part 30: pinion shaft
31: Pinion gear 40: Rack bar
50: housing 60: bearing
70: stop ring 80: plug
85: Dust seal 90: O-ring
A: Dust cap assembly SA: Steering device

Claims (8)

피니언 샤프트(30)의 하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31) 및 랙바(40)를 둘러싸는 하우징(50)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10)과, 상기 더스크 캡(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20)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SA)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A)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에 상기 더스트 패킹(20)이 이중사출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A dust cap 10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50 surrounding the pinion gear 31 and the rack bar 4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0; A dust cap assembly (A) for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SA) comprising a dust packing (20) of rubber material,
Wherein the dust packing (20) is integrally formed by molding the dust packing (20) in a packing coupling part (11) above the dust cap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10) 상부의 패킹 결합부(11)는 상부면에 제1 패킹 결합요홈(11a)과 제2 패킹 결합요홈(11b)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ing coupling part (11)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cap (10) is provided with a first packing coupling groove (11a) and a second packing coupling groove (11b)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Dust cap assembly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결합부(11)의 바깥둘레면에는 다수의 T형 구멍(11c)이 제2 패킹 결합요홈(11b)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T-shaped holes (11c)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ing coupling portion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11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 결합요홈(11a)과 제2 패킹 결합요홈(11b)이 피니언 샤프트 삽입공(12)을 중심으로 원형 또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packing engagement groove 11a and the second packing engagement groove 11b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centered on the pinion shaft insertion hole 12 or in an elongated shape formed long in one side A dust cap assembly structure for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재의 더스트 캡(1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ap (10) of the plastic material is formed of polypropylene (P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패킹(20)은 내부가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packing (20) is formed in a jar shape inside.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패킹(20)의 바깥둘레면에는 상면에 안착돌기(21a)(21b)가 형성된 제1 플래지부(21)와 상기 제1 플랜지부(21)와 패킹 고정부(23) 사이에 제2 플랜지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A first flange portion 21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with seat projections 21a and 21b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packing 20 and a second flange portion 21 having a second flange portion 21 between the first flange portion 21 and the packing fixing portion 23, Wherein a flange portion (2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재의 더스트 패킹(20)은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packing (20) of the rubber material is made of EPD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KR1020140035178A 2014-03-26 2014-03-26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KR201501116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78A KR20150111622A (en) 2014-03-26 2014-03-26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78A KR20150111622A (en) 2014-03-26 2014-03-26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622A true KR20150111622A (en) 2015-10-06

Family

ID=5434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78A KR20150111622A (en) 2014-03-26 2014-03-26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62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54B1 (en) * 2016-12-22 2018-04-19 고려기술주식회사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dust cap
KR101871337B1 (en) 2017-11-03 2018-06-27 고려기술주식회사 Apparatus For assembling Dust Cap For power steering system Of Vehicle
KR20200023945A (en)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Dust cap assembly
WO2020122538A1 (en)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Dust cap for steer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054B1 (en) * 2016-12-22 2018-04-19 고려기술주식회사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dust cap
KR101871337B1 (en) 2017-11-03 2018-06-27 고려기술주식회사 Apparatus For assembling Dust Cap For power steering system Of Vehicle
KR20200023945A (en)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Dust cap assembly
WO2020122538A1 (en)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만도 Dust cap for steering system
CN113195336A (en) * 2018-12-10 2021-07-30 株式会社万都 Dust cap for steering device
US11608105B2 (en) 2018-12-10 2023-03-21 Hl Mando Corporation Dust cap for stee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622A (en) Assembly structure for dust cap of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KR101293976B1 (en) Bush for suspension of vehicle
CN103459882B (en) Torque arm for automobile
CN102939234B (en) For telescopable steering spindle shaft sleeve device and be equipped with its steering swivel system
CN109415039A (en) Hydraulic cylinder, particularly main braking cylinder for brake fluid system
US9895777B2 (en) Air spring piston with integrated sealing
KR20140103980A (en) Secondary liquid container for a motor vehicle
CN205781601U (en) Automotive fuel oil system pipe fitting quick connecting device
KR20170097733A (en) Valve device in a mot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KR20130067964A (en) Sreering apparatus having dust cap assembly
US20070108001A1 (en) Hydraulic bearing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 hydraulic bearing
US9759307B1 (en) Steering assembly having an injected isolator
KR102075049B1 (en) Dust cap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system
KR101978120B1 (en) Dust cap assembly for power steering system of vehicle
CN105102853B (en) Hydraulic sealed vibration absorber
KR200447265Y1 (en) Steering cylinder of hydraulic type steering device
KR20110087681A (en) Rack piston of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CN104847620B (en) Automobile electric fuel pump
KR102088719B1 (en) Dust cap assembly
KR101599148B1 (en) Motor case for electric motor of electric cylinder
CN204591612U (en) Automobile electric fuel pump
KR101741992B1 (en) noise and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of steering shaft for automobile
KR20080104800A (en) Dust cover equipped with valve body housing
CN210272758U (en) Cylinder penetrating connector of diesel engine
KR100694198B1 (en) Rack bush of ste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3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2

Effective date: 20161128